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7132B1 -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132B1
KR101937132B1 KR1020180100523A KR20180100523A KR101937132B1 KR 101937132 B1 KR101937132 B1 KR 101937132B1 KR 1020180100523 A KR1020180100523 A KR 1020180100523A KR 20180100523 A KR20180100523 A KR 20180100523A KR 101937132 B1 KR101937132 B1 KR 10193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school
rear end
cafeteri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철
Original Assignee
오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철 filed Critical 오경철
Priority to KR1020180100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1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 F24F2003/166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학교 식당 및 대형 구내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오일성 유해물질(찌든 기름성분과 그 냄새 등)을 미세먼지(VOC 화확물질) 및 각종 부유물과 함께 정밀하게 여과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데미스터와 프리 필터가 세피오 필터와 함께 일련의 필터 앗세이를 이루도록 하되, 유니트 본체의 내부 공간부에는 격판에 의해 다단으로 구획된 각 존이 여과 구간을 이루도록 하는 바, 이는 리턴 에어(RA)가 공급 에어(SA)로 토출되기까지 순차적인 경로에 의해 엑셀팬의 정압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하게 필터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필터 앗세이는 오일성 유해물질(찌든 기름성분과 그 냄새 등)을 미세먼지(VOC 화확물질)에 대한 탈취성와 살균성이 보장되도록 형성되어 악취제거와 위생성 및 사용 신뢰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deodorization apparatus with function of air cleaning }
본 발명은 학교 식당 및 대형 구내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오일성 유해물질(찌든 기름성분과 그 냄새 등)을 미세먼지(VOC 화확물질) 및 각종 부유물과 함께 정밀하게 여과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데미스터와 프리 필터가 세피오 필터와 함께 일련의 필터 앗세이를 이루도록 하되, 유니트 본체의 내부 공간부에는 격판에 의해 다단으로 구획된 각 존이 여과 구간을 이루도록 하는 바, 이는 리턴 에어(RA)가 공급 에어(SA)로 토출되기까지 순차적인 경로에 의해 엑셀팬의 정압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하게 필터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필터 앗세이는 오일성 유해물질(찌든 기름성분과 그 냄새 등)을 미세먼지(VOC 화확물질)에 대한 탈취성와 살균성이 보장되도록 형성되어 악취제거와 위생성 및 사용 신뢰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세피오 필터는 냄새나 세균에 대한 탈취 작용 및 살균작용이 우수하고 화학성분(VOC) 까지 제거하도록 하는 바, 이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로부터 실내 환경의 쾌적함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아토피 등과 같은 피부질환이나 유해성분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병이나 감염을 현저하게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유니트 본체 내부에 복수의 광플라즈마 램프(AOP-산란효과)를 장착하여 미세먼지(및 초미세먼지)와 제거와 함께 살균 효과가 배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악취로 인한 오염의 요인으로는 질소화합물, 황화합물, 아민류 등이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트리메탈아민 등이 있는데, 이들 요인이 식당 내에서 찌든 기름때 냄새를 유발하여 실내공간이나 대기 중으로 배출되면 불쾌감 혐오감을 줄 수 있게 된다.
이를 제거하기 위해 종래에는 탈취 유니트 즉, 악취제거장치가 개발되어 탈취 공정을 수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악취제거장치는 상술한 공기 중 오염원을 제거하여 악취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유입구(10-1)로부터 제일 먼저 배치되는 그리스 필터(11)(Grease filter), 프리 필터(12)(Pre filter), 광촉매 필터(13)(Photo catalyst filter), 자외선램프(UV lamp)(14), 촉매필터(15)의 순으로 설치되어 블로워(16)에 의한 흡입력으로서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의 포집 및 냄새 탈취 및 세균 등의 살균을 실시하여 더러워진 공기를 깨끗한 공기로 정화한 뒤 공기배출구(10-2)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켜 주는 구조이다.
상기와 같이 악취제거장치 내에는 유해물질을 포집하고 불특정한 냄새를 정화하기 위해 각종 필터류가 설치되어 적어도 다단으로 필터링을 거쳐 깨끗한 공기로서 대기에 환원시켜 주는바, 이중 악취제거장치의 주처리 단계에 설치되는 광촉매 필터는 촉매작용에 의해 악취 등의 불특정냄새를 분해, 탈취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자외선램프(14)는 살균에 이어 촉매필터(15)와 함께 잉여 광화학 라디칼을 걸러주는 것으로 가스 및 불특정 냄새를 탈취하게 되는데, 보통 악취제거장치가 배치되는 현장에 따라 3개월 내지 6개월 사이에 촉매필터의 가스 및 오존의 효율적인 처리배출을 위해 청소가 이루어지거나 교체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주기적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미흡하게 처리된 불특정 냄새와 악취가 축적됨으로 인해 촉매필터의 기능이 점차 떨어진다는 발생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7235호(2016.10.1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요지는 학교 식당 및 대형 구내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오일성 유해물질(찌든 기름성분과 그 냄새 등)을 미세먼지(VOC 화확물질) 및 각종 부유물과 함께 정밀하게 여과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데미스터와 프리 필터가 세피오 필터와 함께 일련의 필터 앗세이를 이루도록 하되, 유니트 본체의 내부 공간부에는 격판에 의해 다단으로 구획된 각 존이 여과 구간을 이루도록 하는 바, 이는 리턴 에어(RA)가 공급 에어(SA)로 토출되기까지 순차적인 경로에 의해 엑셀팬의 정압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하게 필터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필터 앗세이는 오일성 유해물질(찌든 기름성분과 그 냄새 등)을 미세먼지(VOC 화확물질)에 대한 탈취성와 살균성이 보장되도록 형성되어 악취제거와 위생성 및 사용 신뢰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피오 필터는 냄새나 세균에 대한 탈취 작용 및 살균작용이 우수하고 화학성분(VOC) 까지 제거하도록 하는 바, 이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로부터 실내 환경의 쾌적함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아토피 등과 같은 피부질환이나 유해성분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병이나 감염을 현저하게 예방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유니트 본체 내부에 복수의 광플라즈마 램프(AOP-산란효과)를 장착하여 미세먼지(및 초미세먼지)와 제거와 함께 살균 효과가 배가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리턴 에어(RA)가 유입되는 공급그릴(1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여과된 공급 에어(SA)가 급기되는 토출그릴(120)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간부(130)를 상하측 공간부(131,132)로 나누는 격판(14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격판(140) 면상에는 관통공(141)이 형성되어 그 사이에 엑셀팬(150)이 장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급그릴(110) 측과 엑셀팬(150) 간의 하측 공간부(132)에는 메쉬망 형태의 박판(160)이 사선으로 결합되어 하측 공간부(132)를 전후단 여과존(132-1,132-2)으로 구획하도록 하는 유니트 본체(100)와; 상기 공급그릴(110) 후단에 데미스터(210)가 결합되어 유입된 리턴 에어(RA) 중 오일성 유해물질을 걸러내도록 형성되고, 상기 데미스터(210) 후단에는 프리 필터(220)가 장착되어 식별가능 입자형 이물들이 여과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박판(160) 후단에는 세피오 필터(230)가 부착되어 VOC 화학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필터 앗세이(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유니트 본체(100)는 상측 공간부(131)에 복수의 광플라즈마 램프(300: AOP Lamp)가 장착되어 산란효과에 의한 공기의 추가 살균과 10미크론 단위의 미세먼지를 탈취 및 살균효과가 배가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리 필터(220)와 박판(160) 사이에는 상기 프리 필터(220)를 향해 만곡된 다공판(400)이 엑셀팬의 정압 센싱에 따라 힌지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진입한 기류의 체류 시간을 도모하면서 여과 효율을 높이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첫째, 학교 식당 및 대형 구내식당 등에서 발생되는 오일성 유해물질(찌든 기름성분과 그 냄새 등)을 미세먼지(VOC 화확물질) 및 각종 부유물과 함께 정밀하게 여과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데미스터와 프리 필터가 세피오 필터와 함께 일련의 필터 앗세이를 이루도록 하되, 유니트 본체의 내부 공간부에는 격판에 의해 다단으로 구획된 각 존이 여과 구간을 이루도록 하는 바, 이는 리턴 에어(RA)가 공급 에어(SA)로 토출되기까지 순차적인 경로에 의해 엑셀팬의 정압 저항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하게 필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의 필터 앗세이는 오일성 유해물질(찌든 기름성분과 그 냄새 등)을 미세먼지(VOC 화확물질)에 대한 탈취성와 살균성이 보장되도록 형성되어 악취제거와 위생성 및 사용 신뢰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세피오 필터는 냄새나 세균에 대한 탈취 작용 및 살균작용이 우수하고 화학성분(VOC) 까지 제거하도록 하는 바, 이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로부터 실내 환경의 쾌적함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아토피 등과 같은 피부질환이나 유해성분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면역력 저하로 인한 질병이나 감염을 현저하게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유니트 본체 내부에 복수의 광플라즈마 램프(AOP-산란효과)를 장착하여 미세먼지(및 초미세먼지)와 제거와 함께 살균 효과가 배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유니트의 일 실시예로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로서, 유니트 본체 하측 공간부에 기류 체류 및 여과 보강용 다공판이 형성된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로서, 공급그릴과 데미스터 사이에 기류 와류 유도용 블레이드 판넬이 부가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탈취 유니트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유니트 본체(100)와 필터 앗세이(2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유니트 본체(100)는 하부에 리턴 에어(RA)가 유입되는 공급그릴(1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여과된 공급 에어(SA)가 급기되는 토출그릴(12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니트 본체의 내부에는 공간부(130)를 상하측 공간부(131,132)로 나누는 격판(14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격판(140) 면상에는 관통공(141)이 형성되어 그 사이에 엑셀팬(150)이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공급그릴(110) 측과 엑셀팬(150) 간의 하측 공간부(132)에는 메쉬망 형태의 박판(160)이 사선으로 결합되어 하측 공간부(132)를 전후단 여과존(132-1,132-2)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필터 앗세이(200)는 상기 공급그릴(110) 후단에 데미스터(210)가 결합되어 유입된 리턴 에어(RA) 중 오일성 유해물질을 걸러내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데미스터(210) 후단에는 프리 필터(220)가 장착되어 식별가능 입자형 이물들이 여과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박판(160) 후단에는 세피오 필터(230)가 부착되어 VOC 화학물질을 제거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유니트 본체(100)는 상측 공간부(131)에 복수의 광플라즈마 램프(300: AOP Lamp)가 장착되어 산란효과에 의한 공기의 추가 살균과 10미크론 단위의 미세먼지를 탈취 및 살균효과가 배가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리 필터(220)와 박판(160) 사이에는 상기 프리 필터(220)를 향해 만곡된 다공판(400)이 엑셀팬의 정압 센싱에 따라 힌지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진입한 기류의 체류 시간을 도모하면서 여과 효율을 높이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그릴과 데미스터 사이에 기류 와류 유도용 블레이드 판넬(500)이 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류 와류 유도용 블레이드 판넬(500)은 얇은 합성수지 판넬 형태로서, 지지틀(530) 면상에 다수개의 기류이송공(520)이 형성되고, 상기 기류이송공 사이에는 중앙 센터점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등간격 배열된 다수개의 블레이드날(510)이 형성된다.
이러한 블레이드날은 일정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공급그릴을 통해 유입된 기류가 블레이드날로 하여금 기류이송공으로 균등하게 분포되도록 함으로서, 후단에 설치된 데미스터, 프리필터 및 세피아 필터에 입자상 이물, 오물 기름때가 한쪽으로 치중하면서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일종의 무동력 형태의 와류 유도 발생기로서 기류의 선회를 유도하면서 기류가 필터체에 방사상(원주방향) 균등한 분포로 골고루 확산 유입되도록 조장하게 된다.
이는 결국 필터 효율을 높이게 하는 것으로, 필터의 사용성과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정리하면, 유입된 리턴 에어가 공급그릴을 통해 진입하면 데미스터와 프리 필터를 순차적으로 경유한 뒤 박판과 세피오 필터를 거쳐 엑셀팬으로 하여금 토출그릴로 토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유니트 본체 내부 공간부는 상하 반으로 나뉘도록 격판이 형성되고, 상기 격판에는 엑셀 팬이 장착되어 식당 내 공기를 흡입한 뒤 토출그릴로 배기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유니트 본체 전면 하부에 형성된 공급그릴 후면에는 데미스터가 형성되고, 그 후단에는 프리 필터가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하여금 전단부 데미스터(수세미처럼 메쉬형으로 구성됨-오일 필터링 기능이 있음)는 레인지 후드와 같이 기름에 쩌든 공기(오일틱 공기)를 필터링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데미스터 후단에 형성된 프리 필터에서는 식별가능 크기의 큰 입자성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쉬망 형태의 박판 후단에는 세피오 필터가 부착되어 살균 탈취를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유니트 본체의 상측 공간부에는 광플라즈마 램프가 장착되도록 함으로서, 종전 활성탄 필터 타입의 카세트 형태(챈널 형태)의 문제를 개선하도록 형성된다.
즉, 종래의 활성탄 필터 타입은 얼마되지 않은 사용 후 빈번한 교환을 야기하고 특히 기름때의 잔존으로 하여금 화재의 위험성에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광플라즈마 램프로 하여금 탈취 성능은 배가시키되 화재 위험으로 안전한 사용성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유니트 본체 110 ... 공급그릴
120 ... 토출그릴 130 ... 공간부
140 ... 격판 150 ... 액셀팬
160 ... 박판 200 ... 필터 앗세이
210 ... 데미스터 220 ... 프리 필터
230 ... 세피오 필터 300 ... 광플라즈마 램프
400 ... 다공판 500 ... 기류 와류 유도용 블레이드 판넬
510 ... 블레이드 날 520 ... 기류이송공
530 ... 지지틀

Claims (3)

  1. 하부에 리턴 에어(RA)가 유입되는 공급그릴(110)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여과된 공급 에어(SA)가 급기되는 토출그릴(120)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간부(130)를 상하측 공간부(131,132)로 나누는 격판(14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격판(140) 면상에는 관통공(141)이 형성되어 그 사이에 엑셀팬(150)이 장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급그릴(110) 측과 엑셀팬(150) 간의 하측 공간부(132)에는 메쉬망 형태의 박판(160)이 사선으로 결합되어 하측 공간부(132)를 전후단 여과존(132-1,132-2)으로 구획하도록 하는 유니트 본체(100)와;
    상기 공급그릴(110) 후단에 데미스터(210)가 결합되어 유입된 리턴 에어(RA) 중 오일성 유해물질을 걸러내도록 형성되고, 상기 데미스터(210) 후단에는 프리 필터(220)가 장착되어 식별가능 입자형 이물들이 여과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박판(160) 후단에는 세피오 필터(230)가 부착되어 VOC 화학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필터 앗세이(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 본체(100)는 상측 공간부(131)에 복수의 광플라즈마 램프(300: AOP Lamp)가 장착되어 산란효과에 의한 공기의 추가 살균과 10미크론 단위의 미세먼지를 탈취 및 살균효과가 배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필터(220)와 박판(160) 사이에는 상기 프리 필터(220)를 향해 만곡된 다공판(400)이 엑셀팬의 정압 센싱에 따라 힌지 회동되도록 형성되어 진입한 기류의 체류 시간을 도모하면서 여과 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
KR1020180100523A 2018-08-27 2018-08-27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 Active KR10193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23A KR101937132B1 (ko) 2018-08-27 2018-08-27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23A KR101937132B1 (ko) 2018-08-27 2018-08-27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132B1 true KR101937132B1 (ko) 2019-01-10

Family

ID=65020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523A Active KR101937132B1 (ko) 2018-08-27 2018-08-27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1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3558A (zh) * 2019-10-20 2019-12-31 吴晶 烤箱
KR102109532B1 (ko) * 2019-11-08 2020-05-12 현대건설(주) 광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환기 시스템
KR102083020B1 (ko) * 2020-01-14 2020-05-15 오경철 환기유닛용 살균탈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228Y1 (ko) 2007-11-15 2008-03-27 (주)동양테크놀로지 광 플라즈마 살균부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JP2011033256A (ja) 2009-07-31 2011-02-17 Sanyo Electric Co Ltd 厨房用空気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9228Y1 (ko) 2007-11-15 2008-03-27 (주)동양테크놀로지 광 플라즈마 살균부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JP2011033256A (ja) 2009-07-31 2011-02-17 Sanyo Electric Co Ltd 厨房用空気処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3558A (zh) * 2019-10-20 2019-12-31 吴晶 烤箱
KR102109532B1 (ko) * 2019-11-08 2020-05-12 현대건설(주) 광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내 환기 시스템
KR102083020B1 (ko) * 2020-01-14 2020-05-15 오경철 환기유닛용 살균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772B1 (ko) 공기 청정기
US20040166037A1 (en) Air filtration and treatment apparatus
KR101404722B1 (ko) 공기 정화 처리장치
KR101937132B1 (ko)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학교 급식 식당용 탈취 유니트
KR20190021826A (ko) 공기살균정화장치
EP3473941B1 (en) Ambient air purification unit
KR101663962B1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KR20150015880A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02521268B1 (ko) 살균 기능 구비의 복합 공기 청정 장치
KR101973371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0585223B1 (ko) 자외선살균램프가 구비된 악취제거장치
KR20200038008A (ko) 공기 청정기
KR101463216B1 (ko) 효율이 향상된 악취제거장치
KR20170105805A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20230055793A (ko) 자외선램프 살균장치
KR101086728B1 (ko) 4차 여과식 공기 여과 장치
US20230038314A1 (en) Filtration assembly for reducing malaodors in air and aerosolized waste from toilets
KR20220048338A (ko)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한 광촉매판 모듈을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
KR102641694B1 (ko) 주방용 공기청정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시스템
JP2021536331A (ja) トイレからの空気およびエアロゾル化した排泄物の悪臭を削減する濾過アセンブリ
KR101667235B1 (ko) 오존 활성화 반응존을 갖는 탈취 유니트
KR101806404B1 (ko) 공기정화 및 악취제거 시스템
KR101419860B1 (ko) 공기 정화장치
CN111895536B (zh) 一种便于更换紫外线灯管的立式空气净化器
KR101657188B1 (ko) 친환경 오존 및 광촉매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