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5716B1 -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716B1
KR101935716B1 KR1020180042637A KR20180042637A KR101935716B1 KR 101935716 B1 KR101935716 B1 KR 101935716B1 KR 1020180042637 A KR1020180042637 A KR 1020180042637A KR 20180042637 A KR20180042637 A KR 20180042637A KR 101935716 B1 KR101935716 B1 KR 101935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frame
gear
coupled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창
황의친
Original Assignee
황의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의창 filed Critical 황의창
Priority to KR1020180042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716B1/ko
Priority to JP2019510429A priority patent/JP6851121B2/ja
Priority to PCT/KR2018/009042 priority patent/WO201919888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71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7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by a modular detachable dr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8/00Differential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휠체어 손잡이와 연결된 프레임에 각각 결속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착탈이 가능하고 휠체어 바퀴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평판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는 무게가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휠체어 프레임으로부터 착탈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Apparatus for driving wheelchair}
본 발명은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와 연결되는 프레임에 착탈이 용이한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다리를 쓸 수 없거나 보행이 불편한 환우, 노약자를 위한 보행 보조기구이다. 이러한 휠체어는 양쪽 바퀴 외측에 각각 링형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으며, 휠체어 탑승자는 손잡이 휠을 손으로 굴려 휠체어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휠체어는 손의 사용이 어렵거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 휠체어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도우미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40485호에는 휠체어의 분리형 구동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휠체어는 모터축이 휠체어의 수평 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구동 모터에 휠체어의 바퀴 외주면과 밀착되는 한 쌍의 구동풀리를 구비한다.
그러나, 이러한 구동장치는 2개의 구동 모터를 별도로 탈부착 해야 하므로 탈부착이 불편하고, 2개의 구동 모터를 사용하므로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거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가격이 저렴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착탈이 용이한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는 휠체어 손잡이와 연결된 프레임에 각각 결속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착탈이 가능하고 휠체어 바퀴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평판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제1 회전축을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결합된 제1 회전축에 연결하여 제1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커플링; 상기 제1 기어는 맞물려 디퍼런셜 기어를 구동하는 제2 기어; 상기 디퍼런셜 기어와 연결된 제2 회전축의 끝단에 휠체어 바퀴 외주면과 밀착되는 한 쌍의 구동풀리; 상기 휠체어 바퀴의 회전을 조작하는 기어조작부; 상기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상기 전원부, 상기 모터, 상기 기어조작부,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은 휠체어 손잡이와 연결된 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매미고리 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평판프레임 하부에 상하로 사각형 또는 원형 브라켓이 수직프레임 상부에 상하로 결합된 사각형 또는 원형 장착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 하단부에 결합된 연결고리를 평판프레임의 연결핀에 결속하면 휠체어 바퀴 외주면에 한 쌍의 구동풀리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충전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을 일정 간격 및 높이로 연결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조작부는 전진 3단과 후진 1단으로 이루어져 휠체어 바퀴의 회전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 및 상기 평판프레임은 ABS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는 무게가 가볍고 가격이 저렴하며 휠체어 프레임으로부터 착탈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휠체어 본체로부터 구동장치를 착탈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동장치를 원하지 않는 구매자에게는 구동장치 없이 낮은 가격으로 휠체어를 공급할 수 있어 사용자가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장착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프레임에 결합된 장착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는 휠체어 손잡이와 연결되는 프레임(100)에 각각 결속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00), 상기 수직프레임(200)과 착탈이 가능하고 휠체어 바퀴(500)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평판프레임(300)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00)은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분리형 평판프레임(300)의 수직 하중을 부담하는 한 쌍의 기본 골격이며, 운반 및 착탈에 용이하도록 가벼운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ABS재질을 사용한다.
상기 수직프레임(200)은 휠체어 본체의 손잡이와 연결된 프레임(100)에 착탈 가능한 매미고리(미도시)로 간단하게 결합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매미고리는 수직프레임(200)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평판프레임(300)은 수직프레임(200)과 용이하게 착탈이 가능하다. 즉. 상기 평판프레임(300) 하부에 상하로 결합된 사각형 또는 원형 브라켓(310)이 수직프레임(200) 상부에 상하로 결합된 사각형 또는 원형 장착부(21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된다. 여기서, 상기 사각형 또는 원형 장착부(210)는 사각형 또는 원형 브라켓(310)과 결합되도록 내부가 비어 있으며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평판프레임(300)을 수직프레임(200)에 결합 시 휠체어 바퀴(500) 외주면에 한 쌍의 구동풀리(400)가 밀착되지 않아 수직프레임(200) 하단부에 결합된 연결고리(220)를 평판프레임(300)의 연결핀(311)에 결속함으로써 휠체어 바퀴(500) 외주면에 한 쌍의 구동풀리(400)가 밀착되게 된다. 이로 인해, 휠체어 바퀴(500)가 구동장치(1000)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장치(10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20), 제1 회전축(330)을 회전하는 모터(340), 상기 모터(340)와 결합된 제1 회전축(330)에 연결하여 제1 기어(35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커플링(360), 상기 제1 기어(350)는 맞물려 디퍼런셜 기어(352)를 구동하는 제2 기어(351), 상기 디퍼런셜 기어(352)와 연결된 제2 회전축(331)의 끝단에 휠체어 바퀴(500) 외주면과 밀착되는 한 쌍의 구동 풀리(400), 상기 휠체어 바퀴(500)의 회전을 조작하는 기어조작부(370), 상기 전원부(320)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치(380), 및 상기 전원부(320), 상기 모터(340), 기어조작부(370), 스위치(380)를 제어하는 제어부(3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320)는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330,331)은 평판프레임(300) 상부에 일정 간격 및 일정 높이로 연결 지지하도록 지지대(391)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퍼런셜 기어(352)는 모터의 힘을 양쪽 구동폴리(400)에 적절히 분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풀리(400)는 모터(340)의 구동력을 휠체어의 바퀴(500)에 전달해주는 동력 전달 수단으로, 휠체어 바퀴(500)와의 회전시 미끄럼 발생을 억제하도록 톱니로 이루어지며, 구동풀리(400)가 회전하면 구동풀리(400)와 밀착된 휠체어의 바퀴(500)가 회전한다.
상기 기어조작부(370)는 전진 3단과 후진 1단으로 이루어져 휠체어 바퀴(500)의 회전을 조작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00: 수직프레임 210: 장착부
220: 연결고리 300: 평판프레임
310: 브라켓 311: 연결핀
320: 전원부 330,331: 회전축
340: 모터 350,351: 기어
352: 디퍼런셜 기어 360: 커플링
370: 기어조작부 380: 스위치
390: 제어부 391: 회전축
400: 구동풀리 500: 바퀴

Claims (8)

  1. 휠체어 손잡이와 연결된 프레임에 각각 결속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 및
    상기 수직프레임과 착탈이 가능하고 휠체어 바퀴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를 구성하는 평판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제1 회전축을 회전하는 모터;
    상기 모터와 결합된 제1 회전축에 연결하여 제1 기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커플링;
    상기 제1 기어는 맞물려 디퍼런셜 기어를 구동하는 제2 기어;
    상기 디퍼런셜 기어와 연결된 제2 회전축의 끝단에 휠체어 바퀴 외주면과 밀착되는 한 쌍의 구동풀리;
    상기 휠체어 바퀴의 회전을 조작하는 기어조작부;
    상기 전원부의 전원 공급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상기 전원부, 상기 모터, 상기 기어조작부, 상기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 하단부에 결합된 연결고리를 평판프레임의 연결핀에 결속하면 휠체어 바퀴 외주면에 한 쌍의 구동풀리가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휠체어 손잡이와 연결된 프레임에 착탈 가능한 매미고리 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프레임 하부에 상하로 사각형 또는 원형 브라켓이 수직프레임 상부에 상하로 결합된 사각형 또는 원형 장착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충전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축을 일정 간격 및 높이로 연결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조작부는 전진 3단과 후진 1단으로 이루어져 휠체어 바퀴의 회전을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 및 상기 평판프레임은 ABS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KR1020180042637A 2018-04-12 2018-04-12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Active KR101935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637A KR101935716B1 (ko) 2018-04-12 2018-04-12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JP2019510429A JP6851121B2 (ja) 2018-04-12 2018-08-08 車椅子電動駆動装置
PCT/KR2018/009042 WO2019198884A1 (ko) 2018-04-12 2018-08-08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637A KR101935716B1 (ko) 2018-04-12 2018-04-12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716B1 true KR101935716B1 (ko) 2019-01-04

Family

ID=65017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637A Active KR101935716B1 (ko) 2018-04-12 2018-04-12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51121B2 (ko)
KR (1) KR101935716B1 (ko)
WO (1) WO201919888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189B1 (ko) * 2022-02-08 2022-07-11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장애인의 이동을 위한 간병의자
KR20220125573A (ko) * 2021-03-05 2022-09-14 황의창 착탈식 전동구동장치
US20240041674A1 (en) * 2022-08-08 2024-02-08 Christopher Paillet Powered assistance add-on device for improved operation of a manual wheelchai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208311A1 (en) * 2021-01-15 2022-07-21 Motion Composites Inc. Articulated motor support for wheelchai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485Y1 (ko) * 2001-05-02 2001-10-12 박거락 휠체어의 분리형 구동장치
JP2004116647A (ja) 2002-09-26 2004-04-15 Moric Co Ltd 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2823U (ko) * 1986-06-13 1987-12-24
FR2682593A1 (fr) * 1991-10-16 1993-04-23 Rameil Jean Automatisation des fauteuils roulants.
DE4202687A1 (de) * 1992-01-31 1993-08-05 Sasse Maschinen Apparatebau Gm Vorrichtung
JPH08266574A (ja) * 1995-03-29 1996-10-15 Asahi Giken Kk 介護者負荷感知式車椅子補助駆動装置
JP3550981B2 (ja) * 1997-11-26 2004-08-04 スズキ株式会社 電動車椅子
KR200193359Y1 (ko) * 1999-04-02 2000-08-16 최태윤 휠체어용 전동장치
KR200219658Y1 (ko) * 1999-04-02 2001-04-02 최태윤 휠체어의 전동장치
KR100698384B1 (ko) * 2005-06-16 2007-03-23 김영석 변속 수동구동장치가 장착된 휠체어
KR20090090703A (ko) * 2008-02-22 2009-08-26 이영기 다기능 전동휠체어
CN201275213Y (zh) * 2008-10-26 2009-07-22 陶玉兰 一种电动轮椅
KR20160142548A (ko) * 2015-06-03 2016-12-13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높낮이 조절 전동 휠체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485Y1 (ko) * 2001-05-02 2001-10-12 박거락 휠체어의 분리형 구동장치
JP2004116647A (ja) 2002-09-26 2004-04-15 Moric Co Ltd 駆動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5573A (ko) * 2021-03-05 2022-09-14 황의창 착탈식 전동구동장치
KR102512483B1 (ko) * 2021-03-05 2023-03-22 황의창 착탈식 전동구동장치
KR102419189B1 (ko) * 2022-02-08 2022-07-11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장애인의 이동을 위한 간병의자
US20240041674A1 (en) * 2022-08-08 2024-02-08 Christopher Paillet Powered assistance add-on device for improved operation of a manual wheelchair
US12011400B2 (en) * 2022-08-08 2024-06-18 Christopher Paillet Powered assistance add-on device for improved operation of a manual wheelchair
US20240315897A1 (en) * 2022-08-08 2024-09-26 Christopher Paillet Powered assistance device for improved operation of a wheelchair
US12329695B2 (en) * 2022-08-08 2025-06-17 Christopher Paillet Powered assistance device for improved operation of a wheel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02128A (ja) 2021-01-28
JP6851121B2 (ja) 2021-03-31
WO2019198884A1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716B1 (ko) 휠체어 전동 구동장치
US10335331B2 (en) Powered wheelchair, wheelchair powering device and method
IT1264951B1 (it) Apparecchiatura aspirante per la pulizia di superfici
US11001098B2 (en) Mobile medical device with at least one motor-driven wheel
US10130531B1 (en) Apparatus for constructing variable configurations of an attachable/detachable motorized drive for standard wheelchairs
US10874562B2 (en) Mobile device and transmission assembly
KR102041882B1 (ko) 스마트 전동 겸용 휠체어
JP3213290B2 (ja) 多機能翻身装置
JP3127472U (ja) 電動アシスト機構付きベビーカー
KR102512483B1 (ko) 착탈식 전동구동장치
KR100722430B1 (ko) 다기능 휠체어
CN108159509A (zh) 一种自动化吸痰装置
CN215385281U (zh) 移位机器人
KR20130054026A (ko) 휠체어 착탈식 전동장치
CZ29240U1 (cs) Houpací zařízení
JP2020138251A (ja) 鋼管の研磨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鋼管の研磨方法
CN213588794U (zh) 一种老年病人护理用翻身装置
CN110833486B (zh) 一种用于医学护理的多功能吊床
KR20200090023A (ko) 탈부착이 가능한 휠체어용 구동 시스템
JP2000175970A (ja) 電動駆動装置付車椅子
CN210662421U (zh) 一种内科检查用探照灯
KR200240485Y1 (ko) 휠체어의 분리형 구동장치
CN222426616U (zh) 一种可调节力度多位身体护理按摩装置
JP2010075535A (ja) 車椅子
CN204951448U (zh) 一种医用自动伸缩托盘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