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2712B1 - Metal frame transmitting the electormagnetic wave or having the function of heat radiation - Google Patents

Metal frame transmitting the electormagnetic wave or having the function of heat radi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712B1
KR101942712B1 KR1020170149013A KR20170149013A KR101942712B1 KR 101942712 B1 KR101942712 B1 KR 101942712B1 KR 1020170149013 A KR1020170149013 A KR 1020170149013A KR 20170149013 A KR20170149013 A KR 20170149013A KR 101942712 B1 KR101942712 B1 KR 101942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frame
slit
metal
present
wirel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0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범
Original Assignee
김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범 filed Critical 김재범
Priority to EP17209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EP3340427A1/en
Priority to US15/851,750 priority patent/US20180191882A1/en
Priority to CN201711407792.4A priority patent/CN1082356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71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4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al frame allowing electromagnetic waves to penetrate the same or having a heat radiation property. The metal frame has a metal as its main component. The metal frame is applied to a device having an electromagnetic wave penetration function. A slit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frame to allow normal operation of the device by giving an electromagnetic wave penetration property to the metal frame. An area where the slit is formed is larger than the area occupied by a wireless transceiving module for electromagnetic wave penetration. The entire area occupied by the wireless transceiving module is positioned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area where the slit is formed. The slit is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metal frame. The entire area of the wireless transceiving module is overlapped in the area of the slit to give an electromagnetic wave penetration property to the metal frame. Therefore, the metal frame can be used for an outer case or an interior material of a device having a transceiving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less charging.

Description

전파의 투과가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갖는 금속 프레임{Metal frame transmitting the electormagnetic wave or having the function of heat radiation}[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l frame for trans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본 발명은 전파 투과가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갖는 금속 프레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전파 투과가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갖는 금속 프레임은 금속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전파 투과가 가능하도록 하는 소정 폭의 슬릿이 형성되어 근거리 무선통신(NFC), 무선전력전송, 모바일 결제수단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련 무선 송수신 모듈이 구비된 기기의 외관 케이스로 사용되거나 내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와류(맴돌이 전류)의 생성은 전파의 투과를 방해하므로, 와류가 생성되지 않는 조건의 수립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슬릿이 형성되는 영역이 모듈의 크기(모듈이 차지하는 영역) 보다는 커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l frame capable of transmitting radio waves or having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and more particularly, a metal frame capable of transmitting radio waves or having a heat dissipation property, A slit of a predetermined width may be formed and used as an external case of an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associated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selected from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NFC),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a mobile payment means. However, since the generation of the vortex (eddy current) interferes with the transmission of the radio wave,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a condition in which the vortex is not generated. For this purpose, the region where the slit is formed must be larger than the size .

최근 무선 충전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무선 충전 기술은 휴대전화는 물론 각종 생활 기기 등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0002] Recently,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has been rapidly developing, and such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has been widely applied to mobile phones as well as various living apparatuses.

무선 충전은 비접촉 충전이라고도 하는데, 크게 전자기 유도를 이용하는 것과 자기공진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뉜다.Wireless charging is also referred to as non-contact charging, largely divided into the use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the use of self-resonance.

전자기 유도방식 충전기술은 충전 패드와 휴대전화 내부에 있는 두 개 코일이 유도전류를 일으키면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식이고, 자기공진방식은 수 m 떨어진 송수신단에 동일한 주파수로 전력을 보내 충전을 하는 방식이며, 이 중, 전자기 유도방식이 현재 가장 대중화되어 있는 기술로서 수백 kHz대의 주파수 사용이 가능하므로, 100 ~ 300kHz대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휴대전화, 노트북, 모바일 기기 등을 충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기 자동차의 충전까지도 가능하다.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charging technology is a method of charging the battery while the charging coil and the two coils inside the portable telephone cause the induction current. The self resonance type is a method of charging by sending power at the same frequency to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end which is several meters away Among them,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is the most widely used technology, and it is possible to use a frequency of several hundreds of kHz, so that it is possible to charge mobile phones, laptops, and mobile devices using frequencies of 100 to 300 kHz,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car.

한편, 휴대전화 등 모바일 기기의 메이커들은 기기 성능의 극대화를 목표로 꾸준히 기술을 개발하여 왔으며, 그 결과, 기술의 첨단화를 이루었는데, 기기 성능의 향상에 있어서 한계에 점차 근접하고 있어 기기간에 성능적으로 차별점을 두는 것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manufacturers of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have been steadily developing technologies aimed at maximizing the performance of the device. As a result, the technology has been made more advanced, and the device is gradually getting closer to the improvement of the device performance. It is getting more and more difficult to differentiate.

따라서, 이전에 비하여 디자인적인 요소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바, 기기의 외관을 이루는 프레임 재질을 어떤 것으로 선택하느냐가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Therefore,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element becomes greater than before, and the choice of the frame material that forms the appearance of the apparatus becomes an important topic.

즉, 지금까지 경량화를 목표로 플라스틱 재질의 외관을 채택하는 모바일 기기가 주로 제작되어 왔으나, 플라스틱에 의하여 질감의 고급화를 이루기에는 한계상황에 직면하였고, 이에, 색다른 질감의 표현이 가능한 대체 재질을 찾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에 있다. In other words, although mobile devices that adopt the appearance of plastic material have been mainly made for the purpose of lightening up to now, there has been a limit in achieving the high quality of the textures by the plastic, and accordingly, a substitute material However, it is not easy in reality.

금속의 외관은 플라스틱 외관을 대체하는 후보군 중 가장 우수한 후보군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금속은 전파에 대한 차폐 성능을 가지고 있고, 실제로 우수한 차폐재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무선 충전, 근거리 무선통신(NFC), 삼성페이 등 각종 무선 송수신 모듈을 이용함에 있어서 적합하지 않다. The appearance of the metal is considered to be the best candidate among the candidates to replace the plastic appearance. However, since metal has shielding ability against radio waves and is actually used as an excellent shielding material, And the like.

따라서 모바일 기기의 외관 케이스로서 플라스틱을 대체하여 외적 미관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대체재가 요망되는 바, 금속 프레임을 채택하되, 금속 프레임에도 불구하고 무선 송수신 모듈의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다면 매우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Accordingly, it is desirable that a substitute material which can improve the external aesthetic appearance by replacing the plastic as an outer case of a mobile device is desired, and it is highly desirable that a metal frame is adopted but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can be smoothly operated despite the metal frame .

아울러, 방열특성에 있어서도 금속은 그 어떤 재질보다도 방열특성이 우수한 바, 전술한 각종 무선 송수신 모듈의 작동을 담보하면서 방열특성을 제고할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In addition, the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 of the metal is superior to that of any material, and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while ensuring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s described abov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08130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4-000813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08273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4-000827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04242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4-010424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13147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4-0113147

"분할 링 공진기를 이용한 소형 CPW 급전 슬롯 안테나 설계",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ume 18, Issue10, p2351~2358, 31 Oct 2014 (http://central.oak.go.kr/journallist/journaldetail.do;jsessionid=E4FE5E83B5B811E6E3025D752C9557C7?article_seq=14937&tabname=abst&resource_seq=-1&keywords=null)"Design of Miniature CPW Feed Slot Antenna Using Split Ring Resonato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s Volume 18, Issue 10, p2351 ~ 2358, 31 Oct 2014 (http://central.oak.go.kr/journallist /journaldetail.do;jsessionid=E4FE5E83B5B811E6E3025D752C9557C7?article_seq=14937&tabname=abst&resource_seq=-1&keywords=null)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영역, 특히 무선충전, 근거리 무선통신, 모바일 결제 등을 위하여 기판에 마련된 코일 형성 영역에 대응되는 금속 프레임의 위치에 슬릿이 형성되되, 슬릿의 형성 영역이 상기 코일 형성 영역 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금속 프레임에 적어도 전파 투과 기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al frame, A slit is formed at a position of the coil forming region, and a slit is formed in a region larger than the coil forming region, so that at least a radio wave transmitting function can be imparted to the metal fr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와 같이 금속 프레임 재질로 제작됨에도 불구하고, 무선통신 또는 무선 송수신 모듈이 구비된 통신기기, 충전송신기기, 충전수신기기 등의 외관 케이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ternal case for a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or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a charging transmitter, and a charging receiver even though the metallic frame is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또 목적은 플라스틱보다 더 우수하고 고급스런 질감을 갖는 금속 재질을 채택하여 적용 기기 외관의 심미감 향상과 더불어 적용 기기의 전반적인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전파 투과가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갖는 금속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al material which has better quality than plastics and has a high quality of a metal to improve the esthetics of the appearance of the applied device and to improve the overall durability of the applied device. And a metal fr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색상의 금속 프레임에 각각 슬릿을 형성하고, 슬릿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하로 적층함으로써 프레임에 다양한 컬러를 부여하며, 따라서 기기 외관의 시각적 효과를 상승시켜 심미감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갖는 금속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al frame with slits which are different in color from each other and stacking the slits vertically so that the slits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give various colors to the frame, Which is capable of transmitting radio waves and having heat radiation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속 프레임이 전파 투과 수단으로서 사용됨과 병행하여 방열수단으로 사용됨으로써, 종래의 방열수단인 탄소계열 방열 플레이트 등을 대체하거나, 탄소계열 방열 플레이트 등과 함께 사용되어 기기의 방열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전파 투과가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갖는 금속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al frame which is used as a radio wave transmitting means and is used as a heat dissipating means to replace a carbon heat dissipating plate or the like which is a conventional heat dissipating means, And which can radiate radio waves or heat dissipation properties that can further maximize the size of the metal frame.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금속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금속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프레임은 전파 투과 기능을 갖는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금속 프레임에 적어도 전파 투과 특성을 부여하여 상기 기기의 정상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슬릿(slit)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이 형성된 영역은 전파 투과를 위한 무선 송수신 모듈이 차지하는 영역에 비하여 크며,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이 차지하는 영역 전체는 상기 슬릿이 형성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하거나 방열 특성을 갖는 금속 프레임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al frame comprising metal as a main component, wherein the metal frame is applied to a device having a radio wave transmission function, and at least a radio wav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is imparted to the metal frame, A slit is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rame so as to enable normal operation, and the area where the slit is formed is larger than the area occupied by the radio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radio wave transmission, and the entire area occupied by the radio transmission / Wherein the metal frame is positioned within at least a part of the region where the slit is formed.

상기 슬릿과 금속 프레임의 경계는 직선, 곡선, 절곡선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boundary between the slit and the metal fram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nd a folded line.

상기 슬릿은, 직선, 곡선, 절곡선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턴(pattern)을 형성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lit extends to form at least one pattern selected from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nd a folded line.

상기 슬릿은, 3D 프린팅, 도금, 소잉(sawing), 레이저, 펀칭 및 에칭(etching) 중 적어도 하나의 의해 형성 또는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lit is formed or processed by at least one of 3D printing, plating, sawing, laser, punching, and etching.

상기 슬릿은 0 초과 수 밀리미터(mm) 이하의 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lit preferably has a width of more than 0 millimeters (mm).

상기 금속 프레임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al frame preferably includes aluminum or copper.

상기 금속 프레임은, 기기에 구비된 무선전력 또는 무선충전의 송신부 또는 수신부의 주 송신 방향 또는 주 수신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etal frame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main transmission direction or a main reception direction of a transmission unit or a reception unit of wireless power or wireless charging equipped in the apparatus.

상기 금속 프레임은, 무선통신(NFC)모듈상에 다단이 적층되어 전계를 증폭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etal frame amplifies an electric field by stacking multi-stag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FC) module.

상기 금속 프레임은, 상기 패턴이 동일하도록 적층되거나, 엇갈려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 frame is stacked such that the patterns are the same or alternately stacked.

상기 금속 프레임은, 탄소 계열 방열 플레이트를 대체하거나 탄소 계열 방열 플레이트와 함께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al frame is preferably used in place of the carbon-based heat-dissipating plate or in combination with the carbon-based heat-dissipating plate.

복수의 금속 프레임이 상하로 적층되되, 각 금속 프레임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절연층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층은 공기, 필름, 코팅층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metal frames are stacked on top and bottom, and 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at least in part between the metal frames, and the insulating layer is any one of air, film, and coating layer.

하층 금속 프레임과 상층 금속 프레임의 색상이 다르게 구현되어, 하층 금속 프레임의 색상이 상층 금속 프레임의 슬릿을 통해 인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red that the colors of the lower layer metal frame and the upper layer metal frame are implemented differently so that the color of the lower layer metal frame is visible through the slits of the upper layer metal frame.

하층 금속 프레임상의 필름 또는 코팅층과 상층 금속 프레임의 색상이 다르게 구현되어, 필름 또는 코팅층의 색상이 상층 금속 프레임의 슬릿을 통해 인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red that the color of the film or coating layer on the lower layer metal frame and the upper layer metal frame be implemented differently so that the color of the film or coating layer is visible through the slits in the upper layer metal frame.

상기 상층 금속 프레임과 하층 금속 프레임이 적층될 때, 하층 금속 프레임의 패턴이 상층 금속 프레임의 패턴과 일부분도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하층 금속 프레임에 형성된 슬릿이 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upper metal frame and the lower metal frame are lamin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pattern of the lower metal frame is not overlapped with the pattern of the upper metal frame so that the slit formed in the lower metal frame is concealed.

상기 금속 프레임이 모바일 기기에 적용되어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도록 기판과 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al frame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 mobile device and used as an antenna.

상기 슬릿의 평균 폭은 서로 인접하는 두 슬릿 사이의 평균 폭의 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average width of the slits is preferably not more than twice the average width between two adjacent slits.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영역, 특히 무선충전, 근거리 무선통신, 모바일 결제 등을 위하여 기판에 마련된 코일 형성 영역에 대응되는 금속 프레임의 위치에 슬릿이 형성되되, 슬릿의 형성 영역이 상기 코일 형성 영역 보다 크도록 함으로써 금속 프레임에 적어도 전파 투과 기능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lit is formed at a position of a metal frame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a metal frame, particularly, a coil forming region provided on a substrate for wireless charg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bile settle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t least a radio wave transmitting function to the metal frame by making the region larger than the coil forming region.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금속 프레임 재질로 제작됨에도 불구하고, 무선통신 또는 무선 송수신 모듈이 구비된 통신기기, 충전송신기기, 충전수신기기 등의 외관 케이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using the metal frame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to be used as an external case of a communication device, a charge transmitter, a charge receiver, etc.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은 플라스틱보다 더 우수하고 고급스런 질감을 갖는 금속 재질을 채택하여 적용 기기 외관의 심미감 향상과 더불어 적용 기기의 전반적인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metal material having superior quality and superior quality to plastic,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sthetic feeling of the appearance of the applied device and further improve the overall durability of the applied device.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색상의 금속 프레임에 각각 슬릿을 형성하고, 슬릿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상하로 적층함으로써 프레임에 다양한 컬러를 부여하며, 따라서 기기 외관의 시각적 효과를 상승시켜 심미감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lits are formed in metal frames of different colors, and the slits are stacked vertically so as not to overlap with each other, thereby giving various colors to the frame, thereby increasing the visual effect of the appearance of the device, Can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은 금속 프레임이 전파 투과 수단으로서 사용됨과 병행하여 방열수단으로 사용됨으로써, 종래의 방열수단인 탄소계열 방열 플레이트 등을 대체하거나, 탄소계열 방열 플레이트 등과 함께 사용되어 기기의 방열효율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etal frame is used as a radiating means in combination with the radiating means,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carbon-based heat-radiating plate, which is a conventional radiating means, or to use a carbon-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 can be maximiz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입면도와 상세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과 금속 프레임의 경계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프레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프레임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프레임의 슬릿 간격에 따른 방열특성을 시간의 함수로 측정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프레임의 또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프레임의 적층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프레임의 슬릿이 형성된 영역과 모듈이 차지하는 영역간의 중첩 상황을 비교예와 함께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세도이다.
1 is an elevational view and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metal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a sli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etailed view for explaining various examples of slit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boundary shape between a slit and a metal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and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l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al frame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al frame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graph showing a heat radiat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a slit interval of a metal frame as a function of ti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metal fram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cked state of a metal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1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a superposition situation between a region where a slit is formed in a metal frame and a region occupied by a modu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a comparative exampl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되는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fined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technician working in the field, and the definition is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reduced.

본 발명에서 금속 프레임은 기기의 외관을 구성할 수도 있고, 기기에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금속 프레임은 전파 투과 기능 및 방열 기능을 보유하는 한 100% 금속만으로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금속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하는 프레임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l frame may constitute the appearance of the device or may be embedded in the device. Further, the metal frame may not be composed of only 100% metal as long as it has a radio wave transmission function and a heat radiation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etal frame is interpreted as a frame containing metal as a main component.

또한,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무선 송수신 모듈은 무선 충전, 무선 통신 등 전파의 전달, 송신, 수신 등이 가능한 모듈을 총칭한다. In addition,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ollectively referred to as modules capable of transmitting,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such as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금속을 주요 성분으로 포함한다 함은 금속이 다른 성분에 비하여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Also, the inclusion of a metal as a main component means that the metal occupies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의 금속 프레임은 벌크 형태 뿐 아니라, 필름 형태와 같이 매우 얇은 성상도 포함한다. Further, the meta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not only a bulk shape but also a very thin structure such as a film shape.

또한, 본 발명에서 금속 프레임이 적용되는 기기는 모바일 기기인 휴대전화를 대표 실시예로서 표현하였으나, 상기 기기가 모바일 기기인 휴대전화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트북, 웨어러블 기기, 무선 충전기 등도 포함된다. 또한, 더 확장하여 빌트인 충전기, 가전제품 등과 같이, 모바일이 아닌 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발열이 되거나 전파의 투과 기능을 구비하는 기기는 모두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기기의 종류에 있어서 별다른 한정이 없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phone, which is a mobile device, is represented as a representative embodiment of a device to which a metal frame is applied. However, the device is not limited to a mobile phone, and includes a notebook computer, a wearable device, and a wireless charger. It can also be extended to other non-mobile devices, such as built-in chargers and home appliances. That is, any device that generates heat or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radio wave may be all objects, so that the type of device is not limited.

또한, 본 발명의 금속 프레임은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응용 영역은 제한이 없다.Further, the meta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of the mobile device, but the application area is not limited.

또한, 재질은 주로 경량성인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채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aterial may be mainly lightweight aluminum or copp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금속 프레임은 플레이트 형상이 주로 채택될 것이나, 플레이트 형상으로 한정되지 아니함 또한 당연하다.Further, although the metal frame is mainly adopted as a plate shape, it is also natural that it is not limited to a plate shape.

여기서, 수 나노미터는 1나노미터 이상 10나노미터 미만을 뜻하며, 수십 나노미터는 10나노미터 이상 100나노미터 미만을 뜻한다. 서브 밀리미터는 0.1 밀리미터 이상 1 밀리미터 미만을 뜻한다. 그 밖에도, "수"와 "서브"는 위와 같은 규칙에 의거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Here, a few nanometers means one or more nanometers to less than 10 nanometers, and a few tens of nanometers means a nanometer to less than 100 nanometers. The sub-millimeter means more than 0.1 millimeter and less than 1 millimeter. In addition, "number" and "sub" shall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rules.

또한, 본 발명에서 슬릿(slit)은 금속 프레임 등 기물에 빛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두께 방향으로 삭제되어 형성된 틈을 의미한다.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 slit means a gap formed by being removed in a thickness direction to such a degree that light can pass through a material such as a metal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슬릿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a slit.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은 일 예로서, 모바일 기기(M)의 외관 케이스로 사용되며, 이러한 금속 프레임(100)에는 예를 들어 수 밀리미터(mm) 이하의 폭(W)을 갖는 슬릿(110)이 형성되어 통상 전파 차폐 기능을 갖는 금속 프레임(100)에 전파 투과 기능이 부여되도록 하였다. 슬릿의 폭은 위에서 제시된 수치 범위가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나, 이보다 더 클 수도 있다. 다만, 슬릿의 폭이 이보다 좁을수록 전파 투과 특성을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더 우수한 방열특성의 구현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확보되고, 외관상으로도 우수한 심미감을 줄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metal frame 100 is used as an outer case of the mobile device M as an example. In the metal frame 100, for example, a slit having a width W of several millimeters (mm) (110) is formed to impart a radio wave transmission function to the metal frame (100) having a normal radio wave shielding function. The width of the slit may be said to be desirable, but it may be larger. However, the narrower the width of the slit, the more excellent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can be realized within the range of maintaining the radio wav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the durability can be ensured, and the superior aesthetics can be obtained.

한편, 슬릿(110)의 폭을 수 나노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범위로 하는 경우에는 슬릿(110)에 대한 육안 식별이 어려우며, 따라서, 육안 식별이 가능한 경우와 비교하여 매우 다른 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슬릿(110)이 없는 듯한 질감의 금속 프레임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슬릿(110)의 폭을 수 나노미터 내지 수십 마이크로미터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dth of the slit 110 is in the range of several nanometers to several tens of micrometers, it is difficult to visually identify the slit 110, and thus a very different texture can be realiz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visual identification is possible . Therefore, in order to use a metal frame having no slit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slit 110 is in the range of several nanometers to several tens of micrometers.

또한, 도 2의 D1, D2…… Dn과 W의 관계를 참조하면, 슬릿의 폭(W)의 평균 값은 슬릿과 서로 인접하는 두 슬릿 사이의 폭(D1)의 평균값의 2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두 슬릿 사이의 폭이 D2, D2... Dn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In Fig. 2, D1, D2, ..., ... Referr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n and W,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value of the width W of the slit is not more than twice the average value of the width D1 between two slits adjacent to the slit, and the width between the two slits is D2, D2 ... Dn.

다만, 이 경우에도 슬릿의 폭(W)은 수 밀리미터(mm) 이내(10mm 이하)의 값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lso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W of the slit has a value within a few millimeters (mm) (10 mm or less).

한편, 무선 송수신 모듈(120)은, 무선충전용 송신부, 수신부는 물론, NFC 모듈, 삼성페이 등과 같은 모바일 결제수단 등이 될 것이다. 즉, 무선통신 또는 무선충전 등 무선 전파 투과가 가능한 모든 모듈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20 may be a mobile payment means such as an NFC module, a Samsung Pay, and the like as well as a wireless charging transmission unit and a reception unit. That is, it includes all modules capable of wireless radio wave transmission such as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less chargin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의 다양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슬릿과 금속 프레임의 경계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3 is a detailed view illustrating various examples of a slit according to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boundary shape of a slit and a metal fram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슬릿(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도 3a), 곡선(도 3b), 절곡선(도 3c)의 패턴(pattern)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으며, 이 중 두 가지 이상의 패턴이 혼합된 형태(도 4d)를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슬릿(110)의 경계 또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곡선, 절곡선, 요철구조 등이 단일 또는 랜덤하게 혼합되어 형성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slit 110 may represent a pattern of a straight line (FIG. 3A), a curve (FIG. 3B), a fold line (FIG. 3C) as shown in FIG. 3, (Fig. 4D). The boundary of the slit 110 may also be a structure in which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 curved line, a concavo-convex structure, etc. are formed singly or randomly as shown in FIG.

일 예로서, 펀칭 공정에 의하여 슬릿을 형성하는 경우, 각 펀칭공정에 의해 형성되는 천공이 서로 겹쳐지도록 연속하여 공정을 수행하면 슬릿(100)의 경계는 도 4(f)와 같은 형태를 이룬다. For example, when the slits are formed by the punching process, the slits 100 ar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erforations formed by the respective punching processe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슬릿(110)의 가공 또는 형성 방법은 위 펀칭방법 이외에도 레이저, 소잉(sawing) 및 에칭 등의 가공방법과 3d 프린팅, 도금 등의 방법이 있다.The slit 110 may be formed or formed by a method such as laser, sawing, and etching, and a method such as 3d printing or plating in addition to the punching method.

3d 프린팅과 도금을 예로 든다면, 금속 프레임에 큰 관통홀을 형성하고, 그 관통홀의 경계간에 연결되는 다수의 선형 금속지지체를 3d 프린팅을 이용하여 슬릿의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기판에 무전해 도금 등의 방식에 의해 금속층을 슬릿 모양이 되도록 적층하고 기판을 제거함으로써 금속 프레임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다. In the case of 3d printing and plating, it is possible to form a large through hole in a metal frame, and a plurality of linear metal supports connected between the boundaries of the through holes can be formed in the form of slits using 3d printing,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produce a metal frame by laminating the metal layer in a slit shape by plating or the like and removing the substrate.

이와 같은 슬릿(110)의 형성 영역은 금속 프레임(100) 전반에 걸쳐서 적용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도 6과 같이 무선 송수신 모듈(120)이 마련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만 국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무선 송수신 모듈(120)이 차지하는 범위 보다 큰 범위를 차지하여야 하며, 이는 도 11을 참고하면 이해될 수 있다. 도 11의 (a)는 무선 송수신 모듈(120) 전체 영역이 이보다 큰 슬릿 영역에 중첩되고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b) 내지 (d)는 바람직하지 않은 실시예이다. 즉, (b)와 같이 모듈(120)의 일부에만 슬릿이 중첩되거나, (c)와 같이 모듈(120)에 전혀 중첩되지 않거나, (d)와 같이 모듈(120)의 영역보다 슬릿의 영역이 더 작은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모두 와류 형태의 전류(eddy current)가 발생되므로, 전파의 투과에 있어서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도 11(a)를 달리 표현하면, 슬릿이 형성된 영역의 최외곽에 가상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경우, 무선 송수신 모듈(120)은 그 테두리 내에 들어와야 한다는 의미이다. The slit 110 may be formed over the entire metal frame 100. However, the slit 110 may be formed locally only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20 is provided as shown in FIG. 6 . However, it should be larger than the range occupied by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20, which can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11 (a) i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ntire area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20 is superimposed on a larger slit area, and (b) to (d) are not preferred embodiments. That is, as shown in (b), the slits are superimposed only on a part of the module 120, or the module 120 is not overlapped with the module 120 as shown in (c) It is a smaller case. In this case, both eddy currents are generated, which is not preferable for the transmission of radio waves. 11A, when the virtual rim is form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area where the slit is formed, it means that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20 should come into the frame.

도 11(a)에서 슬릿의 패턴 또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pattern of the slit in Fig. 11 (a) is also not limited as shown in Fig. 11 (a).

즉, 상기 슬릿이 형성된 영역은 전파 투과를 위한 무선 송수신 모듈이 차지하는 영역에 비하여 크며,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이 차지하는 영역 전체는 상기 슬릿이 형성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 내에 위치되도록(덮도록, 중첩되도록) 하여야 한다. 만일 슬릿이 형성된 영역이 모듈이 차지하는 영역 중 일부만에 대하여 중첩되거나, 전혀 중첩되지 않는 경우, 또는 슬릿이 형성된 영역 자체가 모듈이 차지하는 영역보다 작은 작은 경우에는 전파가 투과되는 과정에서 전파의 와류가 형성되며, 따라서 전파 투과가 원활치 아니하므로, 통신의 경우 송수신감도가 떨어지거나 무선 충전의 경우 충전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롯 안테나의 경우는 전파 방사 모듈에서 비롯되는 전파에 의하여 슬롯이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의 슬롯 내에 와류 전류가 발생되며, 이 와류 전류를 이용하여 슬롯내의 자속을 증감시킬 수 있는데, 이로써 슬롯이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 자체가 자속에 따라 다양한 성능을 갖는 안테나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http://central.oak.go.kr/journallist/journaldetail.do;jsessionid=E4FE5E83B5B811E6E3025D752C9557C7?article_seq=14937&tabname=abst&resource_seq=-1&keywords=null).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슬릿이 형성된 금속 프레임은 슬롯 안테나와 같이 전파의 송수신과 관련하여 모종의 기능(예를 들어 안테나 기능)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전파의 송수신과 관련하여 아무런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양 기술은 서로 대척점에 놓여 있는 기술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슬롯 안테나와 본 발명을 동일시 하거나 유사 범위의 기술로 간주하여서는 아니되며, 전혀 다른 기술이다. 여기서, 중첩이라 함은 모듈이 차지하는 영역 위에 금속 프레임의 슬릿 영역이 이격되어 위치됨을 뜻하는 것이다.That is, the area where the slit is formed is larger than the area occupied by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radio wave transmission, and the entire area occupied by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s overlapped so as to be located in at least a part of the area where the slit is formed do. If the area where the slit is formed overlaps only a part of the area occupied by the module or is not overlapped at all or if the area where the slit is formed is smaller than the area occupied by the module, Therefore, since the radio wave transmission is not smooth,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may be lowered or the charging time may be longer in the case of wireless charging.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lot antenna, a vortex current is generated in a slot of a metal plate where a slot is formed by a radio wave originating from a wave-emitting module, and the vortex current can be used to increase or decrease the magnetic flux in the slot, The formed metal plate itself functions as an antenna having various performances according to magnetic flux (http://central.oak.go.kr/journallist/journaldetail.do;jsessionid=E4FE5E83B5B811E6E3025D752C9557C7?article_seq=14937&tabname=abst&resource_seq=-1&keywords = null). However, the metal frame having the sl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erform some functions (for example, antenna functions) related to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radio waves like a slot antenna, but rather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radio waves They do not perform, so they are a technology that lies at the opposite point. Therefore, the slot antenna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regarded as a technology of the same or similar range, and they are completely different technologies. Here, the term " overlap " means that the slit region of the metal frame is spaced apart from the area occupied by the module.

한편, 금속 프레임(100)은 내구성 향상, 질감의 고급화와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채적 요소를 더 고려함으로써 이를 적용한 기기를 심미적으로 더욱 돋보이도록 할 수 있는데, 이를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metal frame 100 can further enhance the durability and the texture of the apparatus to which it is appli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color factor as shown in FIG. 5, and it can be seen from the following drawings Explain it.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을 설명하기 위해 평면도와 단면도로서, 도 5a는 필름이 부착된 금속 프레임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필름은 절연층의 역할을 한다. 이와는 달리, 필름을 부착하지 않고,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금속 프레임을 상하로 적층하되, 슬릿의 적어도 일부가 상호 중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층의 금속 프레임 색상이 상층의 금속 프레임에 형성된 슬릿(110)을 통하여 색상 발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층과 하층의 금속 프레임은 상호 직접 대면 접촉하여서는 아니되며, 다만, 부분적인 쇼트(short) 현상은 용인이 가능하므로, 상하 금속 프레임간에 상호 연결될 수는 있다.FIG. 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fil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lan view of a film-attached metal frame,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Here, the film serves as an insulating layer. Alternatively, the metal frames of different colors may be stacked on top of each other without attaching the film,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slits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lor of the metal frame of the lower layer becomes the slit 110 formed in the metal frame of the upper layer So that the color can be expressed. In this case, the metal frames of the upper and lower layers are not in direct face-to-face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 partial short phenomenon is tolerated, so that the metal frames can be interconnect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tal frames.

즉, 상하 금속 프레임간에는 적어도 일부가 절연층으로 기능할 수 있는 공기층이 존재하여야 한다. 또한, 필름 대신 색상이 부여된 폴리머 코팅층을 개재할 수도 있다. 필름과 코팅층 등은 상하층 금속 프레임간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That is, at least a part of the air layer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tal frames should function as an insulating layer. Further, a polymer coating layer imparted with a color may be interposed instead of the film. The film and the coating layer function to prevent direct contac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tal frames.

요컨대, 상기 필름, 코팅층, 공기층은 상층 금속 프레임과 하층 금속 프레임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In shor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m, the coating layer, and the air layer are present in at least a partial region between the upper layer metal frame and the lower layer metal frame.

도 5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 밑면에 기설정된 색상으로 이루어진 필름(130)이 더 부착되는데, 필름(130)의 색상은 상기 금속 프레임의 슬릿(110)을 통해 외부에서 인지되도록 함으로써, 이를 적용한 기기의 외면적 심미감에 다양한 변화를 주기 위한 것이다. 이때, 슬릿(110)의 폭이 미세하여 슬릿(110) 자체는 육안으로 잘 관찰되지 않을 수 있으나, 슬릿(110)을 통해 색상이 인지될 수는 있다(도 5a). 5, a film 130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is further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metal frame 100. The color of the film 130 is recognized through the slit 110 of the metal frame from the outside , And to give various changes to the external aesthetics of the device to which it is applied. At this time, since the width of the slit 110 is small, the slit 110 itself may not be observed with the naked eye, but the color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slit 110 (FIG. 5A).

또한, 필름(130)은 슬릿(110)을 폐쇄함으로써, 슬릿(110)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오염물질(예를 들어, 물 내지는 미세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도 갖는다. The film 130 also has a function of blocking inflow of contaminants (for example, water or fine dust) that can flow through the slit 110 by closing the slit 110.

한편, 상기 상층 금속 프레임과 하층 금속 프레임이 적층될 때, 하층 금속 프레임의 패턴이 상층 금속 프레임의 패턴과 일부분도 중첩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하층 금속 프레임에 형성된 슬릿이 은폐되도록 할 수 있는데, 슬릿의 은폐에 따른 심미감의 변화가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슬릿은 존재하는 것이므로 금속의 전파 투과 특성은 전혀 변함이 없다. When the upper metal frame and the lower metal frame are laminated, the pattern of the lower metal frame is not overlapped with the pattern of the upper metal frame, so that the slit formed in the lower metal frame can be concealed.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ense of aesthetics according to. Also in this case, since the slit exists, the radio wav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metal are not changed at all.

한편, 금속 프레임(100)은 적용 대상 기기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물론, 도 6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에 대한 방열기능을 수행하거나, 전파를 증폭시키는 안테나로서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metal frame 100 may be used as an antenna for performing a heat-dissipating function for a device or for amplifying a radio wave, as shown in FIGS. 6 to 9, as well as a case constituting an appearance of a device to be applied. .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프레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금속 프레임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al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a metal fram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은 무선충전기의 송신부(123)와 충전대상 기기의 수신부(121) 외장용 케이스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력의 원활한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고, 따라서 수신부(121)의 배터리(B)를 안정적으로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6, the metal frame 100 can be used as a case for external use of the transmitter 123 of the wireless charger and the receiver 121 of the charging target device. Through this, the power can be smoothly transmitted and received, It is possible to stably charge the battery B of the battery packs 121 and 121.

금속 프레임(100)의 방열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슬릿(110)이 가공된 금속 프레임(100)을 기기의 외관 케이스로 한 후 무선 충전을 실시하였을 때 측정되는 온도를 조사하였다. 충전시간은 약 1시간으로 하였다.In order to examine the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etal frame 100, the temperature measured when the metal frame 100 with the slit 110 formed therein was used as the outer casing of the apparatus and then wirelessly charged was measured. The charging time was about one hour.

그 결과, 40분이 경과되는 시점에서 본 발명에 의한 금속 프레임(100)은 약 36 ~ 39℃℃의 온도범위를 나타내어 무선충전의 지속성에 문제가 없었음이 확인되었다. 통상 무선 충전시 기기의 외관 케이스에서 측정되는 온도가 45℃ 이하인 경우 큰 문제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로부터 볼 때, 본 발명에 의한 금속 프레임(100)은 무선 충전기 또는 모바일 기기 등의 외관 케이스로 적용하는데 전혀 손색이 없다.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etal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ed a temperature range of about 36 to 39 DEG C at the time when 40 minutes passed, and there was no problem in the persistence of wireless charging. Normally, when the temperature measured at the external case of the device is less than 45 ° C when the wireless charging is performed, it is considered to be no problem. From this viewpoint, the metal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external case such as a wireless charger or a mobile device.

이와 마찬가지로 금속 프레임(100)은 기기에 내장되어 각종 무선 송수신 모듈(12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킬 수도 있다. Likewise, the metal frame 100 may be embedded in the device and may emit heat generated by various wireless transmitting / receiving modules 120.

한편, 금속은 열전도성이 우수하므로 가장 바람직한 방열재료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을 무선 송수신 모듈(120)의 방열재료로 적용할 경우, 전파를 차단하는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궁극적으로 금속은 방열재료로 사용될 수 없어, 통상 무선 송수신 모듈의 방열수단으로 탄소계열 물질을 사용하여 왔으며, 특히 그라파이트(Graphite)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On the other hand, the metal can be the most preferable heat radiation material because of its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However, when such a metal is used as a heat-radiating material of the wireless transceiving module 120, there is a problem of blocking the radio wave, and ultimately the metal can not be used as a heat-radiating material. , And graphite has been mainly used.

그러나, 본 발명의 금속 프레임(100)에는 슬릿(110)이 마련되어 있어, 금속 재질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투과하여 전파 투과가 가능하기 때문에, 무선 송수신 모듈(120)의 방열수단으로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since the metal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slits 110, it is possible to transmit radio waves through the metal frame 100, will be.

이 경우, 금속 프레임(100)을 도 7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파이트(125) 방열체와 함께 적층하거나, 도 7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파이트(125) 방열체를 대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라파이트(125) 방열체와 함께 적층할 때, 적층 순서나 그라파이트(125) 방열체의 성상,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됨이 없다.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tack the metal frame 100 together with the graphite 125 heat radiator as shown in Figs. 7A and 7B, or to replace the graphite 125 heat radiator as shown in Figs. 7C and 7D It is possible. When stacking together with the graphite (125) heat sink, the stacking sequence, the properties of the graphite (125) heat sink, and the stacking metho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또한, 이외에도 도 7e,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송수신 모듈상에 자성체 시트(131)를 더 개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성체 시트(131)와 금속 프레임(100), 자성체 시트(131)와 금속 프레임(100)과 그라파이트(125) 방열체를 함께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자성체와 금속 프레임(100) 및 그라파이트(125) 방열체의 적층 순서는 모든 경우의 수를 포함한다. 자성체 시트(131)는 기존의 무선 송수신 모듈에서 담당하는 작용을 그대로 담당한다. 7E and 7F, the magnetic substance sheet 131 can be further interposed on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so that the magnetic substance sheet 131, the metal frame 100, the magnetic substance sheet 131, The frame 100 and the graphite 125 heat radiator may be laminated together. In this case, the stacking order of the magnetic body and the metal frame 100 and the graphite 125 heat radiator includes the number of cases in all cases. The magnetic substance sheet 131 takes charge of the functions of the existing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한편, 그라파이트(125)와 본 발명의 금속 프레임(100)이 함께 적층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그라파이트(125)는 판상의 결정구조를 가지며, 층간 결합력이 약하므로 2차원적 수평 방향으로의 열전달 특성은 우수하나, 상하 방향으로의 열전달 특성은 매우 취약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금속 프레임(100)은 높은 전도성을 가지므로 상하 방향으로의 열전달 특성이 우수하며, 따라서 그라파이트(125)의 열전달 특성상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raphite 125 and the metal fram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aminated together, the following effects are obtained. That is, the graphite 125 has a plate-like crystal structure and is weak in the interlayer coupling force, so that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in the two-dimensional horizontal direction is excellent, but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very weak. However, since the metal fram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 conductivity, it has excellent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us can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the graphite 125 on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여기서, 그라파이트 발열체는 탄소계열 발열체의 일 예이며, 탄소계열 발열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당연하다.Here, the graphite heating element is an example of a carbon-based heating element, and it is natural that the same applies to a carbon-based heating element.

이 때, 그라파이트(125)가 금속 프레임(100)상에 코팅될 수 있으나, 그라파이트(125)상에 금속 프레임(103)이 적층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graphite 125 may be coated on the metal frame 100, but the metal frame 103 may be laminated on the graphite 125.

아울러, 도 7에 도시된 모든 층간에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접착제의 종류는 통상적으로 전자부품에 사용되는 접착제인 한 특별히 제한이 없다. In addition, an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all the layers shown in FIG. 7, and the type of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n adhesive commonly used in electronic parts.

도 8에서는 슬릿의 폭이 0.01mm(a), 1mm(b), 10mm(c), 15mm(d)인 금속 프레임(100)을 각각 시간에 따른 온도의 함수로 도식화 하였으며, 기준 물질인 그라파이트(e)와 대비하여 나타내었다.In FIG. 8, the metal frame 100 having slit widths of 0.01 mm (a), 1 mm (b), 10 mm (c), and 15 mm (d) is plotte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over time. e).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의 폭이 15mm인 경우 saturation되는 온도가 높았으며, 따라서 슬릿의 폭이 0.01mm, 1mm, 10mm인 경우에 비하여 방열특성이 더 좋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슬릿의 폭이 0.01mm, 1mm인 경우는 그라파이트의 방열특성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10mm인 경우 상대적으로 다소 높았으나, 유효한 수준의 방열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금속 프레임(100)을 기기의 방열재료로 사용되는데 손색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width of the slit is 15 mm, the saturation temperature is high. Therefore, it is found that the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are not better than those of the slit width of 0.01 mm, 1 mm, and 10 mm. On the other hand, when the width of the slit is 0.01 mm or 1 mm, the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of graphite are similar to those of graphite. When the width is 10 mm, the slit width is relatively high, but it can be judged to be an effective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metal fram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heat radiating material of the device.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슬릿(110)이 형성된 금속 프레임(100)을 사용하면 무선 송수신 모듈(12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기의 훼손 우려를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a result, the use of the metal frame 100 with the slits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overheating of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20,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solved.

이때, 무선 송수신 모듈(120)은 전력전송을 위한 송신부(123), 수신부(121) 및 NFC 모듈(127), 삼성페이와 같은 모바일 결제용 MST 모듈(129) 등인 것이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프레임(100)은 발열의 근원인 송신부 코일(124), 수신부 코일(122) 및 NFC 코일(128)에 단독 또는 그라파이트(125)와 함께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20 includes a transmitter 123, a receiver 121 and an NFC module 127 for power transmission, a mobile payment MST module 129 such as Samsung Pay, 7, the metal frame 100 is disposed alone or in conjunction with the graphite 125 in the transmission coil 124, the receiving coil 122, and the NFC coil 128, which are sources of heat generation.

이러한 금속 프레임(100)은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릿(110)의 패턴이 동일하게 적층되거나, 또는 도 10b, c와 같이 엇갈리게 적층시킬 수 있다. 도 10b에 의하면, 하층 금속 프레임의 슬릿들은 모두 최상층 금속 프레임에 의해 은폐되며, 도 10c에 의하면 하층 금속 프레임의 슬릿들은 그 상층 금속 프레임의 슬릿을 통해 적어도 일부분이 드러난다. The metal frame 100 may have the same pattern of the slits 110 as shown in FIG. 10A, or stacked alternately as shown in FIGS. 10B and 10C. According to Fig. 10B, the slits of the lower metal frame are all covered by the uppermost metal frame, and according to Fig. 10C, the slits of the lower metal frame are at least partially exposed through the slit of the upper metal fram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금속에 슬릿을 형성하여 전파 투과 특성이 부여되었다는 기술적 사상에 큰 의미가 있으며, 따라서 금속 프레임을 휴대기기에 직접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였다는 점에서 산업상 유용성이 인정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great significance in the technical idea that a slit is formed in a metal to impart a radio wav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a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rectly use a metal frame in a portable device, do.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금속 프레임 110 : 슬릿
120 : 무선 송수신 모듈 121 : 수신부
122 : 수신부 코일 123 : 송신부
124 : 송신부 코일 125 : 그라파이트
127 : NFC 모듈 128 : NFC 코일
129 : MST 모듈 130 : 필름
131 : 자성체 시트
100: metal frame 110: slit
120: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121:
122: receiver coil 123: transmitter
124: transmitting coil 125: graphite
127: NFC module 128: NFC coil
129: MST module 130: Film
131: Magnetic body sheet

Claims (6)

금속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프레임은 전파 투과 기능을 갖는 기기에 적용되며,
상기 금속 프레임에 적어도 전파 투과 특성을 부여하여 상기 기기의 정상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슬릿(slit)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이 형성된 영역은 전파 투과를 위한 무선 송수신 모듈이 차지하는 영역에 비하여 크며, 상기 무선 송수신 모듈이 차지하는 영역 전체는 상기 슬릿이 형성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 내에 위치되고,
복수의 금속 프레임이 상하로 적층되되, 각 금속 프레임 사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절연층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층은 공기, 필름, 코팅층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갖는 금속 프레임.
A metal frame comprising a metal component,
The metal frame is applied to a device having a radio wave transmission function,
A slit is formed in at least a part of the frame so as to impart at least the radio wave transmission characteristic to the metal frame to enable normal operation of the device,
Wherein the area where the slit is formed is larger than the area occupied by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for radio wave transmission, the entire area occupied by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odule is located in at least a part of the area where the slit is formed,
Wherein a plurality of metal frames are stacked on top and bottom, wherein 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at least in part between the metal frames, and the insulating layer is one of air, film, and coating layer. Metal fr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3D 프린팅, 도금, 소잉(sawing), 레이저, 펀칭 및 에칭(etching)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 또는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갖는 금속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lit
Wherein the metal frame is formed or processed by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methods: 3D printing, plating, sawing, laser, punching, and etch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프레임은,
기기에 구비된 무선전력 또는 무선충전의 송신부 또는 수신부의 주 송신 방향 또는 주 수신 방향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갖는 금속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frame comprises:
Wherein the metal frame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main transmission direction or a main reception direction of a transmitting unit or a receiving unit of wireless power or wireless charging equipped in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프레임은,
탄소 계열 방열 플레이트를 대체하거나 탄소 계열 방열 플레이트와 함께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갖는 금속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al frame comprises:
Wherein the metal frame is replaced with a carbon-based heat-radiating plate or used together with a carbon-based heat-radiating pl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평균 폭은 서로 인접하는 두 슬릿 사이의 평균 폭의 2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 투과가 가능하거나 방열특성을 갖는 금속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verage width of the slits is not more than twice an average width between two slits adjacent to each other.
KR1020170149013A 2016-12-22 2017-11-09 Metal frame transmitting the electormagnetic wave or having the function of heat radiation Expired - Fee Related KR1019427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9893.1A EP3340427A1 (en) 2016-12-22 2017-12-21 Metal frame transmitting the electromagnetic waves or having the function of heat radiation
US15/851,750 US20180191882A1 (en) 2016-12-22 2017-12-22 Metal frame transmit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or having the function of heat radiation
CN201711407792.4A CN108235632A (en) 2016-12-22 2017-12-22 Electric wave or the metal framework with heat dissipation characteristics can be penetrat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064 2016-12-22
KR1020160177064 2016-12-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712B1 true KR101942712B1 (en) 2019-01-29

Family

ID=65322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013A Expired - Fee Related KR101942712B1 (en) 2016-12-22 2017-11-09 Metal frame transmitting the electormagnetic wave or having the function of heat radi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71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148B1 (en) * 2019-09-04 2020-05-06 주식회사 부력에너지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heet with heat sink pattern and 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273A (en) 2013-11-22 2014-01-21 주식회사 스파콘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20140008130A (en) 2012-07-10 2014-01-21 주식회사 스파콘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20140104242A (en)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스파콘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20140113147A (en)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101559939B1 (en) * 2015-07-07 2015-10-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Heat radiation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KR20160030672A (en) * 2014-09-11 2016-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KR101763734B1 (en) * 2016-03-22 2017-08-01 김재범 Metal frame for the devic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KR20170096877A (en) * 2016-02-17 2017-08-25 주식회사 아모센스 back cover for portable device and antenna module embeded in back cov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8130A (en) 2012-07-10 2014-01-21 주식회사 스파콘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20140104242A (en)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스파콘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20140113147A (en)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20140008273A (en) 2013-11-22 2014-01-21 주식회사 스파콘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 i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system
KR20160030672A (en) * 2014-09-11 2016-03-21 삼성전기주식회사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ystem
KR101559939B1 (en) * 2015-07-07 2015-10-1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Heat radiation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KR20170096877A (en) * 2016-02-17 2017-08-25 주식회사 아모센스 back cover for portable device and antenna module embeded in back cover
KR101763734B1 (en) * 2016-03-22 2017-08-01 김재범 Metal frame for the devic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분할 링 공진기를 이용한 소형 CPW 급전 슬롯 안테나 설계",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ume 18, Issue10, p2351~2358, 31 Oct 2014 (http://central.oak.go.kr/journallist/journaldetail.do;jsessionid=E4FE5E83B5B811E6E3025D752C9557C7?article_seq=14937&tabname=abst&resource_seq=-1&keywords=nul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148B1 (en) * 2019-09-04 2020-05-06 주식회사 부력에너지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heet with heat sink pattern and 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653B1 (en) Heat radiation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CN208190354U (en) Magnetic piece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including magnetic piece
US20150116178A1 (en) Combine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d wireless charging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combined rfid and wireless charging wireless antenna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20180198487A1 (en) Metal and carbon laminate trans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or having function of heat radiation
CN207517848U (en) Radio antenna structure with heat sinking function
US20190214180A1 (en) Magnetic shee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comprising same
US10298059B2 (en) Cov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80191882A1 (en) Metal frame transmitting the electromagnetic wave or having the function of heat radiation
JP2014132658A (en) Soft magnetic layer, and receiver antenna and radio power receiver having the same
US20160149305A1 (en) Antenna devic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1045045A (en) Power transmitting/receiving antenna and power transmitter
KR20180092668A (en) Magnetic shee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70130889A (en) Antenna module, fabricating method of antenna module,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KR20190006343A (en) Structure of radiant heat wireless communications antenna
KR101808605B1 (en) Non-conductive frame coated with conductive layer transmitting the electormagnetic wave or having the function of heat radiation
KR101942712B1 (en) Metal frame transmitting the electormagnetic wave or having the function of heat radiation
KR20140108946A (en) Soft magnetism sheet
CN109088162B (en) Radiating and radiating dual-purpose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structure
CN107453016B (en)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 structure with heat dissipation function
KR20190033699A (en) Structure of wireless communications antenna have protection against heat and radiator
US2018036626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agnetic shielding block for wireless power charging, and magnetic shielding block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using same
KR101813883B1 (en) Metal frame transmitting the electormagnetic wave or having the function of heat radiation
KR20160121279A (en) multi antenna unit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KR101933410B1 (en) Conductive plat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20150082895A (en) Soft magnetic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2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823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02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