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656B1 -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건설 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건설 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8656B1 KR101938656B1 KR1020180072553A KR20180072553A KR101938656B1 KR 101938656 B1 KR101938656 B1 KR 101938656B1 KR 1020180072553 A KR1020180072553 A KR 1020180072553A KR 20180072553 A KR20180072553 A KR 20180072553A KR 101938656 B1 KR101938656 B1 KR 1019386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struction waste
- screen
- conveyor
- foreign matter
- foreig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의 비산방지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의 비산방지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의 착탈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의 노즐 설치구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의 죠크러셔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의 개패구동부, 선별가압부 및 연동부가 도시된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의 이물질제거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의 이물질제거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의 이물질제거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14 : 제1죠크러셔 16 : 제1자력선별기
18 : 제2스크린 32 : 제1컨베이어
34 : 제1송풍기 36 : 제3스크린
38 : 제2컨베이어 38a : 제2송풍기
50 : 제2죠크러셔 72 : 제3컨베이어
74 : 콘크러셔 76 : 제2자력선별기
78 : 제4스크린 80 : 제5스크린
82 : 롤크러셔 82a : 제3자력선별기
84 : 드럼박리장치 86 : 제4컨베이어
88 : 제3송풍기 90 : 비산방지부
92 : 베이스블록 92a : 급수관
92b : 급수호스 94 : 지지파이프
94a : 제1파이프 94b : 제2파이프
94c : 제3파이프 96 : 천막
96a : 고정핀 96b : 걸림고리
98 : 노즐 100 : 착탈부
102 : 연결홈부 104 : 연결후크
106 : 착탈후크 107 : 탄성부재
108 : 해제레버 109 : 와이어
200 : 이물질제거부
Claims (3)
-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건축폐기물을 거르는 제1스크린;
상기 제1스크린을 통과하여 제공되는 건축폐기물을 파쇄하는 제1죠크러셔;
상기 제1죠크러셔에서 배출되는 건축폐기물에 자력을 제공하여 금속 이물질을 거르는 제1자력선별기;
상기 제1자력선별기를 통과한 건설폐기물을 거르는 제2스크린;
상기 제2스크린을 통과하는 건설폐기물을 이동시키고, 제1송풍기가 일측에 설치되어 건설폐기물에 포함되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수작업 선별이 이루어지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어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을 거르는 제3스크린;
상기 제3스크린을 통과하는 건설폐기물을 이동시키고, 제2송풍기가 일측에 설치되어 건설폐기물에 포함되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제2컨베이어;
상기 제2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어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을 분쇄하는 제2죠크러셔;
상기 제2죠크러셔에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이동시키고, 작업자의 수작업 선별이 이루어지는 제3컨베이어;
상기 제3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되는 금속 이물질을 거르는 제2자력선별기;
상기 제2자력선별기를 통과하는 건설폐기물을 거르는 제4스크린;
상기 제4스크린을 통과하는 건설폐기물을 거르는 제5스크린;
상기 제5스크린에 의해 걸러지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롤크러셔;
상기 롤크러셔에서 파쇄되어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순환골재와 제거모르타르로 분리하여 각각 배출시키는 드럼박리장치;
상기 제5스크린을 통과하는 건설폐기물을 이동시키고, 제3송풍기가 일측에 설치되어 분진을 제거하여 석분을 제공하는 제4컨베이어;
상기 제4스크린에 의해 걸러지는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되는 금속 이물질을 거르는 제3자력선별기;
상기 제3자력선별기에 의해 걸러지는 건설폐기물을 분쇄하여 상기 제3컨베이어로 순환시키는 콘크러셔;
상기 제1스크린 내지 상기 제5스크린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스크린 주변에 설치되거나, 상기 제1죠크러셔, 상기 제2죠크러셔, 상기 롤크러셔 또는 상기 콘크러셔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크러셔 주변에 설치되거나, 상기 제1송풍기 내지 상기 제3송풍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송풍기 주변에 설치될 수 있고, 비산되는 이물질에 수막을 제공하여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 및
건설폐기물로부터 분리되어 이송되는 순환골재에 포함되는 가연성 이물질을 분리시켜 소각시키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제1송풍기 내지 상기 제3송풍기 중 어느 하나의 작동에 의해 제공되는 고압의 바람에 의해 상기 제1컨베이어 내지 상기 제3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송되는 순환골재로부터 분리되어 비산되는 가연성이물질을 포집하는 거름막부재;
상기 거름막부재에 부착되는 가연성이물질을 포집하여 상기 거름막부재로부터 분리시키는 수거부;
상기 수거부로부터 분리되는 가연성이물질을 모으는 수납공간부;
상기 수거부에 의해 포집되는 가연성이물질을 상기 수거부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고압의 공기를 상기 수납공간부에 제공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수거부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되는 가연성이물질에 화염을 제공하는 점화플러그;
상기 점화플러그에서 제공되는 화염에 의해 소각되는 가연성이물질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풍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상기 거름막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부 내측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랙부재;
상기 랙부재에 기어연결되는 한 쌍의 피니언부재;
한 쌍의 상기 피니언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거름막부재의 전면을 따라 이동되며, 가연성이물질을 거치하여 이동시키는 브러시가 구비되는 드럼;
상기 피니언부재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구속하면서 상기 피니언부재에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상기 피니언부재가 상기 랙부재를 따라 이동될 때에 상기 모터를 슬라이딩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산방지부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
상기 베이스블록에 연결되고, 비산되는 물을 제공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블록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지지파이프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파이프의 상단으로부터 물을 분사하도록 안내하는 급수호스;
상기 지지파이프에 거치되어 이물질이 선별 시스템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천막; 및
상기 지지파이프 상단에 설치되고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며,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
- 삭제
- (a) 건설폐기물을 제1스크린에 통과시켜 폐기물의 크기별로 분리시키는 단계; (b) 상기 제1스크린을 통과하는 폐기물을 타격하여 분쇄하는 단계; (c) 분쇄된 폐기물을 제2스크린에 통과시켜 폐기물의 크기별로 분리시키는 단계; (d) 상기 제2스크린을 통과하는 순환골재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시키는 단계; (e)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순환골재에 고압의 바람을 제공하여 순환골재에 포함되는 가연성이물질을 분리시키고 포집하는 단계; 및 (f) 순환골재로부터 분리되어 포집되는 가연성이물질을 수납공간으로 모아 연소시키 후에 배기가스로 배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를 이용하는 건설 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방법은,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건축폐기물을 거르는 상기 제1스크린;
상기 제1스크린을 통과하여 제공되는 건축폐기물을 파쇄하는 제1죠크러셔;
상기 제1죠크러셔에서 배출되는 건축폐기물에 자력을 제공하여 금속 이물질을 거르는 제1자력선별기;
상기 제1자력선별기를 통과한 건설폐기물을 거르는 상기 제2스크린;
상기 제2스크린을 통과하는 건설폐기물을 이동시키고, 제1송풍기가 일측에 설치되어 건설폐기물에 포함되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수작업 선별이 이루어지는 상기 컨베이어를 이루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어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을 거르는 제3스크린;
상기 제3스크린을 통과하는 건설폐기물을 이동시키고, 제2송풍기가 일측에 설치되어 건설폐기물에 포함되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상기 컨베이어를 이루는 제2컨베이어;
상기 제2컨베이어에 의해 이동되어 낙하되는 건설폐기물을 분쇄하는 제2죠크러셔;
상기 제2죠크러셔에서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이동시키고, 작업자의 수작업 선별이 이루어지는 상기 컨베이어를 이루는 제3컨베이어;
상기 제3컨베이어에서 낙하되는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되는 금속 이물질을 거르는 제2자력선별기;
상기 제2자력선별기를 통과하는 건설폐기물을 거르는 제4스크린;
상기 제4스크린을 통과하는 건설폐기물을 거르는 제5스크린;
상기 제5스크린에 의해 걸러지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롤크러셔;
상기 롤크러셔에서 파쇄되어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순환골재와 제거모르타르로 분리하여 각각 배출시키는 드럼박리장치;
상기 제5스크린을 통과하는 건설폐기물을 이동시키고, 제3송풍기가 일측에 설치되어 분진을 제거하여 석분을 제공하는 상기 컨베이어를 이루는 제4컨베이어;
상기 제4스크린에 의해 걸러지는 건설폐기물 중에 포함되는 금속 이물질을 거르는 제3자력선별기;
상기 제3자력선별기에 의해 걸러지는 건설폐기물을 분쇄하여 상기 제3컨베이어로 순환시키는 콘크러셔;
상기 제1스크린 내지 상기 제5스크린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스크린 주변에 설치되거나, 상기 제1죠크러셔, 상기 제2죠크러셔, 상기 롤크러셔 또는 상기 콘크러셔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크러셔 주변에 설치되거나, 상기 제1송풍기 내지 상기 제3송풍기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송풍기 주변에 설치될 수 있고, 비산되는 이물질에 수막을 제공하여 이물질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부; 및
건설폐기물로부터 분리되어 이송되는 순환골재에 포함되는 가연성 이물질을 분리시켜 소각시키는 이물질제거부를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이물질제거부는,
상기 제1송풍기 내지 상기 제3송풍기 중 어느 하나의 작동에 의해 제공되는 고압의 바람에 의해 상기 제1컨베이어 내지 상기 제3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이송되는 순환골재로부터 분리되어 비산되는 가연성이물질을 포집하는 거름막부재;
상기 거름막부재에 부착되는 가연성이물질을 포집하여 상기 거름막부재로부터 분리시키는 수거부;
상기 수거부로부터 분리되는 가연성이물질을 모으는 수납공간부;
상기 수거부에 의해 포집되는 가연성이물질을 상기 수거부로부터 분리시키도록 고압의 공기를 상기 수납공간부에 제공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상기 수거부로부터 분리되어 배출되는 가연성이물질에 화염을 제공하는 점화플러그;
상기 점화플러그에서 제공되는 화염에 의해 소각되는 가연성이물질의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풍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상기 거름막부재의 양단부에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부 내측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랙부재;
상기 랙부재에 기어연결되는 한 쌍의 피니언부재;
한 쌍의 상기 피니언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거름막부재의 전면을 따라 이동되며, 가연성이물질을 거치하여 이동시키는 브러시가 구비되는 드럼;
상기 피니언부재의 회전축에 연결되고,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구속하면서 상기 피니언부재에 제공하는 동력에 의해 상기 피니언부재가 상기 랙부재를 따라 이동될 때에 상기 모터를 슬라이딩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산방지부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블록;
상기 베이스블록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지지파이프;
상기 베이스블록에 연결되고, 비산되는 물을 제공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에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블록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지지파이프를 따라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파이프의 상단으로부터 물을 분사하도록 안내하는 급수호스;
상기 지지파이프에 거치되어 이물질이 선별 시스템 주변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천막; 및
상기 지지파이프 상단에 설치되고 복수 개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며,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2553A KR101938656B1 (ko) | 2018-06-25 | 2018-06-25 |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건설 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2553A KR101938656B1 (ko) | 2018-06-25 | 2018-06-25 |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건설 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8656B1 true KR101938656B1 (ko) | 2019-01-15 |
Family
ID=6503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2553A Active KR101938656B1 (ko) | 2018-06-25 | 2018-06-25 |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건설 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8656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42092A (zh) * | 2019-05-27 | 2019-08-20 | 邯郸开发区华骐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用垃圾分类粉碎装置 |
CN110433960A (zh) * | 2019-08-30 | 2019-11-12 | 文明 | 一种建筑垃圾处理用筛选装置 |
KR102055553B1 (ko) * | 2019-07-26 | 2019-12-13 | 김충연 | 비산방지 수단이 적용된 건설폐기물 선별방법 |
KR102055552B1 (ko) * | 2019-07-26 | 2019-12-13 | 김충연 | 건설폐기물 선별방법 |
KR102071876B1 (ko) * | 2019-07-26 | 2020-01-31 | 김충연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비산방지수단 설치방법 |
CN111389485A (zh) * | 2020-03-31 | 2020-07-10 | 马鞍山市帅诚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建筑废弃砖块击碎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
KR102185882B1 (ko) * | 2019-10-15 | 2020-12-02 | 김천기 | 순환골재 생산 시스템 |
WO2020237603A1 (zh) * | 2019-05-30 | 2020-12-03 | 包金波 | 一种建筑固体垃圾处理装置 |
KR102545650B1 (ko) * | 2022-06-13 | 2023-06-20 |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 |
CN117225513A (zh) * | 2023-09-14 | 2023-12-15 | 连云港桃盛熔融石英有限公司 | 一种高纯熔融石英除杂用筛分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1238B1 (ko) * | 2006-06-03 | 2007-11-01 | 이상청 | 재생골재 제조용 이물질 제거장치 |
KR101170792B1 (ko) * | 2012-04-18 | 2012-08-02 |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 순환골재용 시멘트 모르타르 박리장치 |
KR101828413B1 (ko) * | 2017-05-02 | 2018-02-13 | 임점모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제조장치 |
-
2018
- 2018-06-25 KR KR1020180072553A patent/KR10193865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1238B1 (ko) * | 2006-06-03 | 2007-11-01 | 이상청 | 재생골재 제조용 이물질 제거장치 |
KR101170792B1 (ko) * | 2012-04-18 | 2012-08-02 |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 순환골재용 시멘트 모르타르 박리장치 |
KR101828413B1 (ko) * | 2017-05-02 | 2018-02-13 | 임점모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제조장치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42092A (zh) * | 2019-05-27 | 2019-08-20 | 邯郸开发区华骐环保科技有限公司 | 一种建筑施工用垃圾分类粉碎装置 |
WO2020237603A1 (zh) * | 2019-05-30 | 2020-12-03 | 包金波 | 一种建筑固体垃圾处理装置 |
KR102055553B1 (ko) * | 2019-07-26 | 2019-12-13 | 김충연 | 비산방지 수단이 적용된 건설폐기물 선별방법 |
KR102055552B1 (ko) * | 2019-07-26 | 2019-12-13 | 김충연 | 건설폐기물 선별방법 |
KR102071876B1 (ko) * | 2019-07-26 | 2020-01-31 | 김충연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비산방지수단 설치방법 |
CN110433960A (zh) * | 2019-08-30 | 2019-11-12 | 文明 | 一种建筑垃圾处理用筛选装置 |
KR102185882B1 (ko) * | 2019-10-15 | 2020-12-02 | 김천기 | 순환골재 생산 시스템 |
CN111389485A (zh) * | 2020-03-31 | 2020-07-10 | 马鞍山市帅诚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建筑废弃砖块击碎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
KR102545650B1 (ko) * | 2022-06-13 | 2023-06-20 |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 송풍과 흡입을 적용한 굵은골재의 이물질 저감장치 |
CN117225513A (zh) * | 2023-09-14 | 2023-12-15 | 连云港桃盛熔融石英有限公司 | 一种高纯熔融石英除杂用筛分设备 |
CN117225513B (zh) * | 2023-09-14 | 2024-04-12 | 连云港桃盛熔融石英有限公司 | 一种高纯熔融石英除杂用筛分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8656B1 (ko) | 건설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건설 폐기물용 이물질 제거 방법 | |
KR101068582B1 (ko) |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 |
KR101061166B1 (ko) | 매립쓰레기의 감량화 선별시스템 및 선별방법 | |
KR101422793B1 (ko) | 매립쓰레기 건설 폐토석의 재활용이 가능한 선별방법 및 선별시스템 | |
KR100733631B1 (ko) | 건설폐기물의 분쇄 및 이물질 제거장치 | |
KR101895436B1 (ko) | 금속 이물질 제거 기능을 구비하는 건설폐기물 선별 시스템 | |
KR100981949B1 (ko) | 폐토사의 재생장치 | |
KR101136047B1 (ko) |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 |
KR100873954B1 (ko) | 매립 폐기물 및 건축 폐기물 분쇄 분리 처리장치 | |
KR20030008203A (ko) | 건설폐기물의 자원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 |
KR101346354B1 (ko) | 매립토사의 이물질 선별시스템 | |
KR100870648B1 (ko) |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 |
KR101591343B1 (ko) | 가연성쓰레기의 고순도 선별 연료화 시스템 | |
KR200255197Y1 (ko) |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 |
KR100467868B1 (ko) |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 |
KR100436545B1 (ko) |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 |
KR100189690B1 (ko) | 쓰레기 분리용 선별장치 | |
KR101911885B1 (ko) | 이물질 비산방지 기능을 구비하는 건설폐기물 선별 시스템 | |
KR100595006B1 (ko) |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 |
KR100356719B1 (ko) |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 |
KR20050056762A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모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0452857B1 (ko) |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쓰레기 분리장치 | |
JP3029018B2 (ja) | 可燃性ごみの固形燃料化装置 | |
KR102071876B1 (ko) |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비산방지수단 설치방법 | |
KR20050084718A (ko) | 건설폐기물 토사의 이물질 선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6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