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6612B1 -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 구조 - Google Patents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6612B1
KR101936612B1 KR1020170143614A KR20170143614A KR101936612B1 KR 101936612 B1 KR101936612 B1 KR 101936612B1 KR 1020170143614 A KR1020170143614 A KR 1020170143614A KR 20170143614 A KR20170143614 A KR 20170143614A KR 101936612 B1 KR101936612 B1 KR 101936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ing belt
belt pulley
pulley
present
tim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재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엠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엠지 filed Critical (주)에스엠지
Priority to KR1020170143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6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6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66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16H7/023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with belts having a toothed contact surface or regularly spaced bosses or hollows for slipless or nearly slipless meshing with complementary profiled contact surface of a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00Driving-belts
    • F16G1/28Driving-belts with a contact surface of special shape, e.g. toot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lley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타이밍 벨트 풀리 및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는 타이밍 벨트에 있어서, 일정 폭을 갖는 타이밍 벨트 풀리(20)의 외주면에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는 헤링본 타입의 치형(200)이 형성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20)에 형성되는 헤링본 타입의 치형(200)에 대응하는 헤링본 타입의 치형(300)이 형성되는 타이밍 벨트(30)를 포함하여 자동 정렬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20)에는 수평연결부(210), 압착공기 방출홈(220), 제1 냉각홀(230), 제2 냉각홀(240, 240a)을 구비하여 진동, 소음 및 발열을 저감시켜 구동장치의 신뢰성을 높이며, 타이밍 벨트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 구조{STRUCTURE OF TIMING BELT PULLEY AND TIMING BELT}
본 발명은 구동하는 하나의 샤프트의 회전력을 다른 하나의 샤프트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용으로 사용되는 타이밍 벨트 풀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타이밍 벨트 풀리의 구조를 개선하여, 타이밍 벨트 풀리와 타이밍 벨트의 자체 위치 정렬 기능과 함께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고, 외부에서 발생된 열이 샤프트와 타이밍 벨트 풀리를 통해 타이밍 벨트에 전달되거나, 또는 타이밍 벨트 풀리와 타이밍 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열을 저감시킴으로써 열응력에 대응하여 타이밍 벨트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켜줄 수 있는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풀리(pulley)는 V벨트 등을 사용하여 동력을 전달할 때 사용하는 동력전달장치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V벨트 등을 이용하는 벨트풀리는 벨트가 면접촉을 하게 됨에 따라, 접촉면에서 슬립현상이 발생하여 동력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되거나, 마찰열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동풀리에서 정확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타이밍 벨트가 있다.
일반적으로 타이밍 벨트는 풀리와 맞물리는 톱니(cog)가 형성되는 것으로, 클로로필렌 등과 같은 합성고무의 내부에 글라스화이버, 또는 강철 와이어와 같이 신축되기 어려우면서 유연성이 있는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접촉 마찰면에서의 슬립을 최소화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전동요소이다.
이러한 타이밍 벨트는, 예를 들면, 엔진에서 크랭크축에 장착된 타이밍 기어와 캠축에 장착된 타이밍 기어를 연결하여,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와 연료의 혼합기가 연소할 때 배기가스의 흡입·배기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크랭크축의 회전에 따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며, 밸브의 열림과 닫힘을 가능하게 하는 캠축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밖에 오일펌프와 같은 보조기기를 구동할 때도 이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타이밍 벨트 풀리에 타이밍 벨트가 설치된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타이밍 벨트 풀리(10)는 이뿌리원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치형(100)이 축방향에 나란하게 동일한 피치를 두고 형성되는 평기어로 형성되며, 타이밍 벨트(20) 또한, 상기 축방향에 나란한 평기어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치형(120)이 동일한 피치를 두고 형성된다.
이렇게 평기어의 형태로 되는 타이밍 벨트는 구동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타이밍 벨트의 치형 사이에서 여전히 슬립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소음과 진동이 증가하게 되고, 타이밍 벨트의 편마모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는 고속으로 구동하는 경우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로 풀리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플랜지(101, 102)를 돌출형성하여 타이밍 벨트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특히, 차량 엔진의 밸브구동에 사용되는 타이밍 벨트는 엔진의 고열이 전달됨으로써 열에 의해 고화되면서 탄력성이 저하되면서 사용수명이 단축되게 된다.
타이밍 벨트의 종류는 고무벨트가 가장 많고, 쇠로 만든 체인·기어 형식도 있다. 고무로 만든 타이밍벨트는 거의 모든 일반 승용차량에 적용되고, 체인 형식과 기어 형식은 일부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차량에 사용되는 타이밍 벨트는 평균수명은 보통 주행거리 6만~10만㎞이다. 타이밍 벨트가 느슨해지면 점화 시기가 부정확해지고, 엔진 출력이 저하된다.
또한, 끊어질 경우에는 시동이 꺼져 운행이 불가능하고, 실린더 헤드가 손상되는 등 여러가지 위험이 생기게 된다
특히, 운행 중에 타이밍 벨트가 끊어질 경우에는 응급조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타이밍 벨트의 수명과 안정성은 중요하게 인식되어져야 한다.
또한, 고속회전시 타이밍 벨트 풀리와 타이밍 벨트의 치형이 이맞물림 되면서 순간적인 공기압축이 연속적으로 발생하고, 이러한 압축력이 타이밍 벨트의 떨림을 일으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타이밍 벨트 풀리와 타이밍 벨트의 접촉면에서 마찰열이 발생하거나 외부의 열이 타이밍 벨트에 전달되어 타이밍 벨트가 고화되면서 타이밍 벨트의 사용수명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고속으로 구동하는 타이밍 벨트는 진동, 소음 및 과열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필요로 한다.
KR 20-0245461 (2001. 08. 25.) KR 20-1998-017711 (1998. 07. 06.)
본 발명의 목적은 헤링본 타입의 치형에 의하여 자체 위치 정렬 기능을 구비하며, 타이밍 벨트 풀리에서 타이밍 벨트가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게 됨으로써, 정확한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되고, 소음과 진동이 방지되어 구동장치의 신뢰도를 높여줄 수 있는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헤링본 타입의 치형에 의하여 자체 위치 정렬 기능을 구비하며, 타이밍 벨트 풀리에서 타이밍 벨트가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게 됨으로써, 타이밍 벨트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타이밍 벨트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켜줄 수 있는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한 경사각도를 형성하는 헤링본 타입의 치형을 벨트 풀리의 중앙 부위에서 수평상으로 연결하여 타이밍 벨트의 접촉 면압을 분산시켜서 타이밍 벨트에 작용하는 국부적 인장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밍 벨트 풀리와 타이밍 벨트가 접촉하는 이끝 부위에서 마찰을 감소시키고, 압착되는 공기가 쉽게 배출되면서, 냉각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되어, 타이밍 벨트의 구동성이 향상되는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이밍 벨트 풀리의 양쪽 측면에 냉각홀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발생된 열이 샤프트와 풀리를 통해 타이밍 벨트에 전달되거나, 또는 풀리와 타이밍 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열을 저감시킴으로써, 열응력에 대응하여 타이밍 벨트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한 쌍의 타이밍 벨트 풀리 및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는 타이밍 벨트에 있어서, 일정 폭을 갖는 타이밍 벨트 풀리의 외주면에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는 헤링본 타입의 치형이 형성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에 형성되는 헤링본 타입의 치형에 대응하는 헤링본 타입의 치형이 형성되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하여 자동 정렬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헤링본 타입의 치형은 인벌류트(involute)곡선, 또는, 사이클로이드(cycloid)곡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정한 경사각도를 형성하는 헤링본 타입의 치형이 타이밍 벨트 풀리의 중앙 부위에 형성되는 수평 연결부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타이밍 벨트의 접촉 면압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타이밍 벨트 풀리와 타이밍 벨트가 접촉하는 이끝 부위에 양쪽 치면을 관통하는 압착공기 배출홈이 형성되어 압착되는 공기가 배출되며 냉각효과를 나타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타이밍 벨트 풀리의 양쪽 측면에서 치형의 중앙에 제1 냉각홀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발생된 열이 샤프트와 풀리를 통해 타이밍 벨트에 전달되는 열을 저감시키게 됨과 동시에, 타이밍 벨트 풀리와 타이밍 벨트 풀리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저감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타이밍 벨트 풀리의 양쪽 측면에 원주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제2 냉각홀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발생된 열이 샤프트와 풀리를 통해 타이밍 벨트에 전달되는 열을 저감시킴과 함께, 타이밍 벨트 풀리와 타이밍 벨트 풀리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저감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링본 타입의 치형이 형성하는 피치 간격은 5~14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링본 타입의 치형의 높이는 0.5×모듈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링본 타입의 치형은 어덴덤과 디덴덤의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헤링본 타입의 치형은 비틀림 각도가 20~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타이밍 벨트 풀리의 외주면 중심부로부터 타이밍 벨트가 이탈되지 않게 되어 타이밍 벨트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소음과 진동을 방지하며 정확한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며, 타이밍 벨트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켜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링본 타입의 치형에 의하여 자체 위치 정렬 기능이 있어서, 타이밍 벨트 풀리에서 타이밍 벨트가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게 됨으로써, 정확한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되고, 소음과 진동이 방지되어 구동장치의 신뢰도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링본 타입의 치형에 의하여 자체 위치 정렬 기능이 있어서, 타이밍 벨트 풀리에서 타이밍 벨트가 어느 한쪽으로 편중되지 않게 됨으로써, 타이밍 벨트의 편마모를 방지하여 타이밍 벨트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정한 경사각도를 형성하는 헤링본 타입의 치형이 벨트 풀리의 중앙 부위에서 수평상으로 연결되어 타이밍 벨트의 접촉 면압을 분산시켜서 타이밍 벨트에 작용하는 국부적 인장응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이밍 벨트 풀리와 타이밍 벨트가 접촉하는 이끝 부위에서 마찰을 감소시키면서 압착되는 공기가 쉽게 배출되며 냉각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되어 타이밍 벨트의 구동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타이밍 벨트 풀리의 양쪽 측면에 냉각홀이 형성되어 외부에서 발생된 열이 샤프트와 풀리를 통해 타이밍 벨트에 전달되거나, 또는 풀리와 타이밍 벨트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열을 저감시킴으로써 열응력에 의해 타이밍 벨트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타이밍 벨트 풀리에 타이밍 벨트가 설치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타이밍 벨트 풀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타이밍 벨트 풀리어와 타이밍 벨트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타이밍 벨트 풀리어와 타이밍 벨트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일부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타이밍 벨트 풀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타이밍 벨트 풀리의 평면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실시 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 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 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 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과 도면에 도시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타이밍 벨트 풀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타이밍 벨트 풀리와 타이밍 벨트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타이밍 벨트 풀리(20)는 소정의 폭(W)으로 형성되는 외주면에 헤링본 타입의 치형(20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링본 타입의 치형(200)은 타이밍 벨트 풀리(20)의 축방향 중심점(O)을 중심으로 원주상에 동일한 간격의 피치(pitch)를 두고 형성된다.
이와 같은 헤링본 타입의 치형(200)은 외주면의 중심으로부터 양쪽으로 엇갈리게 형성됨으로써, 타이밍 벨트(30) 구동 시 타이밍 벨트 풀리(10)에 장착된 타이밍 벨트(30)가 정확하게 면접촉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며 자동정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타이밍 벨트 풀리에서 타이밍 벨트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플렌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 및 교체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게 되며, 타이밍 벨트의 회전력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헤링본 타입의 치형(200)은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20)의 외주면 중심으로부터 양쪽으로 대칭상으로 형성되면서, 수평연결부(210)에 의해 일체의 치형을 이루며 연결되어 있다.
타이밍 벨트(30)는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20)의 치형(200)에 대응하며 내주면의 중심으로부터 양쪽으로 엇갈리게 형성되며, 상기 치형(200)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치형(300)이 형성됨으로써, 타이밍 벨트(30) 구동 시 타이밍 벨트 풀리(10)에 장착된 타이밍 벨트(30)가 정확하게 면접촉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며 자동정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20)의 수평 연결부(210)에 대응하는 수평 연결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연결부(210, 310)는 도 3에서 보듯이, 타이밍 벨트 풀리(20)의 치형(200)과 타이밍 벨트(30)의 치형(300)이 고르게 면접촉하게 되어, 헤링본 타입의 치형(200, 300)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 벨트(30)에 작용하는 추력을 상쇄시켜주게 된다.
따라서, 타이밍 벨트 풀리(20)와 타이밍 벨트(30) 사이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키게 됨으로써, 합성고무로 되는 타이밍 벨트(30)의 고화가 진행될 경우, 고무재의 균열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타이밍 벨트 풀리(20)의 치형(200)은 이끝 부위의 외주면에 압착 공기 방출홈(220)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타이밍 벨트 풀리어와 타이밍 벨트의 접촉상태를 나타낸 일부 정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압착 공기 방출홈(220)은 타이밍 벨트가 적용된 장치가 구동할 때, 예를 들면, 엔진의 경우, 엔진이 고속회전할 때 크랭크 축(도시되지 아니함)의 회전력에 의해 타이밍 벨트(20)가 타이밍 벨트 풀리(20)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타이밍 벨트(20)의 치형과 이물림되는 타이밍 벨트 풀리(20)의 치형(200) 사이에 머물고 있던 공기가 순간적으로 후방에서 진입하여 들어오면서 치형(200)에 형성된 압착 공기 방출홈(220)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타이밍 벨트(20)의 고속 회전시에 이물림되는 치형(200, 300) 사이에서 압축공기를 제거시키게 됨으로써, 타이밍 벨트(20)에 가해지는 진동이 저감되어 정확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압착 공기 방출홈(220)의 개수나 크기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타이밍 벨트 풀리(20)와 타이밍 벨트(30)의 접촉면적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압착공기의 효과적인 방출을 위하여 대략 조밀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착 공기 방출홈(220)은 타이밍 벨트 풀리(20)와 타이밍 벨트(30)의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외부에서 구동 샤프트(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5 본 발명 실시예의 타이밍 벨트 풀리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타이밍 벨트 풀리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타이밍 벨트 풀리(20)의 양쪽 측면에 제1 냉각홀(230)과 제2 냉각홀(240, 24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냉각홀(230)은 치형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냉각홀(240, 240a)은 타이밍 벨트 풀리(20)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냉각홀(230)과 제2 냉각홀(240, 240a)은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20)와 타이밍 벨트(30)의 마찰에 의한 열을 방출시틸 수 있게 되고, 또한, 외부에서 타이밍 벨트(30)로 전달되는 열을 냉각시켜줄 수 있게 됨으로써, 타이밍 벨트(30)의 고화를 방지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켜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냉각홀(240, 240a)은 원주상에서 가늘 고 긴 홀(hole)의 형태로 형성되며, 동심원을 이루는 원주상에서 층상을 이루도록 형성되면 방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1 냉각홀(230)과 제2 냉각홀(240, 240a)은 타이밍 벨트 풀리(20)와 타이밍 벨트(30)의 진동과 소음을 저감하고, 샤프트(도시되지 아니함)와 타이밍 벨트 풀리(20)를 통해 타이밍 벨트(30)에 전달되거나, 또는 타이밍 벨트 풀리(20)와 타이밍 벨트(30)와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열을 저감시킴으로써 열응력에 의해 타이밍 벨트의 수명이 저하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20: 타이밍 벨트 풀리
30: 타이밍 벨트
200: 치형
210: 수평연결부
220: 압착공기 방출홈
230: 제1 냉각홀
240, 240a: 제2 냉각홀
300: 치형
310: 수평연결부

Claims (10)

  1. 한 쌍의 타이밍 벨트 풀리 및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되는 타이밍 벨트에 있어서,
    일정 폭을 갖는 타이밍 벨트 풀리(20)의 외주면에 일정한 경사 각도를 가지고 형성되는 헤링본 타입의 치형(200)이 형성되고,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20)에 형성되는 헤링본 타입의 치형(200)에 대응하여, 헤링본 타입의 치형(300)이 형성되는 타이밍 벨트(30)를 포함하여 자동 정렬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타이밍 벨트 풀리(20)의 양쪽 측면에서 치형(200)의 중앙에 제1 냉각홀(23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43614A 2017-10-31 2017-10-31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 구조 Active KR101936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614A KR101936612B1 (ko) 2017-10-31 2017-10-31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614A KR101936612B1 (ko) 2017-10-31 2017-10-31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6612B1 true KR101936612B1 (ko) 2019-01-09

Family

ID=6501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614A Active KR101936612B1 (ko) 2017-10-31 2017-10-31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66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8387B1 (en) 2022-06-13 2023-06-06 Caterpillar Inc. Damper pulley desig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9705A (en) 1992-05-29 1993-05-1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ynchronous drive belt with oblique and offset teeth
KR101640858B1 (ko) * 2015-01-21 2016-07-19 우원식 개량된 방열구조를 갖는 풀리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9705A (en) 1992-05-29 1993-05-1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Synchronous drive belt with oblique and offset teeth
KR101640858B1 (ko) * 2015-01-21 2016-07-19 우원식 개량된 방열구조를 갖는 풀리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8387B1 (en) 2022-06-13 2023-06-06 Caterpillar Inc. Damper pulley desig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43518A (en) Belt and belt drive assembly
US10816062B2 (en) Toothed belt transmission
EP1614933B1 (en) Helically toothed-belt transmission device
US6334829B1 (en) Double-meshing-type silent chain drive and sprocket used therein
US6440022B1 (en) Double-meshing type silent chain and sprocket for meshing with the chain along outer circumference thereof
US10161487B2 (en) Toothed belt and sprocket system
US20060100051A1 (en) Belt drive assembly for driving accessory part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rive belt and pulleys suited to be used in said assembly
WO2009099505A2 (en) Torsional decoupler
GB2084688A (en) Toothed belt power transmission device
KR101936612B1 (ko) 타이밍 벨트 풀리 및 타이밍 벨트 구조
US20170082177A1 (en) Self-aligning pulley
US10876604B2 (en) Pulley apparatus for driving-driven rotating machine
JP2007232164A (ja) トルク伝達装置
CN111902305A (zh) 具有链传动装置和张紧系统的轴线平行的混合动力模块
US11162560B2 (en) Belt-type transmission
US7789781B2 (en) Timing belt structure with corner groove
JP4250430B2 (ja) Vリブドベルト及びvリブドプーリ
KR100508165B1 (ko) 밸런스 샤프트 스프로켓의 체인 소음 저감 구조
KR100435967B1 (ko) 회전축에의 장착 위치 편차 보정 기능을 가지는 엔진보기류 벨트 풀리의 장착 구조
WO2005119087A1 (en) Cost-optimized traction mechanism
KR19980035340U (ko) 자동차의 타이밍벨트구조
KR19990035138A (ko) 엔진의 밸브구동을 위한 타이밍 벨트
JPH05248496A (ja) 伝動ベルト
KR100289305B1 (ko) 차량엔진용풀리
KR200213480Y1 (ko) 자동차 엔진용 스프라켓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