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7012B1 - Exoskeleton system for assisting lower limb joints - Google Patents

Exoskeleton system for assisting lower limb joi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012B1
KR101937012B1 KR1020170014917A KR20170014917A KR101937012B1 KR 101937012 B1 KR101937012 B1 KR 101937012B1 KR 1020170014917 A KR1020170014917 A KR 1020170014917A KR 20170014917 A KR20170014917 A KR 20170014917A KR 101937012 B1 KR101937012 B1 KR 101937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ree
freedom
supporting
human body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9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0031A (en
Inventor
백윤수
심명훈
한종인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14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012B1/en
Publication of KR2018009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03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01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5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with knee, leg or stump re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59Free spatial automatic movement of interface within a working area, e.g. Robo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obot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은, 인체의 고관절부위를 지지하여 5자유도 구동에 의해 인체의 고관절부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1보조유닛, 인체의 무릎관절부위를 지지하여 1자유도 구동에 의해 무릎관절부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2보조유닛, 인체의 발목관절부위를 지지하여 2자유도 구동에 의해 발목관절부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3보조유닛 및 제1 내지 제3보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인체의 보행 동작 중 회전축을 추종할 수 있어, 인체 친화적이며 안정성이 높은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he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limb of a huma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ub-unit for supporting a hip joint of a human body by supporting a hip joint of a human body and assisting movement of the hip joint of the human body by driving the 5-degree of freedom; A third auxiliary unit for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ankle joint region by supporting the ankle joint region of the human body by driving the two degrees of freedom, And a drive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nits to provide a driving forc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oskeleton system for ankle joint assistance that is human-friendly and highly stable since the rotational axis can be followed during the gait of the human body.

Description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EXOSKELETON SYSTEM FOR ASSISTING LOWER LIMB JOINTS}EXOKELETON SYSTEM FOR ASSISTING LOWER LIMB JOINTS

본 발명은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체의 보행 중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추가적인 구동장치를 사용하여 보행에 필요한 인체에 근력을 선택적으로 보조함과 동시에, 고관절,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의 회전축을 추종함으로써 구동 안정성 향상과 함께 인체 친화적인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oskeletal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limb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p joint and a knee joint by selectively driving a human body required for a gait by using an additional driving device during walking of the huma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limb of a human body with improved driving stability by following the rotation axis of the ankle joint.

노령 인구 증가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신체적 보조수단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신체적 보조수단의 일 예로써, 외골격 로봇은 로봇 팔이나 다리 등을 사람에게 장착해 운동기관의 손상으로 인해 부족한 근력을 보조하거나 강화시킬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Wearable robot)의 일종이다. Due to factors such as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physical aid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s an example of such a physical support device, the exoskeleton robot is a kind of wearable robot which can support or strengthen the weak muscle strength due to the damage of the exercise organ by attaching the robot arm or leg to the person.

외골격 로봇의 대두로 인해 HRI(Human-Robot Interaction) 기술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외골격 로봇은 항시 착용자와 결합된 상태에서 작동하는 만큼, 착용자가 느끼는 이물감을 줄이는 것은 하나의 중요한 목표이다. 빠른 제어와 민감한 센서의 사용 등으로 달성할 수도 있지만, 근본적으로 하드웨어가 인체 관절 구조와 유사한 움직임을 가지지 않는다면 착용자와 로봇 움직임의 불일치는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축의 불일치로 인한 착용자와 로봇 사이에서 발생하게 되는 변위로 인해, 착용감 저하, 지속적인 마찰로 인한 피부 손상, 구동기 토크 전달 효율 저하 등이 야기될 수 있다. Human-Robot Interaction (HRI) technology is becoming more important because of the emergence of exoskeleton robots. As exoskeleton robots always operate in combination with the wearer, reducing the sense of physical impression felt by the wearer is an important goal. Although it can be achieved by the use of quick control and the use of sensitive sensors, if the hardware does not have a movement similar to the human joint structure, the mismatch of the wearer and the robot movement necessarily occurs. Such displacement caused between the wearer and the robot due to the inconsistency of the rotating shafts may result in lowering of wearing comfort, skin damage due to continuous friction, lowering of drive torque transmission efficiency, and the like.

이에 따라 근래에는 웨어러블 로봇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안정성과 함께 착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볼-소켓 구조로 생각될 수 있는 인체의 고관절에 대해서 기존 연구에서는 회전축 일치가 어려우며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그로 인해, 근래에는 로봇과 착용자의 요(yaw) 축을 일치시키는 방안에 대해서는 최소한의 기계요소로 구성되어 다양한 사이즈에 대해서 적용 가능한 기구적 구조를 제시하고자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였다.Accordingly, researches on a technique for increasing the wearability of a user wearing a wearable robot have been made steadily in recent years. Especially, in the previous study,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rotation axis to the human hip which can be considered as ball - socket structure, and it has complicated structure. Therefore, in recent years, studies have been made to provide a mechanical structure applicable to various sizes in order to make the yaw axes of the robot and the wearer coincide with each other. Respectively.

보행 시 인체의 고관절,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은 각각 3자유도의 구조를 가진 형태로 생각할 수 있으며, 총9자유도에 이르는 복잡한 움직임을 보인다. 이때, 전진하는 보행 운동의 경우, 시상면(Sagittal plane) 상의 모션이 가장 큰 영향을 준다. 선행연구들을 통해서, 고관절과 무릎관절의 시상면 상에서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것은 일반적인 보행 동작을 보조하는데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때문에, 본 특허에서는 마찬가지로 고관절과 무릎관절의 시상면 상에서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 보행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과는 다르게, 보조가 요구되는 관절만 선택적으로 구동 가능하게 하여 시스템의 전체 효율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During walking, the human hip, knee joint, and ankle joints can be thought of as having three degrees of freedom structure, respectively.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forward walking motion, motion on the sagittal plane has the greatest influence. Previous work has shown that aiding the movement of the hip and knee joints on the sagittal plane helps to support normal gait movements. Therefore, in this patent, the system is configured to assist the movement on the sagittal plane of the hip joint and the knee joint, so that it can be assisted in walking. However, unlike existing studies, research is underway to improve the overall efficiency of the system by selectively enabling joints that require assistance.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2008-0103457호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8-0103457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2012-539132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2-539132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2015-042287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5-042287

본 발명은 착용형 로봇의 관절축을 인체 관절의 회전축과 일치시켜 보행 안정성 향상에 따른 인체 친화적인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uman-friendly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limb of the wearer by matching the joint axis of the wearable robot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human joi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착용자에 따라 보조가 필요한 관절에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 다양성 확보에 유리한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limbs, which is advantageous in securing diversity of use by selectively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a joint requiring assistance in accordance with a wear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은, 인체의 고관절부위를 지지하여, 5자유도 구동에 의해 인체의 고관절부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1보조유닛, 상기 인체의 무릎관절부위를 지지하여, 1자유도 구동에 의해 상기 무릎관절부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2보조유닛, 상기 인체의 발목관절부위를 지지하여, 2자유도 구동에 의해 상기 발목관절부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3보조유닛 및 상기 제1 내지 제3보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limb of a human body, comprising: a first sub-unit for supporting a hip joint of a human body and assisting movement of a hip joint portion of a human body by driving five degrees of freedom; A second auxiliary unit for supporting the joint region and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knee joint region by a one degree of freedom drive; a second auxiliary unit for supporting the ankle joint region of the human body to assist movement of the ankle joint region by two- And a drive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sub-units to provide a driving force.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1보조유닛은, 상기 인체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부재와 상기 인체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인체의 고관절부위에 밀착 가능한 고관절 지지부, 상기 등지지부재를 따라 롤(roll) 방향 회전에 의한 제1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1고관절 구동부 및, 상기 인체의 허벅지에 밀착되도록 상기 허리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허벅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1 내지 제4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2고관절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unit includes a hip joint support member which is capable of being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hip joint portion of the human body including a waist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waist of the human body and a back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human body, A first hip joint driving part capable of being driven in a first degree of freedom by rotation in a roll direction along the thigh; and a second hip joint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waist supporting member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high of the human body, And a second hinge drive capable of driving.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1고관절 구동부는, 상기 등지지부재를 따라 롤(Roll)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1자유도 구동부재 및 상기 제1자유도 구동부재를 상기 등지지부재에 대해 탄성 가압하는 제1자유도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ip joint drive unit includes a first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and a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which are rotatably connected in the roll direction along the back support member, And may include a first degree of freedom elastic body which is elastically pressed against the back support member.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2고관절 구동부는, 상기 등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요(Yaw)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2자유도 구동부재,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를 롤(Roll)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제3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3자유도 구동부재, 상기 제3자유도 구동부재에 지지된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가 상기 롤 축방향의 슬라이딩과 상기 요 방향의 회전운동 시, 상기 허벅지의 상기 요 축에 대한 회전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피치(Pitch)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제4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4자유도 구동부재 및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와 상기 제2보조유닛 사이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에 대해 상기 피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5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5자유도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ip joint drive unit includes a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connected to the back support member and rotatably connected in the yaw direction, A thir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capable of being slidable in the direction of the roll axis so as to be capable of being driven by the third degree of freedom drive, and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supported by the thir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A four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capable of sliding in a pitch axis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hold a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yaw axis of the thigh during sliding and rotating movement in the yaw direction, A secon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and a secon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the secon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degree- And may include a fif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2보조유닛은, 상기 인체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 지지부, 상기 인체의 정강이를 지지하는 정강이 지지부 및 상기 허벅지 지지부와 정강이 지지부 사이를 피치(Pitch)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제6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6자유도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b-unit includes a thigh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thigh of the human body, a shank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shank of the human body, and a shank supporting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thigh supporting portion and the shank supporting portion in a pitch direction , And a six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capable of driving the sixth degree of freedom.

일측에 의하면, 상기 허벅지 지지부는, 상기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 지지대, 상기 허벅지 지지대와 상기 제1보조유닛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허벅지 지지대를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조절부재 및 상기 허벅지 지지대와 상기 제6자유도 구동부재 사이를 연결하며,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제2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thigh support comprises a thigh support for supporting the thigh, a first adjustment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thigh support and the first sub-unit, for supporting the thigh support movab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adjustable member connecting the support and the six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and adjus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3보조유닛은, 상기 인체의 발목을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제2보조유닛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받침부에 가해지는 자중에 의한 처짐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와 하중 지지부 사이를 상호 연결하며, 길이 조절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sub-unit includes: a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n ankle of the human body; a load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ub-unit and supporting sag due to self weight applied to the support portion; And may include a length adjustable connection portion interconnecting between the load supporting portions.

일측에 의하면, 상기 받침부는, 상기 인체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제1받침대, 상기 인체의 발뒤꿈치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받침대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받침대 및 상기 제2받침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에 대해 롤(Roll)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제7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7자유도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 first pedestal for supporting the sole of the human body, a second pedestal extending from the first pedestal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el of the human body in the vertical upward direction, And a seventh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rotatable in a rol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capable of driving the seventh degree of freedom.

일측에 의하면, 상기 하중 지지부는, 상기 제2보조유닛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중 지지대 및 상기 자중을 흡수하도록 상기 하중 지지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하중 지지대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load supporting portion may include a load supporting ro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second sub-unit, and an elastic support provided inside the load supporting rod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ad supporting rod to absorb the self weight.

일측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받침부에 대해 롤(Roll)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7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1연결대, 상기 하중 지지부에 대해 피치(Pitch)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8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2연결대 및 상기 제1 및 제2연결대 사이에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rod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in a rol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be driven in a seventh degree of freedom, and a second connecting rod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ad supporting portion in a pitch direction A second connecting rod capable of driving the eighth degree of freedom, and a third connecting rod that is adjustab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일측에 의하면, 상기 구동유닛은 각각 서로 다른 토크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보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unit may have a different torque magnitude and be connectabl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sub-units.

일측에 의하면,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보조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 가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driving unit may be detachably connectable 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uni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은, 인체의 고관절부위를 지지하여, 요(Yaw), 롤(Roll) 및 피치(Pitch) 방향 회전과 함께 롤 및 피치 축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고관절부위의 보행 중 회전중심을 추종하도록 보조하는 제1보조유닛, 상기 인체의 무릎관절부위를 지지하여, 상기 피치 방향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무릎관절부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2보조유닛 및 상기 인체의 발목관절부위를 지지하여, 상기 피치 및 롤 방향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발목관절부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3보조유닛을 포함한다. The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human bod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hip joint of the human body and is driven in the roll and pitch axis direction together with rotation in the yaw, roll and pitch directions A second auxiliary unit for supporting the knee joint part of the human body and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knee joint part by the pitch direction rotation drive, And a third auxiliary unit for supporting the ankle joint part of the human body and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ankle joint part by the pitch and roll rotation driving.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1보조유닛은, 상기 인체의 고관절부위를 지지하는 고관절 지지부, 상기 고관절 지지부에 대해 상기 롤 방향 회전에 의해 제1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1고관절 구동부 및, 상기 인체의 허벅지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관절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허벅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1 내지 제4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2고관절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ub-unit includes: a hip joint support part for supporting a hip joint part of the human body; a first hip joint drive part capable of being driven in a first degree of freedom by the roll direction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hip joint support part; And a second hip joint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hapticsupport part so as to be closely contacted and capable of driving the first to fourth degrees of freedom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high.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1고관절 구동부는, 상기 고관절 지지부에 대해 상기 롤 방향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제1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1자유도 구동부재 및 상기 제1자유도 구동부재를 상기 고관절 지지부에 대해 탄성 가압하는 제1자유도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inge drive part includes a first degree-of-freedom drive member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p joint support part in the roll direction, and a second degree- And a first degree-of-freedom elastic body that elastically pressurizes the first degree-of-freedom elastic body.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2고관절 구동부는, 상기 고관절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2자유도 구동부재,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를 상기 롤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제3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3자유도 구동부재, 상기 제3자유도 구동부재에 지지된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가 상기 롤 축방향의 슬라이딩과 상기 요 방향의 회전운동 시, 상기 허벅지의 상기 요 축에 대한 회전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피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제4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4자유도 구동부재 및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와 상기 제2보조유닛 사이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에 대해 상기 피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5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5자유도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hinge drive part includes a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connected to the hip joint support part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yaw direction and capable of being driven by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A thir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which is slidably supported in an axial direction and is capable of being driven by the third degree of freedom, and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supported by the thir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The four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and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that are slidably supported in the pitch axis direction so as to hold the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yaw axis of the thigh during rotation of the thigh, And the secon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the secon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in the pitch direction, And possibly a fif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2보조유닛은, 상기 인체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 지지부, 상기 인체의 정강이를 지지하는 정강이 지지부 및 상기 허벅지 지지부와 정강이 지지부 사이를 상기 피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제6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6자유도 구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허벅지 지지부 및 정강이 지지부는 각각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b-unit includes a thigh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thigh of the human body, a shank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a shank of the human body, and a thigh support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thigh support portion and the shank support portion in the pitch direction, And a six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capable of driving six degrees of freedom, wherein the thigh support portion and the shank support portion are each adjustable in height.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3보조유닛은, 상기 인체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제1받침대, 상기 인체의 발뒤꿈치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받침대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받침대 및 상기 제2받침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연장되며 상기 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제7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7자유도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인체의 발목관절부위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제2보조유닛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중 지지대 및 상기 자중을 흡수하도록 상기 하중 지지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하중 지지대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하여, 상기 받침부에 가해지는 자중에 의한 처짐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의 제7자유도 구동부재에 대해 상기 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7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1연결대, 상기 하중 지지대에 대해 상기 피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8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2연결대 및 상기 제1 및 제2연결대 사이에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대를 포함하여, 상기 받침부와 하중 지지부 사이를 길이 조절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third sub-unit includes a first pedestal for supporting the sole of the human body, a second pedestal extending from the first pedestal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el of the human body in the vertical upward direction, A seven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which is adjus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rotatable in the rol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be driven in a seventh degree of freedom and which supports the ankle joint part of the human body rotatably in the roll direction, A load supporting bas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b-unit, and an elastic supporting base provided inside the load supporting base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ad supporting base to absorb the self weight, wherein deflection due to the weight applied to the receiving base And a third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ven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in the roll direction A second connecting rod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ad support in the pitch direction and capable of being driven in an eighth degree of freedom, and a second connecting ro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And a connecting portion including three connecting rods for mutually connect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load supporting portion in a length-adjustable manner.

일측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보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각각 서로 다른 토크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보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 가능하도록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riving unit for a vehicle, wherein the driving unit is detach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uxiliary units to provide a driving force, And a plurality of units can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units.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착용자의 보행 동작 중 하지 관절의 회전축을 추종함으로써, 인체 관절 동작과 유사한 움직임이 가능하여 인체와 외골격 시스템 사이에 발생되는 상대적인 변위를 최소화시켜 인체 친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토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착용자의 관절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first, by following the rotation axis of the lower limb during the gait of the wearer, movement similar to the motion of the human joint is possible, thereby minimizing the relative displacement occurring between the human body and the exoskeletal system, It is possible to improve Mars. Further, the torque transmitted from the drive unit can be more efficiently provided to the wearer's joints.

둘째, 착용자의 조건에 따라 구동력을 연결하여 제공하도록 제어 가능함으로써, 사용 다양성 확보에 유리하다. Secondl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iving force to be connected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wearer, which is advantageous for ensuring diversity of use.

셋째, 착용자의 조건에 다양한 조건에 대한 대응이 가능함에 따른, 착용자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Thir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various conditions of the condition of the wearer,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the reliability of the wear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을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의한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보조유닛을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2고관절 구동부를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2고관절 구동부가 허벅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구동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2보조유닛을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제3보조유닛을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구동유닛이 제1 및 제2보조유닛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exoskeletal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limb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oskeletal system for ankle joint assist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first auxiliary unit shown i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cond hinge drive part shown in FIG. 3; FIG.
FIG.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in which the second haptics driving part shown in FIG. 4 is drive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high.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econd sub-unit shown in FIG. 2.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third sub-unit shown in FIG. 2. FIG. And,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iving unit shown in FIG. 2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uni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이 그와 같은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예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및 삭제 등에 의해서 다르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발명의 사상에 포함되는 것이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embodiments,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posed differently by adding, modifying and deleting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1)은 제1보조유닛(10), 제2보조유닛(20), 제3보조유닛(30) 및 구동유닛(40)을 포함한다. 1 and 2, an exoskeletal system 1 for ankle joi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unit 10, a second sub-unit 20, a third sub-unit 30 And a drive unit (40).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1)이 인체(B)에 착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oskeletal system 1 for supporting the lower limb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human body B. Fig. 2 is a cross- 1). ≪ / RTI >

참고로,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1)은 신체적 보조수단인 외골격 로봇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 및 예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1)은 인체(B)의 고관절부위(H), 무릎관절부위(K) 및 발목관절부위(A)를 포함하는 하지 관절에 적용 가능한 외골격 로봇에 적용되어 착용자의 보행을 보조한다.
For reference, the exoskeletal system 1 for supporting the lower limb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nd exemplified as including an exoskeletal robot, which is a physical assistance means. More specifically, the exoskeleton assistant exoskeleton system 1 can be applied to an exoskeletal robot applicable to the lower limbs of the human body including the hip joint region H, the knee joint region K, and the ankle joint region A. To assist the wearer ' s walking.

상기 제1보조유닛(10)은 인체(B) 즉, 착용자의 고관절부위(H)를 지지하여 5자유도 구동을 보조함으로써, 고관절부위(H)의 보행 중 회전중심을 추종하도록 보조한다. 여기서, 상기 제1보조유닛(10)의 5자유도 구동은, 요(Yaw), 롤(Roll) 및 피치(Pitch) 방향 회전과 함께 롤 및 피치 축방향 구동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보조유닛(10)은 도 3의 도시와 같이, 고관절 지지부(11), 제1고관절 구동부(12) 및 제2고관절 구동부(13)를 포함한다. The first auxiliary unit 10 assists the human body B, that is, the hip region H of the wearer to assist the five-degree-of-freedom driving, so as to follow the center of rotation during the walking of the hip joint region H. Here, the five-degree-of-freedom drive of the first sub-unit 10 includes roll and pitch axial drive together with Yaw, Roll and Pitch direction rotations. 3, the first sub-unit 10 includes a hip joint support portion 11, a first hip joint drive portion 12, and a second hip joint drive portion 13. As shown in FIG.

상기 고관절 지지부(11)는 인체(B)의 고관절부위(H)를 지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관절 지지부(11)는 인체(B)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부재(111)와 인체의 등을 지지하는 등지지부재(112)를 포함하여, 인체(B)의 고관절부위에 밀착 가능하다. The hip joint supporting portion 11 supports the hip joint portion H of the human body B. More specifically, the hip joint support portion 11 includes a waist support member 111 for supporting the waist of the human body B and a back support member 112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human body, Respectively.

상기 허리지지부재(111)는 굴곡진 허리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양단부가 소정 각도 절곡진 형상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면 혹은 천 등과 같은 부드러진 소재로 이루어져 벨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인체(B)에 고정 가능하다. 즉, 상기 허리지지부재(111)는 인체(B)의 허리에 체결될 수 있는 일종의 체결수단이다. The waist support member 111 has a shap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the waist support member 111 can be closely contacted with the curved wais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ore preferably, the waist support member 111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cotton or cloth, To be fixed to the human body (B). That is, the waist supporting member 111 is a kind of fastening means that can be fastened to the waist of the human body B.

또한, 상기 등지지부재(112)는 허리지지부재(111)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슬롯을 가지고 있어, 인체(B)의 골반 및 허리 길이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고, 등을 지지할 수 있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The back support member 112 has a slot adjust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aist support member 111. The back support member 112 is adjustable in length according to the pelvis and waist length of the human body B, And has a plate shape that can be supported.

상기 제1고관절 구동부(12)는 등지지부재(112)를 따라 롤(Roll) 방향 회전에 의한 1자유도 구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고관절 구동부(12)는 제1자유도 구동부재(121) 및 제1자유도 탄성체(122)를 포함한다. The first hinge part driving part 12 can be driven in one degree of freedom by rotating in the roll direction along the back support part 112. The first hinge drive part 12 includes a first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121 and a first degree of freedom elastic body 122.

상기 제1자유도 구동부재(121)는 등지지부재(112)를 따라 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자유도 구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1자유도 구동부재(121)는 원형의 회전체로써, 등지지부재(112)의 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1자유도 구동부재(121)는 등지지부재(112)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자유도 구동부재(121)와 등지지부재(112) 사이의 연결부위에는 수평 방향의 슬롯이 마련되어, 인체(B)의 골반 사이즈에 따라 양 고관절 롤(Roll) 축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음이 좋다. The first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12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ck support member 112 in the roll direction so that the first degree of freedom drive is possible. The first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121 is a circular rotating body, and is rotatable about an axis of the backing member 112. The first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121 is connected to the back support member 112. A horizontal slot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121 and the back support member 112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both hip joint roll axes It is good to be able to control.

상기 제1자유도 탄성체(122)는 제1자유도 구동부재(121)를 등지지부재(112)에 대해 탄성 가압한다. 이러한 제1자유도 탄성체(122)는 코일 스프링과 같은 다양한 탄성수단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유도 탄성체(122)는 고관절의 롤 축방향에 대한 회전이 발생할 경우, 평소에 선 자세로 돌아갈 수 있도록 복원력을 발생시키며, 해당 복원력으로 사용자가 안정된 선 자세로 돌아가는데 보조하는 역할을 활 수 있다. The first degree-of-freedom elastomer 122 elastically presses the first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121 against the backing member 112. The first degree of freedom elastic body 122 may include any one of various elastic means such as a coil spring. When the rotation of the hip joint in the roll axis direction occurs, the first degree-of-freedom elastic body 122 generates a restoring force to return to the normal posture, and plays a role of assisting the user in returning to a stable posture with the restoring force .

상기 제2고관절 구동부(13)는 인체(B)의 허벅지(T)에 밀착되도록 허리지지부재(111)의 양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4자유도 구동을 보조한다. 이러한 제2고관절 구동부(13)는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이,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 제3자유도 구동부재(132), 제4자유도 구동부재(133) 및 제5자유도 구동부재(13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2고관절 구동부(13)는 등지지부재(112)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날개(135)와 연결됨으로써, 등지지부재(112)에 대해 한 쌍으로 마련되어 허벅지(T)의 움직임에 연동한다.The second hinge drive part 13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waist support member 111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high T of the human body B to assist the 4-degree of freedom driv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econd hinge drive unit 13 includes a second DOF drive member 131, a third DOF drive member 132, a fourth DOF drive member 133, And a 5-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134. The second hinge drive part 13 is connected to a pair of coupling vanes 135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back support part 112 so as to be paired with respect to the back support part 112 to move the thigh T .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는 등지지부재(112)와 연결되어 인체의 허벅지(T)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요(Yaw)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자유도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는 요 축방향에 나란하게 마련되는 요 방향으로 회전되는 기둥 형상을 가진다. The secon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131 is connected to the back support member 112 and connected to be rotatable in the yaw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thigh T of the human body, so that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is also driven. Here,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131 has a columnar shape that is rotated in the yaw direction, which is provided in parallel to the yaw axis direction.

상기 제3자유도 구동부재(132)는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를 롤(Roll)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제3자유도 구동된다. 상기 제3자유도 구동부재(132)는 일종의 레일과 같이 마련되어,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와 연결된 상태로 제3자유도 구동 즉, 롤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The thir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2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1 so as to be slidable in the roll axis direction in association with the movement of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1, Freedom is also driven. The thir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2 is provided as a kind of rail and is slid in the third degree of freedom driving state, that is, in the roll axis direc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1.

상기 제4자유도 구동부재(133)는 제3자유도 구동부재(132)에 지지된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가 롤 축방향의 슬라이딩과 요 방향 회전운동 시, 허벅지 요 축에 대한 회전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피치(Pitch)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여, 제4자유도 구동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4자유도 구동부재(133)는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를 허벅지 측으로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4자유도 구동부재(133)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가 삽입되어 피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홈(136)을 구비한다. The four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3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1 supported by the thir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2 slides in the roll axis direction and rotates in the yaw direction, The fourth degree of freedom is also driven by being slidably supported in the pitch axis direction so as to hold the rotation axis. Therefore, the four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3 can bring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1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high side. As shown in FIG. 5, the four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3 has a sliding groove 136 into which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1 is inserted and can slide in the pitch axis direction.

상기 제5자유도 구동부재(134)는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와 제2보조유닛(20)의 사이를 상호 연결하되,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에 대해 피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5자유도 구동된다. 상기 제5자유도 구동부재(134)는 제5자유도축(137)을 중심으로 피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2고관절 구동부(13)의 구동을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인체(B)의 허벅지(T)에 밀착된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는 허벅지(T)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도 5의 (b)와 같이 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가 제3자유도 구동부재(132)를 따라 롤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됨과 아울러, 도 5의 (c)와 같이 피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로 인해,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가 허벅지(T)에 항시 밀착된 상태로 허벅지(T)의 회전중심의 이동을 추종하면서 구동된다. The fif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134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131 and the second auxiliary unit 2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pitc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131, So that the fifth degree of freedom is also driven. The fif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134 is rotated in the pitch direction about the fifth free sideways 137. The driving of the second haptics driving unit 13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 the secon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131 tightly attached to the thigh T of the human body B interlocks with the movement of the thigh T as shown in FIG. 5 (b)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131 is slid in the roll axis direction along the thir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132, and is slid in the pitch axis direction as shown in FIG. 5 (c).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1 is driven while following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thigh T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1 always adheres to the thigh T.

즉, 상기 제3 및 제4자유도 구동부재(132)(133)에 의해 기존 요, 롤 및 피치 방향으로 회전되는 3자유도 구동에서 롤 및 피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2자유도 구동이 추가됨으로써, 제2자유도 구동부재(131)가 인체(B)의 내부에 위치하는 수평면(Transverse plane) 상의 허벅지(T) 회전축을 추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체(B)의 허벅지(T) 두께에 따라 회전 반경이 변경되더라도, 허벅지(T)의 회전중심 추종에 따라 안정적으로 보행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 two-degree-of-freedom drive that slides in the roll and pitch axes is added in the three-degree-of-freedom drive that is rotated in the conventional yaw, roll and pitch directions by the third and fourth DOF drive members 132 and 133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131 can follow the rotation axis of the thigh T on the transverse plane located inside the human body B. [ Further, even if the turning radius is chang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thigh T of the human body B,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walking according to the follow-up of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thigh T.

상기 제2보조유닛(20)은 인체(B)의 무릎관절부위(K)를 지지하여 1자유도 구동에 의해 무릎관절부위(K)의 움직임을 보조한다. 여기서, 상기 무릎관절부위(K)는 회전 중심의 변위가 크지 않음으로써, 고정된 중심을 가진 1자유도(fixed center rotation) 구동 가능하다. The second sub-unit 20 supports the knee joint K of the human body B to assist the movement of the knee joint K by one degree of freedom drive. Here, since the displacement of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knee joint part K is not large, it is possible to drive a fixed center rotation having a fixed center.

이러한 제2보조유닛(20)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허벅지 지지부(21), 정강이 지지부(22) 및 제6자유도 구동부재(23)를 포함한다. This second sub-unit 20 includes a thigh support 21, a shank support 22 and a six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23, as shown in Fig.

상기 허벅지 지지부(21)는 인체(B)의 허벅지(T)를 지지한다. 이러한 허벅지 지지부(21)는 허벅지(T)를 지지하는 허벅지 지지대(211), 허벅지 지지대(211)와 제1보조유닛(10) 사이를 연결하는 제1조절부재(212) 및, 허벅지 지지대(211)와 제6자유도 구동부재(23) 사이를 연결하는 제2조절부재(213)를 포함한다. The thigh support part 21 supports the thigh T of the human body B. The thigh support 21 includes a thigh support 211 for supporting the thigh T, a first adjustment member 212 for connecting the thigh support 211 and the first aiding unit 10, And a second adjusting member 213 for connecting the six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23 with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23.

여기서, 상기 허벅지 지지대(211)는 허벅지(T)에 밀착하는 체결수단으로써, 허리지지부재(111)와 같이, 면 혹은 천 등의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져 벨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인체(B)에 고정 가능하다. 상기 제1조절부재(212)는 제1보조유닛(10)의 제5자유도 구동부재(134)와 연결되는 일종의 레일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조절부재(212)를 따라 허벅지 지지대(211)가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여, 인체(B)의 허벅지에 적절하게 허벅지 지지대(211)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또한, 상기 제2조절부재(213)는 허벅지 지지대(211)가 마련되는 제1조절부재(212)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인체(B)의 허벅지 길이에 따라서 제2보조유닛(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한다. The thigh support base 211 is a fastening means for tightly contacting the thigh T and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cotton or cloth such as a waist support member 111 and is fastened to the human body B by a fixing means such as a belt Fixable. The first adjusting member 212 includes a kind of rail connected to the fif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134 of the first auxiliary unit 10. The thigh support base 211 is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adjustment member 212 so that the height of the thigh support base 211 is appropriately adjusted to the thigh of the human body B. The second adjustable member 213 is adjus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adjustable member 212 provided with the thigh support 211 so that the second adjustable member 213 is adjustable along the length of the thigh of the body B, 20).

상기 정강이 지지부(22)는 인체(B)의 정강이(S)를 지지한다. 이러한 정강이 지지부(22) 또한, 정강이(S)를 지지하는 정강이 지지대(221), 제6자유도 구동부재(23)와 정강이 지지대(221) 사이를 연결하는 제3조절부재(222) 및 정강이 지지대(221)와 제3보조유닛(30)의 사이를 연결하는 제4조절부재(223)를 포함한다. The shank support part (22) supports the shank (S) of the human body (B). The shank support portion 22 also includes a shank support 221 for supporting the shank S, a third adjustment member 222 for connecting the shank support member 221 to the six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23, And a fourth adjusting member 223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auxiliary unit 221 and the third auxiliary unit 30.

상기 정강이 지지대(221)는 정강이(S)에 밀착하는 일종의 체결수단으로써, 상술한 허벅지 지지대(211)와 마찬가지로 면 혹은 천 등과 같은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벨트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인체(B)에 고정 가능하다. 상기 제3조절부재(222)는 제6자유도 구동부재(23)로부터 연장되되 정강이 지지대(221)가 제3조절부재(222)를 따라 움직임 가능하도록 레일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4조절부재(223)는 정강이 지지대(221)를 지지하는 제3조절부재(222)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정강이 지지대(221)의 높낮이가 제3 및 제4조절부재(222)(223)에 의해 조절될 수 있게 된다. The shin support 221 is a kind of fastening means closely attached to the shank S and is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cotton or cloth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thigh support stand 211 and is fastened to the human body B by a fixing means such as a belt Fixable. The third adjustment member 222 extends from the six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23 and has a rail shape such that the shank support 221 is movable along the third adjustment member 222. The fourth adjusting member 223 is adjus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third adjusting member 222 that supports the shank support 221. With this configuration, the height of the shank support 221 can be adjusted by the third and fourth adjustment members 222, 223.

상기 제6자유도 구동부재(23)는 허벅지 지지부(21)와 정강이 지지부(22)의 사이를 피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켜, 제6자유도 구동시킨다. 즉, 상기 제6자유도 구동부재(23)는 허벅지(T)와 정강이(S) 사이의 1자유도 구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허벅지 지지부(21)와 정강이 지지부(22)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제6자유도 구동부재(23)는 제2조절부재(213)와 제3조절부재(222)의 사이에 마련된다. The six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23 rotatably connects the thigh support portion 21 and the shank support portion 22 in the pitch direction to drive the sixth degree of freedom drive. That is, the six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23 rotatably connects the thigh support portion 21 and the shank support portion 22 so as to correspond to one degree of freedom drive between the thigh T and the shank S will be. The six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23 is provided between the second adjusting member 213 and the third adjusting member 222.

상기 제3보조유닛(30)은 인체(B)의 발목관절부위(A)를 지지하여 2자유도 구동에 의해 발목관절부위(A)의 움직임을 보조한다. 여기서, 상기 발목관절부위(A)는 수평면(Transverse plane) 상의 움직임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며, 수평면에 대한 고관절부위(H)의 움직임이 더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평면에 대한 자유도는 배제되어 2자유도 구동 가능한 것으로 설명한다. The third sub-unit 30 supports the ankle joint region A of the human body B and assists the movement of the ankle joint region A by driving the two degrees of freedom. Here, since the motion of the ankle joint region (A) hardly occurs on the transverse plane and the motion of the hip joint region (H) on the horizontal plane has a greater influence, the degree of freedom on the horizontal plane is excluded, Explain as possible.

이러한 제3보조유닛(30)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받침부(31), 하중 지지부(32) 및 연결부(33)를 포함한다. This third sub-unit 3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31, a load supporting portion 32 and a connecting portion 33 as shown in Fig.

상기 받침부(31)는 인체(B)의 발목관절부위(A)를 지지한다. 상기 받침부(31)는 이를 위해, 인체(B)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제1받침대(311), 인체(B)의 발뒤꿈치에 밀착되는 제2받침대(312) 및 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제7자유도 구동부재(313)를 포함한다. The support portion 31 supports the ankle joint region A of the human body B. To this end, the receiving portion 31 includes a first pedestal 311 for supporting the sole of the human body B, a second pedestal 312 for tightly contacting the heel of the human body B,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313.

구체적으로, 상기 제1받침대(311)는 발바닥이 놓여질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제2받침대(312)는 제1받침대(311)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발뒤꿈치에 밀착된다. 상기 제7자유도 구동부재(313)는 제2받침대(312)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연장되며, 연결부(33)에 대해 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즉, 상기 제7자유도 구동부재(313)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일단은 제2받침대(312)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연결부(33)에 대해 롤 방향 회전 가능함으로써, 제7자유도 구동 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first pedestal 311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so that the soles thereof can be placed thereon, and the second pedestal 312 is provided to extend vertically upward from the first pedestal 31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heel . The seventh-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313 ext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djustable from the second pedestal 312 and is rotatable in the rol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33. That is, the seventh-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313 has a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pedestal 312, and the other end is rotatable in the rol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33, The seventh degree of freedom is drivable.

상기 하중 지지부(32)는 제2보조유닛(20)으로부터 연장되며, 받침부(31)에 가해지는 자중에 의한 처짐을 지지한다. 상기 하중 지지부(32)는 하중 지지대(321) 및 탄성 지지대(322)를 포함한다. The load supporting portion 32 extends from the second sub-unit 20 and supports sag due to its own weight applied to the receiving portion 31. [ The load supporting portion 32 includes a load supporting member 321 and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322.

상기 하중 지지대(321)는 제2보조유닛(20)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중 지지대(321)는 제2보조유닛(20)의 정강이 지지부(22)로부터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4조절부재(223)와 연결된다. 이러한 하중 지지대(321)는 일종의 프레임으로써, 내부에 탄성 지지대(322)가 내장된다. 상기 탄성 지지대(322)는 자중을 흡수하도록 하중 지지대(321)를 탄성 지지한다. The load support base 321 is provid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sub-unit 20. More specifically, the load support member 321 is connected to the fourth adjustment member 223 so as to exten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shank support portion 22 of the second sub-unit 20. The load support base 321 is a kind of frame, and the elastic support base 322 is embedded therein. The elastic support table 322 elastically supports the load support table 321 to absorb its own weight.

상기 연결부(33)는 받침부(31)와 하중 지지부(32)의 사이를 상호 연결하며, 길이 조절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33)는 제1 내지 제3연결대(331)(332)(333)를 포함한다. The connecting portion 33 interconnects the receiving portion 31 and the load supporting portion 32 and is adjustable in length. The connecting portion 33 includes first to third connecting portions 331, 332, and 333.

상기 제1연결대(331)는 받침부(31)로부터 제7자유도 구동을 위해, 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대(331)는 받침부(31)의 제7자유도 구동부재(313)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프레임이다. The first linkage 331 is rotatably connected in the roll direction for the seventh-degree of freedom drive from the receiving portion 31. [ Here, the first linkage 331 is a frame connect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seventh degree-of-freedom drive member 313 of the receiving unit 31.

상기 제2연결대(332)는 하중 지지부(32)에 대해 피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8자유도 구동 가능하다. 이러한 제2연결대(332)는 하중 지지부(32)의 하중 지지대(321)에 대해 교차하는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프레임이다. The second linking part 33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ad supporting part 32 in the pitch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drive the eighth degree of freedom. The second linkage 332 is a frame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ad support 321 of the load support portion 32.

상기 제3연결대(333)는 제1 및 제2연결대(331)(332)의 사이에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3연결대(333)는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제1 및 제2연결대(331)(332)이 사이를 연결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제3연결대(333)에 대해 제1 및 제2연결대(331)(332)가 각각 연결되는 위치를 조정하여, 받침부(31)와 하중 지지부(32)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착용자의 인체(B) 사이즈에 대응하여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third linking part 333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inking parts 331 and 332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The third link 333 is a frame that is folded in a "? &Quot; shape and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linkages 331 and 332.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ing portions 331 and 332 are adjus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31 and the load supporting portion 32 is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third connecting rod 333, The size can be adjuste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human body (B).

상기 구동유닛(40)은 제1 내지 제3보조유닛(10)(20)(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부착된 관절부위의 동작에 필요한 토크를 부가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40)의 토크는 착용자의 보행시에 필요한 방향으로 적용된 관절을 회전시킨다. 즉, 착용자의 근력이 부족하여도, 구동유닛(40)의 구동력에 의해 정상인과 같은 보행 운동이 가능하도록 토크를 부가하는 것이다. The drive unit 40 is detach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sub-units 10, 20, and 30, and adds a torque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attached joint part. Here, the torque of the drive unit 40 rotates the applied joint in the direction required by the wearer. That is, even if the wearer's muscle strength is insufficient, the torque is add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e unit 40 to enable the same walking motion as that of a normal person.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조유닛(10)과 제2보조유닛(20)에 구동유닛(40)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한다.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driving unit 40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ub-units 10 and 20 .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와 같이 인체(B)의 고관절부위(H)를 지지하는 제1보조유닛(10)의 제2고관절 구동부(13)에 대해 구동유닛(40)이 토크를 부가하도록 연결 가능하다. 또한, 도 8의 (b)와 같이 인체(B)의 무릎관절부위(K)를 지지하여 보조하는 제2보조유닛(20)의 제6자유도 구동부재(23)에 구동유닛(40)이 구동력 토크를 부가하기 위해 연결 가능하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a), the drive unit 40 applies torque to the second hip joint drive unit 13 of the first sub-unit 10 supporting the hip joint region H of the human body B Lt; / RTI > 8 (b), the drive unit 40 is attached to the six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23 of the second sub-unit 20 that assists in supporting the knee joint K of the human body B It is connectable to add a driving force torque.

여기서, 상기 구동유닛(40)은 구동력 발생을 위한 모터(41) 및 구동력 제어를 위한 드라이버(42)를 각각 포함하도록 복수개 마련된다. 이때, 상기 복수로 마련되는 구동유닛(40)은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토크 발생이 가능하다. Here, the drive unit 4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tors 41 for generating driving force and a driver 42 for driving force control,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drive units 40 can generate torques of different sizes.

그로 인해, 상대적으로 큰 보조 구동력이 필요한 관절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큰 토크 발생이 가능한 구동유닛(40)이 연결되거나 구동력 보조가 필요하지 않는 관절부위에 대해서는 구동유닛(40)을 제거하는 것과 같이, 착용자 조건에 따라 구동유닛(40)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시스템 무게를 줄여 착용자에 따라 최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As a result, as in the case where the drive unit 40 capable of generating a relatively large torque is connected to a joint requiring a relatively large auxiliary driving force, or the drive unit 40 is removed for a joint part in which a driving force assist is not required, The driving unit 40 can be easily replac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so that unnecessary weight of the system can be reduced and optimum configuration can be achieved according to the wearer.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3보조유닛(10)(20)(30)에 대해 구동유닛(40)이 모두 제거되더라도 제1 내지 제3보조유닛(10)(20)(30)은 착용자 스스로의 보행력에 의해 구동 가능하다.
Even if all the drive units 40 are removed from the first to third sub-units 10, 20 and 30, the first to third sub-units 10, 20, It can be driven by walking power.

참고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한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1)은 자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시상면(Sagittal plane)의 회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엔코더(E)와 자세측정을 위한 자세추정시스템(Attitude Heading Reference System, AHRS)(미도시), 허벅지 및 정강이에 체결되는 체결수단에 부착되어 착용자와의 접촉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 등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보행 운동 평가용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exoskeleton system 1 for supporting the lower lim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ncoder E capable of measuring a rotation angle of a sagittal plane and a posture estimation A system (Attitude Heading Reference System, AHRS) (not shown), a sensor (not shown) attached to a fastening means to be fastened to the thigh and the shank to measure the contact force with the wearer, It can also be used as a devi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10: 제1보조유닛
11: 고관절 지지부 12: 제1고관절 구동부
13: 제2고관절 구동부 20: 제2보조유닛
21: 허벅지 지지부 22: 정강이 지지부
23: 제6자유도 구동부재 30: 제3보조유닛
31: 받침부 32: 하중 지지부
33: 연결부 40: 구동유닛
B: 인체 H: 고관절부위
K: 무릎관절부위 A: 발목관절부위
1: Exoskeleton system for lower limb assist system 10: First auxiliary unit
11: hip joint supporting part 12: first hip joint driving part
13: second hip joint driving part 20: second auxiliary unit
21: thigh support 22: shank support
23: six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30: third auxiliary unit
31: Support part 32: Load supporting part
33: connection part 40: drive unit
B: Human body H: Hip joint area
K: knee joint region A: ankle joint region

Claims (20)

인체의 고관절부위를 지지하여, 5자유도 구동에 의해 인체의 고관절부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1보조유닛;
상기 인체의 무릎관절부위를 지지하여, 1자유도 구동에 의해 상기 무릎관절부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2보조유닛;
상기 인체의 발목관절부위를 지지하여, 2자유도 구동에 의해 상기 발목관절부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3보조유닛; 및
상기 제1 내지 제3보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제1보조유닛은,
상기 인체의 허리를 지지하는 허리지지부재와 상기 인체의 등을 지지하는 등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인체의 고관절부위에 밀착 가능한 고관절 지지부;
상기 등지지부재를 따라 롤(roll) 방향 회전에 의한 제1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1고관절 구동부; 및
상기 인체의 허벅지에 밀착되도록 상기 허리지지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허벅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1 내지 제4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2고관절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관절 구동부는,
상기 등지지부재를 따라 롤(Roll)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1자유도 구동부재; 및
상기 제1자유도 구동부재를 상기 등지지부재에 대해 탄성 가압하는 제1자유도 탄성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관절 구동부는,
상기 등지지부재와 연결되어 요(Yaw)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2자유도 구동부재;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를 롤(Roll)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제3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3자유도 구동부재;
상기 제3자유도 구동부재에 지지된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가 상기 롤 축방향의 슬라이딩과 상기 요 방향의 회전운동 시, 상기 허벅지의 요 축에 대한 회전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피치(Pitch)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제4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4자유도 구동부재; 및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와 상기 제2보조유닛 사이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제2자유도 구동부재에 대해 피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5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5자유도 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A first auxiliary unit for supporting the hip region of the human body and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hip region of the human body by the 5 degrees of freedom drive;
A second auxiliary unit for supporting the knee joint part of the human body and assisting movement of the knee joint part by one degree of freedom drive;
A third auxiliary unit for supporting the ankle joint part of the human body and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ankle joint part by two degrees of freedom drive; And
A drive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sub-units to provide a driving force;
≪ / RTI >
Wherein the first sub-
A hips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human body and a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human body and being able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ip of the human body;
A first hip joint driving part capable of being driven in a first degree of freedom by a roll direction rotation along the back support; And
A second hip joint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waist supporting member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high of the human body and capable of driving first to fourth degrees of freedom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the thigh;
Lt; / RTI >
Wherein the first hinge part comprises:
A first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backing member in a roll direction, the first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being rotatable in a roll direction; And
A first degree of freedom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first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against the back support member;
Lt; / RTI >
And the second hippen-
A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connected to the back support member and rotatably connected in the yaw direction,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being capable of being driven by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A thir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slidably supporting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in a direction of a roll axis to enable the third degree of freedom driving;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supported by the thir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pitch so as to maintain a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yaw axis of the thigh during sliding in the roll axis direction and rotational movement in the yaw direction, A fourth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which is slidably support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capable of driving the fourth degree of freedom; And
A fifth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and the second auxiliary unit, the fifth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in a pitch direction;
An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extremiti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유닛은,
상기 인체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 지지부;
상기 인체의 정강이를 지지하는 정강이 지지부; 및
상기 허벅지 지지부와 정강이 지지부 사이를 피치(Pitch)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제6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6자유도 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sub-
A thigh support for supporting the thigh of the human body;
A shank support part for supporting a shank of the human body; And
A six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rotatably connecting the thigh support part and the shank support part in a pitch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drive the sixth degree of freedom drive;
An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extremiti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허벅지 지지부는,
상기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 지지대;
상기 허벅지 지지대와 상기 제1보조유닛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허벅지 지지대를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조절부재; 및
상기 허벅지 지지대와 상기 제6자유도 구동부재 사이를 연결하며,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제2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thigh-
A thigh support for supporting the thigh;
A first adjusting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thigh support and the first sub-unit and movably supporting the thigh suppo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adjustable member connecting the thigh support and the six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and adjus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extremiti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강이 지지대는,
상기 정강이를 지지하는 정강이 지지대;
상기 제6자유도 구동부재와 상기 정강이 지지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정강이 지지대를 길이 방향으로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3조절부재; 및
상기 정강이 지지대와 제3보조유닛 사이를 연결하며,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제4조절부재;
를 포함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hank support,
A shank support for supporting the shank;
A third adjusting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six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and the shank support and supporting the shank suppo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ourth adjustment member connecting between the shank support and the third sub-unit and adjus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extremit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보조유닛은,
상기 인체의 발목관절부위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제2보조유닛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받침부에 가해지는 자중에 의한 처짐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와 하중 지지부 사이를 상호 연결하며, 길이 조절 가능한 연결부;
를 포함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sub-
A pedestal supporting an ankle joint portion of the human body;
A load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ub-unit and supporting sag due to self weight applied to the receiving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interconnect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load supporting portion, the connecting portion being adjustable in length;
An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extremiti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인체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제1받침대;
상기 인체의 발뒤꿈치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받침대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받침대; 및
상기 제2받침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연장되며, 상기 연결부에 대해 롤(Roll)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제7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7자유도 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0030]
A first pedestal supporting the sole of the human body;
A second pedestal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first pedestal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el of the human body; And
A seventh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that is adjustably exten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second pedestal, is rotatable in a rol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necting portion, and is capable of being driven by a seventh degree of freedom;
An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extremiti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부는,
상기 제2보조유닛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중 지지대; 및
상기 자중을 흡수하도록 상기 하중 지지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하중 지지대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 지지대;
를 포함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load-
A load suppor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second sub-unit; And
An elastic support provided inside the load support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ad support to absorb the self weight;
An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extremiti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받침부에 대해 롤(Roll)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7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1연결대;
상기 하중 지지부에 대해 피치(Pitch)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8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2연결대; 및
상기 제1 및 제2연결대 사이에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대;
를 포함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necting portion
A first connecting rod rotatab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portion in a roll direction and capable of being driven in a seventh degree of freedom;
A second connecting rod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ad supporting portion in a pitch direction and capable of being driven in an eighth degree of freedom; And
A third connecting rod that is adjustab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rods;
An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extremiti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각각 서로 다른 토크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보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 가능한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e unit has a different torque magnitude and is connectable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sub-unit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보조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13.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rive unit is detachably connectable to the first and second sub-units.
인체의 고관절부위를 지지하여, 요(Yaw), 롤(Roll) 및 피치(Pitch) 방향 회전과 함께 롤 및 피치 축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고관절부위의 보행 중 회전중심을 추종하도록 보조하는 제1보조유닛;
상기 인체의 무릎관절부위를 지지하여, 상기 피치 방향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무릎관절부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2보조유닛; 및
상기 인체의 발목관절부위를 지지하여, 상기 피치 및 롤 방향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발목관절부위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제3보조유닛;
을 포함하되,
상기 제1보조유닛은,
상기 인체의 고관절부위를 지지하는 고관절 지지부;
상기 고관절 지지부에 대해 상기 롤 방향 회전에 의해 제1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1고관절 구동부; 및
상기 인체의 허벅지에 밀착되도록 상기 고관절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허벅지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1 내지 제4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2고관절 구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고관절 구동부는,
상기 고관절 지지부에 대해 상기 롤 방향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제1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1자유도 구동부재; 및
상기 제1자유도 구동부재를 상기 고관절 지지부에 대해 탄성 가압하는 제1자유도 탄성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관절 구동부는,
상기 고관절 지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2자유도 구동부재;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를 상기 롤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제3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3자유도 구동부재;
상기 제3자유도 구동부재에 지지된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가 상기 롤 축방향의 슬라이딩과 상기 요 방향의 회전운동 시, 상기 허벅지의 요 축에 대한 회전축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피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제4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4자유도 구동부재; 및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와 상기 제2보조유닛 사이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제2자유도 구동부재에 대해 상기 피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5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5자유도 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A first assistant that supports the hip of the human body and is driven in the roll and pitch axis direction together with the yaw, roll and pitch rotations to assist in tracking the center of rotation during the walking of the hip joint unit;
A second sub-unit supporting the knee joint part of the human body and assisting movement of the knee joint part by the pitch direction rotational drive; And
A third auxiliary unit for supporting the ankle joint part of the human body and assisting the movement of the ankle joint part by the pitch and roll rotation driving;
≪ / RTI >
Wherein the first sub-
A hip joint supporting part for supporting the hip joint of the human body;
A first hip joint driving part capable of being driven in a first degree of freedom by the roll direction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hip joint supporting part; And
A second hip joint driving part connected to the hip joint supporting part so as to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thigh of the human body and capable of driving first to fourth degrees of freedom in conjunction with movement of the thigh;
Lt; / RTI >
Wherein the first hinge part comprises:
A first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hip joint support portion in the roll direction; And
A first degree of freedom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pressing the first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against the hip joint support portion;
Lt; / RTI >
And the second hippen-
A secon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connected to the hip joint support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yaw direction and capable of being driven by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A third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capable of slidably supporting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in the roll axis direction and driving the third degree of freedom;
Wherein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supported by the thir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is disposed in the pitch axis direction so as to maintain the rotation axis with respect to the yaw axis of the thigh during sliding in the roll axis direction and rotational movement in the yaw direction, So as to be slidable
A fourth degree of freedom drive member capable of being driven by the fourth degree of freedom drive; And
A fif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that interconnects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and the second auxiliary unit a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in the pitch direction and is capable of being driven by a fifth degree of freedom;
An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extremiti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보조유닛은,
상기 인체의 허벅지를 지지하는 허벅지 지지부;
상기 인체의 정강이를 지지하는 정강이 지지부; 및
상기 허벅지 지지부와 정강이 지지부 사이를 상기 피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제6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6자유도 구동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허벅지 지지부 및 정강이 지지부는 각각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second sub-
A thigh support for supporting the thigh of the human body;
A shank support part for supporting a shank of the human body; And
A sixth degree of freedom driving member rotatably connecting the thigh support part and the shank support part in the pitch direction and being capable of being driven by a sixth degree of freedom drive;
/ RTI >
Wherein the thigh support portion and the shin support portion are each adjustable in heigh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보조유닛은,
상기 인체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제1받침대, 상기 인체의 발뒤꿈치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1받침대로부터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받침대 및 상기 제2받침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게 연장되며 상기 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제7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7자유도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인체의 발목관절부위를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제2보조유닛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중 지지대 및 상기 받침부에 가해지는 자중을 흡수하도록 상기 하중 지지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하중 지지대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하여, 상기 받침부에 가해지는 자중에 의한 처짐을 지지하는 하중 지지부; 및
상기 받침부의 제7자유도 구동부재에 대해 상기 롤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7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1연결대, 상기 하중 지지대에 대해 상기 피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8자유도 구동 가능한 제2연결대 및 상기 제1 및 제2연결대 사이에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대를 포함하여, 상기 받침부와 하중 지지부 사이를 길이 조절 가능하게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third sub-
A second pedestal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first pedestal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heel of the human body; and a second pedestal extending from the second pedestal so as to be adjust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venth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rotatable by a seventh degree of freedom, the supporting portion supporting the ankle joint portion of the human body rotatably in the roll direction;
A load supporting bas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the second sub-unit, and an elastic support provided inside the load supporting base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ad supporting base to absorb a self weight applied to the receiving base, A load supporting portion for supporting sag due to its own weight; And
A first connecting ro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eventh degree-of-freedom driving member of the receiving portion in a rol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be driven in a seventh degree of freedom, a second connecting rod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ad- A second connecting rod, and a third connecting rod that is adjustab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rod and the second connecting rod, the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load supporting portion in a length-adjustable manner;
An exoskeleton system for supporting the lower extremities.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보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유닛은 각각 서로 다른 토크 크기를 가지고 상기 제1 내지 제3보조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 가능하도록 복수개 마련되는 하지 관절 보조용 외골격 시스템.
15. The method of claim 14,
A drive unit detachably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sub-units to provide a driving force;
/ RTI >
Wherein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each having a different torque magnitude and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to third auxiliary units.
KR1020170014917A 2017-02-02 2017-02-02 Exoskeleton system for assisting lower limb joints Expired - Fee Related KR101937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917A KR101937012B1 (en) 2017-02-02 2017-02-02 Exoskeleton system for assisting lower limb joi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917A KR101937012B1 (en) 2017-02-02 2017-02-02 Exoskeleton system for assisting lower limb joi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031A KR20180090031A (en) 2018-08-10
KR101937012B1 true KR101937012B1 (en) 2019-04-03

Family

ID=6322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917A Expired - Fee Related KR101937012B1 (en) 2017-02-02 2017-02-02 Exoskeleton system for assisting lower limb joi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01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983B1 (en) 2021-05-20 2021-08-24 (주)동아금속 Lower extremity exoskeleton robotic device
KR102305924B1 (en) * 2020-04-21 2021-09-30 주식회사 엠디로봇 robot device for upper and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3450B (en) * 2018-08-30 2020-12-01 佛山市顺德区孝德嘉医疗科技有限公司 Robot convenient to patient's installation
KR102199022B1 (en) * 2018-10-04 2021-01-06 국방과학연구소 Measuring device for lower limb movements of exoskeleton robot
CN109676582B (en) * 2018-11-29 2023-12-08 河北工业大学 Exoskeleton anti-slip seat for assisting sitting of lower limbs
CN109676585A (en) * 2018-12-19 2019-04-26 江苏集萃智能制造技术研究所有限公司 A kind of hip based on booster, knee joint assistance exoskeleton mechanism
CN109568090A (en) * 2019-01-24 2019-04-05 中国科学技术大学 A kind of lower limb exoskeleton to jump
CN110063875B (en) * 2019-05-22 2021-05-18 东北大学 Exoskeleton robot for whole-body rehabilitation training
KR102162975B1 (en) * 2019-07-10 2020-10-07 김우정 walking supporter for paraplegia men
CN110315513B (en) * 2019-08-06 2024-01-16 河北工业大学 Lower limb exoskeleton robot
CN110613586B (en) * 2019-09-17 2025-01-28 中北大学 Lower limb rehabilitation robot
US12097158B2 (en) * 2019-11-15 2024-09-24 H Robotics Inc.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upper and lower limbs
WO2021096129A1 (en) * 2019-11-15 2021-05-20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upper and lower limbs
US11992447B2 (en) * 2019-11-15 2024-05-28 H Robotics Inc. Rehabilitation exercise device for upper and lower limbs
CN111568704B (en) * 2020-05-20 2024-05-17 中国科学院苏州生物医学工程技术研究所 Lower limb rehabilitation exoskeleton based on rope transmission
KR102356908B1 (en) * 2020-07-01 2022-02-07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Wearable assisting device
KR102369074B1 (en) * 2020-07-07 2022-03-02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Wearable assisting device
CN112276909B (en) * 2020-10-23 2021-11-30 燕山大学 Self-adaptive knee joint power assisting device
CN112754871A (en) * 2020-12-03 2021-05-07 广西科技大学 Detachable removal low limbs ectoskeleton rehabilitation robot
WO2023027226A1 (en) * 2021-08-23 2023-03-02 한국로봇융합연구원 Muscular strength assisting module and auxiliary force supporting wearable suit
CN116118894B (en) * 2021-11-15 2024-06-0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Hip joint assembly and robot
CN115252372A (en) * 2022-08-17 2022-11-01 北京航空航天大学 A hip joint exoskeleton motion assist system and multi-redundant degrees of freedom joint assembly
CN115556078B (en) * 2022-10-28 2025-02-07 西安建筑科技大学 A wearable flexible follow-up power-assisted exoskeleton auxiliary device
KR102788036B1 (en) * 2023-08-30 2025-03-31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Wearable Robot Ankle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0619A (en) * 2013-10-23 2015-04-27 学校法人東京理科大学 Leg aiding equipment
JP2016064021A (en) * 2014-09-25 2016-04-28 Tmcシステム株式会社 Motion suppor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92908A1 (en) 2007-05-24 2008-11-27 Fujitsu Limited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medium, method of manufacturing perpendicular magnetic recording medium, and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JP5713406B2 (en) 2008-12-02 2015-05-07 クール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System for delivery of respiratory gases with fine ice particles
KR101074754B1 (en) * 2009-02-23 2011-10-19 주식회사 피앤에스미캐닉스 An walk aid robot
KR101287346B1 (en) * 2013-02-20 2013-07-23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Wearable robot to assist muscular strengt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0619A (en) * 2013-10-23 2015-04-27 学校法人東京理科大学 Leg aiding equipment
JP2016064021A (en) * 2014-09-25 2016-04-28 Tmcシステム株式会社 Motion support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924B1 (en) * 2020-04-21 2021-09-30 주식회사 엠디로봇 robot device for upper and lower extremity rehabilitation
KR102292983B1 (en) 2021-05-20 2021-08-24 (주)동아금속 Lower extremity exoskeleton robot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031A (en) 2018-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012B1 (en) Exoskeleton system for assisting lower limb joints
CN101589983B (en) Wearable lower limb exoskeleton device
Bahrami et al. Biomechanical analysis of sit-to-stand transfer in healthy and paraplegic subjects
JP5986629B2 (en) Torso-supporting exoskeleton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953324B1 (en) Shoulder module for exoskeleton structures
CN109070339B (en) Foot module for exoskeleton structure
CN109070336B (en) The ectoskeleton structure that power assists is provided to user
CN107847333B (en) Universal tensioned monolithic joint for human exoskeletons
KR101711759B1 (en) Wearable exoskeleton robot for assistance exoskeletal power
JP6883660B2 (en) Auxiliary tool for force balancing
JP6647225B2 (en) Leg straightening device and straightening device
KR101363834B1 (en) Assistance apparatus for movement of ankle joint
KR101983377B1 (en) Motion assist apparatus
US8968223B2 (en) Motion assist device
JP6390991B2 (en) Joint aid
CN113580100B (en) Passive load-bearing motorized exoskeleton
JP6120421B2 (en) Walking support machine
US20220401284A1 (en) System for guiding motions of a target joint
CN113163956A (en) Wearable chair with truss structure
RU2665386C1 (en) Passive rehabilitation exoskeleton
JP4112543B2 (en) Walking assist device
CN111683794B (en) exoskeleton structure
Park et al. A passive shoulder joint tracking device for effective upper limb rehabilitation
KR101497672B1 (en) Multi-dof ring typed leg supporting structure for robot suit
KR20220098532A (en) Wearable Assistanc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