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324B1 - Auxiliary battery for mobile phone with mobile phone standing function - Google Patents
Auxiliary battery for mobile phone with mobile phone standing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8324B1 KR101938324B1 KR1020150164985A KR20150164985A KR101938324B1 KR 101938324 B1 KR101938324 B1 KR 101938324B1 KR 1020150164985 A KR1020150164985 A KR 1020150164985A KR 20150164985 A KR20150164985 A KR 20150164985A KR 101938324 B1 KR101938324 B1 KR 1019383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mobile phone
- side surfaces
- pivoting
- pivot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01M2/1022—
-
- H01M2/0217—
-
- H01M2/30—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및 배면, 그리고 4개의 측면을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측면들 중 하나에 구비되고,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는 전원 단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 셀; 상기 케이스의 측면들 중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전지 셀에 충전된 전기를 휴대폰에 공급하는 커넥터 단자; 및 상기 4개의 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의 일부로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 시에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전면 또는 배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를 세울 수 있는 회동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폰을 충전하면서 보조 배터리에 휴대폰을 거치하여 휴대폰 충전 중에 사용자는 편안하게 휴대폰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and four side surfaces; A power terminal provided in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to receive electricity; A battery cell mounted inside the case and supplied with electricity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charged; A connector terminal provided at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cell to the cellular phone; And a pivotable member which is formed as a part of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 surfaces and is rotatably coupled at one end to the case so that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cas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holding function including a mobile phone and a mobile phone.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중인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중인 휴대폰을 충전할 때 휴대폰을 세워서 사용자가 휴대폰 화면을 편하게 볼 수 있게 해주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capable of charging a portable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mounting function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view a mobile phone screen The auxiliary battery.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크게 본체와 이러한 본체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에 결합된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폰 배터리는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는 충전장치를 통해 충전되고, 사용자는 본체에 장착된 배터리 이외에 별도의 예비 배터리를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Generally, a cell phone consists largely of a main body and a battery coupled to the main body to supply the necessary power for operation of the main body. Such a mobile phone battery is charged through a charging device using a household power source, and a user can carry a separate spare battery in addition to the battery mounted on the main body.
특히,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SNS, 게임, 영상 콘텐츠 등의 다양한 기능을 언제 어디서나 이용함에 따라, 휴대폰 배터리가 금방 소모되기 때문에, 예비 배터리를 휴대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Particularly, since a mobile phone battery is consumed at once by us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SNS, game, image contents, and the like by using a smart phone at any time and anywhere, the case of carrying a spare battery is increasing.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휴대폰 사용자가 예비 배터리를 휴대하고 있지 않고, 충전장치 역시 사용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휴대폰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되어 휴대폰이 꺼지는 일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However, in some cases, when the mobile phone user does not carry the spare battery and the charging device is also difficult to use, the battery mounted on the mobile phone is discharged and the mobile phone often turns off.
한편, 최근에 출시되는 휴대폰의 경우, 사용자가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 배터리가 본체에 일체로 결합된 배터리 일체형 휴대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 일체형 휴대폰의 경우는 사용자가 예비 배터리를 교체할 수 없기 때문에, 배터리가 방전되는 일이 자주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mobile phones, a battery-integrated mobile phone in which a battery is integrally coupled to a main body is widely used instead of a structure in which a user can replace the battery. In such a battery-integrated mobile phone, since the user can not replace the spare battery, the battery often discharges.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야외에서도 휴대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는 가정용 전기를 이용하여 충전을 한 후, 휴대폰과 연결하여 휴대폰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로서, 배터리 일체형 휴대폰의 예비 배터리 역할을 할 수 있다.
In view of such a situation, a second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capable of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mobile phone in the outdoor has recently been widely used. The auxiliary battery for mobile phone can be used as a spare battery for a battery-integrated mobile phone, which can charge the battery using household electric power and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mobile phone battery by connecting with the mobile phone.
1. 등록실용신안 제20-0469779호(2013. 11. 06. 공고)1.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69779 (Announcement of Mar. 11, 2013)
2. 등록실용신안 제20-0476426호(2015. 03. 02. 공고)
2. Registration Practical Utility Model No. 20-0476426 (Bulletin of Mar. 02, 2015)
본 발명은 휴대중인 휴대폰을 충전할 수 있고 충전 중에 휴대폰이 거치되도록 세울 수 있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mounting function capable of charging a portable cellular phone and erecting the cellular phone while the cellular phone is being charg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면 및 배면, 그리고 4개의 측면을 구비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측면들 중 하나에 구비되고,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는 전원 단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 셀; 상기 케이스의 측면들 중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전지 셀에 충전된 전기를 휴대폰에 공급하는 커넥터 단자; 및 상기 4개의 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의 일부로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 시에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전면 또는 배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케이스를 세울 수 있는 회동 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case having a front surface, a rear surface, and four side surfaces; A power terminal provided in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to receive electricity; A battery cell mounted inside the case and supplied with electricity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charged; A connector terminal provided at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cell to the cellular phone; And a pivotable member which is formed as a part of at least one of the four side surfaces and is rotatably coupled at one end to the case so that the other end is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case, .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4개의 측면들 중 인접한 두 측면들의 일부로서 형성되고, 회동 시에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전면 또는 배면과 나란하게 상기 케이스의 중심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전면 또는 배면과 상기 회동 부재의 타단 사이에 휴대폰을 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ivoting member is formed as a part of two adjacent side surfaces of the four side surfaces, and the other end extends toward the center side of the case in parallel with the front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at the time of pivoting, And the cellular phone can be mounted between the back surface and the other end of the tiltable member.
여기서, 상기 회동 부재는 일단에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동 부재의 결합 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후크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pivoting member has an engaging hole at one end thereof, and the case has a pivoting shaft fitted to the engaging hole of the pivoting member, and the pivoting shaft has a hook member fitted into the engaging hole .
대안적으로, 상기 회동 부재는 일단에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동축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후크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pivoting member may include a pivot shaft at one end thereof, and the case may include a coupling hole into which the pivot shaft is fitted, and the pivot shaft includes a hook member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 구멍은 상기 회동축이 회동될 때 일정각도만큼씩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톱니 형상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engaging hole is provided with a serrated portion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또한, 상기 회동 부재는 회동시에 상기 회동축과 인접한 일단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하는 연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ivot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voting member is provided with an extension portion, one end of which is adjacent to the pivot axis while being rotat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case by a predetermined length.
한편, 상기 케이스는 2개의 나란한 긴 측면과 2개의 나란한 짧은 측면을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긴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는 가로방향으로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se i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two parallel long sides and two parallel short sides, and the rotation axis is provided on the long side so that the case is set up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pivot member is rotated .
대안적으로, 상기 케이스는 2개의 나란한 긴 측면과 2개의 나란한 짧은 측면을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짧은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ternatively, the case may b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two side-by-side long sides and two side-by-side short sides, and the pivot axis is provided on the short side so that when the pivoting member is pivoted, .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회동 부재의 서로 대면하는 면들은 상기 케이스의 배면 또는 전면과 수직을 이루는 측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를 가져,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될 때 상기 케이스는 비스듬하게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n a state in which the tiltable member is not pivoted, the surfaces of the case and the tiltable member facing each other have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a sid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back surface or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The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aised obliquely.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4개의 측면들 중 어느 한 측면에서 서로 대칭으로 설치된 한 쌍의 회동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pivoting member is a pair of pivoting members symmetrically disposed on either side of the four sides.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폰을 충전하면서 보조 배터리에 휴대폰을 거치하여 휴대폰 충전 중에 사용자는 편안하게 휴대폰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phone can be mounted on a secondary battery while charging a mobile phone, so that the user can comfortably watch the mobile phone image while charging the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우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좌측면도,
도 4는 회동 부재가 회동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회동 부재가 회동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측면도,
도 6a은 회동 부재가 회동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케이스가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회동 부재에 의해 세워진 케이스에 휴대폰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의 케이스에 구비된 회동축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의 회동 부재에 구비된 결합 구멍을 도시한 평면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의 케이스와 회동 부재의 서로 대면하는 면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9b는 회동 부재가 회동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의 케이스와 회동 부재의 서로 대면하는 면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의 다른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b는 도 10a의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의 회동 부재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is a left side view showing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where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6A is a front view showing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6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ellular phone is placed in a case erected by a pivoting member,
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pivot shaft provided in a case of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n engaging hole provided in a pivoting member of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cell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faces of the pivoting member and the case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the cell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faces of the pivoting member and the case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the cell phone stow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pivoting member is rotated;
FIG. 10A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cell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0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voting member of the auxiliary battery for mobile phone of Fig. 10A is rotated.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cellular phone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도 1 내지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는 케이스(100),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된 전원 단자(110), 케이스(100)에 내장된 전지 셀(미도시).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된 커넥터 단자(120) 및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케이스(100)를 세울 수 있도록 회동되는 회동 부재(130)를 포함한다.1 to 3B,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mobile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케이스(100)는 전면(101) 및 배면(102), 그리고 4개의 측면(103 내지 106)을 구비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00)는 2개의 나란한 긴 측면(103, 104)과 2개의 나란한 짧은 측면(105, 106)을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전원 단자(110)는 케이스(100)의 4개의 측면들(103 내지 106) 중 어느 한 측면(103)에 구비되고,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전원공급장치의 전기를 공급받는다.The
전지 셀은 케이스(100)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원 단자(110)에 전원공급장치가 연결되었을 때, 전원 단자(11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진다.The battery cell is mounted inside the
커넥터 단자(120)는 케이스(100)의 4개의 측면들(103 내지 106) 중 어느 한 측면(105)에 구비되고, 커넥터 단자(120)와 휴대폰이 연결되었을 때, 전지 셀에 충전된 전기를 휴대폰에 공급한다. 여기서, 커넥터 단자(120)는 케이스(100)의 측면(105)을 따라 형성된 결합 홈에 끼워져 케이스(100)의 측면(105)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사용 시에 결합 홈으로부터 인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The
회동 부재(130)는 케이스(100)의 4개의 측면들(103 내지 106)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그리고, 회동 부재(130)는 그 일단이 케이스(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동 부재(130)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 부재(130)가 회동되면,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회동 부재(130)의 타단이 케이스(100)의 전면(101) 또는 배면(102)으로부터 이격되어, 회동 부재(130)가 형성된 케이스(100)의 측면(104)과 회동 부재(130)를 바닥에 지지시켜 케이스(100)를 바닥에 세울 수 있다.The
도 4 내지 6a을 참조하면, 회동 부재(130)는 케이스(100)의 4개의 측면들(103 내지 106) 중 인접한 두 측면들(104, 106)의 일부로서 형성된다. 즉, 회동 부재(130)는 케이스(100)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ㄱ'자 형상의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회동 부재(130)는 케이스(100)를 세울 때 바닥에 지지되는 케이스 지지부(131) 및 케이스 지지부(131)와 직각을 이루며 거치된 휴대폰의 하부를 지지하는 휴대폰 지지부(132)를 포함한다. 그리고, 휴대폰 지지부(132)는 회동 부재(130)의 회동 시에 케이스(100)의 전면(101) 또는 배면(102)과 나란하게 케이스(100)의 중심 측으로 연장된다.4 to 6A, the
도 6b를 참조하면, 케이스(100)의 전면(101) 또는 배면(102)과 회동 부재(130)의 휴대폰 지지부(132) 사이에 휴대폰(10)이 거치될 때, 휴대폰(10)의 상단이 케이스(100)의 상부에 지지되고, 휴대폰(10)의 하단이 회동 부재(130)의 휴대폰 지지부(132)에 지지되면서, 휴대폰의 전체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휴대폰이 안정적으로 거치된다. 따라서, 거치된 휴대폰(10)이 케이스(100)의 외측으로 미끄러져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6B, when the
도 7과 8을 참조하면, 회동 부재(130)는 일단에 결합 구멍(133)을 구비하고, 케이스(100)는 회동 부재(130)의 결합 구멍(133)에 끼움 결합되도록 회동 부재(130) 측으로 돌출된 회동축(134)을 구비한다. 그리고, 회동축(134)은 두 갈래로 나누어지고 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 구멍(133)에 끼움 결합되는 후크 부재(134a)를 구비한다. 이러한 회동축(134)의 후크 부재(134a)에 의해, 회동 부재(130)는 케이스(100)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다.7 and 8, the pivoting
대안적으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동 부재(130)는 일단에 회동축을 구비하고, 케이스(100)는 회동 부재(130)의 회동축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ivoting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구멍(133)은 톱니 형상부를 구비하고, 회동축(134)은 횡방향 돌기(미도시)를 구비하여, 결합 구멍(133)에 결합된 회동축(134)이 회동될 때, 회동축(134)은 딸깍거리면서 일정각도만큼씩 회동할 수 있다.8, the engaging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는 케이스(100)가 바닥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회동 부재(130)는 케이스(100)가 바닥에 세워질 때 케이스(100)가 바닥에 더욱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연장부(135)를 구비한다. 이 연장부(135)는 회동 부재(130)의 회동축(134)과 인접한 일단이 회동축(134)으로부터 소정길이 외측으로 연장된 부분이다. Preferably, the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cellular phone moun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means for allowing the
따라서, 회동 부재(130)가 회동되면, 회동축(134)과 인접한 회동 부재(130)의 연장부(135)가 케이스(100)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케이스(100)가 바닥에 세워질 때, 더욱 견고하게 바닥에 지지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는 케이스(100)를 세로방향으로 세우도록 설계되거나 케이스(100)를 가로방향으로 세우도록 설계될 수 있다.Meanwhile, the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cellular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signed to stand the
예를 들면,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134)은 케이스(100)의 긴 측면(104)에 구비되어, 회동 부재(130)가 회동되었을 때, 케이스(100)는 긴 측면(104)이 바닥과 나란하게 가로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drawings herein, the
반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회동축(134)은 케이스(100)의 짧은 측면(105 또는 106)에 구비되어, 회동 부재(130)가 회동되었을 때, 케이스(100)는 긴 측면(103 또는 104)이 바닥과 수직을 이루어 세로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이러한 회동축(134)의 설치 위치에 따른 케이스(100)의 직립 방향은 보조 배터리의 사이즈 및 거치될 휴대폰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The upright direction of the
한편,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도면들에 도시된 보조 배터리의 짧은 두 측면을 가로지르는 직선을 따라 케이스(100)와 회동 부재(130)를 절개한 도면들로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직립하지 않고 비스듬하게 세워질 수 있다. 9A and 9B are views showing a
구체적으로, 도 9a와 9b를 참조하면, 회동 부재(130)가 회동되지 않고 케이스(100)에 밀착되어 있을 때, 케이스(100)와 회동 부재(130)의 서로 대면하는 면들은 케이스(100)의 수직방향 측면, 즉 케이스(100)의 전면(101) 또는 배면(102)과 수직을 이루는 측면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를 갖는다. 이에 따라, 회동 부재(130)가 회동되면, 케이스(100)와 회동 부재(130)는 서로 수직을 이루지 않고 둔각을 이룬다.9A and 9B, when the pivoting
따라서, 케이스(100)가 바닥에 세워졌을 때, 케이스는 바닥으로부터 비스듬하게 세워지고, 이로 인해 케이스(100)와 회동 부재(130)의 휴대폰 지지부(132) 사이에 거치된 휴대폰은 비스듬하게 지지되어 사용자는 휴대폰 화면을 편하게 응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도 10a 및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는 보다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도록 한 쌍의 회동 부재(1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한 쌍의 회동 부재(130')는 케이스(100')의 4개의 측면들 중에서 길이가 긴 어느 한 측면(104')의 두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된다. 즉, 한 쌍의 회동 부재(130')는 케이스(100')를 길이방향으로 양분하는 중심선(B)에 대해서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케이스(100')의 한 측면에 구비된다.Referring to FIGS. 10A and 10B, an auxili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having a cellular phone hol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air of pivoting members 130 'so as to stand up more stably. The pair of pivoting members 130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wo corner portions of a long side 104' of the four sides of the case 100 '. That is, the pair of tiltable members 130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se 100' so as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B dividing the cas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한 쌍의 회동 부재(130')에 의해, 한 쌍의 회동 부재(130')가 모두 회동되면 케이스(100')는 케이스(100')의 한 측면(104')과 한 쌍의 회동 부재(130')에 의해 3점 지지되어 1개의 회동 부재(130)만을 구비한 케이스(100)에 비해 더욱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When a pair of pivoting members 130 'are all pivoted by the pair of pivoting members 130', the case 1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side 104' of the case 100 ' And can be more stably erected than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it is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
100: 케이스 101: 전면
102: 배면 103 내지 106: 측면
110: 전원 단자 120: 케이블 단자
130: 회동 부재 131: 케이스 지지부
132: 휴대폰 지지부 133: 결합 구멍
134: 회동축 134a: 후크 부재
135 연장부100: Case 101: Front
102: back
110: Power terminal 120: Cable terminal
130: pivoting member 131: case supporting portion
132: cell phone support part 133: engaging hole
134:
135 extension
Claims (10)
상기 케이스의 측면들 중 하나에 구비되고,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전기를 공급받는 전원 단자;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충전이 이루어지는 전지 셀;
상기 케이스의 측면들 중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전지 셀에 충전된 전기를 휴대폰에 공급하는 커넥터 단자; 및
상기 4개의 측면들 중 인접한 두 측면들의 일부로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 시에 타단이 상기 케이스의 전면 또는 배면과 나란하게 상기 케이스의 중심 측으로 연장되는 회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케이스를 세울 때 바닥에 지지되는 케이스 지지부 및 상기 케이스 지지부와 직각을 이루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회동 부재의 타단 사이에 거치된 휴대폰의 하부를 지지하는 휴대폰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
A case having a front surface and a back surface, and four side surfaces;
A power terminal provided in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 and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unit to receive electricity;
A battery cell mounted inside the case and supplied with electricity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charged;
A connector terminal provided at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case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cell to the cellular phone; And
A pivoting member which is formed as a part of two adjacent side surfaces among the four side surfaces and has one end pivotally coupled to the case and whose other end extends to the center side of the case in parallel with the front surface or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Including,
Wherein the pivoting member includes a case support portion supported on the floor when the case is set up, and a cellular phone supporting portion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ellular phone, which is perpendicularly inserted into the case an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pivoting member, Secondary battery for mobile phone with mobile phone mounting function.
상기 회동 부재는 일단에 결합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동 부재의 결합 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후크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member includes an engaging hole at one end thereof and the case has a rotating shaft fitted to the engaging hole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rotating shaft has a hook member fitted into the engaging hole, A secondary battery for a mobile phone with a cell phone mounting function.
상기 회동 부재는 일단에 회동축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회동축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축은 상기 결합 구멍에 끼움 결합되는 후크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voting member includes a pivot shaft at one end thereof and the case has a coupling hole through which the pivot shaft is fitted and the pivot shaft has a hook member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A secondary battery for mobile phones with function.
상기 결합 구멍은 상기 회동축이 회동될 때 일정각도만큼씩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톱니 형상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engaging hole has a serrated portion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by a predetermined angle when the rotating shaft is rotated.
상기 회동 부재는 회동시에 상기 회동축과 인접한 일단이 상기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되도록 하는 연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pivoting member includes an extension portion for rotating the pivoting member such that one end of the pivoting member adjacent to the pivoting shaft protrudes outward from the case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케이스는 2개의 나란한 긴 측면과 2개의 나란한 짧은 측면을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긴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는 가로방향으로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case i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two parallel long side surfaces and two parallel short side surfaces and the rotating shaft is provided on the long side surface and the case is set up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Secondary battery for mobile phone with mobile phone mounting function.
상기 케이스는 2개의 나란한 긴 측면과 2개의 나란한 짧은 측면을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회동축은 상기 짧은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Wherein the case i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two parallel long side surfaces and two parallel short side surfaces and the rotating shaft is provided on the short side surface and the case is set up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Secondary battery for mobile phone with mobile phone mounting function.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회동 부재의 서로 대면하는 면들은 상기 케이스의 배면 또는 전면과 수직을 이루는 측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를 가져,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될 때 상기 케이스는 비스듬하게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rfaces of the case and the tiltable member facing each other have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a sid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back surface or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so that when the tiltable member is rotated,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is installed at an oblique angle.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4개의 측면들 중 어느 한 측면에서 서로 대칭으로 설치된 한 쌍의 회동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보조 배터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voting member is a pair of pivoting members symmetrically disposed on any one of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auxiliary battery.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4985A KR101938324B1 (en) | 2015-11-24 | 2015-11-24 | Auxiliary battery for mobile phone with mobile phone standing function |
CN201621266420.5U CN206250241U (en) | 2015-11-24 | 2016-11-21 | Possesses the mobile phone externally hanging battery that mobile phone puts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4985A KR101938324B1 (en) | 2015-11-24 | 2015-11-24 | Auxiliary battery for mobile phone with mobile phone standing function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1690A Division KR20170061063A (en) | 2016-10-28 | 2016-10-28 | Auxiliary battery for mobile phone with mobile phone standing fun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0668A KR20170060668A (en) | 2017-06-02 |
KR101938324B1 true KR101938324B1 (en) | 2019-01-15 |
Family
ID=59001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4985A Active KR101938324B1 (en) | 2015-11-24 | 2015-11-24 | Auxiliary battery for mobile phone with mobile phone standing function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8324B1 (en) |
CN (1) | CN206250241U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813346A4 (en) * | 2018-10-09 | 2021-11-24 | Koreeda, Hitoko | HOUSING F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
KR102126766B1 (en) | 2019-07-16 | 2020-07-02 | 슈에 밍 바이 | System for sub battery rent |
KR102232933B1 (en) | 2020-07-06 | 2021-03-29 | 슈에 밍 바이 | Sub Battery |
-
2015
- 2015-11-24 KR KR1020150164985A patent/KR101938324B1/en active Active
-
2016
- 2016-11-21 CN CN201621266420.5U patent/CN206250241U/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0668A (en) | 2017-06-02 |
CN206250241U (en) | 2017-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4883491U (en) | Touch -sensitive scr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938324B1 (en) | Auxiliary battery for mobile phone with mobile phone standing function | |
US20110084651A1 (en) | Charging station | |
CN204243848U (en) | Multifunctional mobile power | |
US20100072944A1 (en) | Charger for portable devices | |
CN103855763B (en) | Base and panel computer | |
KR102005296B1 (en) | Electric charger having function of mobile device holder | |
KR20170061063A (en) | Auxiliary battery for mobile phone with mobile phone standing function | |
US7567059B2 (en) | Desktop charg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 |
CN104283240A (en) | Multifunctional mobile power bank | |
CN204947639U (en) | Handheld terminal cradle | |
CN208094220U (en) | Collapsible multifunctional wireless charger | |
CN204947635U (en) | Handset charging holder | |
KR101848780B1 (en) | The smartphone case built in a rechargeable auxiliary battery | |
KR101383611B1 (en) | Insertion type smart phone holder by using for consent | |
JP3186805U (en) | Portable power supply | |
CN209017259U (en) | Charging unit | |
CN202050259U (en) | Mobile phone support mechanism of charger | |
CN206283293U (en) | The cradle of remote control | |
CN203800653U (en) | Mobile power supply | |
CN204089302U (en) | Stent-type portable power source | |
CN204993492U (en) | Flip phone shell | |
KR20210070864A (en) | Portble Wireless Charger | |
CN218386056U (en) | From wireless support function power strip that fills of area | |
CN209545205U (en) | A kind of Portable magnetic aspirates dynamic power shel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4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0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1610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8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6101006187 Request date: 2016102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18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028 Effective date: 20180912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80912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61028 Decision date: 20180912 Appeal identifier: 2016101006187 |
|
PS0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S901 |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 ||
GRNO |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 ||
PS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
Patent event date: 20181005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4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27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4082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