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1708B1 -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708B1
KR101941708B1 KR1020150101102A KR20150101102A KR101941708B1 KR 101941708 B1 KR101941708 B1 KR 101941708B1 KR 1020150101102 A KR1020150101102 A KR 1020150101102A KR 20150101102 A KR20150101102 A KR 20150101102A KR 101941708 B1 KR101941708 B1 KR 101941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mainstream
ice
beverage
bott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294A (ko
Inventor
천성욱
Original Assignee
천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성욱 filed Critical 천성욱
Priority to KR102015010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708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7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F25D3/08Movable containers portable, i.e. adapted to be carried pers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류병과 음료병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사용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항상 시원한 상태를 유지시켜 준 상태에서 마실수 있도록 한 주류 및 음료의 냉각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는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용기의 내부 하단 부분에 채워지는 얼음 또는 아이스팩 직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다수개의 통공을 갖춘 받침판과 ;
상기 수납용기의 상면에 덮여진 상태에서 주류 또는 음료병이 수납될 수 있도록 관통구를 갖춘 덮개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Liquor or beverage cooling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류병과 음료병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을 사용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항상 시원한 상태를 유지시켜 준 상태에서 마실수 있도록 한 주류 및 음료의 냉각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류(맥주, 소주 등)와, 음료(사이다, 콜라 등등)는 냉각의 상태를 유지하여야만 이들의 내용물을 섭취시 시원함을 느끼게 됨은 물론, 내용물 차체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주류와 음료는 냉장고에 보관시켜 시원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주류 또는 음료를 마시고자 할 경우에 필요한 량 만큼 꺼내어 테이블에 올려 놓고, 주류와 음료를 컵에 따라 마시게 된다.
그러나, 냉장고에 보관되어 있는 주류와 음료를 꺼냈을 경우에는 냉장 보관되어 있었던 관계로 인해 시원함을 유지하고 있어 시원함과 자체의 맛과 향을 느끼면서 섭취를 할 수 있으나, 시간에 경과 여부에 따라 테이블에 올려져 있는 주류병과 음료병에 감겨져 있는 내용물은 실내,외의 주변 온도에 의해 미지근하게 되어 주류 및 음료 본래의 맛과 향을 느끼지 못하게 됨은 물론, 시원함이 없는 상태에서 마시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은 주류와 음료를 한꺼번에 여러병을 꺼내지 않고, 1병 또는 2병 정도만을 꺼내어 마시게 되는데, 음식점이나 주점등에서는 수시로 주문을 하여야 함은 물론, 주인 또는 종업원은 그대마다 주문된 량을 수시로 꺼내 주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여름철에는 음식점 및 주점 등에서 실내에서만 마시는 것이 아니고, 실외에 테이블을 별도로 설치한 상태에서 손님들이 음식과 함께 주류와 음료를 마시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테이블에 올려져 있는 주류와 음료병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이 빠른 시간내에 시원함을 잃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서, 최근에는 주류 또는 음료가 약 3~5병 정도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용기내에 얼음과 함께 주류와 음료병을 수납시켜 얼음의 냉기에 의해 주류와 음료병내에 담겨져 있는 내용물의 냉기를 최대한 유지시켜 준 상태에서 마실 수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용기내에 담겨져 있는 얼음의 냉기에 의해 어느정도 냉기를 유지시켜 줄 수는 있으나, 얼음의 냉기가 외부로 그대로 방출되고, 또한 얼음이 녹아 주류와 음료병에 물기가 그대로 묻어있어 내용물을 마시고자 할 경우 얼음물에 담겨져 있는 병 주변에 묻어있는 물기가 손에 그대로 묻게 됨은 물론, 물기가 옷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는 수건이나 휴지 등을 별도의 준비한 상태에서 이들에 묻어있는 물기를 닦아준 상태에서 사용을 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특히, 짧은 시간내에 많은 사람이 동시에 이용을 하게 되는 결혼식, 돌잔치, 회갑 등과 같은 피로연 장소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려 식사를 하기 때문에 냉장고에 보관되어 있던 시원한 주류와 음료를 손님들이 들어오기 전에 미리 테이블에 세팅을 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손님이 테이블에 앉기도 전에 이미 주류와 음료는 실내의 온도에 의해 미지근해지게 되고, 손님들은 시원하지 않은 주류와 음료를 마셔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켜 주기 위해 국내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28344호와, 국내등록특허 제10-1084001호가 소개된바 있으나, 이들은 모두 전기 또는 밧데리를 이용하여 용기내에 담겨져 있는 주류 또는 음료를 냉각시켜 주어야 하는 것이며, 이로인해 생산단가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경제적 부담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얼음을 이용하여 용기내에 일정한 온도의 냉기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용기내에 수납되는 주류와 음료가 항상 시원한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므로서, 테이블에서도 시원한 주류와 음료를 마실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얼음을 사용하더라도 얼음으로부터 녹아 발생된 물이 주류와 음료병에 묻지 않도록 하여 취급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는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용기의 내부 하단 부분에 채워지는 얼음 또는 아이스팩 직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다수개의 통공을 갖춘 받침판과 ;
상기 수납용기의 상면에 덮여진 상태에서 주류 또는 음료병이 수납될 수 있도록 관통구를 갖춘 덮개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는 물이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실을 갖는 2중의 수납용기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의 하단부에 받침판이 걸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테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판이 수납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항상 일정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받침판의 저면에 받침다리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판에 갖추어진 관통구를 덮어줄 수 있도록 하는 뚜껑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판 상면에 충진되는 얼음이 주류변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 상태에서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칸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통구의 일측면을 기점으로 한 덮개판의 저면과 뚜껑의 일측면에 축핀에 의해 결합되어 뚜껑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돌기를 갖추고, 상기 축핀에 씌워져 자체의 토숀력에 의해 뚜껑이 관통구에 덮여질 수 있도록 하는 토숀스프링이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덮개판에 갖추어진 관통구 내주연에 수납되는 주류병의 외주연을 긴밀히 밀착시켜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판을 갖춘 패킹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으며, 물이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실을 갖는 2중의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용기의 내부 하단 부분에 갖추어진 걸림테에 걸쳐져 수납되는 주류가 받쳐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위치하여 수납용기내에 채워지는 얼음이 채워지지 않고 주류병만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칸과;
상기 수납용기의 상면에 덮여진 상태에서 주류 또는 음료병이 수납될 수 있도록 관통구를 갖춘 덮개판과;
상기 덮개판에 갖추어진 관통구 내주연에 음료 또는 주류병의 외주연에 긴밀히 밀착되는 상태가 되어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밀폐판을 갖춘 패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납용기의 내부에 얼음 또는 아이스팩이 담겨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얼음 또는 아이스팩의 냉기를 이용하여 주류와 음료를 시원하게 유지시켜 주고자 할 때, 얼음 또는 아이스팩으로부터 발생된 냉기가 수납용기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여 항상 시원함을 유지한 주류및 음료를 편리하게 마실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얼음으로부터 녹아서 생긴 얼음물이 주류와 음료병에 묻지않아 사람이 병을 잡더라도 손에 물기가 묻거나 물기가 흘러 옷 등에 떨어지는 일이 없어 불쾌감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3 은 덮개판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도3a는 맥주병만을 사용할 경우의 예시도.
도3b는 소주병만을 사용할 경우의 예시도.
도3c는 맥주병과 소주병을 함께 사용할 경우의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덮개판의 저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로서,
도6a는 주류병이 꽂아지지 않은 상태도.
도6b는 주류병이 꽂아진 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8 은 도7의 A부 확대도.
도 1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주류 또는 음료등이 담겨질 수 있도록 하는 수납용기(100)를 갖추어준다.
상기 수납용기(100)는 알루미늄을 재질로 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상기 알루미늄 이외에 냉기의 방출을 최대한 차단시켜 줄 수 있는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수납용기(100)는 주류 또는 음료가 적어도 4병 이상 담겨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그 이상이 담겨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10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물이 충진되어 냉동에 의해 얼음이 얼려질 수 있도록 충진실(130)을 갖는 2중의 수납용기(100A)로 형성하여 사용할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내부에 충진실(130)을 갖는 2중의 수납용기(100A)로 형성하여 사용할 경우 충진실(130)내에 충진되어 있는 물을 냉동수단에 의해 얼음이 얼려지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 상기 충진실(130)내에 얼려져 있는 얼음의 온도에 의해 수납용기(100A) 외부의 상온 온도와 내부의 저온 온도를 차단시켜 주어 내부에 있는 차가운 온도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시켜 주어 내부의 차가운 온도를 오랜시간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수납용기(100)의 내부 하단에는 얼음 또는 아이스팩 등이 채워질 공간부 상단에 주류와 음료가 받쳐질 수 있도록 하는 받침판(200)을 갖추어 준다.
이때, 상기 받침판(200)은 수납용기(100)의 내부에 수납되는 얼음 또는 아이스팩의 직 상부에 위치하는 지점인 수납용기(100)에 내측으로 돌출되어 다수개의 통공(210)을 갖춘 받침판(200)이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걸림테(110)를 형성시켜 준다.
상기 받침판(200)은 수납용기(100,100A)내에 수납되는 음료 또는 주류가 받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00)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수납용기(100,100A)내에 얼음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얼음의 냉기에 의해 수납용기(100)내에 수납되어 있는 음료 또는 주류를 시원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며, 수납용기(100,100A)내에 받쳐진 받침판(200) 상부측에 얼음이 충진되는 상태에서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 및 주류병이 수납되는 위치에 수납칸(800)을 설치하여 상기 수납칸의 주변으로만 얼음이 충진될 수 있도록 하여 주류병을 수납칸(800)내에 수납시 얼음이 걸리는 일이 없어 수월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수납칸(800)은 얼음으로부터의 냉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철망을 사용할수도 있고, 또는 작은 크기의 통공을 다수개 형성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받침판(200)을 기점으로 하여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용기(100,100A)내에 얼음이 충진된 상태일 경우에는 시간에 경과함에 따라 얼음이 녹더라도 얼음과 눅은 물은 받침판(200)의 하부에 그대로 위치하고 있어 주류병에는 물이 뭍지 않게 되는 것이며, 받침판(2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수납용기(100,100A)내에 얼음이 충진될 경우에는 수납칸(800)에 의해 얼음이 주류병으로부터 차단된 상태에 있으며, 얼음으로부터 녹아내리는 물은 받침판(200)에 갖추어진 통공(210)을 통해 상기 받침판(200) 하부의 공간에 집수가 이루어지게 되는 주류병에는 물이 뭍어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용기(100)의 상면에는 냉기가 외부로 빠져나기지 않도록 하기 위한 덮개판(300)을 갖추어준다.
상기 덮개판(300)은 시각적인 차원에서 내부가 투시되어 보이는 투명의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 덮개판(300)에는 주류와 음료병이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관통구(310)를 갖추게 되는데, 이때 상기 관통구(310)의 크기를 사용되는 병의 크기에 맞도록 하여 수납용기내에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관통구(310)를 덮어줄 수 있도록 하는 뚜껑(400)을 갖추어 관통구에 주류와 음료병이 꽂아지지 않을 경우에 관통구를 덮어주어 냉기의 방출을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덮개판(300)에 갖추어지는 관통구(310)는 도3a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주병(10a) 또는 소주병(10b)만이 관통공 될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할 수도 있고,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맥주병(10a)과 소주병(10b)이 함께 수납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관통구(310)의 크기와 갯수는 수납용기(100)의 크기와 이에 담아주고자 하는 주류(맥주병, 소주병)및 음료(콜라병, 사이다병) 등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용기(100)의 상단 외부의 양측에는 걸고리(120)를 갖추어 수납용기(100)에 덮개판(300)이 덮여졌을 경우 덮개판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덮개판이 수납용기(1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은 우선, 받침판(200)을 기준으로 하여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수납용기(100)내에 얼음이나 아이스팩을 담아준 상태에서 ㅅ사용을 할 경우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또는 아이스팩을 수납용기(100)내에 갖추어진 걸림테(110)의 지기 하부까지만 수납될 수 있도록 하고, 받침판(200)의 상부에 얼음이 충진되도록 할 경우에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의 하부는 빈 상태를 유지하고, 수납칸(800)의 외부에 얼음이 충진되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을 하게 된다.
이때, 2중의 수납용기(100A)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수납용기(100A)를 냉동고 또는 냉동수단을 이용하여 2중의 수납용기(100A)에 갖추어진 충진실(130)내에 충진되어 있는 물이 얼려지도록 한 상태에서 사용을 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판(200)을 수납용기(100)내에 수납시켜 주게 되면 걸림테(110)에 받침판(200)이 걸쳐지게 된다.
그리고, 덮개판(300)을 수납용기(100) 상면에 덮어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덮개판(300)은 사용하고자 하는 내용물 즉, 주류 또는 음료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예를들어 맥주병(10a)만을 담아주고자 할 경우에는 도3a와 같이 맥주병(10a)의 크기에 맞는 관통구(310)를 갖추고 있는 덮개부(300)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고, 소주병(10b)만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3b와 같이 소주병(10b)의 크기에 맞는 관통구(310)를 갖추고 있는 덮개부(300)를 사용하면 되는 것이며, 맥주병(10a)과 소주병(10b)를 함께 담아주고자 할 경우에는 도3c와 같이 맥주병(10a)과 소주병(10b)이 담겨질 수 있도록 크기가 다른 관통구(310)가 갖추어진 덮개판(300)을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용기(100)에 갖추어진 걸고리(120)를 사용하여 덮개판(300)에 걸어주면 덮개판(300)이 수납용기(100)로부터 임의로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주류(맥주병, 소주병)를 덮개판(300)에 갖추어져 있는 관통구(310)를 통해 수납시켜 주게 되면, 상기 관통구를 통해 수납되는 주류의 하단면은 받침판(200)에 얹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하고자 하는 주류가 덮개판(300)에 갖추어져 있는 관통구(310)의 갯수보다 작을 경우에는 주류가 꽂아지지 않은 관통구(310)에는 뚜껑(400)을 덮어주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테이블에 올려주게 되는데, 얼음 또는 아이스팩으로부터 발생된 냉기는 받침판(200)의 통공(210)을 통해 수납용기(100) 사웁로 올라오게 되는 것이고, 상기의 냉기에 의해 수납용기내에 수납되어 있는 주류를 시원하게 하는 것이며, 냉장고에 저장 보관되어 있던 주류일 경우에는 그 시원함을 그대로 유지시켜 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덮개판(300)은 사용되는 주류의 크기에 맞는 관통구(310)가 갖추어진 것을 사용함에 따라 수납용기(100)내에 있는 냉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못해 오랜시간동안 냉기를 유지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주류를 마시고자 할 경우 수납용기(100)내에 꽂아져 있는 주류를 꺼내어 내용물을 컵에 부어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주류가 얼음 또는 아이스팩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받쳐져 있는 받침판(200)에 의해 얼음물이 주류에 직접적으로 뭍지 않아 주류를 꺼내어 따르고자 할 때 손에 물이 묻거나, 흘러내려 옷으로 떨어지는 등의 일이 발생되지 않으므로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주류를 컵에 다 부어주었을 경우에는 다시 관통구(310)를 통해 수납용기(100)내에 수납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제1실시예로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200) 저면에 받침다리(220)를 갖추어 상기 받침다리에 의해 받침판 하부에 얼음 또는 아이스팩 등이 감겨질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가 항상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로서는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구(310)의 일측부분이 되는 덮개부(300)의 저면과 뚜껑(400)의 일측면에 축핀(600)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돌기(330,410)를 갖추어 축핀에 의해 뚜껑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축핀(600)에는 토숀스프링(700)을 갖추어 토숀스프링의 토숀력에 의해 뚜껑(400)이 관통구(310)를 자동으로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는 주류병이 관통구(310)에 꽂아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숀스프링(700)의 탄성력에 의해 뚜껑(400)이 덮개판(300)이 저면에서 관통구(310)를 차단시켜 주고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류 또는 음료병을 수납시켜 주고자 할 경우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류병(10a,b)을 덮개판(400)의 상면으로부터 관통구(410)에 주류병의 하단부분이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이를 하부로 밀어 넣어주게 되면, 밀리는 힘에 의해 뚜껑(410)이 축핀(600)을 기점으로 하여 하부로 열리게 되면서 주류병이 수납용기(100)내에 수납되는 것이다.
이때, 주류병이 수납되지 않는 관통구(310)는 토숀스프링(700)의 탄성력에 의해 뚜껑(400)이 덮어주고 있는 상태에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판(300)에 갖추어진 관통구(310) 내주연에 연질의 재질로 하여 주류병의 외주연을 긴밀히 밀착시켜 수납용기(100,100A)내의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밀폐판(910)을 갖춘 패킹(900)을 갖추어 준 상태에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100:수납용기 200:받침판
210:통공 300:덮개판
310:관통구 330:결합돌기
400:뚜껑 500:얼음
600:축핀 700:토숀스프링
800:수납칸 900:패킹
910:밀폐판

Claims (9)

  1. 주류 및 음료를 냉각 보관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면이 개방된 상태로 하여 내용물이 담겨질 수 있는 수납용기와;
    상기 수납용기의 내부 하단 부분에 채워지는 얼음 또는 아이스팩 직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다수개의 통공을 갖춘 받침판과 ;
    상기 수납용기의 상면에 덮여진 상태에서 주류 또는 음료병이 수납될 수 있도록 관통구를 갖춘 덮개판으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수납용기는 물이 충진될 수 있도록 충진실을 갖는 2중의 수납용기로 형성하고,
    상기 수납용기의 하단부에 채워진 얼음의 직 상면에 받침판이 걸쳐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테를 형성하며,
    상기 받침판 상면에 충진되는 얼음이 주류변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는 상태에서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칸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덮개판에 갖추어진 관통구를 덮어줄 수 있도록 하는 뚜껑을 갖추되, 상기 뚜껑은 관통구의 일측면을 기점으로 한 덮개판의 저면과 뚜껑의 일측면에 축핀에 의해 결합되어 뚜껑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돌기를 갖추고, 상기 축핀에씌워져 자체의 토숀력에 의해 뚜껑이 관통구에 덮여질 수 있도록 구성하며, 상기 덮개판에 갖추어진 관통구 내주연에 수납되는 주류병의 외주연을 긴밀히 밀착시켜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판을 갖춘 패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이 수납용기의 바닥면으로부터 항상 일정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받침판의 저면에 받침다리가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101102A 2015-07-16 2015-07-16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Active KR101941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02A KR101941708B1 (ko) 2015-07-16 2015-07-16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102A KR101941708B1 (ko) 2015-07-16 2015-07-16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94A KR20170009294A (ko) 2017-01-25
KR101941708B1 true KR101941708B1 (ko) 2019-01-24

Family

ID=57991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102A Active KR101941708B1 (ko) 2015-07-16 2015-07-16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7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678B1 (ko) * 2019-11-13 2020-02-26 주식회사 지앤시바이오 결로 발생 저감과 온도조절이 가능한 블록형 보냉용기
KR102081681B1 (ko) * 2019-11-13 2020-02-26 주식회사 지앤시바이오 결로 발생 저감과 온도조절이 가능한 플레이트형 보냉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14279B2 (en) * 2018-07-12 2023-03-28 Pepsico, Inc. Beverage coo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023Y1 (ko) * 2002-08-19 2002-12-12 석재욱 휴대용 냉장병
KR200298011Y1 (ko) * 2002-08-09 2002-12-18 홍종학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용기의 냉각장치
KR200402281Y1 (ko) * 2005-09-13 2005-11-28 이대호 아이스박스
KR100915787B1 (ko) * 2007-06-26 2009-09-07 김준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0039U (ko) * 1998-06-01 2000-01-15 김석광 얼음 격리형 아이스 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011Y1 (ko) * 2002-08-09 2002-12-18 홍종학 반도체 열전소자를 이용한 용기의 냉각장치
KR200298023Y1 (ko) * 2002-08-19 2002-12-12 석재욱 휴대용 냉장병
KR200402281Y1 (ko) * 2005-09-13 2005-11-28 이대호 아이스박스
KR100915787B1 (ko) * 2007-06-26 2009-09-07 김준 음료수보냉용 얼음통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678B1 (ko) * 2019-11-13 2020-02-26 주식회사 지앤시바이오 결로 발생 저감과 온도조절이 가능한 블록형 보냉용기
KR102081681B1 (ko) * 2019-11-13 2020-02-26 주식회사 지앤시바이오 결로 발생 저감과 온도조절이 가능한 플레이트형 보냉용기
WO2021096059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지앤시바이오 결로 발생 저감과 온도조절이 가능한 플레이트형 보냉용기
WO2021096058A1 (ko) * 2019-11-13 2021-05-20 주식회사 지앤시바이오 결로 발생 저감과 온도조절이 가능한 블록형 보냉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94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5557B1 (en) Cooler floor support tray
US5727857A (en) Portable knockdown food display apparatus
US5284028A (en) Ice holder incorporated within a beverage container
US20120305571A1 (en) Portable beverage can cooler
US20120193366A1 (en) Flexible Foam Beverage Holder
US10941970B2 (en) Portable cooler apparatus
KR101941708B1 (ko) 주류 및 음료 냉각 보관장치
US5299433A (en) Pitcher having means for keeping beverage cold
US20150014336A1 (en) Ice chest insert and apparatus
US20030173361A1 (en) Modular cooler apparatus
US20090011106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e, storage, marketing and promotion of ice-creams and popsicles
US20080196443A1 (en) P.R.O. cooler or the perfectly re-engineered omni cooler
US6035659A (en) Sanitary beverage cooler
WO2007142673A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ice around a bottle
US20170367511A1 (en) Self chilling beverage system
US20140175105A1 (en) Insulated beverage container for both heated and chilled liquids
JP2002039656A (ja) 飲食物保冷温器
KR200305763Y1 (ko) 냉각용기
AU716629B3 (en) A cup carrying and cooling device
KR200396326Y1 (ko) 복합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커버
KR200406353Y1 (ko) 식탁용 술병 냉장 용기
JP3753788B2 (ja) 飲料用容器
KR200402281Y1 (ko) 아이스박스
JP3187136U (ja) 保冷コップ
KR200370375Y1 (ko) 주류 및 음료용 냉장보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6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1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71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1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4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110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809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804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