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0344B1 -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344B1
KR101940344B1 KR1020140007262A KR20140007262A KR101940344B1 KR 101940344 B1 KR101940344 B1 KR 101940344B1 KR 1020140007262 A KR1020140007262 A KR 1020140007262A KR 20140007262 A KR20140007262 A KR 20140007262A KR 101940344 B1 KR101940344 B1 KR 1019403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ub
subframes
downlink control
fram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584A (ko
Inventor
강승현
최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0313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4034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PCT/KR2014/00821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46773A1/ko
Priority to US15/024,862 priority patent/US9894644B2/en
Priority to CN201480053323.5A priority patent/CN105659511B/zh
Publication of KR20150034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3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llocation of payload; Allocation of data channels, e.g. PDSCH or PUS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e.g. signalling of configuration information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단말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단말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다. 단말은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결합하여 수신한다. 단말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한다.

Description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es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 단말을 위한 커버리지에 비해 향상된 커버리지에 위치하는 단말을 위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반복적으로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또는 M2M(Machine to Machine)은 사람이 개입하지 않거나 최소한으로 개입한 상태에서 기기 및 사물 간에 일어나는 통신이다. "machine"은 사람의 직접적인 조작이나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개체를 의미할 수 있고, "MTC"는 이러한 machine이 하나 이상 포함된 데이터 통신의 한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machine"의 예로는 이동 통신 모듈이 탑재된 스마트 미터, 자판기 등의 형태일 수 있고, 최근에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 또는 개입 없이도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MTC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도 machine의 한 형태로 고려되고 있다.
MTC 단말은 일반 단말에 비해 전파 환경이 나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MTC 단말의 커버리지는 일반 단말의 커버리지와 비교하여 20dB 이상으로 향상되어야 한다.
MTC 단말이 일반 단말에 비해 20 dB 이상 향상된 커버리지에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서브프레임 단위로만 전송되는 각 물리 채널의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커버리지가 확장된 단말이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또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기지국이 단말로 구성 정보를 알려주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단말이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결합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합하여 수신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기지국이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로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결합하여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결합하여 수신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리지가 확장된 단말이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고, 또한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및/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전송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기지국이 단말로 구성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일반 단말이 PDCCH/E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PDSCH를 수신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커버리지가 확장된 단말이 PDCCH/E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PDSCH를 수신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예에서 단말이 PDCCH가 반복된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모르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DCI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따른 PDCCH 및 PDSCH 수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5에 따른 PDCCH 및 PDSCH 수신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DCI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 따른 PDCCH 및 PDSCH 수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PDCCH/EPDCCH 및 PDSCH가 동일한 서브프레임들에서 반복되는 경우 커버리지 확장된 단말이 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PDSCH를 수신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DCI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11의 예에 따른 PDCCH 및 PDSCH 수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DCI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14는 도 13의 예에 따른 PDCCH 및 PDSCH 수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서의 무선통신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무선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10) 및 기지국(Base Station, BS, 또는 eNB)(2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사용자 단말은 무선 통신에서의 단말을 의미하는 포괄적 개념으로서, WCDMA 및 LTE, HSPA 등에서의 UE(User Equipment)는 물론, GSM에서의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일반적으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지점(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eNB(evolved Node-B), 섹터(Sector), 싸이트(Site),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지국(20) 또는 셀(cell)은 CDMA에서의 BSC(Base Station Controller), WCDMA의 Node-B, LTE에서의 eNB 또는 섹터(싸이트) 등이 커버하는 일부 영역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메가셀, 매크로셀, 마이크로셀, 피코셀, 펨토셀 및 릴레이 노드(relay node), RRH, RU 통신범위 등 다양한 커버리지 영역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단말과 기지국은,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기술 또는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두 가지(Uplink 또는 Downlink) 송수신 주체로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며 특정하게 지칭되는 용어 또는 단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향링크(Uplink, UL, 또는 업링크)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기지국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하향링크(Downlink, DL, 또는 다운링크)는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통신시스템에 적용되는 다중 접속 기법에는 제한이 없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FDMA, OFDM-TDMA, OFDM-CDMA와 같은 다양한 다중 접속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GSM, WCDMA, HSPA를 거쳐 LTE 및 LTE-Advanced로 진화하는 비동기 무선통신과, CDMA, CDMA-2000 및 UMB로 진화하는 동기식 무선 통신 분야 등의 자원할당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무선통신 분야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향링크 전송 및 하향링크 전송은 서로 다른 시간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FDD(Frequency Division Duplex)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LTE, LTE-Advanced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반송파 또는 반송파 쌍을 기준으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구성하여 규격을 구성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DCCH),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등과 같은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정보를 전송하고,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등과 같은 데이터채널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 셀(cell)은 송수신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 또는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point 또는 transmission/reception point)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커버리지를 가지는 요소반송파(component carrier), 그 송수신 포인트 자체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은 둘 이상의 송수신 포인트들이 협력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다중 포인트 협력형 송수신 시스템(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oMP 시스템) 또는 협력형 다중 안테나 전송방식(coordinated multi-antenna transmission system), 협력형 다중 셀 통신시스템일 수 있다. CoMP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개의 다중 송수신 포인트와 단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송수신 포인트는 기지국 또는 매크로 셀(macro cell, 이하 'eNB'라 함)과, eNB에 광케이블 또는 광섬유로 연결되어 유선 제어되는, 높은 전송파워를 갖거나 매크로 셀 영역 내의 낮은 전송파워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RRH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에서 단말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에서 다중 송수신 포인트으로의 통신 또는 통신 경로를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분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다중 송수신 포인트의 일부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PUCCH, PUSCH, PDCCH 및 PDSCH 등과 같은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되는 상황을 ‘PUCCH, PUSCH, PDCCH 및 PDSCH를 전송, 수신한다’는 형태로 표기하기도 한다.
기지국(20)은 단말(10)들로 하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기지국(20)은 유니캐스트 전송(unicast transmission)을 위한 주 물리 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 그리고 PDSCH의 수신에 필요한 스케줄링 등의 하향링크 제어 정보 및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예를 들면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에서의 전송을 위한 스케줄링 승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을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채널을 통해 신호가 송수신 되는 것을 해당 채널이 송수신되는 형태로 기재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지국(20)은 단말(10)로 PDCCH/EPDCCH를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전송한다. DCI는 PDSCH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할당(assignment)을 포함하거나, PUSCH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승인(grant)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20)은 단말(10)에 상/하향 데이터 전송 자원을 할당하기 위해 DCI를 사용하고, 이를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10)로 전송한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은 DCI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송 자원의 위치에 따라서 PDCCH 및 EPDCCH로 분류될 수 있다.
PDCCH는 CFI(Control Format Indicator)를 통해서 설정되는 제어 영역에서 전송된다. 제어 영역은 하향링크 대역폭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고 각각의 서브프레임마다 CFI 설정 값에 따라 1~4 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된다.
EPDCCH는 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EPDCCH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전송 자원은 각 단말마다 상위계층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으로 미리 정의된 서브프레임과 미리 정의된 복수 개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 pair에 대해서만 사용될 수 있다.
DCI를 PDCCH를 통해 전송할 때 기본이 되는 전송 자원의 단위를 CCE(Control Channel Element)라 할 수 있다. 하나의 CCE는 9개의 REG(Resource Element Group)로 구성되고, 하나의 REG는 4개의 RE(Resource Element)로 구성될 수 있다.
DCI를 EPDCCH를 통해 전송할 때 기본이 되는 전송 자원의 단위를 ECCE(Enhanced CCE)라 할 수 있다. 하나의 ECCE는 cyclic prefix 길이 및/또는 TDD 구성에 따라 4개 또는 8개의 EREG(Enhanced REG)로 구성되고, 하나의 EREG는 RS(Reference Signal) 전송에 사용되는 RE에 따라서 가변적인 복수 개의 RE로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의 채널 상황에 따라서 하나의 DCI를 PDCCH를 통해 전송할 때 사용하는 CCE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Aggregation level이라고 하고, 단말의 채널 상황에 따라서 1, 2, 4, 또는 8개의 CCE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지국(20)은 단말의 채널 상황에 따라서 하나의 DCI를 EPDCCH를 통해 전송할 때 사용하는 ECCE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Aggregation level이라고 하고, 단말의 채널 상황에 따라서 1, 2, 4, 8, 16 또는 32개의 ECCE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DCCH/EPDCCH는 복수 개의 CCE/ECCE로 구성되고 있고, 기지국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복수 개의 DCI를 복수 개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이 PDCCH/EPDCCH를 통해 DCI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CCE/ECCE의 할당 정보(즉, 하나의 DCI 전송에 사용되는 CCE aggregation level 정보 및 CCE 전송 자원의 위치 정보)는 기지국이 단말에 별도로 제공하지 않으므로, 단말은 자신에게 전송되는 DCI를 확인하기 위해 가능한 aggregation level 및 CCE 전송 자원에 대해 블라인드 디코딩(blind decoding)을 수행한다.
단말이 PDCCH/EPDCCH 내에 존재하는 모든 CCE/ECCE에 대해서 aggregation level 별로 가능한 모든 CCE/ECCE 조합을 블라인드 디코딩하기에는 처리 지연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단말 별로 미리 정의된 CCE/ECCE 인덱스들로 구성되는 PDCCH candidate/EPDCCH candidate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각 aggregation level 별로 PDCCH candidate/EPDCCH candidate를 구성하는 CCE 인덱스/ECCE 인덱스는 aggregation level,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의 값, 슬롯 넘버(또는 서브프레임 넘버)의 함수로 정의될 수 있다. 단말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aggregation level마다 제한된 개수의 PDCCH candidate/EPDCCH candidate에 대해서만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는 일반 단말이 PDCCH/E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PDSCH를 수신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은 PDCCH candidate/EPDCCH candidate에 대해서 PDCCH/E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시도한다. DCI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추가되어 있고, 단말은 CRC를 체크하여 자신에게 전송된 DCI를 확인한다. CRC 체크 결과 자신에게 전송된 DCI를 확인한 때, 단말은 DCI에 포함된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고, DCI가 전송된 서브프레임과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서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자원을 사용하여 PDSCH를 디코딩한다.
도 2는 PDCCH/E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PDSCH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다. 도 2와 유사한 방식으로, PUSCH 스케줄링 정보 또한 PDCCH/E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획득될 수 있다.
[MTC]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는 사람이 개입하지 않는 상태에서 기기 및 사물 간에 일어나는 통신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3GPP관점에서 “machin”이란, 사람의 직접적인 조작이나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 개체를 의미하며, “MTC”는 이러한 machine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이 포함된 데이터 통신의 한 형태로 정의된다. Machine의 전형적인 예로는 이동통신 모듈이 탑재된 smart meter, vending machine 등의 형태가 언급되었으나, 최근에는 사용자의 위치 또는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나 개입 없이도 자동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MTC 기능을 가진 휴대 단말도 machine의 한 형태로 고려되고 있다.
[LTE 기반의 저가형 MTC]
LTE 네트워크가 확산될수록, 이동통신사업자는 네트워크의 유지 보수 비용 등을 줄이기 위해 RAT(Radio Access Terminals)의 수를 최소화하기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GSM/GPRS 네트워크기반의 MTC 제품들이 증가하고 있고, 낮은 데이터 전송률을 사용하는MTC를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사업자 입장에서 일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는 LTE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MTC를 위해서는 GSM/GPRS 네트워크를 사용하므로, 두 개의 RAT을 각각 운영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주파수 대역의 비효율적 활용으로 이동통신사업자의 수익에 부담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GSM/EGPRS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값싼 MTC 단말을 LTE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MTC 단말로 대체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LTE MTC 단말의 가격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요구사항들이 3GPP RAN WG1 표준 회의에서 논의되고 있다. 또한, 상기 표준회의에서는 상기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제공할 수 있는 여러 기능들을 기술한 문서(예를 들면, 3GPP TR 36.888) 작성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저가 LTE MTC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 현재 3GPP에서 논의 중인 물리계층 규격 변경 관련 주요 표준 아이템은 협대역 지원/ Single RF chain/ Half duplex FDD/ Long DRX(Discontinued Reception) 등의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 고려되고 있는 상기 방법들은 종래의 LTE 단말과 비교하여 MTC 단말의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Smart metering과 같은 MTC 서비스를 지원하는 MTC 단말 중 20%정도는 지하실과 같은 ‘Deep indoor’환경에 설치되므로, 성공적인 MTC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LTE MTC 단말의 커버리지는 종래일반 LTE 단말의 커버리지와 비교하여 20dB 정도 향상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규격 변경으로 인한 성능 감소를 추가적으로 고려한다면 LTE MTC 단말의 커버리지는 20dB 이상 향상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LTE MTC 단말 가격을 낮추면서 커버리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PSD boosting 또는 Low coding rate 및 Time domain repetition 등과 같은 Robust한 전송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각각의 물리채널 별로 고려되고 있다.
LTE 기반의 저가형 MTC 단말의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 데이터 전송속도는 최소 EGPRS 기반의 MTC 단말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속도, 즉 하향링크 118.4kbps, 상향링크 59.2kbps를 만족해야 한다.
● 주파수 효율은 GSM/EGPRS MTC 단말 대비 획기적으로 향상되어야 한다.
●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은 GSM/EGPRS MTC 단말에서 제공되는 것보다 작지 않아야 한다.
● 전력 소모량도 GSM/EGPRS MTC 단말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 Legacy LTE 단말과 LTE MTC 단말은 동일 주파수에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기존의 LTE/SAE 네트워크를 재사용한다.
● FDD 모드뿐만 아니라 TDD 모드에서도 최적화를 수행한다.
● 저가 LTE MTC 단말은 제한된 mobility와 저전력 소모 모듈을 지원해야 한다.
MTC 단말과 같은 커버리지가 확장된 단말이 일반 LTE 단말과 비교하여 20 dB 향상된 커버리지에서 동작하기 위해서는, 종래에 하나의 서브프레임 단위로만 전송되는 각 물리 채널의 데이터를 복수 개의 서브프레임에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하는 단말은 반복된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고려하여 동일 전송 데이터에 대해서 소프트 콤바이닝(soft combining)을 수행한 수 전송된 데이터를 디코딩할 수 있다.
또한, DCI 전송도 종래의 최대 8개의 CCE 또는 최대 32개의 ECCE를 사용하더라도 20 dB 커버리지가 확장된 단말이 블라인드 디코딩을 성공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하나의 서브프레임 단위로만 전송되는 DCI를 복수 개의 서브프레임에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하는 단말은 반복된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고려하여 동일 DCI에 대해서 소프트 콤바이닝(soft combining)을 수행한 수 전송된 DCI를 디코딩할 수 있다.
도 3은 커버리지가 확장된 단말이 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PDSCH를 수신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의 예에서, 기지국은 단말의 채널 상황을 고려하여 하나의 DCI를 SF#0(Subframe Number #0) 내지 SF#3의 4개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하여 전송한다. 또한, 기지국은 단말의 채널 상황을 고려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SF#3 내지 SF#6의 4개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하여 전송한다. 단말은 SF#0 내지 SF#3에서 전송된 DCI의 수신 값을 모두 소프트 콤바이닝하여 블라인드 디코딩한 결과 CRC check가 성공할 때, 단말은 DCI에 포함된 PDSCH의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다. 단말은 SF#3 내지 SF#6에서 전송된 데이터의 수신 값을 모두 소프트 콤바이닝하여 디코딩을 수행한다.
도 3의 예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PDSCH의 전송 자원은 DCI가 전송되는 PDCCH가 할당된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마지막 서브프레임부터 할당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과 데이터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사이의 관계는 다를 수 있다. 일 예를 들면, 데이터가 전송되는 PDSCH의 전송 자원은 DCI가 전송되는 PDCCH가 할당된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마지막 서브프레임의 다음 서브프레임부터 할당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과 데이터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은 같을 수 있다.
도 3은 PDCCH/E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PDSCH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고 있다. 도 3과 유사한 방식으로, PUSCH 스케줄링 정보 또한 PDCCH/E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여 획득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은 하나의 DCI를 전송하기 위해서 PDCCH를 반복한 서브프레임의 개수 및/또는 최초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모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때, 단말은 PDCCH를 반복한 서브프레임의 개수 및/또는 최초 서브프레임의 모든 경우에 대하여 소프트 콤바이닝을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아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말이 PDC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은 알지만 PDC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모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4는 도 3의 예에서 단말이 PDCCH가 반복된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모르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4의 예에서, 단말은 SF#0부터 PDCCH가 전송되는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단말은 동일한 DCI가 몇 개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전송되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할 때까지 SF#0부터 매 서브프레임마다 DCI의 수신 값을 이전의 DCI 수신 값과 소프트 콤바이닝을 하고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때, 기지국이 PDCCH를 SF#0 내지 SF#3의 4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반복하여 전송하였고, PDSCH를 SF#3 내지 SF#6의 4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반복하여 전송하였다. 단말의 채널 상황이 변경되어 단말이 SF#0 내지 SF#2의 3개의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통해 전송된 DCI의 수신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을 성공한 경우, 단말은 PDCCH가 SF#0 내지 SF#2의 3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반복되어 전송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고, SF#2부터 PDSCH 전송 자원이 할당되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실제 PDSCH 전송 자원은 SF#3부터 할당되지만, 단말은 SF#2부터 데이터를 소프트 콤바이닝하고 디코딩하려 시도할 것이다.
한편, 단말이 PDC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알지만 PDC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은 모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이전의 3개 서브프레임에서 전송된 DCI 수신 값을 각각 버퍼에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한편, 단말이 PDC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 및 PDC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을 모두 모르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임의로 버퍼의 크기를 N 개의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되는 DCI 수신 값을 저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매 서브프레임마다 현재의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되는 DCI 수신 값부터 1 내지 N-1 개 이전의 서브프레임으로 전송되는 DCI 수신 값을 순차적으로 소프트 콤바이닝을 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러한 경우, 블라인드 디코딩 회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최대 N배 증가할 수 있다. N 값을 적게 설정하면 블라인드 디코딩이 실패할 수 있고, N 값을 크게 설정하면 단말의 처리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될 때, 기지국이 단말로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기지국이 단말로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실시예들을 기술한다.
실시예 1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DCI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510).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시작점을 나타내는 특정 서브프레임 인덱스(또는 서브프레임 번호)의 값 및 시작 서브프레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기 위한 주기의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작 서브프레임이 N 개의 프레임(1 프레임 =10 서브프레임) 주기를 갖는 경우,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프레임 주기를 나타내는 N 값 및 10*N 개의 서브프레임 인덱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지시하는 정보는 10*N 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비트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N=2인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 N=2 및 20 비트의 시퀀스로 구성된 비트맵을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이 비트맵에서 비트 인덱스 1 및 13을 '1'로 전송하고 나머지 비트 인덱스를 '0'으로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2개의 프레임 주기로 첫 번째 프레임의 SF#1 및 두 번째 프레임의 SF#3을 DCI가 전송되는 시작 서브프레임으로 고려할 수 있다. 시작 서브프레임의 전송 주기가 사전에 설정된 값(예를 들면, 1 프레임)인 경우, 주기 값은 생략될 수 있다.
EPDCCH의 경우, EPDCCH 전송을 위해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EPDCCH-Config information element'의 subframe configuration 정보를 EPDCCH의 시작 서브프레임 정보로 고려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 서브프레임에서의 DCI 수신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한 후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520). 이러한 경우, 단말의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는 종래와 동일할 수 있다.
단말이 블라인드 디코딩에 성공하면, 단말은 DCI에 포함된 PDSCH 전송 자원 또는 PUSCH 전송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고(S530), 획득된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PDSCH를 수신하거나 PUSCH를 송신한다(S540).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PDCCH 및 PDSCH 수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의 예에서, SF#1이 시작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고 서브프레임의 개수(N)가 4인 구성 정보를 단말이 수신한 경우, 단말은 SF#1 내지 SF#4에서 DCI 수신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한 후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하는 경우, 단말은 DCI로부터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고, SF#4로부터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서 데이터를 소프트 콤바이닝한 후 디코딩을 수행한다. 단말이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PUSCH를 송신하는 경우 또한 도 6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이 SF#1 내지 SF#3의 3개의 서브프레임에서의 PDCCH를 통해 전송된 DCI를 소프트 콤바이닝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을 성공한 경우에도, 단말은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 정보에 기초하여 SF#4까지 DCI가 전송될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단말은 DCI 반복 전송이 완료되기 이전에 데이터를 소프트 콤바이닝하려고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상술한 도 6에서, PDSCH/PUSCH의 전송 자원(서브프레임)은 PDCCH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 의해서 결정되고 PDCCH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에 의해서 고정되므로, PDSCH/PUSCH의 전송 자원이 고정된 서브프레임에만 스케줄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방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의 경우, PDSCH 수신은 SF#4로부터 연속된 서브프레임을 통해서만 스케줄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530 단계에서 획득된 스케줄링 정보는 PDSCH/PUSCH가 할당되는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또는 PDSCH/PUSCH가 반복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PDSCH/PUSCH의 전송 자원(서브프레임)은 동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PDSCH/PUSCH가 전송되는 시작 서브프레임의 인덱스에 대한 정보, PDCCH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예를 들면, PDCCH가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중 마지막 서브프레임)의 인덱스와 PDSCH/PUSCH가 전송되는 시작 서브프레임의 인덱스의 차이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PDCCH 및 PDSCH 수신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의 예에서, SF#1이 시작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되고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4인 경우, 단말은 SF#1 내지 SF#4에서 DCI 수신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한 후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하는 경우, 단말은 DCI로부터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한다. DCI로부터 획득되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는 PDSCH/PUSCH 전송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 및/또는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가 PDSCH 전송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이 SF#6을 지시하고 PDSCH 전송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4개로 지시하는 경우, 단말은 SF#6 내지 SF#9에서 데이터를 소프트 콤바이닝한 후 디코딩을 수행한다.
실시예 2
도 8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DCI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DCI가 반독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810).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시작점을 나타내는 특정 서브프레임 인덱스(또는 서브프레임 번호)의 값 및 시작 서브프레임이 주기적으로 반복되기 위한 주기의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작 서브프레임이 N 개의 프레임(1 프레임 =10 서브프레임) 주기를 갖는 경우,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프레임 주기를 나타내는 N 값 및 10*N 개의 서브프레임 인덱스 중 하나 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지시하는 정보는 10*N 개의 비트로 이루어진 비트맵일 수 있다. 예를 들면, N=2인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 N=2 및 20 비트의 시퀀스로 구성된 비트맵을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할 수 있다. 기지국이 비트맵에서 비트 인덱스 1 및 13을 '1'로 전송하고 나머지 비트 인덱스를 '0'으로 전송하는 경우, 단말은 2개의 프레임 주기로 첫 번째 프레임의 SF#1 및 두 번째 프레임의 SF#3을 DCI가 전송되는 시작 서브프레임으로 고려할 수 있다. 시작 서브프레임의 전송 주기가 사전에 설정된 값(예를 들면, 1 프레임)인 경우, 주기 값은 생략될 수 있다.
EPDCCH의 경우, EPDCCH 전송을 위해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송되는 'EPDCCH-Config information element'의 subframe configuration 정보를 EPDCCH의 시작 서브프레임 정보로 고려할 수 있다.
단말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DCI 수신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한 후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820). 단말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모르는 상태이므로, 단말은 시작 서브프레임으로부터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할 때까지 소프트 콤바이닝을 수행한다.
단말이 블라인드 디코딩에 성공하면, 단말은 DCI에 포함된 PDSCH 전송 자원 또는 PUSCH 전송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한다(S830).
이때, DCI는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단말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DCI에 포함된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PDSCH/PUSCH의 전송 서브프레임을 예측할 수 있다.
단말은 획득된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PDSCH를 수신하거나 PUSCH를 송신한다(S840).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CCH 및 PDSCH 수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의 예에서, SF#1이 시작 서브프레임으로 설정된 구성 정보를 단말이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 경우, 단말은 SF#1으로부터 연속된 서브프레임에서 DCI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한 후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하는 경우, 단말은 DCI로부터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PDSCH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예측한다.
이러한 경우, DCI가 SF#1 내지 SF#4의 4개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되어 전송되지만, 단말이 SF#1 내지 SF#3의 3개의 서브프레임에서의 PDCCH를 통해 전송된 DCI를 소프트 콤바이닝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을 성공한 경우에도, 단말은 DCI에 포함된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 정보에 기초하여 SF#4까지 DCI가 전송될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DCI 반복 전송이 완료되기 이전에는 PDSCH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PUSCH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3
도 10은 PDCCH/EPDCCH 및 PDSCH가 동일한 서브프레임들에서 반복되는 경우 커버리지 확장된 단말이 PDCCH를 블라인드 디코딩하고 PDSCH를 수신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의 채널 상황을 고려하여 하나의 DCI를 SF#1 내지 SF#4의 4개의 서브프레임에 반복하여 전송한다. 단말은 SF#1 내지 SF#4에서 전송된 DCI 정보의 송신 값을 모두 소프트 콤바이닝하여 블라인드 디코딩한 결과 CRC 체크가 성공할 때, DCI에 포함된 PDSCH의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한 후 PDSCH의 수신 값에 대해서 디코딩을 수행한다.
도 10의 예에서, PDSCH 전송 자원은 PDCCH가 전송되는 최초의 서브프레임인 SF#1부터 할당이 된다.
도 10의 예에서, 단말이 PDCCH의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하기 전까지는 PDSCH 할당 정보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단말은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하기 전까지 PDCCH 전송 시작 서브프레임인 SF#1부터 SF#4까지 전송되는 PDSCH 수신 값을 저장할 수 있는 PDSCH 버퍼를 필요로 한다.
도 10에서 단말은 하나의 DCI에 대해서 4개의 서브프레임에 PDCCH가 전송되는 것을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서 알 수 있다. 하지만, 단말은 어떤 서브프레임부터 DCI가 전송되는지 알 수 없으므로, 항상 연속된 4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해 DCI 수신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하고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기지국이 PDCCH를 SF#1부터 SF#4까지 4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반복하여 전송하였고, PDSCH 또한 SF#1부터 SF#4까지 4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반복하여 전송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단말이 SF#0부터 SF#3까지 4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DCI 수신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한 경우, 단말은 PDSCH 또한 SF#0부터 SF#3까지 4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반복하여 전송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단말은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알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이 PDSCH 전송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기지국은 단말로 반복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전달하고, 반복되는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 정보를 DCI에 포함시켜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이 SF#0부터 SF#3까지 4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DCI 수신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한 경우, DCI에 기초하여 시작 서브프레임이 SF#1으로 판단될 때, 단말은 PDCCH 전송 자원 및 PDSCH 전송 자원이 SF#1부터 SF#4까지 4개의 서브프레임에 할당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은 PDCCH와 PDSCH가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전송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본 실시예는 PDC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과 PDS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사이에 관계가 있는 어떠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PDC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 기초하여 PDS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 결정되는 경우, PDC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잘못 판단할 때 PDS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 또한 잘못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DC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에 이어서 PDSCH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실제 SF#1부터 SF#4까지 PDCCH가 전송되고 SF#5부터 SF#8까지 PDSCH가 전송되지만 단말이 SF#0부터 SF#3까지 PDCCH가 전송된 것으로 판단할 때, 단말은 SF#4부터 SF#7까지 PDSCH가 전송되는 것으로 잘못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DCI에 포함된 시작 서브프레임의 정보는 PDSCH의 전송 자원을 잘못 판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DCI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1110).
단말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의 DCI 수신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한 후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1120).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N이고 현재 서브프레임의 인덱스가 k인 경우, 단말은 서브프레임 인덱스 k-N+1 내지 k에서의 DCI 수신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한 후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단말이 블라인드 디코딩에 성공하면, 단말은 DCI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한다(S1130). DCI는 PDSCH 전송 자원 또는 PUSCH 전송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CI는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DCI에 포함된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PDSCH/PUSCH의 전송 서브프레임을 예측할 수 있다.
단말은 획득된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PDSCH를 수신하거나 PUSCH를 송신한다(S1140).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CCH 및 PDSCH 수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의 예에서, DCI가 4개 서브프레임에 반복되어 전송되는 것으로 설정된 구성 정보를 단말이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 경우, 단말은 현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4개의 연속된 서브프레임에서 DCI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한 후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하는 경우, 단말은 DCI로부터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PDSCH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예측한다.
이러한 경우, DCI가 SF#1 내지 SF#4의 4개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되어 전송되지만, 단말이 SF#0 내지 SF#3의 4개의 서브프레임에서의 PDCCH를 통해 전송된 DCI를 소프트 콤바이닝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을 성공한 경우에도, 단말은 DCI에 포함된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 정보에 기초하여 SF#1부터 SF#4까지 DCI가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PDSCH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도 13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DCI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기지국은 단말로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최대값(Nmax)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S1310).
단말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의 DCI 수신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한 후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S1320). 이때, 단말은 현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연속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서의 DCI 수신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을 하되, 연속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상기 최대값(Nmax)에 의해 제한된다. 단말은 한 개의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시작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할 때까지 소프트 콤바이닝을 수행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순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이러한 과정은 소프트 콤바이닝을 수행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가 상기 최대값(Nmax)이 될 때까지 계속된다.
단말이 블라인드 디코딩에 성공하면, 단말은 DCI에 포함된 정보를 추출한다(S1130). DCI는 PDSCH 전송 자원 또는 PUSCH 전송 자원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DCI는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블라인드 디코딩에 성공할 때 소프트 콤바이닝을 한 서브프레임을 기준으로 PDSCH/PUSCH가 스케줄링된 서브프레임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DCI에 포함된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PDSCH/PUSCH의 전송 서브프레임을 예측할 수 있다.
단말은 획득된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PDSCH를 수신하거나 PUSCH를 송신한다(S1340).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PDCCH 및 PDSCH 수신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4의 예에서, 단말은 Nmax가 4로 설정된 구성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한다. 단말은 현재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연속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에서의 DCI 값을 소프트 콤바이닝한 후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한다. 이때, 소프트 콤바이닝을 수행하는 연속된 서브프레임의 개수는 1 내지 4(Nmax)일 수 있다. 블라인드 디코딩이 성공하는 경우, 단말은 DCI로부터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기초하여 PDSCH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예측한다.
이러한 경우, DCI가 SF#1 내지 SF#4의 4개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반복되어 전송되지만, 단말이 SF#2 내지 SF#4의 3개의 서브프레임에서의 PDCCH를 통해 전송된 DCI를 소프트 콤바이닝하여 블라인드 디코딩을 성공한 경우에도, 단말은 DCI에 포함된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DCI가 반복되어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SF#1부터 SF#4까지 DCI가 전송되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단말은 PDSCH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PDCCH를 주로 예시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EPDCCH가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전송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은 단말이 PDSCH를 수신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주로 예시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단말이 PUSCH를 송신하기 위한 스케줄링 정보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PDSCH 스케줄링 및 PUSCH 스케줄링 중 하나에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 1, 2, 또는 4는 PUSCH 자원 할당에 필요한 DCI의 반복 전송을 위해 사용되고, 실시예 3 또는 4는 PDSCH 자원 할당에 필요한 DCI의 반복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1500)은 수신부(1510), 송신부(1520), 및 제어부(1530)를 포함한다. 단말(1500)은 확장된 커버리지를 갖는 단말(예를 들면, MTC 단말)로서,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510)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510)는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결합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530)는 수신된 햐향링크 제어 채널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추출한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인 경우, 제어부(1530)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수신부(1510)를 제어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인 경우, 제어부(1530)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송신부(152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성 정보가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부(1510)는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할당된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판단할 수 있다. 수신부(1510)는 판단된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패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구성 정보에 포함된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실시예 1).
구성 정보가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부(1510)는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시작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연속된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패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구성 정보에 포함된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실시예 2).
구성 정보가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부(1510)는 서브프레임의 개수(N)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서브프레임까지 연속된 N 개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패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구성 정보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된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실시예 3).
구성 정보가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최대값(Nmax)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수신부(1510)는 현재 서브프레임까지 연속된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되, 연속된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1로부터 Nmax까지 증가시키면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패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된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실시예 4).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기지국(1600)은 수신부(1610), 송신부(1620), 및 제어부(1630)를 포함한다. 기지국(1600)은 확장된 커버리지를 갖는 단말(예를 들면, MTC 단말)로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송신부(1620)는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1620)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반복하여 송신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전송된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인 경우, 제어부(1630)는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하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송신부(1620)를 제어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인 경우, 제어부(1630)는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에 따라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수신부(16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성 정보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패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구성 정보에 포함된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실시예 1).
구성 정보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패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구성 정보에 포함된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실시예 2).
구성 정보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패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구성 정보에 포함된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된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실시예 3).
구성 정보는 서브프레임의 개수의 최대값(Nmax)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한 단말에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패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에 포함된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실시예 4).
전술한 실시예에서 언급한 표준내용 또는 표준문서들은 명세서의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위 표준내용 및 표준문서들의 일부의 내용을 본 명세서에 추가하거나 청구범위에 기재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8)

  1. 단말이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할당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수신 방법.
  8. 기지국이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1. 삭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할당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신 방법.
  15.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로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구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로부터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8. 삭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은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할당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22.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성 정보를 상위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서 반복되어 할당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통해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된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개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5. 삭제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채널이 반복되어 할당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이 할당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최대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시작 서브프레임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의 개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140007262A 2013-09-26 2014-01-21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ctive KR101940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8216 WO2015046773A1 (ko) 2013-09-26 2014-09-02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US15/024,862 US9894644B2 (en) 2013-09-26 2014-09-02 Method for trans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nd apparatus for same
CN201480053323.5A CN105659511B (zh) 2013-09-26 2014-09-02 用于收发下行链路控制信息的方法及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4759 2013-09-26
KR20130114759 2013-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584A KR20150034584A (ko) 2015-04-03
KR101940344B1 true KR101940344B1 (ko) 2019-01-21

Family

ID=5303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262A Active KR101940344B1 (ko) 2013-09-26 2014-01-21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94644B2 (ko)
KR (1) KR101940344B1 (ko)
CN (1) CN1056595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08329A1 (ko) 2014-01-16 2015-07-2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몰 셀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278120B2 (en) 2014-01-16 2019-04-30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Method for controlling small cell and apparatus for same
US10631174B2 (en) * 2014-02-24 2020-04-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repetitive transmission of channel for coverage extension, and terminal
CN104202828B (zh) * 2014-03-21 2019-09-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控制信息的传输、接收方法、装置及系统
US9788318B2 (en) * 2014-08-18 2017-10-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hannel capacity on collision based channels
JP6657252B2 (ja) 2015-04-10 2020-03-04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Mtcデバイスのためのlc−pdcch反復レベル選択
EP3694285B1 (en) 2016-02-05 2021-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7317662B (zh) 2016-04-27 2020-12-08 株式会社Kt 用于发送和接收上行数据的方法及其装置
CN107371271B (zh) * 2016-05-12 2022-05-24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上行信号的发送方法和用户设备
CN109983818B (zh) * 2016-11-25 2023-05-0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发送/接收调度命令的方法和设备
CN108633007B (zh) * 2017-03-17 2021-01-01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控制信息的方法、设备和系统
CN106972915B (zh) * 2017-03-30 2020-03-06 深圳市励科机电科技工程有限公司 一种信号传输方法和窄带无线终端
CN111096012B (zh) * 2017-07-14 2024-06-25 鸿颖创新有限公司 用于超高可靠超低时延通信传输的方法及系统
US10965420B2 (en) * 2017-07-17 2021-03-30 Qualcomm Incorporated Information combining across beams
US11323985B2 (en) 2017-09-29 2022-05-0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control channel decod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EP3664559B1 (en) * 2018-04-16 2022-01-0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supporting same
US11051331B2 (en) 2018-05-11 2021-06-29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and apparatuses for pair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and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scheduling
KR102030829B1 (ko) * 2018-07-09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물리 하향링크 공유 채널을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1464008B2 (en) * 2018-07-12 2022-10-04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ation rule of PDSCH scheduled slot with PDCCH repetition
EP3611861B1 (en) * 2018-08-16 2021-07-07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predictive reception of physical layer downlink repetitions in a nb-iot ue for prolonged battery lifetime
US11937259B2 (en) 2019-01-09 2024-03-1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Base station, terminal,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
EP4456643A3 (en) * 2020-03-09 2025-01-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Channel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1297A (ja) * 1987-08-03 1989-05-24 Res Assoc Petroleum Alternat Dev<Rapad> 重質油の処理方法
CN102113241B (zh) * 2008-07-30 2014-08-13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传送控制信息的方法和装置
EP2634939A4 (en) * 2010-10-28 2016-12-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SOUND REFERENCE SIGNAL
WO2013017154A1 (en) * 2011-07-29 2013-02-07 Fujitsu Limited Control channel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8322297B (zh) 2011-12-22 2021-09-21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无线发射接收单元wtru及无线发射接收方法
US9635644B2 (en) * 2012-08-10 2017-04-25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coverage enhancements
WO2014075239A1 (zh) * 2012-11-14 2014-05-22 华为技术有限公司 触发方法及相关装置
ES2629408T3 (es) * 2013-01-14 2017-08-09 Lg Electronics Inc. Método para recibir una señal de enlace descendente y método para transmitir una señal de enlace descendente
WO2014142611A1 (en) * 2013-03-14 2014-09-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667386B2 (en) * 2013-11-13 2017-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ssion of control channel and data channels for coverage enhancements
US9973303B2 (en) * 2013-12-20 2018-05-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mining timing for transmission or reception of signaling in a coverage enhanced operating mode
WO2015109607A1 (en) * 2014-01-27 2015-07-3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enodeb, and user equipment
WO2015113230A1 (en) * 2014-01-28 2015-08-0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and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data
US10079665B2 (en) * 2015-01-29 2018-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link adaptation for low cost user equipments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30889
3gpp R1-132973*
3GPP R1-133062
3gpp R1-133131*
3GPR R1-13129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659511A (zh) 2016-06-08
CN105659511B (zh) 2019-02-12
KR20150034584A (ko) 2015-04-03
US20160242150A1 (en) 2016-08-18
US9894644B2 (en) 201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344B1 (ko) 하향링크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919636B1 (ko) 하향링크 제어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692118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が他の端末にデータを伝送する方法
CN107135473B (zh) Mtc ue发送/接收信号的方法及其装置
US20240008120A1 (en)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KR101886451B1 (ko) 하향링크 제어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16210185A (zh) 用于跨载波调度的控制信道解码配置
KR20150042689A (ko) 랜덤 액세스 응답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1615855B1 (ko) 하향링크 제어채널에서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조절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50037461A (ko)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송수신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37757A (ko)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102193191B1 (ko) 코드 블록 그룹 기반의 전송 블록을 송수신하는 방법
KR201500513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랜덤 액세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2085195B1 (ko) 커버리지 확장을 위한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26736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50056450A (ko)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33394A (ko) 5g 이동통신을 위한 선택적 채널 코드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121009B1 (ko) 짧은 전송 시간 간격의 프레임 구조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77093B1 (ko) 데이터 채널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40418A (ko) 시스템 정보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170131807A (ko) Short TTI 프레임 구조에서 PUSCH와 short PUSCH 스케줄링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40192A (ko) 하향 링크 제어 채널 포맷을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37502A (ko) 하향링크 제어정보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29510A (ko) 하향링크 제어 정보 전송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35021A (ko) Mtc 단말을 위한 cqi 구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3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1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