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483B1 - Apparatus for treating contamination sedimen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eating contamination sedi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3483B1 KR101943483B1 KR1020180109615A KR20180109615A KR101943483B1 KR 101943483 B1 KR101943483 B1 KR 101943483B1 KR 1020180109615 A KR1020180109615 A KR 1020180109615A KR 20180109615 A KR20180109615 A KR 20180109615A KR 101943483 B1 KR101943483 B1 KR 1019434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nd
- washing
- cylinder
- conveying
- washing 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6—Drum classif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3/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et-separating apparatus or for dressing plant, using physical effec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6—Devices therefor, other than using centrifugal force
- B03B5/42—Devices therefor, other than using centrifugal force of drum or lifting wheel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2—Extraction using liquids, e.g. washing, leaching, fl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03B2011/008—Screw discharg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준설토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준설토에 포함된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재활용을 극대화 하고, 악취 발생을 최소화한 준설토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edged soil treatmen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edged soil treatment apparatus that effectively separates contaminants contained in dredged soil to maximize recycling and minimizes the generation of odors.
일반적으로, 하천 준설에서 발생되는 준설토는 유기물질과 유기성부유물질 등과 같은 유기협잡물을 분리 및 제거하여 자갈과 같은 조대협잡물(골재), 모래를 재사용하게 된다. 준설토는 이송 콘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며 목재, 플라스틱 등과 같은 조대폐기물과 조대협잡물이 분리되고, 이후 물을 분사하여 유기협잡물을 제거함으로써 모래를 재사용하게 하게 된다.Generally, the dredged soil generated from river dredging separates and removes organic impurities such as organic substances and organic suspended substances, thereby reusing coarse contaminants such as gravel and sand. The dredged soil is transported along the conveying conveyor, and the coarse waste such as wood, plastic and the like are separated from the coarse material, and then the water is sprayed to remove the organic impurities, thereby reusing the sand.
그러나 종래의 준설토 처리방법은 조대협잡물의 분리가 수작업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인력 투입 문제, 유기협잡물 분리 제거의 한계, 처리작업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악취가 발생하여 민원이 제기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dredged soil treatment method, since the separation of coarse dirt is performed manually, there is a problem that a complaint is generated due to a malodor due to a problem of input of manpower, limitation of removal of organic contaminants, and open processing.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2258호 "혼합탱크형 침사분지장치",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507호 " 준설토 처리시스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8067호 "준설토 처리방치 및 그 처리방법" 등이 개시되어 위 문제를 해소하고 있다.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92258 entitled " Mixed Tank Type Needle Branching Device ",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27507 "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58067 " &Quot; and the like are sol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92258호는 준설토와 침사를 침사분리장치로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비용절감, 부지선정 불필요, 운영인력의 절감 등의 이익이 있고, 악취발생 및 부패의 원인이 되는 침사 내의 유기협잡물이 제거되며, 침사 내의 수분함량이 대폭 감소되어 침사로 인한 악취발생 내지는 오염수 배출 등의 환경오염 문제를 크게 줄일 수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92258 discloses a method for treating dredged soil and a needle thread by using a needle separation device at the same time, thereby reducing costs, eliminating the need for site selection, and reducing operating personnel. And the moisture content in the needle bed is greatly reduced, thereby greatly reducing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such as the generation of bad odors or the emission of polluted water due to the needling.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27507호는 고압살수조와 진동스크린이 구성된 선별부 그리고, 복수개의 사이클론와 미세공기부상장치 및 급속세척조가 구성된 유기물 처리부 또한, 집수조와 침전조와 세척수조 등 다수의 수조가 구성된 수처리부 및, 그외 다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준설토 처리시스템을 구비함으로써, 준설토 처리시스템의 선별부에서는 준설토에 포함된 슬러지 즉, 조대 폐기물이나 조대 골재 등을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분리 및 제거할 뿐만 아니라 유기물처리부에서는 준설토에 함유된 유기물질과 유기성부유물질 등을 원활하게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27507 discloses an organic material treatment unit comprising a high-pressure water spray tank and a vibration screen, an organic material treatmen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yclones, a micro-air floating apparatus, and a rapid washing tank. The water treatment tank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 tanks And a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other devices, the sorting unit of the dredged soil treatment system not only separates and removes sludge contained in the dredged soil, that is, coarse waste and coarse aggregate more easily and easily, Has an effect of smoothly removing organic substances and organic suspended substances contained in dredged soil.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8067호는 종래 중금속의 오염으로 인해 재활용되지 못하고 전량 매립 처분되는 오염 준설토를 처리하여 오염 준설토의 30~60%에 해당하는 모래는 선별 후 재활용하고, 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미세 준설토는 정화 처리량을 최소화 하여 정화한 후 성토재 등으로 재활용함으로써, 골재 재활용의 극대화와 최종 매립량의 최소화를 통하여, 매립장 확보의 난관을 극복하고 준설토 매립에 따른 토양의 오염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58067 discloses a method of treating contaminated dredged soil which is not recycled due to contamination of conventional heavy metals and disposing the whole amount of landfill so that 30 to 60% of the dredged sand is sorted and recycled, Distributed microdredged soils can be cleaned by minimizing the amount of purification treatment and then recycled as embankment. By maximizing the recycling of aggregate and minimizing the amount of final landfill,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securing landfill and reduce contamination of soil by dredging landfill There is an advantage.
본 발명의 목적은 준설토에 포함된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재활용을 극대화 하고, 악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준설토 처리장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edged soil treatment plant capable of effectively separating contaminants contained in dredged soil to maximize recycling and minimize the generation of odor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that are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There will b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준설토를 반입하여 저장하는 반입저장호퍼(10); 상기 반입저장호퍼(10)의 토출구(11)에 설치되는 살수노즐(13); 상기 반입저장호퍼(10)의 토출구(11)에 설치되는 낙하완충대(15); 상기 반입저장호퍼(10)의 토출구(11)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11)로부터 토출되는 준설토를 이송하는 제1 이송스크류(20); 상기 제1 이송스크류(2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20)를 통해 이송되는 준설토로부터 조대협잡물과 미세협잡물을 분리하며, 조대협잡물 배출구(31)와 미세협잡물 배출구(32)를 갖는 협잡물분리수단(30); 상기 미세협잡물 배출구(32)의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미세협잡물 배출구(32)로부터 배출되는 미세협잡물을 이송하는 제2 이송스크류(40);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상기 제2 이송스크류(40)의 중간을 감싸며, 세척수(51)를 갖는 통체(50); 상기 통체(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스크류(40)를 감싸며, 상기 세척수(51)에 일부 잠긴 채 회전하며 상기 제2 이송스크류(40)가 이송하는 미세협잡물로부터 유기협잡물을 제거하여 모래를 분리하는, 다수개의 구멍들(61)을 갖는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 상기 통체(50)의 하부에 연장 설치되며, 상기 세척수(51)로부터 유기협잡물의 침전 장소를 마련하는 하부통체(70); 상기 하부통체(70)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통체(70)로 침전되는 유기협잡물을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3 이송스크류(80); 상기 통체(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 위에 위치하며, 제1 살수관(91)과 상기 제1 살수관(91)에 거리를 두고 배열 설치되는 제1 노즐(93)로 이루어져, 상기 세척수(51)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에 살수하여 상기 구멍들(61)의 막힘을 방지하는 제1 막힘방지수단(90); 및 상기 통체(50)에 상기 세척수(51)를 공급하는 제1 세척수 공급관(110)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eiving and storing hopper (10) for loading and storing dredged soil; A
구체적으로, 상기 통체(50)의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51)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120)가 설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a
상기 통체(50)의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51)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는 초음파진동자(130)가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통체(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을 통해 분리된 모래를 상기 통체(50)의 외부로 배출하는 모래 배출관(140)과, 상기 모래 배출관(140)의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모래 배출관(140)으로부터 배출되는 모래를 이송하는 제4 이송스큐류(150)와,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상기 제4 이송스크류(150)의 일부를 감싸며, 세척수(161)를 갖는 세척통체(160)와, 상기 세척통체(1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4 이송스크류(150)를 감싸며, 상기 세척수(161)에 일부 잠긴 채 회전하며 상기 제4 이송스크류(150)가 이송하는 모래를 세척하여 유기협잡물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구멍들(171)을 갖는 세척드럼(170)과, 상기 세척통체(160)의 하부에 연장 설치되며, 상기 세척수(161)로부터 유기협잡물의 침전 장소를 마련하는 침전통체(180)와, 상기 침전통체(180)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통체(180)로 침전되는 유기협잡물을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5 이송스크류(190)와, 상기 세척통체(1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드럼(170) 위에 위치하며, 제2 살수관(211)과 상기 제2 살수관(211)에 거리를 두고 배열 설치되는 제2 노즐(213)로 이루어져, 상기 세척수(161)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세척드럼(170)에 살수하여 상기 구멍들(171)의 막힘을 방지하는 제2 막힘방지수단(210)과, 상기 세척통체(160)에 상기 세척수(161)를 공급하는 제2 세척수 공급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A
상기 세척통체(160)의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161)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165)가 설치될 수 있다.A
상기 세척통체(160)의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161)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는 초음파진동자(167)가 설치될 수 있다.An
상기 세척통체(1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드럼(170)을 통해 세척된 모래를 상기 세척통체(160)의 외부로 배출하는 모래 배출관(230)과, 상기 모래 배출관(230)의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모래 배출관(230)으로부터 배출되는 모래를 이송하는 제6 이송스큐류(240)와, 상기 제6 이송스크류(240)로부터 이송되는 모래를 탈수하는 탈수수단(250)과, 상기 살수노즐(13), 제1 살수관(91), 상기 제2 살수관(211), 상기 제1 세척수 공급관(110), 상기 제2 세척수 공급관(220)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510)를 포함할 수 있다.A
상기 탈수수단(250)은 상기 제6 이송스크류(240)로부터 이송되는 모래를 유입하는 탈수호퍼(251)와, 상기 탈수호퍼(251)의 내벽면에 상기 탈수호퍼(251)의 길이를 따라 나선 모양으로 설치되어 상기 탈수호퍼(251)로 유입되는 모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252)과, 상기 탈수호퍼(251)에 설치되며, 상기 탈수호퍼(251)에 에어를 공급하여 모래를 탈수하는 에어분사노즐(253)과, 상기 탈수호퍼(251)에 설치되는 에어벤트(254)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watering means 250 includes a
본 발명에 의하면, 조대협잡물의 분리가 쉽고, 수중에서 준설토를 회전시켜 유기협잡물을 분리하고 세척함으로써 유기협잡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깨끗한 상태의 모래를 재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arse clods can be easily separated, and the organic clogs can be effectively removed by rotating the dredged soil in water to separate and clean the organic clogs, so that clean sand can be reused.
또한, 본 발명은 조대협잡물 분리 공정, 유기협잡물 분리 공정, 세척공정이 외기와 거의 접촉하지 않은 폐쇄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악취 발생이 최소화 되어 민원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arse-grained separation process, the organic contaminant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are performed in a closed space that is hardly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e generation of the odor is minimized and the generation of complaint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준설토 처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유기협잡물분리드럼과 제2 이송스크류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세척드럼과 제4 이송스크류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dredged soil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3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organic impurity separation drum and the second conveyance screw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cleaning drum and the fourth conveyance screw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whenever possib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천 등에서 준설된 준설토는 반입저장호퍼(10)로 반입된다. 반입저장호퍼(10)의 상부에는 사각 격자형의 스크린(12)이 설치되어 반입되는 준설토로부터 목재, 플라스틱, 금속 등 조대폐기물을 분리할 수 있다. 준설토는 스크린(12)을 통해 5mm 이상의 조대폐기물이 분리될 수 있다. 반입저장호퍼(10)가 지상 설치시, 준설토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어 반입저장호퍼(10)로 반입될 수 있고, 반입저장포호퍼(10)의 상부를 감싸 폐쇄하는 방(room)을 만들어 악취 누출을 최소화 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redged soil dredged in a river or the like is carried into the loading and unloading
반입저장호퍼(10)로 반입된 준설토는 반입저장호퍼(10)의 하부에 형성된 토출구(1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반입저장호퍼(10)의 토출구(11)에는 살수노즐(13)과 낙하완충대(15)가 각각 설치될 수 있고, 반입저장호퍼(10)의 토출구(11) 아래에는 토출구(11)로부터 토출되는 준설토를 이송하는 제1 이송스크류(20)가 설치된다.The dredged soil carried into the
낙하완충대(15)는 토출구(11)로 토출되는 준설토의 낙하 충격을 완화하여 제1 이송스크류(20)를 보호하며, 살수노즐(13)은 반대편에서 낙하완충대(15)를 향해 고압의 물을 살수함으로써 준설토가 낙하완충대(15)에 적체되지 않고 원활히 제1 이송스크류(20)로 낙하할 수 있도록 한다. 낙하완충대(15)는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하고, 낙하완충대(15) 위로 토출구(11)에는 살수노즐(14)이 더 설치되어 낙하완충대(15)를 향해 고압수를 살수할 수 있다. 살수노즐(13)(14)이 살수하는 물은 제1 이송스크류(20)로 흘러들어가 준설토의 이송을 돕게 된다. 제1 이송스크류(20)는 토출구(11)와 접하여 설치되어 악취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The
제1 이송스크류(20)를 통해 이송되는 준설토는 협잡물분리수단(30)에서 조대협잡물과 미세협잡물로 분리된다. 준설토는 협잡물분리수단(30)을 거쳐 자갈과 같은 3mm 이상의 조대협잡물과 그 미만인 미세협잡물로 분리된다.The dredged soil conveyed through the
협잡물분리수단(30)은 제1 이송스크류(20)를 통해 이송되는 준설토를 받아 이송하는 이송스크류(33)와, 이송스크류(34)를 감싸며 회전하는 다공 구조의 여과스크린(34)를 포함하며, 여과스크린(34)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진 준설토의 조대협잡물은 이송스크류(33)에 의해 밀려나가 조대협잡물 배출구(31)로 빠져 나가고, 여과스크린(33)을 통과한 미세협잡물은 모아져 미세협잡물 배출구(32)로 빠져 나간다. 여과스크린(34)은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하며 받침롤러 위에 지지되어 안정되게 제자리 회전할 수 있다. 여과스크린(34)은 케이스(35)의 내부에 설치되며, 조대협잡물 배출구(31)와 미세협잡물 배출구(32)는 케이스(35)의 단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된다.The contaminant separating means 30 includes a conveying
조대협잡물 배출구(31)로 빠져 나온 조대협잡물은 컨베이어(36)를 통해 모아져 재사용되며, 케이스(35)의 내부에는 여과스크린(34)을 향해 고압수를 살수하는 살수노즐(37)이 설치되어 여과스크린(34)의 막힘을 방지하고 조대협잡물로부터 유기협잡물을 깨끗히 분리 제거할 수 있다. 살수노즐(37)을 통해 고압수가 살수되고 케이스(35)가 악취 누출을 방지함으로써 악취 발생이 최소화된다.The coarse contaminants that have escaped to the coarse
미세협잡물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되는 미세협잡물은 제2 이송스크류(40)를 통해 이송된다. 제2 이송스크류(40)는 미세협잡물 배출구(32) 아래에 설치되며, 미세협잡물 배출구(32)와 접하게 설치되어 악취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The fine contaminants discharged through the fine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제2 이송스크류(40)의 일부를 감싸며 세척수(51)를 갖는 통체(50)가 설치되고, 통체(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2 이송스크류(40)의 일부를 감싸며 세척수(51)에 일부 잠긴 채 회전하며 제2 이송스크류(40)가 이송하는 미세협잡물로부터 유기협잡물을 제거하여 모래를 분리하는 다수개의 구멍들(61)을 갖는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이 설치된다.A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은 모터(63)의 구동으로 제자리 회전하며, 세척수(51)에 2/3 이상 잠긴 채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은 베어링을 통해 통체(50)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진 75㎛ 이상의 모래는 제2 이송스크류(40)에 의해 밀려나가고,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을 통과한 75㎛ 미만의 유기물질 등의 유기협잡물은 세척수(51)로 빠져 나가 부유하거나 침전하게 된다. 미세협잡물이 세척수(51)에 잠긴 채 세척되기 때문에 모래로부터 유기협잡물이 효과적으로 분리 제거된다.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으로부터 분리되는 유기협잡물로 인한 악취는 통체(50)에 의해 누출이 차단되기 때문에 악취가 발생되지 않는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rganic
통체(50)의 하부에는 하부통체(70)가 연장 설치된다. 하부통체(70)는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세척수(51)로부터 유기협잡물의 침전 장소를 마련한다. 통체(50)는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침전되는 유기협잡물이 하부통체(70)에 모일 수 있도록 한다.A lower cylinder 70 is exten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하부통체(70)에는 제3 이송스크류(80)가 설치된다. 제3 이송스크류(80)는 하부통체(70)로 침전되는 유기협잡물을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하부통체(7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이송스크류(80)가 침전되는 유기협잡물을 원활히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하부통체(70)에는 유기협잡물 배출구(71)가 설치되고, 유기협잡물 배출구(71)를 통해 제3 이송스크류(80)가 이송하는 유기협잡물은 세척수(51)와 함께 하부통체(70)의 외부로 배출되어 조류조(310)로 이동되고 다시 하수처리장으로 이동되어 처리된다.A third feed screw (80) is provided in the lower cylinder (70). The
통체(50)의 상부에는 제1 막힘방지수단(90)이 설치된다. 제1 막힘방지수단(90)은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의 구멍들(61)이 유기협잡물로 인한 막힘을 방지한다. 제1 막힘방지수단(90)은 통체(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 위에 위치하며, 제1 살수관(91)과 제1 살수관(91)에 거리를 두고 배열 설치되는 제1 노즐(93)로 이루어지며, 세척수(51)로부터 노출되는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의 구멍들(61)에 제1 노즐(93)이 고압수를 살수하여 유기협잡물로 인한 구멍들(61)의 막힘을 방지한다.The first clogging preventing means (9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ylinder (50). The first clogging prevention means 90 prevents the
통체(50)에는 세척수(51)를 공급하는 제1 세척수 공급관(110)이 설치되고, 통체(50)의 내부에는 세척수(51)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1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통체(50)의 내부에는 세척수(51)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는 초음파진동자(130)가 설치될 수 있다.The
제1 세척수 공급관(110)은 통체(50)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세척수(51)를 공급하며, 세척수(51)는 수조(510)에서 예를 들면, 모터의 구동으로 제1 세척수 공급관(110)을 통해 공급된다. 본 발명은 처리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10)를 포함하며, 센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10)가 전송되는 센서(120)의 신호를 판단하여 수조(510)의 모터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통체(50)에 세척수(51)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살수노즐(13)(14)(37)의 고압수도 수조(510)에서 공급된다. 초음파진동자(130)는 통체(50) 및 세척수(51)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여 통체(50)의 내벽면에 유기협잡물의 침착을 막고 유기협잡물의 침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washing
한편, 통체(50)의 하부에는 모래 배출관(140)이 설치된다. 모래 배출관(140)은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을 통해 분리된 모래를 통체(50)의 외부로 배출하며,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이 설치되지 않은 통체(50)와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제3 이송스크류(80)가 밀어내는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을 통해 분리된 모래를 통체(50)의 외부로 배출한다.On the other hand, a
모래 배출관(140)의 아래에는 제4 이송스크류(150)가 설치된다. 모래 배출관(140)을 통해 배출되는 75㎛ 이상의 모래는 제4 이송스크류(150)를 통해 이송된다. 제4 이송스크류(150)는 모래 배출관(140)과 접하게 설치되어 악취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A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제4 이송스크류(150)의 일부를 감싸며 세척수(161)를 갖는 세척통체(160)가 설치되고, 세척통체(1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4 이송스크류(150)의 일부를 감싸며 세척수(161)에 일부 잠긴 채 회전하며 제4 이송스크류(150)가 이송하는 모래를 세척하여 유기협잡물을 더 깨끗히 제거하는 다수개의 구멍들(171)을 갖는 세척드럼(170)이 설치된다.A
세척드럼(170)은 모터(173)의 구동으로 제자리 회전하며, 세척수(161)에 2/3 이상 잠긴 채 회전함이 바람직하다. 세척드럼(170)은 베어링을 통해 세척통체(160)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한다. 세척드럼(170)을 통과하며 세척된 모래는 제4 이송스크류(150)에 의해 밀려나가고, 세척된 유기협잡물은 세척수(161)로 빠져 나가 부유하거나 침전하게 된다. 세척드럼(170)을 통과한 모래는 유기협잡물이 제거되어 깨끗한 상태가 된다. 세척드럼(170)을 통해 제거된 유기협잡물로 인한 악취는 세척통체(160)에 의해 누출이 차단되기 때문에 악취가 발생되지 않는다.It is preferable that the cleaning
세척통체(160)의 하부에는 침전통체(180)가 연장 설치된다. 침전통체(180)는 세척드럼(170)의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세척수(161)로부터 유기협잡물의 침전 장소를 마련한다. 세척통체(160)는 하부로 갈수록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침전되는 유기협잡물이 침전통체(180)에 모일 수 있도록 한다.The
침전통체(180)에는 제5 이송스크류(190)가 설치된다. 제5 이송스크류(190)는 침전통체(180)로 침전되는 유기협잡물을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침전통체(18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5 이송스크류(190)가 침전되는 유기협잡물을 원활히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침전통체(180)에는 유기협잡물 배출구(181)가 설치되고, 유기협잡물 배출구(181)를 통해 제5 이송스크류(190)가 이송하는 유기협잡물이 침전통체(180)의 외부로 배출되어 조류조(310)로 이동된다.A
세척통체(160)의 상부에는 제2 막힘방지수단(210)이 설치된다. 제2 막힘방지수단(210)은 세척드럼(170)의 구멍들(171)이 유기협잡물로 인한 막힘을 방지한다. 제2 막힘방지수단(210)은 세척통체(1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척드럼(170) 위에 위치하며, 제2 살수관(211)과 제2 살수관(211)에 거리를 두고 배열 설치되는 제2 노즐(213)로 이루어지며, 세척수(161)로부터 노출되는 세척드럼(170)의 구멍들(171)에 제2 노즐(213)이 고압수를 살수하여 세척되는 유기협잡물로 인한 구멍들(171)의 막힘을 방지한다.The second
세척통체(160)에는 세척수(161)를 공급하는 제2 세척수 공급관(220)이 설치되고, 세척통체(160)의 내부에는 세척수(161)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165)가 설치될 수 있으며, 세척통체(160)의 내부에는 세척수(161)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는 초음파진동자(167)가 설치될 수 있다.The washing
제2 세척수 공급관(220)은 세척통체(160)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세척수(161)를 공급하며, 세척수(161)는 수조(510)에서 제2 세척수 공급관(220)을 통해 공급된다. 센서(16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10)가 전송되는 센서(165)의 신호를 판단하여 수조(510)의 모터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세척통체(160)에 세척수(161)가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초음파진동자(167)는 세척통체(160) 및 세척수(161)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여 세척통체(160)의 내벽면에 유기협잡물의 침착을 막고 유기협잡물의 침전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washing
세척통체(160)의 하부에는 모래 배출관(230)이 설치되고, 모래 배출관(230)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6 이송스크류(240)와 탈수수단(250)이 설치된다.A
모래 배출관(230)은 세척드럼(170)을 통해 깨끗하게 세척된 모래를 세척통체(160)의 외부로 배출하며, 세척드럼(170)이 설치되지 않은 세척통체(160)와 세척드럼(170)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제4 이송스크류(150)가 밀어내는 모래를 세척통체(160)의 외부로 배출한다. 제6 이송스크류(240)는 모래 배출관(230)과 접하게 설치되어 악취 누출이 발생하지 않는다.The
제6 이송스크류(240)는 모래 배출관(230)의 아래에 설치되어 모래 배출관(230)으로부터 배출되는 모래를 탈수수단(250)으로 이송하며, 탈수수단(250)은 제6 이송스크류(240)로부터 이송되는 모래를 탈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탈수수단(250)은 제6 이송스크류(240)로부터 이송되는 모래를 유입하는 탈수호퍼(251)와, 탈수호퍼(251)의 내벽면에 탈수호퍼(251)의 길이를 따라 나선 모양으로 설치되어 탈수호퍼(251)로 유입되는 모래를 탈수호퍼(251)의 하부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252)과, 탈수호퍼(251)에 설치되며 탈수호퍼(251)에 에어를 공급하여 모래를 탈수하는 에어분사노즐(253)과, 탈수호퍼(251)에 설치되는 에어벤트(2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dewatering means 250 is provided with a
제6 이송스크류(240)로부터 이송되는 모래는 탈수호퍼(251)의 상부 측면으로 유입되며, 탈수호퍼(251)로 유입된 모래는 가이드라인(252)를 타고 탈수호퍼(251)의 하부로 이동한다. 예를 들면, 탈수호퍼(251)가 모래 배출관(230) 보다 높은 곳에 위치되면, 제6 이송스크류(240)는 2개 이상 배열되어 깨끗히 세척된 모래를 탈수호퍼(251)에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도면의 배치는 단지 예시된 것을 밝혀둔다.The sand conveyed from the
가이드라인(252)은 탈수호퍼(251)의 1/3 지점 정도에 까지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에어분사노즐(253)은 탈수호퍼(251)의 벽체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탈수호퍼(251)의 내부에 회오리를 형성한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에어분사노즐(253)은 가이드라인(252)의 시작측, 가이드라인(252)의 끝측, 탈수호퍼(251)의 하부측에 각각 경사지게 설치되어 고압의 압축공기를 주입함으로써 회오리를 형성할 수 있다. 나선 모양의 가이드라인(252)는 모래가 에어분사노즐(253)이 형성한 회오리를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가이드라인(252)의 시작측에 설치된 에어분사노즐(253)은 제6 이송스크류(240)를 통해 유입되는 모래가 가이드라인(252)을 신속히 타고 내려갈 수 있도록 유도하고, 가이드라인(252)의 끝측에 설치된 에어분사노즐(253)은 가이드라인(252)으로부터 낙하하는 모래를 회전시키며, 탈수호퍼(251)의 하부측에 설치된 에어분사노즐(253)은 모래의 회전 상태를 유지시킨다. 에어분사노즐(253)은 탈수호퍼(251)의 처리용량, 모래의 유입량 등을 고려하여 위치 및 개수 등이 설계될 것이다. 압축공기는 에어콤프레셔장치 등에서 압축되어 에어분사노즐(253)로 공급된다.The
에어분사노즐(253)로 인해 회전하는 모래가 탈수호퍼(251)의 내벽면과 부딪가히거나 서로 부딪혀 열을 발생함으로써 대부분의 수분이 증발되어 탈수호퍼(251)의 상부에 설치되는 에어벤트(254)를 통해 외부로 공기와 함께 배출된다. 이와 같이 탈수된 모래는 탈수호퍼(251)의 하부로 배출되어 컨베이어(281)를 통해 모아져 재사용하게 된다.The sand rotating due to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조대협잡물의 분리가 쉽고, 수중에서 준설토를 회전시켜 유기협잡물을 분리하고 세척함으로써 유기협잡물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깨끗한 상태의 모래를 재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easy to separate coarse clods, and by separating and washing organic clogs by rotating the dredged soil in water, the organic clogs can be effectively removed and the clean sand can be reused.
또한, 본 발명은 조대협잡물 분리 공정, 유기협잡물 분리 공정, 세척공정이 외기와 거의 접촉하지 않은 폐쇄된 공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악취 발생이 최소화 되어 민원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arse-grained separation process, the organic contaminant separation process, and the washing process are performed in a closed space that is hardly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the generation of the odor is minimized and the generation of complaints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0: 반입저장호퍼 11: 토출구
12: 스크린 13: 살수노즐
14: 살수노즐 15: 낙하완충대
20: 제1 이송스크류 30: 협잡물분리수단
31: 조대협잡물 배출구 32: 미세협잡물 배출구
33: 이송 스크류 34: 여과스크린
35: 케이스 36: 컨베이어
37: 살수노즐 40: 제2 이송스크류
50: 통체 51: 세척수
60: 유기협잡물분리드럼 61: 구멍
63: 모터 70: 하부통체
71: 유기협잡물 배출구 80: 제3 이송스크류
90: 제1 막힘방지수단 91: 제1 살수관
93: 제1 노즐 110: 제1 세척수 공급관
120: 센서 130: 초음파 진동자
140: 모래 배출관 150: 제4 이송스크류
160: 세척통체 161: 세척수
165: 센서 167: 초음파 진동자
170: 세척드럼 171: 구멍
173: 모터 180: 침전통체
190: 제5 이송스크류 181: 유기협잡물 배출구
210: 제2 막힘방지수단 211: 제2 살수관
213: 제2 노즐 220: 제2 세척수 공급관
230: 모래 배출관 240: 제6 이송스크류
250: 탈수수단 251: 탈수호퍼
252: 가이드라인 253: 에어분사노즐
254: 에어벤트 281: 컨베이어
310: 저류조 410: 제어부
510: 수조10: carry-in storage hopper 11: discharge port
12: Screen 13: Sprinkler nozzle
14: Sprinkler nozzle 15: Drop buffer
20: first conveying screw 30: contaminant separating means
31: coarse contaminant outlet 32: fine contaminant outlet
33: Feed screw 34: Filtration screen
35: Case 36: Conveyor
37: Sprinkling nozzle 40: Second feed screw
50: cylinder 51: washing water
60: organic impurities separation drum 61: hole
63: motor 70: lower cylinder
71: organic impurities outlet 80: third feed screw
90: First clogging prevention means 91: First water spray pipe
93: first nozzle 110: first washing water supply pipe
120: sensor 130: ultrasonic vibrator
140: Sand discharge pipe 150: Fourth feed screw
160: washing cylinder 161: washing water
165: sensor 167: ultrasonic vibrator
170: cleaning drum 171: hole
173: motor 180: settling cylinder
190: fifth conveying screw 181: organic contaminant outlet
210: second clogging prevention means 211: second water spray pipe
213: second nozzle 220: second washing water supply pipe
230: Sand exhaust pipe 240: Sixth feed screw
250: Dewatering means 251: Dewatering hopper
252: Guide line 253: Air injection nozzle
254: Air vent 281: Conveyor
310: storage tank 410: control unit
510: aquarium
Claims (8)
상기 반입저장호퍼(10)의 토출구(11)에 설치되는 살수노즐(13);
상기 반입저장호퍼(10)의 토출구(11)에 설치되는 낙하완충대(15);
상기 반입저장호퍼(10)의 토출구(11)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토출구(11)로부터 토출되는 준설토를 이송하는 제1 이송스크류(20);
상기 제1 이송스크류(20)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20)를 통해 이송되는 준설토로부터 조대협잡물과 미세협잡물을 분리하며, 조대협잡물 배출구(31)와 미세협잡물 배출구(32)를 갖는 협잡물분리수단(30);
상기 미세협잡물 배출구(32)의 아래에 설치되며, 상기 미세협잡물 배출구(32)로부터 배출되는 미세협잡물을 이송하는 제2 이송스크류(40);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상기 제2 이송스크류(40)의 중간을 감싸며, 세척수(51)를 갖는 통체(50);
상기 통체(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스크류(40)를 감싸며, 상기 세척수(51)에 일부 잠긴 채 회전하며 상기 제2 이송스크류(40)가 이송하는 미세협잡물로부터 유기협잡물을 제거하여 모래를 분리하는, 다수개의 구멍들(61)을 갖는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
상기 통체(50)의 하부에 연장 설치되며, 상기 세척수(51)로부터 유기협잡물의 침전 장소를 마련하는 하부통체(70);
상기 하부통체(70)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통체(70)로 침전되는 유기협잡물을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3 이송스크류(80);
상기 통체(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 위에 위치하며, 제1 살수관(91)과 상기 제1 살수관(91)에 거리를 두고 배열 설치되는 제1 노즐(93)로 이루어져, 상기 세척수(51)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에 살수하여 상기 구멍들(61)의 막힘을 방지하는 제1 막힘방지수단(90); 및
상기 통체(50)에 상기 세척수(51)를 공급하는 제1 세척수 공급관(110)을 포함하며,
상기 통체(5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기협잡물분리드럼(60)을 통해 분리된 모래를 상기 통체(50)의 외부로 배출하는 모래 배출관(140)과,
상기 모래 배출관(140)의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모래 배출관(140)으로부터 배출되는 모래를 이송하는 제4 이송스큐류(150)와,
내부가 빈 구조를 이루어 상기 제4 이송스크류(150)의 일부를 감싸며, 세척수(161)를 갖는 세척통체(160)와,
상기 세척통체(1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4 이송스크류(150)를 감싸며, 상기 세척수(161)에 일부 잠긴 채 회전하며 상기 제4 이송스크류(150)가 이송하는 모래를 세척하여 유기협잡물을 제거하는, 다수개의 구멍들(171)을 갖는 세척드럼(170)과,
상기 세척통체(160)의 하부에 연장 설치되며, 상기 세척수(161)로부터 유기협잡물의 침전 장소를 마련하는 침전통체(180)와,
상기 침전통체(180)에 설치되며, 상기 침전통체(180)로 침전되는 유기협잡물을 이송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제5 이송스크류(190)와,
상기 세척통체(1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드럼(170) 위에 위치하며, 제2 살수관(211)과 상기 제2 살수관(211)에 거리를 두고 배열 설치되는 제2 노즐(213)로 이루어져, 상기 세척수(161)로부터 노출되는 상기 세척드럼(170)에 살수하여 상기 구멍들(171)의 막힘을 방지하는 제2 막힘방지수단(210)과,
상기 세척통체(160)에 상기 세척수(161)를 공급하는 제2 세척수 공급관(220)을 포함하고,
상기 세척통체(16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드럼(170)을 통해 세척된 모래를 상기 세척통체(160)의 외부로 배출하는 모래 배출관(230)과,
상기 모래 배출관(230)의 아래에 설치되어 상기 모래 배출관(230)으로부터 배출되는 모래를 이송하는 제6 이송스큐류(240)와,
상기 제6 이송스크류(240)로부터 이송되는 모래를 탈수하는 탈수수단(250)과,
상기 살수노즐(13), 제1 살수관(91), 상기 제2 살수관(211), 상기 제1 세척수 공급관(110), 상기 제2 세척수 공급관(220)에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510)를 포함하고,
상기 탈수수단(250)은 상기 제6 이송스크류(240)로부터 이송되는 모래를 유입하는 탈수호퍼(251)와, 상기 탈수호퍼(251)의 내벽면에 상기 탈수호퍼(251)의 길이를 따라 나선 모양으로 설치되어 상기 탈수호퍼(251)로 유입되는 모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라인(252)과,상기 탈수호퍼(251)에 설치되며 상기 탈수호퍼(251)에 에어를 공급하여 모래를 탈수하는 에어분사노즐(253)과, 상기 탈수호퍼(251)에 설치되는 에어벤트(254)를 포함하는 준설토 처리장치.
A loading and unloading hopper 10 for loading and storing dredged soil;
A sprinkling nozzle 13 installed at a discharge port 11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hopper 10;
A dropping buffer 15 installed at a discharge port 11 of the loading and unloading hopper 10;
A first conveying screw 20 installed below the discharge port 11 of the loading and storing hopper 10 for conveying the dredged soil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11;
Separating the coarse dirt and the fine dirt from the dredged soil conveyed through the conveying screw 20 by being connected to the first conveying screw 20 and separating the coarse dirt with the coarse dirt outlet 31 and the fine dirt outlet 32 Means (30);
A second conveyance screw 40 installed below the micro-contaminant discharge port 32 for conveying micro-contaminants discharged from the micro-contaminant discharge port 32;
A cylinder (50) having an inner hollow structure and surrounding the middle of the second feed screw (40) and having wash water (51);
The second conveying screw 40 is installed inside the cylindrical body 50 and surrounds the second conveying screw 40. The second conveying screw 40 rotates while being partially immersed in the washing water 51 and removes organic contaminants from the fine contaminant conveyed by the second conveying screw 40 An organic contaminant separation drum (60) having a plurality of holes (61) for separating the sand from the sand;
A lower cylinder (70) extending downwardly of the cylinder (50) and providing a settling place of organic contaminants from the washing water (51);
A third conveying screw 80 installed in the lower cylinder 70 for conveying the organic contaminants settled in the lower cylinder 70 and discharging the organic contaminants to the outside;
A first spraying pipe 91 and a second spraying pipe 91 disposed inside the cylindrical body 50 and disposed on the organic contaminant separation drum 6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praying pipe 91 and the first spraying pipe 91 A first clogging preventing means 90 for preventing clogging of the holes 61 by sprinkling water on the organic contaminant separation drum 60 exposed from the washing water 51; And
And a first washing water supply pipe (110)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51) to the tubular body (50)
A sand discharge pipe 14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body 50 for discharging the sand separated through the organic contaminant separation drum 60 to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body 50,
A fourth conveying skew 150 disposed under the sand discharge pipe 140 for conveying sand discharged from the sand discharge pipe 140,
A washing cylinder 160 having a hollow structure and surrounding a part of the fourth conveyance screw 150 and having washing water 161,
The fourth conveyance screw 150 rotates while partially immersed in the wash water 161 to wash the sand conveyed by the fourth conveyance screw 150, A cleaning drum 170 having a plurality of holes 171,
A settling cylinder 18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washing cylinder 160 for providing a settling place for organic contaminants from the washing water 161,
A fifth conveying screw 190 installed in the sedimenting cylinder 180 for conveying the organic impurities precipitated in the sedimenting cylinder 180 and discharging the organic contaminants to the outside,
A second nozzle 213 disposed inside the washing cylinder 160 and positioned above the washing drum 170 and arranged at a distance from the second spray pipe 211 and the second spray pipe 211, A second clogging preventing unit 210 for preventing the clogging of the holes 171 by spraying the washing drum 170 exposed from the washing water 161,
And a second washing water supply pipe (220)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161) to the washing cylinder (160)
A sand discharge pipe 23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shing cylinder 160 for discharging the sand washed through the washing drum 170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cylinder 160,
A sixth conveying skew 240 installed under the sand discharge pipe 230 for conveying sand discharged from the sand discharge pipe 230,
A dewatering means 250 for dewatering the sand conveyed from the sixth conveyance screw 240,
A water tank (not shown) for storing water supplied to the spray nozzle 13, the first spray pipe 91, the second spray pipe 211, the first rinse water supply pipe 110 and the second rinse water supply pipe 220 510)
The dewatering means 250 includes a dewatering hopper 251 for introducing the sand conveyed from the sixth conveyance screw 240 and a dewatering hopper 251 for spiraling along the length of the dewatering hopper 251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dewatering hopper 251, A guide line 252 installed on the dewatering hopper 251 for guiding sand introduced into the dewatering hopper 251 and supplying air to the dewatering hopper 251 to dewater the sand, A nozzle (253), and an air vent (254) installed in the dewatering hopper (251).
상기 통체(50)의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51)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12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nsor (120)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51)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tubular body (50).
상기 통체(50)의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51)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는 초음파진동자(1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ubular body (50) is provided with an ultrasonic vibrator (130) for applying ultrasonic vibration to the washing water (51).
상기 세척통체(160)의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161)의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16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nsor (165)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washing water (161) is installed in the washing cylinder (160).
상기 세척통체(160)의 내부에는 상기 세척수(161)에 초음파 진동을 부여하는 초음파진동자(167)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토 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ultrasonic vibrator (167) for applying ultrasonic vibration to the washing water (161) is installed in the washing tubular body (16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9615A KR101943483B1 (en) | 2018-09-13 | 2018-09-13 | Apparatus for treating contamination sedi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9615A KR101943483B1 (en) | 2018-09-13 | 2018-09-13 | Apparatus for treating contamination sedi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3483B1 true KR101943483B1 (en) | 2019-01-29 |
Family
ID=65322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96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943483B1 (en) | 2018-09-13 | 2018-09-13 | Apparatus for treating contamination sedi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348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04116A (en) * | 2020-12-10 | 2021-02-26 | 华夏碧水环保科技有限公司 | Soil remediation processing system |
KR102491949B1 (en) * | 2022-07-01 | 2023-01-26 | 최정호 | Dredged soil processing device |
WO2024119987A1 (en) * | 2022-12-07 | 2024-06-13 | 中交上海航道局有限公司 | River bottom mud dredging and dewatering integrated treatment device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259959A2 (en) * | 1986-07-16 | 1988-03-16 | Heritage Industries Inc | Ultrasonic vibrator tray processes and apparatus |
KR100729407B1 (en) * | 2006-08-18 | 2007-06-20 | 동아환경개발주식회사 | Countertop aggregate screening device with drum screen |
KR100892258B1 (en) | 2009-01-22 | 2009-04-09 | 최정호 | Mix Tank Type Sedimentation Separator |
KR100958067B1 (en) | 2010-02-19 | 2010-05-13 |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 Apparatus for treating contamination sediment and method thereof |
KR101127507B1 (en) | 2010-04-19 | 2012-03-26 | 주식회사 오이코스 | processing system for dredged soil |
KR20150008351A (en) * | 2014-11-25 | 2015-01-22 |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 A method for treating a sediment and a device for treating a sediment |
-
2018
- 2018-09-13 KR KR1020180109615A patent/KR10194348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259959A2 (en) * | 1986-07-16 | 1988-03-16 | Heritage Industries Inc | Ultrasonic vibrator tray processes and apparatus |
KR100729407B1 (en) * | 2006-08-18 | 2007-06-20 | 동아환경개발주식회사 | Countertop aggregate screening device with drum screen |
KR100892258B1 (en) | 2009-01-22 | 2009-04-09 | 최정호 | Mix Tank Type Sedimentation Separator |
KR100958067B1 (en) | 2010-02-19 | 2010-05-13 | 주식회사 대일이앤씨 | Apparatus for treating contamination sediment and method thereof |
KR101127507B1 (en) | 2010-04-19 | 2012-03-26 | 주식회사 오이코스 | processing system for dredged soil |
KR20150008351A (en) * | 2014-11-25 | 2015-01-22 |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 A method for treating a sediment and a device for treating a sediment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04116A (en) * | 2020-12-10 | 2021-02-26 | 华夏碧水环保科技有限公司 | Soil remediation processing system |
CN112404116B (en) * | 2020-12-10 | 2021-08-24 | 华夏碧水环保科技有限公司 | Soil remediation processing system |
KR102491949B1 (en) * | 2022-07-01 | 2023-01-26 | 최정호 | Dredged soil processing device |
WO2024119987A1 (en) * | 2022-12-07 | 2024-06-13 | 中交上海航道局有限公司 | River bottom mud dredging and dewatering integrated treatment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1236B1 (en) | Various dredged soil purification system | |
KR100952752B1 (en) | Apparatus for washing soils polluted with oil and heavy metal and method thereof | |
KR101943483B1 (en) | Apparatus for treating contamination sediment | |
KR102099047B1 (en) | Compact type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
KR101431161B1 (en) | Filtering, dehydrating equipment of sand and impurities | |
KR101782615B1 (en) | Contaminated soil remediation system and remediation method having the same | |
KR101915030B1 (en) | Drum type heavy metal release reactor for remediation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
KR100942564B1 (en) | System for disposing of sediment | |
KR101656493B1 (en) | Sewage disposal machine | |
KR101658523B1 (en) |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 by soil separation and soil washing | |
KR20120064803A (en) | Hybrid type soil washing facility and method for separation and remediation of contaminated soil | |
KR100849521B1 (en) | Dredged Soil Separator | |
KR100912058B1 (en) | Dredged Integrated Treatment System | |
CN102020403B (en) | Sludge purification treatment method and device | |
KR100987198B1 (en) | Contaminated soil washing sorting system loaded in the vehicle | |
KR102111034B1 (en) | Dredged soil processing device | |
JP5067809B2 (en) | Sand settling equipment | |
KR101804978B1 (en) | assembled sediments separa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ediments including concomitants | |
KR101929269B1 (en) | Sludge comminution equipment for remediation system of complex contaminated soils | |
JP2006205138A (en) | Cleaning device, cleaning method, cleaning processing plant, cleaning processing method using pure water | |
KR102351916B1 (en) | GRIT CHAMBER and REMEDIATION SYSTEM OF CONTAMINATED SOILS COMPRISING THEREOF | |
KR100470138B1 (en) | A sludge treatment system | |
CN201473428U (en) | Sludge purifying treatment device | |
JP3333592B2 (en) | Sand removal equipment | |
KR100998074B1 (en) | Sludge, Oil, Soybeans and Soil Proces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301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12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