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271B1 - Fuel filter apparatus - Google Patents
Fuel filter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2271B1 KR101942271B1 KR1020170025288A KR20170025288A KR101942271B1 KR 101942271 B1 KR101942271 B1 KR 101942271B1 KR 1020170025288 A KR1020170025288 A KR 1020170025288A KR 20170025288 A KR20170025288 A KR 20170025288A KR 101942271 B1 KR101942271 B1 KR 1019422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el
- sensor
- housing
- space
- conn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2—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 F02M37/24—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e.g. arrangements in the feeding system characterised by water separat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7/00—Processes of filtration
- B01D37/04—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37/045—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level measu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S1)을 갖는 하우징(100); 연료 라인의 상류부로부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으로 연료를 안내하는 연료 유입관(200); 상기 연료 유입관(200)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에 구비되는 필터 부재(300); 상기 필터 부재(30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연료를 상기 연료 라인의 하류부로 안내하는 연료 유출관(400); 연료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에 포집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해 그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 센서(500); 상기 연료 라인의 하류부에서의 연료 압력을 사전에 결정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연료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센서(600); 상기 제1 센서(500)를 제1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센서(600)를 제2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하나의 통합 커넥터(800)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성능 및 연비를 향상시키면서 양산성 및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filter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100) having an internal space (S1); A fuel inlet pipe (200) for guiding fuel from the upstream portion of the fuel line to the internal space (S1) of the housing (100); A filter member 300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S1 of the housing 100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fuel flowing through the fuel inlet pipe 200; A fuel outlet pipe (400) for guiding the foreign material removed fuel by the filter member (300) to a downstream portion of the fuel line; A first sensor (500) for separating water from the fuel and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o remove water collected in the internal space (S1) of the housing (100); A second sensor (600) for measuring the fuel pressure in the internal space (S1) of the housing (100) to maintain the fuel pressure at a downstream portion of the fuel line at a predetermined level; A first connector connecting the first sensor (500) to a first external device; And a second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second sensor 600 to a second external device, wherei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be formed as one integrated connector 8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ass productivity and the maintenance performance while improving the vehicle performance and the fuel economy.
Description
본 발명은, 연료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연료 라인에 구비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연료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el filter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el filter apparatus provided in a fuel line of a vehicle to remove foreign matter of fuel supplied to the engine.
일반적으로, 차량은 그 차량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엔진 및 그 엔진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라인을 포함한다.Generally, a vehicle includes an engine that generates driving force for the vehicle and a fuel line that supplies fuel to the engine.
상기 연료 라인은,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 탱크, 연료를 이송시키는 연료 펌프, 연료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물, 먼지 등)을 제거하는 연료 필터 장치 및 상기 연료 탱크로부터 상기 연료 펌프와 상기 연료 필터 장치를 경유하여 상기 엔진까지 연장되는 연료 배관을 포함한다.The fuel line includes a fuel tank for storing fuel, a fuel pump for transporting the fuel, a fuel filter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ter (water, dust, etc.) contained in the fuel, And a fuel line extending to the engine via the fuel line.
여기서, 상기 연료 필터 장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차량 성능 및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Here, the fuel filter device is formed so as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matter and improve vehicle performance and fuel economy.
도 1은 종래의 연료 필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uel filter device.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연료 필터 장치는,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100), 연료 라인의 상류부로부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으로 연료를 안내하는 연료 유입관(200), 상기 연료 유입관(200)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필터 부재,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연료를 상기 연료 라인의 하류부로 안내하는 연료 유출관을 포함한다.1, a conventional fuel filter apparatus includes a
그리고, 종래의 연료 필터 장치는, 연료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에 포집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해 그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워터 센서(이하, 제1 센서)(500) 및 상기 연료 라인의 하류부에서 연료 압력을 사전에 결정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의 연료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이하, 제2 센서)(600)를 더 포함한다.The conventional fuel filter device includes a water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sensor) 500 that measures the water level of water to remove the water separated from the fuel and collec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연료 필터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센서(500) 및 상기 제2 센서(600)는 서로 별개로 형성됨으로써, 양산성 및 정비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연료 필터 장치 제조 시, 상기 제1 센서(500)를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하는 작업, 상기 제1 센서(5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 외부기기와 상기 제1 센서(500)를 연결하는 작업, 상기 제2 센서(600)를 상기 하우징(100)에 장착하는 작업, 상기 제2 센서(6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 외부기기와 상기 제2 센서(600)를 연결하는 작업을 각각 실시해야 하므로, 양산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그리고, 연료 필터 장치 정비 시, 그 연료 필터 장치를 상기 엔진으로부터 탈거하고, 상기 하우징(100)을 분해한 다음, 상기 제1 센서(500) 및 상기 제2 센서(600)를 각각 탈거하여 정비해야 하고, 다시 그 반대 순서로 조립해야 하므로, 정비성이 현저히 저하된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fuel filter apparatus,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성능 및 연비를 향상시키면서 양산성 및 정비성을 향상할 수 있는 연료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el filter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maintenance while improving vehicle performance and fuel economy.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연료 라인의 상류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연료를 안내하는 연료 유입관; 상기 연료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필터 부재;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연료를 상기 연료 라인의 하류부로 안내하는 연료 유출관; 연료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포집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해 그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연료 라인의 하류부에서의 연료 압력을 사전에 결정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연료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를 제1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센서를 제2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하나의 통합 커넥터로 형성되는 연료 필터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n internal space; A fuel inlet pipe for guiding fuel from an upstream portion of the fuel line to an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A filter member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fuel introduced through the fuel inlet pipe; A fuel outlet pipe for guiding the foreign matter-removed fuel to the downstream portion of the fuel line by the filter member; A first sensor for separating from the fuel and measuring a water level of the water to remove water collect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 second sensor for measuring the fuel pressur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to maintain the fuel pressure at a downstream portion of the fuel line at a predetermined level; A firs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first sensor to a first external device; And a second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second sensor with a second external device, wherei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formed of one integrated connector.
상기 통합 커넥터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에 수용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제1 센서를 상기 제1 외부기기와 연결시키는 제1 회로; 및 상기 제2 센서를 상기 제2 외부기기와 연결시키는 제2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로는 제1 단자 핀을 통해 상기 제1 외부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회로는 제2 단자 핀을 통해 상기 제2 외부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단자 핀과 상기 제2 단자 핀이 구비되는 단자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integrated connector includes: a casing; And a circuit board accommodated in the casing. The circuit board includes: a first circuit connecting the first sensor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And a second circuit for connecting the second sensor with the second external device. Wherein the first circuit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through a first terminal pin and the second circu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through a second terminal pin, And a terminal portion having the second terminal pin may be formed.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연료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를 가열시키는 히터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를 제3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제3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와 함께 상기 통합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A heater for heating the fuel flowing through the fuel inlet pipe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 third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heater to the third external devic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Connector.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히터와 제3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제3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회로는 제3 단자 핀을 통해 상기 제3 외부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3 단자 핀이 상기 단자부에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circuit board further includes a third circuit that connects the heater and a third external device, the third circuit is connected to the third external device via a third terminal pin, As shown in FIG.
상기 제1 센서, 상기 제2 센서 및 상기 통합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한 모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ensor, the second sensor, and the integrated connector may be formed as a module detachable from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싱이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includes: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casing is mounted; And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inserted.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asing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은, 상기 회로기판이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하우징의 수용공간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센서와 상기 제2 센서가 삽입되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housing includes: a housing space in which the circuit board is housed; And a through hole communicating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wherein the first sensor and the second sensor are inserted.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상기 필터 부재가 배치되는 제1 공간; 및 상기 제1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공간과 연통되며, 물이 포집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은, 상기 필터 부재를 기준으로 상류 측인 입구 영역; 및 상기 필터 부재를 기준으로 하류 측인 출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 영역은 상기 연료 유입관과 연통되고, 상기 출구 영역은 그 출구 영역의 상류 측에서 상기 제2 공간과 연통되고 그 출구 영역의 하류 측에서 상기 연료 유출관과 연통되며, 상기 제1 센서는 상기 제2 공간에서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출구 영역에서 연료 압력을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space in which the filter member is disposed; And a second space disposed below the first sp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and collecting water. Wherein the first space comprises an inlet region upstream from the filter member; And an outlet region downstream from the filter member. Wherein the inlet region communicates with the fuel inlet pipe and the outlet region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pace upstream of the outlet region and with the fuel outlet pipe downstream of the outlet region, The second sensor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water level in the second space, and the second sensor may be configured to measure the fuel pressure in the outlet area.
상기 출구 영역에는 상기 출구 영역의 상류 측과 상기 출구 영역의 하류 측을 구획하는 격벽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에는 상기 출구 영역의 상류 측과 상기 출구 영역의 하류 측을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공의 적어도 일부는 연료 중 사전에 결정된 입자 크기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메시 부재에 의해 복개되며,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출구 영역의 하류 측에서 연료 압력을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partition wall is formed with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the upstream side of the outlet region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outlet reg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is covered by a mesh member for passing fuel having a particle size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in the fuel and the second sensor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fuel pressure downstream of the outlet area .
상기 연통공은, 상기 격벽에서 하부 측에 형성되는 제1 연통공; 및 상기 격벽에서 상부 측에 형성되는 제2 연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통공이 상기 메시 부재에 의해 복개될 수 있다. Wherein the communication hole includes: a first communication hole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can be covered by the mesh member.
상기 메시 부재는 소수성(疏水性)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esh member may be formed of a hydrophobic material.
본 발명에 의한 연료 필터 장치는,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연료 라인의 상류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연료를 안내하는 연료 유입관; 상기 연료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필터 부재; 상기 필터 부재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연료를 상기 연료 라인의 하류부로 안내하는 연료 유출관; 연료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포집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해 그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상기 연료 라인의 하류부에서의 연료 압력을 사전에 결정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의 연료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센서; 상기 제1 센서를 제1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센서를 제2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하나의 통합 커넥터로 형성됨에 따라, 차량 성능 및 연비를 향상시키면서 양산성 및 정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 fuel filt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A fuel inlet pipe for guiding fuel from an upstream portion of the fuel line to an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A filter member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fuel introduced through the fuel inlet pipe; A fuel outlet pipe for guiding the foreign matter-removed fuel to the downstream portion of the fuel line by the filter member; A first sensor for separating from the fuel and measuring a water level of the water to remove water collected in an inner space of the housing; A second sensor for measuring the fuel pressure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housing to maintain the fuel pressure at a downstream portion of the fuel line at a predetermined level; A firs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first sensor to a first external device; And a second connector that connects the second sensor to a second external device, wherei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formed of one integrated connector,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and fuel economy, The maintenance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도 1은 종래의 연료 필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모듈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4의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uel filter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el filt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ure 5 is a front view of the module of Figure 4,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dule of Figure 4,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uel filter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7,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dule of Fig.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료 필터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fuel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uel filte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2,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2,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dule of Fig. 4; Fig.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터 장치는, 내부공간(S1)을 갖는 하우징(100), 연료 라인(미도시)의 상류부로부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으로 연료를 안내하는 연료 유입관(200), 상기 연료 유입관(200)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에 구비되는 필터 부재(300), 상기 필터 부재(30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연료를 상기 연료 라인(미도시)의 하류부로 안내하는 연료 유출관(400)을 포함할 수 있다.2 to 6, a fuel filte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하우징(100)은, 엔진(미도시)에 장착되는 제1 하우징(110) 및 상기 제1 하우징(110)과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S1)을 형성하는 제2 하우징(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상기 제2 하우징(120)은 각각 일측이 개구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개구부가 상기 제2 하우징(120)의 개구부와 함께 상기 내부공간(S1)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즉, 상기 제1 하우징(110)은, 환형의 제1 측벽부(112) 및 상기 제1 측벽부(112)의 일단부를 복개하는 상판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제1 측벽부(112)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제2 측벽부(122)와 체결을 위한 나사선이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상기 상판부(114)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공간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더욱 정확히는, 후술할 입구 영역(S111))을 연통시키도록 그 상판부(114)를 관통하고 상기 연료 유입관(200)이 삽입되는 연료 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공간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더욱 정확히는, 후술할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을 연통시키도록 그 상판부(114)를 관통하고 상기 연료 유출관(400)이 삽입되는 연료 유출구(114b)가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상판부(114)에는, 후술할 케이싱(810)이 장착되는 장착부(114c) 및 그 장착부(114c)를 관통하고 후술할 제1 센서(500) 및 제2 센서(600)가 삽입되는 관통공(114d)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2 하우징(120)은, 상기 제1 측벽부(112)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환형의 제2 측벽부(122) 및 상기 제2 측벽부(122)의 일단부를 복개하는 기저판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2 측벽부(122)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1 측벽부(112)의 나사산과 교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상기 기저판부(124)에는, 후술할 제2 공간(S12)에 포집되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홀(124a)이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홀(124a)은 그 드레인 홀(124a)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드레인 볼트(124b)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A
여기서, 상기 제1 측벽부(112)와 상기 제2 측벽부(122)가 서로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측벽부(112), 상기 제2 측벽부(122), 상기 상판부(114) 및 상기 기저판부(124)가 상기 내부공간(S1)을 형성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내부공간(S1)은, 상기 필터 부재(300)가 배치되는 제1 공간(S11) 및 상기 제1 공간(S11)의 하부(중력방향 상 아래)에 배치되는 제2 공간(S12)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inner space S1 includes a first space S11 in which the
상기 제1 공간(S11)은 상기 연료 유입관(200)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가 여과된 후 상기 연료 유출관(400)으로 안내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필터 부재(300)가 위치되는 필터 부재 영역, 상기 필터 부재(300)를 기준으로 상류 측인 입구 영역(S111) 및 상기 필터 부재(300)를 기준으로 하류 측인 출구 영역(S113)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 영역(S111)은 상기 연료 유입관(200)과 연통되고, 상기 출구 영역(S113)은 상기 연료 유출관(400)과 연통될 수 있다.The first space S11 is a space through which the fuel flowing through the
상기 제2 공간(S12)은 연료에 함유되어있던 물이 포집되는 공간으로서, 연료와 물의 비중 차이를 이용해 물을 포집하도록 상기 제1 공간(S11)의 하부에 형성되고, 이물질이 제거된 물이 포집되도록 상기 출구 영역(S113)에 연통될 수 있다. The second space S12 is a space in which the water contained in the fuel is collected. The second space S12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S11 so as to collect water using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between fuel and water.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outlet region S113 to be collected.
여기서, 연료가 연료 유출관(400)을 통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토출되기 전에 물이 제거되도록, 상기 출구 영역(S113)의 상류(S1131) 측이 상기 제2 공간(S12)과 연통되고, 상기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이 상기 연료 유출관(400)과 연통될 수 있다.Here, the upstream side (S1131) side of the outlet region (S113) is communicated with the second space (S12) so that the water is removed before the fue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downstream side S1132 of the outlet region S113 can communicate with the
한편, 상기 출구 영역(S113)은 상기 연료 유출관(400)으로 토출되는 연료의 질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let region S113 may be formed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fuel discharged to the
구체적으로, 상기 출구 영역(S113)의 상류(S1131) 측과 상기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을 구획하는 격벽(1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격벽(130)은 중량 및 원가 절감을 위해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a
그리고, 상기 격벽(130)에는 상기 출구 영역(S113)의 상류(S1131) 측과 상기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을 연통시키는 연통공(132, 134)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연통공(132, 134)은, 상기 필터 부재(300)로 제거되지 않은 파라핀 형태의 연료가 상기 엔진(미도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전에 결정된 입자 크기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메시(mesh) 부재(140)에 의해 복개될 수 있다.The communicating
여기서, 상기 연통공(132, 134) 전부가 상기 메시 부재(140)에 의해 복개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상기 메시 부재(140)가 파라핀 등으로 막히면 연료가 엔진(미도시)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연통공(132, 134)의 일부만 상기 메시 부재(140)에 의해 복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상기 연통공(132, 134)은, 상기 메시 부재(140)에 의해 복개되는 제1 연통공(132) 및 상기 메시 부재(140)에 의해 복개되지 않은 제2 연통공(1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연통공(134)은 상기 제1 연통공(132)에 대한 바이패스 유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연통공(132)보다 상부 측(중력 반대 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연통공(132)이 상기 메시 부재(140)에 포집되는 파라핀 등에 의해 막힐 경우, 상기 출구 영역(S113) 상류 측 연료의 높이가 높아지다가, 그 높이가 상기 제2 연통공(134)의 높이에 이르게 되면 연료가 상기 제2 연통공(134)을 통해 상기 출구 영역(S113) 하류 측으로 바이패스됨으로써, 연료가 엔진(미도시)으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그리고, 상기 메시 부재(140)는 상기 제2 공간(S12)에 포집되는 물이 연료와 다시 혼합되어 상기 엔진(미도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수성(疏水性, hydrophobic)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시 부재(140)는 연료로부터 파라핀 형태의 연료뿐만 아니라 물도 제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터 장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차량 성능 및 연비를 향상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uel filt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formed to effectively remove foreign matter and improve vehicle performance and fuel economy.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터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연료와 함께 엔진(미도시)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 성능 및 연비를 향상시키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에 물을 포집한 후 배출하도록 형성되고, 물의 배출 시점을 판단하여 적절한 시점에 배출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에 포집되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 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fuel filt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the engine (not shown) together with the fuel as described abov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the fuel economy, A
여기서, 상기 제1 센서(500)는 상기 출구 영역(S113)의 상류(S1131) 측에서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 공간(S12)에서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Here, the
즉,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로부터 물을 배출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료로부터 분리되는 물은 상기 제2 공간(S12)에 포집되다가, 상기 제2 공간(S12)의 수용 용량을 넘어서면 상기 출구 영역(S113)의 상류(S1131) 측까지 차오를 수 있다. 이때, 물이 상기 메시 부재(140)를 통과하여 상기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으로 누출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 센서(500)는 상기 제2 공간(S12)에서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물이 상기 제2 공간(S12)을 넘어서 상기 출구 영역(S113)의 상류(S1131) 측에까지 이르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at is, when water is not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터 장치는, 상기 연료 라인(미도시)의 하류부에서의 연료 압력을 사전에 결정된 수준으로 유지하여 차량 성능 및 연비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연료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센서(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uel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fuel pressure at the downstream portion of the fuel line (not shown) at a predetermined level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and the fuel consumption, S1) of the first sensor (600).
여기서, 상기 연료 라인(미도시)의 하류부에서의 연료 압력은, 상기 제2 센서(600)로 측정되는 연료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범위에 미달되면 그 연료 라인(미도시)에 구비되는 연료 펌프(미도시)의 토출압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2 센서(600)로 측정되는 연료 압력이 사전에 결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연료 펌프(미도시)의 토출압을 감소시키는 연료 펌프(미도시) 가변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사전에 결정된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Here, the fuel pressure at the downstream of the fuel line (not shown) is lower than the fuel pressure of the fuel pump (not shown) provided in the fuel line (not shown) when the fuel pressure measured by the
이때, 상기 제2 센서(600)는 상기 연료 라인(미도시)의 임의의 위치에서 연료 압력을 측정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엔진(미도시)으로 연료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차압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출구 영역(S113)에서 연료 압력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연료가 상기 필터 부재(300)를 통과하며 차압이 발생되므로, 상기 제2 센서(600)는 상기 필터 부재(300)를 기준으로 하류 측에서 연료 압력을 측정하여 그 제2 센서(600)로 측정되는 연료 압력과 실제 엔진(미도시)에 공급되는 연료 압력이 서로 유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연료가 상기 제1 연통공(132)(메시 부재(140))과 상기 제2 연통공(134)을 통과하면서도 차압이 발생되므로, 상기 제2 센서(600)는 상기 출구 영역(S113) 중에서도 그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에서 연료 압력을 측정하여 그 제2 센서(600)로 측정되는 연료 압력과 실제 엔진(미도시)에 공급되는 연료 압력이 서로 더욱 유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Since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generated while the fuel passes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32 (the mesh member 140) and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터 장치는, 예를 들어 동절기와 같은 저온의 환경에서 연료가 응고되어 파라핀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물질 발생을 억제하고, 차량 성능 및 연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연료 유입관(200)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를 가열하는 히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uel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revents the formation of paraffin in the low temperature environment such as the winter season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paraffin and suppress the generation of foreign matter, And a
상기 히터(700)는, 전원이 인가되면 발열되는 PTC 소자(710) 및 상기 PTC 소자(71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방열 플레이트(721, 7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방열 플레이트(721, 722)는, 상기 PTC 소자(710)를 기준으로 일측에서 그 PTC 소자(710)에 접촉되는 환형의 제1 방열 플레이트(721) 및 상기 PTC 소자(710)를 기준으로 타측에서 그 PTC 소자(710)에 접촉되며 상기 제1 방열 플레이트(721)에 대향되는 환형의 제2 방열 플레이트(7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PTC 소자(710)는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PTC 소자(710)는 상기 방열 플레이트(721, 722)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여기서, 상기 히터(700)는, 전원이 후술할 제3 외부기기로부터 후술할 통합 커넥터(800) 및 상기 방열 플레이트(721, 722)를 통해 상기 PTC 소자(710)로 인가되고, 전원이 인가된 상기 PTC 소자(710)가 발열되고, 상기 PTC 소자(710)에서 발열된 열이 상기 방열 플레이트(721, 722)를 통해 연료로 방열됨으로써, 연료를 가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ower source of the
그리고, 상기 히터(7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 중 임의의 공간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동절기에 상기 필터 부재(300) 및 상기 메시 부재(140)에 형성되는 파라핀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입구 영역(S11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히터(700)는, 상기 연료 유입관(200)으로 유입된 연료가 상기 필터 부재(300)에 도달되기 전까지 상기 히터(700)에 의해 충분히 가열되도록, 제한된 공간(입구 영역(S111)) 내에서 그 히터(700)를 통과하는 연료의 유로를 최대한 증가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방열 플레이트(721)에는 상기 연료 유입관(200)으로부터 토출되는 연료를 상기 제1 방열 플레이트(721)와 상기 제2 방열 플레이트(722) 사이로 안내하는 제1 홀(721a)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방열 플레이트(722)에는 상기 제1 방열 플레이트(721)와 상기 제2 방열 플레이트(722) 사이의 연료를 상기 필터 부재(300) 측으로 안내하는 제2 홀(721b)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 홀(721a)과 상기 제2 홀(721b)이 상기 방열 플레이트(721, 722)의 중심측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홀(721a)과 상기 제2 홀(721b)은 상기 제1 홀(721a)을 통해 상기 제1 홀(721a)과 상기 제2 홀(721b) 사이 공간으로 유입되는 연료가 상기 방열 플레이트(721, 722)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2 홀(721b)을 통해 토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터 장치는 상기 제1 센서(500), 상기 제2 센서(600) 및 상기 히터(700)를 구비하여 구성되면서도 양산성 및 정비성을 향상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uel filt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the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터 장치는, 상기 제1 센서(5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 외부기기와 상기 제1 센서(500)를 연결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2 센서(6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2 외부기기와 상기 제2 센서(600)를 연결하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히터(7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3 외부기기와 상기 히터(700)를 연결하는 제3 커넥터를 포함하고, 한 번의 작업으로 상기 제1 센서(500)와 상기 제1 외부기기, 상기 제2 센서(600)와 상기 제2 외부기기, 상기 히터(700)와 상기 제3 외부기기를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3 커넥터가 하나의 통합 커넥터(800)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fuel filt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first external device for operating the
구체적으로, 상기 통합 커넥터(800)는, 케이싱(810) 및 상기 케이싱(810)에 수용되는 회로기판(82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케이싱(810)은, 상기 회로기판(82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2)을 갖는 보디(body)(812) 및 상기 보디(812)와 결합되어 상기 수용공간(S2)을 복개하는 포팅(potting)(814)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보디(812)는, 상기 제1 센서(500)가 상기 회로기판(820)에 연결되도록 그 보디(812)를 관통하는 제1 관통공(812a), 상기 제2 센서(600)가 상기 회로기판(820)에 연결되도록 그 보디(812)를 관통하는 제2 관통공(812b) 및 상기 히터(700)가 상기 회로기판(820)에 연결되도록 그 보디(812)를 관통하는 제3 관통공(812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센서(500)는 상기 회로기판(820)으로부터 상기 케이싱(810)의 제1 관통공(812a) 및 상기 하우징(100)의 관통공(114d)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공간(S12)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2 센서(600)는 상기 회로기판(820)으로부터 상기 케이싱(810)의 제2 관통공(812b) 및 상기 하우징(100)의 관통공(114d)을 관통하여 상기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보디(812)는, 후술할 제1 단자 핀(831)이 관통하는 제1 단자 공, 후술할 제2 단자 핀(832)이 관통하는 제2 단자 공 및 후술할 제3 단자 핀(833)이 관통하는 제3 단자 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자 공, 상기 제2 단자 공 및 상기 제3 단자 공은 모두 상기 보디(812) 일측에 형성되는 단자부(812d)에 형성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상기 회로기판(820)은 PCB(Prinpted Circuit Board)에 각종 소자들이 장착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센서(500)를 상기 제1 외부기기와 연결시키는 제1 회로, 상기 제2 센서(600)를 상기 제2 외부기기와 연결시키는 제2 회로 및 상기 히터(700)와 상기 제3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제3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제1 회로는 일측에서 상기 제1 센서(500)와 연결되고, 타측에서 제1 단자 핀(831)을 통해 상기 제1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circuit may be connected to the
상기 제2 회로는 일측에서 상기 제2 센서(600)와 연결되고, 타측에서 제2 단자 핀(832)을 통해 상기 제2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ircuit may be connected to the
상기 제3 회로는 일측에서 상기 히터(700)와 연결되고, 타측에서 제3 단자 핀(833)을 통해 상기 제3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circuit may be connected to the
여기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통합 커넥터(800)를 이용하여, 한 번의 작업으로 상기 제1 센서(500)와 상기 제1 외부기기, 상기 제2 센서(600)와 상기 제2 외부기기, 상기 히터(700)와 상기 제3 외부기기를 연결 또는 분리 가능하므로, 양산성 및 정비성이 향상될 수 있다.Here,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터 장치는, 양산성 및 정비성이 더욱 향상되도록, 상기 제1 센서(500), 상기 제2 센서(600) 및 상기 통합 커넥터(800)가 상기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한 모듈(M)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센서(500), 상기 제2 센서(600) 및 상기 통합 커넥터(800)가 미리 상기 모듈(M)로 형성하고, 그 모듈(M)을 상기 하우징(100)의 장착부(114c)에 장착함으로써, 양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센서(500), 상기 제2 센서(600) 및 상기 통합 커넥터(800) 정비 시, 상기 하우징(100)을 분해할 필요없이, 상기 모듈(M)을 상기 하우징(100)으로부터 탈거하여 정비 가능하므로, 정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700)도 상기 모듈(M)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히터(700)의 구조상 상기 모듈(M)에 포함되지 않는 대신 그 모듈(M)에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터 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fuel filt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즉, 차량 운전이 개시되면, 상기 연료 펌프(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연료가 상기 연료 라인(미도시)의 연료 탱크로부터 상기 엔진(미도시)으로 공급될 수 있다.That is, when vehicle operation is started, fuel can be supplied from the fuel tank of the fuel line (not shown) to the engine (not shown) by the operation of the fuel pump (not shown).
이 과정에서, 연료는 상기 엔진(미도시)에 유입되기 전에 상기 연료 필터 장치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In this process, foreign matter can be removed by the fuel filter device before the fuel enters the engine (not shown).
구체적으로, 상기 연료 라인(미도시)의 상류 측으로부터 상기 연료 유입관(200)을 통해 상기 입구 영역(S111)으로 유입되는 연료는 상기 히터(700)를 통과하며 가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700)는 그 히터(700)로 유입되는 연료의 온도에 따라 그 연료를 가열하거나 가열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동절기와 같이 연료의 온도가 사전에 결정된 온도 범위에 미달할 경우에는 연료가 응고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히터(700)가 그 히터(700)를 통과하는 연료를 가열하지만, 예를 들어 하절기와 같이 연료의 온도가 사전에 결정된 온도 범위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히터(700)가 그 히터(700)를 통과하는 연료를 가열하지 않을 수 있다.Specifically, the fuel flowing from the upstream side of the fuel line (not shown) to the inlet region S111 through the
상기 히터(700)를 통과한 연료는 상기 필터 부재(300)를 통과하며 그 연료에 함유되어 있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The fue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상기 필터 부재(300)를 통과한 연료는 상기 출구 영역(S113)의 상류(S1131) 측에 일시 저장되며 그 연료로부터 물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 부재(300)를 통과하면서 입자가 커진 물이 소수성 재질로 된 상기 메시 부재(140)를 통과하지 못하고 비중 차이에 의해 상기 제2 공간(S12)에 포집되고, 물이 제거된 연료가 상기 출구 영역(S113)의 상류(S1131) 측에 포집될 수 있다.The fue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상기 출구 영역(S113)의 상류(S1131) 측에서 물이 제거된 연료는 상기 제1 연통공(132) 및 상기 메시 부재(140)를 통과하여 상기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시 부재(140)는 수분을 상기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 부재(300)로 미쳐 제거할 수 없는 이물질을 연료부터 제거할 수 있다.The fuel whose water has been removed from the upstream side S1131 of the outlet region S113 passes through the
혹은, 상기 출구 영역(S113)의 상류(S1131) 측에서 물이 제거된 연료는, 상기 제1 연통공(132) 및 상기 메시 부재(140)가 이물질(예를 들어, 동절기에 형성되는 파라핀)에 의해 막힐 경우, 상기 제2 연통공(134)을 통해 상기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fuel from which the water has been removed from the upstream side (S1131) of the outlet region (S113) may be a foreign matter (for example, paraffin formed in the winter season) It can be moved to the downstream side S1132 of the outlet region S113 through the
상기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으로 이동된 연료는 상기 연료 유출관(400)을 통해 상기 연료 라인(미도시)의 하류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fuel that has been moved to the downstream side S1132 of the outlet region S113 can be moved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fuel line (not shown) through the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필터 장치는, 상기 제1 센서(500), 상기 제2 센서(600) 및 상기 히터(700)를 구비하여 구성됨에 따라, 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고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이물질이 엔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성능 및 연비를 향상시키고, 엔진에 인가되는 연료 압력을 사전에 결정된 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차량 성능 및 연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Here, the fuel filte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그리고, 상기 제1 센서(500), 상기 제2 센서(600) 및 상기 히터(700)를 작동하기 위한 커넥터들이 상기 통합 커넥터(800)로 형성됨에 따라, 양산성 및 정비성이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connectors for operating the
그리고, 상기 제1 센서(500), 상기 제2 센서(600) 및 상기 통합 커넥터(800)가 상기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한 모듈(M)로 형성됨에 따라, 양산성 및 정비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Since the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센서(500), 상기 제2 센서(600) 및 상기 통합 커넥터(800)가 상기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한 모듈(M)로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싱(810)이 상기 하우징(100)과 별개로 형성되고, 그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다. 하지만,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810)과 상기 하우징(100)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센서(500), 상기 제2 센서(600), 상기 통합 커넥터(800) 및 상기 제1 하우징(110)이 하나의 모듈(M’)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상기 회로기판(82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2), 상기 제1 센서(500)가 삽입되는 제1 관통공(812a), 상기 제2 센서(600)가 삽입되는 제2 관통공(812b), 상기 히터(700)가 삽입되는 제3 관통공(812c) 및 상기 제1 단자 핀(831), 상기 제2 단자 핀(832) 및 상기 제3 단자 핀(833)이 구비되는 단자부(812d)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양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관통공(812a)과 상기 제2 관통공(812b)은 연료의 실링을 향상시키기 위해 하나의 상기 관통공(114d)으로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센서(500), 상기 제2 센서(600) 및 상기 히터(700)를 모두 구비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 센서(500), 상기 제2 센서(600) 및 상기 히터(700) 중 어느 두 개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100: 하우징 114c: 장착부
114d: 관통공 130: 격벽
132: 제1 연통공 134: 제2 연통공
140: 메시 부재 200: 연료 유입관
300: 필터 부재 400: 연료 유출관
500: 제1 센서 600: 제2 센서
700: 히터 800: 통합 커넥터
810: 케이싱 812d: 단자부
820: 회로기판 831: 제1 단자 핀
832: 제2 단자 핀 833: 제3 단자 핀
S1: 내부공간 S11: 제1 공간
S111: 입구 영역 S113: 출구 영역
S1131: 출구 영역의 상류 S1132: 출구 영역의 하류
S12: 제2 공간 S2: 수용공간100:
114d: through hole 130: partition wall
132: first communicating hole 134: second communicating hole
140: mesh member 200: fuel inlet pipe
300: filter member 400: fuel outlet pipe
500: first sensor 600: second sensor
700: Heater 800: Integrated connector
810:
820: circuit board 831: first terminal pin
832: second terminal pin 833: third terminal pin
S1: inner space S11: first space
S111: entrance area S113: exit area
S1131: upstream of the exit area S1132: downstream of the exit area
S12: second space S2: accommodation space
Claims (12)
연료 라인의 상류부로부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으로 연료를 안내하는 연료 유입관(200);
상기 연료 유입관(200)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에 구비되는 필터 부재(300);
상기 필터 부재(30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연료를 상기 연료 라인의 하류부로 안내하는 연료 유출관(400);
연료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에 포집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해 그 물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 센서(500);
상기 연료 라인의 하류부에서의 연료 압력을 사전에 결정된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의 연료 압력을 측정하는 제2 센서(600);
상기 제1 센서(500)를 제1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센서(600)를 제2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는 하나의 통합 커넥터(800)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은,
상기 필터 부재(300)가 배치되는 제1 공간(S11); 및
상기 제1 공간(S1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공간(S11)과 연통되며, 물이 포집되는 제2 공간(S1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간(S11)은,
상기 필터 부재(300)를 기준으로 상류 측인 입구 영역(S111); 및
상기 필터 부재(300)를 기준으로 하류 측인 출구 영역(S113);을 포함하고,
상기 입구 영역(S111)은 상기 연료 유입관(200)과 연통되고,
상기 출구 영역(S113)은 그 출구 영역(S113)의 상류(S1131) 측에서 상기 제2 공간(S12)과 연통되고 그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에서 상기 연료 유출관(400)과 연통되며,
상기 출구 영역(S113)에는 상기 출구 영역(S113)의 상류(S1131) 측과 상기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을 구획하는 격벽(130)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130)에는 상기 출구 영역(S113)의 상류(S1131) 측과 상기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을 연통시키는 연통공(132, 134)이 형성되는,
연료 필터 장치. A housing (100) having an internal space (S1);
A fuel inlet pipe (200) for guiding fuel from the upstream portion of the fuel line to the internal space (S1) of the housing (100);
A filter member 300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S1 of the housing 100 to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fuel flowing through the fuel inlet pipe 200;
A fuel outlet pipe (400) for guiding the foreign material removed fuel by the filter member (300) to a downstream portion of the fuel line;
A first sensor (500) for separating water from the fuel and measuring the water level of the water to remove water collected in the internal space (S1) of the housing (100);
A second sensor (600) for measuring the fuel pressure in the internal space (S1) of the housing (100) to maintain the fuel pressure at a downstream portion of the fuel line at a predetermined level;
A first connector connecting the first sensor (500) to a first external device; And
And a second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second sensor (600) to a second external device,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formed of one integrated connector (800)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00)
A first space S11 in which the filter member 300 is disposed; And
And a second space S12 disposed below the first space S11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S11 and collecting water,
The first space (S11)
An inlet region S111 upstream from the filter member 300; And
And an outlet region (S113) on the down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filter member (300)
The inlet region S111 communicates with the fuel inlet pipe 200,
The outlet region S113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pace S12 on the upstream side S1131 side of the outlet region S113 and on the downstream side S1132 of the outlet region S113 with the fuel outlet pipe 400, Respectively,
A partition wall 130 for partitioning the upstream side S1131 of the outlet region S113 and the downstream side S1132 of the outlet region S113 is formed in the outlet region S113,
The partition 130 has communication holes 132 and 134 for communicating the upstream side S1131 of the outlet region S113 and the downstream side S1132 of the outlet region S113.
Fuel filter device.
상기 통합 커넥터(800)는,
케이싱(810); 및
상기 케이싱(810)에 수용되는 회로기판(820);을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820)은,
상기 제1 센서(500)를 상기 제1 외부기기와 연결시키는 제1 회로; 및
상기 제2 센서(600)를 상기 제2 외부기기와 연결시키는 제2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로는 제1 단자 핀(831)을 통해 상기 제1 외부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회로는 제2 단자 핀(832)을 통해 상기 제2 외부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싱(81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단자 핀(831)과 상기 제2 단자 핀(832)이 구비되는 단자부(812d)가 형성되는 연료 필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grated connector (800)
A casing 810; And
And a circuit board (820) housed in the casing (810)
The circuit board 820 includes:
A first circuit connecting the first sensor (500)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And
And a second circuit connecting the second sensor (600)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The first circuit is connected to the first external device through a first terminal pin 831,
The second circu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external device through a second terminal pin 832,
Wherein a terminal portion (812d) having the first terminal pin (831) and the second terminal pin (83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ing (81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에는 상기 연료 유입관(200)을 통해 유입되는 연료를 가열시키는 히터(700)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700)를 제3 외부기기와 연결하는 제3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와 함께 상기 통합 커넥터(800)로 형성되는 연료 필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heater 700 for heating the fuel flowing through the fuel inlet pipe 200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00,
And a third connector connecting the heater (700) to a third external device is formed of the integrated connector (800) together wit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상기 회로기판(820)은 상기 히터(700)와 제3 외부기기를 연결하는 제3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회로는 제3 단자 핀(833)을 통해 상기 제3 외부기기와 연결되며,
상기 제3 단자 핀(833)이 상기 단자부(812d)에 형성되는 연료 필터 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circuit board 820 further includes a third circuit for connecting the heater 700 and a third external device,
The third circuit is connected to the third external device through a third terminal pin 833,
And the third terminal pin (833) is formed in the terminal portion (812d).
상기 제1 센서(500), 상기 제2 센서(600) 및 상기 통합 커넥터(800)는 상기 하우징(100)에 탈착 가능한 모듈(M)로 형성되는 연료 필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sensor (500), the second sensor (600), and the integrated connector (800) are formed of a module (M) detachable to the housing (100).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케이싱(810)이 장착되는 장착부(114c); 및
상기 장착부(114c)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센서(500) 및 상기 제2 센서(600)가 삽입되는 관통공(114d)을 포함하는 연료 필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housing (100)
A mounting portion 114c to which the casing 810 is mounted; And
And a through hole (114d) formed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114c) and into which the first sensor (500) and the second sensor (600) are inserted.
상기 케이싱(810)은 상기 하우징(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연료 필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asing (8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housing (100).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회로기판(82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2); 및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공간(S2)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공간(S1)을 연통시키고, 상기 제1 센서(500)와 상기 제2 센서(600)가 삽입되는 관통공(114d);을 포함하는 연료 필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ousing (100)
A receiving space S2 in which the circuit board 820 is accommodated; And
A through hole 114d into which the first sensor 500 and the second sensor 600 are inserted is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housing space S2 of the housing 100 and the inner space S1 of the housing 100, And a fuel filter.
상기 제1 센서(500)는 상기 제2 공간(S12)에서 물의 수위를 측정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센서(600)는 상기 출구 영역(S113)에서 연료 압력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연료 필터 장치.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first sensor 500 is formed to measure the water level in the second space S12,
Wherein the second sensor (600) is configured to measure fuel pressure in the outlet region (S113).
상기 연통공(132, 134)의 적어도 일부는 연료 중 사전에 결정된 입자 크기보다 작은 입자 크기를 갖는 연료를 통과시키기 위한 메시 부재(140)에 의해 복개되며,
상기 제2 센서(600)는 상기 출구 영역(S113)의 하류(S1132) 측에서 연료 압력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연료 필터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s (132, 134) is covered by a mesh member (140) for passing fuel having a particle size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in the fuel,
And the second sensor (600)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fuel pressure on the downstream side (S1132) side of the outlet region (S113).
상기 연통공(132, 134)은,
상기 격벽(130)에서 하부 측에 형성되는 제1 연통공(132); 및
상기 격벽(130)에서 상부 측에 형성되는 제2 연통공(134);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통공(132)이 상기 메시 부재(140)에 의해 복개되는 연료 필터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mmunication holes (132, 134)
A first communication hole 132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artition 130; And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134)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partition (130)
Where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32) is covered by the mesh member (140).
상기 메시 부재(140)는 소수성(疏水性) 재질로 형성되는 연료 필터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mesh member (140) is formed of a hydrophobic materia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5288A KR101942271B1 (en) | 2017-02-27 | 2017-02-27 | Fuel filter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5288A KR101942271B1 (en) | 2017-02-27 | 2017-02-27 | Fuel filter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8764A KR20180098764A (en) | 2018-09-05 |
KR101942271B1 true KR101942271B1 (en) | 2019-01-25 |
Family
ID=6359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5288A Active KR101942271B1 (en) | 2017-02-27 | 2017-02-27 | Fuel filter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2271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0699B1 (en) * | 2017-12-29 | 2022-09-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uel filter for diesel |
CN109058011A (en) * | 2018-09-30 | 2018-12-21 | 河北亿利橡塑集团有限公司 | A kind of heating device of fuel filt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6750B1 (en) * | 2014-05-29 | 2015-11-06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Fuel filter for diesel engin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0844A (en) | 2008-11-28 | 2010-06-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Fuel filter of vehicle |
ATE539807T1 (en) * | 2009-04-03 | 2012-01-15 | Delphi Tech Holding Sarl | FILTER ARRANGEMENT |
PL2614869T3 (en) * | 2012-01-13 | 2017-01-31 | Mahle International Gmbh | Liquid filter |
CA2941340A1 (en) * | 2014-03-20 | 2015-09-24 | Ufi Filters S.P.A. | A filter structure for fuel, a cartridge and a filter group |
-
2017
- 2017-02-27 KR KR1020170025288A patent/KR1019422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66750B1 (en) * | 2014-05-29 | 2015-11-06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Fuel filter for diesel eng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8764A (en) | 2018-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39464B1 (en) | Fuel-water separator unit with parallel flow | |
KR101942271B1 (en) | Fuel filter apparatus | |
JP6736273B2 (en) | Temperature control equipment | |
CN210073558U (en) | Vehicle-mounted power supply device | |
JP5763637B2 (en) | Cooling device for functional system | |
US9982640B2 (en) | Fuel pump module with replaceable filter unit | |
WO2018072558A1 (en) | Urea pump module | |
US8257456B2 (en) | Vacuum system using a filter cartridge | |
US7017609B2 (en) | Gas supply unit | |
KR20060039011A (en) | Fuel filter | |
WO2006134641A1 (en) | Fuel feeder for vehicle | |
US6514326B1 (en) | Canister module | |
CN113026299B (en) | Steam generator system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CN107208580A (en) | Import the filter group of the air of the air-breathing air inlet of explosive motor | |
JP4342741B2 (en) | In-tank fuel pump system | |
ES2873199T3 (en) | Diaphragm pump utilizing duckbill valves, multi-directional ports, and flexible electrical connectivity | |
US20220154628A1 (en) | Reservoir tank | |
CN107429584B (en) | Oil mist filter and oil separator | |
CN205338835U (en) | Suction cleaner | |
CN206875113U (en) | Steam water remover | |
KR101989394B1 (en) | Box for vehicle | |
JP6733057B2 (en) | Screw compressor for commercial vehicles | |
KR102116764B1 (en) | Gas cooler | |
CN112843976A (en) | Tail gas filter equipment and coating equipment | |
CN214172678U (en) | Integrated water cool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