[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6416B1 - Method and device for matching a drone pilot and a job with drones - Google Patents

Method and device for matching a drone pilot and a job with dro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416B1
KR101946416B1 KR1020180057651A KR20180057651A KR101946416B1 KR 101946416 B1 KR101946416 B1 KR 101946416B1 KR 1020180057651 A KR1020180057651 A KR 1020180057651A KR 20180057651 A KR20180057651 A KR 20180057651A KR 101946416 B1 KR101946416 B1 KR 101946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drones
dron
pilot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6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범
Original Assignee
이종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범 filed Critical 이종범
Priority to KR1020180057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4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416B1/en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드론 조종사와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방법은 드론업무를 의뢰하는 수요자와 드론을 보유한 드론 조종사를 연결하여 주는 드론 업무 콜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드론 업무의 성격을 파악하여 빠르게 드론을 매칭하여 적정 업무를 제공하여 수요자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드론 조종사가 보유한 드론의 성능 및 위치에 따라 효율적으로 드론 업무를 매칭하고, 업무에 맞는 적정 보수를 제공할 수 있어 드론 조종사의 니즈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matching a drone pilot with a drone task serves as a drone business call center for connecting a drone operator with a drone who has a drone task,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match the drones quickly and to provide proper work to meet the needs of the users and to match the dron job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and location of the drone possessed by the drone pilot, Drone pilot's needs can be met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드론 조종사와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matching a drone pilot and a job with drones}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tching a drone pilot and a drone task,

본 발명은 수요자로부터 드론을 이용한 업무를 요청받음에 따라, 드론 업무 특성에 맞추어 드론을 전문 자격을 갖춘 조종사를 매칭하여 드론 업무를 요청하고, 드론 조종사로부터 드론 데이터를 획득하여 수요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드론 업무에 관한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드론 콜 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dron job is requested from a customer, drones are matched with a pilot having a professional qualification in accordance with dron job characteristics, and the dron job is requested from the dron operator to acquire drone data from the drone pilot. And is an invention relating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role as a drone call center capable of forming a market for drones efficiently.

드론(drone)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군사용 무인항공기(UAV; unmanned aerial vehicle or 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으로서, 2010년 즈음부터 군사적 용도뿐 아니라 다양한 민간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The drone is a generic term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or helicopter-shaped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capable of flying and steerable by induction of radio waves without pilots. Starting from around 2010, It is also actively used in the field.

이러한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단일-주파수 기반의 제어 방식을 이용하여 드론을 제어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드론 제어 연속성의 상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드론 무선 송/수신기 이중화에 관한 연구가 최근에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Various methods for controlling the drones have been developed and utilized. In particular,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the dron control continuity that may occur when the drones are controlled by using the single-frequency based control method, Has recently been actively researched.

최근 온라인 네트워크 기술이 발달하면서, 온라인을 통해 물건을 구매하거나, 금융 거래를 하는 사용자의 수가 급증하고 있고, 실제로 오프라인보다 온라인을 통해 구매 및 거래를 하는 수가 많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Recently, as the online network technology has developed, the number of users who purchase goods or conduct financial transactions through online is rapidly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purchases and transactions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online than offline.

이와 동시에, 온라인상에서의 물건 및 금융 거래뿐 아니라,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 인력을 매칭하여 제공하는 사이트도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드론을 이용한 업무는 전문성을 요하며, 조종사가 보유한 드론의 성능 및 드론 조종 능력도 중요하기 때문에, 수요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드론 조종사를 매칭하는 작업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At the same time, sites that match not only online merchandise and financial transactions but also specialized personnel performing specific tasks have also been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However, the task of using the drone requires expertise, and the performance of the drone possessed by the pilot and the ability to steer the drone are also important, so the task of matching the drone pilot meeting the needs of the consumer is becoming more important.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 10-1800680호 (2017.11.23 공고)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00680 (published on November 23, 2017)

본 발명에서는 드론 플랫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드론을 사용하여 작업하는 드론업무를 접수하고, 드론 업무에 필요한 드론의 개수, 드론의 크기, 드론 업무 시간 등을 파악하여 플랫폼에 등록된 드론 조종자를 매핑함으로써, 드론 업무와 드론 조종자를 효율적으로 매핑하는 기술적 특징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dron job to be performed using a dron is received from a user through a dron platform, a number of drones required for the dron job, a size of the dron, a dron job time, Provides technical features that efficiently map drones and drone operator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요자와 드론 조종사를 매칭하여 드론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다수의 드론 드론 조종사가 제공하는 다수의 드론 영상이 수요자가 요청한 드론 영상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를 확인하여 품질이 보장된 드론 영상을 제공하며, 다수의 드론 드론 조종사가 제공하는 다수의 드론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통합하여 수요자가 원하는 특정 영역에 대해 편리하게 드론 영상을 제공하고자 한다.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drone images provided by a plurality of drone drone pilots are checked through a server for providing drone data by matching a user with a drone pilot to check whether they meet the requirements of a drone image requested by a customer, And a plurality of drone images provided by a plurality of drone drone pilots are integrated into one image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provide a drone image to a specific area desired by the user.

제 1 실시예에 의하여, 드론 조종사와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요자의 단말로부터 업무에 필요한 드론의 개수, 원하는 드론의 성능, 드론 업무의 보수, 드론 업무 개시 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드론 업무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드론 업무 신청을 접수함에 따라, 수요자의 단말에게 지도상에서 드론 업무 진행을 원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수요자의 단말에 의하여 지정된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드론 업무 신청 및 드론 업무 영역에 기초하여 드론 업무와 복수의 드론 조종사를 매칭함으로써, 드론 업무와 복수의 드론 조종사 간의 업무 매칭률을 결정하는 단계, 업무 매칭률이 높은 순서대로, 복수의 드론 조종사에게 드론 업무의 수락을 요청하는 단계, 드론 업무의 난이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난이도에 기초하여 산정된 착수금을 드론 업무를 수락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의 계좌로 입금하는 단계, 드론 업무를 수락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로부터, 각각이 선택한 비행경로 상에서 드론 업무를 수행한 드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 각각으로부터 수집한 드론 데이터를 취합하여, 드론 업무에 대한 통합 드론 데이터를 제작하는 단계 및 통합 드론 데이터를 수요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 a method of matching a droneship with a droneship, a method of matching a droneship with a droneman's work includes the number of drones necessary for a task, the performance of a desired dronse, A step of receiving an application for a drones service, a step of providing an interface for designating an area for a drones business to be performed on a map to a customer terminal upon receipt of a drones service application, Determining a task matching rate between a drones task and a plurality of drone pilots by matching a drones task with a plurality of drones pilots based on a drones task application and a drones task area;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ask the plural drone pilots to accept the dron job, Setting the difficulty level, depositing the calculated deposit based on the set degree of difficulty into the account of at least one drone pilot who has accepted the droning operation, depositing at least one flight route to at least one drone pilot who accepted the dron job Receiving drone data from at least one or more drone pilots, each of which has performed a droning task on a selected flight path, collecting drone data collected from each of at least one drone pilot, A step of producing integrated drones data for the drones task and a step of transmitting the integrated drones data to the terminal of the customer.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recorded.

본 발명에서는 건설현장이나 지방자치 단체, 긴급재난 대응센터 등에서 특정 영역에 대해 드론 데이터가 필요한 경우, 실시간으로 드론 조종자를 매핑하고, 매핑된 조정자를 특정 영역으로 투입하여 드론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drone data is required for a specific area at a construction site, a municipality, an emergency disaster response center,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map the drone operator in real time and request the drone data by inputting the mapped coordinator into a specific area.

본 발명에서는 드론 업무를 파악하여, 드론 조종자에게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전달하고, 수요자의 요청사항에 부합하는 드론 조종사에게 드론 업무를 할당함으로써, 수요자에게 높은 품질의 드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igh-quality drone data can be provided to a customer by grasping the dron job, communicating requirements of the customer to the drone operator, and allocating the dron job to the drone pilot meeting the requirements of the customer.

본 발명에서는 드론 데이터를 공급하는 드론 조종자들이 보유하고 있는 드론의 종류, 드론에서 사용하는 영상촬영장치의 종류에 따라 드론 조종사들이 선택할 수 있는 비행경로 내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드론 조종사들이 수요자들의 요구사항에 부합할 수 있는 드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the interface for selecting the flight path or area that the drone pilots can select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rone held by the drone operators supplying the drone data and the type of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used in the drone, To provide drone data that can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customers.

본 발명에서는 수요자와 드론 조종사를 매칭하여 드 론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통해 다수의 드론 조종사들이 제공하는 드론 데이터가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체크하고,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드론 데이터만 선택하며, 다수의 공급하는 드론 데이터를 통합된 하나의 드론 데이터 맵으로 생성하여 수요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drone data provided by the plurality of drone pilots matches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customer through the server that provides the drone data by matching the customer and the drone pilot, and only the drone data There is an effect that a plurality of supplied drone data can be generated as a single integrated drone data map and supplied to a consumer.

본 발명에서 수요자와 드론 조종사를 매칭하여 드론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는 드론 데이터를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자에게 비용을 받고, 드론 데이터를 공급한 드론 조종사들에게 보상을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rver for providing the drone data by matching the customer with the drone pilot receives the charge for the customer who wants to purchase the drone data, and provides a system capable of paying the reward to the drone pilots who supplied the drone data have.

도 1은 일 개시에 의한 드론 조종사와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수요자와 드론 조종사를 매칭하여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수요자가 지도상에서 드론 데이터를 보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 조종사가 드론 데이터를 공급하고자 하는 비행경로 또는 Zone을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 조종사가 드론 데이터를 공급하고자 하는 비행경로 또는 Zone을 선택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비행경로를 설정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복수의 드론 조종사가 조종하는 드론의 촬영 위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실시예이다.
FIG. 1 is a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method of matching a drone pilot and a drone t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tching a dron job by matching a customer and a drone pil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5 show an example of setting a region in which a consumer wants to view drone data on a m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drone pilot selects a flight path or zone to which drone data is to be su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nd FIG. 5 show an example in which a drone pilot selects a flight path or a zone to which drone data is to be suppli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illustrate an example of setting a flight path based on the requirements of a customer,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mbodiment showing information about a shooting position of a dron operated by a plurality of drone pilo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As used herein,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intended to encompass all commonly used generic terms that may be considered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a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upon the intent or circumstance of the skilled artisan,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Also, in certain cases, there may be a term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which case the meaning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not on the names of simple terms, and on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다.Hereinafter, reference will be mad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개시에 의한 드론 조종사와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view for schematically explaining a method of matching a drone pilot and a drone tas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일 개시에 의하여, 본원발명의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드론 조종사들과 드론 업무를 요청하는 수요자를 적정하게 매칭하여 주는 드론 콜센터(10)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rve as a drones call center 10 for suitably matching the drones with the demanding drones.

일 개시에 의하여, 수요자들(5, 6)은 컴퓨팅 장치, 스마트 폰 등의 단말을 이용하여 드론 업무 매칭장치(100)로 드론 업무를 요청할 수 있다.The users 5 and 6 can request the drones job matching apparatus 100 by using a terminal such as a computing device or a smart phone.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조종자들은 자신이 소유한 드론에 대한 정보를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복수개의 드론(200, 201, 20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By means of the initiation, the drone operators can send information about their own drones to the drones matching device 100. By virtue of the initiation, the drones matching device 100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plurality of drones 200, 201, 202.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수요자의 단말로부터 업무에 필요한 드론의 개수, 원하는 드론의 성능, 드론 업무의 보수, 드론 업무 개시 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드론 업무 신청을 수신하고, 드론 업무 신청을 접수함에 따라, 수요자의 단말에게 지도상에서 드론 업무 진행을 원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수요자의 단말에 의하여 지정된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 비행경로를 설정하고, 드론 업무 신청 및 드론 업무 영역에 기초하여 드론 업무와 복수의 드론 조종사를 매칭함으로써, 드론 업무와 복수의 드론 조종사 간의 업무 매칭률을 결정하고, 업무 매칭률이 높은 순서대로, 복수의 드론 조종사에게 드론 업무의 수락을 요청하고, 드론 업무의 난이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난이도에 기초하여 산정된 착수금을 드론 업무를 수락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의 계좌로 입금하고, 드론 업무를 수락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로부터, 각각이 선택한 비행경로 상에서 드론 업무를 수행한 드론 데이터를 수신하고,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 각각으로부터 수집한 드론 데이터를 취합하여, 드론 업무에 대한 통합 드론 데이터를 제작하고, 통합 드론 데이터를 수요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receives a drones application including a number of drones required for a task, a desired dron performance, a dron job completion, a dron job start time, and an end time from a consumer's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terface for designating an area where the drones are desired to be performed on the map to the customer's terminal, set at least one dron flight path in the area designated by the customer's terminal, The dron job and the plurality of drone pilot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region and the plurality of drone pilots are requested to accept the dron job in the order of higher business matching rate , The difficulty level of the drones task is set, and the deposit amount calculated based on the set difficulty level is set in the drone- To at least one or more drone pilots who have accepted the drones and to provide at least one or more drone pilots who have accepted the drones service an interface to select at least one flight path, Collecting the drone data collected from at least one or more drone pilots, producing integrated drone data for the drone business, and transmitting the integrated drone data to the user terminal Lt; / RTI >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드론 조종사와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수요자의 단말로부터 업무에 필요한 드론의 개수, 원하는 드론의 성능, 드론 업무의 보수, 드론 업무 개시 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드론 업무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is a method for matching a drones task with a drones task. The dron task matching apparatus 100 calculates a number of drones required for a task from a user terminal, a desired dron performance, a dron job duties, And an ending time of the drones.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드론 업무를 수락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가 보유한 드론의 성능을 파악하는 단계, 드론별 운용고도, 드론별 비행성능, 드론별 배터리 소모량, 드론별 통신가시거리, 돌발 상황시 추락에 따른 안전장치 활성화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에 알맞은 드론을 매칭하는 단계 및 매칭된 드론을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interface for selecting at least one flight path to the at least one drone pilot who accepts the drones task, 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can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drone pilot At least one of the flight paths is determined considering at least one of the steps of determining the performance, the operating height of the drone, the flight performance per drone, the battery consumption per drone, the communication visibility per drone, Matching the appropriate drones and displaying the matched drones on the interface.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드론 업무 신청을 접수함에 따라, 수요자의 단말에게 지도상에서 드론 업무 진행을 원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수요자의 단말에 의하여 지정된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receives an application for a drones service, and provides an interface for designating an area to which the drones service is desired to be performed on the map to the user terminal, The at least one dron flight path may be established.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드론 업무 신청 및 드론 업무 영역에 기초하여 드론 업무와 복수의 드론 조종사를 매칭함으로써, 드론 업무와 복수의 드론 조종사 간의 업무 매칭률을 결정하는 단계, 업무 매칭률이 높은 순서대로, 복수의 드론 조종사에게 드론 업무의 수락을 요청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determines a task matching rate between a drones task and a plurality of drone pilots by matching a drones task with a plurality of drones pilots based on a drones application and a drones task area,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drone pilots a step of requesting acceptance of the drones task in the order of high business matching rate.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드론 업무의 난이도를 설정하고, 설정된 난이도에 기초하여 산정된 착수금을 드론 업무를 수락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의 계좌로 입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드론 조종사의 계좌에 대한 정보는 드론 조종사가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에 등록한 식별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의 난이도는 미리 설정된 매뉴얼에 따라 산정될 수 있으며, 드론 조종사의 요청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sets the difficulty level of the dron job and deposits the calculated deposit based on the set difficulty level into the account of at least one drone pilot who has accepted the dron job .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about the account of the drone pilot can be obtained from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drone pilot matching device 100. The difficulty level of the drones task can be calculated according to a preset manual by the start of the day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drone pilot.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드론 업무를 수락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에게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By means of the initiation, 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may provide a step of providing an interface for selecting at least one flight path to at least one drone pilot who has accepted the droning service.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로부터, 각각이 선택한 비행경로 상에서 드론 업무를 수행한 드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By the start of operation, 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can provide, from at least one drones pilot, a step of receiving drone data, each of which has performed a droning task on a selected flight path.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 각각으로부터 수집한 드론데이터를 취합하여, 드론 업무에 대한 통합 드론 데이터를 제작하는 단계 및 통합 드론 데이터를 수요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collects the drones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drones pilots to produce integrated drones data for the drones task and transmits the integrated dronon data to the user's terminal And the like.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각각의 비행경로 별로 적어도 한 명의 드론 조종사로부터 수집한 드론데이터의 영상이 수요자에게 제공하기 적합한 기준을 만족하는 드론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 제 1 데이터 중 수요자가 요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드론 데이터를 제 2 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제 2 데이터를 공급한 드론 조종사에게 드론 업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드론 업무 매칭 장치는 자체적으로 설정된 기준을 만족시키는 표준 이상의 데이터와, 동시에 사용자의 요구를 적정하게 수용한 드론 데이터를 선별함으로써 드론 데이터의 품질을 관리할 수 있다.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determines drone data that satisfies a criterion suitable for providing an image of the drone data collected from at least one drone pilot for each flight path as first data Determining drone data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the user among the first data as the second data, and providing the drone pilot who supplied the second data with compensation for the dron job.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can manage the quality of the drones data by selecting the data over the standard that satisfies the established criteria, and at the same time, the dron data appropriately accommodating the user's request.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드론 업무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요자의 단말로, 수요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수요자의 단말로, 수요자가 요청한 드론 업무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획득한 수요자의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제 1 키워드 및 드론 업무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로부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제 2 키워드에 기초하여, 필요한 드론의 적정 개수, 드론 업무에 상응하는 보수, 드론 업무의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드론 요청 정보 및 수요자의 업무 요청 동의 여부를 획득하기 위한 제 3 사용자 인테페이스를 수요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수요자의 업무 요청 동의를 획득함에 따라, 수요자의 계좌에서 드론 업무에 상응하는 보수 중 적어도 일부 금액을 착수금으로서 수취하는 단계를 더 제공할 수 있다.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in the step of receiving the drones application, provides the first user interface for obtaining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consumer to the consumer's terminal, Providing a second user interface for acquiring project information on the drones task requested by the user, based on one or more first keywords determined from the obtained profile information of the user and one or more second keywords determined from project information on the dron task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a third user interface for acquiring drones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appropriate number of required drones, repair corresponding to the dron job, time required for the dron job, and whether the user agrees to a job request; By acquiring the consent of the client, the client's account Deposits standing as at least some amount of the remuneration corresponding to the drone operations may further provide the step of receiving.

이때, 수요자의 계좌에 대한 정보는 수요자의 단말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은행 계좌, 가상 계좌, 포인트 계좌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information on the customer's account can be obtained from the customer's terminal and can include bank account, virtual account, point account, and the like.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수요자의 단말에게 지도상에서 드론 업무 진행을 원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지도 내에서 소정의 영역을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확대하는 수요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영역 내 송전탑, 전선, 고층건물 및 시설물, 전선, 장애물, 주택밀집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드론이 이륙가능한 지역들을 나타내는 드론 이륙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드론 이륙리스트를 지도 내에 표시할 수 있다.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provides the user of the user with an interface for designating an area to which a droning operation is to be performed on the map, The dron taking-off list can be genera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transmission towers, electric wires, high-rise buildings and facilities, electric wires, obstacles, and house densities in the predetermined area. In addition, by means of a start, 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can display the dron takeoff list in a map.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수요자가 지정한 영역을 n(n은 자연수)개의 Zone으로 구분하고, 각 Zone 별로 설정된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확인한 후, n 개의 Zone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드론 조종사에게 제공하는 단계, 드론 조종사로부터, 드론 조종사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의 Zone을 촬영한 드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드론 조종사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드론 데이터가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확인한 후, 부합한 드론 데이터를 제공한 드론 조종사에게 드론 업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divides an area designated by the user into n (n is a natural number) zones, confirms the requirements of the user set for each zone, and then selects at least one of the n zones Receiving drone data from at least one zone selected by the drone pilot from the drone pilot, checking whether the drone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drone pilots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customer, , And provide a step of providing reward for the drones to the drone pilot who provided the corresponding drone data.

나아가,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드론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드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통합 드론 데이터를 수요자의 단말에 제공하고, 수요자의 단말에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제공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can generate the integrated dronon data using the dron data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consumer, provide the integrated dronon data to the consumer's terminal, A step of requesting payment may be provided.

일 개시에 의하여, 드론 업무 매칭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조종사로부터 드론 조종사가 보유한 드론의 비행가능시간, 드론의 비행가능거리, 드론에서 이용하는 영상촬영장치의 화각, 화소, 고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받고, 드론 조종사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부합시킬 수 있는 Zone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드론 조종사에게 제공하며, 드론 조종사는 선택적으로 활성화된 Zone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100 is capable of acquiring at least one of the drones from among at least one drones pilots at least one of the flight time of the drones possessed by the drone pilot, the flightable distance of the drones, the angle of view, The drone pilot selectively activates one or more of the activated zones to activate the zones that can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drone pilot, .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수요자와 드론 조종사를 매칭하여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aratus for matching a dron job by matching a customer and a drone pilo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장치(100)는 특정 영역의 드론 데이터가 필요한 수요자와 특정 영역의 일부 또는 전체의 드론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 조종사를 매칭하는 기능이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100 for matching a dron job has a function of matching at least one or more drone pilots capable of supplying some or all of the drone data of a specific region with a user who requires drone data of a specific region have.

보다 상세히,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장치(100)는 특정 영역에 대해 실시간, 일정 주기, 임의의 기간 동안 또는 임의의 날짜에 드론 데이터가 필요한 수요자가 존재하는 경우, 수요자의 요구 사항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수요자가 요청한 특정 영역을 수요자의 요구대로 촬영하여 드론 데이터를 공급할 수 있는 드론 조종사들을 모아 수요자가 요구하는 드론 데이터를 제공해줄 수 있다. 수요자의 요구 사항은 촬영영역, 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고도, 영상 촬영 기간, 영상 종류 등을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apparatus 100 for matching the drones task receives the demand of the consumer when there is a consumer who needs the drones data for a specific area in real time, at a certain period, for an arbitrary time, or on any date. Then, the drone pilots capable of supplying the drone data can be collected by photographing the specific area request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user, thereby providing the drone data required by the user. The requirements of the consumer include the shooting area, the resolution, the altitude at which the image is captured, the image capturing period, the image type, and the like.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장치(100)는 영상확인부(126)를 통해 적어도 한 명의 드론 조종사가 제공한 드론 데이터 각각이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한지 확인하고,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적합한 드론 데이터들을 선별적으로 취합, 가공하여 수요자가 요구하는 특정 영역에 대해 드론 데이터를 제공한다. The apparatus 100 for matching a dron job confirms whether each of the drones provided by at least one drones pilot matches the requirements of the customer through the image check unit 126, And collects and processes them to provide drone data for specific areas required by the customer.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장치(100)는 또한 드론 데이터를 공급하고자 하는 드론 조종사들이 구비한 드론의 사양을 사전에 검토하여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한 사양을 지녔는지 사전에 확인한 후, 드론 조종사에게 비행경로를 제공함으로써 드론 조종사로부터 높은 신뢰도의 드론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The apparatus 100 for matching the drones also examines the specifications of the drones provided by the drone pilots who wish to supply the drones data in advance to confirm whether the drones have specifications tha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customer, By providing a pathway, it is possible to receive highly reliable drone data from a drone pilo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장치(100)는 결제부(140)를 통해 수요자에게 드론 데이터를 제공하는 대가로 수수료를 받고, 보상부(150)를 통해 드론 조종사에게 드론 데이터를 제공해준 대가로 보상을 수행할 수 있다. In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100 for matching a dron job receives a fee as a fee for providing drones data to a consumer through a payment unit 140, The compensation can be made at the expense of providing.

이하에서,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장치(100)의 내부 구성도를 살펴본다. Hereinafter,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apparatus 100 for matching drones will be described.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장치(100)는 제 1 인터페이스(110), 클라우드매핑부(120), 제2인터페이스(130), 결제부(140) 및 보상부(150)를 포함한다. The apparatus 100 for matching the drones task includes a first interface 110, a cloud mapping unit 120, a second interface 130, a settlement unit 140, and a compensation unit 150.

제 1 인터페이스(110)와 결제부(140)는 수요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이용되고, 제 2 인터페이(130)와 보상부(150)는 드론 조종사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이용된다. 클라우드매핑부(120)는 수요자와 드론 조종사를 매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interface 110 and the settlement unit 140 are used for an interface with a customer and the second interface 130 and the compensation unit 150 are used for interface with a drone pilot. The cloud mapping unit 120 performs a function of matching the consumer and the drone pilot.

제 1 인터페이스(110)는 드론 데이터를 요청하는 수요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현된다. 제 1 인터페이스(110)는 드론 데이터가 필요한 영역을 설정하는 영역인터페이스(112), 드론 데이터의 해상도를 설정하는 해상도인터페이스(114), 드론 데이터의 촬영일자 등을 설정하는 촬영일자인터페이스(116), 그 외 드론 데이터와 관련된 설정을 하는 설정(Setting)인터페이스(118)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요자는 제 1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원하는 영역, 원하는 해상도, 원하는 촬영일자, 그 외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설정할 수 있다.The first interface 110 is implemented to receive input from a consumer requesting drone data. The first interface 110 includes an area interface 112 for setting the area for which the drone data is required, a resolution interface 114 for setting the resolution of the drone data, a shooting date interface 116 for setting the shooting date of the drone data, And a setting interface 118 for making settings related to other drone data. The consumer can set a desired area, a desired resolution, a desired photographing date, and other requirements of the consumer through the first interface 110.

클라우드매핑부(120)는 제어부(121), 수신부(123) 및 통합드론 데이터맵 제작부(125)를 포함한다. 통합드론 데이터맵제작부(125)는 또한 영상확인부(126), 영상처리부(127) 및 영상통합부(129)를 포함한다.  The cloud mapping unit 120 includes a control unit 121, a receiving unit 123, and an integrated drone data map production unit 125. [ The integrated drone data map creator 125 also includes an image verification unit 126, an image processing unit 127, and an image integration unit 129.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클라우드매핑부(120)는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수신한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드론드론 조종사가 전송한 드론 데이터 각각이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되는 드론 데이터인지를 확인한 후,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되는 드론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드론 데이터맵을 제작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mapping unit 120 receives the requirements of the customer. After confirming that each of the drone data transmitted by at least one dron drone pilot is drone data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customer, the dron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customer is integrated to produce an integrated drone data map.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클라우드매핑부(120)는 수신부(123)에서 도 2 와 같은 제 1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 원하는 해상도, 원하는 촬영 일자, 그 외 촬영 간격, 촬영 고도 등의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입력받는다. 수요자는 지도 상에 첨펜, 마우스, 손 등을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영역을 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211,212, 213, 214).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mapping unit 120 receives a desired area, a desired resolution, a desired photographing date, other photographing intervals, Such as the height of the photographed image. The user can directly designate the area he wants by using a mouse, a mouse, or the like on the map (211, 212, 213, 214).

클라우드매핑부(120)는 수요자의 입력을 수신하면, 제어부(121)에서 수요자가 입력한 영역과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그에 기초하여 수요자가 입력한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Zone으로 분할하여 드론 조종사 화면에 제공하거나, 또는 수요자가 입력한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로 분할하여 드론 조종사 화면에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cloud mapping unit 120 receives the input of the consumer, the cloud mapping unit 120 grasps the requirements of the consumer and the area input by the consumer in the control unit 121, divides the area input by the consumer into at least one zone, Or provide it to the drone pilot screen by dividing the area inputted by the user into at least one flight path.

예를 들어, 제어부(121)는 수요자가 고해상도를 원하는 영역의 경우 드론의 이동거리를 고려하여 Zone을 작게 분할하고, 수요자가 저해상도를 원하는 영역의 경우 Zone을 더 크게 분할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ontroller 121 may divide the zone into smaller zones in consideration of the moving distance of the drone in the case where the user desires high resolution, and may divide the zones into larger zones in the case of the zone in which the user desires a lower resolution.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121)는 도 6의 일 실시예와 같이 종횡중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원하거나 또는 다른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비행경로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설정할 수 있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21 may se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dundancy to be constant, or may vary the flight path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other users as in the embodiment of FIG.

클라우드매핑부(120)는 통합드론 데이터맵제작부(125)에서 적어도 하나의 드론 조종사가 제공한 드론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드론 데이터맵을 제작한다. 통합드론 데이터맵제작부(125)의 영상확인부(126)는 수신부(123)에서 수신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 데이터 각각이 수요자의 요구사항, 예를 들어 해상도, 촬영 간격, 종횡중복도, 고도, 등, 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부합하는 드론 데이터들에 대해 영상처리부(127)에서 지도를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영상처리를 수행한다. 그 후, 영상 통합부(128)에서 각 드론 데이터를 취합하여 수용자가 요청한 영역을 나타내는 통합드론 데이터맵을 생성한다.The cloud mapping unit 120 integrates the drone data provided by at least one drone pilot in the integrated drone data map production unit 125 to produce an integrated drone data map. The image confirming unit 126 of the integrated drone data map producing unit 125 determines whether or not each of the at least one drone data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123 satisfies the requirements of the customer such as resolution, shooting interval, vertical / horizontal redundancy, , And performs the image processing required to generate a map in the image processing unit 127 with respect to the matching drone data. Thereafter, the image integrating unit 128 combines the respective dron data and generates an integrated dronon data map indicating the area requested by the us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5를 참고하면, 드론 조종사가 제 2 인터페이스 중 ZONE선택부(300a)를 활성화 하면, 수요자가 지정한 영역이 ZONE으로 분할되어(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표시된다. 5, when the drone pilot activates the zone selecting unit 300a of the second interface, the zone designated by the user is divided into zones (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

이 경우 ZONE 전체(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가 표시되거나 또는 드론 조종사가 보유하거나 또는 이용할 수 있는 드론이 운행할 수 있는 Zone만이 활성화되어 표시될 수 있다. In this case, only the Zone (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 can be displayed or only the zone where the drone pilot can hold or use can be activated and displayed.

드론 조종사는 자신이 위치한 영역, 자신이 이동 가능한 영역, 자신이 보유한 드론이 비행할 수 있는 영역, 자신이 보유한 드론이 제공할 수 있는 해상도 등을 고려하여, ZONE 들 리스트(310, 320, 330, 340, 350, 360, 370, 38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도 3 b, 360, 370). 드론 조종사는 자신이 선택한 ZONE에 드론을 띄워 드론 데이터를 획득한 후, 클라우드매핑부(도 1, 120)로 전송한다. The drone pilot can use the Zones list 310, 320, 330, and 330 in consideration of the area where he / she is located, the area in which he / she can move, the area in which the drones possessed by the drones can fly, 340, 350, 360, 370, 380) (Fig. 3B, 360, 370). The drone pilot acquires the drone data by moving the drone to the zone selected by the drone pilot, and transmits the drone data to the cloud mapping unit (FIG. 1, 120).

이 경우, 드론은 비행 가능한 비행 본체, 비행 본체에 탑재어 주변을 촬영하는 영상촬영장치, 비행 본체에 탑재된 통신 모듈, 그리고 비행 본체의 비행 동작을 제어하고,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rones control the flying operation of the flight main body, the image photographing device for photographing the mount around the flying main body, the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flying main body, and the flying operation of the flying main body,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6은 드론 조종사가 제 2 인터페이스 중 비행경로선택부(400b)를 활성화 한 경우를 나타낸다. 드론 조종사는 자신이 위치한 영역, 자신이 이동 가능한 영역, 자신이 보유한 드론이 비행할 수 있는 영역, 자신이 보유한 드론이 제공할 수 있는 해상도 등을 고려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비행경로들 (410, 411, 412, 413, 414, 415, 416, 417,418,419,420)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다. 드론 조종사는 자신이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에 드론을 띄워 드론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shows a case where the drone pilot activates the flight path selection unit 400b of the second interface. The drone pilot may include at least one flight path 410, 411, 411, 412, 412, 411, 412, 412, 411, 411, ,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The drone pilot can acquire drone data by droning at least one flight path he or she has selected.

이 경우, 비행경로는 클라우드매핑부(도 2, 120)의 제어부(도 2, 121)에서 제공되는 비행데이터로 비행 경로의 좌표값을 포함한다. 드론 조종사는 별도의 조정없이 선택한 비행경로에 따라 드론을 운행하여 드론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주의할 것은 드론 조종사는 비행 경로 좌표값이 포함된 비행경로를 선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드론 조종사가 비행 경로를 생성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light path includes the coordinate values of the flight path as the flight data provided by the control section (FIG. 2, 121) of the cloud mapping section (FIG. 2, 120). The drone pilot can obtain the drone data by operating the drone according to the selected flight path without any adjustment. Note that a drone pilot may select a flight path that includes a flight path coordinate value, bu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also assume that a drone pilot creates a flight path.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8의 일 실시예를 참고하면, 드론 조종사가 보유한 드론의 비행가능시간, 드론의 비행가능거리, 드론에서 이용하는 영상촬영장치의 화각, 화소, 고도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하면, 제어부(도 1, 121)는 해당 드론 조종사가 보유한 드론으로 운영할 수 있는 비행경로만을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도 5, 410, 412, 415). Referring to the embodiment of FIG. 8, it is assumed that the drone pilot has the possibility of flying the drone, the flying distance of the drone, the angle of view of the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used in the drone, When the user inputs at least one, the control unit (FIGS. 1 and 121) activates and displays only the flight path that can be operated by the drone pilot (FIG. 5, 410, 412, and 415).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는 각 비행경로마다 수요자가 요구한 요구사항을 검토한 후, 해당 비행경로를 운행하기 위한 드론의 요건, 드론에서 이용하는 영상촬영장치의 요건을 제 2 인터페이스 화면(400)에 표시할 수 있다. 드론의 요건의 일 예로는 1회 드론의 비행거리, 드론에 장착된 배터리로 비행가능한 시간 등이 있다. 드론에서 이용하는 영상촬영장치의 요건의 일 예로는 고도, 해상도, 화각, 화소등이 있다. 드론 조종사는 비행경로를 선택할 때 참고가 가능하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unit examines the requirements requested by the consumer for each flight route, and then determines the requirements of the drones for operating the corresponding flight path, Can be displayed on the second interface screen (400). An example of a dron's requirement is a one-time drones fly, and a battery-mounted battery. An example of a requirement of a video image shooting apparatus used in a drone is an altitude, a resolution, an angle of view, a pixel, and the like. Drone pilots are available for reference when selecting a flight path.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는 또한 각 Zone마다 수요자가 요구한 요구사항을 검토한 후, 해당 Zone을 운행하기 위한 드론의 요건, 드론에서 이용하는 영상촬영장치의 요건을 제 2 인터페이스 화면(400)에 표시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the control unit also examines the requirements requested by the consumer for each zone, and then determines the requirements of the drones for operating the zone, Can be displayed on the second interface screen (4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결제부(140)는 수요자가 요청하는 드론 데이터의 양, 드론 데이터의 퀄리티, 드론 데이터의 요청 주기 등을 기초로 견적을 작성하여 수요자에게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보상부(150)는 드론 조종사가 제공한 드론 데이터의 양, 드론 데이터의 퀄리티, 드론 데이터의 제공 주기 등을 기초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lement unit 140 may make an estimate based on the amount of the drone data requested by the customer, the quality of the drone data, the request period of the drone data, and may request payment to the customer. Likewise, the compensation unit 150 may perform compensation based on the amount of the drone data provided by the drone pilot, the quality of the drone data, the providing period of the drone data,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수요자가 고해상도의 드론 데이터를 요구한 영역에서는 비행간격을 좁게(417a, 419a) 설정하고, 수요자가 저해상도의 드론 데이터를 요구한 영역에서는 비행간격을 넓게(419b)설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ight interval is set narrowly (417a, 419a) in the area where the consumer requests high-resolution drone data, and the flight interval is set wide (419b) in the area where the low-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수요자가 높은 고도의 드론 데이터를 요구한 영역과 낮은 고도의 드론 데이터를 요구한 영역에 따라 비행경로를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특정 영역에서는 도 6b에 나타난 형태(610)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비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A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ight path can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rea where the customer requests the high-level drone data and the area where the low-level drone data is request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flight paths can be set in the specific area as shown in the form 610 shown in FIG. 6B.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9 는 지형변화량 가시화를 수행하는 도론 업무 매칭 장치(100)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Doron business matching apparatus 100 that performs the terrain change amount visualization.

지형변화량 가시화장치(100)는 매핑부(110), DSM비교부(120), 변경사항표시부(130)를 포함하고, 부피량변화표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errain variation visualization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mapping unit 110, a DSM comparison unit 120, a change display unit 130, and a volume change display unit 140.

매핑부(110)는 임의의 영역을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한 기준영상과 다른 시간에 상기 임의의 영역을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한 비교영상을 매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매핑부(110)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측량을 통해 취득한 지상기준점(GCP; Ground Control Point)을 사용하여 영상에 대한 좌표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The mapping unit 110 maps the comparison image captured by using the drones to the arbitrary area at a time different from the reference image taken by using the drones in an arbitrary area.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pping unit 110 may perform coordinate matching on an image using a ground control point (GCP) obtained through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surve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은 비행 가능한 비행 본체, 비행 본체에 탑재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영상촬영장치, 비행 본체에 탑재된 통신 모듈, 그리고 비행 본체의 비행 동작을 제어하고,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on is a flying body capable of flying, a photographing device mounted on the body of the photographing body for photographing the periphery, a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body of the flight, And transmitting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매핑부(110)는 t1 시간에 촬영한 기준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들의 GPS 좌표 정보와 t2, t3, t4,,,,tn 시간에 촬영한 비교영상에서 추출된 특징점들 중 대응하는 GPS 좌표 정보를 매핑한다. The mapping unit 110 receives GPS coordinate information of feature points extracted from the reference image photographed at time t1 and corresponding GPS coordinate information of feature points extracted from the comparison image photographed at time t2, t3, t4 ,,,, tn Mappin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기준영상과 비교영상은 수요자가 요청한 영역에 대해 촬영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통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기준영상과 비교영상의 해상도는 수요자의 요청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기준영상과 비교영상을 촬영하는 촬영시기, 촬영 간격, 촬영 날짜 등도 수요자의 요청에 따라 상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omparison image can be photographed with respect to the area requested by the consumer, and the photographed images can be integrated by using at least one drones. In addition, the resolution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omparison image can be ch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sumer. In addition, the shooting time, shooting interval, shooting date, etc. of shooting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omparison image may be chang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consumer.

DSM비교부(120)는 기준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비교영상 간에 GPS 좌표가 매핑된 이후, 기준영상의 수치표고자료(DSM, Digital Surface Model)과 비교영상의 수치표고자료를 비교하여, 기준영상과 비교영상 간의 변화량을 도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수치표고자료의 고도를 비교하여 비교하는 예시를 개시하였으나, 수치표고자료 외에 등고선 정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After the GPS coordinates are mapped betwee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at least one comparison image, the DSM comparison unit 120 compares the digital surface model (DSM) of the reference image with the digital elevation data of the comparison image, And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comparison images is deriv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ltitude of the digital elevation data is compared and compared. However, in addition to the digital elevation data, contour information and the like can be us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DSM 비교부(120)는 도 2에 도시된 기준영상과 t2시간에 촬영된 도 3 에 도시된 비교영상 간에 변화량(310, 320, 330)을 표시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SM comparison unit 120 may display the variation amounts 310, 320, and 330 between the reference image shown in FIG. 2 and the comparison image shown in FIG. 3 taken at time t2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DSM 비교부(120)는 도 2에 도시된 기준영상과 t3시간에 촬영된 도 4 에 도시된 비교영상 간에 변화량(410, 420, 4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영상 위에 부피량 변화(411, 421, 431)을 수치로 변환하여 더 표시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SM comparison unit 120 may display the variation amounts 410, 420, and 430 between the reference image shown in FIG. 2 and the comparison image shown in FIG. 4 taken at time t3 . Further, the volume change (411, 421, 431) can be converted into numerical values and displayed further on the comparison imag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DSM 비교부(120)는 도 2에 도시된 기준영상과 t4시간에 촬영된 도 5 에 도시된 비교영상 간에 변화량(410, 420, 430)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변화가 발생한 영역들 중(410, 420, 430) 일부 영역 위에 변화량을 파악하고자 하는 영역을 설정하면(521), 설정한 영역의 부피량이 수치로 표시될 수 있다(522).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DSM비교부(120)는 비교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면서, 상기 기준영상과의 변화량을 실시간으로 비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SM comparison unit 120 may display the variation amounts 410, 420, and 430 between the reference image shown in FIG. 2 and the comparison image shown in FIG. 5 taken at time t4 . In addition, if a region to be analyzed is set on a partial area of the changed areas 410, 420, and 430 (521), the volume of the set area may be displayed as a numerical value (522).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SM comparator 120 may be implemented to compare the amount of change with the reference image in real time while photographing the comparison image in real time.

변경사항표시부(130)는 DSM비교부(120)의 비교결과를 기초로 기준영상과 비교영상 간에 변경이 발생한 영역을 색깔, 음영, 수치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변경사항표시부(130)는 기준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비교영상에서 변화가 발생한 영역의 일부 또는 모두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변경사항표시부(130)는 기준영상과 비교영상의 DSM을 각각 비교하여 고도가 증가된 영역과 고도가 감소된 영역을 구별하여 표시할 수 있다. The chang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n area where a change has occurred betwee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omparison image as color, shade, numerical value or the like based on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DSM comparison unit 120. [ The chang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a part or all of a region where a change occurs in the reference image and at least one comparison image.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e display unit 130 may compare the DSM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omparison image to distinguish the altitude-increased region and the altitude-reduced region, respectively.

또한, 변경사항표시부(130)는 기준영상과 비교영상의 DSM을 각각 비교하여 고도의 증가 범위에 따라 표시 방식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1m 단위, 1ft 단위로 음영을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 Also, the change display unit 130 may compare the DSMs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omparison image, respectively, so that the display scheme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ltitude increase range. For example, the shade can be displayed differently in units of 1m and 1f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변경사항표시부(130)는 다양한 표시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변경사항표시부(130)는 제 1 표시방법(132)에 따라 기준영상 위에 비교영상이 스크롤 오버랩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기준영상(710)이 하위에 표시되고, 사용자의 마우스 움직임(700), 사용자 입력의 움직임(700) 방향을 따라 기준영상(710) 위에 비교영상(720)의 일부 또는 전부가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 1 표시방법(132)에 따라 오버랩되는 영상을 통해 변화가 발생한 영역(701, 702, 703)을 직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e display unit 130 may use various display methods. In one embodiment, the chang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the comparison image on the reference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display method 132 so that the comparison image is scroll-overlapped. Referring to FIG. 7, a reference image 710 is displayed at a lower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comparison image 720 is displayed on the reference image 710 along the direction of the user's mouse movement 700, Or all of them can be displayed in an overlapping manner. The user can intuitively compare the areas 701, 702, and 703 in which the change has occurred through the overlapped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display method 132. [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변경사항표시부(130)는 제 2 표시방법에 따라 기준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비교영상을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영상과 적어도 하나의 비교영상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선택하여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nge display unit 130 may display the reference image and the at least one comparison image on one screen according to the second display method. In this case, some or all of the reference image and at least one comparison image can be selected and displayed on one screen.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분할 화면이 다수개인 경우, 분할 화면을 시간순으로 소팅하여 정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정렬의 기준으로 시간을 지정하였으나, 부피변화량 기준 등과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divided screens, the divided screens may be sorted and sorted in chronological orde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is specified based on the sorting criterion, but it should be no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based on a volume change criter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지형변화량 가시화장치(100)는 부피량 변화표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rain variation visualization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volume change display unit 140.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변경사항표시부(130)에서 기준영상과 비교영상을 비교한 결과영상에 추가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부피량 변화를 알기 원하는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set an area in which the volume change is to be known using the interface in addition to the resultant image obtained by comparing the reference image and the comparison image in the change display unit 130. [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비교영상 또는 기준영상과 비교영상이 일부 내지 전부 오버랩된 영상 중 적어도 하나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역을 설정하거나 또는 도 6의 일 실시예와 같이 기준선(610)을 표시할 수 있다.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sets a desired area using at least one of a comparison image or a reference image and an image in which a comparison image is partially or completely overlapped, The reference line 610 can be displayed.

부피량변화표시부(140)에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원하는 영역에 대한 부피량 변화를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입력한 원하는 영역에 포함된 기준영상의 DSM 고도와 비교영상의 DSM 고도를 비교하여 해당 영역의 부피 증감, 가감을 계산한다. The volume change display unit 140 can display a volume change with respect to a desired region input by the user. For example, by comparing the DSM altitude of the reference image included in the desired region input by the user with the DSM altitude of the comparison image, the volume increase / decrease of the corresponding region is calcula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2017년 3월 20일에 촬영된 기준영상의 특징점 A와 특징점 A에 대응하는 2017년 3월 30일에 촬영된 비교영상 내의 특징점 A'이 각각 x, y 좌표는 동일하므로, 부피량변화표시부(140)에서는 A와 A'의 고도차이값을 계산한다. 일 예로, A의 고도값 Z1이 21.43m이고, A'의 고도값 Z1'이 30.43m 인 경우 고도값의 차이 △Z=Z1'-Z1=7m 가 된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ature point A of the reference image photographed on March 20, 2017 and the feature point A 'in the comparison image photographed on March 30, 2017,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point A, The volume change display unit 140 calculates the altitude difference value between A and A '. For example, when altitude Z1 of A is 21.43m and altitude Z1 'of A' is 30.43m, the altitude difference Z is Z = Z1'-Z1 = 7m.

부피량변화표시부(140)는 부피량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는 영역의 표면적 내의 모든 좌표에서 위와 값이 고도값 차이를 구한 후 적분하여 부피량의 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The volume change display unit 140 can detect a change in the volume by integr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ltitude and the altitude at all coordinates within the surface area of the area where the volume change is to be detected.

부피량변화표시부(140)는 부피량이 증가된 경우와 감소된 경우를 각각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증가량, 감소량에 따라 색상, 음영을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한 원하는 영역 위에 계산된 부피량을 수치로 표시할 수 있다. The volume change display unit 140 may display the increased or decreased volume amounts in different color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lor and shade can be display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increase and decrease. In addition, the calculated volume amount on the desired area input by the user can be displayed numerically.

변경사항표시부(130)에서 변화가 표시된 영역 중 일부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한 일부 영역 내에 사용자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기준선을 입력한 경우, 부피량변화표시부(140)에서는 상기 설정한 일부 영역 내에서 기준선(도 6, 610)을 초과하는 부분과 기준선에 미달하는 부분을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change display unit 130 sets some of the areas where the change is displayed and the user inputs the reference line using the interface in the set area, the volume change display unit 140 displays the change amount A portion exceeding the reference line (FIGS. 6 and 610) and a portion that is less than the reference line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건설 현장 등에서 상기 기준선을 이용하여 기준선을 초과하는 부분에서는 토공량을 줄이고, 기준선에 못미치는 부분에서는 토공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기준선과 영상에 표시된 DSM 또는 등고선의 고도 까지의 부피량을 파악하여, 어느 정도 부피량을 제거(cut)하고 추가(fill)해야 하는지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excavated soil can be reduced at a portion exceeding the baseline using the baseline at a construction site or the like, and the amount of excavated soil can be increased at a portion less than the baselin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visually grasp how much the volume is to be cut and added by grasping the volume to the altitude of the DSM or contour line displayed on the reference line and the image.

사용자가 직선형태(610)의 기준선을 입력한 경우, 기준선을 초과하는 영역(620)과 기준선에 도달하지 못하는 영역(630)이 각각 구별되어 표시되고, 또한 기준선을 초과하는 영역의 부피정보(621)와 기준선에 도달하지 못하는 영역의 부피정보(631)가 함께 또는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s the reference line of the straight line shape 610, the region 620 exceeding the reference line and the region 630 not reaching the reference line are displayed separately and the volume information 621 And the volume information 631 of the area not reaching the baseline can be displayed together or separate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부피량변화표시부(140)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원하는 영역에 대해 기준영상과 비교영상의 부피량 변화를 계산한다. 이를 위해 기준영상의 표면적을 기준으로 기준영상과 비교영상 간의 DSM 고도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고도차이를 적분하여 부피를 계산한다. 주의할 것은,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할 뿐 다양한 변형을 통해 부피량 변화를 계산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ume change display unit 140 calculates a volume change of a reference image and a comparison image with respect to a desired region input by a user through an interface. For this, the DSM altitude difference betwee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is calculated based on the surface area of the reference image, and the volume is calculated by integrating the calculated altitude difference.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e volume change can be calculated through various modifications.

1.A라는 파일럿이 수행한 미션 ( 정지 영상촬영(파노라마), 동영상 촬영) 을 flight log에서 추출또는 이미 사전에 만든 경로를 반복 할 수 있는 UI 가 존재한다1. There is a UI that can extract the missions (still image (panorama), movie shooting) performed by the pilot named A from the flight log or it can repeat the path already made in advance

2.Flight log에서 추출하는 경우 드론이 날았던 GPS경로중 일부를 추출하여 드론이 인식할 수 있는 waypoint(경로점) 의 형태로 변경하며 동일한 미션을 반복하게 할 수 있다. 이때 드론의 heading을 compass의 정보에 따라 얻으며 gimbal의 각도와 카메라 setting 정보를 활용하여 각 waypoint별로 촬영을 하 수 있게 한다. 사이 값들을 입력할 수 있는 드론의 경우 각 waypoint 사이의 값들을 interpolation 하여 데이터를 얻는다. 2. When extracting from the light log, you can extract some of the GPS paths that the drone flew and change them to the waypoints that the drone can recognize and repeat the same mission. At this time, the heading of the dron is obtained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f the compass, and the gimbal angle and the camera setting information can be used for each waypoint. In the case of a drone that can input values between two points, interpolated data between each waypoint is obtained.

3.사전에 경로를 만들어 미션을 실행하는 경우 미션을 제3자에게 공유할 수 있는 UI를 통하여 날려서 얻은 정지영상 또는 영상과 함께 공유가 가능하다.3. If you create a route in advance and execute the mission, you can share the mission with the still image or video that you have obtained through the UI that can be shared with third parties.

4.slam이라는 기술활용-카메라에서 얻어지는 정보를 실시간 메핑하여 본인의 위치값을 알아 내고 제어하는 기술을 SLAM 이라고 한다. 이 기술의 경우 실내 또는 GPS가 작동하지 않는 지역에 대해서 드론을 동일한 위치로 보낼 수 있고 촬영을 하는것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2번의 경우 얻을 수 없었던 GPS위치를 실내측위기술/ 영상기반의 SLAM 기술을 활용하여 동일한 촬영을 할 수 있게 된다. 4. Using a technology called SLAM - SLAM is a technique to find out and control the position value of a person by real-time mapping information obtained from a camera. This technique can be used to send drones to the same location and to shoot for indoor or non-GPS area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apture the same GPS position using the SLAM technology based on the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 image, which can not be obtained in the second case.

5.얻어진 조감도 (촬영사진)을 기반으로 드론의 온보드 컴퓨터에서 드론이 실시간으로 보는 카메라의 영상과 비교를 통하여 드론의 위치, 카메라의 gimbal 각도를 조정하여 동일한 위치에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5. Based on the obtained bird's-eye view (photograph),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dron at the same posi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dron and the gimbal angle of the camera through comparison with the image of the camera seen by the dron in real time on the dronon's onboard computer.

본 방법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드론 조종사와 드론 업무를 매칭하는 방법에 있어서,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수요자의 단말로부터 업무에 필요한 드론의 개수, 원하는 드론의 성능, 드론 업무의 보수, 드론 업무 개시 시간 및 종료시간을 포함하는 드론 업무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신청을 접수함에 따라,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가 상기 수요자의 단말에게 지도상에서 드론 업무 진행을 원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수요자의 단말에 의하여 지정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지정된 영역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드론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가 상기 드론 업무 신청 및 드론 업무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시간, 드론 업무를 수행하는 데 소요되는 수수료, 상기 수요자가 신청한 드론 업무 신청과 유사한 업무를 수행한 경험 정보 및 상기 드론 업무 진행을 원하는 영역에서의 업무를 수행한 경험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드론 업무와 드론 조종사 간의 업무 매칭률을 결정하는 단계―상기 업무 매칭률은, 드론 조종사의 업무 능력이 상기 드론 업무 신청에 포함된 기준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여부를 수치로 결정한 것인―;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가 상기 업무 매칭률이 높은 순서대로, 상기 드론 조종사의 단말에게 상기 드론 업무의 수락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는 상기 드론 업무에 소요되는 시간, 드론 업무가 수행되는 장소, 측정된 수수료, 드론 업무의 고유 특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드론 업무의 난이도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난이도에 기초하여 산정된 착수금을 상기 드론 업무를 수락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의 계좌로 입금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드론 업무를 수락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로부터, 각각이 선택한 비행경로 상에서 드론 업무를 수행한 드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 각각으로부터 수집한 상기 드론 데이터를 취합하여, 상기 드론 업무에 대한 통합 드론 데이터를 제작하는 단계;및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수요자의 단말로 상기 통합 드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방법.
In the method of matching the drone pilot and dron job,
Receiving a drones application request including a number of drones necessary for a business, a performance of a desired dron, repair of a dron job, a dron job start time, and an end time from a user terminal in a dron job matching apparatus;
Providing an interface for designating an area for the drones to proceed on the map to the customer terminal by accepting the drones service application;
Receiving information on an area designated by the customer's terminal through the interface and setting at least one dron flight path within the designated area;
The dron job matching apparatus performs the dron job service, the dron job service, and the dron job service. The dron job matching apparatus performs the dron job service, the dron job service, and the dron job application Determining a business matching rate between the drones and the drone pilots in consideration of the experience information and the experience information of the drones in the area where the drones are desired to be performed, A numerical determination of how well they meet the criteria included in the drones application;
Transmitting the message requesting acceptance of the drones service to the terminal of the drone pilot in the order of the highest matching rate;
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sets the difficulty level of the drones based on at least one of a time required for the drones work, a place where the drones work is performed, a measured fee, and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dron job, Depositing the calculated deposit to an account of at least one drone pilot who has accepted the drones service;
Providing an interface for selecting at least one flight path to at least one drone pilot who has accepted the droning service at the drones matching device;
Receiving drone data from the at least one drone pilot performing the drone operation on the selected flight path in the drone task matching apparatus;
Collecting the drone data collected from each of the at least one drone pilot in the drone task matching apparatus to produce integrated drone data for the drone task;
And transmitting the integrated drone data from the drones matching device to the customer's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통합 드론 데이터를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각각의 비행경로 별로 상기 적어도 한 명의 드론 조종사로부터 수집한 드론 데이터의 영상이 상기 수요자에게 제공하기 적합한 기준을 만족하는 드론 데이터를 제 1 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제 1 데이터 중 상기 수요자가 요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드론 데이터를 제 2 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제 2 데이터를 공급한 드론 조종사의 단말에 매칭된 계좌로 드론 업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fabricating the integrated drone data in 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comprises:
Determining, as the first data, the drone data satisfying a criterion suitable for providing the user with the image of the drone data collected from the at least one drone pilot in each flight path in the drone task matching apparatus;
Determining, by 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second data among the first data, the first data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the user; And
And providing compensation for the drones service to the account matched to the terminal of the drones pilot supplying the second data at the drones match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드론 업무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수요자의 단말로, 상기 수요자의 프로파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수요자의 단말로, 상기 수요자가 요청한 드론 업무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 2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획득한 수요자의 프로파일 정보로부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제 1 키워드 및 드론 업무에 대한 프로젝트 정보로부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제 2 키워드에 기초하여, 필요한 드론의 적정 개수, 드론 업무에 상응하는 보수, 상기 드론 업무의 소요 시간을 포함하는 드론 요청 정보 및 상기 수요자의 업무 요청 동의 여부를 획득하기 위한 제 3 사용자 인테페이스를 상기 수요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및
상기 수요자의 업무 요청 동의를 획득함에 따라, 상기 수요자의 계좌에서 상기 드론 업무에 상응하는 보수 중 적어도 일부 금액을 착수금으로서 수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receiving the drones service application in the drones matching device comprises:
Providing a first user interface to the terminal of the consumer to obtain profile information of the consumer;
Providing a second user interface for acquiring project information on the drones task requested by the user to the user terminal;
Based on one or more first keywords determined from the acquired profile information of the consumer and one or more second keywords determined from the project information on the dron job, the appropriate number of required drones, the fee corresponding to the dron job,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a third user interface for obtaining the dro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time and the agreement of the user with the business request;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alary corresponding to the droning service from the customer's account as a deposit, upon obtaining the business request consent of the custom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수요자의 단말로 지도상에서 드론 업무 진행을 원하는 영역을 지정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지도 내에서 소정의 영역을 소정의 범위 이상으로 확대하는 수요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영역 내 송전탑, 전선, 고층건물 및 시설물, 전선, 장애물, 주택밀집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드론이 이륙가능한 지역들을 나타내는 드론 이륙리스트를 생성하고, 상기 지도 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providing an interface for designating an area of the consumer to the drones in the map is performed by the drones matching device,
At least one of a transmission tower, a wire, a high-rise building and a facility, a wire, an obstacle, and a housing density in a predetermined area based on an input of a user who enlarges a predetermined area in the map by the drones matching apparatus Taking the above into consideration, and creating and displaying in the map a dron take-off list indicating drones capable of taking of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드론 업무를 수락한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의 단말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드론 조종사가 보유한 드론의 성능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드론별 운용고도, 드론별 비행성능, 드론별 배터리 소모량, 드론별 통신가시거리, 돌발 상황시 추락에 따른 안전장치 활성화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행경로에 알맞은 드론을 매칭하는 단계;및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매칭된 드론을 상기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providing the interface for selecting the at least one flight path to the terminal of at least one drone pilot who has accepted the drones task in the drones matching device,
Determining a performance of the drones held by the at least one drone pilot in the drones matching device;
The at least one flight path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t least one of operating conditions of the drones by the drones, flight performance per drone, battery consumption per drone, communication visibility per drone, Matching the suitable drones with the drones;
And controlling the matched drones to be displayed on the interface in the drones match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수요자가 지정한 영역을 n(n은 자연수)개의 Zone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Zone 별로 설정된 상기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확인한 후, 상기 n 개의 Zone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인터페이스를 상기 드론 조종사의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드론 조종사의 단말로부터, 상기 드론 조종사의 단말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Zone을 촬영한 드론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드론 조종사의 단말 각각으로부터 수신한 드론 데이터가 상기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확인한 후, 부합한 드론 데이터를 제공한 드론 조종사에게 상기 드론 업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수요자의 요구사항에 부합하는 드론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드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통합 드론 데이터를 상기 수요자의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수요자의 단말에 결제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 interface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n zones after dividing the zone designated by the customer into n zones (n is a natural number) in the drones matching device and confirming the requirements of the customer set for each zone, Providing to the terminal of the drone pilot;
Receiving drone data from at least one terminal of the drone pilot, the drone pilot photographing at least one zone selected from the terminal of the drone pilot;
Providing compensation for the drones to the drone pilot who has provided the corresponding dronon data after confirming that the dronon data received from each of the terminals of the drone pilot matches the requirements of the consumer at the drones matching device;
Generating integrated drone data using the drone data that meets the requirements of the consumer at the drones matching device;
Providing the integrated dronon data to the terminal of the consumer at the drones matching device, and requesting the terminal of the consumer to make a paymen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 조종사로부터 드론 조종사가 보유한 드론의 비행가능시간, 드론의 비행가능거리, 드론에서 이용하는 영상촬영장치의 화각, 화소, 고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받고,
상기 드론 업무 매칭 장치에서 상기 드론 조종사의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기초로 상기 수요자의 요구사항을 부합시킬 수 있는 Zone을 선택적으로 활성화하여 상기 드론 조종사의 단말에게 제공하며,
상기 드론 조종사의 단말은 상기 선택적으로 활성화된 Zone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t least one drone pilot receives at least one of the possible flight time of the drone, the flightable distance of the drone, the angle of view of the image photographing device used in the drone, the pixel, and the altitude held by the drone pilot from the at least one drone pilot,
The dron job matching apparatus selectively activates a zone that can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user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erminal of the drone pilot and provides the zone to the terminal of the drone pilot,
Wherein the terminal of the drone pilot selects at least one of the selectively activated Zones.
삭제delete
KR1020180057651A 2018-05-21 2018-05-21 Method and device for matching a drone pilot and a job with drones Ceased KR1019464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651A KR101946416B1 (en) 2018-05-21 2018-05-21 Method and device for matching a drone pilot and a job with dro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651A KR101946416B1 (en) 2018-05-21 2018-05-21 Method and device for matching a drone pilot and a job with dro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416B1 true KR101946416B1 (en) 2019-02-12

Family

ID=65369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651A Ceased KR101946416B1 (en) 2018-05-21 2018-05-21 Method and device for matching a drone pilot and a job with dro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416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950B1 (en) * 2019-06-24 2019-11-26 이종범 System for advertizing and matching a drone pilot
KR102151220B1 (en) 2019-09-03 2020-09-03 주식회사 지에스지 Intermediary system for professionals and consumers of drone utilization business
KR20200124899A (en)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어플라이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facility
WO2020242054A1 (en) * 2019-05-24 2020-12-03 주식회사 라젠 Unmanned aerial vehicle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21028755A (en) * 2019-08-09 2021-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System and matching method
KR102388014B1 (en) * 2021-08-23 2022-04-25 주식회사 더대시 Server providing application related to land control using dro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4761897A (en) * 2020-11-09 2022-07-1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applied to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ntrol terminal
WO2023168185A1 (en) * 2022-03-03 2023-09-07 Skygrid, Llc Automated preflight evalu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nfigur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3372A1 (en) * 2005-01-24 2008-10-02 William Kress Bodin Navigating uavs in formation
US20160274578A1 (en) * 2015-03-22 2016-09-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manned aerial vehicle piloting authorization
KR101800680B1 (en) 2016-01-06 2017-11-23 사단법인 한국드론협회 Drone system that provides versatilit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43372A1 (en) * 2005-01-24 2008-10-02 William Kress Bodin Navigating uavs in formation
US20160274578A1 (en) * 2015-03-22 2016-09-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nmanned aerial vehicle piloting authorization
KR101800680B1 (en) 2016-01-06 2017-11-23 사단법인 한국드론협회 Drone system that provides versatility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4899A (en)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어플라이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facility
KR102181809B1 (en) * 2019-04-25 2020-11-24 주식회사 어플라이 Apparatus and method for checking facility
WO2020242054A1 (en) * 2019-05-24 2020-12-03 주식회사 라젠 Unmanned aerial vehicle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
KR102048950B1 (en) * 2019-06-24 2019-11-26 이종범 System for advertizing and matching a drone pilot
JP2021028755A (en) * 2019-08-09 2021-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System and matching method
JP7289755B2 (en) 2019-08-09 2023-06-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System and matching method
KR102151220B1 (en) 2019-09-03 2020-09-03 주식회사 지에스지 Intermediary system for professionals and consumers of drone utilization business
CN114761897A (en) * 2020-11-09 2022-07-15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applied to unmanned aerial vehicle and control terminal
KR102388014B1 (en) * 2021-08-23 2022-04-25 주식회사 더대시 Server providing application related to land control using dron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3168185A1 (en) * 2022-03-03 2023-09-07 Skygrid, Llc Automated preflight evaluation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configur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416B1 (en) Method and device for matching a drone pilot and a job with drones
US11835561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electromagnetic avoidance and utilization system
CN111512256B (en) Automated and adaptive three-dimensional robotic site survey
US11378718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nd methods
EP1205879B1 (en) Variation detection in ground objects between a line drawing and a picked up image
US1051541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hosting missions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CN109425337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ugmented reality processed terrain and obstacle threat reconnaissance service
US9280576B2 (en) Managing large datasets obtained through a survey-data-acquisition process
CN107870962B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managing local space objects
JP7084571B2 (en) A method and device for matching consumers and suppliers and providing drone data
CN110196454B (en) Geological survey integrated system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US2020009700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Testing of Autonomous Vehicles
CN107272742A (en) A kind of navigation control method of unmanned aerial vehicle group work compound
CN105973236A (en) Indoor positioning or navigation method and device, and map database generation method
US20050090978A1 (en) Control an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JP7079125B2 (en) Aerial photography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JP7501878B2 (en) Drone operation support system and drone operation support method
KR101863101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anti-collision method by sharing routes and flight scheduling via Ground Control Station software
US20210264666A1 (en) Method for obtaining photogrammetric data using a layered approach
CA3069784A1 (en) Database of drone flight plans for aircraft inspection using relative mapping
JP7097207B2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learning device, position determination device, and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KR20180127568A (en) Method and apparatus of generating 3-dimension route applied geographic information
KR20190063057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rone data by connecting customer and provider
KR102058626B1 (en) Method and Device for visualizing the change in topography
KR20190063063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rone data by connecting customer and prov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7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806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81017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80813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0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2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11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10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8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2102 Extinguishment

Termination category: Others

Termination date: 2019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