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572B1 -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8572B1 KR101938572B1 KR1020160176240A KR20160176240A KR101938572B1 KR 101938572 B1 KR101938572 B1 KR 101938572B1 KR 1020160176240 A KR1020160176240 A KR 1020160176240A KR 20160176240 A KR20160176240 A KR 20160176240A KR 101938572 B1 KR101938572 B1 KR 1019385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mperature
- supply
- exhaust
- supply air
- air tempera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24—Preventing development of abnormal or undesired conditions, i.e. safety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3—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tectors sensitive to combustion gas properti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 F23N2025/20—
-
- F23N2027/06—
-
- F23N2041/04—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5/00—Measuring
- F23N2225/08—Measuring temperature
- F23N2225/20—Measuring temperature entrant temperat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7/00—Ignition or checking
- F23N2227/06—Postpurg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41/00—Applications
- F23N2241/04—Heating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Abstract
따라서, 배기연도 이탈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배기가스 누출에 따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제품 자체의 품질과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보일러의 연소 중 배기연도 이탈시 급기 및 배기온도 변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보일러에서 배기연도의 이탈이 검지되어 소화 및 포스트 퍼지 실시이 후 재점화시 급기 및 배기온도 변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12 : 타이머 13 : 연산장치
2 : 급기온도 검출센서
3 : 배기온도 검출센서
4 : 온도조절장치 41 : 표시부
5 : 송풍팬 51 : 송풍팬 구동장치
6 : 공급온도 검출센서
7 : 점화장치
8 : 불꽃검지장치
9 : 가스공급 구동장치
Claims (8)
- 보일러의 전원이 "온"되면,
제어부에서 난방 또는 온수 연소를 실시하는 단계와;
이어서 열량제어를 실시하는 단계와;
현재의 배기온도(Tout)와 급기온도(Tin)를 각각 검출하여 기준 배기온도(T11) 및 기준 급기온도(T21)로 저장함과 동시에 정해진 안정화 시간(A)에 대한 계수를 시작하는 단계와;
정해진 안정화 시간(A)을 경과하는지 계속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안정화 시간(A)이 경과되면, 안정화 시간(A) 이후의 배기온도(Tout)와 급기온도(Tin)를 각각 검출하여 비교 배기온도(T12) 및 비교 급기온도(T22)로 각각 저장하는 단계와;
기준 급기온도(T21)에서 비교 급기온도(T22)를 뺀 온도차가 정해진 제 1 급기 온도차(T23)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기준 급기온도(T21)에서 비교 급기온도(T22)를 뺀 온도차가 정해진 제 1 급기 온도차(T23) 이상이면 배기연도가 이탈된 것으로 1차적으로 인식하고 버너를 강제로 소화시키고 정해진 시간(B) 동안 송풍팬을 일정 회전수로 작동시키는 포스트 퍼지(Post Purge)를 시작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에서 버너를 강제 소화하고 포스트 퍼지를 시작한 이후, 계속해서 포스트 퍼지 시간(B)이 종료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포스트 퍼지 시간(B)이 종료되면 버너에 재점화를 실시하고 정해진 안정화 시간(A)에 대한 계수를 시작하는 단계와;
이어서 정해진 안정화 시간(A)이 경과되는지 계속 판단하는 단계와;
정해진 안정화 시간(A)이 경과되면 급기온도(Tin)를 검출하여 재점화 후 급기온도(T25)로 저장하는 단계와;
재점화 후 급기온도(T25)에서 비교 급기온도(T22)를 뺀 절대값이 정해진 제 2 급기 온도차(T24)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와;
재점화 후 급기온도(T25)에서 비교 급기온도(T22)를 뺀 절대값이 정해진 제 2 급기 온도차(T24) 이하이면 배기연도가 완전히 이탈된 것으로 확정하고 버너를 소화시켜 보일러에 대해 안전 정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기준 급기온도(T21)에서 비교 급기온도(T22)를 뺀 온도차가 정해진 제 1 급기 온도차(T23) 이상인지 판단한 결과, 기준 급기온도(T21)에서 비교 급기온도(T22)를 뺀 온도차가 정해진 제 1 급기 온도차(T23) 이상이면,
기준 배기온도(T11)에서 비교 배기온도(T12)를 뺀 절대값이 정해진 배기 온도차(T13)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만약 기준 배기온도(T11)에서 비교 배기온도(T12)를 뺀 절대값이 정해진 배기 온도차(T13) 이상이 아니면, 배기연도가 이탈된 것으로 2차적으로 인식하고 버너를 강제로 소화시키고 정해진 시간(B) 동안 송풍팬을 일정 회전수로 작동시키는 포스트 퍼지를 시작하는 단계로 돌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버너를 소화시켜 보일러에 대해 안전 정지시킨 후,
온도조절장치의 표시부에 배기연도 이탈 에러가 발생된 상태임을 표시해주는 단계;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기준 급기온도(T21)에서 비교 급기온도(T22)를 뺀 온도차가 정해진 제 1 급기 온도차(T23) 이상이 아니거나,
또는 기준 배기온도(T11)에서 비교 배기온도(T12)를 뺀 절대값이 정해진 배기 온도차(T13) 이상이거나,
또는 재점화 후 급기온도(T25)에서 비교 급기온도(T22)를 뺀 절대값이 정해진 제 2 급기 온도차(T24) 이하가 아니면,
각각 정해진 안정화 시간(A)을 계수하는 타이머를 리셋시키고 배기온도 검출센서 및 급기온도 검출센서를 통해 현재의 배기온도(Tout)와 급기온도(Tin)를 각각 검출하여 기준 배기온도(T11) 및 기준 급기온도(T21)로 저장함과 동시에 정해진 안정화 시간(A)에 대한 계수를 시작하는 단계로 되돌아가 그 이후의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정해진 안정화 시간(A)은 30~60초로 설정하고, 기준 급기온도(T21)에서 비교 급기온도(T22)를 뺀 온도차와 비교되는 제 1 급기 온도차(T23)는 3~5℃로 설정하며, 포스트 퍼지 시간(B)은 10초~5분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 청구항 2에 있어서,
기준 배기온도(T11)에서 비교 배기온도(T12)를 뺀 절대값과 비교되는 정해진 배기 온도차(T13)는, 1~2℃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재점화 후 급기온도(T25)에서 비교 급기온도(T22)를 뺀 절대값과 비교되는 정해진 제 2 급기 온도차(T24)는, 1~2℃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6240A KR101938572B1 (ko) | 2016-12-22 | 2016-12-22 |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76240A KR101938572B1 (ko) | 2016-12-22 | 2016-12-22 |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2943A KR20180072943A (ko) | 2018-07-02 |
KR101938572B1 true KR101938572B1 (ko) | 2019-01-15 |
Family
ID=6291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76240A Active KR101938572B1 (ko) | 2016-12-22 | 2016-12-22 |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857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3711A (ko) * | 2022-05-24 | 2023-12-01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연소기기 드레인 억제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1536B1 (ko) * | 2019-06-26 | 2021-12-22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연도 이탈 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일러 |
KR102095202B1 (ko) * | 2019-09-26 | 2020-03-31 | 주식회사 나노켐 | 연통 이탈 감지 시스템 |
KR102164817B1 (ko) * | 2019-12-05 | 2020-10-13 | 주식회사 나노켐 | 연통 이탈 감지 장치 |
CN111413129A (zh) * | 2020-05-06 | 2020-07-14 | 孟金来 | 锅炉燃烧效率在线监测装置 |
KR102475160B1 (ko) * | 2020-12-28 | 2022-12-07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보일러의 난방 배관 막힘 시 연소 제어 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0347A (ja) | 2001-10-25 | 2003-05-08 | Miura Co Ltd | 燃焼装置の制御方法 |
KR101562241B1 (ko) | 2014-12-11 | 2015-10-26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연소기기의 배기온도 검출센서 빠짐 검지방법 |
-
2016
- 2016-12-22 KR KR1020160176240A patent/KR10193857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30347A (ja) | 2001-10-25 | 2003-05-08 | Miura Co Ltd | 燃焼装置の制御方法 |
KR101562241B1 (ko) | 2014-12-11 | 2015-10-26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연소기기의 배기온도 검출센서 빠짐 검지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63711A (ko) * | 2022-05-24 | 2023-12-01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연소기기 드레인 억제 제어 방법 |
KR102622111B1 (ko) | 2022-05-24 | 2024-01-09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연소기기 드레인 억제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2943A (ko) | 2018-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8572B1 (ko) |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 |
KR101601709B1 (ko) | 가스 보일러의 배기 연도 폐쇄 감지 방법 | |
KR101562241B1 (ko) | 연소기기의 배기온도 검출센서 빠짐 검지방법 | |
KR101941912B1 (ko) | 급기온도와 송풍팬 전류치를 이용한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 |
KR101938569B1 (ko) | 보일러의 배기연도 이탈검지 및 연소제어방법 | |
TWI591304B (zh) | Water heater exhaust safety detection method | |
KR101480912B1 (ko) | 온도센서를 이용한 보일러의 불완전 연소방지방법 | |
KR101317162B1 (ko) | 보일러의 공기압과 가스압 차를 이용한 안전제어방법 | |
KR101731533B1 (ko) | 보일러의 온수 과열 방지방법 | |
KR101607119B1 (ko) | 보일러의 도중실화 검지방법 | |
KR101890607B1 (ko) | 보일러의 자동모드 작동 시 외부화재 방지를 위한 안전정지방법 | |
CN112503775A (zh) | 供热设备的控制方法及供热设备 | |
JP2768635B2 (ja) | 燃焼装置 | |
JP5734257B2 (ja) | 強制給排気式の温風暖房機 | |
JP2935958B2 (ja) | 屋内設置型の燃焼装置 | |
KR101216812B1 (ko) | 공기압과 가스압 차를 이용한 급배기 연도 폐쇄 감지방법 | |
JP3346159B2 (ja) | 可燃ガス検知装置 | |
KR102425365B1 (ko) | 연소기기 급배기 폐쇄 검지 방법 | |
KR101606741B1 (ko) | 풍압스위치가 설치된 보일러의 연소중 배기폐쇄 검지방법 | |
JP7421427B2 (ja) | 燃焼機器 | |
JP5524595B2 (ja) | 燃焼器具の安全制御装置 | |
JP5017249B2 (ja) | 不完全燃焼検知装置 | |
JP5295676B2 (ja) | 排気システム | |
JP3012497B2 (ja) | 燃焼装置 | |
JP2004163027A (ja) | ガス温風暖房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