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4265B1 -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265B1
KR101944265B1 KR1020170008960A KR20170008960A KR101944265B1 KR 101944265 B1 KR101944265 B1 KR 101944265B1 KR 1020170008960 A KR1020170008960 A KR 1020170008960A KR 20170008960 A KR20170008960 A KR 20170008960A KR 101944265 B1 KR101944265 B1 KR 101944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lock
smart phone
locking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443A (ko
Inventor
송영준
홍석환
김정호
김준형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석환
김정호
김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석환, 김정호, 김준형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2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85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2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52Other locks for chests, boxes, trunks, baskets, travelling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8Devices to prevent theft or loss of purses, luggage or hand carrie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 E05B2047/0095Mechanical aspects of locks controlled by telephone signals, e.g. by mobile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통해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캐리어에 접근할 때 캐리어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캐리어의 개폐를 위한 지퍼의 복수 개의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양측 슬라이더의 파지를 위한 풀탭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각 슬라이더의 풀탭이 삽입되도록 삽입 홈이 형성되고, 삽입 홈에 삽입된 풀탭의 가압에 의해 회동하여 풀탭을 고정시키되 하부에 잠금 홈이 형성된 잠금부재와 키의 회전 동작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하되, 일측에 복수 개의 잠금해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회동 공간을 제공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잠금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carrier security device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을 통해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캐리어에 접근할 때 캐리어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거리 여행시에는 내용물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강성을 가진 캐리어가 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 교통 인프라의 발달과 함께,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국내 및 국외로의 장거리 여행객이 증가하고있으며, 캐리어의 사용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반면, 캐리어의 크기 및 형태가 대부분 비슷하여 특히 공항과 같이 장거리 여행객에 다수 밀집되는 지역에서는 캐리어를 분실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비행기 탑승전에 수화물로 붙인 후 현지에 도착해서 수화물로 붙인 캐리어를 찾을 때, 유사한 캐리어들 사이에서 자신의 캐리어를 찾기가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퍼로만 구성된 캐리어는 보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비행기 탑승 시와 같이 캐리어를 별도의 수화물칸에 탑재시키는 경우나, 캐리어를 잠시 맡겨두어야하는 상황에서 다른 사람이 가방을 열어 볼 수 있는 보안상의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8325호 "가방용 지퍼 잠금장치"와 같이 지퍼를 잠그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아날로그 형태의 기계식 잠금방식으로써, 지퍼의 잠금 기능만을 제공할 뿐 캐리어의 위치 추적이나, 비밀번호 변경 등의 다른 기능이 전혀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잠금의 기능은 캐리어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됨에 따라, 다른 캐리어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잠금의 기능이 구비된 캐리어를 별도로 구매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8325호 "가방용 지퍼 잠금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을 통해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며, 비밀번호 등의 보안 설정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교체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캐리어에 접근할 때 캐리어의 위치를 쉽게 확인하기 위한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캐리어의 종류에 관계없이 탈부착형태로 사용하기 위한 캐리어 보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는 캐리어의 개폐를 위한 지퍼의 복수 개의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양측 슬라이더의 파지를 위한 풀탭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각 슬라이더의 풀탭이 삽입되도록 삽입 홈이 형성되고, 삽입 홈에 삽입된 풀탭의 가압에 의해 회동하여 풀탭을 고정시키되 하부에 잠금 홈이 형성된 잠금부재와 키의 회전 동작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하되, 일측에 복수 개의 잠금해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회동 공간을 제공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잠금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에 의하면, 스마트폰을 통해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며, 비밀번호 등의 보안 설정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캐리어에 접근할 때 캐리어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에 의하면, 캐리어의 종류에 관계없이 탈부착형태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제어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제어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순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제어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것이며,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확인 단계(S1)와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사용자 데이터의 캐리어 정보를 불러오거나, 새로운 캐리어 정보를 입력받은 후 해당 캐리어와 통신 연결하는 캐리어 확인 단계(S2)와 통신 연결된 캐리어의 잠금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보안 설정 단계(S3)와 캐리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캐리어의 잠금부를 동작시키는 보안 실행 단계(S4)와 사용자의 스마트폰을 통해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캐리어의 잠금부를 해제시키는 보안 해제 단계(S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안 실행 단계(S4)와 보안 해제 단계(S6) 사이에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할 경우, 진동 또는 소리를 통해 캐리어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위치 알림 단계(S5)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의 (2-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확인 단계(S1)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은 후 서버 또는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기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를 불러오게 된다.
이때, 상기 기 저장된 사용자 데이터에는 이전에 사용함으로써 기 설정된 캐리어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캐리어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기 설정된 캐리어의 정보를 불러오며, 새로운 캐리어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새로운 캐리어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기 설정된 캐리어 정보를 불러오거나, 새로운 캐리어 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캐리어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통신 연결이 되면 보안 설정 단계(S3)를 통해 캐리어의 잠금 비밀번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비밀번호 형태, 지문을 비롯하여 스마트폰에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안면, 홍채, 손등 등을 촬영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바탕으로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보안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후 사용자가 도 2의 (2-II)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의 "Lock ON/OFF" 버튼을 선택하면, 캐리어의 잠금부를 잠금시키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캐리어의 위치를 알고자 할 경우, 도 2의 (2-II)와 같이 "Search" 버튼을 통해 가방이 위치한 방향을 검색하거나, "GPS" 버튼을 통해 캐리어의 GPS 좌표를 바탕으로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안 해제 단계(S6)는 어플리케이션의 "Lock ON/OFF" 버튼을 선택하면, 상기 보안 설정 단계(S3)를 통해 설정된 보안설정과 동일한 형태로 보안설정을 입력받은 후 캐리어의 잠금부를 잠금해제시키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100)과 무선연결되는 통신부(1)와 통신부(1)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의 조작을 입력받아 잠금부(5)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 및 제어부(2)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캐리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GPS모듈(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캐리어의 일측 몸체(30)의 외측에 배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동하는 걸쇠부(41)와 캐리어의 타측 몸체(31)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걸쇠부(41)가 고정되는 고정부(42)와 상기 걸쇠부(41)와 고정부(42)로 구성되어 캐리어의 양측 몸체(30, 31)가 벌어지며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부(5)와 몸체(49)에 내장된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부(미도시)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 제어부, 배터리 등은 상기 몸체(49)에 배치되거나, 캐리어 내에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으며, 배치되는 위치에 특별한 제약이 없다.
또한, 상기 걸쇠부(41)에는 수용부(42)가 형성되어 모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걸쇠부(41)가 회동하면, 상기 고정부(42)가 수용부(42) 내에 배치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상기 캐리어의 양측 몸체(30, 31)가 벌어지며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캐리어의 개폐를 위한 지퍼(10)에 배치된 복수 개의 슬라이더(11)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49)와 상기 몸체(49)의 상부에 양측 슬라이더(11)의 파지를 위한 풀탭(12)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5)와 상기 몸체(49) 내에 배치되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부(미도시)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잠금부(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 제어부, 배터리 등은 상기 몸체(49) 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몸체(49)를 캐리어로부터 탈부착 시킴으로써 다른 캐리어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캐리어 내에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체(49)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지퍼 홈(57)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지퍼(10)가 상기 지퍼 홈(57)에 삽입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몸체(49)가 지퍼(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잠금부(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홀(55)이 형성되어 키홀(55)에 대응하는 키가 삽입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의 회전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잠금 플레이트(5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플레이트(53)의 하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하는 모터(56)가 배치되어 키의 회전 동작 이외에 상지 게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잠금 플레이트(53)는 일측에 복수 개의 잠금해제 홈(54)이 형성되어 X축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된 잠금부재(5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잠금부재(50)는 Y축 방향으로 삽입 홈(51)이 형성되어 양측에 배치된 각 슬라이더(11)의 풀탭(12)이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회동 가능한 상기 풀탭(12)을 고정부재(50)의 삽입 홈(51)에 삽입한 후 하향(-Z)으로 가압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0)는 50a와 같은 상태를 거쳐 50b와 같이 Z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풀탭(12)의 고정 홀(13)에 고정부재(50)가 일부 삽입되면서 풀탭(12)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50)의 회전을 통해 상기 풀탭(12)의 고정이 완료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56) 또는 키의 회전을 통해 상기 잠금 플레이트(53)를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잠금부재(50)의 잠금 홈(52)에는 상기 잠금 플레이트(53)가 배치되어 상기 잠금부재(50)가 X축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즉, 잠금부재(5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던 잠금 플레이트(53)의 잠금해제 홈(54)이 잠금 플레이트(53)의 회전에 의해 잠금부재(50)의 하부에서 이탈되고 잠금해제 홈(54)에 잠금 플레이트(53)가 회전되어 공간부를 채움으로써, 잠금부재(50)가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통신부
2 : 제어부
3 : GPS모듈
4 : 배터리
5 : 잠금부
10 : 지퍼
11 : 슬라이더
12 : 풀탭
13 : 고정 홀
41 : 걸쇠부
42 : 수용부
43 : 고정부
49 : 몸체
50 : 잠금부재
51 : 삽입 홈
52 : 잠금 홈
53 : 잠금 플레이트
54 : 잠금해제 홈
55 : 키홀
56 : 모터
57 : 지퍼 홈
100 : 스마트폰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캐리어의 개폐를 위한 지퍼의 복수 개의 슬라이더 사이에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양측 슬라이더의 파지를 위한 풀탭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잠금부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통신 연결을 위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는
    각 슬라이더의 풀탭이 삽입되도록 삽입 홈이 형성되고, 삽입 홈에 삽입된 풀탭의 가압에 의해 회동하여 풀탭을 고정시키되 하부에 잠금 홈이 형성된 잠금부재와;
    키의 회전 동작 또는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회전하되, 일측에 복수 개의 잠금해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재의 회동 공간을 제공하거나, 억제하기 위한 잠금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

KR1020170008960A 2017-01-19 2017-01-19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 Active KR101944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960A KR101944265B1 (ko) 2017-01-19 2017-01-19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960A KR101944265B1 (ko) 2017-01-19 2017-01-19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443A KR20180085443A (ko) 2018-07-27
KR101944265B1 true KR101944265B1 (ko) 2019-01-30

Family

ID=63078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960A Active KR101944265B1 (ko) 2017-01-19 2017-01-19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2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564B1 (ko) * 2019-11-13 2021-02-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연동 보안지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487B1 (ko) * 2008-12-15 2009-08-11 임성규 가방 식별장치
KR101054289B1 (ko) * 2010-12-13 2011-08-08 강민수 알에프아이디 리더를 이용한 가방 잠금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325Y1 (ko) 2013-05-24 2013-08-13 주식회사 미쯔미통상 가방용 지퍼 잠금장치
KR101492087B1 (ko) * 2013-07-19 2015-03-02 임강수 휴대폰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보안 가방
EP2926679B1 (en) * 2014-04-04 2019-05-22 Samsonite IP Holdings S.a.r.l Luggage with interlocking zipper pull tab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487B1 (ko) * 2008-12-15 2009-08-11 임성규 가방 식별장치
KR101054289B1 (ko) * 2010-12-13 2011-08-08 강민수 알에프아이디 리더를 이용한 가방 잠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564B1 (ko) * 2019-11-13 2021-02-0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폰 연동 보안지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443A (ko) 201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4865B2 (en) Luggage
CN205018483U (zh) 一种多功能智能箱包
CN110936900A (zh) 无人驾驶飞行器的便携式和车辆集成式存储和部署系统
US10108272B1 (en) Wearable device with gesture recognition module
US9770084B1 (en) Smart luggage system
US9675152B2 (en) Electronic security bag controlled by mobile phone
CN106740680A (zh) 交通工具及其租赁方法、装置和系统
WO2017193803A1 (zh) 智能行李箱及使用方法
US9609932B2 (en) Luggage tracking and surveillance system
US9210979B2 (en) Convenient key solution
CN111210549A (zh) 一种钥匙管理方法、装置及系统
WO2023225537A1 (en) Package delivery guidance and assistance system using vehicle sensor data
KR101944265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캐리어 보안장치
CN103960853A (zh) 旅行箱及对应的旅行箱防盗系统
CN107705456A (zh) 一种移动物体
US20150322693A1 (en) Luggage lock with identification and location tracking
CN207979169U (zh) 一种智能指纹旅行箱
CN205086829U (zh) 智能汽车钥匙系统
JP6457139B1 (ja) デジタルキーシステム
CN208129676U (zh) 基于移动终端控制的智能行李箱及移动终端
JP4595451B2 (ja) 物品移送システム
JP2007001724A (ja) 車両荷物管理装置
CN119278457A (zh) 用于承运人的带有数据记录器的数字智能标签
KR102105024B1 (ko) 스마트 여행 가방 및 그 제어 방법
JP2019133531A (ja) 搬送荷物位置検出システム、搬送荷物位置検出方法、及び荷物位置特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