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0792B1 -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792B1
KR101940792B1 KR1020180047130A KR20180047130A KR101940792B1 KR 101940792 B1 KR101940792 B1 KR 101940792B1 KR 1020180047130 A KR1020180047130 A KR 1020180047130A KR 20180047130 A KR20180047130 A KR 20180047130A KR 101940792 B1 KR101940792 B1 KR 101940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ump
air
vacuum
pw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배
Original Assignee
서현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현배 filed Critical 서현배
Priority to KR102018004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7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0031
    • A61M1/0037
    • A61M1/006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75Intermittent or pulsating su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51Controlling upstream pump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55Controlling downstream pump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에 적용된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초기 기동 시에는 설정된 압력 값에 단시간 내에 도달해야 하므로 펌프1, 펌프2를 각각 교대로 펌핑하여 부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부압이 설정된 압력 값 수준에 이르면 펌프1의 PWM 펄스 정밀제어로 나머지 압력을 형성하도록 한 펌프1, 펌프2의 일반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및 미세 압력을 형성하기 위해서 펌프1을 정밀 제어하여야 하는데 PWM 파형을 반복시켜 펌프1을 구동함으로써 압력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복원동작으로 항상 일정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펌프1의 PWM(Pulse width methode) 펄스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진공작동체액펌프를 연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진공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진공작동체액펌프 제어방법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multi-vacuum operation body fluid pump}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에 적용된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 이상의 진공작동체액펌프를 연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진공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진공작동체액펌프 제어방법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제2016-0115619호(2016. 10. 06) 및 공개특허공보 제2016-0105709호(2016. 09. 07)를 개량 발명한 것임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주지하다시피 상처를 치료하기 위해 혹은 수술 중에나 수술 뒤 빠른 회복을 위해 진공을 이용하여 그 상처나 수술 부위에 고이는 삼출물 등 체액을 몸 밖으로 빼내어 수집하는 진공배액 시술을 위한 시스템이 보인턴 에이 토마스 등의 미국특허 7,004,915호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진공 배액 시술을 위한 시스템에는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 즉 부압을 발생하는 진공압발생원, 부압을 환자의 상처나 수술 부위에 전달하고 그로부터 삼출물 등 체액을 교환하여 흡입 전달하는 대체로 가늘고 긴 배액용 도관, 이 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삼출물 등 체액을 공기와 분리 수집하는, 흔히 캐니스터(canister)라 불리는 배액용기가 포함된다.
상기 진공압발생원은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나뉘는데, 상처나 수술 부위의 조직에 따라 적정 부압을 조절하고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전동식이 효과적이다. 전동식은 예를 들면 전기 모터로 작동하는 진공펌프일 수 있으며, 병원이나 기타 의료기관에 일반적으로 환자 침상 머리맡에 시설돼 있는 진공포트로 대체될 수 있다. 수동식의 경우는 배액용기를 겸한 형태도 있다.
상기 배액용 도관 시술에는 생체흡수성 패드와 흡입용 포트가 사용된다 생체흡수성 패드는 상처나 수술 부위를 덮어 삼출물 등 체액을 교환할 수 있는 매니폴드를 형성한다. 흡입용 포트는 생체흡수성 패드 위에 고정되어 그 주위를 밀봉한 상태로 도관과 연결되어, 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부압에 따라 생체흡수성 패드로부터 삼출물 등 체액을 교환 전달한다. 도관은 외상과 달리 환자 몸속에 있는 수술 부위나 고름집 등에 대해서 경피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술 부위 조직이나 그 처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배액용기는 상기 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삼출물 등 체액을 위생적으로 폐기하거나 분석 보관을 위해 사용된다. 이 배액용기는 진공압발생원 측 부압에 의해 비탄력적으로 수축된 상태에서 도관을 통해 전달되는 삼출물 등 체액으로 채워지면서 점차 부풀어 오르는 주머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액용기는 또한 일정 용적을 가진 딱딱한 통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이것은 삼출물 등 체액을 공기와 분리하여 수집하는 형태, 즉 삼출물 등 체액으로 채워지는 만큼 내부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하는 공기구멍이 있는 구조로 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나름 유용한 발명이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도 1 은 종래 싱클 타입 제어방법 작동 그래프이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즉, 종래 기술은 펌프 한 개를 통한 제어를 이용한 것으로 이는 소량의 진공장치에는 유리하였으나, 대량의 경우는 진공압을 유지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 기술은 한 개의 펌프를 이용한 관계로 연속적이면서 안정적인 진공압을 확보할 수 없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아래와 같은 선행기술문헌들이 개발되었으나, 여전히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하지 못하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15619호(2016. 10. 06)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05709호(2016. 09. 07)가 공개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충전회로부와 전원회로부 그리고 LCD표시부와 CPU제어부 및 버튼입력부와 구동부가 구비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두 개 이상의 진공작동체액펌프를 연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진공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대량의 경우도 진공압을 유지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며, 제4목적은 연속모드에서의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즉, 설정된 압력 값(예: -125mmHg)이 치료를 마칠 때까지 환부에 끝까지 유지되도록 한 것으로, 원하는 압력에 도달한 후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세하게 압력이 감소하는데 이런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펌프1을 PWM(Pulse width methode)(이하 "PWM"이라 칭함)펄스로 미세 제어하여 약간씩 감소하는 압력을 다시 설정 값으로 복원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제5목적은 다이나믹모드에서의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즉, 환자에 따라 강한 부압(예: -125mmHg)과 대기압(0 ~ -25mmHg) 을 일정시간을 주기(예; 5분 ON, 2분 OFF)로 환부에 교대로 적용해야 할 경우도 있는데, 이때 다이나믹모드로 동작시키고, 이 모드에서도 압력 값을 유지하기 위해 펌프1을 PWM 펄스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6목적은 펌프1, 펌프2의 일반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초기 기동 시에는 설정된 압력 값에 단시간 내에 도달해야 하므로 펌프1, 펌프2를 각각 교대로 펌핑하여 부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부압이 설정된 압력 값의 80% 수준에 이르면 펌프1의 PWM 펄스 정밀제어로 나머지 압력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며, 제7목적은 펌프1의 PWM 펄스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5~10mmHg 정도의 미세 압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펌프1을 정밀 제어하여야 하는데 80msec ON, 20ms OFF의 PWM 파형을 4회 반복시켜 펌프1을 구동함으로써 5~10mmHg 정도의 압력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복원동작으로 항상 일정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8목적은 이로 인해 진공작동체액펌프 제어방법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진공작동체액펌프를 연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진공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초기 기동 시에는 설정된 압력 값에 단시간 내에 도달해야 하므로 펌프1, 펌프2를 각각 교대로 펌핑하여 부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부압이 설정된 압력 값 수준에 이르면 펌프1의 PWM 펄스 정밀제어로 나머지 압력을 형성하도록 한 펌프1, 펌프2의 일반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및 미세 압력을 형성하기 위해서 펌프1을 정밀 제어하여야 하는데 PWM 파형을 반복시켜 펌프1을 구동함으로써 압력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복원동작으로 항상 일정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펌프1의 PWM(Pulse width methode) 펄스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전회로부와 전원회로부 그리고 LCD표시부와 CPU제어부 및 버튼입력부와 구동부가 구비된다.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진공작동체액펌프를 연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진공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대량의 경우도 진공압을 유지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속모드에서의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즉, 설정된 압력 값(예: -125mmHg)이 치료를 마칠 때까지 환부에 끝까지 유지되도록 한 것으로, 원하는 압력에 도달한 후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세하게 압력이 감소하는데 이런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펌프1을 PWM(Pulse width methode)(이하 "PWM"이라 칭함)펄스로 미세 제어하여 약간씩 감소하는 압력을 다시 설정 값으로 복원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이나믹모드에서의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즉, 환자에 따라 강한 부압(예: -125mmHg)과 대기압(0 ~ -25mmHg) 을 일정시간을 주기(예; 5분 ON, 2분 OFF)로 환부에 교대로 적용해야 할 경우도 있는데, 이때 다이나믹모드로 동작시키고, 이 모드에서도 압력 값을 유지하기 위해 펌프1을 PWM 펄스로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펌프1, 펌프2의 일반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초기 기동 시에는 설정된 압력 값에 단시간 내에 도달해야 하므로 펌프1, 펌프2를 각각 교대로 펌핑하여 부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부압이 설정된 압력 값의 80% 수준에 이르면 펌프1의 PWM 펄스 정밀제어로 나머지 압력을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은 펌프1의 PWM 펄스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5~10mmHg 정도의 미세 압력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펌프1을 정밀 제어하여야 하는데 80msec ON, 20ms OFF의 PWM 파형을 4회 반복시켜 펌프1을 구동함으로써 5~10mmHg 정도의 압력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복원동작으로 항상 일정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진공작동체액펌프 제어방법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싱클 타입 제어방법 작동 그래프.
도 2 는 본 발명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작동 그래프.
도 3 은 본 발명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블럭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에서 연속모드동작 흐름
도.
도 5 는 본 발명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에서 다이나믹모드동작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 LCD표시부의 설명도.
도 7 의 (a)(b)는 본 발명에 적용된 구성을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에
적용한 예시도.
본 발명에 적용된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에 적용된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은 도 2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적용된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는 이하의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는 물론 그 외의 물품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에 적용된 부호 100은 충전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회로를 말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회로부(100)에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전기회로인 전원회로부(11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원회로부(110)에는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의 동작모드를 표시해주는 LCD표시부(120)와,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의 동작을 제어해주는 CPU제어부(130)와,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의 동작 제어를 선택하는 버튼입력부(140)가 구비된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 CPU제어부(130)에 구동부(150)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상기 구동부(150)에는 펌프1,2와 홀센서1,2 그리고 배출솔레노이드1,2가 구비됨은 물론 다이나믹모드 대기압형성 솔레노이드3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에 적용된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진공작동체액펌프를 연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진공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적용된 도 2 는 본 발명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작동 그래프로, 진공압 작동구간이 종래의 기술과 달리 일정하기 때문에 연속적인 안정적 진공압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3 은 본 발명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구동부(150)에 이중펌프 또는 2개 이상의 멀티 펌프를 구성하여 연속적인 안정적 진공압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 LCD표시부(120)의 설명도를 나타낸 것으로, 동작모드표시와 압력값 그리고 압력유지시간 등이 표시된다.
이하에서 본원발명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진공작동체액펌프를 연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진공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본 발명은 초기 기동 시에는 설정된 압력 값에 단시간 내에 도달해야 하므로 펌프1, 펌프2를 각각 교대로 펌핑하여 부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부압이 설정된 압력 값 수준에 이르면 펌프1의 PWM 펄스 정밀제어로 나머지 압력을 형성하도록 한 펌프1, 펌프2의 일반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어서 본 발명은 미세 압력을 형성하기 위해서 펌프1을 정밀 제어하여야 하는데 PWM 파형을 반복시켜 펌프1을 구동함으로써 압력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복원동작으로 항상 일정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펌프1의 PWM(Pulse width methode) 펄스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를 거쳐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펄스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는 80msec ON, 20ms OFF의 PWM(Pulse width methode) 파형을 4회 반복시켜 펌프1을 구동함으로써 5~10mmHg 정도의 압력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는, 설정된 압력 값이 치료를 마칠 때까지 환부에 끝까지 유지도록 함과 아울러 환자의 환부에 강한 부압을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유지시켜 처치하는 연속모드 단계; 또는 환자에 따라 강한 부압과 대기압을 일정시간 주기로 환부에 교대로 적용하는 다이나믹모드 단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계가 포함된다.
이때 상기 연속모드 단계는 원하는 압력에 도달한 후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세하게 압력이 감소하는데 이런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펌프1을 PWM(Pulse width methode) 펄스로 미세 제어하여 약간씩 감소하는 압력을 다시 설정 값으로 복원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이나믹모드 단계는 다이나믹모드 단계에서도 압력 값을 유지하기 위해 펌프1을 PWM(Pulse width methode) 펄스로 미세 조정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다이나믹모드 단계의 강한 부압은 -125mmHg이며, 대기압은 0 ~ -25mmHg이며, 일정시간 주기는 5분 ON, 2분 OFF로 환부에 교대로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 는 본 발명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에서 연속모드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시작키를 누르면 펌프1, 펌프2가 설정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교대로 동작하고, 펌핑 동작중 홀센서가 감지되면 배출동작을 한다. 그리고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펌프1을 PWM 방식으로 정밀 제어하며 압력을 유지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연속모드 단계는,
(1) 시작키를 누르면 펌프1을 먼저 동작시켜 챔버1 내부로 환자 환부내의 공기를 흡입하되, 챔버1내부의 공기가 꽉차서 홀센서1이 감지되면 이 공기를 솔레노이드1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거친다.
(2) 다음으로 펌프2을 동작시켜 챔버2 내부로 환자 환부내의 공기를 흡입하되, 챔버2내부의 공기가 꽉차서 홀센서2이 감지되면 이 공기를 솔레노이드2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거친다.
(3) 상기 (1)단계, (2)단계의 동작을 교대로 실시하다가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압력 유지 단계로 진입해서 목표압력보다 10mmHg 정도 하강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펌프1을 pwm 방식으로 정밀제어하여 미세 압력을 형성, 상승시켜 설정압력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4) 상기(3) 단계에서도 챔버1의 공기가 꽉차서 홀센서1이 감지되면 이 공기를 솔레노이드1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거쳐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연속모드의 동작이 의료인의 환자에 대한 처치가 끝날 때까지 유지하게 된다.
또 한편, 도 5 는 본 발명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에서 다이나믹모드동작 흐름도를 나타낸 것으로, 시작키를 누르면 펌프1, 펌프2가 HIGH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교대로 동작하고, 펌핑 동작중 홀센서가 감지되면 배출동작을 한다. 그리고 HIGH 압력에 도달한 후 HIGH 타이머 동작시간 동안 펌프1을 PWM 방식으로 정밀 제어하며 HIGH 압력을 유지하고 LOW 타이머 동작시간 동안 배출3을 동작시켜 LOW 압력을 유지한다. 이러한 타이머 동작을 교대로 반복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다이나믹모드 단계는,
(1) 시작키를 누르면 펌프1을 먼저 동작시켜 챔버1 내부로 환자 환부내의 공기를 흡입하되, 챔버1내부의 공기가 꽉차서 홀센서1이 감지되면 이 공기를 솔레노이드1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거친다.
(2) 다음으로 펌프2을 동작시켜 챔버2 내부로 환자 환부의 공기를 흡입하되, 챔버2내부의 공기가 꽉차서 홀센서2이 감지되면 이 공기를 솔레노이드2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거친다.
(3) 상기 (1)단계, (2)단계의 동작을 교대로 실시하다가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부압 유지 단계로 진입해서 목표압력보다 현재 압력이 10mmHg 정도 하강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펌프1을 PWM(Pulse width methode) 방식으로 정밀제어하여 미세 압력을 형성, 상승시켜 설정압력을 유지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4) 상기 (3) 단계에서도 챔버1의 공기가 꽉차서 홀센서1이 감지되면 이 공기를 솔레노이드1을 통해 배출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5) 상기 (4) 단계에서 부압 유지 HIGH 타이머를 체크해서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대기압 유지 단계로 진입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6) 상기 대기압 유지 단계로 진입하면 환자 환부에 형성된 부압 대신 대기압(0~-25mmHg)을 형성하기 위해 솔레노이드3을 이용해서 한자의 환부를 대기압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거친다.
(7) 상기 (6) 단계에서는 대기압 유지 LOW 타이머를 체크해서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1)단계의 동작부터 처음부터 다시 반복하는 단계를 거쳐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다이나믹모드의 동작은 의료인의 환자에 대한 처치가 끝날 때까지 유지된다.
본 발명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에 적용된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충전회로부
110: 전원회로부
120: LCD표시부
130: CPU제어부
140: 버튼입력부
150: 구동부

Claims (8)

  1. 두 개 이상의 진공작동체액펌프를 연속적이면서 안정적으로 진공압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가 포함되되, 이 동작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에는, 설정된 압력 값이 치료를 마칠 때까지 환부에 끝까지 유지도록 함과 아울러 환자의 환부에 강한 부압을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유지시켜 처치하는 것으로, 시작키를 누르면 펌프1, 펌프2가 설정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교대로 동작하고, 펌핑 동작중 홀센서가 감지되면 배출동작을 하고,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펌프1을 PWM 방식으로 정밀 제어하며 압력을 유지시키는 연속모드 단계; 또는 환자에 따라 강한 부압과 대기압을 일정시간 주기로 환부에 교대로 적용하는 것으로, 시작키를 누르면 펌프1, 펌프2가 HIGH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교대로 동작하고, 펌핑 동작중 홀센서가 감지되면 배출동작을 하고, HIGH 압력에 도달한 후 HIGH 타이머 동작시간 동안 펌프1을 PWM 방식으로 정밀 제어하며 HIGH 압력을 유지하고 LOW 타이머 동작시간 동안 배출3을 동작시켜 LOW 압력을 유지시키는 다이나믹모드 단계;가 포함됨과 아울러,
    초기 기동 시에는 설정된 압력 값에 단시간 내에 도달해야 하므로 펌프1, 펌프2를 각각 교대로 펌핑하여 부압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러한 부압이 설정된 압력 값 수준에 이르면 펌프1의 PWM 펄스 정밀제어로 나머지 압력을 형성하도록 한 펌프1, 펌프2의 일반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및
    미세 압력을 형성하기 위해서 펌프1을 정밀 제어하여야 하는데 PWM 파형을 반복시켜 펌프1을 구동함으로써 압력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복원동작으로 항상 일정한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펌프1의 PWM(Pulse width methode) 펄스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연속모드 단계는,
    원하는 압력에 도달한 후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미세하게 압력이 감소하는데 이런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펌프1을 PWM(Pulse width methode) 펄스로 미세 제어하여 약간씩 감소하는 압력을 다시 설정 값으로 복원 및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모드 단계는,
    다이나믹모드 단계에서도 압력 값을 유지하기 위해 펌프1을 PWM(Pulse width methode) 펄스로 미세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5. 청구항 1 또는 3 에 있어서,
    상기 연속모드 단계는,
    (1) 시작키를 누르면 펌프1을 먼저 동작시켜 챔버1 내부로 환자 환부내의 공기를 흡입하되, 챔버1내부의 공기가 꽉차서 홀센서1이 감지되면 이 공기를 솔레노이드1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
    (2) 다음으로 펌프2을 동작시켜 챔버2 내부로 환자 환부내의 공기를 흡입하되, 챔버2내부의 공기가 꽉차서 홀센서2이 감지되면 이 공기를 솔레노이드2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
    (3) 상기 (1)단계, (2)단계의 동작을 교대로 실시하다가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압력 유지 단계로 진입해서 목표압력보다 10mmHg 정도 하강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펌프1을 pwm 방식으로 정밀제어하여 미세 압력을 형성, 상승시켜 설정압력을 유지시키는 단계; 및
    (4) 상기(3) 단계에서도 챔버1의 공기가 꽉차서 홀센서1이 감지되면 이 공기를 솔레노이드1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6. 청구항 1 또는 4 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모드 단계는,
    (1) 시작키를 누르면 펌프1을 먼저 동작시켜 챔버1 내부로 환자 환부내의 공기를 흡입하되, 챔버1내부의 공기가 꽉차서 홀센서1이 감지되면 이 공기를 솔레노이드1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
    (2) 다음으로 펌프2을 동작시켜 챔버2 내부로 환자 환부의 공기를 흡입하되, 챔버2내부의 공기가 꽉차서 홀센서2이 감지되면 이 공기를 솔레노이드2을 통해 배출하는 단계;
    (3) 상기 (1)단계, (2)단계의 동작을 교대로 실시하다가 설정압력에 도달하면 부압 유지 단계로 진입해서 목표압력보다 현재 압력이 10mmHg 정도 하강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펌프1을 PWM(Pulse width methode) 방식으로 정밀제어하여 미세 압력을 형성, 상승시켜 설정압력을 유지시키는 단계;
    (4) 상기 (3) 단계에서도 챔버1의 공기가 꽉차서 홀센서1이 감지되면 이 공기를 솔레노이드1을 통해 배출시키는 단계;
    (5) 상기 (4) 단계에서 부압 유지 HIGH 타이머를 체크해서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대기압 유지 단계로 진입시키는 단계;
    (6) 상기 대기압 유지 단계로 진입하면 환자 환부에 형성된 부압 대신 대기압(0~-25mmHg)을 형성하기 위해 솔레노이드3을 이용해서 한자의 환부를 대기압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7) 상기 (6) 단계에서는 대기압 유지 LOW 타이머를 체크해서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1)단계의 동작부터 처음부터 다시 반복하는 단계;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펄스 정밀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는,
    80msec ON, 20ms OFF의 PWM(Pulse width methode) 파형을 4회 반복시켜 펌프1을 구동함으로써 5~10mmHg 정도의 압력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다이나믹모드 단계의,
    강한 부압은 -125mmHg이며, 대기압은 0 ~ -25mmHg이며, 일정시간 주기는 5분 ON, 2분 OFF로 환부에 교대로 적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KR1020180047130A 2018-04-24 2018-04-24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Active KR101940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130A KR101940792B1 (ko) 2018-04-24 2018-04-24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7130A KR101940792B1 (ko) 2018-04-24 2018-04-24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792B1 true KR101940792B1 (ko) 2019-01-22

Family

ID=6528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7130A Active KR101940792B1 (ko) 2018-04-24 2018-04-24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7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3122B2 (ja) * 2011-03-11 2016-05-24 ローマン ウント ラウシェ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内視鏡的真空治療用真空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検査装置
KR20160105709A (ko) 2015-02-28 2016-09-07 서현배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
KR20160115619A (ko) 2015-03-28 2016-10-06 서현배 간접흡입방식 진공배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3122B2 (ja) * 2011-03-11 2016-05-24 ローマン ウント ラウシェ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内視鏡的真空治療用真空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検査装置
KR20160105709A (ko) 2015-02-28 2016-09-07 서현배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
KR20160115619A (ko) 2015-03-28 2016-10-06 서현배 간접흡입방식 진공배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05696B (zh) 创面容积测量方法和装置
US7022113B2 (en) Control of vacuum level rate of change
US99253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reduced pressure treatment to a tissue site
AU2002329844B2 (en) Vacuum assisted tissue treatment system
US7611500B1 (en) Wound therapy device and related methods
US20080152512A1 (en) Infiltration pump having insulated rollers and programmable foot pedal
KR101940792B1 (ko) 멀티 진공작동체액펌프의 제어방법
US20070110588A1 (en) Infiltration pump having insulated rollers and programmable foot pedal
KR20160115619A (ko) 간접흡입방식 진공배액장치
KR20160105709A (ko) 간접흡입방식 휴대용 흡인기
EP3965844B1 (e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system with dynamic fluid delivery
AU2021101104A4 (en) Vertebral body flushing system
US11896756B2 (en)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instillation system
RU214629U1 (ru) Вакуум-инстилля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US20240009371A1 (en) Pumping cassette for tissue treatment devices
JP2023527167A (ja) 可動式の陰圧閉鎖療法装置
AU20122024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reduced pressure treatment to a tissue site
AU20152018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reduced pressure treatment to a tissue 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