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2519B1 - 커튼식 에어백 및 저장된 커튼식 에어백 배치 방법 - Google Patents

커튼식 에어백 및 저장된 커튼식 에어백 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519B1
KR101942519B1 KR1020157029076A KR20157029076A KR101942519B1 KR 101942519 B1 KR101942519 B1 KR 101942519B1 KR 1020157029076 A KR1020157029076 A KR 1020157029076A KR 20157029076 A KR20157029076 A KR 20157029076A KR 101942519 B1 KR101942519 B1 KR 101942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dge portion
lower edge
folded
airba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9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3483A (ko
Inventor
알리 에맘바크쉬
리앙 인
이야드 나에프
Original Assignee
티알더블유 비히클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알더블유 비히클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티알더블유 비히클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143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5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7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way they are fol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의 측면 구조체(16)와 루프(18)를 포함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10). 장치(10)는 차량의 루프(18)를 따라 배치되어 저장되어 있다가, 차량 루프에서부터 팽창되어 차량의 측면 구조체와 차량 승객 사이에 배치되어 전개되는 차량 승객 보호 장비(14)를 포함한다. 차량 승객 보호 장비(14)는 차량 루프와 상부 가장자리부의 반대편 하부 가장자리부를 따라 차량에 연결되는 상부 가장자리부(30)를 포함한다. 승객 보호 장비(14)의 하부 가장자리부(38)는 차량 승객 보호 장비가 저장된 상태에서 적어도 한번 접힌다. 접힌 하부 가장자리부(38)가 차량 승객 보호 장비의 말린 부분(114)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심 공간(116)을 차지하도록 저장된 상태에서 말려 있다.

Description

커튼식 에어백 및 저장된 커튼식 에어백 배치 방법{INFLATABLE CURTAIN AND METHOD FOR PLACING AN INFLATABLE CURTAIN IN A STORED CONDITION}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는 팽창가능한 차량승객 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충돌하거나 구르는 경우와 같이 승객을 보호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것을 돕기 위해 팽창가능한 차량 승객 보호 장비를 팽창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팽창 가능한 차량 승객 보호 장비의 한가지 유형은 팽창 가능한 커튼식 에어백(inflatable curtain)이다. 커튼식 에어백은 저장상태에 있다가 차량 루프로부터 차량의 측면 구조체와 승객 사이의 전개 위치까지 팽창되어 부풀려진다.
본 발명은 측면 구조체와 루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차량의 루프를 따라 위치하는 저장 상태를 가진 팽창 가능한 차량 승객 보호 장비를 포함한다. 보호 장비는 차량의 루프로부터 차량의 측면 구조체와 승객 사이의 전개 위치까지 팽창되어 부풀려진다. 보호 장비는 차량 루프를 따라 차량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가장자리부를 포함한다. 보호 장치의 하부 가장자리부는 일단 저장되면 그 자체가 적어도 한번 접힌다. 보호 장비가 저장되어 있을 때 말려있으므로, 접힌 하부 가장자리부가 보호 장치의 말린 부분에 의해 경계 지워지는 중심 공간을 차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측면 구조체와 루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차량 루프를 따라 차량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 가장자리부와 반대쪽 하부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팽창가능한 차량승객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하부 가장자리부가 적어도 한번 접히는 단계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방법은 보호 장비를 말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접힌 하부 가장자리부가 말린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공간을 차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앞서 설명한 특징 및 다른 특징들은 당업자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설명을 읽으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장치의 저장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전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장치의 커버부의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3의 조립된 커버의 등각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나타낸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을 나타내는 도 1 및 도 2는 차량(12)의 승객(28)을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는 장치(10)를 도시한다. 장치(10)는 팽창 가능한 에어백(14)(이하, 에어백)의 형상을 가진 팽창가능한 차량승객 보호 장비를 포함한다. 에어백(14)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축된 상태에서 말리고 접혀서 저장되고, 차량(12)의 루프(18)와 측면 구조체(16)의 교차점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저장 상태를 갖는다. 에어백(14)은 루프(18)의 저장 위치에서 도 2에 도시된 전개 위치의 방향으로 팽창된다. 전개 상태에서, 에어백(14)은 측면 구조체(16)를 따라 연장되며 차량(12)의 어떤 승객(28)과 측면 구조체 사이에 배치된다.
에어백(14)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14)은 나일론 얀(yarn)로 짠 섬유(예: 나일론 6-6 얀)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에어백(14)은 임의의 적합한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14)은, 막이 단일 재료 피스로 짜여지는 원피스 직조(one piece woven: OPW)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에어백(14)은 스티칭, 초음파 용접, 열 접합, 접착제와 같은 수단에 의해 상호연결 섬유 패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에어백(14)은 가스 불침투성 필름과 같은 재료로 라미네이트되거나, 가스 불침투성 우레탄과 같은 재료로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에어백(14)은 따라서 가스 밀봉 또는 실질적으로 가스 밀봉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그외 재료,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얀, 그외 코팅, 예를 들면 실리콘이 에어백(14)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장치(10)는 또한 팽창기(24)의 형상을 가진 팽창 유체 공급원을 포함한다. 팽창기(24)는 에어백(14)을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작동된다. 팽창기(24)는 임의의 적합한 구성 또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팽창기(24)는 에어백(14)을 팽창시키기 위해 가스 상태의 저장된 압축 팽창 유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팽창기(24)는 팽창 유체를 가열시키는 발화성 재료와 압축 팽창 유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가스 생성 재료의 연소를 사용하여 팽창 유체를 생성하는 발화 팽창기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팽창기(24)는 에어백(14)을 팽창시키기 위한 팽창 유체를 제공하는 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임의의 구성 또는 유형일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팽창기(24)는 에어백(14)과 도관 또는 충전 관(fill tube)을 통해 유체 전달되도록 연결된다.
충전 관(22)은 금속, 플라스틱, 또는 섬유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그외, 충전 관(22)은 생략될 수 있으며, 팽창 유체는 팽창기(24)로부터 에어백(14) 안으로 직접, 또는 매니폴드를 통해 유체이동할 수 있다.
충전 관(22)은 또한 임의의 적합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충전 관(22)은 에어백(14)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에어백(14) 내에 위치한 충전 관(22)의 일부는 팽창 유체를 막 안으로 통과시키는 복수의 개구(미도시)를 포함한다.
장치(10)은 저장된 에어백(14)을 지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커버(44)를 또한 포함한다. 커버(44)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커버(44)는 "소프트 팩" 구성으로서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을 가진다. 소프트 팩 구성에서, 커버(44)는 에어백(14)을 둘러싸는, 감싸지는 또는 배치되는 섬유와 같은 재료의 시트 또는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 팩 구성에서, 커버(44)는, 에어백(14)과 충전 관(22)이 배치되는 자루(sock), 싸개(sheath) 또는 관으로 구성된다.
커버(44)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섬유 재료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비-직조 재료,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직조 재료, 또는 다른 임의의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커버(44)는, OPW 구성으로 커버를 직조하거나, 스티칭, 초음파 용접, 열 접합, 접착제와 같은 알려진 수단을 이용하여 섬유 재료의 상호연결부에 의해 구성된다. 소프트 팩 구성에서, 커버(44)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 섬유 재료의 상호작용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커버(44)는 패널의 제1 가장자리부(86)를 따라 형성되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개구(92) 컷부를 포함하는 재료의 패널(80)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92)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일반 직사각형 노치 구성과 같은 임의의 희망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개구(92)는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난 대로 패널(80)의 하부 가장자리(86)와 교차할 수 있다. 이와 별개로, 개구(92)는 패널(8)의 하부 가장자리(86)와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커버(44)의 조립 상태에서, 제1 가장자리부(86)는 초음파 용접(84)에 의해 맞은편 제2 가장자리부(88)와 교차한다. 이는 커버(44)가 일반적인 관형 자루 또는 싸개형 구성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커버(44)는 또한 커버(44)의 제1 및 제2 가장자리부(86, 88)와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길이방향 찢음선(tear seam)을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대로, 찢음선(126)은 제1 가장자리부(86)와 제2 가장자리부(88)의 사이에서 중앙에 배치할 수 있으며, 또한 초음파 용접(84)(도 3b)의 반대편에 놓일 수 있다. 찢음선(126)은 예를 들면, 그 찢음선을 따라 패널(80)의 찢어짐 강도를 약하게 하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는 차량(12) 내에서 일 유닛으로 조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10)는 말리거나 접힌 에어백(14) 내에 배치하고 커버(44) 내에 포장되어 있는 충전 관(22)에 연결되어 있는 팽창기(24)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inflatable curtaini module, 50)(도 4)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모듈(50)은, 에어백(14), 팽창기(24), 충전 관(22), 커버(44),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차량(12)에 연결하는, 후크 또는 브라켓과 같은 수단(30)을 사용하여 차량(12) 내에서 지지된다. 예를 들면, 브라켓(30)은 충전 관(22)과 에어백(14)의 상부 가장자리부(30)의 일부 위에 클램프되며 둘러쌀 수 있으며, 커버(44) 내의 개구(92)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에어백(14)이 팽창되는 것이 요구되어 팽창이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센서(150)가 리드 와이어(152)를 통해 동작 시그널을 팽창기(24)에 제공한다. 팽창기(24)가 작동하는 경우, 팽창 유체가 충전 관(22)을 통하여 에어백(14) 안쪽으로 향한다. 에어백(14)은 찢음선(126)을 따라 커버(44)를 파열시킨다. 에어백(14)은 도 1의 저장 위치로부터 도 2의 전개 위치까지 팽창기(24)에 의해 제공되는 팽창 유체의 압력 하에 전개되며 팽창된다.
전개 위치에서, 에어백(14)은 차량의 모든 승객(28)과 측면 구조체(16) 사이에 배치한다. 에어백(14)이 팽창하면, 에어백은 차량(12)의 측면 구조체(16)를 따라 차량의 전방과 후방으로 연장되고, 차량의 A필러(100), B필러(102), C필러(104)의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상부 가장자리부(30)가 측면 구조체(16)와 차량 루프(18)의 상호 교차지점을 따라 연장되고, 하부 가장자리부(38)는 차량 벨트 라인에 인접 또는 가까운 측면 구조체를 따라 연장된다. 에어백(14)은 막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막의 넓은 영역 곳곳으로 충격의 에너지를 분산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측면 구조체(16)와 루프(18)를 따르는 차량 구조의 타이트한 구조에서, 공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 모듈(50)의 사이즈가(이하 "패키지 사이즈"로 기재함) 최소한으로 유지되는 것이 아주 바람직하다. 밀리미터 단위의 경우까지도 공간을 절약하는 경우, 이 공간을 최상의 상태로 여길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공간 절약은 특정 막 구성이 특정 루프/측면 구조체 구조물을 가진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지 여부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저장 상태의 에어백(14)을 배치하는 일 방법은 에어백이 하부에서 위로 말리는 롤-폴드(roll-fold)라고 불리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장 상태의 에어백(14)을 배치할 때, 타이트 롤, 타이트 폴드, 또는 타이트 롤을 유지하여 막의 롤 직경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더라도, 에어백(14)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와 임의의 도포되는 코팅과 같은 요인에 의해 물리적인 한계가 생긴다. 예를 들면, 에어백(14)을 너무 타이트하게 마는 경우에, 빠르고 효율적인 막의 전개를 방해할 수 있는, 에어백의 위에 놓인 일부가 서로 들러붙거나, 또는 그게 아니면 풀리는(unrolling) 것을 막거나 방해하는 블로킹(blocking)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 그외에도, 재료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들은 에어백 모듈(50)의 패키지 사이즈를 감소시키는 이상적인 작은 직경으로 막을 마는 능력을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 팽창 막 패널에 도포되는 코팅, 및 에어백 패널과 교차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는 막이 얼마나 타이트하게 말릴 수 있는지, 즉 막의 초기 롤의 직경이 얼만큼 작을 수 있는지에 대해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14)은, 에어백 모듈(50)의 패키지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 공간을 이용하도록 구성된 폴딩 및 롤링 기술을 사용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에어백(14)은 에어백 모듈(50)의 전체 패키지 사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롤의 중심 내부 공간을 사용하는 Z형-폴드 및 롤 구성을 사용한다. 하부 가장자리부(38)를 먼저 폴딩하고, 에어백(14)을 말아서, 하부 가장자리부는 롤의 그외 비워진 중심 공간 내에 적어도 일부 배치할 수 있다. 그외 비워진 중심 공간을 사용하여, 저장 상태의 막의 롤의 개수가 감소할 수 있으며, 이는 에어백 모듈의 패키지 사이즈를 감소시킨다.
감소된 패키지 사이즈를 얻기 위해, 에어백(14)의 하부 가장자리부(38)는 여기서 Z형-폴드로 나타나는 초기에 앞-뒤로 접히는 방식으로 접힌다. Z형-폴드(110)는 도 4a에 나타난다. Z형-폴드(110)가 만들어지면, 에어백(14)이 Z형-폴드(110)과 하부 가장자리부(38)를 시작으로 도 4a에 도시된 화살표(112)로 나타난 방향으로 말린다. 말리는 것은, 에어백(14)이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완전히 말릴 때까지 계속된다. 도 4b에 나타난 롤(114)은 에어백(14)의 Z형-폴드(110)가 배치되는 중심 공간(116)을 남겨둔다. 그외에 이 공간(116)은 비어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Z형-폴드(110)를 그 공간 안에 배치하는 것이 중심 공간의 사용을 유리하게 한다. 중심 공간(116)을 에어백(14)의 Z형-폴드(110)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따라서, 에어백 모듈(50)의 패키지 사이즈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롤(114) 내부에 에어백(14)을 배치시킬 때, Z형-폴드(110)의 접힌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중심 공간(116) 내에 Z형-폴드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Z형-폴드(100)는 롤(114)을 따라서 말리며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에, Z형-폴드(110)는 중심 공간(116)을 차지하는 대신에 롤(114)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최종 롤(114)은 사이즈에 감소가 없을 것이며, 에어백(14)의 초기에 말린 Z형-폴드(110)에 의해 실제로 사이즈가 증가할 것이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Z형-폴드(110)는 일곱 개의 폴드(120)를 포함한다. Z형-폴드(110)는 그러나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수의 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Z형-폴드(110)에 포함되는 폴드의 개수는 에어백(14)을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재료, 에어백 위에 코팅 또는 라미네이트 되는 유형, 하부 가장자리부(38)의 보강재, 및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부 커튼 패널과 교차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박음질/접착제와 같은 상호관련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이상적으로, 하부 가장자리부(38)를 말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하는 에어백(14)의 일부는 롤(114)의 직경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Z형-폴드(11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티칭과 하부 가장자리부(38)에 따른 스티칭의 수반되는 밀봉은 에어백을 마는데 기여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Z형-폴드(110) 내에 이들 에어백의 일부를 포함하여, 이들 에어백의 일부는 중앙부(11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롤(114)의 직경이 스티칭에 의해 증가하지 않을 뿐 아니라, Z형-폴드(110) 내에서 중심 공간에 에어백(14)의 일부를 배치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난다. 도 5a와 도 5b에서, 도면 부호는 도 4a 내지 도 4b에서 사용된 도면 부호와 유사하게 사용될 것이며, 도 5a와 도 5b의 숫자들와 함께 사용된 문자 "a"는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5a와 도 5b의 실시예는 도 4a 내지 도 4b의 Z형-폴드(110)가 도 5a 내지 도 5b 에서 플립-폴드로 대체된 것을 제외하면, 도 4a 내지 도 4b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 5a 및 도 5b의 실시예에서, 에어백(14a)의 하부 가장자리부(38a)는 여기서 플립-폴드로 나타난 방식으로 초기에 한번 접힌다. 플립-폴드(130)는 도 5a에 나타난다. 플립-폴드(130)가 일단 만들어지면, 플립-폴드(130)와 하부 가장자리부(38a)를 시작으로 에어백(14a)이 도 5a에 도시된 화살표(112a)로 나타나는 방향으로 롤된다. 말리는 것은, 에어백(14a)이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완전히 말릴 때까지 계속된다. 도 5b에 나타난 롤(114a)은 에어백(14a)의 플립-폴드(130)가 배치되는 중심 공간(116a)을 남겨둔다. 그외에 이 공간(116a)은 비어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플립-폴드(130)를 그 공간 안에 배치시키는 것이 중심 공간의 사용을 유리하게 한다. 중심 공간(116a)을 에어백(14a)의 플립-폴드(130)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은 따라서, 에어백 모듈의 패키지 사이즈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에어백(14a)을 롤(114a) 안으로 배치시킬 때, 플립-폴드(130)의 접힌 상태를 유지하는 것과, 중심 공간(116a) 내에 플립-폴드의 위치를 유지하는 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플립-폴드(130)는 롤(114a)을 따라서 말리며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에, 플립-폴드(130)는 중심 공간(116a)을 차지하는 대신에 롤(114a)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최종 롤(114a)은 사이즈에 감소가 없을 것이며, 에어백(14a)의 초기에 말린 플립-폴드(130)에 의해 실제로 사이즈가 증가할 것이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플립-폴드(130)는 단일 폴드(132)를 포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단일 폴드(132)와 중심 공간(116a) 내에 배치하는 최종 플립 폴드(130)는 패키지 공간의 상당한 감소를 야기한다. 이는, 플립-폴드(130)가 에어백(14a)의 하부 가장자리부(38a) 내에서 만들어진다는 사실에 일부 기인한다. 이 하부 가장자리부(38a)는 에어백(14a)의 위에 덮인 패널과 서로 연결되는 스티칭, 에어백의 가장자리 및/또는 스티칭을 밀봉하는 데 사용되는 임의의 밀봉 재료(예: 코팅 또는 가스킷), 및 강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에어백의 특정부가 구르는 것을 어렵게 한다. 결과적으로, 에어백(14a)의 하부 가장자리부(38a)를 희망하는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초기 롤을 요구할 수 있으며, 에어백이 말리는 동안에 단계적으로 더 커져서(cascade) 요구되는 것보다 더 큰 패키지 크기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플립-폴드(130)를 중심 공간(116a) 안에 배치시키는 것은 에어백(14a)의 하부(38a)를 롤(114a)의 직경에 영향을 주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므로, 에어백 모듈의 패키지 크기를 감소시킨다.
도 6a를 참조하면, 저장된 상태의 에어백을 배치시키는 방법(200)은 차량 루프를 따라 차량에 연결되기 위한 상부 가장자리부와 상부 가장자리부의 Z형-폴드편 하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팽창가능한 차량 승객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단계(202)를 포함한다. 방법(200)은 또한 적어도 한번 하부 가장자리부 자체가 접히는 단계(204)를 포함한다. 방법(200)은 또한, 보호 장치를 말아올려서 상기 접힌 하부 가장자리부가 말아올려진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공간을 차지하는 단계(206)를 포함한다. 보호 장비를 마는 단계(206)는 중심 공간 내에 배치한 접혀진 하부 가장자리부를 유지하여, 보호 장비의 말리지 않은 부분이 말리지 않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부 가장자리부를 접는 단계(204)는 Z형-폴드 구성으로 하부 가장자리부를 접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Z형-폴드 구성은 반대 방향의 적어도 두 개의 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외, 하부 가장자리부를 접는 단계(204)는 단일 폴드 구성으로 하부 가장자리부를 접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일 폴드 구성은 롤의 여러 층을 차지하는 단일 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는 본 발명의 적용, 개선, 변형 및 수정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적용, 개선,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포함될 것이다.

Claims (8)

  1. 팽창가능한 차량 승객 보호 장비를 저장된 상태로 배치하는 방법으로,
    상기 차량 승객 보호 장비 배치 방법은,
    차량 루프를 따라 차량에 연결되는 상부 가장자리부와, 상부 가장자리부의 반대편 하부 가장자리를 포함하는 팽창가능한 차량 승객 보호 장비를 제공하는 단계;
    하부 가장자리부를 그 자체 위로 적어도 한번 접는 단계; 및
    접힌 하부 가장자리부가 말린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중심 공간을 차지하도록, 팽창가능한 차량 승객 보호 장비를 마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장자리부를 그 자체 위로 적어도 한번 접는 단계는, 전체적으로 적어도 4개의 접어 꺾인 부분(folded-back portions)을 구비하는,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적어도 2개의 z형-폴드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부 가장자리부를 지그재그 방식으로 접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객 보호 장비 배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보호 장비를 마는 단계는, 보호 장비의 나머지 부분과 함께 말리지 않도록 접힌 하부 가장자리부를 중심 공간 내에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승객 보호 장비 배치 방법.
  3. 차량의 측면 구조체와 루프를 포함하는 차량의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로,
    상기 보호 장치는, 차량의 루프를 따라 배치되어 저장되어 있다가, 차량 루프에서부터 팽창되어 차량의 측면 구조체와 차량 승객 사이에 배치되도록 전개되는 차량 승객 보호 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승객 보호 장비는 차량 루프를 따라 차량에 연결되는 상부 가장자리부와 상부 가장자리부의 반대편 하부 가장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장자리부는 차량 승객 보호 장비가 저장된 상태에서 적어도 한번 접히고, 접힌 하부 가장자리부는 차량 승객 보호 장비의 말린 부분에 의해 둘러싸이는 중심 공간을 차지하도록 저장된 상태에서 말려있으며
    상기 접힌 하부 가장자리부는, 전체적으로 적어도 4개의 접어 꺾인 부분을 구비하는, 연속적으로 적층되는 적어도 2개의 z형-폴드 구조를 형성하도록 지그재그 방식으로 상기 하부 가장자리부를 접음으로써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7029076A 2013-03-13 2013-03-13 커튼식 에어백 및 저장된 커튼식 에어백 배치 방법 Active KR101942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13/000881 WO2014140665A1 (en) 2013-03-13 2013-03-13 Inflatable curtain and method for placing an inflatable curtain in a stored cond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483A KR20150143483A (ko) 2015-12-23
KR101942519B1 true KR101942519B1 (ko) 2019-01-28

Family

ID=4862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9076A Active KR101942519B1 (ko) 2013-03-13 2013-03-13 커튼식 에어백 및 저장된 커튼식 에어백 배치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623828B2 (ko)
EP (1) EP2969663B1 (ko)
JP (1) JP6335937B2 (ko)
KR (1) KR101942519B1 (ko)
CN (1) CN105209301B (ko)
WO (1) WO20141406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8780A1 (en) * 2013-08-28 2015-03-05 Autoliv Development Ab A method of packaging an air-bag
CN107235028B (zh) * 2016-03-29 2021-10-01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气囊及安全气囊组件
US10872281B2 (en) 2018-10-18 2020-12-2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bag with bar code
US11648827B2 (en) * 2019-12-10 2023-05-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neumatic sha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7121A1 (en) 2008-07-11 2010-01-14 Tk Holdings Inc. Side curtain airbag
JP2011073562A (ja) 2009-09-30 2011-04-14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11111075A (ja) * 2009-11-27 2011-06-09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71512B1 (en) * 1998-08-03 2002-04-1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irbag apparatus for head-protecting
US6361068B1 (en) 2000-05-23 2002-03-2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Folded inflatable side curtain with tether
JP3925226B2 (ja) * 2002-02-12 2007-06-06 タカタ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及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7296822B2 (en) * 2002-11-22 2007-11-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windshield curtain
US6899350B2 (en) 2003-01-07 2005-05-3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US7731224B2 (en) * 2006-03-01 2010-06-0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able curtain
US8002310B2 (en) * 2007-04-23 2011-08-23 Trw Vehicle Safety Syste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an inflatable curtain in a stored condition
CA2901740C (en) * 2013-02-28 2017-01-03 Toyoda Gosei Co., Ltd. Head-protecting airbag device and method of folding airbag thereof
WO2014132810A1 (ja) * 2013-02-28 2014-09-0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カーテンエアバッグ
DE102013008467B4 (de) * 2013-05-21 2017-03-23 Trw Automotive Gmbh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gefalteten Gassack
DE102013011154B4 (de) * 2013-07-04 2023-07-06 Zf Automotive Germany Gmbh Verfahren zum Zusammenlegen eines Seitengassacks und Seitengassack
JP6131827B2 (ja) * 2013-10-30 2017-05-24 豊田合成株式会社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DE102014212238B4 (de) * 2014-06-25 2019-07-18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assack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und Verfahren zum Falten eines Gassacks für ein Fahrzeuginsassen-Rückhalte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07121A1 (en) 2008-07-11 2010-01-14 Tk Holdings Inc. Side curtain airbag
JP2011073562A (ja) 2009-09-30 2011-04-14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2011111075A (ja) * 2009-11-27 2011-06-09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の折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209301B (zh) 2017-09-01
CN105209301A (zh) 2015-12-30
JP6335937B2 (ja) 2018-05-30
US20160031403A1 (en) 2016-02-04
EP2969663A1 (en) 2016-01-20
US9623828B2 (en) 2017-04-18
EP2969663B1 (en) 2018-08-22
JP2016509973A (ja) 2016-04-04
WO2014140665A1 (en) 2014-09-18
KR20150143483A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1068B1 (en) Folded inflatable side curtain with tether
US6471240B2 (en) Inflatable side curtain
US7731224B2 (en) Inflatable curtain
JP5951880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の折り畳み方法
JP5003631B2 (ja)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US8448984B2 (en) Airbag device
US80023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an inflatable curtain in a stored condition
KR102056425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US6428037B1 (en) Inflatable curtain
JP2005178729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
JP2006137413A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1942519B1 (ko) 커튼식 에어백 및 저장된 커튼식 에어백 배치 방법
JP2013006489A (ja) エアバッグ装置
US6899350B2 (en) Inflatable curtain
JP5302049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7513523B2 (en) Inflatable curtain with different size panels
JP2018118629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7516978B2 (en) Anti-telescoping inflatable curtain
JP2007022265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08247212A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3757326B2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
JP6724842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
JP3396595B2 (ja) 頭部保護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06088986A (ja) 頭部保護エアバッグ
JP2016022872A (ja) 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8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