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7181B1 -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 Google Patents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181B1
KR101937181B1 KR1020180079659A KR20180079659A KR101937181B1 KR 101937181 B1 KR101937181 B1 KR 101937181B1 KR 1020180079659 A KR1020180079659 A KR 1020180079659A KR 20180079659 A KR20180079659 A KR 20180079659A KR 101937181 B1 KR101937181 B1 KR 101937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air
discharge
suction
discharg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베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베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베크
Priority to KR1020180079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181B1/ko
Priority to CN201910089170.4A priority patent/CN109673531B/zh
Priority to US16/268,452 priority patent/US20200008394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의 순환이 항균소재가 포함된 배출부 및 흡입부, 팬필터, 헤파필터, UV-C LED램프 및 동코팅핀히터를 통과하는 5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피부를 케어하고, 외부공기로 인해 오염된 털에 묻은 각종 미세먼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 및 털갈이 시기의 죽은 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Pet healthcare device with sterilization and sterilization system}
본 발명은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의 순환이 항균소재가 포함된 배출부 및 흡입부, 팬필터, 헤파필터, UV-C LED램프 및 동코팅핀히터를 통과하는 5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피부를 케어하고, 외부공기로 인해 오염된 털에 묻은 각종 미세먼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 및 털갈이 시기의 죽은 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독신 가구의 증가, 인구의 고령화 등에 따라 애완동물과의 교감을 통한 정서적 위로를 얻기 위해 개나 고양이와 같은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가구가 늘어나고 있다.
아파트뿐만 아니라 단독주택의 경우에도 실내에서 애완동물과 같이 생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집안 구석구석 돌아다니며 털에 묻혀온 먼지를 침대, 소파, 카페트를 뒹굴거나 사람들의 품에 안기면서 실내 환경을 오염시키고, 이렇게 묻은 먼지와 이물질이 애완동물을 만지거나 가까이하면서 사람의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된다.
애완동물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펫샵(Pet Shop)에 애완동물의 목욕을 의뢰하거나, 개인이 직접 애완동물을 목욕시키게 되는데, 목욕 후 털을 잘 건조시키지 않으면 감기나 피부병의 원인이 된다.
건조를 위해 일반 헤어드라이어나 거치대에 거치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를 사용하면 건조과정에 빠진 털을 포집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건조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애완동물이 스트레스를 받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을 수용하여 털을 말릴 수 있는 펫 드라이 룸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관련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1840655호(2018.03.15.등록)에는 펫 드라이 룸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펫 드라이 룸에 관한 것으로,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 전면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거나 개방하기 위한 도어와, 상기 수용공간 내로 공기를 분사하고 순환시키기 위해 모터/팬/유로/노즐/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공기순환 모듈을 구비한 펫 드라이 룸에 있어서, 수용공간 바닥면에 설치되는 배변판 겸용 공기분사 트레이의 분사공 및 수용공간 측면과 후면에 형성된 노즐에서 분사된 공기가 수용공간 천정면 전방측에 위치한 제 1 흡입구로 흡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측면과 후면에 형성된 노즐에서 분사된 바람이 애완동물의 코, 귀 및 눈과 같이 얼굴부분에 직접적으로 바람이 가해져 눈과 코가 쉽게 건조해지고 배와 다리 부분은 건조하는데 상대적으로 오리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840655호(2018.03.15.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순환이 항균소재, 팬필터, 헤파필터, UV-C LED램프 및 동코팅핀히터를 통과하는 5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피부를 케어하고, 외부공기로 인해 오염된 털에 묻은 각종 미세먼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 및 털갈이 시기의 죽은 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펫 헬스케어 장치는 저면 및 좌우측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중 모로 되어 있는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고, 털 사이로 바람이 깊이 침투되도록 하여 수분과 미세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펫 헬스케어 장치의 내측 수용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배출부를 이중각도로 형성하여, 애완동물이 앉아 있거나 엎드려 있어도 바람이 털 사이로 깊게 침투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S)가 형성된 펫 헬스케어 장치(1)에 있어서,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1)는 내부에 케어디바이스(10)가 구비되며, 상기 케어디바이스(10)는, 정면부재(120)와 후면부재(130) 및 측면부재(140)로 구성되는 하부디바이스(100);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바닥 측면홈(57)이 형성된 바닥면(50); 상기 수용부(S)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되도록 바닥면(50)의 바닥 측면홈(57) 상부에 결합되는 배출부(200); 상기 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하부디바이스의 내측의 케이스 공간부(111)로 배출하는 흡입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300)는 항균소재로 사출되며, 애완동물의 털과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P)와, 먼지와 미세먼지와 곰팡이균 포자 및 박테리아를 포집하고 제균하는 헤파필터(H)와, 살균 기능을 하는 UV-C LED램프(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디바이스에는 동코팅핀히터(180, 18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배출부(200)에는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5° 및 13°의 이중 경사각도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중각도로 이루어진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이중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에 의해 바닥판 방향으로 바람이 배출되고, 다른 하나의 각도에 의해 수용부의 횡방향으로 바람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디바이스는 팬(160)과, 제1가이드(170) 및 제2가이드(1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팬(160)의 상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팬(160)의 팬 배출부(161)로 배출될 때, 제1 가이드(170) 및 제 2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디바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팬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바람이 형성되고, 팬에 의해 형성된 회전바람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수용부로 배출될 때 배출부에 구비된 제1배출홀(220) 및 제2배출홀(230)에 의해 회전바람이 가속되어 수용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정면부재(120)의 정면에는,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 공간부(111)로 유입되도록 하는 정면 흡입구(12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입부는 흡입 몸체(310)와, 상기 흡입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구(311)와, 상기 관통구에 형성되는 관통홈 커버(312)와, 상기 관통구에 장착되는 필터(P)와, 상기 흡입부의 배출구(330)에 장착되는 헤파필터(H)와, 상기 헤파필터의 후면에 장착되는 UV-C LED램프(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흡입부(300)의 하부에는, 후면부재(130)의 후면 결합홈(131)에 결합되는 흡입 돌출부(320)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300)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 돌출부(320)를 통해 케이스 공간부(111)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기체 속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모아서 제거하는 집진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산소이온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웨이브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펫 헬스케어 장치 내부의 냄새 및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필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의 순환이 항균소재가 포함된 배출부 및 흡입부, 팬필터, 헤파필터, UV-C LED램프 및 동코팅핀히터를 통과하는 5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애완동물의 피부를 케어하고, 외부공기로 인해 오염된 털에 물은 각종 미세먼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 및 털갈이 시기의 죽은 털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펫 헬스케어 장치의 저면 및 좌우측에 공기유로가 형성되도록 하여 이중 모로 되어 있는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털 사이로 바람이 깊이 침투되도록 하여 수분과 미세먼지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펫 헬스케어 장치의 내측 수용부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배출부를 이중각도로 형성하여, 애완동물이 앉아 있거나 엎드려 있어도 바람이 털 사이로 깊게 침투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디바이스가 펫 헬스케어 장치 내부에 결합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장치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부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S)가 형성된 펫 헬스케어 장치(1)에 있어서,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1)는 내부에 케어디바이스(10)가 구비되며,
상기 케어디바이스(10)는, 정면부재(120)와 후면부재(130) 및 측면부재(140)로 구성되는 하부디바이스(100)와,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바닥 측면홈(57)이 형성된 바닥면(50)와, 상기 수용부(S)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되도록 바닥면(50)의 바닥 측면홈(57) 상부에 결합되는 배출부(200)와, 상기 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하부디바이스의 내측의 케이스 공간부(111)로 배출하는 흡입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디바이스가 펫 헬스케어 장치 내부에 결합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애완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S)가 형성되는 펫 헬스케어 장치(1)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S)는, 수용부(S)의 전방(20)에 형성되는 정면판(20)과, 정면판(20)과 대응되는 후면판(30)과, 정면판(20)과 후면판(30) 사이 양측의 측면판(40)과, 수용부(S) 하측의 바닥판(50)과, 바닥판(50)과 대응되는 상부에 천정판(60)를 포함하는 펫 헬스케어 장치(1)이다.
상기 후면판(30)의 중심에 관통구(31)가 형성되어 후술될 흡입부(300)가 결합되며, 양측의 측면판(40)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판(40)에 컨트롤러(141)가 결합될 수 있는 측면 컨트롤 관통구(44)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판(50)의 양측에 관통되는 바닥 측면홈(57)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장치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실시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 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7을 참조하면, 펫 헬스케어 장치(1) 내측 하부에 헬스케어디바이스(10)가 구비된다.
상기 헬스케어장치(10)는 하부디바이스(100), 바닥판(50), 배출부(200), 흡입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디바이스(10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케이스 공간부(111)가 형성되는 케이스(11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케이스 공간부(111)의 전방에 정면부재(120)과, 정면부재(120)의 일측에 외부 공기가 케이스 공간부(111)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관통구로 이루어진 정면 흡입구(1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정면부재(120)와 대응되는 케이스 공간부(111) 후방에는 후면부재(130)이 형성되고, 후면부재(130)의 중심에 후면 결합홈(131)이 형성되고, 후면 결합홈(131)에 후술될 흡입구(300)의 배출구(330)가 결합된다.
또한,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기체 속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모아서 제거하는 집진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산소이온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웨이브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펫 헬스케어 장치 내부의 냄새 및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필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후면부재(130)와 정면부재(120) 사이 양측에 측면부재(140)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재(140)은 외측에 사용자가 헬스케어디바이스(10)를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러(141)가 외부 일측에 형성되고, 이러한 컨트롤러(141)는 측면부재(140)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재(140)에만 형성된다.
또한, 측면부재(140)은 케이스 공간부(111) 방향의 내측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면 배출구(142)가 형성되며, 이러한 측면 배출구(142)는 후술될 제1 가이드(170)와 제2 가이드(171) 사이 간격과 동일한 넓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배출구(142)는, 내측 상부에 하부까지 관통되는 측면 관통홈(143)이 형성되며, 후술될 팬(160)에 의해 공기가 측면 관통홈(143)으로 배출되는 유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케이스 공간부(111)의 하측에는 하부부재(15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부재(150)의 중심에는 후술될 흡입부(300)의 배출구(330)를 통해 공간부(111) 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측면 배출구(142)의 측면 관통홈(143)로 배출하는 팬(160)이 구비된다. 상기 팬(160)은 하부부재(150) 중심에 볼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되며, 팬(160)의 측면은 개방된 형태를 갖는 팬 배출부(161)가 형성된다.
상기 팬(160)은, 상부에서 공기가 흡입되고, 팬(160)의 측면에 형성된 팬 배출부(16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한다.
이때, 팬(160)의 팬 배출부(161)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후술될 제1 가이드(170)와 제2 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로로 배출된다.
상기 제1 가이드(170)는 팬(160)을 중심으로 후면부재(130) 방향에 '
Figure 112018067565215-pat00001
' 형태로 형성되고, 제2 가이드(171)는 제1 가이드(170)와 대응되는 정면판(20) 측에 '
Figure 112018067565215-pat00002
'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2 가이드(171)는 바닥판(50)의 내측 상부에 결되어 바닥판(50)의 중심에 결합되는 팬(160)의 팬 배출부(161)로 배출되는 공기가 케이스 공간부(111) 사방으로 배출되지 않고, 제1 가이드(170) 및 제 2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1 가이드(170) 및 제2 가이드(171)에 형성된 공기유로는 측면부재(140)에 구비된 측면 배출구(142)의 공기유로와 동일한 넓이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2 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에는 동코팅핀히터(180, 18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단부에 각각 1개가 씩 연결부(181, 18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팬(160)을 중심으로 측면판(40)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170)의 평평한 일면에 '∪' 형태를 갖는 동코팅핀히터(180)의 연결부(181)가 관통하여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의 반대 측면판(40)에 제2 가이드(171)의 평평한 일면에 '∩' 형태의 동코팅핀히터(180`)의 연결부(181`)가 관통하여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팬(160)을 중심으로 제1 가이드(170) 및 제2 가이드(171)의 평평한 일면에 각각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열을 방출하여 공기를 살균하는 작용과 공기를 애완동물에 가장 적합한 온도로 가열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하부디바이스(100)의 상부에 애완동물이 안착할 수 있는 판 형태를 갖는 바닥판(50)이 결합된다. 이러한 바닥판(50)의 양측면에는 바닥 측면홈(57)이 구비되고, 바닥 측면홈(57)에는 측면부재(140)의 측면 배출구(142)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측면부재(140)의 측면 배출구(142)의 상부가 바닥판(50)의 상부면 보다 상부로 더 돌출된 형태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에는 배출부(200)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배출부(200)는, 바닥판(50)의 양측에 구비되되, 정면판(20)과 후면판(30)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지며 양단이 수용부(S) 방향으로 굴절되는 굴곡돌출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굴곡돌출부(210)에는, 복수 개의 제1 배출홀(2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굴곡돌출부(210) 사이에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갖는 제2 배출홀(230)이 형성된다.
이때, 양측면에 구비된 배출부(200)의 제2 배출홀(230)은, 정면판(20)에서 후면판(30) 방향으로 갈수록 관통구의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고, 타측의 배출부(200)의 제2 배출홀(230)은, 후면판(30)에서 정면판(20) 방향으로 갈수록 관통구의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는다.
즉, 제2 배출홀(230)은 좌/우 대칭구조를 가짐에 따라 배출구를 통해 수용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수용부 내에서 회전바람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부(200)의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의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배출부(200)의 중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배출부(200)의 하부에는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구(2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240)는,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을 관통하는 측면부재(140)의 측면 배출구(142)와 결합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200)의 내측 중공에는 수용부(S) 방향으로 405nm 파장을 내는 자외선 LED 무드 램프와, IR LED 램프가 복수 개 구비되되, LED 무드 램프와 IR LED 램프는 다수 개가 교대로 직렬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405nm 파장을 내는 자외선 LED 무드 램프는 애완동물이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분위기를 형성하고 아울러 살균작용을 하며, IR LED 램프는 탈취 및 건조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배출홀(220)과 제2 배출홀(230)은, 5° 및 13°의 경사각도를 갖는다.
또한,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이중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에 의해 바닥판 방향으로 바람이 배출되고, 다른 하나의 각도에 의해 수용부의 횡방향으로 바람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바닥판(50)과 수용부(S) 방향으로 분사되는 바람이 회전바람을 일으킴으로써, 이중 모를 갖는 애완동물의 털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눈, 코, 등으로 분사되지 않아 애완동물의 눈, 코 등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200)를 통해 분사되는 바람이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이물질, 초미세먼지, 애완동물털 및 곰팡이에 의해 수용부(S)의 공기가 오염되면, 흡입부(300)를 통해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어 정화하고 수용부(S)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부(300)는 항균소재를 포함하여 사출되며, 케이스(110)의 후면부재(130)에 구비되는 것으로, 바닥판(50) 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흡입몸체(310), 흡입몸체(310)의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구, 상기 관통구(311) 내측에 프리필터 형태로 구비되는 필터(P)가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P)는, 애완동물의 털과 공기 중에 포함된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포자를 포집하고, 필터(P)에 포집된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는 물세척을 통해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어서 관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관통구(311)에는 관통홈 커버(312)가 구비되며, 관통홈 커버(312)는 필터(P)가 흡입구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도록 역할을 한다. 이때 관통홈 커버(312)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공기가 필터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흡입부(300)의 흡입 몸체(310) 하부에는 케이스 공간부(111) 방향으로 돌출된 흡입 돌출부(320)가 형성되고, 흡입 돌출부(320)는 돌출된 일단이 후면부재(130)의 후면 결합홈(131)에 결합되며, 흡입 돌출부(320)의 단부에는 흡입부(30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케이스 공간부(111)로 배출되도록 배출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30)에는 UV-C LED램프(R) 및 혜파필터(H)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UV-C LED램프(R)는 UV LED 의료기기용 살균 램프기능을 하고, 헤파필터(H)는 필터(P)로 걸러지지 않은 초미세먼지, 곰팡이균 포자 등을 걸러내고 먼지와 곰팡이균 포자 및 박테리아를 포집한다. 그리고 UV-C LED램프(R)에 의해 제균 및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필터(P), UV-C LED램프(R) 및 헤파필터(H)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이물질, 먼지, 초미세먼지, 세균 등이 펫 헬스케어 장치(1)의 수용부(S)에 머물지 않고 항균소재가 포함된 배출부(200) 및 흡입부(300), 필터(P), 헤파필터(H), UV-C LED램프(R) 및 동코팅핀히터(180, 180`)의 5단계 케어를 통해 정화됨으로,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이 쾌적한 상태로 유지 관리되게 된다.
즉, 구체적으로, 1단계 케어는 배출부(200) 및 흡입부(300) 제조시 포함된 항균소재에 의해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단계이다.
그리고 2단계 케어는, 흡입부(300) 내측에 프리필터가 결합되어 수용부(S)의 집먼지진드기와 곰팡이균 포자를 포집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3단계 케어는, 광촉매로 코팅된 헤파필터(H)를 통해 2단계에서 제거되지 않은 미세먼지와 곰팡이균 포자 및 박테리아를 포집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4단계 케어는, UV-C LED램프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제균 및 살균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5단계 케어는, 상기 1 내지 4단계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동코팅핀히터(180, 180`)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한번 더 살균하고, 공기를 정화하며, 공기를 적정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이다.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1)의 하측에 결합되는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1)의 내측 수용부에 정화된 공기가 순환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각종 미세먼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 및 털갈이 시기의 죽은 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산책 또는 집구석구석을 돌아다닌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목욕 후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것으로, 오염된 애완동물을 펫 헬스케어 장치(1) 수용부(S)에 수용되도록 한 후, 사용자가 하부디바이스(100)의 측면부재(140)에 형성되는 컨트롤러(141)를 원격 또는 수동으로 작동하면, 5단계 펫 헬스케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하부디바이스(100)의 팬(160)의 가동에 의해, 하부디바이스(100)의 정면부재(120)에 형성된 정면 흡입구(121)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이루어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수용부(S)에 수용된 애완동물에게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배출부(200)의 내측 중공에 구비된 405nm 파장을 내는 자외선 LED 무드 램프 및 IR LED 램프에 의해 애완동물이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공기를 추가로 살균하며, 탈취 및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펫 헬스케어 장치(1) 하부에는, 상기 하부디바이스(10)에 구비된 팬(160) 및 유로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바람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회전바람이 상기 배출부(200)에 의해 배출되면서 배출부(200)에 형성된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에 의해 회전바람이 가속되어 수용부로 배출되어 수용부(S) 내의 공기가 수용부 내 전체를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공기에 의해,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이 더욱 용이하게 제거되고, 목욕 후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물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펫 헬스케어 장치
20 : 정면판 30 : 후면판
40 : 측면판
50 : 바닥판 57 : 바닥 측면홈
60 : 천정판 70 : 도어
10 : 헬스케어디바이스
100 : 하부디바이스
110 : 케이스 111 : 케이스 공간부
120 : 정면부재 121 : 정면 흡입구
130 : 후면부재 131 : 후면 결합홈
140 : 측면부재 141 : 컨트롤러
142 : 측면 배출구 143 : 측면 관통홈
150 : 하부부재
160 : 팬 161 : 팬 배출부
170 : 제1 가이드 171 : 제2 가이드
180, 180` : 동코팅핀히터 181, 181` : 연결부
200 : 배출부
210 : 굴곡돌출부 220 : 제1 배출홀
230 : 제2 배출홀 240 : 관통구
300 : 흡입부
310 : 흡입 몸체 311 : 정화 관통구
312 : 관통홈 커버 320 : 흡입 돌출부
330 : 배출구
S : 수용부 H : 헤파필터 R : UV-C LED램프 P : 필터

Claims (12)

  1.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S)가 형성된 펫 헬스케어 장치(1)에 있어서,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1)는 내부에 케어디바이스(10)가 구비되며,
    상기 케어디바이스(10)는, 정면부재(120)와 후면부재(130) 및 측면부재(140)로 구성되는 하부디바이스(100);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바닥 측면홈(57)이 형성된 바닥면(50);
    상기 수용부(S)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되도록 바닥면(50)의 바닥 측면홈(57) 상부에 결합되는 배출부(200);
    상기 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하부디바이스의 내측의 케이스 공간부(111)로 배출하는 흡입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300)는 항균소재로 사출되며, 애완동물의 털과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P)와, 미세먼지와 먼지와 곰팡이균 포자 및 박테리아를 포집하고 제균하는 헤파필터(H)와, 살균 기능을 하는 UV-C LED램프(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디바이스에는 동코팅핀히터(180, 180`)가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200)에는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9° 및 15°의 이중 경사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이중각도로 이루어진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이중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에 의해 바닥판 방향으로 바람이 배출되고, 다른 하나의 각도에 의해 수용부의 횡방향으로 바람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디바이스는 팬(160)과, 제1가이드(170) 및 제2가이드(1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팬(160)의 상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팬(160)의 팬 배출부(161)로 배출될 때, 제1 가이드(170) 및 제 2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디바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팬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바람이 형성되고, 팬에 의해 형성된 회전바람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수용부로 배출될 때 배출부에 구비된 제1배출홀(220) 및 제2배출홀(230)에 의해 회전바람이 가속되어 수용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재(120)의 정면에는,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 공간부(111)로 유입되도록 하는 정면 흡입구(1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8.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S)가 형성된 펫 헬스케어 장치(1)에 있어서,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1)는 내부에 케어디바이스(10)가 구비되며,
    상기 케어디바이스(10)는, 정면부재(120)와 후면부재(130) 및 측면부재(140)로 구성되는 하부디바이스(100);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양측면에 바닥 측면홈(57)이 형성된 바닥면(50);
    상기 수용부(S) 방향으로 정화된 공기를 배출되도록 바닥면(50)의 바닥 측면홈(57) 상부에 결합되는 배출부(200);
    상기 배출부(20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를 상기 하부디바이스의 내측의 케이스 공간부(111)로 배출하는 흡입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흡입 몸체(310)와, 상기 흡입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구(311)와, 상기 관통구에 형성되는 관통홈 커버(312)와, 상기 관통구에 장착되는 필터(P)와, 상기 흡입부의 배출구(330)에 장착되는 헤파필터(H)와, 상기 헤파필터의 후면에 장착되는 UV-C LED램프(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300)의 하부에는, 후면부재(130)의 후면 결합홈(131)에 결합되는 흡입 돌출부(320)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부(300)에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 돌출부(320)를 통해 케이스 공간부(111)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기체 속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모아서 제거하는 집진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산소이온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웨이브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기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펫 헬스케어 장치 내부의 냄새 및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필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KR1020180079659A 2018-07-09 2018-07-09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Active KR101937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659A KR101937181B1 (ko) 2018-07-09 2018-07-09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CN201910089170.4A CN109673531B (zh) 2018-07-09 2019-01-30 使用抑菌、杀菌系统的宠物健康护理装置
US16/268,452 US20200008394A1 (en) 2018-07-09 2019-02-05 Pet healthcare apparatus with bacteriostatic and steriliz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9659A KR101937181B1 (ko) 2018-07-09 2018-07-09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181B1 true KR101937181B1 (ko) 2019-01-14

Family

ID=65027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659A Active KR101937181B1 (ko) 2018-07-09 2018-07-09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08394A1 (ko)
KR (1) KR101937181B1 (ko)
CN (1) CN109673531B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444B1 (ko) * 2019-11-01 2020-04-28 정근원 양문형도어가 구비된 애완동물 건조장치
KR102105442B1 (ko) * 2019-11-01 2020-04-28 정근원 서클형 공기순환구조를 가진 애완동물 건조장치
KR20210151381A (ko) 2020-06-05 2021-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완동물용 그루밍 키트와 이에 사용되는 브러시 및 이 브러시의 살균 청소를 위한 보관모듈
KR20210156619A (ko) * 2020-06-18 2021-12-27 유니레즈(주) 펫 드라이 룸
CN114946677A (zh) * 2022-06-20 2022-08-30 江西腾亮园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自动除尘及异味的宠物屋
KR102653782B1 (ko) * 2023-05-09 2024-04-04 럭스피아(주) 공기살균 기능이 있는 ai 인형
KR102671505B1 (ko) * 2023-09-04 2024-06-03 (주)엠스페이스 애완동물 살균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557344U (zh) * 2017-12-05 2018-03-21 Hou Jin Ting 空氣清淨機
CN115382117B (zh) * 2022-10-25 2023-03-24 江苏容正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等离子体杀菌系统、装置
CN115735795B (zh) * 2022-11-30 2024-02-02 苏州克林威尔电器有限公司 低噪音吸吹一体式宠物护理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106A (ja) * 2006-06-02 2007-12-13 Live Aid:Kk ペット(犬、猫など小動物)用乾式消臭エアーシャワー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6451A (en) * 1959-05-12 1963-02-05 Air Shields Infant incubator
US3464388A (en) * 1967-03-06 1969-09-02 Rodney W Stout Gnotobiotic systems
US3877420A (en) * 1973-11-15 1975-04-15 Baker Company Inc Animal housing
US5759149A (en) * 1993-12-17 1998-06-02 Hill-Rom, Inc. Patient thermal support device
GB2293532B (en) * 1994-09-28 1998-03-04 Chen Yen Liang Multi-function apparatus for caring for pets
US6024694A (en) * 1995-09-25 2000-02-15 Hill-Rom, Inc. Humidifier for a thermal support apparatus
JPH1057466A (ja) * 1996-08-23 1998-03-03 Kuraray Co Ltd 空気殺菌装置
JP2000055470A (ja) * 1998-08-06 2000-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機付温風暖房装置の本体構成
JP2001078859A (ja) * 1999-09-10 2001-03-27 Sanyo Electric Co Ltd 食品陳列装置
EP1343448B1 (en) * 2000-12-22 2008-09-24 Draeger Medical Systems, Inc. Incubator with humidity sensor
JP3783036B2 (ja) * 2002-07-30 2006-06-07 独立行政法人農業・生物系特定産業技術研究機構 微小重力環境制御装置、植物栽培装置及び動物飼育装置並びに微小重力環境制御方法、植物栽培方法及び動物飼育方法並びに育種方法
KR100517905B1 (ko) * 2002-10-21 2005-10-04 주식회사 오리엔트바이오 무균동물 사육용 청정 작업대
ITMI20041185A1 (it) * 2004-06-14 2004-09-14 Gazzada Tecniplast Srl Dispositivo e metodo per il confinamento di corpi e materiali contaminati
KR200372902Y1 (ko) * 2004-10-21 2005-01-21 임재상 애완동물 목욕장치
US20080053379A1 (en) * 2006-08-03 2008-03-06 Eli Markewitz Animal cleaner apparatus
US8371252B1 (en) * 2008-04-30 2013-02-12 Lochinvar, Llc Control system for a boiler assembly
JP2010017685A (ja) * 2008-07-14 2010-01-28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US9078414B1 (en) * 2009-02-05 2015-07-14 Kevin L. Redick Pet washing apparatus
KR100957771B1 (ko) * 2009-10-16 2010-05-12 운해이엔씨(주) 실내용 공기정화 및 살균 장치
CN102273413A (zh) * 2011-06-27 2011-12-14 上海葆谊宠物用品有限公司 宠物毛发自动烘干机
CN102228008A (zh) * 2011-06-28 2011-11-02 上海葆谊宠物用品有限公司 旋流式宠物毛发自动烘干机
CN103214737A (zh) * 2013-04-03 2013-07-24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空调用自洁抗菌材料以及自洁抗菌空调
JP5478763B1 (ja) * 2013-09-14 2014-04-23 株式会社ドリーム産業 ペット用ボックスドライヤー
JP5751652B1 (ja) * 2014-05-30 2015-07-22 株式会社ドリーム産業 トリミングボックス
AU2016294515A1 (en) * 2015-07-14 2018-03-01 Vitabeam Ltd. Methods and devices for sanitation,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CN105379637A (zh) * 2015-12-03 2016-03-09 芒果物联网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智能宠物烘干机
US10821198B2 (en) * 2017-02-21 2020-11-03 Hrl Laboratories, Llc Self-sanitizing waveguiding surfaces
KR101840655B1 (ko) * 2017-07-17 2018-03-21 임형규 펫 드라이 룸
CN207574278U (zh) * 2017-12-12 2018-07-06 陈宝光 全自动宠物烘干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106A (ja) * 2006-06-02 2007-12-13 Live Aid:Kk ペット(犬、猫など小動物)用乾式消臭エアーシャワー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444B1 (ko) * 2019-11-01 2020-04-28 정근원 양문형도어가 구비된 애완동물 건조장치
KR102105442B1 (ko) * 2019-11-01 2020-04-28 정근원 서클형 공기순환구조를 가진 애완동물 건조장치
WO2021086118A1 (ko) * 2019-11-01 2021-05-06 정근원 서클형 공기순환구조를 가진 애완동물 건조장치
WO2021086117A1 (ko) * 2019-11-01 2021-05-06 정근원 양문형도어가 구비된 애완동물 건조장치
KR20210151381A (ko) 2020-06-05 2021-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완동물용 그루밍 키트와 이에 사용되는 브러시 및 이 브러시의 살균 청소를 위한 보관모듈
KR20210156619A (ko) * 2020-06-18 2021-12-27 유니레즈(주) 펫 드라이 룸
KR102409442B1 (ko) * 2020-06-18 2022-06-15 유니레즈(주) 펫 드라이 룸
CN114946677A (zh) * 2022-06-20 2022-08-30 江西腾亮园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自动除尘及异味的宠物屋
CN114946677B (zh) * 2022-06-20 2023-03-07 江西腾亮园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自动除尘及异味的宠物屋
KR102653782B1 (ko) * 2023-05-09 2024-04-04 럭스피아(주) 공기살균 기능이 있는 ai 인형
KR102671505B1 (ko) * 2023-09-04 2024-06-03 (주)엠스페이스 애완동물 살균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08394A1 (en) 2020-01-09
CN109673531B (zh) 2019-11-08
CN109673531A (zh)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181B1 (ko)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US11317605B2 (en) Pet dry room and tray used therefor
KR200472302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186045B1 (ko) 축사출입용 인체 살균장치
KR101966438B1 (ko)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US12121619B2 (en) Shoe management device
KR102329659B1 (ko) 옷장용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US12268790B2 (en) Shoe management device
KR102017129B1 (ko) 반려동물 위생 및 건강관리 기기장치
KR200462906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400831B1 (ko) 연속식 에어샤워부스
KR102774364B1 (ko) 신발관리장치
KR102015799B1 (ko) 글로브 박스형 펫 드라이룸
JP2000070055A (ja) 衣服収納ロッカー
KR101961748B1 (ko) 반려동물용 스타일러 하우스
KR200437871Y1 (ko) 애완동물 건조기
KR20110010387U (ko) 자외선 엘이디와 광촉매 필터가 내장된 애완 동물 집
KR100903404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청정기
KR20130003329A (ko) 에어커텐을 구비한 냄새차단 개별환기 실험동물 사육장치
KR100996896B1 (ko) 멸균 온풍기
CN213663093U (zh) 用于宠物的皮毛处理一体机及皮毛处理系统
KR102774365B1 (ko) 신발관리장치
KR20230039250A (ko) 반려동물을 위한 펫드라이룸
KR20230170257A (ko) 살균존이 구비된 반려동물용 가구
KR200398311Y1 (ko) 애완동물용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