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859B1 - Supply device for shaft of detent lever assembly - Google Patents
Supply device for shaft of detent lever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5859B1 KR101935859B1 KR1020170056468A KR20170056468A KR101935859B1 KR 101935859 B1 KR101935859 B1 KR 101935859B1 KR 1020170056468 A KR1020170056468 A KR 1020170056468A KR 20170056468 A KR20170056468 A KR 20170056468A KR 101935859 B1 KR101935859 B1 KR 1019358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base
- discharge
- unit
- bracke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4—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not adap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가 복수로 연이어 장착되는 적재부와, 적재부의 출구에 위치하며 샤프트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차단부와, 적재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적재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 및 경사조절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경사조절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A shaft feeding device for a detent lever assembly is disclosed. A shaft supply device for a detent lev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acking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hafts for a detent lever assembly are successively mounted; a discharge blocking portion located at an outlet of the stacking portion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shaft; And an up-down adjuster which is disposed below the inclination adjuster and moves the inclination adjuster up and down.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샤프트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ft feeder for a detent lever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aft feeder for a detent lever assembly capable of automatically feeding a shaft used in a detent lever assembly.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에 의한 변속단수의 정확한 위치 결정을 위해 디텐트레버 어셈블리(DETENT LEVER ASSEMBLY)가 구비된다. 이러한 자동변속기의 변속에 따른 단수 선택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라는 부품의 홈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Generally, a DETENT LEVER ASSEMBLY is provided for accurate positioning of the shift stages by the automatic transmission. The selection of the number of steps according to the shift of the automatic transmission is determined by the groove position of the part called the detent lever assembly.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는 회전축이 되는 샤프트가 조립된 상태로 자동변속기에 장착되며, 기존의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경우 디텐트 플레이트에 샤프트를 끼운 뒤 나사를 체결하고 핀으로 고정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높은 내구성을 요구하는 자동변속기의 특성상 정확한 변속과 내구성 향상을 위해 리베팅 방식을 이용하여 디텐트 플레이트와 샤프트를 결합하는 방식이 사용된다.The detent lever assembly is attached to the automatic transmission in a state where the shaft to be the rotating shaft is assemble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etent lever assembly, the shaft is inserted into the detent plate, and the screw is fastened and fixed with the pi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requiring high durability, a method of combining a detent plate and a shaft using a riveting method is used for accurate shifting and durability.
종래에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의 샤프트 공급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Conventionally, since the shaft supplying operation of the detent lever assembly is manually performed, the productivity is lower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51390호(2005.06.01 공개, 발명의 명칭: 디텐트 레버 조립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051390 (published on June, 2005, entitled "Detent Lever Assembly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샤프트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haft supplying device for a detent lever assembly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a shaft used in a detent lever assembly.
본 발명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가 복수로 연이어 장착되는 적재부와, 적재부의 출구에 위치하며 샤프트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차단부와, 적재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적재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 및 경사조절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경사조절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haft supplying device for a detent lev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acking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hafts for a detent lever assembly are successively mounted; a discharge blocking portion located at an outlet of the stacking portion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shaft; And an up-down adjustment unit which is disposed below the inclination adjustment unit and moves the inclination adjustment unit up and down.
또한 적재부는,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베이스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가이드 및 베이스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베이스부와 함께 이동되며 베이스부에서 샤프트의 이탈을 구속하는 커버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ading section includes a base portion for supporting the shaft, a side guide which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base portion, and a side guide which is fixed at a position facing the base portion and moves together with the base portion, And a cover guide for restricting the cover.
또한 적재부는,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며, 베이스부는 복수로 구비되어 프레임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rame portion for supporting the base portion, and a plurality of base portions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ame portion.
또한 배출차단부는,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장착브라켓과, 장착브라켓에 몸체가 고정되며 적재부의 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로드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배출구동부 및 배출구동부에 연결되며 배출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적재부의 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harge blocking portion includes a mounting bracket fixed to the frame portion, a discharge port portion and a discharge port portion to which the body is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and to which the rod is mov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let of the loading portion, And a discharge bracket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또한 경사조절부는, 배출차단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사조절베이스와, 경사조절베이스와 베이스부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 및 경사조절베이스와 베이스부의 타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며 베이스부의 타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경사조절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clination adjustment portion includes a slope adjustment base located below the discharge cutoff portion, a rotation connection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slope adjustment base and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a slope adjustment base and a hing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a tilt adjustment driving unit for providing power to move the tilt adjustment unit to the tilt adjustment unit.
또한 상하조절부는, 경사조절베이스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테이블 및 지지테이블에 몸체가 고정되며 지지로드는 경사조절베이스에 고정되는 상하조절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and-down adjustment unit includes a vertical adjustment driving unit fixed to the support table and the support table located below the inclination adjustment base, and the support rod fixed to the inclination adjustment base.
본 발명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는, 상하조절부의 동작으로 적재부의 상하 위치가 가변되므로, 1단에 적재된 샤프트의 배출이 완료된 후 2단에 적재된 샤프트의 배출도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샤프트의 적재공간이 증가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Sinc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tacking unit is variable by the operation of the up-down adjusting unit, the shaft feeding apparatus for the detent lev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ischarges the shaft stacked in the second stage after the discharge of the shaft stacked in the first stage is completed So that the space for loading the shaft can be increased and the space utilization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배출차단부와 경사조절부가 동작되어 적재부의 출구를 통한 샤프트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ischarge interruption portion and the inclination adjusting portion are operated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shaft through the outlet of the loading portion, the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에 샤프트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부가 동작되어 적재부의 높이가 낮아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차단부가 적재부의 출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차단부와 제1스토퍼부와 제2스토퍼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돌기에 샤프트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의 사이에 샤프트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브라켓에 샤프트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배출브라켓에 샤프트가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파지부가 배출브라켓에 걸린 샤프트를 파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파지부가 샤프트를 적재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가 회전되면서 배출브라켓과 제2걸림돌기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돌기가 하측으로 이동하며 배출브라켓에 샤프트가 걸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 shaft supply device for a detent le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surface of a shaft supply device for a detent le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shaft is loaded on a loa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ent le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aft supply device for a detent le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loading unit is lowered by operating the up-down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tilt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blocking part is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loading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haust cut-off portion, a first stopper portion, and a second stopper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haft is engaged with a second locking pro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haft is engaged between a first engaging projection and a second engaging pro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shaft is engaged with a discharge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where a shaft is engaged with a discharge bracket in a state in which a loading part is incl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port grip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sps the shaft hooked on the discharge bracket.
1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ransport grip part moves the shaft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par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acking unit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bracket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re moved upward while the loading unit is rot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moves downw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ft is engaged with the discharge bracket.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 shaft supplying apparatus for a detent le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Further,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에 샤프트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부가 동작되어 적재부의 높이가 낮아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부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차단부가 적재부의 출구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차단부와 제1스토퍼부와 제2스토퍼부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걸림돌기에 샤프트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의 사이에 샤프트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브라켓에 샤프트가 걸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배출브라켓에 샤프트가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파지부가 배출브라켓에 걸린 샤프트를 파지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파지부가 샤프트를 적재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가 회전되면서 배출브라켓과 제2걸림돌기가 상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돌기가 하측으로 이동하며 배출브라켓에 샤프트가 걸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 shaft supplying apparatus for a detent le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shaft supplying apparatus for a detent le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haft is mounted on a load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etent le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aft supply device for a detent le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tent lev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inclina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1)는, 적재부(20)와 배출차단부(30)와 제1스토퍼부(40)와 제2스토퍼부(50)와 경사조절부(60)와 상하조절부(70)와 이동가이드부(80)와 송풍관로부(85)를 포함한다.1 to 19, a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텐트레버 어셈블리(10)는 자동변속기의 변속에 따른 단수 선택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디텐트 플레이트에 샤프트(14)가 코킹 작업으로 고정된다. 샤프트(14)는 눕혀진 상태로 적재부(20)에 연이어 장착되며, 적재부(20)의 출구에서 이송파지부(90)에 파지되어 후공정으로 이송된다.As shown in Fig. 4, the
도 1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20)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10)용 샤프트(14)가 복수로 연이어 장착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20)는, 베이스부(22)와 측면가이드(24)와 커버가이드(26)와 프레임부(28)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3 and 5, the
적재부(20)를 통해 눕혀진 샤프트(14)가 연이어 공급될 수 있으며, 상하조절부(70)의 동작에 의해 적재부(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경사조절부(60)의 동작으로 적재부(20)의 경사 각도가 변경된다.The
베이스부(22)는 샤프트(14)의 하부를 지지하며 판 형상으로 연장된다. 베이스부(22)는 좌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재부(20)의 출구에 위치하는 베이스부(22)의 단부는 이송파지부(90)가 삽입되어 샤프트(14)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안내홈부(23)를 형성한다. 안내홈부(23)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부(22)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다. 장공 형상의 안내홈부(23)는 베이스부(22)의 중앙에서 적재부(20)의 출구를 향하여 장공의 홀을 형성하므로, 이송파지부(90)가 베이스부(22)의 상측에 있는 샤프트(14)를 파지하는 동작시 간섭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측면가이드(24)는 베이스부(22)의 양측에 위치하며, 베이스부(22)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2개가 한 쌍을 이루는 원형막대를 사용하는 측면가이드(24)는 베이스부(22)의 양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샤프트(14)가 베이스부(22)의 외측으로 낙하됨을 방지한다.The
커버가이드(26)는 베이스부(22)와 마주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베이스부(22)와 함께 이동되며, 베이스부(22)에서 샤프트(14)의 이탈을 구속한다.The
프레임부(28)는 베이스부(22)를 지지하며, 베이스부(22)는 복수로 구비되어 프레임부(28)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22)와 측면가이드(24)와 커버가이드(26)는 하나의 이송모듈(29)을 형성하며 상하로 설치된다. 따라서 1층의 베이스부(22)에 적재된 샤프트(14)의 배출이 완료된 후 2층에 적재된 베이스부(22)의 샤프트(14) 배출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샤프트(14)의 적재가 이루어지는 적재부(20)의 설치공간이 절약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샤프트(14)의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즉 베이스부(22)와 측면가이드(24)와 커버가이드(26)가 하나의 이송모듈(29)을 형성하며 복수의 층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이송모듈(29)은 프레임부(28)에 고정되므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한 이송모듈(29)이 프레임부(28)와 함께 이동이 이루어진다.That is, the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차단부(30)는 적재부(20)의 출구에 위치하며, 샤프트(14)의 배출을 제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차단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차단부(30)는 장착브라켓(32)과 배출구동부(34)와 배출브라켓(36)을 포함한다.9 to 13, the
장착브라켓(32)은 프레임부(28)에 고정되며, 배출구동부(34)를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브라켓(32)은 적재부(20)의 출구에 설치되며, 하측에 설치되는 적재부(20)에는 상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브라켓이 프레임부(28)에 고정된다. 또한 상측에 설치되는 적재부(20)에는 하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의 브라켓이 프레임부(28)에 고정된다.The mounting
배출구동부(34)는 장착브라켓(32)에 몸체가 고정되며, 적재부(20)의 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로드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구동장치이다. 배출구동부(34)는 실린더를 사용하며, 배출구동부(34)의 몸체는 장착브라켓(32)에 고정된다. 배출구동부(34)의 로드는 배출브라켓(36)에 연결되므로, 배출구동부(34)의 동작으로 배출브라켓(36)이 상하로 이동되어 샤프트(14)의 배출 여부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구동부(34)는 적재부(20)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The
배출브라켓(36)은 배출구동부(34)에 연결되며, 배출구동부(34)의 동작에 의해 적재부(20)의 출구를 개폐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의 배출브라켓(36)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브라켓(36)은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판재이며, 수평판재 부분은 베이스부(22)와 마주하며 평행하게 설치되며, 수직방향으로 굽어진 수직판재는 베이스부(22)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샤프트(14)의 이동을 구속한다. 수평판재 부분에는 연결홀부가 형성되어 제1걸림돌기(44)가 상하로 이동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수직판재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홈부가 형성되므로, 이송파지부(90)가 샤프트(14)를 파지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때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에어척을 사용하는 이송파지부(90)가 세워진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샤프트(14)의 상하측을 파지한다. 따라서 이송파지부(90)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배출브라켓(36)에는 이동홈부가 형성되며, 베이스부(22)에는 안내홈부(23)가 형성되어 이송파지부(90)의 이동시 간섭이 발생됨을 방지한다.The
제1스토퍼부(40)는 배출차단부(30)로 이동되는 샤프트(14)의 이동을 1차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스토퍼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토퍼부(40)는 제1구동부(42)와 제1걸림돌기(44)를 포함한다.Various kinds of stoppers may be used in the
제1구동부(42)는 장착브라켓(32)에 고정된다. 제1구동부(42)는 실린더를 사용하며,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구동부(42)의 몸체는 장착브라켓(32)에 고정되며 제1구동부(42)의 로드는 적재부(20)의 출구 방향을 향하여 설치된다. 제1구동부(42)의 로드에 제1걸림돌기(44)가 연결된다.The
제1걸림돌기(44)는 제1구동부(42)에 구비된 로드에 연결되며, 배출브라켓(36)을 향하여 이동되는 샤프트(14)의 이동경로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걸림돌기(44)는 샤프트(14)의 이동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샤프트(14)의 이동을 구속한다. 제1걸림돌기(44)는 베이스부(22)의 안내홈부(23)를 통해서 베이스부(2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걸림돌기(44)는 직육면체 형상의 돌기가 제1구동부(42)의 단부에 결합되며, 제1구동부(42)의 동작으로 베이스부(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샤프트(14)의 이동을 구속한다.The first engaging
제2스토퍼부(50)는 제1스토퍼부(40)로 이동되는 샤프트(14)의 이동을 2차 구속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스토퍼부(50)는 제2스토퍼몸체(52)와 제2걸림돌기(54)를 포함한다.The
제2스토퍼몸체(52)는 배출브라켓(36)에 고정되며, 배출브라켓(36)은 배출구동부(34)의 로드에 고정된다. 따라서 배출구동부(34)의 동작으로 제2스토퍼부(50)가 상하로 이동된다. 제2스토퍼몸체(52)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다.The
제2걸림돌기(54)는 제2스토퍼몸체(52)에서 연장되어 적재부(20)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제1걸림돌기(44)를 향하여 이동하는 샤프트(14)의 이동을 구속한다. 제1걸림돌기(44)와 제2걸림돌기(54) 사이의 간격은 샤프트(14)의 직경과 같거나 샤프트(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제1걸림돌기(44)와 제2걸림돌기(54)의 사이에는 1개의 샤프트(14)만 투입된다. 그리고, 제1걸림돌기(44)와 배출브라켓(36)의 사이에는 샤프트(14)의 공급이 한 개씩 이루어지므로, 이송파지부(90)가 샤프트(14)를 파지하여 이동되는 동작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배출구동부(34)와 제1구동부(42)가 베이스부(22)의 하측에 설치되는 경우, 제1걸림돌기(44)와 제2걸림돌기(54)가 베이스부(2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부(22)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샤프트(14)의 이동을 제어한다.The first engaging
또는 배출구동부(34)와 제1구동부(42)가 베이스부(22)의 상측에 설치되는 경우, 제1걸림돌기(44)와 제2걸림돌기(54)가 베이스부(22)를 향한 하측으로 돌출되어 베이스부(22)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샤프트(14)의 이동을 제어한다.The first engaging
제2걸림돌기(54)는 가운데가 상측으로 돌출된 삼각형 돌기 형상이며, 제2걸림돌기(54)의 상부 양측은 샤프트(14)의 곡면 형상을 따라 오목한 형상의 곡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샤프트(14)와 이웃한 샤프트(14)의 사이로 이동되는 제2걸림돌기(54)에 의해 제1걸림돌기(44)와 제2걸림돌기(54)의 사이에 1개의 샤프트(14)만 위치한다.The second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조절부(60)는 적재부(20)의 하측에 연결되며, 적재부(20)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경사조절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부(60)는, 경사조절베이스(62)와 회전연결부(64)와 경사조절구동부(66)를 포함한다.1 and 6, the
경사조절베이스(62)는 배출차단부(30)의 하측에 위치하는 판 형상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베이스(62)는 배출차단부(30)가 설치된 베이스부(22)의 하측에 판 형상으로 설치된다. 경사조절베이스(62)의 단부에 구비된 베이스브라켓에 경사조절구동부(66)가 설치된다. 베이스브라켓은 "ㄷ"자 형상의 브라켓으로 경사조절베이스(62)의 단부 하측에 설치된다.The
경사조절구동부(66)는 경사조절베이스(62)와 베이스부(22)의 타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며, 베이스부(22)의 타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조절구동부(66)는 실린더를 사용하며, 경사조절구동부(66)의 몸체는 경사조절브라켓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경사조절구동부(66)의 로드는 베이스부(22)에 힌지 연결된다.The inclination
회전연결부(64)는 경사조절베이스(62)와 베이스부(22)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연결부(64)는 회전지지브라켓과 수평바를 포함한다. 경사조절베이스(62)의 상측으로 회전지지브라켓이 돌출되며, 이러한 회전지지브라켓을 관통하며 수평방향으로 수평바가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부(22)의 하측으로 돌출된 돌기도 수평바의 관통이 이루어지므로 베이스부(22)는 수평바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이 이루어진다.The rotation connecting portion (64) rotatably connects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22) with the inclination adjusting base (62). The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조절부(70)는 경사조절부(60)의 하측에 위치하며, 경사조절부(6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조절부(70)는, 지지테이블(72)과 상하조절구동부(74)와 완충댐퍼(76)를 포함한다.5 to 7, the
지지테이블(72)은 경사조절베이스(62)의 하측에 위치하는 테이블이며,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하조절구동부(74)는 지지테이블(72)에 몸체가 고정되며, 상하조절구동부(74)의 지지로드(75)는 경사조절베이스(62)에 고정된다. 상하조절구동부(74)는 복수의 실린더가 사용되며, 상하조절구동부(74)의 몸체는 지지테이블(72)에 고정된다. 상하조절구동부(74)의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로드(7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경사조절베이스(62)를 상하로 이동시킨다.The support table 72 is a table located below the
또한 완충댐퍼(76)가 지지테이블(72)의 상측에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경사조절베이스(62)의 하측 이동시 경사조절베이스(62)가 설정된 높이 이하로 이동됨을 구속하는 동시에 경사조절베이스(62)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킨다.The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이동가이드부(80)는 경사조절베이스(6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이드장치가 사용된다. 이동가이드부(80)는 봉 형상의 가이드바(82)를 포함한다. 가이드바(82)의 상측은 경사조절베이스(62)에 고정되며, 가이드바(82)의 하측은 지지테이블(72)의 상판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하조절구동부(74)의 동작으로 경사조절베이스(62)가 상하로 이동할 때, 가이드바(82)의 안내로 인하여 경사조절베이스(62)의 흔들림을 방지한다.As shown in FIGS. 6 to 8, various types of guide apparatuses are used in the
송풍관로부(85)는 샤프트(14)가 제1차단부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샤프트(14)의 측면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관로이다. 송풍관로부(85)는 제2걸림돌기(54)의 후방에 설치되며, 제2걸림돌기(54)에 걸리 샤프트(14)가 제1걸림돌기(44)를 향하여 이동할 때 샤프트(14)의 측면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샤프트(14)의 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다.The
이송파지부(90)는 적재부(20)의 측면에 위치하며, 에어척을 사용하여 샤프트(14)를 파지한다. 이송파지부(90)는 로봇팔이나 별도의 이동장치에 연결되며, 세워진 상태로 이동되어 샤프트(14)를 파지한 후 후공정으로 샤프트(14)를 이동시킨다.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operating state of the
도 5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20)가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샤프트(14)는 배출브라켓(36)에 걸린 상태이다. 이때 경사조절부(60)의 경사조절구동부(66)가 동작되므로, 적재부(20)의 하측은 상측으로 들린 상태이다.As shown in FIGS. 5 and 14, in a state in which the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20)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이송파지부(9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배출브라켓(36)에 걸린 샤프트(14)를 파지한다. 이때 배출브라켓(36)에 이동홈부가 형성되며, 베이스부(22)에 안내홈부(23)가 형성되므로 이송파지부(90)의 이동시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15, in a state in which the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동부(34)가 동작되어 로드가 배출구동부(34)의 몸체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되면, 배출브라켓(36)과 함께 제2걸림돌기(54)가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송파지부(90)는 샤프트(14)를 파지한 상태에서 적재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후공정으로 샤프트(14)를 이송한다.16, when the
한편 제1걸림돌기(44)는 베이스부(22)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경사진 베이스부(22)를 따라 이동된 샤프트(14)는 제1걸림돌기(44)에 걸려서 이동이 구속된다.The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조절구동부(66)의 동작으로 로드가 하측으로 이동되면, 베이스부(22)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As shown in Fig. 17, when the rod is moved downward by the operation of the tilt
그 상태에서 배출구동부(34)가 동작되어 제2걸림돌기(54)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걸림돌기(44)에 걸린 샤프트(14)와 이웃한 샤프트(14)의 사이로 삽입된다. 그리고, 제2걸림돌기(54)와 함께 이동하는 배출브라켓(36)이 베이스부(22)의 단부를 차단하여 샤프트(14)의 배출을 구속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In this state, the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경사조절부(60)의 동작으로 베이스부(22)가 회전되어 기울어진 상태로 이동된다. 이때 제1걸림돌기(44)와 제2걸림돌기(54)의 사이에는 1개의 샤프트(14)만 위치한다.18, the
그리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부(42)가 동작되어 제1걸림돌기(44)가 베이스부(22)의 하측으로 이동하면, 기울어진 베이스부(22)를 따라 샤프트(14)가 이동되어 배출브라켓(36)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19, when the first
이러한 적재부(20)는 2단 이상으로 적재되며, 1단의 적재부(20)에 있는 샤프트(14)의 배출작업이 완료되면, 상하조절구동부(74)가 동작되어 적재부(20)의 높이가 조정되므로, 2단의 적재부(20)에 적재된 샤프트(14)의 배출작업이 시작될 수 있다.When the discharging operation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조절부(70)의 동작으로 적재부(20)의 상하 위치가 가변되므로, 1단에 적재된 샤프트(14)의 배출이 완료된 후 2단에 적재된 샤프트(14)의 배출도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샤프트(14)의 적재공간이 증가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배출차단부(30)와 경사조절부(60)가 동작되어 적재부(20)의 출구를 통한 샤프트(14)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스토퍼부(40)와 제2스토퍼부(50)와 배출브라켓(36)이 동작되어 샤프트(14)의 배출이 한 개씩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잇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will b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
10: 디텐트레버 어셈블리 12: 디텐트레버 플레이트 14: 샤프트
20: 적재부 22: 베이스부 23: 안내홈부 24: 측면가이드 26: 커버가이드 28: 프레임부 29: 이송모듈
30: 배출차단부 32: 장착브라켓 34: 배출구동부 36: 배출브라켓 37: 이동홈부 38: 연결홀부
40: 제1스토퍼부 42: 제1구동부 44: 제1걸림돌기
50: 제2스토퍼부 52: 제2스토퍼몸체 54: 제2걸림돌기
60: 경사조절부 62: 경사조절베이스 63: 베이스브라켓 64: 회전연결부 65: 회전지지브라켓 66: 수평바 67: 경사조절구동부
70: 상하조절부 72: 지지테이블 74: 상하조절구동부 75: 지지로드 76: 완충댐퍼
80: 이동가이드부 82: 가이드바 85: 송풍관로부 90: 이송파지부1: Shaft feeder for detent lever assembly
10: detent lever assembly 12: detent lever plate 14: shaft
20: loading part 22: base part 23: guiding groove part 24: side guide 26: cover guide 28: frame part 29:
30: discharge cut-off portion 32: mounting bracket 34: exhaust port opening 36: exhaust bracket 37: moving groove portion 38:
40: first stopper part 42: first drive part 44: first stopping part
50: second stopper portion 52: second stopper body 54: second stopping projection
60: a slope adjusting portion 62: a slope adjusting base 63: a base bracket 64: a rotation connecting portion 65: a rotation supporting bracket 66: a horizontal bar 67:
70: vertical adjustment part 72: support table 74: vertical adjustment driving part 75: support rod 76: buffer damper
80: movement guiding portion 82: guide bar 85: blowing tube portion 90: conveying grip portion
Claims (6)
상기 적재부의 출구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차단부;
상기 적재부의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적재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는 경사조절부; 및
상기 경사조절부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경사조절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는,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부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가이드; 및
상기 베이스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와 함께 이동되며,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샤프트의 이탈을 구속하는 커버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배출차단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고정되는 장착브라켓;
상기 장착브라켓에 몸체가 고정되며, 상기 적재부의 출구를 향한 방향으로 로드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배출구동부; 및
상기 배출구동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구동부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적재부의 출구를 개폐하는 배출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차단부로 이동되는 상기 샤프트의 이동을 1차 구속하는 제1스토퍼부; 및
상기 제1스토퍼부로 이동되는 상기 샤프트의 이동을 2차 구속하는 제2스토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스토퍼부는, 상기 장착브라켓에 고정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제1구동부의 로드에 연결되며, 상기 배출브라켓을 향하여 이동되는 상기 샤프트의 이동경로에 설치되는 제1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토퍼부는, 상기 배출브라켓에 고정되는 제2스토퍼몸체; 및
상기 제2스토퍼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적재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걸림돌기를 향하여 이동하는 상기 샤프트의 이동을 구속하는 제2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2걸림돌기 사이의 간격은 상기 샤프트의 직경과 같거나 상기 샤프트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
A loading section in which a plurality of shafts for detent lever assemblies are successively mounted;
A discharge blocking portion located at an outlet of the loading portion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shaft;
A slope adjusting unit connected to a lower side of the stacking unit and adjusting an installation angle of the stacking unit; And
And an up-down adjustment unit located below the inclination adjustment unit and moving the inclination adjustment unit up and down,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base portion supporting the shaft;
Side guides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base portion; And
And a cover guide which is fixed at a position facing the base portion and moves together with the base portion and restrains the deviation of the shaft from the base portion,
The mount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rame portion for supporting the base portion,
The plurality of base portions are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ame portion,
The discharge blocking portion includes a mounting bracket fixed to the frame portion;
A discharge port portion in which a body is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and a rod is moved in a direction toward an outlet of the loading portion; And
And a discharge bracket connected to the discharge opening portion and opening / closing the outlet of the loading portion by operation of the discharge opening portion,
A first stopper portion for primarily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haft moved to the discharge blocking portion; And
And a second stopper portion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haft moved to the first stopper portion,
The first stopper part may include a first driving part fixed to the mounting bracket; And
And a first locking protrusion connected to a rod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installed in a movement path of the shaft which is moved toward the discharge bracket,
The second stopper portion includes a second stopper body fixed to the discharge bracket; And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stopper body and protruding to the inside of the loading portion and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haft moving toward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shaft.
상기 경사조절부는, 상기 배출차단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사조절베이스;
상기 경사조절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연결부; 및
상기 경사조절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에 각각 힌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경사조절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lination adjusting portion includes: a slope adjusting base located below the discharge blocking portion;
A rotation connecting portion for rotatably connecting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with the inclination adjusting base; And
And a tilt adjustment driving unit hingedly connected to the inclination adjusting base and the other side of the base to provide power for moving the other side of the base up and down.
상기 상하조절부는, 상기 경사조절베이스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테이블; 및
상기 지지테이블에 몸체가 고정되며 지지로드는 상기 경사조절베이스에 고정되는 상하조절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텐트레버 어셈블리용 샤프트 공급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The up-down adjustment unit includes a support table located below the inclination adjustment base; And
And a vertical adjustment driving unit having a body fixed to the support table and a support rod fixed to the inclination adjustment bas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6468A KR101935859B1 (en) | 2017-05-02 | 2017-05-02 | Supply device for shaft of detent lever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6468A KR101935859B1 (en) | 2017-05-02 | 2017-05-02 | Supply device for shaft of detent lever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2226A KR20180122226A (en) | 2018-11-12 |
KR101935859B1 true KR101935859B1 (en) | 2019-01-07 |
Family
ID=6439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6468A Active KR101935859B1 (en) | 2017-05-02 | 2017-05-02 | Supply device for shaft of detent lever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585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7765B1 (en) * | 2021-06-03 | 2023-11-29 | 양재윤 | Automatic deburring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707220B2 (en) * | 1994-12-05 | 1998-01-28 | 奥村機械製作株式会社 | Probe storage |
JP2992414B2 (en) * | 1992-09-22 | 1999-12-20 | 日本輸送機株式会社 | Core transfer device |
-
2017
- 2017-05-02 KR KR1020170056468A patent/KR10193585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92414B2 (en) * | 1992-09-22 | 1999-12-20 | 日本輸送機株式会社 | Core transfer device |
JP2707220B2 (en) * | 1994-12-05 | 1998-01-28 | 奥村機械製作株式会社 | Probe stor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2226A (en) | 2018-11-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12613B2 (en) | Bar feeder | |
JP6302570B2 (en) | Electronic device production system | |
KR101935859B1 (en) | Supply device for shaft of detent lever assembly | |
EP2573233A2 (en) | Doffing apparatus and textile machine | |
KR102317395B1 (en) | Automatic object sorting and loading device | |
KR101803463B1 (en) | Discharge control device for shaft of detent lever assembly | |
US3989073A (en) | Apparatus for attaching valve bags to filling spouts of filling machines | |
CN109888592B (en) | Commutator segment arranging machine | |
CN111606015B (en) | Material turning mechanism and feeding device having the same | |
US20220339691A1 (en) | Cable-Tie Straightening Device | |
CN213564660U (en) | Assembly mechanism for bottom of paperboard barrel | |
CN214568694U (en) | Automatic feeding device | |
CN211392955U (en) | Automatic unloader that goes up of pipe material | |
CN111483883B (en) | Yarn supplying bobbin supplying device | |
CN111498469B (en) | Feeding method for communication accessory production | |
KR100959177B1 (en) | Bushing feeder | |
JPS61248872A (en) | Automatic winding machine | |
CN220563638U (en) | Automatic flattening and feeding device with lifting and conveying functions | |
CN213356893U (en) | Drum lifting and feeding device | |
CN222269078U (en) | Welding production equipment for switch discharge tube | |
KR102815146B1 (en) | Bobbin automatic feeding device of winding device | |
CN107901083A (en) | A kind of nut automatic assembling machine and its assembly method | |
KR101543574B1 (en) | screw feeding machine using cam-type slide | |
CN116331793B (en) | Plastic package feeding device for integrated circuit back-end | |
JP7152199B2 (en) | Work suppl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