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367B1 - Tool holder - Google Patents
Tool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0367B1 KR101940367B1 KR1020150140039A KR20150140039A KR101940367B1 KR 101940367 B1 KR101940367 B1 KR 101940367B1 KR 1020150140039 A KR1020150140039 A KR 1020150140039A KR 20150140039 A KR20150140039 A KR 20150140039A KR 101940367 B1 KR101940367 B1 KR 1019403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der
- tool
- upper holder
- lower holder
- fastening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046—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with an intermediary toolhold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12—Special arrangements on tool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공구 홀더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 홀더는: 상면에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 경사를 이루게 형성되는 하부홀더; 및 하면이 하부홀더의 상면과 접촉되고, 하부홀더의 상면에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는 상부홀더를 포함하고, 상부홀더에 공구가 장착되고, 상부홀더가 하부홀더에 접촉되는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공구의 작업 방향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invention relating to a tool holder is disclosed. A too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holder formed on a top surface thereof so as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lowered toward the front; And an upper holder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lder and whose lower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so as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lder. The tool is mounted on the upper holder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holder contacts the lower holder is changed , The working direction of the tool is chang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구 홀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홀더를 이용하여 외경 가공 및 단면 가공할 수 있도록 공구를 고정하는 공구 홀더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l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l holder that fixes a tool so that one holder can be used for outer diameter machining and end cutting.
일반적으로 NC 선반(Numerically Controlled Lathe), CNC 선반(Computerized Numerically Controlled Lathe) 등의 공작기계는 공작물의 가공을 위하여 다양한 공구를 필요로 한다. 가공 중 필요한 공구는 공구대에 부착되고, 공작기계에서 공구를 회전시키면서 공작물을 가공한다. In general, machine tools such as Numerically Controlled Lathe (CNC) and Computerized Numerically Controlled Lathe (CNC) require various tools for machining a workpiece. During machining, the necessary tools are attached to the tool rest, and the workpiece is machined while rotating the tool on the machine tool.
이때 공작물의 가공 부위에 따라 공구는 외경 가공 공구, 내경 가공 공구, 단면 가공 공구로 나뉘고, 이 공구들을 공작대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공구 홀더를 필요로 한다.At this time, the tool is divided into an outer diameter machining tool, an inner diameter machining tool, and a section machining tool according to the machining area of the workpiece, and each tool holder is required to mount these tools on the workbench.
공구대에 장착되는 공구 홀더는 외경 홀더, 내경 홀더, 단면 홀더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 세가지 형태의 공구 홀더는 공구대의 분할각도(8각, 10각, 12각 등)에 따라 수량이 정해진다.The tool holder mounted on the tool stand consists of an outer diameter holder, an inner diameter holder, and a one-sided holder. Here, the three types of tool holders are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division angle (octagon, tenth, twelve, etc.) of the tool rest.
최근들어 공작물의 형상이 복잡해지고 공구대에 부착되는 공구 홀더의 수량이 증가되며, 공구대에 부착할 수 있는 공구 홀더의 수량보다 더 많은 공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공작물의 가공 중에 공구 홀더를 교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공작기계를 구입한 후 외경 가공용 홀더, 내경 가공용 홀더 등을 추가 구매할 경우, 각각의 공구 홀더를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Recently, the shape of the workpiece has become complicated, the number of tool holders attached to the tool holder has increased, and since more tools are required than the number of tool holders that can be attached to the tool holder, . Further, when a user purchases a machine tool and then purchases a holder for an outer diameter machining, a holder for an inner diameter machining, and the like, the respective tool holders must be purchased separately.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1759호(2014.01.29 공개, 발명의 명칭: 어댑터 교환식 공구홀더)에 개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11759 (published on Apr. 29, 2014, entitled Adapter Interchangeable Tool Holder).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홀더로 공작물을 외경 가공 및 단면 가공을 할 수 있도록 공구를 고정하는 공구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ol holder for fixing a tool so that a workpiece can be machined and sectioned by a single holder.
본 발명에 따른 공구 홀더는: 상면에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 경사를 이루게 형성되는 하부홀더; 및 하면이 상기 하부홀더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하부홀더의 상면에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는 상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홀더에 공구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홀더가 상기 하부홀더에 접촉되는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공구의 작업 방향이 변경된다.A too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wer holder formed on a top surface thereof so as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lowered toward the front; And an upper holder having a lower surface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lder and tilting downward toward the front so as to correspond to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lder, wherein the tool is mounted on the upper holder, As the direction of contact is changed, the working direction of the tool is changed.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홀더는, 하부홀더 본체; 상기 하부홀더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홀더 경사부; 및 상기 하부홀더 경사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holder includes: a lower holder body; A lower holder inclined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lder body and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orward; And a guide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holder inclined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홀더 경사부에는 상기 상부홀더와 제1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하부홀더 체결공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holder inclined portion is formed with a lower holder fastening hole which is fastened by the upper holder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홀더는, 상기 하부홀더 경사부와 대면되고,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홀더 경사부; 상기 상부홀더 경사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홀더 체결공과 연통되는 상부홀더 제1체결공이 형성되는 상부홀더 평면부; 및 상기 상부홀더 평면부와 직교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홀더 경사부가 상기 하부홀더 경사부에 접촉되는 방향에 변경됨에 따라 상기 하부홀더 체결공과 연통되는 상부홀더 제2체결공이 형성되는 상부홀더 공구수용부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holder includes: an upper holder inclined portion which faces the lower holder inclined portion and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front; An upper holder flat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holder inclined portion and having an upper holder first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holder fastening hole; And an upper holder tool receiving portion formed to be orthogonal to the upper holder plane portion and having an upper holder second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holder fastening hole as the upper holder slanting por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lower holder slanting portion, .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홀더 경사부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부를 더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holder inclined por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groov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guide protrusion.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홀더 공구수용부에는 상기 공구를 수용하는 공구수용홈이 형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holder tool receiving portion is formed with a tool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tool.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홀더 체결공은 상기 상부홀더 경사부가 상기 하부홀더 경사부에 접촉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홀더 제1체결공 또는 상기 상부홀더 제2체결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holder fastening hole is selectively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holder first fastening hole or the upper holder second fastening hole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holder inclined portion contacts the lower holder inclined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하부홀더 체결공과 상기 상부홀더 제1체결공, 또는 상기 하부홀더 체결공과 상기 상부홀더 제2체결공을 체결하여, 상기 하부홀더와 상기 상부홀더를 결합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stening member fastens the lower holder fastener and the upper holder first fastener or the lower holder fastener and the upper holder second fastener to couple the lower holder and the upper holder.
본 발명에 따른 공구 홀더에 의하면, 공구가 장착된 상부홀더가 하부홀더에서 분리되어 회전되면서 공작물에 외경 가공과 단면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oo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holder on which the tool is mounted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holder and rotated to perform the outer diameter machining and the end surface machining on the workpie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홀더에 형성된 가이드홈부와 하부홀더에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서로 결합되어, 상부홀더가 하부홀더에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holder and the guide groove formed on the upper holder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holder can be easily assembled to the lower hol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상부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홀더가 하부홀더에 결합되는 제1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홀더가 하부홀더에 결합되는 제1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홀더가 하부홀더에 결합되는 제2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홀더가 하부홀더에 결합되는 제2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ol and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rst state in which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ower holder.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first state in which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ower holder.
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ond state in which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ower holder.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ond state in which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ower hold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구 홀더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too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상부홀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홀더가 하부홀더에 결합되는 제1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홀더가 하부홀더에 결합되는 제1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홀더가 하부홀더에 결합되는 제2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홀더가 하부홀더에 결합되는 제2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low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first state in which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ower holder,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state in which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ower holder,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econd state in which an upp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a lower holder.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 홀더는 하부홀더(20) 및 상부홀더(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구홀더는 하부홀더(20)와 상부홀더(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부홀더(20)와 상부홀더(30)는 공구홀더를 측면에서 사선으로 자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1 to 3, a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하부홀더(20)는 상면에 전방(도 2 기준 좌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하향 경사를 이루게 형성된다. 하부홀더(20)는 하부홀더 본체(21), 하부홀더 경사부(23), 가이드돌기부(25)를 포함한다.The
하부홀더 본체(21)는 공작기계의 공구대(미도시)에 고정되는 것으로, 밑면(도 2 기준 하부면)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The lower holder
하부홀더 경사부(23)는 하부홀더 본체(21)의 상면에 형성되는, 전방(도 2 기준 좌측방향)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하부홀더 경사부(23)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상부홀더(30)의 상부홀더 경사부(33)에 대면된다. The lower holder
하부홀더 경사부(23)에는 상부홀더(30)와 제1체결부재(40)에 의해 체결되는 하부홀더 체결공(27)이 형성된다. 하부홀더 체결공(27)은 하부홀더 경사부(23)에 복수 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부홀더 체결공(27)은 하부홀더 경사부(23)의 네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그 숫자와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lower holder inclined
제1체결부재(40)는 상부홀더(30)와 하부홀더(20)를 체결할 수 있도록 공구 홀더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볼트로 형성된다. The
가이드돌기부(25)는 하부홀더 경사부(23)에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돌기부(25)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상부홀더(30)의 가이드홈부(35)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돌기부(25)와 가이드홈부(35)는 서로 대응되게 요철(凹凸)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이드돌기부(25)는 하부홀더 경사부(23) 중심면의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된다. 가이드홈부(35)는 가이드돌기부(25)에 요철 결합될 수 있는 상부홀더(30)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상부홀더(30)는 하면이 하부홀더(20)의 상면과 접촉되는 것으로, 상부홀더(30)의 하면은 하부홀더(20)의 상면에 대응되도록 전방(도 3 기준 좌측방향)으로 갈수로고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부홀더(30)는 상부홀더 경사부(33), 상부홀더 평면부(31), 상부홀더 공구수용부(32)를 포함한다.The lower surface of the
상부홀더 경사부(33)는 하부홀더 경사부(23)와 대면되는 것으로, 전방(도 3 기준 좌측방향)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upper holder
상부홀더 평면부(31)는 상부홀더 경사부(33)의 상부에 형성되고, 하부홀더 체결공(27)과 연통되는 상부홀더 제1체결공(37a)이 형성된다. 상부홀더 제1체결공(37a)은 하부홀더 체결공(27)의 크기와 숫자에 대응되게 형성된다.The upper holder
상부홀더 공구수용부(32)는 상부홀더 평면부(31)와 직교되게 형성되고, 하부홀더 체결공(27)과 연통되는 상부홀더 제2체결공(37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홀더 제2체결공(37b)은 상부홀더 경사부(33)가 하부홀더 경사부(23)에 접촉되는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하부홀더 체결공(27)과 연통된다. 상부홀더 제2체결공(37b)은 하부홀더 체결공(27)의 크기와 숫자에 대응되게 형성된다.The upper holder
상부홀더 공구수용부(32)에는 공구(10)를 수용하는 공구수용홈(39)이 형성된다. 공구(10)는 공구수용홈(39)에 수용된 후, 제2체결부재(50)에 의해 상부홀더 공구수용부(32)에 체결된다. 공구(10)의 일측(도 3 기준 우측)에는 제2체결부재(50)가 관통될 수 있는 복수 개의 관통공(11)이 형성된다. 관통공(11)은 제2체결부재(50)의 머리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제2체결부재(50)의 머리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지만, 제2체결부재(50)의 머리부가 관통되지 않도록 단차형성된다. 제2체결부재(50)는 볼트 또는 나사 등의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다.In the upper holder
상부홀더 제1체결공(37a)과 상부홀더 제2체결공(37b)은 상부홀더 경사부(33)가 하부홀더 경사부(23)와 접촉되는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하부홀더 체결공(27)과 연통된다. 하부홀더 체결공(27)과 연통된 상부홀더 제1체결공(37a) 또는 상부홀더 제2체결공(37b)은 제1체결부재(4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부홀더(30)가 하부홀더(20)에 고정된다. The upper holder
본 발명에 따른 상부홀더(30)는 가이드홈부(35)를 더 포함한다. 가이드홈부(35)는 상부홀더(30)의 상부홀더 경사부(33)에 하부홀더(20)의 하부홀더 경사부(23)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25)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가이드홈부(35)와 가이드돌기부(25)는 서로 요철 결합을 따라서, 상부홀더(30)는 하부홀더(20)에 결합되는 위치가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부홀더(30)를 하부홀더(2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상부홀더(30)는 하부홀더(20)에 결합되는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된다.The upper holder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groove (35).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구 홀더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ool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구 홀더에서 공구(10)가 공작물을 외경 가공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4 and 5 show a state in which the
상부홀더(30)를 하부홀더(20)에서 분리한 후, 상부홀더 경사부(33)를 하부홀더 경사부(23)와 대면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공구(10)가 장착된 상부홀더 공구수용부(32)가 좌측을 향하고, 상부홀더 평면부(31)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한다.After the
상부홀더 평면부(31)가 상측을 향한 상태에서, 가이드홈부(35)와 가이드돌기부(25)가 서로 결합되게 한다. The
상부홀더(30)는 가이드돌기부(25)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부홀더 제1체결공(37a)과 하부홀더 체결공(27)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The
상부홀더 제1체결공(37a)과 하부홀더 체결공(27)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제1체결부재(40)가 상부홀더 제1체결공(37a)과 하부홀더 체결공(27)에 삽입되어, 상부홀더(30)와 하부홀더(20)를 고정시킨다.The
상부홀더(30)와 하부홀더(20)과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홀더(30)의 좌측에 위치된 공구(10)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외경 가공한다.The outer diameter of the workpiece is machined by using th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구 홀더에서 공구(10)가 공작물을 단면 가공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s. 6 and 7 show a state in which the
상부홀더(30)를 하부홀더(20)에서 분리한 후, 상부홀더 경사부(33)를 하부홀더 경사부(23)와 대면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공구(10)가 장착된 상부홀더 공구수용부(32)가 상측을 향하고, 상부홀더 평면부(31)가 좌측을 향하도록 배치한다.After the
상부홀더 공구수용부(32)가 상측을 향한 상태에서, 가이드홈부(35)와 가이드돌기부(25)가 서로 결합되게 한다. The
상부홀더(30)는 가이드돌기부(25)를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부홀더 제2체결공(37b)과 하부홀더 체결공(27)이 서로 연통되도록 한다.The
상부홀더 제2체결공(37b)과 하부홀더 체결공(27)이 서로 연통된 상태에서 제1체결부재(40)가 상부홀더 제2체결공(37b)과 하부홀더 체결공(27)에 삽입되어, 상부홀더(30)와 하부홀더(20)를 고정시킨다.The
상부홀더(30)와 하부홀더(20)과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홀더(30)의 상측에 위치된 공구(10)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단면 가공한다.The workpiece is sectioned by using the
즉, 본 발명에서 외경 가공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공구(10)가 장착된 상부홀더(30)를 하부홀더(20)에서 분리한 후, 180° 회전하여 상부홀더(30)를 하부홀더(20)에 장착하면 공구(10)가 단면 가공을 수행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른 공구 홀더에 의하면, 공구(10)가 장착된 상부홀더(30)가 하부홀더(20)에서 분리되어 회전되면서 공작물에 외경 가공과 단면 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ool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홀더(30)에 형성된 가이드홈부(35)와 하부홀더(20)에 형성된 가이드돌기부(25)가 서로 결합되어, 상부홀더(30)가 하부홀더(20)에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공구 11: 관통공
20: 하부홀더 21: 하부홀더 본체
23: 하부홀더 경사부 25: 가이드돌기부
27: 하부홀더 체결공 30: 상부홀더
31: 상부홀더 평면부 32: 공구수용부
33: 상부홀더 경사부 35: 가이드홈부
37a: 상부홀더 제1체결공 37b: 상부홀더 제2체결공
39: 공구수용홈 40: 제1체결부재
50: 제2체결부재10: tool 11: through hole
20: lower holder 21: lower holder body
23: Lower holder inclined portion 25: Guide protrusion
27: lower holder fastening hole 30: upper holder
31: upper holder plane portion 32: tool receiving portion
33: upper holder inclined portion 35: guide groove
37a: upper holder
39: tool receiving groove 40: first fastening member
50: second fastening member
Claims (8)
하면이 상기 하부홀더의 상면과 접촉되고, 상기 하부홀더의 상면에 대응되도록 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를 이루는 상부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홀더에 공구가 장착되고, 상기 상부홀더가 상기 하부홀더에 접촉되는 방향이 변경됨에 따라, 상기 공구의 작업 방향이 변경되고,
상기 하부홀더는,
하부홀더 본체;
상기 하부홀더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하부홀더 경사부; 및
상기 하부홀더 경사부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홀더 경사부에는 상기 상부홀더와 제1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하부홀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홀더는,
상기 하부홀더 경사부와 대면되고, 전방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홀더 경사부;
상기 상부홀더 경사부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홀더 체결공과 연통되는 상부홀더 제1체결공이 형성되는 상부홀더 평면부; 및
상기 상부홀더 평면부와 직교되게 형성되고, 상기 상부홀더 경사부가 상기 하부홀더 경사부에 접촉되는 방향에 변경됨에 따라 상기 하부홀더 체결공과 연통되는 상부홀더 제2체결공이 형성되는 상부홀더 공구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홀더 체결공은 상기 상부홀더 경사부가 상기 하부홀더 경사부에 접촉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상부홀더 제1체결공 또는 상기 상부홀더 제2체결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A lower hold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as to have a downward inclination lowered toward the front; And
And an upper holder which is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lder and whose lower surface is inclined downward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lder,
A tool is mounted on the upper holder, and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holder contacts the lower holder is changed, the working direction of the tool is changed,
Wherein the lower holder comprises:
A lower holder body;
A lower holder inclined port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holder body and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orward; And
And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holder inclined portion,
A lower holder fastening hole is formed in the lower holder slope portion to be fastened by the upper holder and the first fastening member,
Wherein the upper holder comprises:
An upper holder inclined portion facing the lower holder inclined portion and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orward;
An upper holder flat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holder inclined portion and having an upper holder first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holder fastening hole; And
An upper holder tool receiving portion formed to be orthogonal to the upper holder plane portion and having an upper holder second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holder fastening hole as the upper holder slanting portion is changed in a direction of contact with the lower holder slanting portion In addition,
And the lower holder fastening hole is selectively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holder first fastening hole or the upper holder second fastening hole according to a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holder slant portion contacts the lower holder slant portion.
상기 상부홀더 경사부의 하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부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uide groove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holder inclined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guide projection portion.
상기 상부홀더 공구수용부에는 상기 공구를 수용하는 공구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holder tool receiving portion is formed with a tool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tool.
상기 제1체결부재는 상기 하부홀더 체결공과 상기 상부홀더 제1체결공, 또는 상기 하부홀더 체결공과 상기 상부홀더 제2체결공을 체결하여, 상기 하부홀더와 상기 상부홀더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홀더.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astening member engages the lower holder fastener and the upper holder first fastener or the lower holder fastener and the upper holder second fastener to couple the lower holder and the upper holder, Tool hold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0039A KR101940367B1 (en) | 2015-10-05 | 2015-10-05 | Tool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0039A KR101940367B1 (en) | 2015-10-05 | 2015-10-05 | Tool hol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0712A KR20170040712A (en) | 2017-04-13 |
KR101940367B1 true KR101940367B1 (en) | 2019-01-18 |
Family
ID=5858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0039A Active KR101940367B1 (en) | 2015-10-05 | 2015-10-05 | Tool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036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7283B1 (en) | 2022-04-28 | 2023-06-26 | 조용성 | Tool holder assembly of cutting insert for processing machine component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24343U (en) * | 1985-01-23 | 1986-08-05 | ||
KR20140004158U (en) * | 2012-12-28 | 2014-07-08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Tool bar for bite fixing |
-
2015
- 2015-10-05 KR KR1020150140039A patent/KR101940367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7283B1 (en) | 2022-04-28 | 2023-06-26 | 조용성 | Tool holder assembly of cutting insert for processing machine compon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40712A (en) | 2017-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80104826A1 (en) | Machining device | |
US20150111710A1 (en) | Tool changer provided with covers | |
CN101181777A (en) | Laser positioning device for drilling machine | |
KR20090101178A (en) | Especially for tool holders for grooving tools and cutting bodies for tool holders | |
US20190111493A1 (en) | Cutting tool and method for machining annular groove | |
KR101940367B1 (en) | Tool holder | |
KR100464558B1 (en) | Cutting apparatus | |
US5092206A (en) | Toolholder for an automatic lathe | |
KR20040071901A (en) | Drilling machine to make vertical hall | |
KR101855160B1 (en) | A Drill Machine for Forming a Plural of Tabs with a Structure of Regulating an Angle in a Plane and a Torque in Process | |
KR20130065362A (en) | The insert tip setting equipment for a millimg cutter | |
KR20200010855A (en) | Complextype 5-axis machining apparatus | |
JP2003159601A (en) | Multifunctional cutting tool and lathe using the same | |
KR101518042B1 (en) | Auxiliary jig for large size workpiece | |
JP7273536B2 (en) | bite tool | |
KR101894268B1 (en) | Jig For Cutting Taper Face Of Piston Mold | |
KR101576297B1 (en) | Boring bar holder device for turning center | |
CN112077760A (en) | Divide processing anchor clamps and processing equipment in | |
KR101442688B1 (en) | cutting tool | |
KR101518043B1 (en) | Auxiliary jig for large size workpiece | |
KR102708978B1 (en) | Machining center device with improved work efficiency | |
JP6383025B2 (en) | Threading tools, tips and holders | |
KR200475774Y1 (en) | A vase for cutting processing | |
TWI665071B (en) | Woodworking clamp capable of placing blade sleeve | |
KR102280658B1 (en) | Laser cutting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5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6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0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