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8242B1 -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 - Google Patents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242B1
KR101938242B1 KR1020170049267A KR20170049267A KR101938242B1 KR 101938242 B1 KR101938242 B1 KR 101938242B1 KR 1020170049267 A KR1020170049267 A KR 1020170049267A KR 20170049267 A KR20170049267 A KR 20170049267A KR 101938242 B1 KR101938242 B1 KR 101938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er
connecting member
wheel
leisure
fol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665A (ko
Inventor
김병회
Original Assignee
김병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회 filed Critical 김병회
Priority to KR1020170049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242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24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61Foldable, extensible or yielding 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개시되는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가 트레일러 연결 부재와, 바퀴 연결 부재와, 접이 유닛을 포함함에 따라,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는 회전되지 아니하고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접이 유닛에 의해 상기 바퀴 연결 부재만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됨으로써, 바퀴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 시에 상기 바퀴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구조체와 레저용 크레일러의 다른 부재들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Wheel folding structure of tow apparatus of trailer for leisure}
본 발명은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레저용 트레일러는 캠핑카, 보트 트레일러 등 동력없이 자동차 등 견인차에 연결하여 캠핑용 하우스, 캠핑용품, 보트 등을 실어나를 수 있는 것이고,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는 무동력의 레저용 트레일러가 견인차와 분리된 상태에서 요구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레저용 트레일러의 선단에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이다.
종래의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는 바퀴가 연결되는 바퀴 연결체와, 상기 바퀴 연결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고정 로드로 구성되는데,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레저용 트레일러를 끌어야 하는 경우에는 고정 로드와 바퀴 연결체가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져서 바퀴가 지면에 닿게 되고, 견인차가 레저용 트레일러를 끌어서 이동시켜야 해서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지면과 이격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고정 로드와 바퀴 연결체가 함께 회전되어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눕혀지고 그에 따라 바퀴가 지면에서 이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방식에 의하면, 고정 로드와 바퀴 연결체가 일체형으로 함께 90°로 회전되는 방식이어서, 일정 길이로 긴 고정 로드가 레저용 트레일러의 선단에 설치된 가스통 등 다른 부재들과 부딪히거나 간섭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등록특허 제 10-1617365호, 등록일자: 2016.04.26., 발명의 명칭: 트레일러 견인장치 등록특허 제 10-1341666호, 등록일자: 2013.12.06., 발명의 명칭: 캠핑 트레일러용 확장형 견인장치 등록특허 제 10-1260794호, 등록일자: 2007.06.20., 발명의 명칭: 트레일러형 캠핑카
본 발명은 바퀴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 시에 레저용 크레일러의 다른 부재들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는 바퀴를 구비하고, 레저용 트레일러에 연결되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에 연결되고, 외력이 인가될 수 있는 트레일러 연결 부재; 상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퀴 연결 부재; 및 상기 바퀴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진 위치로 절환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상기 바퀴 연결 부재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접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 유닛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될 수 있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되도록 외력이 인가되는 외력 인가 부재와, 상기 바퀴 연결 부재와 하부가 연결되고 상기 승강 부재와 상부가 연결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닿아 상기 바퀴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접힌 위치로 절환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 부재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바퀴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바퀴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펼쳐진 위치로 절환되도록 하는 절환 부재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와 상기 절환 부재 사이에 개입되는 미끄럼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에 의하면,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가 트레일러 연결 부재와, 바퀴 연결 부재와, 접이 유닛을 포함함에 따라,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는 회전되지 아니하고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접이 유닛에 의해 상기 바퀴 연결 부재만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됨으로써, 바퀴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 시에 상기 바퀴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구조체와 레저용 크레일러의 다른 부재들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가 펼쳐진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가 접혀진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를 구성하는 절환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가 펼쳐진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가 접혀진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를 구성하는 절환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100)는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와, 바퀴 연결 부재(140)와, 접이 유닛(120)을 포함한다.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는 바퀴(150)를 구비하고, 레저용 트레일러에 연결되어, 자동차 등의 견인차 대신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는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에 연결되고, 외력이 인가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고,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의 선단부, 즉 앞부분(일반적으로 상기 견인차에 연결될 수 있는 부분)에 수직으로 세워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는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의 선단부에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고정된 형태로 설치되고, 회전되지 아니한다.
상기 바퀴 연결 부재(140)는 상기 바퀴(1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바퀴 연결 부재(140)는 상기 접이 유닛(120)에 의해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와 연결되고, 상기 바퀴(150)가 회전축(14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다.
상기 접이 유닛(120)은 상기 바퀴(150)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진 위치로 절환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대해 상기 바퀴 연결 부재(140)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접이 유닛(120)은 승강 부재(121)와, 외력 인가 부재(123)와, 절환 부재(130)와, 미끄럼 와셔(124)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 부재(121)는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승강 부재(121)는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 부재(121)의 하부에서는 그 외측으로 일정 길이 회동축(125)이 돌출된다. 상기 회동축(125)은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승강 부재(12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각각 하나씩 돌출된다.
상기 외력 인가 부재(123)는 상기 승강 부재(121)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되도록 외력이 인가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외력 인가 부재(123)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외력을 인가하여 회전시켜 줄 수 있는 손잡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력 인가 부재(123)의 하부 외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승강 부재(121)의 상단면(122)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 내면에는 상기 외력 인가 부재(123)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외력 인가 부재(123)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회전되면, 각 나사산으로 맞물린 상기 승강 부재(121)가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력 인가 부재(123)는 사용자의 외력이 인가되는 수동 방식으로 제시되나, 이러한 방식 이외에도, 전기 모터 등에 의해 회전되는 자동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와셔(124)는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와 상기 절환 부재(130) 사이에 개입되는 것으로, 중공이 형성된 와셔 형태로 형성되어, 그 상단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닿을 수 있고, 그 하단은 상기 절환 부재(130)에 닿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절환 부재(130)는 상기 바퀴 연결 부재(140)와 그 하부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승강 부재(121)와 그 상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승강 부재(121)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닿아 상기 바퀴(150)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대해 접힌 위치로 절환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 부재(121)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바퀴(15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바퀴(150)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대해 펼쳐진 위치로 절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절환 부재(130)는 상기 승강 부재(121)의 일부와 대면되는 절환 몸체(131)와, 상기 절환 몸체(131)의 양 말단에서 연장되되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132)와,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에 각각 관통 형성되되 상기 바퀴(150)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대해 접혀지도록 절환된 위치일 때 상기 회동축(125)이 내삽되는 접혀짐 위치 축 홀(135)과, 상기 접혀짐 위치 축 홀(135)과 연통되고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에 각각 관통 형성되되 상기 바퀴(150)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대해 펼쳐지도록 절환된 위치일 때 상기 회동축(125)이 내삽되는 펼쳐짐 위치 축 홀(136)을 포함하고, 상기 절환 몸체(131)와 이격된 위치의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의 각 상측 말단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환 몸체(131)와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는 각각 일정 면적의 평평한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절환 몸체(131)의 양 말단에서 수직으로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가 굽혀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절환 몸체(131)와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는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절환 몸체(131)와 마주보는 면(133)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혀짐 위치 축 홀(135)과 상기 펼쳐짐 위치 축 홀(136)은 각각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회동축(125)이 각각 삽입되어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접혀짐 위치 축 홀(135)은 상기 펼쳐짐 위치 축 홀(136)에 비해 상기 절환 몸체(131)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먼 위치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펼쳐짐 위치 축 홀(136)은 상기 접혀짐 위치 축 홀(135)의 하단과 연통되되 그 하부로 갈수록 상기 절환 몸체(131)와 점진적으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펼쳐짐 위치 축 홀(136)과 상기 접혀짐 위치 축 홀(135)은 서로 연통되되 일정 각도로 굽혀진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150)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대해 펼쳐지도록 절환된 위치일 때, 상기 절환 부재(130)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가 되고, 상기 회동축(125)은 상기 펼쳐짐 위치 축 홀(136)의 최하단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승강 부재(121)의 일부인 상기 승강 부재(121)의 하부는 상기 절환 몸체(131)의 내면에 접하게 된다. 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퀴(150)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대해 접혀지도록 절환된 위치일 때, 상기 절환 부재(130)는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접혀진 형태가 되고, 상기 회동축(125)은 상기 접혀짐 위치 축 홀(135)의 최상단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미끄럼 와셔(124)의 저면은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의 각 측면(상기 절환 몸체(131)에서 가장 먼 면)과 접하게 되고, 상기 미끄럼 와셔(124)의 상면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의 저면과 접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외력 인가 부재(123)를 손으로 잡고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 부재(121)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의 내부를 따라 점차 하강되고, 상기 회동축(125)이 점차 상기 접혀짐 위치 축 홀(135)로부터 상기 펼쳐짐 위치 축 홀(136)의 하단까지 이동되고, 상기 바퀴(150)는 자체 하중에 의해 점차 지면 쪽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 때, 상기 미끄럼 와셔(124)의 상면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의 저면과 닿은 상태이고, 상기 미끄럼 와셔(124)의 저면은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의 각 측면,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의 각 상측 말단 모서리의 곡면 및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의 각 상면과 점차 이동 접촉된다.
이러한 과정이 종료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환 부재(130)는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형태가 되고, 상기 회동축(125)은 상기 펼쳐짐 위치 축 홀(136)의 최하단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승강 부재(121)의 일부인 상기 승강 부재(121)의 하부는 상기 절환 몸체(131)의 내면에 접하게 되고, 상기 바퀴(150)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대해 펼쳐지도록 절환된 위치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가 작동되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가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상기 외력 인가 부재(123)를 손으로 잡고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 부재(121)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의 내부를 따라 점차 상승되고, 상기 회동축(125)이 점차 상기 펼쳐짐 위치 축 홀(136)로부터 상기 접혀짐 위치 축 홀(135)의 상단까지 이동되고, 상기 바퀴(150)는 점차 지면에서 이격된다.
이 때, 상기 미끄럼 와셔(124)의 상면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의 저면과 닿은 상태이고, 상기 미끄럼 와셔(124)의 저면은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의 각 상면,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의 각 상측 말단 모서리의 곡면 및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132)의 각 측면과 점차 이동 접촉된다.
이러한 과정이 종료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환 부재(130)는 지면에 대해 수평으로 접혀진 형태가 되고, 상기 회동축(125)은 상기 접혀짐 위치 축 홀(135)의 최상단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승강 부재(121)의 일부인 상기 승강 부재(121)의 하부는 상기 절환 몸체(131)의 내면에서 이격되고, 상기 바퀴(150)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에 대해 접혀지도록 절환된 위치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는 상기 견인차에 연결되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100)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와, 상기 바퀴 연결 부재(140)와, 상기 접이 유닛(120)을 포함함에 따라,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110)는 회전되지 아니하고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접이 유닛(120)에 의해 상기 바퀴 연결 부재(140)만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바퀴(150)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 시에 상기 바퀴(15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구조체와 상기 레저용 크레일러의 다른 부재들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에 의하면, 바퀴를 접거나 펼치는 동작 시에 레저용 크레일러의 다른 부재들과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
110 : 트레일러 연결 부재
120 : 접이 유닛
121 : 승강 부재
123 : 외력 인가 부재
124 : 미끄럼 와셔
130 : 절환 부재
131 : 절환 몸체
132 : 측면 플레이트
135 : 접혀짐 위치 축 홀
136 : 펼쳐짐 위치 축 홀
140 : 바퀴 연결 부재

Claims (5)

  1. 바퀴를 구비하고, 레저용 트레일러에 연결되어,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저용 트레일러에 연결되고, 외력이 인가될 수 있는 트레일러 연결 부재;
    상기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퀴 연결 부재; 및
    상기 바퀴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진 위치로 절환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상기 바퀴 연결 부재가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하는 접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접이 유닛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될 수 있는 승강 부재와,
    상기 승강 부재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상대적으로 승강되도록 외력이 인가되는 외력 인가 부재와,
    상기 바퀴 연결 부재와 하부가 연결되고 상기 승강 부재와 상부가 연결되어, 상기 승강 부재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닿아 상기 바퀴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접힌 위치로 절환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 부재가 하강됨에 따라 상기 바퀴의 자중에 의해 상기 바퀴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펼쳐진 위치로 절환되도록 하는 절환 부재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와 상기 절환 부재 사이에 개입되는 미끄럼 와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는 내부가 빈 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 부재는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의 내부에서 승강되는 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 유닛은
    상기 승강 부재의 하부에서 돌출되는 회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절환 부재는
    상기 승강 부재의 일부와 대면되는 절환 몸체와,
    상기 절환 몸체의 양 말단에서 연장되되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에 각각 관통 형성되되 상기 바퀴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접혀지도록 절환된 위치일 때 상기 회동축이 내삽되는 접혀짐 위치 축 홀과,
    상기 접혀짐 위치 축 홀과 연통되고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에 각각 관통 형성되되 상기 바퀴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펼쳐지도록 절환된 위치일 때 상기 회동축이 내삽되는 펼쳐짐 위치 축 홀을 포함하고,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의 각 상측 말단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펼쳐짐 위치 축 홀과 상기 접혀짐 위치 축 홀은 서로 연통되되 일정 각도로 굽혀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바퀴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펼쳐지도록 절환된 위치일 때 상기 승강 부재의 일부는 상기 절환 몸체의 내면에 접하고, 상기 바퀴가 상기 트레일러 연결 부재에 대해 접혀지도록 절환된 위치일 때 상기 미끄럼 와셔가 상기 각 측면 플레이트의 각 측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
KR1020170049267A 2017-04-17 2017-04-17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 Active KR101938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67A KR101938242B1 (ko) 2017-04-17 2017-04-17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267A KR101938242B1 (ko) 2017-04-17 2017-04-17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665A KR20180116665A (ko) 2018-10-25
KR101938242B1 true KR101938242B1 (ko) 2019-01-14

Family

ID=6413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267A Active KR101938242B1 (ko) 2017-04-17 2017-04-17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2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868B1 (ko) 1998-06-09 2001-06-01 이경하 차량의방향전환장치
US20070029756A1 (en) 2005-05-25 2007-02-08 Quargerg Craig D Trailer hitch
JP2015054576A (ja) 2013-09-11 2015-03-23 聰 永井 トレーラー用ジャッ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868B1 (ko) 1998-06-09 2001-06-01 이경하 차량의방향전환장치
US20070029756A1 (en) 2005-05-25 2007-02-08 Quargerg Craig D Trailer hitch
JP2015054576A (ja) 2013-09-11 2015-03-23 聰 永井 トレーラー用ジャッ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665A (ko)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21075B2 (en) Hoist with trailer hitch attachment
KR101222185B1 (ko) 화물차 적재함의 리어게이트 장치
KR101740877B1 (ko) 견인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트럭지게차
CN107367675B (zh) 一种移动式特高压电力试验用的试验装置
KR20150129434A (ko)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KR101938242B1 (ko) 레저용 트레일러 견인 장치의 바퀴 접이 구조
KR20140140703A (ko) 지게차 포크의 충돌방지구조
CA3034836C (en) Self-lifting vehicle with flood protection, u-turn, parallel parking, anti-theft and service access capabilities
CN102862937A (zh) 高空作业车
US6814386B2 (en) Vehicle container cover
KR20210004034A (ko) 화물차 적재함의 리프트 게이트
KR200479977Y1 (ko) 화물차 적재함 사다리용 실린더의 취부구조
CN105857229A (zh) 一种后防护折叠装置
KR20190018599A (ko) 화물밴용 리프트
KR101093161B1 (ko) 차량 견인장치
KR100723644B1 (ko) 견인 차량용 트레일러
CN204383432U (zh) 清障车的折叠式自动抱轮机构
KR101934925B1 (ko) 차량용 캠핑 트레일러
CN110481648A (zh) 液压全自动伸缩折叠汽车尾板
KR200208044Y1 (ko) 지게차의 포크 틸팅장치
KR102252698B1 (ko) 주차차량의 휴대용 견인장치
KR20150029314A (ko) 이동식 차량 리프팅 장치
KR20210101080A (ko) 캠핑카용 지지다리 및 그를 포함하는 캠핑 트레일러
US515456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lifting and retracting of a usually horizontal platform
CN101450603B (zh) 便携式汽车遮阳遮雨篷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