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9357B1 -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 - Google Patents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357B1
KR101939357B1 KR1020180075341A KR20180075341A KR101939357B1 KR 101939357 B1 KR101939357 B1 KR 101939357B1 KR 1020180075341 A KR1020180075341 A KR 1020180075341A KR 20180075341 A KR20180075341 A KR 20180075341A KR 101939357 B1 KR101939357 B1 KR 101939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oor
rotation
cam portion
sto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조
Original Assignee
(주)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 filed Critical (주)삼우
Priority to KR102018007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3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27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n ax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016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07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 E05F1/1215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coil spring parallel with the pivot axis with a canted-coil torsion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도어의 개폐시 각 구성부품이 안정적으로 연동되면서도 각각의 접촉부에 작용되는 충격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제1중공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의 외주에 제1경첩부가 구비되는 제1베이스부; 상기 제1중공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제1하우징의 내주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탄성스프링에 일단부가 밀착되며, 타단부에 돌출된 구동접촉부에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타측으로 경사진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된 제1캠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타측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제2중공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의 외주에 제2경첩부가 구비되는 제2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경사면과 슬라이드 접촉되는 슬라이드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베이스부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이내로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경사면이 상기 가이드경사면에 가압 슬라이드되어 타방향으로 복귀 회전되는 제2캠부를 포함하는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damping closure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door}
본 발명은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개폐시 각 구성부품이 안정적으로 연동되면서도 각각의 접촉부에 작용되는 충격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개선된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용 경첩은 도어와 문틀을 서로 힌지 결합시켜 도어를 열고 닫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도어용 경첩은 통상적으로 한 쌍의 지지요소가 구비되어 상호 힌지로 연결되고, 각 상기 지지요소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에 각각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어용 경첩에는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기능이 없어 사용자가 사용시마다 스스로 상기 도어를 여닫아야 해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져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도어 클로져장치는 상기 도어와 연결되며 제1캠면이 형성된 고정캠, 상기 제1캠면에 대응되는 제2캠면이 형성된 구동캠, 그리고 상기 구동캠을 탄발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도어 클로져장치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캠면 및 상기 제2캠면이 상호 밀착된다. 이때,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고정캠이 회전하며 상기 구동캠에 캠작용을 하게 되며, 상기 구동캠이 상기 고정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캠은 상기 탄성수단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귀 이동되도록 상기 고정캠을 가압하게 되며, 상기 고정캠은 각 상기 캠면이 형합되도록 상기 구동캠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는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경우 탄성수단에 의한 탄성복원력이 상기 구동캠 및 상기 고정캠에 의해 회전력으로 변환되어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캠구조를 갖는 도어 클로져장치는 도어가 자주 개방되거나 외력 등에 의해 과도한 회전력이 가해지는 경우, 각 상기 캠면에 마모 내지 파손 등이 발생하여 정확하게 형합되지 않아 상기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등 제품의 고장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각 상기 캠면에 마모 내지 파손이 발생하면 상기 구동캠이 상기 고정캠으로부터 이격되는 간격이 감소되어 상기 탄성수단으로부터 탄성복원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아 상기 도어가 원활하게 자동으로 닫히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도어 클로져장치는 상기 도어가 완전하게 열린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이 없어 상기 도어에 별도의 고정장치를 설치하거나 임시로 상기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중량물을 위치시켜야 하므로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22786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시 각 구성부품이 안정적으로 연동되면서도 각각의 접촉부에 작용되는 충격이 최소화되어 내구성이 개선된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제1중공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의 외주에 제1경첩부가 구비되는 제1베이스부; 상기 제1중공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제1하우징의 내주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탄성스프링에 일단부가 밀착되며, 타단부에 돌출된 구동접촉부에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타측으로 경사진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된 제1캠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타측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제2중공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의 외주에 제2경첩부가 구비되는 제2베이스부; 상기 제2베이스부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경사면과 슬라이드 접촉되는 슬라이드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베이스부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이내로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경사면이 상기 가이드경사면에 가압 슬라이드되어 타방향으로 복귀 회전되는 제2캠부; 및 상기 제1캠부의 타측에 상기 제2캠부를 관통하는 회전정렬바가 돌출되며, 상기 제2캠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발복원시 완충지지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회전정렬바의 단부를 지지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캠부는 제2몸통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구동부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클로즈면이 형성되고, 상기 클로즈면의 타방향 측에는 상기 회전구동부로부터 일측을 향해 단차지게 단차부가 돌출되되 상기 단차부의 단부에는 오픈면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경사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오픈면의 일방향 측과 상기 클로즈면의 타방향 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접촉부의 단부는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클로즈면에 접촉되되 상기 도어가 상기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를 초과하도록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오픈면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제2캠부의 타방향 복귀 회전이 마찰정지되며, 상기 구동접촉부의 일측에는 타방향으로 함몰된 스토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캠부의 일단부에는 타방향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스토퍼홈부에 형합 삽입되되 상기 클로즈면의 일방향 측과 상기 오픈면의 타방향 측 사이에 배치되는 스토퍼돌기부가 상기 회전구동부의 일단부로부터 일체로 돌출되되, 상기 스토퍼홈부에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타측으로 경사진 형합유도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돌기부의 타방향측 단부에는 상기 제2캠부의 회전시 상기 형합유도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경사형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돌기부의 일단부 및 상기 클로즈면 사이 수직간격은 상기 오픈면 및 상기 클로즈면 사이의 수직간격을 초과하도록 상기 스토퍼돌기부의 일단부에 단턱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도어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이내로 일방향 회전되면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발적으로 일측을 향해 이동된 제1캠부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귀 이동되면서 슬라이드경사면을 가압함에 따라 제2캠부가 캠구동에 의해 타방향으로 복귀 회전되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도어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를 초과하도록 일방향 회전되면 가이드경사면이 일측으로 가압되는 구간을 벗어나 구동접촉부의 단부가 오픈면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제2캠부의 타방향 복귀 회전이 마찰정지되므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상기 도어의 열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도어의 타방향 회전시 과도한 회전력이 작용하더라도 제2캠부에 구비된 스토퍼돌기부가 타방향 회전이 제한되도록 제1캠부에 형성된 스토퍼홈부에 형합됨에 따라 각 캠부가 상호 접촉되는 부분이 정확한 위치에 대면 접촉되어 마모 내지 파손이 방지되므로 캠구동에 대한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제1캠부가 도어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이내로 회전되어 타측으로 복귀 이동되면 제2캠부를 관통하는 회전정렬바를 지지하는 실린더부에 의해 완충지지력이 작용되어 도어가 서서히 닫히게 되므로 소음이 방지되면서도 각 캠부가 상호 접촉되는 부분의 마모 내지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에서 제1캠부 및 제2캠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에서 가이드경사면 및 슬라이드경사면을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에서 스토퍼홈부 및 스토퍼돌기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에서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에서 제1캠부 및 제2캠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에서 가이드경사면 및 슬라이드경사면을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에서 스토퍼홈부 및 스토퍼돌기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에서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100)는 제1베이스부(10), 탄성스프링(20), 제1캠부(30), 제2베이스부(40) 그리고 제2캠부(5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베이스부(10)는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제1중공(11a)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11)의 외주에 제1경첩부(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도어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100)를 중심축으로서 힌지 회전되는 여닫이도어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베이스부(10)가 상기 문틀에 결합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40)가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상세히, 상기 제1베이스부(10)는 상기 제1하우징(11), 상기 제1경첩부(12) 및 제1밀폐캡(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하우징(11)은 내부에 상기 제1중공(11a)이 형성된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중공(11a)은 원형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경첩부(12)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경첩부(12)에는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어느 일측에 고정되기 위한 나사부재가 관통 체결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홀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경첩부(12)는 상기 제1하우징(11)과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주에 접착 내지 용접 등의 결합 방법으로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밀폐캡(13)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단부 개구측을 밀폐하도록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밀폐캡(13)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단부 개구측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밀폐캡(13)의 타단부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단부측 상기 제1중공(11a) 내주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호 간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제1밀폐캡(13)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단부 개구측에 억지 끼움되거나 별도의 접착 공정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11)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단부 개구측을 밀폐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부(10)는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수지 내지 합금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탄성스프링(20)은 제1중공(11a)에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20)의 일측 및 타측 사이 전체 길이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길이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일측이라 함은 상기 제1밀폐캡(13) 측 방향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타측이라 함은 후술되는 제2밀폐캡(43) 측 방향으로서 하측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스프링(20)은 상기 제1중공(11a)에 삽입되어 일단부가 상기 제1밀폐캡(13)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스프링(20)은 일단부가 상기 제1밀폐캡(1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타단부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1캠부(30)를 탄발적으로 지지하여 탄성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캠부(30)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주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탄성스프링(20)에 일단부가 밀착되며, 타단부에 돌출된 구동접촉부(32)에는 일방향(R)으로 갈수록 타측으로 경사진 가이드경사면(3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일방향(R)이라 함은 상기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시계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타방향(CR)이라 함은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캠부(30)의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방지돌기(31b)가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주에는 상기 회전방지돌기(31b)가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회전방지홈(11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캠부(30)는 제1몸통부(31), 구동접촉부(32) 및 회전정렬바(33)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몸통부(31)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회전방지돌기(31b)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돌기(31b)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몸통부(31)의 외주를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캠부(30)가 상기 제1하우징(11)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회전방지돌기(31b)는 상기 회전방지홈(11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방지홈(11b)은 상기 회전방지돌기(31b)의 단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중공(11a)의 내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함몰 형성되되 상기 제1하우징(11)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방지돌기(31b)가 상기 회전방지홈(11b)에 삽입되면 상기 제1캠부(30)은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몸통부(31)의 일단부에는 상기 탄성스프링(20)의 타단부가 밀착되어 선택적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캠부(30)는 상기 탄성스프링(20)으로부터 탄성복원력이 작용되거나 상기 제2캠부(50)에 의해 가압력이 작용되면 상기 회전방지돌기(31b)가 상기 회전방지홈(11b)을 따라 슬라이드되어 상기 제1하우징(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접촉부(32)는 상기 제1몸통부(31)의 타단부로부터 일체로 타측을 향해 돌출된다.
이때, 상기 구동접촉부(32)는 외주면이 상기 제1몸통부(31)의 외주면과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원호형 단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접촉부(32)의 일방향(R)측 단부에는 후술되는 스토퍼홈부(3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타방향(CR)측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은 후술되는 상기 제2캠부(5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캠부(30)의 타단부 및 상기 제2캠부(50)의 일단부는 상호 대향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은 상기 구동접촉부(32)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몸통부(31)의 타단부가 연결되도록 연장되되 기설정된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일방향(R)으로 갈수록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은 후술되는 슬라이드경사면(52b)에 슬라이드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캠부(30)는 상기 제2캠부(50)와 접촉되는 부분의 마모 내지 파손이 최소화되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수지 내지 합금 등 소정의 강성을 갖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베이스부(40)는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타측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제2중공(41a)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41)의 외주에 제2경첩부(42)가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제2베이스부(40)는 상기 제2하우징(41), 상기 제2경첩부(42) 및 제2밀폐캡(4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하우징(41)은 내부에 상기 제2중공(41a)이 형성된 중공형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중공(41a)은 원형의 단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베이스부(40)에는 외주로부터 반경방향을 향해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2중공(41a)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통홀(41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2하우징(4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연통홀(41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통홀(41c)은 상기 제2하우징(41)의 일단부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통홀(41c)에는 후술되는 결합부재(55)가 관통하여 상기 제2캠부(5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경첩부(42)는 상기 제2하우징(41)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밀폐캡(43)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단부 개구측을 밀폐하도록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경첩부(42) 및 상기 제2밀폐캡(43)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경첩부(12) 및 상기 제1밀폐캡(13)과 대응되는 형상 및 구조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2경첩부(4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베이스부(40)는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베이스부(10)에 대응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캠부(50)는 상기 제2베이스부(40)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경사면(32b)과 슬라이드 접촉되는 슬라이드경사면(52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캠부(50)의 외주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연동돌기(51b)가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하우징(41)의 내주에는 상기 회전연동돌기(51b)가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돌기삽입홈(41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2캠부(50)는 제2몸통부(51) 및 회전구동부(5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2몸통부(51)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외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회전연동돌기(51b)가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연동돌기(51b)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몸통부(31)의 외주를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통부(51)가 상기 제2하우징(41)의 일단부 개구측을 통해 삽입되면 상기 회전연동돌기(51b)는 상기 돌기삽입홈(41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가 상기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100)를 중심축으로 힌지 회전되므로 상기 제2베이스부(40)는 상기 도어의 힌지 회전에 연동하여 원주방향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캠부(50)는 상기 제2베이스부(40)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돌기삽입홈(41b)의 내면에 상기 회전연동돌기(51b)가 걸림되어 상기 제2베이스부(40)와 함께 일체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캠부(50)는 일단부가 상기 제2베이스부(40)의 일단부 측에 돌출된 상태로 타단부가 상기 제2중공(41a)에 삽입 및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2몸통부(5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홀(51c)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홀(51c)이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2몸통부(51)의 외주를 따라 기설정된 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홀(51c)은 상기 제2몸통부(51)의 외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홀(51c) 및 상기 연통홀(41c)이 상호 대응되는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된 후 상기 결합부재(55)가 상기 연통홀(41c)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홀(51c)에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2몸통부(51)는 상기 결합부재(55)에 의해 상기 제2중공(41a)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일측 내지 타측으로의 이동 내지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캠부(50)는 상기 제2베이스부(40)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이내로 일방향(R) 회전되면 상기 탄성스프링(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이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에 가압 슬라이드되어 타방향(CR)으로 복귀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이내라 함은 상기 구동접촉부(32)의 단부가 후술되는 클로즈면(52a)에 접촉된 상태에서부터 후술되는 오픈면(52c)에 가압 밀착되기 이전까지 상기 도어가 일방향(R) 내지 타방향(CR) 회전되는 각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은 상기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에 대응되는 원호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이내에서는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 및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이 상호 접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구동부(52)는 상기 제2몸통부(51)의 일단부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제2하우징(41)의 일단부측에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구동부(52)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몸통부(31)와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동부(52)의 단부에는 상기 제1캠부(30)의 타단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은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에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도록 일방향(R)으로 갈수록 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은 상기 제2캠부(50)의 일단부에 형성된 클로즈면(52a)과, 상기 클로즈면(52a)으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된 오픈면(52c)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클로즈면(52a)은 상기 회전구동부(52)의 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구동부(52)의 중앙부에 상기 정렬삽입홀(53)의 일측 개구가 형성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원호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로즈면(52a)의 타방향(CR)측에는 상기 회전구동부(52)로부터 일측을 향해 단차지게 단차부(52d)가 돌출되며, 상기 단차부(52d)의 단부에는 상기 오픈면(52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클로즈면(52a) 및 상기 오픈면(52c)은 일측 및 타측으로 연장되는 수선에 대하여 수직하도록 평탄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클로즈면(52a) 및 상기 오픈면(52c)은 실질적으로 상기 구동접촉부(32)의 단부측 단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오픈면(52c)의 일방향(R)측과 상기 클로즈면(52a)의 타방향(CR)측 사이에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은 상기 오픈면(52c)의 일방향(R)측으로부터 일방향(R)으로 타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클로즈면(52a)의 타방향(CR)측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접촉부(32)의 단부는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클로즈면(52a)에 접촉되되 상기 도어가 상기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를 초과하도록 일방향(R) 회전되면 상기 오픈면(52c)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제2캠부(50)의 타방향 복귀 회전이 마찰정지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 및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이 형합되고 상기 구동접촉부(32)의 단부가 상기 클로즈면(52a)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도어가 상기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를 초과하도록 일방향(R) 회전되면 상기 제2캠부(50)는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이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을 일측으로 가압하는 구간을 벗어나도록 일방향(R) 회전되어 상기 구동접촉부(32)의 단부가 상기 오픈면(52c)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캠부(30)는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에 의해 일측으로 탄발적으로 이동되므로 상기 구동접촉부(32)의 단부가 상기 오픈면(52c)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픈면(52c) 및 상기 구동접촉부(32)의 단부는 평탄하게 형성되어 상호 밀착되므로 상기 제2캠부(50)가 일방향(R) 회전되더라도 제1캠부(30)에는 일측을 향한 가압력이 작용되지 않아 이동이 중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캠부(50)는 상기 결합부재(55)에 의해 일측 내지 타측으로 이동이 구속된 상태이므로 상기 구동접촉부(32)의 단부가 상기 오픈면(52c)을 가압밀착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오픈면(52c) 및 상기 구동접촉부(32)의 마찰에 의해 타방향으로의 복귀 회전이 정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도어가 상기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를 초과하도록 일방향(R) 회전된 상태, 즉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이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에 의해 가압 슬라이드되지 않아 상기 도어의 열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는 상기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이내에서 자동으로 닫히게 되면서도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별도의 조작 없이도 열린 상태가 유지되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접촉부(32)의 단부가 상기 오픈면(52c)에 가압 밀착됨에 따라 타방향(CR) 회전에 대한 마찰력이 작용되므로 상기 도어가 외부요인으로 인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캠부(50)는 일단부가 상기 제1하우징(11)의 타단부 개구측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캠부(30)의 타단부와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구동부(52)는 상기 구동접촉부(32)에 대면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이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에 상호 형합되어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가 일방향(R) 회전되면 상기 제2캠부(50) 또한 일방향(R)으로 연동 회전되어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이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에 슬라이드된다. 그리고, 상기 제2캠부(50)가 일방향(R) 회전될수록 실질적으로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의 수직높이가 더 높은 부분이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을 일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캠부(30)는 상기 탄성스프링(20)에 의해 탄발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일측으로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캠부(50)의 회전력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캠부(30)를 일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으로 변환되어 작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이내에서 회전이 중지되면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이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을 일측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상기 제1캠부(30)는 상기 탄성스프링(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타측으로 복귀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이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에 의해 타측을 향해 탄발적으로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이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에 상호 형합되도록 타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은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에 타방향(CR)으로 슬라이드되어 상기 제2캠부(50)가 타방향(CR)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스프링(20)의 탄성복원력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2캠부(50)의 복귀 방회전력으로 변환되어 작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이내로 일방향(R) 회전되면 상기 탄성스프링(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캠부(30)가 타측으로 복귀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이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을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제2캠부가 캠구동에 의해 타방향(CR)으로 복귀 회전되어 상기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접촉부(32)의 일측에는 타방향(CR)으로 함몰된 스토퍼홈부(3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캠부(50)의 일단부에는 타방향(CR)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스토퍼홈부(34)에 형합 삽입되는 스토퍼돌기부(5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스토퍼홈부(34)는 상기 구동접촉부(32)의 일방향(R)측 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타방향(CR)으로 함몰되되 상기 스토퍼돌기부(54)와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돌기부(54)는 상기 회전구동부(52)의 일단부로부터 일체로 돌출되며 기설정된 원호각도를 갖는 원호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클로즈면(52a)의 일방향(R)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어가 폐쇄되도록 타방향(CR)으로 회전되면 상기 클로즈면(52a)에 상기 구동접촉부(32)가 접촉되고 상기 스토퍼돌기부(54)가 타방향(CR)으로 회전되며 상기 스토퍼홈부(34)에 형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은 상기 클로즈면(52a)의 타방향(CR)측과 상기 오픈면(52c)의 일방향(R)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스토퍼돌기부(54)는 상기 클로즈면(52a)의 일방향(R)측과 상기 오픈면(52c)의 타방향(CR)측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돌기부(54)는 상기 단차부(52d)의 수직높이보다 더 큰 수직높이를 갖도록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돌기부(54)의 단부는 상기 오픈면(52c)으로부터 일측을 향해 단차지게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접촉부(32)의 단부가 상기 클로즈면(52a)에 접촉되고 상기 스토퍼돌기부(54)가 상기 스토퍼홈부(34)에 형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가 일방향(R)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토퍼돌기부(54)가 일방향(R)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이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을 가압하여 상기 제1캠부(30)가 일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홈부(34)의 내면이 상기 스토퍼돌기부(54)에 걸림되어 슬라이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홈부(34) 및 상기 스토퍼돌기부(54)에는 각각 형합유도경사면(34b) 및 경사형합면(54b)이 형성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도어가 상기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의 하한값에 대응되도록 타방향(CR)으로 복귀 회전되면 상기 제1캠부(30)는 회전이 구속된 상태이므로 상기 스토퍼돌기부(54)가 상기 스토퍼홈부(34)에 형합되면서 걸림 구속되어 상기 제2캠부(50)의 타방향(CR) 회전이 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의 타방향(CR) 회전시 외부요인 등으로 인해 과도한 회전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스토퍼돌기부(54)가 상기 제2캠부(50)의 타방향(CR)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스토퍼홈부(34)에 형합되면 각 캠부(30,50)가 접촉되는 부분이 정확한 위치에 대면 접촉되어 마모 내지 파손이 방지되므로 캠구동에 대한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즉, 각 캠부(30,50)가 캠구동 범위를 벗어나도록 타방향(CR)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상호 간에 접촉된 부분의 과도한 마찰 내지 충격으로 인한 마모 내지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홈부(34)에는 일방향(R)으로 갈수록 타측으로 경사진 상기 형합유도경사면(34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돌기부(54)에는 상기 제2캠부(50)의 일방향(R) 내지 타방향(CR) 회전시 상기 형합유도경사면(34b)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상기 경사형합면(54b)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형합유도경사면(34b)은 상기 스토퍼홈부(34)의 타측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형합면(54b)은 상기 스토퍼돌기부(54)의 타방향(CR)측 단부에 상기 형합유도경사면(34b)과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합유도경사면(34b)의 경사각은 상기 가이드경사면(32b)과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캠부(30)는 상기 가이드경사면(32b) 및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이 상호 슬라이드됨에 따라 실질적으로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의 경사각에 대응되도록 타측을 향해 복귀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형합유도경사면(34b)의 경사각이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의 경사각과 대응되도록 설정되면, 상기 스토퍼돌기부(54)가 상기 스토퍼홈부(34)에 형합 삽입되는 시점이 상기 제1캠부(30)의 타측 복귀 이동이 완료되는 시점에 대응되도록 타방향(CR)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의 회전시 상기 슬라이드경사면(52b) 및 상기 가이드경사면(32b)의 캠구동에 연동하여 상기 경사형합면(54b)에 상기 형합유도경사면(34b)이 슬라이드 접촉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캠부(30) 및 상기 제2캠부(50)의 접촉부 위치가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구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돌기부(54)의 일단부(54a) 및 상기 클로즈면(52a) 사이 수직간격(h2)은 상기 오픈면(52c) 및 상기 클로즈면(52a) 사이의 수직간격(h1)을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도어가 완전히 열리게 되어 상기 구동접촉부(32)의 단부가 상기 오픈면(52c)에 가압 밀착되도록 상기 제1캠부(30)가 일측을 향해 이동된다. 즉, 상기 탄성스프링(20)은 실질적으로 상기 오픈면(52c) 및 상기 클로즈면(52a) 사이의 수직간격(h1)에 대응되도록 압축되어 상기 제1캠부(30)가 상기 오픈면(52c) 및 상기 클로즈면(52a) 사이의 수직간격(h1)에 대응되도록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돌기부(54)의 일단부(54a) 및 상기 클로즈면(52a) 사이 수직간격(h2)이 상기 오픈면(52c) 및 상기 클로즈면(52a) 사이의 수직간격(h1) 미만으로 설정되면, 제조상의 공차나 외부 요인에 의한 충격 등으로 각 구성부품에 유격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캠부(30)가 타측을 향해 복귀 이동시 상기 스토퍼돌기부(54)의 타방향(CR) 끝단부가 상기 구동접촉부(32)의 단부측 테두리에 걸림되어 상기 도어가 폐쇄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돌기부(54)의 일단부(54a) 및 상기 클로즈면(52a) 사이 수직간격(h2)은 상기 오픈면(52c) 및 상기 클로즈면(52a) 사이의 수직간격(h1)을 초과하도록 설정되면, 상기 제1캠부(30)가 일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스토퍼돌기부(54)의 타방향(CR) 끝단부가 상기 스토퍼홈부(34)의 입구측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캠부(30)가 타측을 향해 복귀 이동시 상기 경사형합면(54b)의 일측이 상기 형합유도경사면(34b)의 타측에 걸림되도록 접촉된 후 슬라이드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돌기부(54)가 상기 스토퍼홈부(34)에 안정적으로 형합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캠부(30) 및 상기 제2캠부(50)에 외부 요인에 의한 충격 등으로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유격되더라도 상기 경사형합면(54b)의 일측이 상기 형합유도경사면(34b)의 타측에 접촉된 후 슬라이드됨에 따라 각 구성부품의 캠구동을 위한 정확한 위치가 유도되므로 제품의 구동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캠부(30)의 타측에는 상기 제2캠부(50)를 관통하는 상기 회전정렬바(33)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100)는 상기 제2캠부(5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20)의 탄발복원시 완충지지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회전정렬바(33)를 지지하는 실린더부(6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회전정렬바(33)는 상기 제1몸통부(31)의 타단부 중앙측으로부터 일체로 타측을 향해 연장되며 후술되는 정렬삽입홀(53)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정렬바(33)는 상기 제2캠부(50)가 회전 가능하도록 원형 단면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접촉부(32)는 실질적으로 상기 회전정렬바(33)의 외주면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베이스부(10)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정렬삽입홀(5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정렬삽입홀(53)은 상기 회전구동부(52) 및 상기 제2몸통부(5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정렬바(33)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정렬바(33)는 상기 정렬삽입홀(53)의 일측, 즉 상기 회전구동부(52)측 개구를 통해 관통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린더부(60)는 바람직하게는 유압실린더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단부측 중앙에는 완충지지로드(61)가 일측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60)는 상기 제2중공(41a)의 내부에 삽입되어 타단부가 상기 제2밀폐캡(43)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제2베이스부(40)에는 상기 실린더부(60)가 상기 제2중공(41a)에 삽입된 후 상기 실린더부(60)의 일단부가 상기 제1캠부(30)의 타단부에 대면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지지로드(61)는 상기 정렬삽입홀(53)에 대응되는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지지로드(61)의 끝단이 상기 정렬삽입홀(53)의 일측으로부터 관통된 상기 회전정렬바(33)의 끝단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전정렬바(33)는 상기 정렬삽입홀(53)의 일측에 최대로 삽입되어 상기 완충지지로드(61)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지지로드(61)는 상기 회전정렬바(33)의 가압력에 의해 타측을 향해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정렬바(33)는 상기 제1캠부(30)가 일측 내지 타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정렬삽입홀(53)의 내주를 따라 수평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지지로드(61)는 상기 실린더부(60)의 내부 유압을 통해 상기 회전정렬바(33)를 완충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정렬바(33)가 일측으로 이동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완충지지로드(61)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므로 상기 완충지지로드(61)가 일측을 향해 신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정렬바(33)가 타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완충지지로드(61)는 상기 회전정렬바(33)에 의해 가압되어 타측을 향해 수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캠부(30)에는 상기 실린더부(60)로부터 일측을 향해 완충지지력이 작용되므로 상기 도어가 순간적으로 타방향(CR)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캠부(30)가 타측을 향해 갑자기 이동되더라도 상기 실린더부(60)의 완충지지력에 의해 이동속도가 감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이내로 회전되어 상기 제1캠부(30)가 타측으로 복귀 이동되면 상기 실린더부(60)에 의해 완충지지력이 작용되어 상기 도어가 서서히 닫히게 된다. 또한, 외부 요인에 의해 상기 도어에 과도하게 회전력이 작용하여 닫히게 되더라도 상기 실린더부(60)에 의해 완충지지력이 작용되므로 상기 제1캠부(30)의 복귀 이동속도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캠부(30)의 복귀 이동시 상기 제1캠부(30) 및 상기 제2캠부(50)의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 충격으로 인한 마모 내지 파손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가 세게 닫힘으로써 발생되는 소음이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린저부(60)에 의해 상기 제1캠부(30)의 복귀 이동속도가 감소되면서도 상기 스토퍼돌기부(54) 및 상기 스토퍼홈부(34)에 의해 상기 제2캠부(50)의 타방향(CR)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각 캠부(30,50)가 접촉되는 부분의 충격 방지가 극대화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는 시너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린더부(60)의 완충지지력은 상기 탄성스프링(20)의 탄성복원력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캠부(30)가 상기 탄성스프링(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타측으로 자동으로 복귀 이동되는 경우에도 상기 실린더부(60)의 완충지지력을 극복하면서 서서히 타측으로 복귀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100)는 상기 제1베이스부(10) 및 상기 제2베이스부(40) 사이에 배치되는 마모방지링(7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마모방지링(70)은 상기 제2베이스부(40)의 외주를 감싸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하우징(11) 내지 상기 제2하우징(41)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모방지링(70)의 내부 중공에는 상기 제2하우징(41)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회전구동부(5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모방지링(70)은 상기 제1캠부(30) 및 상기 제2캠부(50)가 접촉되도록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베이스부(10)의 타단부 개구측 테두리 및 상기 제2베이스부(40)의 일단부 개구측 테두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마모방지링(70)은 상기 제1베이스부(10) 및 상기 제2베이스부(40)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마모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제1베이스부 11: 제1하우징
12: 제1경첩부 13: 제1밀폐캡
20: 탄성스프링 30: 제1캠부
32: 구동접촉부 32b: 가이드경사면
33: 회전정렬바 34: 스토퍼홈부
40: 제2베이스부 41: 제2하우징
42: 제2경첩부 43: 제2밀폐캡
50: 제2캠부 52a: 클로즈면
52b: 슬라이드경사면 52c: 오픈면
53: 정렬삽입홀 54: 스토퍼돌기부
54b: 경사형합면 60: 실린더부
100: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

Claims (5)

  1. 도어 및 문틀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제1중공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의 외주에 제1경첩부가 구비되는 제1베이스부;
    상기 제1중공에 삽입되는 탄성스프링;
    상기 제1하우징의 내주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탄성스프링에 일단부가 밀착되며, 타단부에 돌출된 구동접촉부에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타측으로 경사진 가이드경사면이 형성된 제1캠부;
    상기 도어 및 상기 문틀 중 타측에 결합되도록 내부에 제2중공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의 외주에 제2경첩부가 구비되는 제2베이스부;
    상기 제2베이스부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되되, 일단부에 상기 가이드경사면과 슬라이드 접촉되는 슬라이드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2베이스부가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 이내로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경사면이 상기 가이드경사면에 가압 슬라이드되어 타방향으로 복귀 회전되는 제2캠부; 및
    상기 제1캠부의 타측에 상기 제2캠부를 관통하는 회전정렬바가 돌출되며, 상기 제2캠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탄성스프링의 탄발복원시 완충지지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회전정렬바의 단부를 지지하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캠부는 제2몸통부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구동부의 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클로즈면이 형성되고, 상기 클로즈면의 타방향 측에는 상기 회전구동부로부터 일측을 향해 단차지게 단차부가 돌출되되 상기 단차부의 단부에는 오픈면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경사면은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오픈면의 일방향 측과 상기 클로즈면의 타방향 측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접촉부의 단부는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에서 상기 클로즈면에 접촉되되 상기 도어가 상기 기설정된 회전각도 범위를 초과하도록 일방향 회전되면 상기 오픈면에 가압 밀착되어 상기 제2캠부의 타방향 복귀 회전이 마찰정지되며,
    상기 구동접촉부의 일측에는 타방향으로 함몰된 스토퍼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캠부의 일단부에는 타방향 회전이 제한되도록 상기 스토퍼홈부에 형합 삽입되되 상기 클로즈면의 일방향 측과 상기 오픈면의 타방향 측 사이에 배치되는 스토퍼돌기부가 상기 회전구동부의 일단부로부터 일체로 돌출되되,
    상기 스토퍼홈부에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타측으로 경사진 형합유도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돌기부의 타방향측 단부에는 상기 제2캠부의 회전시 상기 형합유도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경사형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돌기부의 일단부 및 상기 클로즈면 사이 수직간격은 상기 오픈면 및 상기 클로즈면 사이의 수직간격을 초과하도록 상기 스토퍼돌기부의 일단부에 단턱이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75341A 2018-06-29 2018-06-29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 Active KR101939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41A KR101939357B1 (ko) 2018-06-29 2018-06-29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341A KR101939357B1 (ko) 2018-06-29 2018-06-29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357B1 true KR101939357B1 (ko) 2019-01-16

Family

ID=6528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341A Active KR101939357B1 (ko) 2018-06-29 2018-06-29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3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5437A (zh) * 2021-12-06 2022-03-22 赢技汽车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双弹簧单凸轮结构的集成门铰链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866B1 (ko) 1997-03-04 1999-11-0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힌지기구 및 힌지유니트
KR20010000687U (ko) * 1999-06-16 2001-01-15 오교채 경첩
KR20050058540A (ko) * 2003-12-12 2005-06-17 김진석 유압식 완충경첩
KR101745641B1 (ko) * 2016-05-12 2017-06-09 퍼스트클로저 주식회사 클로저의 토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866B1 (ko) 1997-03-04 1999-11-01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힌지기구 및 힌지유니트
KR20010000687U (ko) * 1999-06-16 2001-01-15 오교채 경첩
KR20050058540A (ko) * 2003-12-12 2005-06-17 김진석 유압식 완충경첩
KR101745641B1 (ko) * 2016-05-12 2017-06-09 퍼스트클로저 주식회사 클로저의 토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5437A (zh) * 2021-12-06 2022-03-22 赢技汽车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双弹簧单凸轮结构的集成门铰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2201B1 (en) Decelerated hinge for furniture
US10754285B2 (en) Original cover closer and office equipment using the same
US9163447B1 (en) Hinge with damping device
US7065834B2 (en) Bistable hinge with dampening mechanism
EP2766547B1 (en) Hinge for furniture with a deactivatable decelerating device
KR101279251B1 (ko) 회전각도 규제기구 부착 세미 오토형 힌지
US10344517B2 (en) Soft close device for compact hinges
US20130239363A1 (en) Slow-Down Mechanism Placed in Furniture Hinge
KR102605570B1 (ko) 댐퍼
TWI633243B (zh) 蓋體用開闔裝置及具備此開闔裝置的設備
KR101472994B1 (ko) 경첩용 안전커버 장치
US8091176B2 (en) Furniture hinge deceleration device and furniture hinge having said deceleration device
KR101975266B1 (ko) 자동복귀수단을 갖는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
US20120186042A1 (en) Hinge for furniture
KR101939357B1 (ko) 여닫이도어 댐핑클로져장치
US10407958B1 (en) Hinge device with a stop function
KR101873772B1 (ko) 도어 개폐용 경첩
KR101784173B1 (ko) 회전식 도어 구동 장치
US20100000049A1 (en) Interference assembly, hinge utilizing the same, and collapsible device utilizing the hinge
WO2004059182A1 (ja) 一時角度設定機能付ヒンジ装置
KR102169892B1 (ko) 여닫이문용 완충힌지장치의 시공방법
JP2007145055A (ja) 自動車のドアヒンジ装置
JP5215896B2 (ja) 対震丁番およびそれを用いた扉装置
EP2998497B1 (en) Hinge with damping device
KR102029312B1 (ko) 댐핑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