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3645B1 - 전선 피복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피복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645B1
KR101943645B1 KR1020180097813A KR20180097813A KR101943645B1 KR 101943645 B1 KR101943645 B1 KR 101943645B1 KR 1020180097813 A KR1020180097813 A KR 1020180097813A KR 20180097813 A KR20180097813 A KR 20180097813A KR 101943645 B1 KR101943645 B1 KR 101943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utting portion
weight
wire
driving a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기
Original Assignee
유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기 filed Critical 유재기
Priority to KR1020180097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6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64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 H02G1/1275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applying heat
    • H02G1/127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removing insulation or armouring from cables, e.g. from the end thereof by applying heat using heated blades

Landscapes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는, 통공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단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동 암이 구비된 본체, 상기 구동 암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암의 동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상부 커팅부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커팅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배치되는 하부 커팅부로 구성되는 커팅부,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커팅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통공에 관통 삽입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구동 암과 연결되며,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외력을 상기 와이어를 통해 상기 구동 암으로 전달하는 발판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 피복 제거 장치 {APPARATUS FOR REMOVING CABLE SHEATH}
본 발명은 전선 피복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을 감싸고 있는 절연체인 피복을 절단하여 분리시키는 전선 피복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상호 접속시키고자 할 경우에 전선 끝단의 외부 피복을 제거시키고 두 나전선을 접속시키기 위하여 칼이나 펜치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일명 전선 작업용 공구 즉, 전선의 연결 및 피복, 절단 작업 등에 사용되는 각종 공구들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공구들로서는 니퍼, 펜치, 롱노우즈 플라이어, 가위, 스트리퍼 및 칼날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공구들을 이용하는 경우 전선 피복 제거 과정에서 도체 부분을 손상시킬 위험이 크고, 전선 피복 두께 조절이 안되므로 사용이 불편하며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존된다는 문제점 있다.
또한, 날카로운 칼 형상을 갖는 전선 내/외피 제거용 공구는 안전성이 전혀 없이 해당 공구를 휴대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전선의 내/외피 제거 작업중 작업자의 공구 취급 부주의로 인해 부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은 공구는 휴대 및 보관상에도 어려움이 있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46316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전선의 겉면을 감싸는 피복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피복 제거 과정에서 전선의 중심축을 구성하는 금속 도체의 손상 없이 피복만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전선 피복 제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어 장치는, 통공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단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동 암이 구비된 본체, 상기 구동 암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암의 동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상부 커팅부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커팅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배치되는 하부 커팅부로 구성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로 삽입되는 전선이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커팅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통공에 관통 삽입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구동 암과 연결되며, 상기 전선을 감싸는 피복이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제거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외력을 상기 와이어를 통해 상기 구동 암으로 전달하는 발판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전선 피복 제거 장치는, 상기 구동 암의 하강 거리를 조절하는 제1 조절 나사와, 상기 가이드부의 돌출 방향을 조절하는 제2 조절 나사와, 상기 커팅부를 가열시키는 가열 수단과, 상기 가열 수단의 가열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 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발판 부재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기 구동 암이 지면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구동 암과 연결된 상기 상부 커팅부가 상기 하부 커팅부 쪽으로 접근하여, 상기 상부 커팅부와 상기 하부 커팅부 사이에 삽입된 상기 전선을 감싸는 피복을 절단하되, 상기 커팅부에 의한 피복 절단 과정에서 전선의 도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조절 나사에 의해 상기 구동 암의 최대 하강 거리가 제한되어 상기 상부 커팅부는 상기 하부 커팅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이격 거리만큼만 하강되고, 상기 구동 암이 하강하여 상기 상부 커팅부 및 상기 하부 커팅부가 상기 피복과 접촉하면,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상기 상부 커팅부 및 상기 하부 커팅부에 의해 상기 피복이 융해되면서, 상기 상부 커팅부 및 상기 하부 커팅부의 절삭면에 의해 상기 피복이 절삭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선이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만 삽입되어 상기 커팅부에 의해 상기 피복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도록, 상기 제2 조절 나사에 의해 상기 커팅부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커팅부로 삽입된 상기 전선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선의 삽입 길이를 가이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발판 부재의 조작 만으로도 피복을 항상 일정한 길이로 절삭할 수 있으며, 가이드부의 돌출 길이 및 구동 암의 하강 거리를 조절 나사를 통해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전선 피복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은 전선 피복 제거 장치(1)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2는 전선 피복 제거 장치(1)의 우측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베이스 프레임(100), 본체(200), 커팅부(300), 가이드부(400) 및 발판 부재(500)를 포함한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테이블 등과 같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장소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의 중심부에는 통공(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120)는 통공(110)을 통해 관통 삽입되어 후술하는 구동 암(230)과 발판 부재(400)를 기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본체(200)는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좌측면에는 가이드부(40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조절 나사(210)가 구비되고, 본체(200)의 우측면에는 커팅부(300)를 일정 온도로 가열시키기 위한 온도 조절 수단(23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200)의 내부에는 커팅부(300) 및 온도 조절 수단(230)과 연결되어 온도 조절 수단(230)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온도만큼 커팅부(300)를 가열시키는 가열 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체(200)의 상부에는 구동 암(240)이 설치될 수 있다. 구동 암(230)은 본체(200)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발판 부재(400)의 조작에 따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강할 수 있다.
커팅부(300)는 전선을 감싸고 있는 피복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커팅부(300)는 하부 커팅부(310)와 상부 커팅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커팅부(310)는 베이스 프레임(150)에 설치되는 부재로, 하부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 결합되고 상부에는 절삭날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커팅부(320)는 본체(200)에 설치되는 부재로, 하부에는 절삭날이 형성되며, 하부 커팅부(310)의 절삭면과 상부 커팅부(320)의 절삭면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커팅부(320)는 상부는 본체(100)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동 암(17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 암(170)이 하강하게 되면 상부 커팅부(320)가 고정 배치된 하부 커팅부(310) 쪽으로 접근하면서 상부 커팅부(320)와 하부 커팅부(310) 사이에 배치된 전선의 피복을 절단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가이드 프레임(410)을 통해 본체(200)로부터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프레임(410)은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본체(2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은 제1 조절 나사(210)와 연결되고, 타단은 가이드부(4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측면부에는 가이드부(40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조절 나사(210)가 구비되어 있어, 제1 조절 나사(210)의 조작을 통해 가이드부(400)의 돌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발판 부재(500)는 하부 발판과, 하부 발판의 일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상부 발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발판 부재(500)의 상부 발판에는 와이어(120)가 연결되어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발판 부재(500)를 밟게 되면 와이어(120)가 당겨지면서 구동 암(240)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를 이용한 전선 피복 제거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전선을 상부 커팅부(320)와 하부 커팅부(310) 사이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발판 부재(400)를 밟아 누르게 되면, 발판 부재(4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와이어(120)가 당겨지면서 와이어(120)와 연결된 구동 암(240)과 연결된 상부 커팅부(320)가 하부 커팅부(310) 쪽으로 하강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구동 암(240)은 제2 조절 나사(220)의 조작을 통해 미리 정해진 거리까지만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 커팅부(320)가 완전히 하강하게 되더라도 하부 커팅부(310)와 절삭면이 서로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미리 정해진 이격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이격 거리는 피복의 두께의 두 배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커팅부(320)와 하부 커팅부(310)는 온도 조절 수단(240)에 의해 미리 정해진 온도만큼 가열된 상태이며, 따라서 상부 커팅부(320) 및 하부 커팅부(320)가 피복과 접촉하게 되면 피복이 열에 의해 녹으면서 커팅부(300)의 절삭면에 의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200)로부터 커팅부(300)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부(400)에 의해 전선은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만 커팅부(300)로 삽입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항상 일정한 길이의 피복만 전선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커팅부(300) 사이로 전선을 삽입하게 되면, 삽입된 전선은 소정 길이까지 삽입된 후 끝단이 가이드부(400)에 접촉하게 된다. 전선이 가이드부(400)에 접촉한 상태에서 발판 부재(500)를 밟아 피복을 제거하면 항상 일정한 길이의 피복이 절삭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발판 부재(500)로부터 발을 떼게 되면, 발판 부재(50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어 발판 부재(500)가 원래의 형태로 되돌아갈 수 있으며, 와이어(120)를 당기는 힘이 사라지게 되어 상부 커팅부(320)가 최초 위치로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복의 절단을 위해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열에 의해 피복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복 제거 과정에서 전선의 도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전선 피복 제거 과정에서 요구되는 설정값을 스스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하부 커팅부(310)는 압력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 커팅부(320)가 하강하여 전선과 접촉함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측정된 압력의 크기에 따라 가열 수단(미도시)의 가열 온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일 예로,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전선의 두께가 두꺼워 하부 커팅부(310)에 비교적 큰 압력이 감지되면, 커팅부(300)가 200℃ 이상으로 가열되도록 가열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전선의 두께가 얇아 하부 커팅부(310)에 비교적 작은 압력이 감지되면, 커팅부(300)가 200℃ 이하로 가열되도록 가열 수단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가열 온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선의 종류, 피복의 두께 등에 따라 다양한 온도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하부 커팅부(310)는 압력 감지 센서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부 커팅부(320)가 하강하여 전선과 접촉함에 따라 발생되는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측정된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제2 조절 나사(220)를 제어하여 구동 암(240)의 최대 하강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인 일 예로,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전선의 두께가 두꺼워 하부 커팅부(310)에 비교적 큰 압력이 감지되면, 피복의 제거 과정에서 전선의 중심축을 구성하는 도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커팅부(320)와 하부 커팅부(310) 간의 이격 거리가 제1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제2 조절 나사(22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전선의 두께가 얇아 하부 커팅부(310)에 비교적 작은 압력이 감지되면, 상부 커팅부(320)와 하부 커팅부(310) 간의 이격 거리가 제1 거리보다 짧은 제2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제2 조절 나사(220)를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전선이 삽입되더라도 피복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전선의 피복을 제거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200)에는 가이드부(400)로 소정의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 공급 수단(미도시)와, 전류가 인가된 가이드부(400)의 양 단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200)와 구동 암(230)이 연결된 부분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이 더 구비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측정된 가이드부(400)의 임피던스의 크기에 따라 잠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400)에 전선이 접촉하게 되면 전도성을 가진 전선의 도체 성분으로 인해 가이드부(400)의 임피던스가 비교적 작은 폭으로 상승할 수 있다. 즉,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임피던스의 변화량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커팅부(300)에 전선이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잠금 장치의 해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반면,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손가락 등와 같이 신체의 일부가 가이드부(400)에 접촉하여, 가이드부(400)의 임피던스의 변화량이 임계값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전선 이외의 다른 물질이 커팅부(300)에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잠금 장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상부 커팅부(320)가 하강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가열 수단(미도시)를 제어하여 커팅부(300)가 가열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전선 피복 제거 과정에서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마찰이나 충격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부분, 예컨대 베이스 프레임(100), 본체(200)를 구성하는 하우징, 가이드 프레임(410), 발판 부재(500) 등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탈크 및 게르마늄 분말을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는 내열성,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틀림 현상이 개선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는 성능 대비 가격이 저렴하고, 식품이나 화장품 등의 내용물과의 접촉에도 위해성이 없는 환경친화적인 소재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는 열가소성 수지이고, 내약품성, 기계적 성질, 열적 성질이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 단독(호모) 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및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기계적 물성의 향상을 위하여 호모 중합체와 랜덤 공중합체를 3: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수지는 에틸렌을 중합하여 제조하는 합성수지로서, 높은 유동성과 강성, 내충격성, 전기절연성, 성형성, 내한성이 뛰어나다.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는 전술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혼합하여 플라스틱 시트 또는 제품 제조시 인장력을 강화하여 성형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공지의 다양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탈크는 플라스틱 조성물의 강도, 내열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150~200 메시(mesh)의 입자 크기를 갖는 탈크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탈크는 다른 충전재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돌로마이트 분말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도 있다.
게르마늄은 은백색의 준금속으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과 음이온 등을 다량 방사하여 신진 대사를 촉진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게르마늄은 반도체적 성질로 인해 피부에 접촉하면 게르마늄 이온(외곽전자)이 체내에 들어가 생명력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체내에 들어가면 각종 유해물질과 함께 20~30시간 안에 몸 밖으로 배출되므로 중독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다. 특히, 무기게르마늄의 입자가 사람의 피부와 접하게 되면 외곽전자의 침투압 활동으로 피부조직 속으로 반도체 성질이 들어간다. 피하조직 속의 모세혈관까지 침투한 게르마늄은 혈관벽을 통해서 혈관 속에 있는 전자를 이동시키며, 혈액정화작용을 하여 혈액을 정상화시키고 과잉 전자 흐름을 방전시켜 통증을 면하게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게르마늄은 분말 형태로 사용할 수 있고, 게르마늄 원석을 3cm 이하로 잘게 절단한 후, 절단된 게르마늄 원석을 80~100 메쉬의 입도 크기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라스틱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10~130 중량부, 탈크 170~190 중량부 및 게르마늄 분말 1~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시트를 제조할 경우, 뒤틀림 현상 등을 배제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의 비중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한데, 비중은 1.02~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3~1.05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110 중량부 미만이거나, 탈크가 170 중량부 미만이면, 내구성 등의 기계적 물성을 강화시키기 제한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가 130 중량부를 초과하거나, 탈크가 190 중량부를 초과하면, 플라스틱 조성물의 비중이 늘어나 성형성이 불량해질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게르마늄 분말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게르마늄으로 인한 원적외선 방출 효과 등이 발현되기 힘들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되어 성형성이 불량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플라스틱 조성물은 내충격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Fiberglass Reinforced Plastic, FRP)은 유리계 광물질을 주원료로 하고, 유리계 광물질에 방향족 나일론 섬유 및 열경화성 수지를 결합한 물질이다. 유리계 광물질은 규사, 석회석, 장석 및 소다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열경화성 수지는 공지의 다양한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유리계 광물질 등의 재료를 혼합하여 용융로에 넣어 제조할 수 있고, 유리섬유 사이에 밀봉된 각각의 공기층이 단열층으로 작용하여 불연성, 흡음성, 시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철보다 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며, 녹슬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불연성이 우수하여 열에 변형되지 않고, 가공하기 용이하다. 이때,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펠렛 형태)과 PVC 등과의 혼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아교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교는 동물의 가죽, 창자, 뼈 등을 고아 그 액체를 고형화한 물질로서, 각 성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면서도 환경 호르몬 배출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및 아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각각 15~25 중량부 및 2~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 적을 경우, 내충격성 강화 및 배합성이 떨어질 수 있고, 상기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제품 생산시 깨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조성물은 탄성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르크 분말을 포함할 수도 있다. 코르크 분말은 굴참나무의 껍데기를 제거한 후, 분쇄하여 준비할 수 있다. 코르크 분말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의 혼합성을 위하여 400 메쉬(mesh) 이상의 망으로 거른 미분쇄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르크 분말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탄성도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품 제조시 내부에 형성된 공극이 커져 내구성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코르크 분말과 타 성분과의 혼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당(C12H22O11) 분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당은 코르크 분말 사이에 형성된 공극을 매끄럽게 할 뿐만 아니라 PVC 등과의 혼합 과정에서 점성이 생겨 이취 문제를 발생시키는 분자를 잡을 수도 있어 이취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다. 자당은 500 메쉬(mesh) 망으로 거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4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당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자당에 의해 발현되는 효과가 미미하고, 4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제품의 기계적 물성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라스틱 조성물은 백반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백반은 칼륨 백반(황산알루미늄칼륨, AlK(SO4)2·12H2O)을 사용할 수 있고, 천연의 명반석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명반석을 물에 풀어서 거른 다음 끊이고, 식힌 후 불규칙한 모양의 결정이 생기면, 이를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백반은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반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백반에 의한 효과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를 포함할 수 있다. 보헤마이트는 γ-보헤마이트, α-보헤마이트 및 유사 보헤마이트(Pseudo-Boehmite)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결정성이 뛰어나서 열 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중성이며, 항균 특성이 뛰어난 γ-보헤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γ-보헤마이트는 물(순수)과 알루미늄(Al)만의 초임계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보헤마이트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3~8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헤마이트의 함량이 3 중량부 미만이면 달성하고자 하는 항균 효과를 발현시키기 힘들고, 8 중량부를 초과하면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 수지 180kg,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HDPE) 200kg, 탈크 310kg, 게르마늄 분말 15kg을 혼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1로 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 36kg, 아교 9kg을 더 혼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2로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코르크 분말 9kg, 자당 분말 5kg, 백반 분말 5kg, γ-보헤마이트 9kg을 더 혼합하여 플라스틱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탈크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비교예로 하였다.
[실험예 1 : 내충격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플라스틱 조성물을 이용하여 시편(20cm * 30cm, 두께 20mm)을 제조하였고, 3kg의 추를 2m 높이에서 떨어뜨린 후, 각 시편의 파손 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8083061056-pat00001
상기 표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탈크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탈크를 포함하는 실시예들은 내충격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함유하는 실시예 2 및 3의 경우,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예 2 : 내열성 평가]
실험예 1의 시편을 80℃로 유지되는 열풍 순환식 가열로에서 3시간 가열한 후 황변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18083061056-pat00002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는 비교예와 달리 황변되는 부분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실시예의 내열성이 비교예에 비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항균성 평가]
실시예 1, 실시예 3 및 비교예에 대해 항균력 테스트(JIS Z 2801)를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는 Aspergillus niger ATCC 9642(곰팡이)를 사용하였고, 항균력(항균 활성치)을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
Figure 112018083061056-pat00003
항균 활성치란 일정시간 동안 배양된 균주의 수를 비교하여 항균정도를 평가한 값으로서, 그 값이 1 이상이면 90% 이상의 균주가, 2 이상이면 99% 이상의 균주가, 3 이상이면 99.9% 이상의 균주가, 4 이상이면 99.99% 이상의 균주가, 5 이상이면 99.999% 이상의 균주가 사멸되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다.
상기 표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γ-보헤마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 3의 경우, 다른 케이스보다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선 피복 제거 장치(1)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부재간의 연결 또는 접착이 필요한 부분(예컨대 베이스 프레임(100)과 본체(200), 베이스 프레임(100)과 하부 커팅부(310), 발판 부재(500)와 와이어(120) 간의 결합 등)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로서, 주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9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VA) 1~30 중량부, 물 10~30 중량부, 탄산칼슘 5~30 중량부, 계면활성제 0.1~1 중량부 및 요변성 부여제 1~20 중량부를 포함하고,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수용성 2액형 접착제 조성물로서, 이를 도포 및 경화하여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도, 접착성, 내열성 등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합판과 같은 목질 보드나 마그네슘 보드와 같은 무기질 보드, PVC 등의 여러가지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에 사용될 수 있다.
주제는 기본적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폴리비닐알콜(PVA), 물, 탄산칼슘, 계면활성제 및 요변성 부여제를 포함하는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는 주제의 주성분으로서, 응집력이 강하여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에폭시 수지를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주성분으로 사용하였는데,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경우 벤젠 톨루엔과 같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방출하여 환경 및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에폭시 수지를 배제함으로써 환경문제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폴리비닐알콜(PVA)은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내열성과 내수성 및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폴리비닐알콜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1~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콜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열성 등을 향상시키기 힘들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의 상대적인 함량이 줄어들어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응집력이 약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돌 마루 등에 사용될 때, 폴리비닐알콜의 기능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폴리비닐알콜과 함께 산화안티몬 및 산화지르코늄을 사용할 수도 있다. 산화안티몬 및 산화지르코늄은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내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각각 5~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미만에서는 내열성 증진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넘어서는 경우 비경제적이다.
물은 주제의 용매로 사용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와 달리 휘발성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물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10~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이 10 중량부 미만이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등을 효과적으로 용해시킬 수 없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묽어져서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탄산칼슘은 접착제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경화시 수축 현상을 감소시킨다. 탄산칼슘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5~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산칼슘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경화시 충분한 수축이 일어나지 않아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경도가 불량해질 수 있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빡빡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산칼슘을 대체하여 경탄류, 클레이류의 여러가지 물질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 예로, 돌로마이트 및/또는 활석(Talc)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돌로마이트 및 활석을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말은 150~200 메시(mesh)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150~200 메시의 입자크기를 갖도록 미분쇄된 분말을 사용하게 되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등의 다른 성분과 혼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접착제 조성물의 혼합시 표면장력을 줄이고,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0.1~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공지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표면장력을 효과적으로 줄이기 위하여 탄소 원자 8~14개의 알킬 사슬을 포함하는 제미니형 음인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변성 부여제는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되어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가 될 때, 주제와 경화제의 분리 현상을 억제하여 접착제 조성물이 흘려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실리카류, 아크릴 코폴리머 등의 여러가지 공지의 다양한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나, 클레이(clay)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레이는 가느다란 함수 규산염 광물의 집합체로서, 적당량의 물을 섞어 반죽하면 가소성이 생기고, 건조시키면 강성을 나타내며, 높은 온도에서 구우면 소결하는 물질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해포석, 흄드 실리카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분말을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좋은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흄드 실리카와 벤토나이트가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변성 부여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1~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변성 부여제가 1 중량부 미만이면, 흐름성을 충분히 제어할 수 없고,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흐름성이 너무 사라져서 생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듐실리케이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소듐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는 기존의 접착제와는 달리 공해를 유발시키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며, 접착력이 우수하다. 소듐 실리케이트는 고형분 기준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3~7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듐 실리케에트가 3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 성능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7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다른 성분과의 혼합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황화 몰리브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황화 몰리브덴(MoS2)은 화강암 속에 함유 되어 얇은 광맥으로 발견되어 채굴하는 재료로서, 윤활성분으로 사용된다. 이황화 몰리브덴(MoS2)은 그래파이트(graphite)와 같이 전단이 발생하기 쉬운 형태의 육각형의 결정 구조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나, 윤활 작용은 그래파이트보다 우수하다. 이황화 몰리브덴은 고형분 기준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황화 몰리브덴이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내마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오히려 접착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때, 이황화 몰리브덴과 함께 구리 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난연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난연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제가 1 중량부 미만인 경우, 난연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고,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난연제는 백반 분말을 사용할 수 있다. 백반은 칼륨 백반(황산알루미늄칼륨, AlK(SO4)2·12H2O)을 사용할 수 있고, 천연의 명반석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명반석을 물에 풀어서 거른 다음 끊이고, 식힌 후 불규칙한 모양의 결정이 생기면, 이를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주제는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항균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산화알루미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산화알루미늄은 보헤마이트(Boehmite, AlO(OH))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헤마이트는 γ-보헤마이트, α-보헤마이트 및 유사 보헤마이트(Pseudo-Boehmite)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결정성이 뛰어나서 열 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구조적으로 중성이며, 항균 특성이 뛰어난 γ-보헤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γ-보헤마이트는 물(순수)과 알루미늄(Al)만의 초임계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수산화알루미늄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30~9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달성하고자 하는 항균 효과를 발현시키기 힘들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타 성분과의 혼합성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물에 대한 우수한 용해성으로 경화제가 주제에 균일하게 혼합되어 적당한 점도와 경도를 유지함으로써 경화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주제와 경화제 혼합시 가사시간(pot life)을 연장시켜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1 분자 중에 2 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인 것이 좋으며, 특히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 수소화 TDI, 트리메틸 프로판-TDI(trimethyl propane-TDI),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tripehnylmethane-triisocyanate, TTI),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dipehenylmethane-4,4-diisocianate, MDI), 수소화 MDI, 또는 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diisocyanate, HDI)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제는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는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수용성 2액형 접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작업 현장에 도포 및 경화시켜 제조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상기 구성 성분의 일부를 제외하거나 상기 구성 성분 모두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방부제, 증점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제조되는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색소 성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8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 20 중량부, 물 25 중량부, 탄산칼슘 10 중량부, 계면활성제 1 중량부, 요변성 부여제 5 중량부로 혼합하여 주제를 제조하고, 톨루엔-디이소시아테이트(toluen-diisocyanate, TDI)를 포함하는 경화제 25 중량부를 혼합한 후, 도포 및 경화하여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를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1로 하였다.
이때, 계면활성제는 탄소수 8개의 제미니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의 전체적인 합성과정은 다이아민과 1-브로모알케인의 반응에서 시작하였다. N,N,N',N'-테트라메틸-1,3-다이아미노프로페인(N,N,N',N'-tetramethyl-1,3-diaminopropane) 0.1 mole과 1-브로모옥테인(1-bromooctane) 0.2 mole을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300g에 넣고 30분간 교반시켜 주었고, 이 용액을 12 시간 동안 353K에서 환류시킨 뒤, 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를 이용해 아세토나이트릴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생성물에 500g의 다이에틸 에테르(Diethylether)를 추가하여 생성물을 재결정화시켰다. 이를 거른 후 다이에틸 에테르 500g으로 씻어주며 반응하지 않은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과정을 거친 생성물을 323K의 진공 오븐에서 12 시간 동안 처리하여 잔여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제미니 계면활성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주제에 산화아티몬 5 중량부 및 산화지르코늄 5 중량부를 분말 형태로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2로 하였다.
[실시예 3]
주제에 소듐실리케이트 5 중량부, 이황화 몰리브덴 3 중량부, 백반 3 중량부, γ-보헤마이트 8 중량부를 분말 형태로 더 첨가한 것만 제외하고,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하였다.
[비교예]
종래의 에폭시 온돌마루 접착제(SEP-4300, 삼창기연㈜)을 비교예로 하였다.
[실험예 1 : 접착력 테스트]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접착력 테스트(KS F 4715)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표 4]
Figure 112018083061056-pat00004
LH 공사의 접착강도는 0.8 N/㎟ 이상이 합격 기준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는 모두 합격 기준을 만족하였다. 그러나, 실시예의 접착강도가 비교예에 비해 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 내열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접착시트 또는 접착제를 80℃로 유지되는 열풍 순환식 가열로에서 8시간 가열한 후 황변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8083061056-pat00005
상기 표 5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실시예는 비교예와 달리 황변되는 부분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실시예의 내열성이 비교예에 비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항균성 평가]
실시예 3 및 비교예의 접착제 조성물에 대해 항균력 테스트(JIS Z 2801)를 실시하였다. 시험균주는 Aspergillus niger ATCC 9642(곰팡이)를 사용하였고, 항균력(항균 활성치)을 평가하여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표 6]
Figure 112018083061056-pat00006
항균 활성치란 일정시간 동안 배양된 균주의 수를 비교하여 항균정도를 평가한 값으로서, 그 값이 1 이상이면 90% 이상의 균주가, 2 이상이면 99% 이상의 균주가, 3 이상이면 99.9% 이상의 균주가, 4 이상이면 99.99% 이상의 균주가, 5 이상이면 99.999% 이상의 균주가 사멸되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다.
상기 표 6을 통해 알 수 있듯이, γ-보헤마이트를 포함하는 실시예 3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항균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전선 피복 제거 장치
100: 베이스 프레임
200: 본체
210: 제1 조절 나사
220: 제2 조절 나사
230: 온도 조절 수단
240: 구동 암
310: 하부 커팅부
320: 상부 커팅부
400: 가이드부
500: 발판 부재

Claims (2)

  1. 통공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단에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구동 암이 구비된 본체;
    상기 구동 암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 암의 동작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는 상부 커팅부와, 지면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커팅부와 대향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 배치되는 하부 커팅부로 구성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로 삽입되는 전선이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상기 커팅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통공에 관통 삽입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구동 암과 연결되며, 상기 전선을 감싸는 피복이 상기 커팅부에 의해 제거되도록, 사용자로부터 제공받은 외력을 상기 와이어를 통해 상기 구동 암으로 전달하는 발판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전선 피복 제거 장치는, 상기 구동 암의 하강 거리를 조절하는 제1 조절 나사와, 상기 가이드부의 돌출 방향을 조절하는 제2 조절 나사와, 상기 커팅부를 가열시키는 가열 수단과, 상기 가열 수단의 가열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판 부재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발판 부재와 연결된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기 구동 암이 지면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상기 구동 암과 연결된 상기 상부 커팅부가 상기 하부 커팅부 쪽으로 접근하여, 상기 상부 커팅부와 상기 하부 커팅부 사이에 삽입된 상기 전선을 감싸는 피복을 절단하되,
    상기 커팅부에 의한 피복 절단 과정에서 전선의 도체가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조절 나사에 의해 상기 구동 암의 최대 하강 거리가 제한되어 상기 상부 커팅부는 상기 하부 커팅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이격 거리만큼만 하강되고,
    상기 구동 암이 하강하여 상기 상부 커팅부 및 상기 하부 커팅부가 상기 피복과 접촉하면, 상기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된 상기 상부 커팅부 및 상기 하부 커팅부에 의해 상기 피복이 융해되면서, 상기 상부 커팅부 및 상기 하부 커팅부의 절삭면에 의해 상기 피복이 절삭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전선이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만 삽입되어 상기 커팅부에 의해 상기 피복이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도록, 상기 제2 조절 나사에 의해 상기 커팅부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커팅부로 삽입된 상기 전선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전선의 삽입 길이를 가이드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본체는 접착제 조성물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주제 및 경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주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30~90 중량부, 폴리비닐알콜(PVA) 1~30 중량부, 물 10~30 중량부, 탄산칼슘 5~30 중량부, 계면활성제 0.1~1 중량부 및 요변성 부여제 1~2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비닐알콜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1~30 중량부로 포함되고,
    산화안티몬 및 산화지르코늄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각각 5~10 중량부로 포함되며,
    소듐 실리케이트는 고형분 기준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3~7 중량부로 포함되고,
    이황화 몰리브덴은 고형분 기준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30~90 중량부에 대해서 1~5 중량부로 포함되며,
    난연제는 백반 분말이고, 상기 난연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1~5 중량부로 포함되고,
    수산화알루미늄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30~90 중량부에 대해서 5~10 중량부로 포함되고,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제는 주제 100 중량부에 대해서 1~20 중량부로 포함되
    는, 전선 피복 제거 장치.
  2. 삭제
KR1020180097813A 2018-08-22 2018-08-22 전선 피복 제거 장치 Active KR101943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13A KR101943645B1 (ko) 2018-08-22 2018-08-22 전선 피복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13A KR101943645B1 (ko) 2018-08-22 2018-08-22 전선 피복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645B1 true KR101943645B1 (ko) 2019-01-29

Family

ID=6532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813A Active KR101943645B1 (ko) 2018-08-22 2018-08-22 전선 피복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6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228B1 (ko) * 2022-01-20 2022-12-26 주현명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0401U (ko) * 1985-03-25 1986-10-04
JPH0529225U (ja) * 1991-09-20 1993-04-16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の中間被覆剥ぎ機
JPH09191524A (ja) * 1996-01-12 1997-07-22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皮剥装置
JP2001016735A (ja) * 1999-06-25 2001-01-19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端末の絶縁被覆除去装置
KR200403515Y1 (ko) * 2005-09-21 2005-12-09 성지산업 주식회사 전선 탈피기
KR20140146316A (ko) 2013-06-17 2014-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피복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0401U (ko) * 1985-03-25 1986-10-04
JPH0529225U (ja) * 1991-09-20 1993-04-16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の中間被覆剥ぎ機
JPH09191524A (ja) * 1996-01-12 1997-07-22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皮剥装置
JP2001016735A (ja) * 1999-06-25 2001-01-19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端末の絶縁被覆除去装置
KR200403515Y1 (ko) * 2005-09-21 2005-12-09 성지산업 주식회사 전선 탈피기
KR20140146316A (ko) 2013-06-17 2014-12-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전선 피복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228B1 (ko) * 2022-01-20 2022-12-26 주현명 케이블 자동 피복 탈피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9191B1 (ko) 천공 장치
KR101909876B1 (ko) 원료배합장치
KR101962762B1 (ko) 자재 이송 장치
KR101909878B1 (ko) 접착제조성물
KR102173062B1 (ko) 탈크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901456B1 (ko) 압출물 자동 이송 절단 장치
KR101975170B1 (ko) 철판 절곡 장치
KR102017034B1 (ko) 용접장치 운반용 대차
KR101943645B1 (ko) 전선 피복 제거 장치
KR101912909B1 (ko) 철판 절곡 장치
KR101927392B1 (ko) 천공장치
KR101917078B1 (ko) 플라스틱 제품 자동 절단 장치
KR101909875B1 (ko) 축관기
Vijayan et al. Aluminium trihydroxide: Novel reinforcing filler in Polychloroprene rubber
KR101917079B1 (ko) 접착식 자동 먼지 제거 장치
KR101924842B1 (ko) 프레임 절단 장치
KR20160125378A (ko) 탄소 재료, 수지 복합 재료 및 그들의 제조 방법
KR101935054B1 (ko) 배터리 셀 적층 장치
KR102048278B1 (ko) 회로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47343B1 (ko) 비닐 폴딩 장치
JP2014201676A (ja) 樹脂複合材料の製造方法
KR101929050B1 (ko) 종이 판재 이송 및 패턴 형성 장치
KR101914787B1 (ko) 권취롤러 지지장치
KR101927332B1 (ko) 잉크 교반 장치
KR101937633B1 (ko) Pvc 시트 제조용 교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