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3872B1 - 인쇄지의 압착기 - Google Patents

인쇄지의 압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872B1
KR101943872B1 KR1020170113883A KR20170113883A KR101943872B1 KR 101943872 B1 KR101943872 B1 KR 101943872B1 KR 1020170113883 A KR1020170113883 A KR 1020170113883A KR 20170113883 A KR20170113883 A KR 20170113883A KR 101943872 B1 KR101943872 B1 KR 101943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rinting paper
belt
pressing
adjus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종한
Original Assignee
원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한 filed Critical 원종한
Priority to KR1020170113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87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00Platen presses, i.e. presses in which printing is effected by at least one essentially-flat pressure-applying member co-operating with a flat type-bed
    • B41F1/26Details
    • B41F1/28Sheet-conveying, -aligning or -clamping devices
    • B41F1/30Sheet-conveying, -aligning or -clamping devices using rotary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8Print finishing devices, e.g. for glossing pr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43/00Auxiliary folding, collecting, or depositing of sheets or webs
    • B41L43/02Fo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재의 절첩, 접지된 인쇄지를 압착시키는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벨트를 통해 인입된 인쇄지가 압착로울러에 의해 압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접지된 인쇄지의 두께를 최소화시키는 압착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접지된 인쇄지를 최소화하기 위한 스티커 부착 및 봉합작업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지를 연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압착로울러로 안내,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인쇄지의 압착작업 과정에서 오작동 등을 방지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쇄지를 압착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쇄지의 압착기 { Pressure machine of printed paper }
본 발명은 종이재의 절첩, 접지된 인쇄지를 압착시키는 압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벨트를 통해 인입된 인쇄지가 압착로울러에 의해 압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접지된 인쇄지의 두께를 최소화시키는 압착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지를 순차적이고 안정적으로 압착로울러로 안내,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인쇄지의 압착작업 과정에서 오작동 등을 방지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쇄지를 압착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단지나 카탈로그, 소형책자나 의약품 설명서 등의 인쇄지는, 인쇄와 제본 등의 작업을 거쳐 그 분야와 특성에 적합한 크기와 두께의 인쇄지로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인쇄지는 인쇄 및 제본 작업 후에, 사용 용도 및 제품포장 등의 필요에 따라, 별도의 접지기, 절첩기 등을 사용하여, 인쇄지의 적정 부분을 접지, 절첩하여, 접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이재의 인쇄물은, 종이 소재의 특성과 복원력에 의하여, 절첩되고 접혔던 부분이 완전하게 밀착, 접지되지 않고, 종이 간에 이격 공간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작된 인쇄지의 두께가 두꺼워지게 됨으로써 인쇄지의 정리와 포장에 따른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인쇄지의 압착기에 관련하여 종래의 선행기술문헌을 살펴보면, 본출원인은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08-0002982호의 발명의 명칭 ‘ 인쇄지용 압착기 ’를 출원하여 특허결정받은 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발명은 절첩된 종이재 인쇄물을 인입하고 압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절첩된 인쇄지를 밀착되도록 압착하여 인쇄지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된 인쇄지의 정리와 마감 작업이 용이하고 편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실0125652호의 고안의 명칭 접지기의 접지정동 및 다발로 하는 압축장치 는, 접지기에서 연속 접혀져 나오는 접지를 그대로 이송벨트로 회전드럼의 외면에 이송운반함과 동시에 기판위에 설치된 이동정돈대에서 자동정돈시키도록 하고 또 정돈된 접지는 정돈접지 이송장치로서 접지다발압축장치의 고정판과 압축판 사이로 자동운반하여 정돈된 접지를 적은 부피로 압축시키도록 하고 또 끈으로 다발이 되게 묶도록 함으로 접지의 정돈과 다발로 하는 압축작업을 손쉽게 능률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인쇄지의 압착기는, 의약품 사용설명서 등의 여러번 접어 비교적 소형의 두께가 두꺼운 인쇄지를 압착할 경우, 인쇄지가 제대로 압착되지 못하고 압착효율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접지된 인쇄지를 최소화하기 위한 스티커 부착 및 봉합작업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압착과정에서 인쇄지를 압착기의 로울러로 순차적이고 안정적으로 인입, 안내되어 인쇄지의 압착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압착기의 오동작 발생과 고장이 잦은 실정이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평벨트를 통해 인입된 인쇄지가 압착로울러에 의해 압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접지된 인쇄지의 두께를 최소화시키는 압착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지를 순차적이고 안정적으로 압착로울러로 안내,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인쇄지의 압착작업 과정에서 오작동 등을 방지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쇄지를 압착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쇄지를 인입하도록 하는 인입부재와, 인입부재에서 이동되는 인쇄지를 압착시키도록 하는 압착부재와, 압착부재에서 압착되어 이동되는 인쇄지를 배출되도록 한 배출부재와, 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한 구동부재와, 각 부재와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 컨트롤박스로 구성된 인쇄지의 압착기에 있어서,
상, 하부에 한 쌍으로 다수 개 형성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일측에 돌출되어 회전하는 로울러와, 상기 가이드바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좌우 이동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관통, 체결되도록 하는 지지축과, 상기 로울러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의 타측에 권취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로울러와, 상기 회전로울러의 전측에 구비되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보조로울러를 형성한 인입부재와;
인입부재에서 이동된 인쇄지를 이송시키도록 상, 하부에 한 쌍으로 형성된 평벨트와, 상기 평벨트를 회전시키도록 일측에 형성된 평벨트 로울러와, 상기 평벨트의 타측에 상하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인쇄지를 압착시키도록 하는 압착 로울러와, 상기 평벨트의 장력을 상하 이동하여 조절, 보정하도록 하는 조정 로울러와, 상기 압착 로울러의 간극을 조정하도록 하는 조절 레버를 형성한 압착부재와;
상, 하부에 한 쌍으로 다수 개 형성된 배출부재 가이드바와, 상기 배출부재 가이드바의 일측에 돌출되어 회전하는 배출부재 로울러와, 상기 배출부재 가이드바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좌우 이동하는 배출부재 지지대와, 상기 배출부재 지지대에 관통, 체결되도록 하는 배출부재 지지축과, 상기 배출부재 로울러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배출부재 벨트와, 상기 배출부재 벨트의 타측에 권취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배출부재 회전로울러와, 상기 배출부재 회전로울러의 후측에 구비되어 배출부재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배출부재 보조로울러를 형성한 배출부재와;
전원에 구동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와, 각 로울러의 측단에 형성되고 타이밍 벨트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기어부를 형성한 구동부재;
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평벨트를 통해 인입된 인쇄지가 압착로울러에 의해 압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접지된 인쇄지의 두께를 최소화시키는 압착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지를 연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압착로울러로 안내,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인쇄지의 압착작업 과정에서 오작동 등을 방지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쇄지를 압착하도록 한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쇄지의 압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부재의 동력전달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압착 로울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장치도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쇄지를 인입하도록 하는 인입부재(10)와, 인입부재(10)에서 이동되는 인쇄지를 압착시키도록 하는 압착부재(20)와, 압착부재에서 압착되어 이동되는 인쇄지를 배출되도록 한 배출부재(30)와, 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한 구동부재(40)와, 각 부재와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 컨트롤박스(50)로 구성된다.
상기 인입부재(10)는 상, 하부에 한 쌍으로 다수 개 형성된 가이드바(11)와,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에 돌출되어 회전하는 로울러(12)와, 상기 가이드바(11)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좌우 이동하는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에 관통, 체결되도록 하는 지지축(14)과, 상기 로울러(12)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벨트(15)와, 상기 벨트(15)의 타측에 권취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로울러(16)와, 상기 회전로울러(16)의 전측에 구비되어 벨트(15)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보조로울러(17)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바(11)의 말단부에는 인쇄지의 통과여부를 감지하는 센서(s)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대(13)는 인입되는 인쇄지의 두께에 따라 지지축(14)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상하 회동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좌우 이동할 수 있는 지지대(13)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핀(13a)을 구비한다.
상기 보조로울러(17)는 벨트(15)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하 이동시키도록 하는 노브(17a)와, 상기 노브(17a)의 작동으로 보조로울러(17)에 체결되어 상하 이동시키도록 하는 링크(17b)를 구비한다.
상기 압착부재(20)는 상기 인입부재(10)에서 이동된 인쇄지를 이송시키도록 상, 하부에 한 쌍으로 형성된 평벨트(21)와, 상기 평벨트(21)를 회전시키도록 일측에 형성된 평벨트 로울러(22)와, 상기 평벨트(21)의 타측에 상하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인쇄지를 압착시키도록 하는 압착 로울러(23)와, 상기 평벨트(21)의 장력을 상하 이동하여 조절, 보정하도록 하는 조정 로울러(24)와, 상기 압착 로울러(23)의 간극을 조정하도록 하는 조절 레버(25)를 형성한다.
상기 압착 로울러(23)는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양측에 베어링부(29)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부(29)에 걸림턱(29a)을 형성하여, 압착기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하고, 걸림턱(29a)에 의해 압착 로울러(2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착 로울러(23)의 상부는 내부의 투시가 가능한 투명소재의 덮개판(23a)이 구비되도록 하여, 인쇄지 걸림 시에 덮개판(23a)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착로울러(23)의 일측에는 수동핸들을 구비하여 인쇄지 걸림 시에 수동으로 압착로울러(23)를 회전시키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정 로울러(24)는 중앙부의 직경이 양측 직경보다 큰 항아리 형태로 형성하고, 상하 이동하도록 조정 로울러의 양측단에 구비된 피니언부(26)와, 상기 피니언부(26)에 치합되도록 한 레크부(27)와, 조정 로울러(24)의 양 끝단에 결합되어 위치를 복원하도록 하는 스프링(28)을 형성한다.
상기 배출부재(30)는 상, 하부에 한 쌍으로 다수 개 형성된 배출부재 가이드바(31)와, 상기 배출부재 가이드바(31)의 일측에 돌출되어 회전하는 배출부재 로울러(32)와, 상기 배출부재 가이드바(31)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좌우 이동하는 배출부재 지지대(33)와, 상기 배출부재 지지대(33)에 관통, 체결되도록 하는 배출부재 지지축(34)과, 상기 배출부재 로울러(32)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배출부재 벨트(35)와, 상기 배출부재 벨트(35)의 타측에 권취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배출부재 회전로울러(36)와, 상기 배출부재 회전로울러(36)의 후측에 구비되어 배출부재 벨트(35)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배출부재 보조로울러(37)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부재(40)는 전원에 구동되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42)와, 각 로울러의 측단에 형성되고 타이밍 벨트(42)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기어부(43)를 형성한다.
상기 컨트롤박스(50)는 압착기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하고, 센서(s)의 감지신호에 의해 압착되는 인쇄지의 개수를 인식하고 표시되도록 형성한다.
미설명 부호 1은 인쇄지이고, P는 압착기 본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기를 인쇄지의 절첩기나 접지기에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압착기의 높이를 조절하여 인쇄지를 접지하여 공급하는 절첩기나 접지기의 공급위치에 위치시키고, 의약품 사용설명서 등의 접지된 인쇄지(1)가 상기 인입부재(10)로 순차적이고 연속적으로 인입, 이동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기를 컨트롤박스(50)를 이용하여 작동하게 되면, 구동부재(40)의 모터(41)가 동작하게 되고, 모터(41)의 구동에 따라 타이밍 벨트(42)가 회전하면서 기어부(43)가 회전하여, 각 로울러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인쇄지(1)는 가이드바(11)에 돌출된 로울러(12)와 회전로울러(16)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상, 하부 벨트(15)의 사이로 인입되어 상기 압착부재(20)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인입되는 인쇄지의 두께에 따라 인입부재(10)의 지지대(13)는 지지축(14)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상하 회동되기 때문에, 인쇄지가 원활하게 인입, 이송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쇄지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지지대(13)를 지지축(14)을 따라 좌우 이동시킬 수 있으며, 지지대(13)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고정핀(13a)을 이용하여 지지축(14)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의 인쇄지를 필요에 따라 지지대(13)의 위치를 조정하여 인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노브(17a)와 링크(17b)를 통해 벨트(15)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보조로울러(17)에 의하여, 인쇄지는 벨트(15)를 따라 이송하게 되고, 인쇄지의 두께에 따른 벨트(15) 회전의 오동작을 방지하며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인쇄지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인입부재(10)에서 이동된 인쇄지(1)는, 압착부재(20)의 평벨트 로울러(22)와 압착 로울러(23)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평벨트(21)의 사이를 이동하게 되고, 상하 한 쌍의 압착 로울러(23)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서, 인쇄지(1)가 압착되어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중앙부위가 두꺼운 조정 로울러(24)에 의해, 회전하는 평벨트(21)의 중앙부분의 회전력이 더 강화되고 평벨트(21)의 장력이 커지기 때문에, 평벨트(21)가 회전, 동작 중에 일측으로 틀어지거나 삐뚤어지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착 로울러(23)에 의한 인쇄지(1)의 압착과정에서, 조정 로울러(24)의 양측단에 형성된 피니언부(26)가 레크부(27)를 따라 상하 이동하며 스프링(28)에 의해 위치가 복원되기 때문에, 압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평벨트(21)의 충격을 완화, 보상하게 되어, 평벨트(21)를 통한 두꺼운 인쇄지(1)의 압착과 이송작업이 원활하게 안정적으로 수행되고,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 로울러(23)의 양단에 구비된 베어링부(29)는 걸림턱(29a)에 의해, 압착기 본체(P)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기 때문에, 압착 로울러(2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투명한 소재의 개방 가능한 덮개판(23a)으로 인하여, 인쇄지 걸림 시에 수동으로 압착로울러(23)를 회전시켜, 인쇄지 걸림현상 등의 오동작과 고장을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부재(20)를 통과한 인쇄지는 배출부재(30)로 이동하게 되고, 인입부재(10)와 대칭의 구조로 형성된 배출부재(30)는, 인입부재(10)의 역순의 방식과 방향으로 인쇄지(1)가 배출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쇄지의 압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후방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동부재의 동력전달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압착 로울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장치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입부재 11 : 가이드바
12 : 로울러 13 : 지지대
14 : 지지축 15 : 벨트
16 : 회전 로울러 17 : 보조로울러
20 : 압착부재 21 : 평벨트
22 : 평벨트 로울러 23 : 압착 로울러
24 : 조정 로울러 25 : 조절레버
26 : 피니언부 27 : 레크부
28 : 스프링 29 : 베어링부
29a : 걸림턱 30 : 배출부재
31 : 배출부재 가이드바 32 : 배출부재 로울러
33 : 배출부재 지지대 34 : 배출부재 지지축
35 : 배출부재 벨트 36 : 베출부재 회전로울러
37 : 배출부재 보조로울러 40 : 구동부재
41 : 모터 42 : 타이밍 벨트
43 : 기어부 50 : 컨트롤박스

Claims (3)

  1. 인쇄지를 인입하도록 상, 하부에 한 쌍으로 다수 개 형성된 가이드바(11)와, 상기 가이드바(11)의 일측에 돌출되어 회전하는 로울러(12)와, 상기 가이드바(11)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좌우 이동하는 지지대(13)와, 상기 지지대(13)에 관통, 체결되도록 하는 지지축(14)과, 상기 로울러(12)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벨트(15)와, 상기 벨트(15)의 타측에 권취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로울러(16)와, 상기 회전로울러(16)의 전측에 구비되어 벨트(15)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보조로울러(17)를 형성한 인입부재(10)와;
    인입부재(10)에서 이동된 인쇄지를 이송시키도록 상, 하부에 한 쌍으로 형성된 평벨트(21)와, 상기 평벨트(21)를 회전시키도록 일측에 형성된 평벨트 로울러(22)와, 상기 평벨트(21)의 타측에 상하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인쇄지를 압착시키도록 하는 압착 로울러(23)와, 상기 평벨트(21)의 장력을 상하 이동하여 조절, 보정하도록 하는 조정 로울러(24)와, 상기 압착 로울러(23)의 간극을 조정하도록 하는 조절 레버(25)를 형성하되,
    압착부재(20)의 압착 로울러(23)는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양측단에 베어링부(29)를 구비하되, 베어링부(29)에 압착기 본체(P)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걸림턱(29a)을 형성하고;
    조정 로울러(24)는 중앙부의 직경이 양측 직경보다 큰 항아리 형태로 형성하고, 상하 이동하도록 조정 로울러의 양측단에 구비된 피니언부(26)와, 상기 피니언부(26)에 치합되도록 한 레크부(27)와, 조정 로울러(24)의 양 끝단에 결합되어 위치를 복원하도록 하는 스프링(28)을 형성한 압착부재(20)와;
    압착부재(20)에서 압착되어 이동되는 인쇄지를 배출하도록 상, 하부에 한 쌍으로 다수 개 형성된 배출부재 가이드바(31)와, 상기 배출부재 가이드바(31)의 일측에 돌출되어 회전하는 배출부재 로울러(32)와, 상기 배출부재 가이드바(31)의 타측에 고정, 결합되어 좌우 이동하는 배출부재 지지대(33)와, 상기 배출부재 지지대(33)에 관통, 체결되도록 하는 배출부재 지지축(34)과, 상기 배출부재 로울러(32)에 권취되어 회전하는 배출부재 벨트(35)와, 상기 배출부재 벨트(35)의 타측에 권취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배출부재 회전로울러(36)와, 상기 배출부재 회전로울러(36)의 후측에 구비되어 배출부재 벨트(35)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배출부재 보조로울러(37)를 형성한 배출부재(30)와;
    전원에 구동되는 모터(41)와, 상기 모터(4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타이밍 벨트(42)와, 각 로울러의 측단에 형성되고 타이밍 벨트(42)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기어부(43)를 형성한 구동부재(40);와
    각 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 컨트롤박스(50);
    로 구성된 인쇄지의 압착기에 있어서,
    인입부재(10)의 지지대(13)는 인입되는 인쇄지의 두께에 따라 지지축(14)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상하 회동되도록 형성하고, 좌우 이동할 수 있는 지지대(13)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핀(13a)을 구비하도록 하고;
    보조로울러(17)는 벨트(15)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하 이동시키도록 하는 노브(17a)와, 상기 노브(17a)의 작동으로 보조로울러(17)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하는 링크(17b)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지의 압착기.
  2. 삭제
  3. 삭제
KR1020170113883A 2017-09-06 2017-09-06 인쇄지의 압착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943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83A KR101943872B1 (ko) 2017-09-06 2017-09-06 인쇄지의 압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83A KR101943872B1 (ko) 2017-09-06 2017-09-06 인쇄지의 압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872B1 true KR101943872B1 (ko) 2019-01-30

Family

ID=6527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883A Expired - Fee Related KR101943872B1 (ko) 2017-09-06 2017-09-06 인쇄지의 압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145A (ko) 2022-09-22 2024-03-29 김종일 접지물 압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036A (ja) * 1995-05-25 1996-12-03 Nec Eng Ltd プリンタの給紙機構
JP2006232463A (ja) * 2005-02-24 2006-09-07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7182294A (ja) * 2006-01-06 2007-07-19 Casio Electronics Co Ltd 圧着装置
KR200455798Y1 (ko) * 2011-06-07 2011-09-27 이석률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9036A (ja) * 1995-05-25 1996-12-03 Nec Eng Ltd プリンタの給紙機構
JP2006232463A (ja) * 2005-02-24 2006-09-07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7182294A (ja) * 2006-01-06 2007-07-19 Casio Electronics Co Ltd 圧着装置
KR200455798Y1 (ko) * 2011-06-07 2011-09-27 이석률 인쇄지 절첩기용 압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145A (ko) 2022-09-22 2024-03-29 김종일 접지물 압착기
KR102743039B1 (ko) * 2022-09-22 2024-12-16 김종일 접지물 압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8893B2 (ja) シート材の自動束ね装置
US4330116A (en) Bundling mechanism for signatures
CA1280775C (en) Apparatus for selecting and feeding web material
US4240339A (en) Bale pressing arrangement for cardboard wastes
KR101943872B1 (ko) 인쇄지의 압착기
JPH03104600A (ja) 印刷物の3辺を裁断する装置
JP6212809B2 (ja) シート収容装置
US549570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printing products
KR20090077176A (ko) 인쇄지용 압착기
JPH10157859A (ja) 印刷物を供給するための装置
AU669423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portable, tube-like packs from printing products
JP2021084730A (ja) 紙折り装置
US4900002A (en) Sheet folding apparatus
US20020082151A1 (en) Feed means for sheets, particularly creasing means, and method for advancing sheets
JPH04354736A (ja) 紙葉類の定圧繰出し装置
JP3016886B2 (ja) 包装機械内でシングルシート等を供給する中央制御形自動供給装置
JP6462071B2 (ja) シート収容装置
KR200191914Y1 (ko) 종이밴드 밴딩시스템
EP2197683B1 (en) Printing system and folding module
CN219790677U (zh) 一种纸张上料装置
CN219277977U (zh) 一种夹爪式打卷机
US2000636A (en) Sheet folding mechanism
US2094665A (en) Stacker mechanism for paper cutting machines
JP2011098835A (ja) 印刷物から積重ね体を形成する方法ならびに装置
US3384366A (en) Outfeed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