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041B1 - Ey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 Google Patents
Ey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7041B1 KR101937041B1 KR1020170095125A KR20170095125A KR101937041B1 KR 101937041 B1 KR101937041 B1 KR 101937041B1 KR 1020170095125 A KR1020170095125 A KR 1020170095125A KR 20170095125 A KR20170095125 A KR 20170095125A KR 101937041 B1 KR101937041 B1 KR 1019370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ye
- user
- image
- strabismus
- eye movem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61H2205/024—E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안구운동장치는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본체 및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본체와 결합되고, 중심에 마크(mark)가 표시된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여 좌안 및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교정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한다.An eye movement apparatus and a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are disclosed. The eyebal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an image including a main body mounted on a head of a user and two objects marked with a mark at a center thereof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And an image providing device for guiding eye movements so that the sag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is correc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구를 운동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구 각각에 서로 다른 객체가 출력되는 영상을 제공하여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개선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개인 컴퓨터와 스마트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영상표시 단말기 증후군(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이하 VDT 증후군)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VDT 증후군은 컴퓨터 모니터를 오래 사용함으로서 나타나는 질병을 총칭하며,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새로운 종류의 VDT 증후군도 늘어나고 있다. With the increasing use of personal computers and smart phones, there is growing interest in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VDT syndrome). VDT syndrome is a general term for diseases caused by prolonged use of computer monitors. In recent years, as the use of smart phones has increased, new types of VDT syndrome have also been increasing.
이 때, VDT 증후군은 안계증세를 유발시킨다. 안계증세는 모니터 또는 화면을 근거리에서 지속적으로 장시간 봄에 따라 생기게 되며, 그 증상은 안구가 내측으로 몰리거나, 안구의 방향이 서로 맞지 않고 다른 곳을 바라보게 한다. 특히, 이로 인해 생기는 시력장애 증상을 사시라고 한다. At this time, VDT syndrome induces anemia. The symptoms of Ahnsung are caused by a continuous long span of the monitor or screen at a short distance. The symptom is that the eyeballs are medial inward, or the eyeballs do not match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the symptoms of visual impairment resulting from this are called strabismus.
따라서, 현대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사시를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many of the modern people have problems with strabismu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개선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향상시키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ye mov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in which a user intuitively recognizes and corrects strabismus in up,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는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본체 및 상기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중심에 마크(mark)가 표시된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교정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 eye movement apparatus for improving strabism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mounted on a head of a user and a main body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And an image providing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including the two displayed objects and guiding the eye movement so that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right and left eyes are corrected for the sagittal.
또한 상기 본체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개방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접하고,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에 대한 시선이 서로 차단시키는 접안부, 상기 접안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안부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영상제공장치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includes a body portion formed as an empty spac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opened at the other end, an eyepiec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in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user, A fixing part formed to cover the back of the user from both sides of the eyepiece and fixing the eyepiece and the face of the use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coupling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to fix the image providing device .
또한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안구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시선과 초점이 상기 마크와 일직선이 되면 상기 교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y one of a virtual reality, an augmented reality, and a mixed reality including the two objects,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 eye movement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at the calibration is completed when the eyes and the focal point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re in line with the mark using the eye movement detected by the eyeball unit, and terminating the output of the image.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안구 움직임을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동공 위치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nsing unit senses the eye movement using the pupil position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정이 미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선 또는 초점이 불규칙하게 흔들리는 경우,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terminates the output of the image when at least one of the eye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is irregularly shaken when the calibration is not complet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출력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지나면 상기 교정이 미완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terminates the output of the image even if the calibration is not completed when the output time of the image exceeds a preset time.
또한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마크 중 적어도 하나에 눈금을 표시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시선 방향을 수치적으로 나타낸다.Further, the image supply device displays a scale on at least one of the marks to numerically represent a direction of a line of sight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본 발명에 따른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방법은 본체와,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중심에 마크가 표시된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하는 안구운동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되는 단계 및 상기 안구운동장치가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교정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상기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 eye movement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an image providing device coupled to the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a user, and outputting an image including two objects marked with a center mark And a step of outputting the image that induces eye movement so that the eye movement device corrects strabismus of the left and right ey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eye.
또한 상기 객체는, 도형, 글자, 회사로고, 퍼즐 및 캐릭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object is characterized by being one of a figure, a letter, a company logo, a puzzle, and a character.
또한 상기 영상은, 광고, 교육, 영화 및 게임 중 적어도 하나의 분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image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advertisement, education, movie, and game.
본 발명에 따른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 및 방법은 중심에 마크가 표시된 객체가 출력되는 영상을 좌안 및 우안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개선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ye movement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image in which an object marked with a center mark is output in the left and right eyes to intuitively recognize and correct the strabismus in up, Can be improved.
또한 추가적인 하드웨어의 설치없이 영상의 콘텐츠만으로 안구운동을 수행하여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eye movement can be performed only with the content of the image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hardware, thereby enhancing price competitiveness.
또한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를 교정하는 영상의 콘텐츠를 광고, 교육, 영화, 게임 등에 적용하여 시력 향상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visual acuity by applying the contents of the image correcting the strabismus i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to advertisement, education, movie, and g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사시가 아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공된 영상을 사시가 아닌 사용자가 인지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사시가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제공된 영상을 사시가 있는 사용자가 인지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해 사시가 있는 사용자가 시력을 향상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제공된 영상을 통해 사시가 있는 사용자의 시력이 향상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ye mov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ye mov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an image output from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 user rather than to a strainer.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reen recognized by the user, not the observer, provided in FIG.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an image output from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 user who has a diaphragm.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reen recognized by a user having a strained view in FIG. 6.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a user with strabismus improves visual acuity through an image output from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improving visual acuity of a user with strabismus through the image provided in FIG.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ye mov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used in the appended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unless indicated otherwis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obvious or understand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ye mov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안구운동장치(100)는 현대사회에서 발생되는 VDT 증후군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시를 개선한다. 즉, 안구운동장치(100)는 중심에 마크(mark)가 표시된 객체가 출력되는 영상을 좌안 및 우안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개선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영상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안구운동장치(100)는 본체(10) 및 영상제공장치(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본체(10)는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이 된다. 본체(10)는 HMD(Head Mounted Display)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형태로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플라스틱 재질과 같이 가벼운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장시간 장착을 하여도 무게에 대한 피로도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The
영상제공장치(30)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본체(10)와 결합된다. 영상제공장치(30)는 중심에 마크가 표시된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여 좌안 및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교정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한다. 여기서, 객체는 도형, 글자, 회사로고, 퍼즐 및 캐릭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영상제공장치(30)는 다양한 객체가 포함된 영상에 대한 콘텐츠를 광고, 교육, 영화 및 게임 중 적어도 하나의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영상제공장치(30)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상이 출력될 수 있는 단말로써, 바람직하게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The
여기서, 안구운동장치(100)는 본체(10)와 영상제공장치(30)가 탈부착이 가능한 분리형이거나, 결합되면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일 수 있다.Here,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영상제공장치(30)는 감지부(32), 제어부(33) 및 디스플레이부(34)를 포함하고, 통신부(31) 및 저장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통신부(31)는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설정값이 포함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설정값은 출력되는 영상에 포함된 객체 정보, 재생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31)는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는 후술되는 안구운동량, 사시 상태 등과 같은 사용자 정보를 외부 단말로 송신할 수 있다.The
감지부(32)는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추적하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을 감지한다. 감지부(32)는 좌안 및 우안의 동공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동공 위치를 이용하여 안구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20)는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제어부(33)는 영상의 출력을 제어한다. 제어부(33)는 감지부(32)로부터 감지된 안구 움직임을 이용하여 좌안 및 우안의 시선과 초점이 마크와 일직선이 되면 사시에 대한 교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영상의 출력을 종료한다. 여기서, 마크는 십자모양, 엑스모양 등을 포함하고, 눈금을 표시할 수 있다. The
제어부(33)는 교정이 미완료된 상태에서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선 또는 초점이 불규칙하게 흔들리는 경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즉, 제어부(33)는 시선 또는 초점이 불규칙하게 흔들리면 사용자의 심리 또는 육체 상태가 불안정하다고 판단함으로써, 지속적인 영상 출력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어지러움, 구토 등과 같은 부작용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The
또한 제어부(33)는 영상의 출력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지나면 교정이 미완료된 상태에서도 영상의 출력을 종료한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시간은 사용자 입력에 포함된 재생시간일 수 있으며, 30초, 1분, 3분, 5분, 7분, 10분 등 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장시간 영상에 노출되어 발생되는 피로감을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제어부(33)는 객체 중 적어도 하나의 마크에 눈금을 표시하여 사용자 스스로 좌안 및 우안의 시선 방향을 수치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디스플레이부(34)는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34)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4)는 사용자 입력을 직접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및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저장부(35)는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이 저장된다. 즉, 저장부(35)는 다양한 객체 모양을 가지는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35)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ye movement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안구운동장치(100)는 HMD 형태로 형성되어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 때, 안구운동장치(100)는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스스로 자신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지속적으로 영상에 출력되는 객체를 추적하여 사시를 개선할 수 있다. 안구운동장치(100)는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본체(10) 및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제공장치(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본체(10)는 몸통부(11), 접안부(12), 고정부(15) 및 결합부(16)를 포함한다.The
몸통부(11)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몸통부(11)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직육면체, 원기둥, 원반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몸통부(11)는 일단과 타단 사이의 거리가 5cm 내지 20c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34)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통부(11)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대한 거리는 영상의 크기가 크면 길이가 길어지고, 영상의 크기 작으면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The
접안부(12)는 몸통부(11)의 일단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얼굴과 접하고,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한 시선이 서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접압부(12)는 사용자의 얼굴과 접하는 테두리가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밀착시 발생될 수 있는 마찰, 압박 등을 최소화한다. 또한 접안부(12)는 안경을 쓴 사람도 사용 가능하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접안부(12)는 좌안 접안부(13) 및 우안 접안부(14)를 포함한다. 좌안 접안부(13)는 사용자의 좌안이 밀착되어 접안되는 부분으로써,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이 좌안으로 들어오지 않게 차단한다. 우안 접안부(14)는 사용자의 우안이 밀착되어 접안되는 부분으로써,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이 우안으로 들어오지 않게 차단한다.The
고정부(15)는 접안부(12)의 양측면으로부터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접안부(12) 및 사용자의 얼굴이 밀착되게 고정을 한다. 고정부(15)는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밴드의 길이는 사용자의 두부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고정부(15)가 밴드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10)가 헬멧 형상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부(15)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The fixing
결합부(16)는 몸통부(11)의 타단에 형성되어 영상제공장치(30)를 결합시켜 고정한다. 이 때, 결합부(16)는 디스플레이부(34)가 형성된 면의 반대되는 면과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결합부(16)와 영상제공장치(30)가 결합된 면의 후면에 덮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는 영상제공장치(30)를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이 영상제공장치(30)와 몸통부(11)가 결합된 틈으로 들어오지 않게 차단할 수 있다.The engaging
영상제공장치(30)는 디스플레이부(34)가 접안부(12)와 대향하도록 몸통부(11)와 결합된다. 영상제공장치(30)는 디스플레이부(34)를 통해 일정 간격이 이격된 두 개의 객체(50)를 출력한다. 이 때, 영상제공장치(30)는 두 개의 객체(50) 중 하나인 제1 마크(53)를 포함하는 제1 객체(51)가 좌안 접안부(13)에서만 볼 수 있도록 하고, 나머지 하나인 제2 마크(54)를 포함하는 제2 객체(52)가 우안 접안부(14)에서만 볼 수 있도록 한다. 영상제공장치(30)는 제1 객체(51)와 제2 객체(52) 사이의 이격되는 거리를 적어도 좌안의 시선이 제2 객체(52)를 볼 수 없고, 우안의 시선이 제1 객체(51)를 볼 수 없는 거리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즉, 사용자는 단안시로 객체를 보는 경우, 좌안을 통해 제1 객체(51)만을 볼 수 있고, 우안을 통해 제2 객체(52)만을 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양안시로 객체를 보는 경우, 제1 객체(51)와 제2 객체(52)가 서로 겹쳐지는 모양을 볼 수 있다. 이 때, 제1 객체(51)의 중심에 포함된 제1 마크(53)와 제2 객체(52)의 중심에 포함된 제2 마크(54)가 서로 일치되게 겹쳐지는 상태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사시의 유무 및 정도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9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when the user views the object in the unison view, the user can view only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사시가 아닌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제공된 영상을 사시가 아닌 사용자가 인지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an image output from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 user rather than a strait,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creen, Fig.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영상제공장치(30)는 사용자에게 두 개의 객체(51, 52)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출력되는 두 개의 객체(51, 52)를 추적하면서 사시의 유무 및 정도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하측이 사시라고 인지하면 상직근, 하직근, 상사근, 하사근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좌우측이 사시라고 인지하면 내측근, 외측근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3 to 5, the
사용자의 좌안(71) 및 우안(72)이 사시가 아니면, 사용자는 양안시를 통해서 도 5와 같은 화면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좌안 동공(73) 및 우안 동공(74)의 시선 방향이 각각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2)와 일직선을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사용자 인지화면(75)과 같이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2)가 서로 겹쳐지는 화면을 인지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사용자는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2)의 중심에 형성된 제1 마크(53) 및 제2 마크(54)가 서로 겹쳐져서 하나의 마크가 되는 화면을 인지할 수 있다. If the user's
한편, 영상제공장치(30)는 출력되는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4) 중 적어도 하나의 마크(51, 52)에 눈금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좌안 동공(73) 및 우안 동공(74)의 시선 방향을 수치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예를 들면, 제2 마크(54)에 사시를 수치적으로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으며, 각 눈금과 눈금의 거리를 1프리즘으로 설정한다. 여기서, 프리즘은 사시량을 측정하는 단위로써, 사시 환자가 1m의 거리에서 1cm의 편차가 생겼을 때 1프리즘이라고 하며, 3cm의 편차가 생기면 3프리즘이라고 한다. 따라서, 사시가 아닌 사용자는 제2 마크(54)에 표시된 눈금의 중앙에 제1 마크(53)의 중앙과 겹쳐지는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스스로 사시가 아님을 인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사시가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제공된 영상을 사시가 있는 사용자가 인지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은 사용자의 사시 중 내측사시 및 하측사시에 해당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b)은 사용자의 사시 중 외측사시 및 상측사시에 해당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an image output from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 user with a diagonal line, FIG. 7 is a view Fig. FIG. 7 (a)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user corresponds to medial strabismus and lower-side strabismus during strabismus, and FIG. 7 (b) shows a case where the user corresponds to lateral strabismus and upper-side strabismus during strabismus.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영상제공장치(30)는 사용자에게 두 개의 객체(51, 52)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출력되는 두 개의 객체(51, 52)를 추적하면서 사시의 유무 및 정도를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3, 6 and 7, the
사용자의 좌안(71) 및 우안(72) 중 적어도 하나가 사시이면, 사용자는 양안시를 통해서 도 7(a) 및 도 7(b)와 같은 화면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좌안 동공(73) 및 우안 동공(74) 중 적어도 하나의 시선 방향이 각각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2)와 일직선을 이루지 못하므로, 제1 객체(51) 및 제2 객체(52)의 중앙이 서로 안 겹쳐지는 화면을 확인한다. If at least one of the user's
즉, 사용자의 좌안 동공(73)이 제1 객체(51)가 아닌 제2 객체(52)로 시선방향이 틀어지고, 우안 동공(75)이 제2 객체(52)와 일직선의 시선방향을 가지거나, 사용자의 좌안 동공(73)이 제1 객체(51)와 일직선의 시선방법을 가지고, 우안 동공(74)이 제2 객체(52)가 아닌 제1 객체(51)로 시선방향이 틀어지는 경우, 사용자는 사시를 가질 수 있다.That is, the
예를 들면, 사용자가 내측사시 2프리즘이고, 하측사시 2프리즘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지화면(75)을 통해 도 7(a)와 같은 화면을 인지한다. 즉, 사용자는 제2 마크(54)에 표시된 눈금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마크(53)가 좌측으로 2칸, 상측으로 2칸 이동된 것을 인지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사시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is an inner strabismus 2 prism and the lower side diagonal 2 prism, the user recognizes the screen as shown in FIG. 7 (a) through the
또한 사용자가 외측사시 1.5프리즘이고, 상측사시 1프리즘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지화면(75)을 통해 도 7(b)와 같은 화면을 인지한다. 즉, 사용자는 제2 마크(54)에 표시된 눈금 중심을 기준으로 제1 마크(53)가 우측으로 1.5칸, 하측으로 1칸 이동된 것을 인지함으로써, 자신에 대산 사시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Also, if the user is 1.5 prism of outer sash and 1 prism of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제공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통해 사시가 있는 사용자가 시력을 향상시키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제공된 영상을 통해 사시가 있는 사용자의 시력이 향상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사용자의 사시 중 내측사시 및 하측사시에 해당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사용자의 사시 중 외측사시 및 상측사시에 해당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how a user with strabismus improves visual acuity through an image output from an imag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n which the visual acuity of the subject is improved. FIG. 9A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user corresponds to medial strabismus and lower-side strabismus during strabismus, and FIG. 9B is a view showing a case where the user corresponds to lateral strabismus and upper-side strabismus during strabismus.
도 3,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영상제공장치(30)는 사용자에게 두 개의 객체(51, 52)가 포함된 영상을 지속적으로 출력하여 사시를 개선시켜 사용자의 시력을 향상시킨다.Referring to FIGS. 3 and 7 to 9, the
사용자의 좌안(71) 및 우안(72) 중 적어도 하나가 사시이면 사용자는 양안시를 통해서 도 7(a) 및 도 7(b)와 같은 화면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 때, 영상제공장치(30)는 두 개의 객체(51, 52)가 포함된 영상을 지속적으로 출력하여 사시가 있는 안구를 교정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예를 들면, 사용자가 내측사시 2프리즘이고, 하측사시 2프리즘이고, 영상제공장치(30)가 지속적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지화면(75)을 통해 도 9(a)와 같은 화면을 인지한다. 즉, 사용자는 제2 마크(54)에 표시된 눈금 중심으로 제1 마크(53)의 중심이 이동되는 것을 인지하게 되며, 이는 사용자의 내측사시 및 하측사시가 교정되는 것을 의미한다.For example, if the user is a 2-prisms in the inner strabismus and a 2-prisms in the lower case and the
또한 사용자가 외측사시 1.5프리즘이고, 상측사시 1프리즘이고, 영상제공장치(30)가 지속적으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인지화면(75)을 통해 도 9(b)와 같은 화면을 인지한다. 즉, 사용자는 제2 마크(54)에 표시된 눈금 중심으로 제1 마크(53)의 중심이 이동되는 것을 인지하게 되며, 이는 사용자의 외측사시 및 상측사시가 교정되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is 1.5 prisms of outer sash and is an upper prism of 1 diagonal and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제공장치(30)는 좌우방향에 대한 사시만을 사용가가 인지하고, 인지된 사시가 교정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방향에 대한 사시를 사용자가 인지하고, 인지된 사시가 교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구운동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ye mov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안구운동방법은 중심에 마크가 표시된 객체가 출력되는 영상을 좌안 및 우안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를 직관적으로 인지하고, 개선하여 사용자의 시력을 향상시킨다. 안구운동방법은 추가적인 하드웨어의 설치없이 영상의 콘텐츠만으로 안구운동을 수행하여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사시를 교정하는 영상의 콘텐츠를 광고, 교육, 영화, 게임 등에 적용하여 시력 향상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10, the eye movement method provides an image outputting an object marked with a center mark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thereby intuitively recognizing and correcting strabismus in up, down, left and right, . The eye movement method can increase the price competitiveness by performing the eye movement only by the image contents without installing the additional hardware, and maximize th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vision by applying the contents of the image corrected for strabismus to advertisement, education, movie, can do.
S91단계에서, 안구운동장치(100)는 사용자의 두부에 장착된다. 안구운동장치(100)는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본체(10) 및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제공장치(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영상제공장치(30)는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본체(10)와 결합되고, 중심에 마크가 표시된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한다. In step S91, the
S92단계에서, 안구운동장치(100)는 좌안 및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가 교정되도록 안구운동을 유도하는 영상을 출력한다. 안구운동장치(100)는 사용자의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안구 움직임을 이용하여 좌안 및 우안의 시선과 초점이 마크와 일직선이 되도록 유도한다. 이 때, 안구운동장치(100)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선 또는 초점이 불규칙하게 흔들리는 경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안구운동장치(100)는 영상의 출력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지나면 영상의 출력을 종료한다.In step S92,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n the embodiment in which said invention is direct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본체 11: 몸통부
12: 접안부 13: 좌안 접안부
14: 우안 접안부 15: 고정부
16: 결합부 30: 영상제공장치
31: 통신부 32: 감지부
33: 제어부 34: 디스플레이부
35: 저장부 50: 객체
51: 제1 객체 52: 제2 객체
53: 제1 마크 54: 제2 마크
70: 안구 71: 좌안
72: 우안 73: 좌안 동공
74: 우안 동공 75: 사용자 인지화면
100: 안구운동장치10: main body 11: body portion
12: eyepiece 13: left eyepiece
14: right eye eyepiece 15:
16: coupling unit 30: image providing device
31: communication unit 32:
33: control unit 34: display unit
35: storage unit 50: object
51: first object 52: second object
53: first mark 54: second mark
70: eyeball 71: left eye
72: Right eye 73: Left pupil
74: right pupil 75: user-recognized screen
100: eye movement device
Claims (10)
상기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본체와 결합되고, 중심에 적어도 하나에 눈금을 표시하여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시선 방향을 수치로 나타내는 십자가 형상의 마크(mark)가 표시된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 정도를 수치적으로 인지시키는 동시에 안구운동을 유도하여 사시를 교정하는 영상제공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제공장치는,
상기 두 개의 객체가 포함된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안구 움직임을 이용하여 상기 두 개의 객체에 표시된 십자가 형상의 마크 중심이 서로 겹쳐 하나의 마크가 되면 상기 교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A body mounted on a head of a user; And
Two objects which are combined with the main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and are marked with a cross mark on the center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nd an image providing device for digitally recognizing the degree of strabismu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and left eyes, and correcting the strabismus by inducing eye movement,
The image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ny one of a virtual reality, an augmented reality, and a mixed reality including the two objects;
A sensing unit for sensing ey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at the calibration is completed when the center of the cross marks on the two objects overlap to form a single mark using the eye movement sensed by the sensing unit and terminating the output of the image;
And an eye movement device for correcting strabismus.
상기 본체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빈 공간으로 형성되고, 타단이 개방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얼굴과 접하고,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에 대한 시선이 서로 차단시키는 접안부;
상기 접안부의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안부 및 상기 사용자의 얼굴이 밀착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영상제공장치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 body portion formed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an empty space and opened at the other end;
An eyepiece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and contacting the face of the user and blocking the eye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from each other;
A fixing unit formed to surround the back of the user from both sides of the eyepiece and fix the eyepiece and the face of the use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n engaging part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body part and fixing the image providing device by fixing it;
And an eye movement device for correcting strabismus.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안구 움직임을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동공 위치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ns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eye movement is sensed using the pupil position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정이 미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 중 적어도 하나의 시선 또는 초점이 불규칙하게 흔들리는 경우,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output of the image is terminated when at least one of the eye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is irregularly shaken while the calibration is not complet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출력된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을 지나면 상기 교정이 미완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output of the image is terminated when the output time of the image exceeds a predetermined time, even when the calibration is not completed.
상기 안구운동장치가 상기 영상을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상하좌우에 대한 사시 정도를 수치적으로 인지시키는 동시에 안구운동을 유도하여 사시를 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시를 교정하는 단계는,
상기 안구운동장치가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에 대한 안구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움직임을 이용하여 두 개의 객체에 표시된 십자가 형상의 마크 중심이 서로 겹쳐 하나의 마크가 되면 상기 교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방법.Two objects coupled to the main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and each displaying a mark on at least one of the centers thereof and displaying a cross mark indicating the direction of the eye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n eye movement device including an image providing device for outputting an embedded image is mounted on a head of the user; And
Wherein the eye movement device outputs the image and numerically recognizes a degree of strabismus of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while inducing eye movement to calibrate the strabismus,
Wherein correcting the strabismus comprises:
The eye movement device senses eye movements with respect to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and determines that the correction is completed when the center of the cross shaped marks displayed on the two objects overlap each other using the sensed motion to become one mark And the output of the image is terminated.
상기 객체는,
도형, 글자, 회사로고, 퍼즐 및 캐릭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방법.9. The method of claim 8,
The object comprising:
A shape, a letter, a company logo, a puzzle, and a character.
상기 영상은,
광고, 교육, 영화 및 게임 중 적어도 하나의 분야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시를 개선하는 안구운동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mage includes:
Wherein the method is applied to at least one of advertisement, education, movie, and g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7/008140 WO2018066796A1 (en) | 2016-10-04 | 2017-07-28 | Strabismus correcting ocular movement device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7756 | 2016-10-04 | ||
KR20160127756 | 2016-10-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7565A KR20180037565A (en) | 2018-04-12 |
KR101937041B1 true KR101937041B1 (en) | 2019-01-11 |
Family
ID=6196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5125A Active KR101937041B1 (en) | 2016-10-04 | 2017-07-27 | Ey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704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4497A (en) * | 2021-09-03 | 2023-03-10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ye movement and visual perception training based on virtual reality |
KR20230116288A (en) | 2022-01-28 | 2023-08-04 | (주)뉴로니어 |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by eye muscle exercis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3550B1 (en) * | 2019-12-03 | 2021-10-15 | 권혜리 | User terminal apparatus having eye trainning function and eye trainning method using the same |
WO2024025055A1 (en) * | 2022-07-29 | 2024-02-01 | 주식회사 에덴룩스 | Vision training apparatus and vision training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7127A (en) * | 1998-10-06 | 2000-04-18 | Canon Inc | Optometric apparatus |
-
2017
- 2017-07-27 KR KR1020170095125A patent/KR10193704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07127A (en) * | 1998-10-06 | 2000-04-18 | Canon Inc | Optometric apparatu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34497A (en) * | 2021-09-03 | 2023-03-10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ye movement and visual perception training based on virtual reality |
KR102549616B1 (en) * | 2021-09-03 | 2023-06-29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ye movement and visual perception training based on virtual reality |
KR20230116288A (en) | 2022-01-28 | 2023-08-04 | (주)뉴로니어 |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by eye muscle exercis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7565A (en) | 2018-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7041B1 (en) | Ey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trabismus | |
JP6083880B2 (en) | Wearable device with input / output mechanism | |
JP5414946B2 (en) | Head-mounted display and method for adjusting misalignment thereof | |
US11150476B2 (en) | Method for providing a display unit for an electronic information device | |
CN105830145B (en) | Display device, image distor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 |
US20170052393A1 (en) | Eyeglass lens simulation system using virtual reality headset and method thereof | |
KR101635892B1 (en) | Head Mount Display Device | |
TWI838640B (en) |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binocular vision | |
WO2019160698A3 (en) | Using detected pupil location to align optical components of a head-mounted display | |
KR102237238B1 (en) | Vision training device to improve fusion function | |
US20120313936A1 (en) | Stereoscopic display system and stereoscopic glasses | |
JP6036291B2 (en) |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 |
KR20180076023A (en) | Ey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object tracking | |
KR20120030639A (en) | Display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 |
KR20160107552A (en) | Device for improving binocular vision | |
JP2022514631A (en) | How to create and display virtual objects with optical systems | |
KR101965393B1 (en) | Visual perception train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f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using head mounted device | |
KR102233000B1 (en) | Vision training device for cognitive correction | |
EP3045952A1 (en) | Near eye device adjustment | |
JP2017092628A (en) |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device | |
KR101874861B1 (en) | Ey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light and dark | |
KR20180076024A (en) | Ey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perspective | |
JP7252892B2 (en) | Spectacle lens design method and spectacle lens manufacturing method | |
CN110840721B (en) | Near-eye display-based eyesight prevention, control and training method and near-eye display equipment | |
JP2011028011A (en) | Video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3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