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0215B1 -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및 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및 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215B1
KR101940215B1 KR1020180039924A KR20180039924A KR101940215B1 KR 101940215 B1 KR101940215 B1 KR 101940215B1 KR 1020180039924 A KR1020180039924 A KR 1020180039924A KR 20180039924 A KR20180039924 A KR 20180039924A KR 101940215 B1 KR101940215 B1 KR 101940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topsheet
sheet
pattern
perforation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9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태
조윤제
조재대
이명수
김예지
Original Assignee
(주)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왕보 filed Critical (주)왕보
Priority to KR1020180039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2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86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with ultrasonic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 A61F2013/5100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with special fibres
    • A61F2013/510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 A61F2013/510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of the pads with special fibres being polymeric fibres being hydrophob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피부 접촉면을 이루는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와, 표면시트의 하부에 접착되는 흡수성 재질의 하부시트를 포함하고, 표면시트는 상향 돌출 형성된 복 수개가 상호 이격 및 정렬되는 볼록형 패턴 및 볼록형 패턴들 사이에서 복 수개가 관통 형성되어 표면에 유입된 유체를 하부시트로 투과시키는 천공홀을 포함하는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및 그 제조장치{HYGIENIC GOODS USING HYDROPHOBIC SURFACE SHEET AND THE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및 그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체액을 수집하는 많은 일회용 개인 위생용품(예를 들면, 생리대, 기저귀)이 존재하지만, 액체 흡수 용량이 완전히 이용되기 전에 표면에서 누출되는 경향은 많은 제조업체가 직면하는 계속되는 과제이다. 추가로, 일부 유체, 예컨대 기저귀나 생리대는 월경분비물 및 묽은 BM (대변)의 점탄성 성질에 대응하기 위하여 좋은 흡입 및 분포 성능을 얻는 것을 특히 문제가 있게 한다.
특히, 이러한 유체의 상대적으로 높은 점도 및/또는 탄성은 흡수 용품 내에 유체의 흡수 및 분포에 지장을 주는 경향이 있다. 다른 경우에서는, 월경분비물의 성분이 흡수 용품에 함유된 입자 또는 섬유 사이의 채널을 차단할 때 흡수 용품의 흡입 성능이 방해받을 수 있다 이 현상을 오염(fouling)이라고 종종 부른다.
따라서 종래에는 유체 자체의 점탄성 성질의 개질을 통해 오염의 영향을 개선하려는 시도를 해왔지만, 완벽한 흡수가 이루어질 수 없어 피부에 접촉되는 표면에 액상이 잔류됨에 따라 피부가 물러지고,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회용 개인위생용품은 누출 문제 외에 추가로,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위생 문제도 있다. 종종, 체액은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고, 이는 불쾌하고 불결한 느낌을 줄 수 있고,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피부 질환을 야기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1301호(2017.08.18)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최소화하고, 액상의 잔류 및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피부 접촉면을 이루고, 유체가 투과되지 못하는 소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표면시트 및 표면시트의 하부에 접착되는 흡수성 재질의 하부시트를 포함하고, 표면시트는 상향 돌출 형성된 복 수개가 상호 이격 및 정렬되는 볼록형 패턴과, 볼록형 패턴들 사이에서 복 수개가 관통 형성되어 표면에 유입된 유체를 하부시트로 투과시키는 천공홀 및 볼록형 패턴들 사이에서 표면보다 하향된 단차 또는 하향 경사진 오목면을 이루어 유체를 모으는 역할을 수행하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볼록형 패턴은 내측이 빈공간으로 이루어져 공기층이 형성되고, 천공홀은 오목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피부와 접촉면을 이루는 표면에 액상의 잔류 및 역류가방지될 수 있어 보송함과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록형 패턴의 내측에 공기층이 형성됨에 따라 착용자에게 쿠션감을 주고,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함에 따라 피부 트러블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의 제조장치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사용자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은 피부와 접촉면을 이루는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100)와, 표면시트(100)를 통하여 전달된 유체(예를 들면, 뇨, 혈, 변, 체액 분비물)를 흡수하는 흡습성 재질의 하부시트(200)를 포함한다.
표면시트(100)는 고 밀도의 섬유(예를 들면, 1.0 dtex~3.0 dtex의 부직포)를 사용하며, 기능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복원력이 우수한 소수성(Hydrophilic) 또는 반 소수성(About Hydrophilic)인 고 데니어(예를 들면, 5~6 denier)를 갖는다.
여기서 표면시트(100)는 바람직하게로는 1.2~1.7 dtex(40~50%) 적용한 시트 또는 1.7 dtex(50%)과 2.2 dtex(50%)가 결합된 시트를 적용할 수 있다.
즉, 표면시트(100)는 유체가 투과되지 못하는 소수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피부와 접촉됨에 따라 자극을 주지 않도록 고 데니어(High Denier)를 갖는 재질로서 제작된다.
또한, 표면시트(100)는 유체의 투과 및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볼록형 패턴(110)과, 천공홀(120) 및 합지 포인트(130)를 포함한다.
볼록형의 패턴(110)은 표면시트(100)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원뿔형 돌기로 형성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이 빈공간으로 이루어져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볼록형 패턴(110)은 상면에서 상향된 돌기를 이루어 피부와의 접촉면을 이루기 때문에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피부의 짓무름등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측의 공기층은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천공홀(120)은 표면시트(100)에 유입된 유체를 하측의 하부시트(200)로 투과시킨다. 여기서 천공홀(120)은 복 수개로서 볼록형의 패턴(110)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천공홀(120)은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10090에서 흡수하지 못하고 흘려보내는 유체를 흡수성 재질의 하부시트(200)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천공홀(120)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볼록형 패턴(110)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되어 복 수개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천공홀(121, 122, 123, 124)은 볼록형 패턴(110)을 중심으로 이격되되, 후술되는 합지 포인트(130)와 동일한 갯수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천공홀(120, 121, 122, 123, 124)은 표면시트(100)의 전체면적의 15~40%의 면적 비율을 갖도록 그 직경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표면시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접되어 마름모 또는 사각형을 이루는 패턴들(110) 사이에서 표면시트(100)의 표면보다 하향된 단차를 이루거나 하향 경사진 오목면을 이루어 유체를 모으는 역할을 수행하는 오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140)는 표면시트(100)로 방류된 유체가 모일 수 있도록 방향성 및 속도를 부여할 수 있다. 아울러, 천공홀(120)은 오목부(140)에 형성됨에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표면시트(100)는 볼록형 패턴(110)들 사이에 천공홀(120)이 형성된 오목부(140)가 형성되기에 유체가 볼록형의 패턴(110)들 사이로 모여지면서 하부시트(200)로 배출되기에 유체가 표면시트(100)에 잔류되거나 하부시트(200)로부터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합지 포인트(130)는 볼록형의 패턴(110)을 중심으로 천공홀(120)들 사이에서 복 수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는 합지 포인트(130, 131, 132)는, 예를 들면, 오목부(140)가 형성되지 않은 사선 방향으로 정렬되는 볼록형 패턴(110)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로 합지 포인트(130)는 전체 표면 시트의 면적에서 3~10% 이하의 면적(보다 바람직하게로는 3~4%)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합지 포인트(130)는 후술되는 초음파 융착을 위하여 타 영역보다 얇은 두께를 갖도록 압착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하부시트(200)는 흡수성 재질로서 제작되어 표면시트(100)의 하면에 접착(예를 들면,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착된다. 예를 들면, 하부시트(200)는 액상의 투과성이 우수하고, 복원력이 강한 편심 5 denier × 51mm 또는 정심 6 denier × 51mm의 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하부시트(200)는 표면시트(100)의 하부에서 접착되어 천공홀(120)을 통하여 유입된 유체를 흡수한다.
여기서, 출원인은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과 종래 기술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달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총 4개의 시료를 통하여 흡수속도 및 역류 방지 여부를 확인하여 아래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결과를 획득하였다.
이중 시료 1은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100)로서 전체 면적 대비 17%의 비율로서 천공홀(120)이 형성되었고, 시료 2는 친수성 표면시트(100)로서 전체 면적 대비 17%의 비율로서 천공홀(120)이 형성되었고, 시료 3은 친수성 표면시트(100)로서 전체 면적 대비 20.25%의 비율로 천공홀(120)이 형성되었고, 시료 4는 소수성 표면시트(100)로서 전체 면적대비 20.25%의 비율로 천공홀(120)이 형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었다. 여기서, 시료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기술이되, 오목부(140)가 아닌 편평한 표면에 천공홀(120)이 복 수개 형성된 것이다.
위 시료 1 내지 4는 흡수성 재질의 하부시트(200)가 접착되었다.
ITEM 시료 1 시료 2 시료 3 시료 4(본 발명)
흡수속도 REWET 흡수속도 REWET 흡수속도 REWET 흡수속도 REWET
1 121 0.0 0.63 0.87 0.54 1.30 2.67 0.08
2 89 0.0 0.74 0.64 0.58 0.97 2.12 0.05
3 186 0.0 0.67 0.67 0.62 1.34 2.89 0.04
4 175 0.0 0.69 0.72 0.45 1.32 2.32 0.11
5 109 0.0 0.91 0.71 0.52 1.11 2.54 0.08
6 104 0.0 0.88 0.89 0.62 0.95 2.48 0.06
각각의 시료는 총 6개가 제작되었고, 제작된 시료별로 흡수속도와 역류율(Rewet)을 측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위생용품의 관리 범위는 흡수 속도의 0.7/sec, 역류율(Rewet)은 0.3/g의 기준을 갖는다. 따라서 각 시료들의 비교는 위 관리 범위의 기준값 충족 여부와 함께 설명한다.
측정 결과, 시료 1은 소수성의 표면에 천공홀(120)이 형성되었으나, 오목부(140)가 구비되지 않았고, 천공홀(120)의 면적이 전체 면적 대비 좁기에 흡수 속도가 늦고, 천공홀(120) 자체에 수막현상이 발생되어 유체가 하부시트(200)로 배출됨이 늦어지고, 역류 현상이 발생되었다. 즉, 흡수 속도가 기준치를 만족시킬 수 없었다.
시료 2는 친수성 표면시트(100)가 적용됨에 따라 흡수 속도가 기준값을 충족하였으나, 역류율의 기준값을 초과하였다. 즉, 시료 2는 친수성 표면시트(100)가 적용됨에 따라 유체가 표면시트(100)에 흡수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역류율이 높았다.
시료 3은 친수성 표면시트(100)에 본 발명과 동일한 전체 면적 대비 천공홀(120)이 형성됨에 따라 흡수속도는 기준값을 충족하였으나, 친수성 표면 시트로 제작됨에 따라 역류율이 기준값에 비하여 높았다.
시료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품으로서 친수성의 표면시트(100)로 인하여 흡수 속도가 시료 2와 시료 3에 비하여 떨어지나 역류율에 대한 기준을 양호하였다. 즉, 시료 4는 표면시트(100)에 액상의 잔류 및 역류가 발생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은 위 시료 4가 오목부가 추가되지 않은 상태로 제작됨에 따라 오목부(140)가 구비되면 유체의 흡수속도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기저귀나 생리대와 같은 위생용품에 적용시에 착용자의 피부 짓무름이나 트러블과 같은 자극을 방지할 수 있고, 시종일관 보송보송함과 청결도 및 쿠션감을 줄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며, 이하에서는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의 제조장치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100)를 이용한 위생용품의 제조장치는 표면시트(100)에 홀을 천공시키는 핀롤러(310)와, 핀롤러(310)와 맞물리면서 패턴(110)을 성형하는 패턴롤러(320)와, 표면시트(100)와 하부시트(200)를 합지시키는 합지롤러(330)와, 표면시트(100)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롤러(410)와, 하부시트(200)를 안내하는 제2이동롤러(420), 표면시트(100)와 하부시트(200)를 초음파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기(500)를 포함한다.
핀롤러(310)는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제1이동롤러(410)로부터 안내된 표면시트(100)를 패턴롤러(320)측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핀롤러(310)는 외면(313)에 하향된 핀롤러 음각홈(311)과, 외면(313)에서 상향된 돌출핀(312)를 포함한다.
핀롤러 음각홈(311)은 패턴롤러(320)와 맞물리도록 외면(313)에서 내향된 홈으로 이루어지며 복 수개가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다.
돌출핀(312)은 핀롤러 음각홈(311)들 사이마다 외면(313)에서 돌출 형성되어 패턴롤러(320)와의 협업에 의하여 그 사이로 이동되는 표면시트를 가압하여 천공홀(120)을 천공시킨다.
패턴롤러(320)는 핀롤러(310) 및 합지롤러(330)와 맞물리면서 회전되어 표면시트(100)에 천공홀(120) 및 볼록형의 패턴(110)을 성형하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패턴롤러(320)는 돌출된 양각홈(322)과, 내향된 패턴롤러 음각홈(321)을 각각 구비한다.
양각홈(322)은 패턴롤러(320)의 외면에서 돌출되어 핀롤러 음각홈(311) 및 후술되는 합지롤러 음각홈(331)과 각각 맞물리면서 표면시트(100)에 패턴(110)을 성형한다.
패턴롤러 음각홈(321)은 표면시트(100)를 지지하여 핀롤러(310)의 돌출핀이 표면시트(100)를 천공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핀롤러(310)에 의해 전달되는 표면시트(100)는 패턴롤러 음각홈(321)의 입구측에서 편평하게 당겨진 상태로 이동된다. 이때, 핀롤러(310)와 맞물리면서 회전될 때, 돌출핀이 패턴롤러 음각홈(321)으로 맞물리게 되면서 표면시트(100)에 천공홀(120)을 형성한다.
즉, 표면시트(100)는 패턴롤러(320)와 핀롤러(310)간의 맞물림에 의해 패턴롤러(320)의 양각홈(322) 및 음각홈에 밀착된 상태에서 패턴롤러(320)와 합지롤러(330)가 맞물리는 과정을 통하여 합지롤러(330)로 전사된다.
합지롤러(330)는 내향된 복 수개의 합지롤러 음각홈(331)과, 외면서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져 합지 포인트(130)를 형성하는 포인트 돌기(332a)를 포함한다.
합지롤러 음각홈(331)은 외면에서 내향되어 복 수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패턴롤러(320)의 양각홈(322)과 맞물리면서 표면시트(100)를 전달받는다.
이때, 패턴롤러 음각홈(321)의 폭(l1)은 합지롤러 음각홈(331)들 사이에 형성된 외면의 길이(l2)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패턴롤러 음각홈(321)과 합지롤러 음각홈(331)간의 길이 차이는 포인트 돌기(332a)에 의한 합지 포인트의 성형을 가능하게 한다.
즉, 포인트 돌기(332a)는 패턴롤러 음각홈(321)의 중심부에 일치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합지롤러(330)의 포인트 돌기(332a)가 중심에 형성된 합지롤러(330)의 외면과 패턴롤러 음각홈(321) 양측의 외면이 상호 밀착되면서 표면시트(100)에 압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따라서 표면시트(100)는 패턴롤러(320)와 합지롤러(330)간의 맞물림에 따른 압력으로 포인트 돌기(332a)에 의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여기서 볼록형 패턴(110)은 합지롤러 음각홈(331)에 밀착된 영역임에 따라 합지 포인트(130)는 볼록형 패턴(110)과 반대 방향으로 성형된다.
즉, 볼록형 패턴(110)은 표면시트(100)의 상면에서 상향 돌출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나, 합지 포인트(130)는 그 반대로 성형되어 하부시트(200)와 접착면적의 최소화 및 접착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므로 합지롤러(330)는 표면시트(100)를 외면에 압착된 상태로 회전시켜 제2이동롤러(410, 420)에 의해 안내되는 하부시트(200)와 합지시킨다.
초음파 융착기(500)는 합지롤러(330)에 의해 합지된 하부시트(200) 및 표면시트(100)를 초음파 융착시킨다. 여기서 초음파 융착기(500)는 합지 포인트(130)에 초음파 전극이 접촉되면서 융착시킨다.
여기서 초음파 융착기(500)는 상술한 합지롤러(330)의 포인트 돌기(332a)와 패턴롤러(320)간의 맞물림에 의해 형성된 합지 포인트(130)를 타격하여 초음파 융착시킨다. 즉, 본 발명에서는 초음파 융착기(500)의 융착위치를 미리 설정하고, 융착시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시트(100)를 압착시켜 합지 포인트(130)를 성형함에 따라 초음파 융착시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합지 포인트(130)의 성형은 초음파 에너지로 인해 합지 면적에 발생된 필름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표면시트(100)와 하부시트(200)의 접착시에 초음파가 가해지는 면적이 증가 될수록 필름막의 면적이 많아지기에 하부시트(200)의 흡수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초음파에 의한 필름막을 최소화하고,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표면시트(100)에 압착 성형으로 합지 포인트(130)를 미리 성형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하부시트(200)와 표면시트(100)간의 결합력과 흡수력을 모두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100)를 이용한 위생용품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며, 이는 하기의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100)를 이용한 위생용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표면시트(100)에 천공홀(120)을 천공시키는 S100 단계와, 표면시트(100)에 볼록형 패턴(110)을 성형하는 S200 단계와, 표면시트(100)에 합지 포인트(130)를 성형하는 S300 단계와, 표면시트(100)와 하부시트(200)를 합지 및 초음파 융착시키는 S400 단계를 포함한다.
S100 단계는 핀롤러(310)와 패턴롤러(320)의 협업에 의하여 표면시트(100)에 복 수개의 천공홀(120)을 천공시키는 단계이다. 표면시트(100)와 하부시트(200)는 서로 다른 권취롤러로부터 인출된다. 이때, 표면시트(100)와 하부시트(200)는 각각 제1이동롤러(410, 420)와 제2이동롤러(410, 420)의 회전에 의해 각각 이동된다. 아울러, 제1이동롤러(410, 420)와 제2이동롤러(410, 420)는 단수 또는 복 수로서 형성되어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회전을 통하여 표면시트(100)와 하부시트(200)를 각각 이동시킨다.
따라서, 표면시트(100)는 핀롤러(310)의 외면에 감쌓인 형태로 이동되면서 핀롤러(310)와 패턴롤러(320)의 맞물림에 따른 압착으로 천공홀(120)이 형성된다. 즉, 핀롤러(310)의 돌출핀은 패턴롤러 음각홈(321)에 맞물리는 과정에서 표면시트(100)를 관통하여 천공홀(120)을 천공시킨다.
여기서 돌출핀은 첨단에서 하향될 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원뿔형태로 이루어 질수 있고, 돌출핀은 복 수개가 하나의 그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핀은 상호 이격된 4개로 형성되어 표면시트(100)의 오목부(140)에 천공홀(120)을 4개 성형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로는 돌출핀은 그 직경이 첨단에서 하향될 수 록 확장되도록 형성되어 천공되지 않은 다른 영역을 압착시켜 오목부(14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S200 단계는 패턴롤러(320)가 합지롤러(330)간의 맞물림을 통하여 표면시트(100)를 압착시켜 볼록형 패턴(110)을 성형하여 합지 롤러로 전사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표면시트(100)는 패턴롤러(320)와 핀롤러(310)간의 압착으로 패턴롤러 음각홈(321) 내지 양각홈(322)에 걸쳐 밀착된 상태에서 합지롤러(330)로 전사된다.
따라서, 볼록형 패턴(110)은 패턴롤러(320)와 핀롤러(310)의 압착과, 패턴롤러(320)에서 합지롤러(330)로 전사되는 과정에서 압착 성형된다.
S300 단계는 표면시트(100)에서 합지 포인트(130)가 성형되는 단계이다. 여기서 표면시트(100)는 패턴롤러(320)에서 합지롤러(330)로 전사되는 과정에서 패턴롤러 음각홈(321) 내지 양각홈(322)에 밀착된 상태에서 합지롤러(330)의 음각홈 내지 외면에 밀착되도록 전사된다. 이때, 패턴롤러 음각홈(321)은 합지 롤러의 외면에 돌출되는 포인트 돌기(332a)가 중심측에 위치되고, 음각홈 사이에 외면이 합지롤러(330)의 외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표면시트(100)는 포인트 돌기(332a)에 압착됨에 따라 표면시트(100)에 합지 포인트(130)가 성형된다.
여기서, 합지 포인트(130)는 볼록형 패턴(110)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된 복 수개가 형성되되, 전체 면적의 5% 이하(예를 들면, 3.5%)이 비율로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S400 단계는 표면시트(100)와 하부시트(200)를 합지 후 초음파 융착으로 접착시키는 단계이다. 초음파 융착기(500)는 합지롤러(330)에서 인출되는 표면시트(100)와 하부시트(200)가 합지되면, 하부시트(200)측에서 접촉하여 초음파를 가하여 양 시트를 접착시킨다. 이때, 합지 포인트(130)는 볼록형 패턴(110)과 반대의 방향으로 압착 성형됨에 따라 타 영역의 두께에 비하여 얇기에 초음파 융착이 보다 용이하고, 그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소수성 재질을 갖는 표면시트(100)를 이용한 위생용품은 표면시트(100)의 표면에 복 수개의 볼록형 패턴(110)이 상호 이격되도록 성형되고, 볼록형 패턴(110)을 중심으로 합지 포인트(130)와 천공홀(120)이 각각 성형된다. 여기서 천공홀(120)은 볼록형 패턴(110)들 사이에서 오목형으로 함몰된 영역으로 이루어진 오목부(140)에 성형된다.
따라서 표면시트(100)로 유입된 유체는 볼록형 패턴(110)들 사이의 오목부(140)로 모이게 되되어 천공홀(120)을 통하여 하부시트(200)로 흡수된다. 여기서 표면시트(100)는 소수성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유체가 흡수되지 않고 천공홀(120)을 통하여 모두 흘려 보낼 수 있다.
그러므로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표면시트(100)에 유체가 잔류되지 않음에 따라 착용자는, 예를 들면, 뇨, 변, 혈액과 같은 유체로 인한 불쾌감 대신 보송과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록형 패턴(110)을 구비함에 따라 피부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내부의 공기층으로 인한 쿠션감을 느낄 수 있다.
100 : 표면시트 110 : 볼록형 패턴
120, 121, 122, 123, 124 : 천공홀 130, 131, 132 : 합지 포인트
140 : 오목부 200 : 하부시트
310 : 핀롤러 311 : 핀롤러 음각홈
312 : 돌출핀 320 : 패턴롤러
321 : 패턴롤러 음각홈 322 : 양각홈
330 : 합지롤러 331 : 합지롤러 음각홈
313, 323, 332, : 외면 332a : 포인트 돌기
410, 420 : 이동롤러 500 : 초음파 융착기

Claims (7)

  1. 피부 접촉면을 이루고, 유체가 투과되지 못하는 소수성 재질로 이루어진 표면시트(100); 및
    표면시트(100)의 하부에 접착되는 흡수성 재질의 하부시트(200);를 포함하고,
    표면시트(100)는
    상향 돌출 형성된 복 수개가 상호 이격 및 정렬되는 볼록형 패턴(110);
    볼록형 패턴(110)들 사이에서 복 수개가 관통 형성되어 표면에 유입된 유체를 하부시트(200)로 투과시키는 천공홀(120); 및
    볼록형 패턴(110)들 사이에서 표면보다 하향된 단차 또는 하향 경사진 오목면을 이루어 유체를 모으는 역할을 수행하는 오목부(140);를 포함하고,
    볼록형 패턴(110)은
    내측이 빈공간으로 이루어져 공기층이 형성되고,
    천공홀(120)은 오목부(14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표면시트(100) 및 하부시트(200)는 초음파 융착으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3. 청구항 2항에 있어서, 표면시트(100)는
    초음파 융착기(500)가 접촉되는 합지 포인트(130)를 더 포함하며,
    합지 포인트(130)는 볼록형 패턴(110)을 중심으로 상호 이격된 복 수개가 형성되어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100)에 천공홀(120)이 맞닿은 흡수성의 성질을 갖는 하부 시트가 초음파 융착되도록 표면시트(100)의 타 영역보다 얇은 두께로 압착 성형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4. 삭제
  5. 청구항 1항의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100)를 이용한 위생용품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표면시트(100)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롤러(410);
    하부시트(200)를 안내하는 제2이동롤러(420);
    제1이동롤러로부터 이송된 표면시트(100)에 천공홀(120)을 천공시키는 핀롤러(310);
    표면시트(100)에 합지 포인트(130)를 성형하여 제2이동롤러로부터 이송되는 하부시트(200)에 합지시키는 합지롤러(330);
    핀롤러(310) 및 합지롤러와 맞물리면서 회전되어 표면시트(100)에 천공홀(120)과 볼록형 패턴(110)을 성형하는 과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패턴롤러(320); 및
    합지롤러(330)로부터 전달되는 표면시트(100)와 제2이동롤러(420)로부터 전달되는 하부시트(200)가 합지되면, 표면시트(100)에 성형된 합지 포인트(130)를 타격하여 초음파 융착시키는 초음파 융착기(500)를 포함하고,
    합지롤러(330)는 외면에서 내향된 합지롤러 음각홈(331); 및
    패턴롤러(320)와 맞물려 회전되면서 합지 포인트(130)를 성형하도록 합지롤러 음각홈(331)들 사이의 외면(332)에서 돌출되는 포인트 돌기(33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제조장치.
  6. 청구항 5항에 있어서, 패턴롤러(320)는 외면에서 내향된 패턴롤러 음각홈(321)과, 돌출되는 양각홈(322)을 구비하고,
    핀롤러(310)는 패턴롤러 음각홈(321)에 맞물려 외측에서 당겨진 상태로 이동되는 표면시트(100)를 가압하여 천공홀(120)을 성형하도록 외면에서 돌출 형성된 돌출핀(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제조장치.
  7. 청구항 6항에 있어서, 패턴롤러 음각홈(321)의 폭(l1)은 합지롤러 음각홈(331)들 사이에 형성된 외면의 길이(l2)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제조장치.




KR1020180039924A 2018-04-05 2018-04-05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및 그 제조장치 Active KR101940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924A KR101940215B1 (ko) 2018-04-05 2018-04-05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및 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9924A KR101940215B1 (ko) 2018-04-05 2018-04-05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및 그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215B1 true KR101940215B1 (ko) 2019-01-18

Family

ID=65323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9924A Active KR101940215B1 (ko) 2018-04-05 2018-04-05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및 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2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124A (ko) 2021-12-17 2023-06-27 (주)왕보 에어포켓이 형성된 흡수성 복합시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045A (ko) * 2000-09-27 2002-04-03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흡수성 물품
KR20080007445A (ko) * 2005-04-27 2008-01-2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다중-롤 접합을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상기 방법에 의해얻을 수 있는 기저귀
KR20140047179A (ko) * 2009-04-15 2014-04-22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엠보스 롤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면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 표면 시트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US20150119843A1 (en) * 2012-05-28 2015-04-30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5828773A (zh) * 2013-12-27 2016-08-03 花王株式会社 立体片
KR101771301B1 (ko) 2012-01-31 2017-08-2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처리된 개구
JP6222631B2 (ja) * 2013-09-24 2017-11-0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045A (ko) * 2000-09-27 2002-04-03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흡수성 물품
KR20080007445A (ko) * 2005-04-27 2008-01-21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다중-롤 접합을 위한 방법 및 장치와 상기 방법에 의해얻을 수 있는 기저귀
KR20140047179A (ko) * 2009-04-15 2014-04-22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엠보스 롤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면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 표면 시트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KR101771301B1 (ko) 2012-01-31 2017-08-24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처리된 개구
US20150119843A1 (en) * 2012-05-28 2015-04-30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222631B2 (ja) * 2013-09-24 2017-11-0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CN105828773A (zh) * 2013-12-27 2016-08-03 花王株式会社 立体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3124A (ko) 2021-12-17 2023-06-27 (주)왕보 에어포켓이 형성된 흡수성 복합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8281B2 (ja) 吸収性物品
JP3967873B2 (ja) 連続フィラメントおよび吸収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5132264B2 (ja) 吸収性物品
JP5328273B2 (ja) 体液吸収性物品
JP4323786B2 (ja)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4278962B2 (ja) 吸収体及び前記吸収体を用いた吸収性物品
KR102313886B1 (ko) 흡수 용품 등을 위한 개선된 엠보싱 및 천공 적층체
WO2012101934A1 (ja) パッド形態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101605583B1 (ko) 흡수성 물품 및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EP2087865A1 (en) Absorptive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110004176A1 (en) Material web for use in an absorbent article
TW200425876A (en) Absorbent article
JP4118640B2 (ja) 吸収性複合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KR20080028771A (ko) 흡수성 물품
CN101543443A (zh) 一次性吸收性物品
JPH06277252A (ja) 体液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CN101626747A (zh) 吸收芯、一次性吸收制品及制备方法
JPH10234776A (ja) 体液吸収性物品
PL206655B1 (pl) Laminat wykonany z warstw włóknistych
CN107613931B (zh) 吸收性物品
CA2153076C (en) Method for making body fluids absorbent padding
WO2005099640A1 (ja) 生理用ナプキン
US7195620B2 (en) Interlabial pad
KR101940215B1 (ko) 소수성 재질의 표면시트를 이용한 위생용품 및 그 제조장치
WO2016136943A1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