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5864B1 - A pet toilet - Google Patents

A pet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864B1
KR101935864B1 KR1020170074540A KR20170074540A KR101935864B1 KR 101935864 B1 KR101935864 B1 KR 101935864B1 KR 1020170074540 A KR1020170074540 A KR 1020170074540A KR 20170074540 A KR20170074540 A KR 20170074540A KR 101935864 B1 KR101935864 B1 KR 101935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evel indicator
water level
urine
companion anim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45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6593A (en
Inventor
김선호
이채섭
Original Assignee
김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호 filed Critical 김선호
Priority to KR1020170074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864B1/en
Publication of KR20180136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5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864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5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elements rigidly fixed to, and rectilinearly moving with, the floats as transmission e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반려동물 배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장치는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 수용된 소변의 수위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수위 표시기를 포함한다.A companion animal vestibule is disclosed. The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case and a water level indicator provided on the body case to visually display the level of urine contained in the body case on the outside.

Description

반려동물 배변장치{A pet toilet}A pet toilet.

본 발명은 반려동물 배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채워진 소변의 수위를 표시하는 수위 표시기가 구비된 반려동물 배변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indicator for indicating the level of urine filled in the inside.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개나 고양이와 같은 반려동물들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반려동물 배변장치들이 보급되고 있다.Various kinds of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s are being popularized for companion animals such as dogs and cats living with people indoors.

이러한 반려동물 배변장치는 일반적으로, 다수의 소변 유입홀이 형성된 납작하고 널찍한 박스 형상으로 제작되며, 내부에 수거된 소변을 주기적으로 비우는 방식으로 사용된다.Such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s are generally manufactured in a flat, wide box shape with a plurality of urine inflow holes, and are used in a periodically emptied form of collected urine.

그런데 이러한 반려동물 배변장치들을 사용하다 보면, 수거된 소변을 비우는 타이밍을 놓치거나 반려동물이 평소보다 다량의 소변을 배출함으로 인해 장치 밖으로 소변이 넘쳐나는 경우를 종종 겪게 된다. 이러한 경우 청소거리가 많아지고 실내에 악취가 풍기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However, when using these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s, they occasionally miss the timing of the collection of the collected urine, or the urine is flushed out of the device due to the fact that the companion excretes more urine than usual. In this case, the cleaning distance is increased and the inconvenience that the room stinks is accompanied.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장치 내 소변량을 센서로 감지하고 기준량에 도달하면 멜로디와 같은 경고음을 제공하는 유형의 반려동물 배변장치들이 보급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have been introduced types of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s which detect the urine volume in the apparatus as a sensor and provide a warning sound like a melody when the reference volume is reached.

하지만 이러한 유형의 장치들에 적용된 전자적인 방식의 해결 방안은 제품 설계가 복잡해지고 제품 단가가 상승되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배터리와 같은 전원장치가 사용되어야 하는 단점도 있다.However, the electronic solution applied to these types of devices is not only a complication of the product design and a rise in the product price but also a disadvantage that a power supply such as a battery must be used.

한편, 대부분의 반려동물 배변장치에는 다수의 소변 유입홀을 제공하기 위해 그 상면 측에 메쉬망 구조가 적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의 반려동물 배변장치에서는 그 위에 올라선 반려동물의 발톱이 소변 유입홀에 잘 끼이다 보니 그 상태로 반려동물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발톱 부위에 상처가 나거나 배변장치가 흔들리거나 엎어지면서 장치 내부의 소변이 밖으로 유출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es are provided with a mesh network structure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in order to provide a plurality of urine inflow holes. In the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having such a structure, ,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claws are scratch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or the urine inside the device is leaked out as the defecator is shaken or turned over.

이러한 경험을 하고 나면 반려동물이 그러한 배변장치의 사용을 극도로 꺼리기 되기 때문에, 배변장치와 친숙해지도록 학습시키는 데 상당히 애를 먹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결국 학습에 실패하여 배변장치가 무용지물이 되기도 한다.After this experience, companion animals are extremely anxious about the use of such defecation devices, so they are very hard to learn to familiarize themselves with the defecation device, and eventually fail to learn so that the defecation device becomes obsolete .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5001호 (2006.08.28.)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25001 (2006.08.28.) 한국등록특허 제10-1305387호 (2013.09.06.)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05387 (2013.09.06.) 한국등록특허 제10-1175052호 (2012.08.17.)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75052 (August 17, 2012)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도출된 것으로서, 첫 번째 목적은 소변 배출 시기를 전자적인 방식으로 알리는 기존의 반려동물 배변장치들의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두 번째 목적은 상면 측에 메쉬망 구조가 적용된 기존의 반려동물 배변장치들의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capable of eliminating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s,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 capable of solving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s to which a mesh network structure is applied on the upper surface side.

본 발명은 본체 케이스, 및 상기 본체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 수용된 소변의 수위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수위 표시기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배변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including a body case and a water level indicator provided on the body case for visually displaying the level of urine contained in the body case on the outside.

상기 수위 표시기는, 상기 소변 위에 뜰 수 있게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 배치된 표시기 몸체, 및 상기 표시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표시기 몸체가 뜬 만큼 상기 본체 케이스 밖으로 돌출되는 수위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water level indicator may include an indicator body disposed in the body case so as to float above the urine, and a water level indicator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dicator body and protruding out of the body case to open the indicator body.

상기 수위 표시기는, 상기 본체 케이스가 비어 있을 때에는 최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수위 표시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 밖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소변의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수위 표시부가 최대로 돌출되는 최고 위치까지 상승하는 것일 수 있다.The water level indicator is disposed at the lowest position when the body case is empty so that the water level indicator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body case and rises to the highest position where the water level indicator protrudes to the maximum as the water level of the urine increases Lt; / RTI >

상기 반려동물 배변장치는 상기 수위 표시기가 상기 최고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표시기 몸체의 상측이 상기 본체 케이스에 닿음으로써 상기 수위 표시기의 상승 이동이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The lifting movement of the level indicator may be restricted by the upper side of the indicator body touching the main body case when the level indicator reaches the highest position.

상기 수위 표시부의 하단부에는 경고 마크가 구비될 수 있다.A warning mark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level indicator.

상기 수위 표시기에는 그 저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가이드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에는 상기 가이드 홀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indicator includes a guide hol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bottom surface of the water level indicator, and a guide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may be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dy case.

상기 본체 케이스는, 커버 케이스 및 상기 커버 케이스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을 수용하는 바닥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ain body case may include a cover case and a bottom case for receiving urine flowing through the cover case.

상기 커버 케이스는, 상측 표면을 제공하는 표면부, 상기 표면부에 대해 단차를 갖는 복수의 단차부, 및 상기 표면부와 상기 복수의 단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 각각에 복수의 소변 유입홀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Wherein the cover case includes a surface portion providing an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having a step with respect to the surface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ing the surface portion and the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A urine inflow hole of the urine may be formed.

본 발명은 또한, 커버 케이스 및 상기 커버 케이스를 통해 유입되는 바닥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케이스는, 상측 표면을 제공하는 표면부, 상기 표면부에 대해 단차를 갖는 복수의 단차부, 및 상기 표면부와 상기 복수의 단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 각각에 복수의 소변 유입홀이 형성된 반려동물 배변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cover case and a bottom case that is introduced through the cover case, the cover case including a surface portion providing an upper surface, a plurality of step portions having a step with respect to the surface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portion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wherein a plurality of urine inflow 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상기 단차부의 폭 방향 좌우 측에 소변 유입홀이 각각 배치일 수 있다.And urine inflow holes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p portion.

상기 단차부는 폭 방향에서 중앙부가 가장 높고 양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The stepped portion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center portion is the highest in the width direction and gradually decreases toward the both edge portions.

상기 반려동물 배변장치는 상기 커버 케이스와 상기 바닥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anion animal defec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intermediate case disposed between the cover case and the bottom case.

상기 중간 케이스의 중앙부에는 중앙홀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케이스의 중앙부에는 상기 중앙홀에 삽입되는 위로 볼록한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A central hole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intermediate case, and a convexly inserted portion may b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case to be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체 케이스 내 소변의 수위가 변동됨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여 외부 돌출 정도가 가변되는 수위 표시기가 제공되므로, 사용자는 수위 표시기의 외부 돌출 정도를 보고 배변장치에 수용된 소변의 수위를 쉽게 가늠할 수 있다.The user can easily see the level of the urine contained in the defecator by observing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level indicator and the user can easily measure the level of the urine contained in the defecator by providing the level indicator that the level of the external protrusion is raised or lowered as the level of the urine in the body case is changed.

특히, 경고 마크가 보일 정도로 수위 표시기가 외부로 최대 돌출된 경우 사용자는 이를 보고 배변장치를 비워야 할 시기가 도래했음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배변장치 소변이 충분히 찼음에도 사용자가 소변을 비우는 타이밍을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water level indicator protrudes outward to the maximum extent so that the warning mark can be seen, the user can easily judge that the time to vacate the defecation device has arrived.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missing the timing of urinating even when the urine of the defecator is full.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위 표시기는 단지 소변의 부력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므로, 소변량 감지 센서 등의 전자 부품이 적용되는 종래의 배변장치들과 비교하여, 소변 수위 알림을 위한 설계 구조가 간단해지고 그에 따라 제조 비용이 절감되며 배터리와 같은 전원장치를 사용할 필요도 없다.Since the level indi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only by the buoyancy of the urine, the design structure for notifying the urine level is simplifi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defecation devices to which the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the urine detection sensor are applied, The cost is reduced and there is no need to use a power supply such as a battery.

또한 커버 케이스에 얕은 깊이의 복수의 단차부가 구비되고 그 단차부의 폭 방향 양측에 소변 유입홀이 배치되는 구조가 적용되므로, 반려동물의 발톱이 소변 유입홀에 끼이는 일이 없게 된다.Further, since the cover cas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having shallow depths and the urine inflow holes are arrang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pped portion, the claws of the companion animal are not caught in the urine inflow ho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장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수위 표시기가 위치한 도 1의 일부 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도 2는 수위 표시기가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보이는 것이고, 도 3은 수위 표시기가 최대로 돌출된 상태를 보이는 것이다.
도 4는 본체 케이스 내에 수위 표시기가 장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수위 표시기가 장착되는 본체 케이스의 내부 영역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수위 표시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장치에 적용 가능한 본체 케이스의 실시예를 보이는 분해도이다.
도 8은 바닥 케이스와 중간 케이스가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9는 커버 케이스의 일측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Ⅰ-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mpanion animal defe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enlarged views of a part of the area of FIG. 1 where the water level indicator is located. FIG.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ter level indicator does not protrude, and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ter level indicator protrudes to the maximum.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ter level indicator is mounted in the body case.
5 is a view showing an inner area of a main body case to which a water level indicator is attached.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level indicator.
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ody case applicable to the apparatus of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ottom case and an intermediate case are combined.
9 is an enlarged view of one side area of the cover case.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장치는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개, 고양이 등의 반려동물을 위한 배변장치로서, 배변장치 본체(100)와 측면 펜스(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companion animal defe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fecator for a companion animal such as a dog or a cat living together with a person in a room. The defecator includes a body 100, a side fence 400, .

배변장치 본체(100)는 대략 납작하고 널찍한 박스 형상으로 도시되었는데, 배변장치 본체(100)의 형상은 더 큰 높이를 가진 박스 형상, 원판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body of the defecator main body 100 is substantially flat and has a wide box shape. The shape of the body of the defecator main body 100 may be variously changed into a box shape, a disk shape, or the like having a larger height.

측면 펜스(400)는 반려동물 중에서 특히 개가 측벽이나 울타리와 같은 장소에 소변을 눕기 좋아하는 습성을 가진 점을 고려한 것이다. 측면 펜스(400)는 배변장치 본체(1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side fence 400 takes into account the fact that a dog has a habit of pissing in a place such as a side wall or a fence, among the companion animals. The side fence 400 may be removably mounted to the main body 100 of the defecator.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배변장치 본체(100)는 본체 케이스(200)와 수위 표시기(300)를 포함한다.1 to 5, the main body 100 of the defecator includes a body case 200 and a water level indicator 300.

본체 케이스(200)는 배변장치 본체(100)의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반려동물이 배출하는 변(주로 소변)을 받는 부분이다. 본체 케이스(200)에는 다수의 소변 유입홀들이 구비되며, 이를 통해 반려동물이 배출한 소변이 본체 케이스(200) 안으로 유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The main body case 200 has a structure constituting the skeleton of the main body 100 of the defecation device 100 and is a portion receiving the side (mainly urine) discharged by the companion animal. The main body case 2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rine inflow holes through which the urine discharged from the companion animal can b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case 200 and accommodated therein.

수위 표시기(300)는 본체 케이스(200) 내에 수용된 소변의 수위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장치 본체(100)의 일측 모서리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is configured to visually display the level of the urine contained in the body case 200 to the outside and is disposed near one side edge of the body of the defecator 100 as shown in Figs. .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00)의 내측벽(204)에는 수위 표시기(300)의 측면 일부를 수용하는 표시기 수용홈(205)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 케이스(200)의 내측 바닥면(202)에는 표시기 수용홈(205)에 인접한 위치에 수위 표시기(300)의 장착을 위한 가이드 돌기(203)가 형성되어 있다.4 and 5, an indicator accommodating groove 205 is formed in the inner side wall 204 of the body case 200 to accommodate a side portion of the level indicator 300, A guide protrusion 203 for mounting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dicator accommodating groove 205 on the inner bottom surface 202 of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수위 표시기(300)에는 표시기 몸체(32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된 가이드 홀(321, 도 6 참조)이 형성되어 있어서, 수위 표시기(300)는 전술한 가이드 돌기(203)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본체 케이스(200)에 수위 표시기(300)가 장착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is provided with a guide hole 321 (see FIG. 6)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dicator body 320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is fitted into the guide projection 203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can be mounted on the body case 200. [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 표시기(300)는 표시기 몸체(320)와 수위 표시부(310)를 포함한다.2 to 4,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includes an indicator body 320 and a water level indicator 310.

표시기 몸체(320)는 본체 케이스(200) 내에 수용된 소변 위에 뜰 수 있게 본체 케이스(200) 내에 배치되는 부분이며, 수위 표시부(310)는 표시기 몸체(3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표시기 몸체(320)가 뜨는 만큼 본체 케이스(200) 밖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The indicator body 320 is disposed in the body case 200 to float on the urine contained in the body case 200.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dicator body 320, Is protruded out of the main body case 200 as much as possible.

표시기 몸체(320)가 소변 위에 뜰 수 있도록 수위 표시기(300)는 물에 뜨는 성질을 가진 가벼운 물질로 제작된다. 예로써, 수위 표시기(300)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이 물보다 비중이 작은 플라스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is made of a light material having floating nature so that the indicator body 320 can float above the urine. For example,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that of water, such as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표시기 몸체(320)와 수위 표시부(31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이며, 표시기 몸체(320)보다 수위 표시부(310)가 훨씬 작은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수위 표시기(300) 전체적으로 보면, 커다란 표시기 몸체(320)의 상면에 수위 표시부(310)가 돌기 형태로 돌출된 형상이다. 표시기 몸체(320)와 수위 표시부(310) 각각의 형상은 원기둥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기둥 형상, 직육면체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indicator body 320 and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are substantially cylindrically shaped and have a much smaller size than the indicator body 320. Accordingly,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arge indicator body 320 as a whole. The shape of each of the indicator body 320 and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is not limited to a columnar shape, and may be variously changed to an elliptical columnar shap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al shape, or the lik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 표시부(310)에는 경고 마크(312)가 구비된다. 이는 본체 케이스(200) 내의 소변 수위가 한계 수위에 도달했음을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경고 마크(312)는 수위 표시부(31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따라서 도 3에서와 같이 수위 표시부(310)가 최대로 돌출되는 시점에 경고 마크(312)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다.As shown in FIG. 4,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is provided with a warning mark 312. This is for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at the urine level in the main body case 200 has reached the critical level. The warning mark 31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so that the warning mark 312 is completely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protrudes to the maximum as shown in FIG.

경고 마크(312)는 수위 표시부(310)의 나머지 부분과 다른 색상을 가진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 마크(312)는 빨간 색이고 수위 표시부(310)의 나머지 부분은 하얀색일 수 있다.The warning mark 312 may have a different color from the rest of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warning mark 312 may be red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may be white.

도 2,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수위 표시기(300)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3 and 6. FIG.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00) 내에 소변이 없는 초기에, 수위 표시기(300)는 본체 케이스(200)의 바닥면에 접하는 최저 위치에 배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때 수위 표시부(310)는 본체 케이스(200) 밖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그 상단면(311) 만이 외부에서 보여지는 상태로 유지된다. 즉 수위 표시부(310)는 표시기 몸체(320)와 함께 본체 케이스(200) 내에 수용된 상태를 갖는다.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is disposed at the lowest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ase 200 at an early stage without urine in the main body case 200, as shown in Fig. 6- (a). 2, at this time,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main body case 200, and only the top surface 311 thereof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seen from the outside. That is,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is housed in the body case 200 together with the indicator body 320.

본체 케이스(200) 안으로 반려동물의 소변이 유입되어 그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수위 표시기(300)는 본체 케이스(200) 내의 소변이 제공하는 부력에 의해 점차 상승한다. 이때 수위 표시기(300)의 상승 이동은 수위 표시기(300)에 삽입된 가이드 돌기(203)에 의해 가이드된다.As the urine of the companion animal flows into the body case 200 and the level thereof increases,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gradually rises by the buoyancy provided by the urine in the body case 200. At this time, the upward movement of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is guided by the guide projection 203 inserted in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200) 내의 소변의 수위가 일정 수위에 도달할 때 표시기 몸체(320)가 본체 케이스(200)의 상측 내벽에 닿음으로써 수위 표시기(300)의 상승이 멈추어진다. 이때, 수위 표시기(300)의 위치는 최고 위치가 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 표시부(310)는 최대로 돌출된 상태가 되고 그 하단부에 위치한 경고 마크(312)가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다.When the level of the urine in the main body case 200 reaches a certain level, the indicator body 320 touches the upper inner wall of the main body case 200 as shown in FIG. 6- (b) The rising of the motor is stopped.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becomes the highest position, and as shown in FIG. 3,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is maximally protruded and the warning mark 312 located at the lower end thereof is completely exposed to the outside .

사용자에 의해 본체 케이스(200) 내의 소변이 비워지면, 수위 표시기(300)에 작용하던 부력이 사라지므로 수위 표시기(300)는 하강하여 도 6-(a)에 도시된 최저 위치로 복귀하며 그에 따라 수위 표시부(310)도 본체 케이스(200) 안으로 들어간 도 2의 모습으로 복귀한다.When the urine in the main body case 200 is empty by the user, the buoyant force acting on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disappears, so that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is lowered to return to the lowest position shown in FIG. 6- (a)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also returns to the state of FIG. 2 in which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has entered into the body case 200.

이와 같이 배변장치 내 소변의 수위가 변동됨에 따라 수위 표시기(300)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수위 표시부(310)의 외부 돌출 정도가 가변되므로, 사용자는 수위 표시부(310)의 외부 돌출 정도를 보고 배변장치에 수용된 소변의 수위를 쉽게 가늠할 수 있다. As the level of the urine in the defecator is changed, the level indicator 300 is raised or lowered to vary the degree of protrusion of the level indicator 310. Thus, the user can see the level of the outside protrusion of the level indicator 310, The level of the urine contained in the urine can be easily determined.

특히, 경고 마크(312)가 보일 정도로 수위 표시부(310)가 최대로 돌출된 경우 사용자는 이를 보고 배변장치를 비우기에 적절한 시기가 됐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변장치를 비워줘야 할 정도로 그 안에 소변이 충분히 찼음에도 사용자가 소변을 비우는 타이밍을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Particularly, when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protrudes to the maximum extent so that the warning mark 312 can be seen,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at it is a proper time to empty the defecation apparatus.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missing the timing of purging the urine even though the urine is full enough to empty the defecator.

한편, 본 실시예의 배변장치는 상술한 수위 표시기(300)가 단지 소변의 부력에 의해 작동되는 것이므로, 소변량 감지 센서 등의 전자 부품이 적용되는 종래의 배변장치들과 비교하여, 설계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조 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배터리와 같은 전원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도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efec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impler in design than the conventional defecators in which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urine volume sensor are applied since the level indicator 300 is operated only by the buoyancy of the urine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re is no disadvantage of using a power supply such as a battery.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체 케이스(200)는 커버 케이스(250), 바닥 케이스(260) 및 중간 케이스(270)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main body case 200 may include a cover case 250, a bottom case 260, and an intermediate case 270.

본체 케이스(200)는 바닥 케이스(260) 상에 중간 케이스(270)와 커버 케이스(250)를 차례로 결합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The main body case 200 is per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intermediate case 270 and the cover case 250 are sequentially coupled to the bottom case 260.

커버 케이스(250)에는 다수의 소변 유입홀(251)이 형성되며, 이를 통해 유입된 소변은 중간 케이스(270)를 통해 바닥 케이스(260) 안으로 흘러들어간다.The cover case 25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urine inflow holes 251 through which urine flows into the bottom case 260 through the intermediate case 270.

커버 케이스(250)의 상면 일측에는 한 쌍의 펜스 장착 돌기(253a, 253b)가 형성된다. 전술한 측면 펜스(400)는 이러한 펜스 장착 돌기(253a, 253b)에 결합됨으로써 본체 케이스(200)에 장착된다.A pair of fence mounting protrusions 253a and 253b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case 250. The side fence 400 described above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case 200 by being engaged with the fence mounting projections 253a and 253b.

커버 케이스(250)의 일측 모서리 부근에는 전술한 수위 표시부(310)가 통과하는 관통홀(252)이 형성되어 있다.A through hole 252 through which the level indicator 310 is passed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one corner of the cover case 250.

중간 케이스(270)는 커버 케이스(250)와 바닥 케이스(260) 사이에 배치된다. 중가 케이스(270)는 판 형상으로 제작되어 바닥 케이스(260)의 상측을 커버함으로써 바닥 케이스(260)에 수거된 소변의 냄새가 배변장치 밖으로 퍼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intermediate case 270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case 250 and the bottom case 260. The middle case 27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case 260 to prevent the smell of urine collected in the bottom case 260 from spreading out of the defecation device.

중간 케이스(270)의 중앙부에는 중앙홀(271)이 형성되며, 바닥 케이스(260)의 내측 바닥면에는 중앙홀(271)에 삽입되는 삽입부(261)가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다.A center hole 27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case 270 and an insertion portion 261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271 is formed at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case 260 to be convex upwar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홀(271)에 삽입부(261)의 상측 부분이 삽입되되, 삽입부(261)가 중앙홀(271)에 꽉 끼는 것이 아니라 중앙홀(271)과 삽입부(261) 사이에 틈새(C)가 존재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중간 케이스(270)는 가장자리보다 중앙부가 약간 처진 형상을 갖는다. 즉 중간 케이스(270)는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다.An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261 is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271 so that the insertion portion 261 is not tightly fitted into the center hole 271 but is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271, The gap C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261. The middle case 270 has a shape slightly more central than the edge. In other words, the intermediate case 270 has a slope that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edge toward the center.

따라서, 커버 케이스(250)를 통해 중간 케이스(270) 상에 떨어진 소변은 도 8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삽입부(261) 쪽으로 흐르며 틈새(C)를 통해 바닥 케이스(260) 안으로 수거된다.The urine that has fallen on the intermediate case 270 through the cover case 250 flows toward the insertion portion 261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8 and is collected into the bottom case 260 through the gap C.

한편 중간 케이스(270)의 일측 모서리 부근에는 전술한 수위 표시부(310)가 통과하는 관통홀(272)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vicinity of one corner of the intermediate case 270, a through hole 272 through which the level indicator 310 is passed is formed.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 케이스(200)가 커버 케이스(250), 바닥 케이스(260) 및 중간 케이스(270)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대안적으로 본체 케이스(200)는 중간 케이스(270) 없이 커버 케이스(250)와 바닥 케이스(260)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바닥 케이스(260)의 삽입부(261)는 생략 설계될 수 있다.The main body case 200 is formed of the cover case 250, the bottom case 260 and the intermediate case 270. Alternatively, the main body case 200 may be formed without the intermediate case 270, And may include only the case 250 and the floor case 260. In this case, the insertion portion 261 of the bottom case 260 may be omitte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커버 케이스(250)의 상판 영역은 표면부(255), 복수의 단차부(256), 및 복수의 연결부(257)를 포함한다.9 and 10, the top plate region of the cover case 250 includes a surface portion 255,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256,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257. [

표면부(255)는 커버 케이스(250)의 상측 표면(201)을 제공하는 부분이고, 복수의 단차부(256)는 표면부(255)에 대해 소정 깊이의 단차를 갖는 부분이며, 복수의 연결부(257)는 표면부(255)와 복수의 단차부(256)를 연결하는 부분이다.The surface portion 255 is a portion for providing the upper surface 201 of the cover case 250. The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256 is a portion having a step with a predetermined depth with respect to the surface portion 255, (257) is a portion connecting the surface portion (255) and the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256).

각 단차부(256)는 그에 상응하는 연결부(257)에 의해 표면부(255)에 연결되며, 각 연결부(257)에는 복수의 소변 유입홀(251)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256)의 폭 방향 좌우 측에 소변 유입홀(251)이 각각 배치된다.Each step portion 256 is connected to the surface portion 255 by a connecting portion 257 corresponding to the step portion 256 and is formed in the plurality of urine inlet holes 251 in each connecting portion 257. As shown in Fig. 10, the urine inflow holes 251 are dispos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p portion 256, respectively.

그리고 단차부(256)는 소정의 곡률을 가짐으로써, 폭 방향에서 중앙부가 가장 높고 양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형상이다. 이는 단차부(256)로 유입된 반려동물의 소변이 그 양측에 위치한 소변 유입홀(251) 쪽으로 잘 흘러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step portion 256 has a predetermined curvature so that the central portion is the highest in the width direction and gradually decreases toward both edges. This is to ensure that the urine of the companion animal that has flowed into the step 256 flows toward the urine inflow hole 251 located on both sides thereof.

이상 설명한 구조의 커버 케이스(250)에 의하면 메쉬망 구조를 가진 종래의 배변장치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ver case 25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defecator having the mesh net structur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메쉬망 구조의 커버 케이스를 가진 종래의 배변장치들에서는 그 위에 반려동물이 올라설 때 반려동물의 발톱이 소변 유입홀에 잘 끼이다 보니 그 상태로 반려동물이 움직이는 과정에서 발톱 부위에 상처가 나기도 하고 배변장치가 흔들리거나 엎어지면서 배변장치 내부의 소변이 밖으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를 겪는 과정에서 반려동물이 깜짝 놀라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경험한 반려동물이 나중에 그 배변장치의 사용을 극도로 꺼리는 문제가 있었다.In a conventional defecation device having a mesh-covered cover case,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raised on the compartment, the claw of the companion is well inserted into the urine inflow hole,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may be injur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rine inside the defecation device leaks out as the defecation device shakes or falls. In addition, the animals are often surprised by the process of experiencing them, and the companion animal who experienced them was extremely reluctant to use the defecator later on.

반면, 본 발명에서는, 커버 케이스(250)에 얕은 깊이의 복수의 단차부(256)가 구비되고 그 단차부(256)의 폭 방향 양측에 소변 유입홀(251)이 배치되는 구조가 적용되므로, 반려동물의 발톱이 소변 유입홀(251) 끼이는 일이 없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ver case 250 is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256 having a shallow depth and the urine inflow hole 251 is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pped portion 256, The claws of the companion animal will not be caught in the urine inflow hole 251.

100 : 배변장치 본체
200 : 본체 케이스
201 : 상측 표면
202 : 내측 바닥면
203 : 가이드 돌기
204 : 내측벽
205 : 표시기 수용홈
250 : 커버 케이스
251 : 소변 유입홀
252 : 관통홀
253a, 253b: 펜스 장착 돌기
255 : 표면부
256 : 단차부
257 : 연결부
260 : 바닥 케이스
261 : 삽입부
270 : 중간 케이스
271 : 중앙홀
C : 틈새
300 : 수위 표시기
310 : 수위 표시부
311 : 상단면
312 : 경고 마크
320 : 표시기 몸체
321 : 가이드 홀
400 : 측면 펜스
100: Body of the defecator
200: Body case
201: upper surface
202: Inner bottom surface
203: guide projection
204: inner side wall
205: indicator accommodating groove
250: Cover Case
251: Urine inflow hole
252: Through hole
253a, 253b: fence mounting projection
255: surface portion
256:
257: Connection
260: Floor case
261:
270: intermediate case
271: center hole
C: Niche
300: Water level indicator
310: Water level indicator
311: Top surface
312: warning mark
320: indicator body
321: Guide hole
400: side fence

Claims (13)

복수의 소변 유입홀(251)이 형성된 커버 케이스(250)와 상기 커버 케이스(250)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을 수용하는 바닥 케이스(260)를 포함하는 본체 케이스(200), 및
상기 본체 케이스(200)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 케이스(200) 내에 수용된 소변의 수위를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수위 표시기(300)를 포함하며,
상기 수위 표시기(300)는,
상기 소변 위에 뜰 수 있게 상기 본체 케이스(200) 내에 배치된 표시기 몸체(320), 및
상기 표시기 몸체(32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표시기 몸체(320)가 뜬 만큼 상기 본체 케이스(200) 밖으로 돌출되는 수위 표시부(31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케이스(250)에는 상기 수위 표시부(310)가 통과하는 관통홀(252)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 케이스(260)에는 상기 관통홀(252)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03)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기 몸체(320)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203)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321)이 형성된,
반려동물 배변장치.
A main body case 200 including a cover case 250 having a plurality of urine inlet holes 251 and a bottom case 260 receiving urine flowing through the cover case 250,
And a water level indicator (300) installed on the body case (200) and visually displaying the level of the urine contained in the body case (200) to the outside,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includes:
An indicator body 320 disposed within the body case 200 to be placed on the urine, and
And a water level indicator 310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dicator body 320 and protruding out of the body case 200 to float the indicator body 320,
A through hole 252 through which the level indicator 310 passes is formed in the cover case 250,
A guide protrusion 203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through hole 252 is formed in the bottom case 260 and a guide hole 321 through which the guide protrusion 203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indicator body 320 The formed,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표시기(300)는,
상기 본체 케이스(200)가 비어 있을 때에는 최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수위 표시부(310)가 상기 본체 케이스(200) 밖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상기 소변의 수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수위 표시부(310)가 최대로 돌출되는 최고 위치까지 상승하는,
반려동물 배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level indicator 300 includes:
When the body case 200 is empty,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is disposed at the lowest position so that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does not protrude out of the body case 200,
As the water level of the urine increases,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rises to the highest position where the water level indicator 310 protrudes to the maximum,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표시기(300)가 상기 최고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표시기 몸체(320)의 상측이 상기 본체 케이스(200)에 닿음으로써 상기 수위 표시기(300)의 상승 이동이 제한되는,
반려동물 배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upward movement of the level indicator 300 is limited by the top of the indicator body 320 contacting the main body case 200 when the level indicator 300 reaches the maximum position,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 표시부(310)의 하단부에 경고 마크(312)가 구비되는,
반려동물 배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arning mark 312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level indicator 310,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케이스(250)는,
상측 표면(201)을 제공하는 표면부(255),
상기 표면부(255)에 대해 단차를 갖도록 배치된 복수의 단차부(256), 및
상기 표면부(255)와 상기 복수의 단차부(256)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257)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257) 각각에 상기 복수의 소변 유입홀(251)이 형성된,
반려동물 배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case (250)
A surface portion 255 providing an upper surface 201,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256 arranged so as to have a step with respect to the surface portion 255,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257) connecting the surface portion (255) and the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256)
The plurality of urine inlet holes 251 are formed in each of the connecting portions 257,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
커버 케이스(250) 및
상기 커버 케이스(250)를 통해 유입되는 소변을 수용하는 바닥 케이스(26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 케이스(250)는,
상측 표면(201)을 제공하는 표면부(255),
상기 표면부(255)에 대해 단차를 갖도록 배치된 복수의 단차부(256), 및
상기 표면부(255)와 상기 복수의 단차부(256)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257)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257) 각각에 복수의 소변 유입홀(251)이 형성된,
반려동물 배변장치.
The cover case 250 and
And a bottom case (260) for receiving urine flowing through the cover case (250)
The cover case (250)
A surface portion 255 providing an upper surface 201,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256 arranged so as to have a step with respect to the surface portion 255,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portions (257) connecting the surface portion (255) and the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256)
A plurality of urine inlet holes 251 are formed in each of the connection portions 257,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256)의 폭 방향 좌우 측에 소변 유입홀(251)이 각각 배치되는,
반려동물 배변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urine inflow hole 251 is dispos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tep portion 256,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256)는 폭 방향에서 중앙부가 가장 높고 양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반려동물 배변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ped portion 256 has the highest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gradually lowered toward the both edges,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케이스(250)와 상기 바닥 케이스(260)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케이스(270)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배변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ase (270) disposed between the cover case (250) and the bottom case (260)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케이스(270)의 중앙부에는 중앙홀(271)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케이스(260)의 중앙부에는 상기 중앙홀(271)에 삽입되는 위로 볼록한 삽입부(261)가 형성된,
반려동물 배변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center hole 27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termediate case 270 and an upward convex insertion portion 261 inserted into the center hole 27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case 260.
Companion animal defecation device.
KR1020170074540A 2017-06-14 2017-06-14 A pet toilet Expired - Fee Related KR1019358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40A KR101935864B1 (en) 2017-06-14 2017-06-14 A pet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4540A KR101935864B1 (en) 2017-06-14 2017-06-14 A pet toi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593A KR20180136593A (en) 2018-12-26
KR101935864B1 true KR101935864B1 (en) 2019-01-08

Family

ID=65006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45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935864B1 (en) 2017-06-14 2017-06-14 A pet toi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86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558B1 (en) 2022-04-11 2022-11-18 박범석 Feces and urine separation and discharge defe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KR102468557B1 (en) 2022-01-12 2022-11-18 박용국 A toilet cleaning device for pets to prevent the smell of defecation
US11503797B2 (en) 2019-12-10 2022-11-22 Cari Rachel Portable pet relief st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5030A (en) 2004-04-30 2005-11-10 Network Service:Kk Rainwater storing device
KR101178799B1 (en) * 2012-03-15 2012-08-31 노주환 Module type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KR101624467B1 (en)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Module type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5030A (en) 2004-04-30 2005-11-10 Network Service:Kk Rainwater storing device
KR101178799B1 (en) * 2012-03-15 2012-08-31 노주환 Module type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KR101624467B1 (en) 2015-09-02 2016-05-31 주식회사 도그토토 Module type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03797B2 (en) 2019-12-10 2022-11-22 Cari Rachel Portable pet relief station
KR102468557B1 (en) 2022-01-12 2022-11-18 박용국 A toilet cleaning device for pets to prevent the smell of defecation
KR102468558B1 (en) 2022-04-11 2022-11-18 박범석 Feces and urine separation and discharge defecation device for companion anim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593A (en)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5865B1 (en) Litter box for animals
KR101935864B1 (en) A pet toilet
US6487989B2 (en) Potty for pet animals
CN107949276A (en) Modular bowl evacuation of pet device cleaning device
US20170273273A1 (en) Toilet for cat
JP7486772B2 (en) Pet toilet
JP6767439B2 (en) Pet toilet
JP2021042995A (en) Urinalysis container and urinalysis kit
JP2019115271A (en) Animal toilet
KR101178799B1 (en) Module type cleaning device for evacuating apparatus for pet
JP2013106558A (en) Drinking water container for pet
JP6793906B2 (en) Urine collection container
KR102312295B1 (en) Cat toilet
CN112752503A (en) Toilet for animals
CN105722386A (en) Urinary devices and electronic systems for male dogs
KR20220057289A (en) Pet toilet
CN111491507B (en) Dog toilet
KR20210031342A (en) Enclosed toilet for pet with portability
WO2020090064A1 (en) Animal toilet
KR101414326B1 (en) Disposal Cat Toilet
KR102584162B1 (en) Internet of Things-based companion animal health monitoring apparatus
TWI681712B (en) Animal toilet
US7216670B1 (en) Drain apparatus with liquid trap and liquid level indicator
JPH06335335A (en) Automatic flush toilet for dog and cat
JPH076765Y2 (en) Water drinker for anim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