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403B1 - Water supply device for sink easy to supply detergent - Google Patents
Water supply device for sink easy to supply deterg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5403B1 KR101945403B1 KR1020170085644A KR20170085644A KR101945403B1 KR 101945403 B1 KR101945403 B1 KR 101945403B1 KR 1020170085644 A KR1020170085644 A KR 1020170085644A KR 20170085644 A KR20170085644 A KR 20170085644A KR 101945403 B1 KR101945403 B1 KR 1019454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tergent
- pressure
- head
- main body
- storage hou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6—Adding soap, disinfectant, or the like in the supply line or at the water outlet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2—Mechanical devices not being part of the tap, e.g. foot 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으로부터 매설되는 급수관과 연결되고, 상기 급수관에서 제공되는 상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공급라인과 조절밸브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라인과 일부 연결되는 복수의 분출구 및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헤드; 상기 헤드의 수용공간에 세제 보관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분출구의 나머지 일부와 연결되고, 가압작용에 의해 상기 보관된 세제가 상기 분출구로 분출되도록 하는 세제공급유닛; 상기 본체의 하방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유닛;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세제공급유닛과 상기 압력감지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감지유닛에서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세제공급유닛에 가압작용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본체의 하방에 위치한 압력감지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압력이 감지되면 컨트롤러와 세제공급유닛을 통해 헤드에서 세제가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외관상으로도 깔끔하면서 편리한 사용을 달성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main body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buried from a wall surface and having a supply line and a regulating valve for flowing a constan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A head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outlets and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partially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A detergent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head so as to be able to store detergent, connected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ejection port, for ejecting the stored detergent into the ejection port by a pressing action; A pressure sensing unit positioned below the main body and sensing a pressure externally applied; And a controll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unit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detergent supply unit to generate a pressing action when a pressure is detected in the pressure sensing unit.
Detecting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by using the pressure sensing unit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when the pressure is sensed, the detergent is automatically supplied from the head through the controller and the detergent supply unit, thereby achieving a clean and convenient use .
Description
본 발명은 싱크대 측에 위치한 발판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압력이 감지되면 수전헤드에서 세제가 공급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외관상으로도 깔끔하면서 사용이 편리한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pressure applied by a user by using a foot plate located on the side of a sink, and when the pressure is sensed, the detergent is supplied from the water receiving head. In this way, a clean, easy- To a water receiv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가정의 주방에 설치되는 싱크대("개수대"라고도 함)는 사용자가 기립자세로 설거지를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싱크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수전이 포함된다.In general, a sink (also called a " sink ") installed in a kitchen of a home includes a faucet vertically installed and used in a sink so that a user can easily wash dishes in a standing posture.
이러한 수전은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싱크대의 적정높이에서 좌측이나 우측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온, 냉수의 적절한 조정이 쉽도록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다.Most of these faucets are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to the left or right from the appropriate height of the countertop for ease of use, and are configured so that appropriate adjustment of hot and cold water is easy.
또한, 수돗물(상수)이 분사 공급되는 부분인 헤드는 개별적인 사용에 편리하도록 샤워기와 같이 홀더에 탈착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which is the portion to which tap water (constant water) is injected,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lder such as a shower for convenient use.
한편, 통상 설거지를 할 때 필요로 하는 세제는 싱크대 상에 거치시켜 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편리성을 위해 싱크대의 상부에 별도로 부착하거나, 싱크대의 수전으로부터 별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사용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in most cases, the detergent required when washing dishes is usually put on a sink, but it may be attached separately to the upper part of the sink for convenience, or may be used separately from the sink of the sink .
그러나, 상기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구조에서는 세제가 공급되는 부분이 사용자가 설거지를 실시하게 되는 직접적인 위치, 즉 헤드위치와 설정된 거리 이격되어 있고, 수동으로 펌핑을 실시해야하기 때문에, 세제를 사용하고자 할 때마다 매우 번거롭고 힘이 든다는 불편함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conventionally us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rtion to which the detergent is supplied is separated from the direct position where the user performs the washing operation, that is,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ead position and pumping must be performed manually, Whenever I wanted to use it, I was inconvenienced that it was very cumbersome and difficult.
또한, 헤드와의 일체형 구조가 아니라, 별도의 외관공간을 차지하는 구조이므로, 구조적인 측면에서 부피를 상당히 차지하면서도 이에 따라, 외관미가 깔끔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ccupies a separate exterior space rather than an integral structure with the head, it takes a considerable volume in terms of structure,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ppearance is not clea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싱크대 측에 위치한 발판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압력이 감지되면 수전헤드에서 세제가 공급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외관상으로도 깔끔하면서 사용이 편리한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pressure applied by a user using a foot plate disposed on a sink sid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untertop receiver for a countertop which is easy to clean and which is easy to use and which is easy to supply detergent.
또한, 세제공급 시에 상수의 공급을 차단하여 세제만 공급되도록 한 구성을 통해 세제공급기능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 의도에 따라 세제가 공급되는 양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구성을 통해 세제절약이 가능하게 되어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detergent supply function through the configuration in which only the detergent is supplied by intercepting the supply of the constant agent at the time of supplying the detergent, and the amount of the detergent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untertop sink capable of economically and efficiently supplying detergent.
또한, 세제를 보관하는 구성이 개방되도록 한 구조를 통해 재사용을 위한 세제보충은 물론, 자유로운 세척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경제적이고 위생적인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receiving apparatus for a sink capable of freely washing and enabling a more economical and hygienic detergent supply as well as a detergent replenisher for reuse through a structure for opening the structure for storing the detergent do.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는, 벽면으로부터 매설되는 급수관과 연결되고, 상기 급수관에서 제공되는 상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공급라인과 조절밸브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라인과 일부 연결되는 복수의 분출구 및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헤드; 상기 헤드의 수용공간에 세제 보관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분출구의 나머지 일부와 연결되고, 가압작용에 의해 상기 보관된 세제가 상기 분출구로 분출되도록 하는 세제공급유닛; 상기 본체의 하방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유닛;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세제공급유닛과 상기 압력감지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감지유닛에서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세제공급유닛에 가압작용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receiving apparatus for a sink, comprising: a main body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buried from a wall surface and having a supply line and a control valve for flowing a constan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A head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outlets and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partially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A detergent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head so as to be able to store detergent, connected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ejection port, for ejecting the stored detergent into the ejection port by a pressing action; A pressure sensing unit positioned below the main body and sensing a pressure externally applied; And a controller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unit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detergent supply unit to generate a pressing action when pressure is sensed in the pressure sensing unit.
또한, 상기 세제공급유닛은, 상기 헤드 내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일측이 상기 분출구의 나머지 일부와 연결되고, 액상의 세제가 보관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 보관 하우징; 상기 보관 하우징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보관 하우징 내로 유체가 공급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유체이동 관; 및 상기 유체이동 관과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펌프작용하면서 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유체이동 관을 통해 상기 보관 하우징 내로 유체를 공급시키는 압력구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gent supply unit may include a storage housing provided in the head accommodating space,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part of the ejection orifice and in which a hollow for storing liquid detergent is formed; A fluid transfer tu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housing to provide a passage for supplying fluid into the storage housing; And pressure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fluid moving tube and the controller and generating pressure while the pump is oper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o supply the fluid into the storage housing through the fluid moving tube.
또한, 상기 세제공급유닛은, 상기 헤드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구동수단과 연결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압력구동수단의 펌프작용세기를 조절하는 압력조절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gent supply unit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adjusting switch provided outside the head and connected to the pressure driving means and adjusting a pump operation intensity of the pressure driving means according to a user input.
또한, 상기 헤드는, 어느 일면에 개구된 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보관 하우징이 외부에 대해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보관 하우징은, 상기 노출된 부분의 일면이 개폐가능하게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may be formed with openings on any one surface thereof so that the storage housing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storage housing may be made such that one side of the exposed portion is openable and closable.
또한, 상기 공급라인의 어느 일부분에 상기 공급라인 통로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조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감지유닛에서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보조밸브가 상기 공급라인 통로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supply line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valve provided at a part of the supply line so as to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line. The controller may be connected to the auxiliary valve so that when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And a valve closes the supply line passage.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는, 본체의 하방에 위치한 압력감지유닛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압력이 감지되면 컨트롤러와 세제공급유닛을 통해 헤드에서 세제가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외관상으로도 깔끔하면서 편리한 사용을 달성할 수 있다.The sink receiving power recepta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ct the pressure applied by the user by using the pressure sensing unit located below the main body. When the pressure is sensed, the detergent is sent from the head through the controller and the detergent supply unit So that it is possible to achieve a clean and convenient use even in appearance.
또한, 세제공급 시에 상수의 공급을 차단하여 세제만 공급되도록 한 보조밸브를 통해 세제공급기능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 의도에 따라 세제가 공급되는 양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압력조절 스위치를 통해 세제절약이 가능하게 되어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detergent supply function can be improved through the auxiliary valve which is supplied only with the detergent by intercepting the supply of the water at the time of supplying the detergent, and a pressure regulating switch for freel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detergent suppli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It is possible to save the detergent through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헤드에 개구된 부분을 형성하고, 세제를 보관하는 보관 하우징의 일면을 개폐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재사용을 위한 세제보충은 물론, 자유로운 세척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경제적이고 위생적인 효과가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opening portion in the head and configuring the one side of the storage housing for storing the detergent to be openable and closable, it is possible to freely wash, as well as to supplement the detergent for reuse, thereby providing more economical and hygienic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상기 수전장치의 헤드에서 분출구와 내부 수용공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상기 수전장치가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sink receiving apparatus easy to supply deter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air outlet and an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in the head of the water receiving apparatus;
3 is a use exampl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receiving apparatus is used.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수전장치의 헤드에서 분출구와 내부 수용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상기 수전장치가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sink receiving apparatus for easily supplying deterg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air inlet and an internal receiving space in the head of the receiving apparatus, Fig. 8 is a use example showing a device used.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100)는 본체(110), 헤드(120), 세제공급유닛(130), 압력감지유닛(140), 컨트롤러(150) 및 보조밸브(16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1 to 3, the sink receiving
상기 본체(110)는 후술될 모든 부품을 고정하고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골격으로서, 벽면으로부터 매설되는 급수관(10)과 연결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수관(10)에서 제공되는 상수를 유동시키기 위한 공급라인(111)과 조절밸브(112)가 구비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공급라인(111)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면서 연장되어 상기 급수관(10)과 후술될 헤드(120)를 연결시키는 배관 라인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온수라인과 냉수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조절밸브(112)는 본체(110)에 좌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급라인(111)과 연결되고, 상기 회동에 따라 상기 공급라인(111)의 온수라인 및 냉수라인 통로에 대해 개폐량을 변화시켜 상기 헤드(120)를 통해 외부로 분출될 상수의 공급량과 온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이러한 상기 공급라인(111) 및 조절밸브(112)를 구비한 상기 본체(110)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게재된 공지의 기술이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structure of the
상기 헤드(120)는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수와 세제(D)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10) 상부 측에서 연직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해 구성된 홀더(부호 미표시)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일측에 상수와 세제(D)가 외부로 분출되기 위한 설정된 크기의 분출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상기 분출구(121)는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공급라인(111)과 연결되어 상수가 분출되는 상수분출구(121a) 및 후술될 세제공급유닛(130)과 연결되어 세제(D)가 분출되는 세제분출구(121b)로 구분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상기 헤드(120) 및 상수분출구(121a)의 형태는 일반적인 공지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세제분출구(121b)의 형태 또한, 본 발명에서 도시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The shape of the
한편, 상기 헤드(12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세제공급유닛(130)의 설치를 위한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n internal space for installing the
상기 세제공급유닛(130)은 전술한 헤드(120)의 수용공간에 세제(D) 보관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세제분출구(121b)와 연결되고, 가압작용에 의해 상기 보관된 세제(D)가 상기 세제분출구(121b)로 분출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보관 하우징(131), 유체이동 관(132), 압력구동수단(133) 및 압력조절 스위치(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보관 하우징(131)은 세제(D)를 저장 및 보관하는 저장소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헤드(120) 내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일측이 상기 세제분출구(121b)와 연결될 수 있고, 액상의 세제(D)가 보관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앞서 기술한 상기 헤드(120)는 보관 하우징(131)의 세척 및 세제(D) 재충전을 위해 어느 일면에 개구된 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보관 하우징(131)이 외부에 대해 노출되도록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고, 나아가, 상기 보관 하우징(131)은 노출된 부분의 일면이 개폐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헤드(120)는 개구된 부분이 경우에 따라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힌지결합구조의 제1 덮개(122)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보관 하우징(131)은 노출된 부분의 일면이 개폐가능하도록 슬라이드 개폐구조의 제2 덮개(131a)를 더 구비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유체이동 관(132)은 보관 하우징(131) 내로 유체가 공급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관으로서, 상기 보관 하우징(131)의 타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압력구동수단(133)은 보관 하우징(131) 내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구동하는 것으로, 상기 유체이동 관(132)과 후술될 컨트롤러(15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150)의 제어에 의해 펌프작용하면서 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유체이동 관(132)을 통해 상기 보관 하우징(131) 내로 유체를 공급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ressure drive means 133 is driven to apply pressure to the
이러한 상기 압력구동수단(133)은 압력펌프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압력을 발생시켜 유체(기체)를 공급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공지의 압력발생수단이 취급될 수 있다.The pressure driving means 133 is preferably a pressure pump,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known pressure generating means may be used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supply a fluid (gas) .
상기 압력조절 스위치(134)는 세제(D)가 외부로 분출되는 양을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버튼)로서, 상기 헤드(120)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구동수단(133)과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압력구동수단(133)의 펌프작용세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압력감지유닛(140)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인식하여 상기 컨트롤러(150)의 제어를 위한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본체의 하방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발과 접촉하는 가압패드(141)와, 상기 가압패드(141)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에 따라 감지되는 압력을 상기 컨트롤러(150)에 전기적 신호로 전송하는 압력센서(1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컨트롤러(150)는 압력감지유닛(140)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세제공급유닛(130)에 가압작용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로서, 상기 본체(110)에 설치되어 상기 세제공급유닛(130)의 압력구동수단(133)과 상기 압력감지유닛(14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압력감지유닛(140)에서 압력이 감지될 경우, 상기 압력구동수단(133)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상기 보조밸브(160)는 세제(D)가 공급될 시에, 상기 세제(D)만이 공급되도록 상수 공급을 차단하는 밸브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공급라인(111)의 어느 일부분에 상기 공급라인(111) 통로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개폐동작이 컨트롤러(150)에 의한 전기적 신호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공지의 전자식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The
즉, 상기 컨트롤러(150)는 보조밸브(160)와도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압력감지유닛(140)에서 압력이 감지될 경우, 상기 보조밸브(160)가 공급라인(111) 통로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100)는, 본체(110)의 하방에 위치한 압력감지유닛(140)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고, 압력이 감지되면 컨트롤러(150)와 세제공급유닛(130)을 통해 헤드(120)에서 세제(D)가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여 외관상으로도 깔끔하면서 편리한 사용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sink receiving
또한, 세제공급 시에 상수의 공급을 차단하여 세제(D)만 공급되도록 한 보조밸브(160)를 통해 세제공급기능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 의도에 따라 세제(D)가 공급되는 양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압력조절 스위치(134)를 통해 세제절약이 가능하게 되어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효과가 있다.Further, the reliability of the detergent supply function can be improved through the
또한, 헤드(120)에 개구된 부분을 형성하고, 세제(D)를 보관하는 보관 하우징(131)의 일면을 개폐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재사용을 위한 세제보충은 물론, 자유로운 세척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경제적이고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Further, by forming the opening portion i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D : 세제 10 : 급수관
100 : 수전장치 110 : 본체
111 : 공급라인 112 : 조절밸브
120 : 헤드 121 : 분출구
121a : 상수분출구 121b : 세제분출구
122 : 제1 덮개 130 : 세제공급유닛
131 : 보관 하우징 131a : 제2 덮개
132 : 유체이동 관 133 : 압력구동수단
134 : 압력조절 스위치 140 : 압력감지유닛
141 : 가압패드 142 : 압력센서
150 : 컨트롤러 160 : 보조밸브D: Detergent 10: Water supply pipe
100: water receiving apparatus 110:
111: supply line 112: regulating valve
120: head 121: outlet
121a:
122: first lid 130: detergent supply unit
131:
132: fluid moving tube 133: pressure drive means
134: Pressure regulating switch 140: Pressure regulating unit
141: pressure pad 142: pressure sensor
150: controller 160: auxiliary valve
Claims (5)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공급라인과 일부 연결되는 복수의 분출구 및 내부 수용공간이 마련된 헤드;
상기 헤드의 수용공간에 세제 보관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분출구의 나머지 일부와 연결되고, 가압작용에 의해 상기 보관된 세제가 상기 분출구로 분출되도록 하는 세제공급유닛;
상기 본체의 하방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유닛;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세제공급유닛과 상기 압력감지유닛에 연결되고, 상기 압력감지유닛에서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세제공급유닛에 가압작용이 발생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공급유닛은,
상기 헤드 내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일측이 상기 분출구의 나머지 일부와 연결되고, 액상의 세제가 보관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 보관 하우징;
상기 보관 하우징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보관 하우징 내로 유체가 공급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유체이동 관; 및
상기 유체이동 관과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펌프작용하면서 압력을 발생시켜 상기 유체이동 관을 통해 상기 보관 하우징 내로 유체를 공급시키는 압력구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어느 일면에 개구된 부분을 형성하여 상기 보관 하우징이 외부에 대해 노출되도록 하고,
상기 보관 하우징은,
상기 노출된 부분의 일면이 개폐가능하게 제작되되,
상기 헤드는 개구된 부분이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힌지결합구조의 제1 덮개를 구비하고,
상기 보관 하우징은 노출된 부분의 일면이 개폐가능하도록 슬라이드 개폐구조의 제2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
A main body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buried from a wall surface and having a supply line and a regulating valve for flow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pipe;
A head installed in the main body and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ir outlets and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partially connected to the supply line;
A detergent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head so as to be able to store detergent, connected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ejection port, for ejecting the stored detergent into the ejection port by a pressing action;
A pressure sensing unit positioned below the main body and sensing a pressure externally applied; And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the detergent supply unit and the pressure sensing unit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detergent supply unit to generate a pressing action when pressure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unit,
The detergent supply unit includes:
A storage housing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in the head,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air outlet, and in which a hollow for storing liquid detergent is formed;
A fluid transfer tu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torage housing to provide a passage for supplying fluid into the storage housing; And
And pressure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fluid moving tube and the controller and generating pressure while the pump is operating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o supply the fluid into the storage housing through the fluid moving tube,
The head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on any one surface so that the storage housing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rein the storage housing comprises:
Wherein one side of the exposed portion is made openable and closable,
The head having a first lid of a hinged connection structure such that the open portion is opened or closed,
Wherein the storage housing includes a second cover having a slide opening / closing structure so that one surface of the exposed portion can be opened and closed.
상기 세제공급유닛은,
상기 헤드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구동수단과 연결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압력구동수단의 펌프작용세기를 조절하는 압력조절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rgent supply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pressure adjusting switch provided outside the head and connected to the pressure driving means and adjusting a pump operation intensity of the pressure driving means according to a user input.
상기 공급라인의 어느 일부분에 상기 공급라인 통로를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보조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압력감지유닛에서 압력이 감지되면, 상기 보조밸브가 상기 공급라인 통로를 폐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uxiliary valve provided at a part of the supply line so as to b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supply line passage,
The controller comprising:
And the auxiliary valve is connected to the auxiliary valve and controls the auxiliary valve to close the supply line passage when pressure is sensed in the pressure sensing uni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5644A KR101945403B1 (en) | 2017-07-05 | 2017-07-05 | Water supply device for sink easy to supply deterg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85644A KR101945403B1 (en) | 2017-07-05 | 2017-07-05 | Water supply device for sink easy to supply detergen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5072A KR20190005072A (en) | 2019-01-15 |
KR101945403B1 true KR101945403B1 (en) | 2019-02-07 |
Family
ID=6503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5644A Active KR101945403B1 (en) | 2017-07-05 | 2017-07-05 | Water supply device for sink easy to supply deterg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540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6224A (en) * | 2020-08-25 | 2022-03-04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A detergent supply apparatus for a sink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85251A (en) * | 2006-01-11 | 2007-07-26 | Kawase Tetsuro | Sink stand |
JP2008154610A (en) | 2006-12-20 | 2008-07-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Bubble-detergent delivering device |
JP2009028283A (en) * | 2007-07-26 | 2009-02-12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Foam cleaning liquid dispenser for kitchen |
US20150101121A1 (en) | 2013-10-14 | 2015-04-16 | Gary A. Burgo Sr. | Faucet System Comprising a Liquid Soap Delivery Line |
-
2017
- 2017-07-05 KR KR1020170085644A patent/KR10194540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85251A (en) * | 2006-01-11 | 2007-07-26 | Kawase Tetsuro | Sink stand |
JP2008154610A (en) | 2006-12-20 | 2008-07-1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Bubble-detergent delivering device |
JP2009028283A (en) * | 2007-07-26 | 2009-02-12 |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 Foam cleaning liquid dispenser for kitchen |
US20150101121A1 (en) | 2013-10-14 | 2015-04-16 | Gary A. Burgo Sr. | Faucet System Comprising a Liquid Soap Delivery Lin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26224A (en) * | 2020-08-25 | 2022-03-04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A detergent supply apparatus for a sink |
KR102389243B1 (en) * | 2020-08-25 | 2022-04-21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A detergent supply apparatus for a sin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05072A (en) | 2019-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318886A1 (en) | Shower-cleaning system | |
EP1319360A1 (en) | Domestic dishwasher with a front loading door having a recessed panel and a detergent measurer/dispenser supported by the upper rack | |
WO2018121569A1 (en) | Automatic water supply system for refrigerator drink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 |
KR101501051B1 (en) | Smart Water Supply Apparatus of Bathtub | |
KR101945403B1 (en) | Water supply device for sink easy to supply detergent | |
KR20150117784A (en) | Apparatus for supplying liquid detergent | |
KR20160093971A (en) | Tumblr cleaning apparatus | |
JP2011024943A (en) | Automatic cleaning apparatus for bathtub | |
KR20130061430A (en) | Refrigerator with a water dispenser | |
KR101534112B1 (en) | Toilet using bubble and water | |
KR101144441B1 (en) | Shower apparatus of bathroom with water saving function | |
CN109137369B (en) | Wall-mounted ultrasonic cleaning device | |
KR200440850Y1 (en) | Massage device through water spray | |
CN204445307U (en) | An electric cooker with preset timing | |
JP7265698B2 (en) | sanitary washing equipment | |
KR20130005792U (en) | Shower device for washing body | |
JP4425394B2 (en) | Nozzle cleaning device for hot water cleaning device | |
KR100873959B1 (en) | Drinking fountain | |
KR200351198Y1 (en) | A bidet installed bubble generator with water line | |
KR101523885B1 (en) | A water discharging apparatus for shower | |
JP2009028283A (en) | Foam cleaning liquid dispenser for kitchen | |
JP2009060984A (en) | Bathtub | |
KR20210046154A (en) | Auto shower apparatus | |
JP3194621U (en) | Pet cleaning equipment | |
KR20170122544A (en) | Automatic hand washe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