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5464B1 - 색필터 및 색필터 표시판 - Google Patents

색필터 및 색필터 표시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464B1
KR101935464B1 KR1020110109948A KR20110109948A KR101935464B1 KR 101935464 B1 KR101935464 B1 KR 101935464B1 KR 1020110109948 A KR1020110109948 A KR 1020110109948A KR 20110109948 A KR20110109948 A KR 20110109948A KR 101935464 B1 KR101935464 B1 KR 101935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olid fluorescent
light source
color filt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623A (ko
Inventor
김영도
주진호
민 강
심우섭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9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464B1/ko
Priority to US13/465,774 priority patent/US9505975B2/en
Publication of KR2013004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623A/ko
Priority to US15/357,000 priority patent/US1029078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46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5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photoconducting or a ferro-electric layer, the properties of which can be optically or electrically vari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5Optical field-shaping means, e.g.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11/00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11/01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11/26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1Wavelength conversion means
    • H10H20/8511Wavelength conversion mean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e.g. binder
    • H10H20/851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10H20/8513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having two or more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elem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 H10H29/14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 covered by group H10H20/00 comprising multiple light-emitting semiconductor components
    • H10H29/142Two-dimensional arrangements, e.g. asymmetric LED layou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Filte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색필터 표시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색필터 표시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고, 안료 및 염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착색제 및 고체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색필터 그리고 상기 색필터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용액 상태에서 고체화됨에 따라 형광 효율이 증가하는 회합유도 형광방출증대(Aggregation Induced Emission Enhancement, AIEE) 물질이다.

Description

색필터 및 색필터 표시판{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ARRAY PANEL}
본 발명은 색필터 및 색필터 표시판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표시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진다.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배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는 또한 각 화소 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소자 및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화소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게이트선과 데이터선 등 다수의 신호선을 포함한다.
표시판 중 하나에는 색필터층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색필터층은 백색광으로부터 필터링하는 색에 따라 적색 색필터, 녹색 색필터, 청색 색필터들을 포함한다.
종래의 액정 표시 장치의 색필터로 사용되는 물질은 특정 파장대의 빛을 흡수하여 색을 구현하기 때문에 백라이트에서 복사되는 스펙트럼은 색필터를 거치면서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색필터 물질이 입사되는 빛의 상당량을 흡수함에 따라 총투과율이 떨어져 저소비 전력화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저전력화가 가능하고, 투과율 및 휘도를 향상시키는 색필터 및 색필터 표시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색필터 표시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고, 안료 및 염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착색제 및 고체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색필터 그리고 상기 색필터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용액 상태에서 고체화됨에 따라 형광 효율이 증가하는 회합유도 형광방출증대(Aggregation Induced Emission Enhancement, AIEE) 물질이다.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자외선 파장 영역대 또는 청색 파장 영역대의 빛을 흡수하여 발광할 수 있다.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1-cyano-trans-1, 2-bis-(4'-methylbiphenyl)ethylene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Figure 112011083977190-pat00001
[화학식 1]
Figure 112011083977190-pat00002
[화학식 2]
Figure 112011083977190-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11083977190-pat00004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테트라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CF3, OCH3, OCH2CH3, 할로겐, OH, NH2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테트라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CF3, OCH3, OCH2CH3, 할로겐, OH, NH2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화학식 3에서 X1, X2, X3,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N, O, S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일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330nm 내지 700nm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가시 광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청색 형광체 및 자외선 발광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청색 발광 칩과 옐로우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및 청색 발광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옐로우 형광체 및 청색 발광 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색필터는 안료 및 염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착색제 및 고체 형광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용액 상태에서 고체화됨에 따라 형광 효율이 증가하는 회합유도 형광방출증대(Aggregation Induced Emission Enhancement, AIEE) 물질이다.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자외선 파장 영역대 또는 청색 파장 영역대의 빛을 흡수하여 발광할 수 있다.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1-cyano-trans-1, 2-bis-(4'-methylbiphenyl)ethylene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하기 화학식 1 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Figure 112011083977190-pat00005
[화학식 1]
Figure 112011083977190-pat00006
[화학식 2]
Figure 112011083977190-pat00007
[화학식 3]
Figure 112011083977190-pat00008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테트라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CF3, OCH3, OCH2CH3, 할로겐, OH, NH2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화학식 3에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테트라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CF3, OCH3, OCH2CH3, 할로겐, OH, NH2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화학식 3에서 X1, X2, X3,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N, O, S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체화되어 형광 효율이 증가하는 고체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색필터와 단파장을 발생시키는 광원부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의 저전력화, 투과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II-II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먼저, 하부 표시판(1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진 제1 기판(110) 위에 복수의 게이트선(121)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선(121)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며 주로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다. 각 게이트선(121)은 게이트선(121)으로부터 돌출한 복수의 게이트 전극(124)을 포함한다.
게이트선(121) 및 게이트 전극(124)은 알루미늄(Al)과 알루미늄 합금 등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 은(Ag)과 은 합금 등 은 계열의 금속, 구리(Cu)와 구리 합금 등 구리 계열의 금속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게이트선(121) 및 게이트 전극(124)이 단일막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중막 또는 삼중막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중막 구조를 갖는 경우, 게이트선(121) 및 게이트 전극(124)은 하부막 및 상부막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막은 몰리브덴(Mo)과 몰리브덴 합금 등 몰리브덴 계열의 금속, 크롬(Cr), 크롬 합금, 티타늄(Ti), 티타늄 합금, 탄탈늄(Ta), 탄탈늄 합금, 망간(Mn), 망간 합금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막은 알루미늄(Al)과 알루미늄 합금 등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 은(Ag)과 은 합금 등 은 계열의 금속, 구리(Cu)와 구리 합금 등 구리 계열의 금속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삼중막 구조의 경우, 서로 물리적 성질이 다른 막들이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선(121)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절연막(140) 위에는 복수의 반도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반도체층은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으며, 게이트 전극(124)을 향하여 뻗어 나온 복수의 돌출부(projection; 154)를 포함한다.
반도체층 위에는 복수의 소스 전극(173) 각각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선(171) 및 복수의 드레인 전극(175)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선(171)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며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어 게이트선(121)과 교차한다. 각 데이터선(171)은 게이트 전극(124)을 향하여 뻗어 U자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소스 전극(173)과 연결되어 있다.
드레인 전극(175)은 데이터선(171)과 분리되어 있고 소스 전극(173)의 U자 형상의 가운데에서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의 형상은 하나의 예시이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데이터선(171),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층(171, 173, 175)은 알루미늄(Al)과 알루미늄 합금 등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 은(Ag)과 은 합금 등 은 계열의 금속, 구리(Cu)와 구리 합금 등 구리 계열의 금속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데이터선(171),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이 단일막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중막 또는 삼중막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중막 구조를 갖는 경우, 데이터선(171),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은 하부막 및 상부막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부막은 몰리브덴(Mo)과 몰리브덴 합금 등 몰리브덴 계열의 금속, 크롬(Cr), 크롬 합금, 티타늄(Ti), 티타늄 합금, 탄탈늄(Ta), 탄탈늄 합금, 망간(Mn), 망간 합금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부막은 알루미늄(Al)과 알루미늄 합금 등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 은(Ag)과 은 합금 등 은 계열의 금속, 구리(Cu)와 구리 합금 등 구리 계열의 금속 중에서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삼중막 구조의 경우, 서로 물리적 성질이 다른 막들이 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층의 돌출부(154)에는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에 데이터선(171) 및 드레인 전극(175)으로 가리지 않고 노출된 부분이 있다. 반도체층은 돌출부(154)의 노출된 부분을 제외하고 데이터선(171),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패턴을 가진다. 다시 말해, 데이터선(171),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의 측벽들은 이들 아래에 있는 반도체층의 측벽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데이터선(171), 소스 전극(173) 및 드레인 전극(175)을 포함하는 데이터 배선층(171, 173, 175)과 반도체층을 동일한 마스크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나의 게이트 전극(124), 하나의 소스 전극(173) 및 하나의 드레인 전극(175)은 반도체층(151)의 돌출부(154)와 함께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루며,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은 소스 전극(173)과 드레인 전극(175) 사이의 돌출부(154)에 형성된다.
데이터선(171), 드레인 전극(175) 및 노출된 반도체층의 돌출부(154) 부분 위에는 색필터(R, G, B)가 형성되어 있다. 색필터(R, G, B)는 화소 전극(191)의 열을 따라서 길게 뻗을 수 있다.
각 색필터(R, G, B)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에 제한되지 않고, 청록색(cyan), 자홍색(magenta), 옐로(yellow), 화이트 계열의 색 중 하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색필터(R, G, B)는 안료 및 염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착색제 및 고체 형광 물질을 포함한다. 색필터(R, G, B)는 착색제, 고체 형광 물질, 분산제, 바인더, 모노머, 개시제, 첨가제 등을 유기 용매에 용해한 후에 패터닝 또는 잉크젯 방법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안료형 색필터, 염료형 색필터, 또는 하이브리드형 색필터에 옐로우(yellow), 바이올렛(violet) 보정 염료를 혼합하는 것 대신에 본 실시예에서는 안료 및 염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착색제에 고체 형광 물질을 추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체 형광 물질은 용액 상태에서 고체화됨에 따라 형광 효율이 증가하는 회합유도 형광방출증대(Aggregation Induced Emission Enhancement, AIEE) 물질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체 형광 물질의 분자회합은 용매제거, 자외선 조사, 압력, 열 등의 다양한 자극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 형광 염료들은 용액 상태에서는 우수한 형광 효율을 나타내지만, 필름과 같은 고체 상태에서는 엑시머 형성(excimer formation)이나 에너지 전이 등과 같은 비발광 경로(non-radiative process)가 증가하게 되어 형광 효율이 급격히 감소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고체 형광 물질의 경우, 용액 상태에서는 형광이 거의 없으나 고체 상태, 예를 들어 약 30nm 내지 약 40nm 크기의 나노 입자에서는 형광의 세기가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
본 실시예에서 고체 형광 물질은 1-cyano-trans-1, 2-bis-(4'-methylbiphenyl)ethylene (CN-MBE)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CN-MBE는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CN-MBE의 유도체로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112011083977190-pat00009
[화학식 1]
Figure 112011083977190-pat00010
[화학식 2]
상기 화학식 2에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테트라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CF3, OCH3, OCH2CH3, 할로겐, OH, NH2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Figure 112011083977190-pat00011
[화학식 3]
상기 화학식 3에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테트라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CF3, OCH3, OCH2CH3, 할로겐, OH, NH2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3에서 X1, X2, X3,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N, O, S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일 수 있다.
[화학식 4]
본 실시예에 따른 고체 형광 물질은 자외선 파장 영역대 또는 청색 파장 영역대의 단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여 가시광선을 방출한다.
앞에서 색필터(R, G, B)가 하부 표시판(100)에 위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부 표시판(200)에 위치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표시판(100) 아래에 광원부(BLU)가 위치한다. 광원부(BLU)는 약 330nm 내지 약 700nm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약 330nm 내지 약 700nm의 빛을 조사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부(BLU)는 가장자리부와 중앙부를 포함하고, 가장자리부에 가시광선 발광 다이오드와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될 수 있다. 가시광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약 400nm 내지 약 700nm 파장의 빛이 발생하고,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약 330nm 내지 약 400nm 파장의 빛이 발생한다.
광원부(BLU)의 중앙부는 가시광선 발광 다이오드 및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생한 빛을 면광원화시켜 하부 표시판(100)에 공급하기 위한 도광판, 확산 시트, 반사 시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달리 광원부(BLU)는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청색 형광체 및 자외선 발광 칩으로 구성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광원부(BLU)는 옐로우 형광체와 청색 발광 칩으로 구성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체 형광 물질은 단파장 흡수에 대한 감도가 높은 물질이고, 청색 파장 대역에서 여기(excitation) 가능한 물질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광원부(BLU)는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및 청색 발광 칩으로 구성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체 형광 물질은 단파장 흡수에 대한 감도가 높은 물질이고, 청색 파장 대역에서 여기(excitation) 가능한 물질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광원부(BLU)는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옐로우 형광체 및 청색 발광 칩으로 구성된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체 형광 물질은 단파장 흡수에 대한 감도가 높은 물질이고, 청색 파장 대역에서 여기(excitation) 가능한 물질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고체 형광 물질은 약 330nm 내지 약 700nm의 빛을 흡수하여 적색 색필터에서는 약 650nm 파장의 빛을 발광하고, 녹색 색필터에서는 약 550nm 파장의 빛을 발광하여, 청색 색필터에서는 약 450nm 파장의 빛을 발광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부(BLU)에서 발생한 빛의 투과 스펙트럼에 따라 제1 광(P)이 외부로 나오고, 색필터(R, G, B)에 포함된 고체 형광 물질에 의한 발광 스펙트럼에 따라 제2 광(Q)이 외부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투과율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색필터(R,G,B) 위에는 절연 물질로 형성된 덮개막(250)이 위치할 수 있다. 덮개막(250) 상부에 보호막(미도시)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덮개막(250) 위에는 복수의 화소 전극(191)이 위치한다. 화소 전극(191)은 덮개막(250), 색필터(R, G, B)를 관통하는 접촉 구멍(185)을 통하여 드레인 전극(175)과 물리적ㅇ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드레인 전극(175)으로부터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는다.
이하, 상부 표시판(2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 절연 기판(210) 위에 차광 부재(220)가 형성되어 있다. 차광 부재(220)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라고도 하며 빛샘을 막아준다.
차광 부재(220) 위에는 공통 전극(270)이 위치한다.
상부 표시판(200)과 하부 표시판(100) 사이에 액정층(3)이 위치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체 형광 물질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사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왼쪽 유리병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체 형광 물질을 THF 용매와 혼합한 비교예이고, 오른쪽 유리병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고체 형광 물질을 THF와 물의 혼합용매와 혼합한 실험예이다. THF는 고체 형광 물질을 잘 녹이는 용매이고, 반면에 물은 고체형광물질을 잘 용해시킬 수 없는 용매이다. 따라서, 왼쪽 유리병의 비교예에서 고체 형광 물질이 THF에 대부분 용해된 분자 상태이고, 이 때 형광 특성이 나타나지 않고, 오른쪽 유리병의 실험예에서 고체 형광 물질이 완전히 녹지 않고 일부가 입자 상태로 존재함으로써 푸른색 형광 특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210 절연 기판 121 게이트선
140 게이트 절연막 154 반도체층의 돌출부
171 데이터선 173 소스 전극
175 드레인 전극 191 화소 전극
250 덮개막 220 차광 부재
270 공통 전극 BLU 광원부

Claims (18)

  1.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고, 안료 및 염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착색제 및 고체 형광 물질을 포함하는 색필터, 그리고
    상기 색필터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용액 상태에서 고체화됨에 따라 형광 효율이 증가하는 회합유도 형광방출증대(Aggregation Induced Emission Enhancement, AIEE) 물질이고,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색필터 표시판:
    Figure 112018052267094-pat00024

    [화학식 3]
    Figure 112018052267094-pat00025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3에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테트라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CF3, OCH3, OCH2CH3, 할로겐, OH, NH2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화학식 3에서 X1, X2, X3,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N, O, S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임).
  2. 제1항에서,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자외선 파장 영역대 또는 청색 파장 영역대의 빛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색필터 표시판.
  3. 제2항에서,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1-cyano-trans-1, 2-bis-(4'-methylbiphenyl)ethylene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색필터 표시판.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광원부는 330nm 내지 700nm의 빛을 조사하는 색필터 표시판.
  6. 제5항에서,
    상기 광원부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가시 광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색필터 표시판.
  7. 제1항에서,
    상기 광원부는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청색 형광체 및 자외선 발광 칩을 포함하는 색필터 표시판.
  8. 제1항에서,
    상기 광원부는 청색 발광 칩과 옐로우 형광체를 포함하는 색필터 표시판.
  9. 제1항에서,
    상기 광원부는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및 청색 발광 칩을 포함하는 색필터 표시판.
  10. 제1항에서,
    상기 광원부는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옐로우 형광체 및 청색 발광 칩을 포함하는 색필터 표시판.
  11. 제1항에서,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1-cyano-trans-1, 2-bis-(4'-methylbiphenyl)ethylene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색필터 표시판.
  12. 제11항에서,
    상기 광원부는 330nm 내지 700nm의 빛을 조사하는 색필터 표시판.
  13. 제12항에서,
    상기 광원부는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가시 광선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색필터 표시판.
  14. 안료 및 염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착색제 및 고체 형광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용액 상태에서 고체화됨에 따라 형광 효율이 증가하는 회합유도 형광방출증대(Aggregation Induced Emission Enhancement, AIEE) 물질이고,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현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색필터:
    Figure 112018052267094-pat00026

    [화학식 3]
    Figure 112018052267094-pat00027

    [화학식 4]
    (상기 화학식 3에서 R1, R2, R3,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테트라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CF3, OCH3, OCH2CH3, 할로겐, OH, NH2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이며, 상기 화학식 3에서 X1, X2, X3,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N, O, S로 이루어진 일군에서 선택된 하나임).
  15. 제14항에서,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자외선 파장 영역대 또는 청색 파장 영역대의 빛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색필터.
  16. 제15항에서,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1-cyano-trans-1, 2-bis-(4'-methylbiphenyl)ethylene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색필터.


  17. 삭제
  18. 제14항에서,
    상기 고체 형광 물질은 1-cyano-trans-1, 2-bis-(4'-methylbiphenyl)ethylene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색필터.
KR1020110109948A 2011-10-26 2011-10-26 색필터 및 색필터 표시판 Active KR101935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948A KR101935464B1 (ko) 2011-10-26 2011-10-26 색필터 및 색필터 표시판
US13/465,774 US9505975B2 (en) 2011-10-26 2012-05-07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array panel
US15/357,000 US10290781B2 (en) 2011-10-26 2016-11-21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arr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948A KR101935464B1 (ko) 2011-10-26 2011-10-26 색필터 및 색필터 표시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623A KR20130045623A (ko) 2013-05-06
KR101935464B1 true KR101935464B1 (ko) 2019-01-07

Family

ID=4817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948A Active KR101935464B1 (ko) 2011-10-26 2011-10-26 색필터 및 색필터 표시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505975B2 (ko)
KR (1) KR101935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9834B (zh) * 2018-10-26 2021-02-09 湘潭大学 一种具有多重刺激响应性的aiee侧链型聚合物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932771B (zh) * 2019-02-18 2021-06-29 苏州星烁纳米科技有限公司 量子点滤色器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1560A1 (en) * 2003-04-01 2004-12-02 Koji Kawaguchi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converting filter
US20090041500A1 (en) * 2006-03-30 2009-02-1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118530A1 (en) * 2006-10-12 2010-05-13 Panasonic Corporation Light-emit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5392A (ja) 1994-06-01 1995-12-12 Hoechst Japan Ltd カラーフィルター製造用感光性樹脂組成物
JPH08248217A (ja) 1995-03-09 1996-09-27 Sumitomo Rubber Ind Ltd 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用インキ、これを用いた液晶カラーフィルタ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70048756A (ko) 1995-12-13 1997-07-29 김광호 형광 염료를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
KR970073909A (ko) 1997-09-22 1997-12-10 이동욱 톱밥제조장치
JP4594579B2 (ja) 2002-08-22 2010-1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
US8129111B2 (en) * 2005-04-22 2012-03-06 The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Fluorescent water-soluable conjugated polyene compounds that exhibit aggregation induced emission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070042719A (ko) 2005-10-19 2007-04-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칼라필터
TWI468472B (zh) 2006-01-13 2015-01-11 Toyo Ink Mfg Co Color filters are used for coloring compositions, color filters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KR20070094679A (ko) 2006-03-18 2007-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필터 기판
US8481977B2 (en) * 2006-03-24 2013-07-09 Goldeneye, Inc. LED light source with thermally conductive luminescent matrix
KR20080001504A (ko) * 2006-06-29 2008-01-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81860B1 (ko) 2007-01-17 2009-02-06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센서컬러필터
KR20090019933A (ko) 2007-08-22 2009-02-26 엘지마이크론 주식회사 칼라필터 제조용 잉크조성물 및 칼라필터
KR100930668B1 (ko) 2007-12-31 2009-12-09 제일모직주식회사 컬러필터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KR20090073936A (ko) 2007-12-31 2009-07-03 제일모직주식회사 적색 안료 분산액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용레지스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컬러필터
JP2009186657A (ja) 2008-02-05 2009-08-20 Dainippon Printing Co Ltd 染料顔料複合型カラーフィルタ及び有機elディスプレイ
KR20100111103A (ko) 2009-04-06 201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5678411B2 (ja) 2009-04-07 2015-03-04 凸版印刷株式会社 赤色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JP5572332B2 (ja) 2009-04-24 2014-08-13 凸版印刷株式会社 染料を含有する青色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それを具備する液晶表示装置並びに有機elディスプレイ
TWI392954B (zh) * 2009-05-11 2013-04-11 Coretronic Corp 照明系統及照明控制方法
CN102472849B (zh) 2009-08-12 2014-12-03 住友化学株式会社 显示装置
KR20110024394A (ko) 2009-09-02 2011-03-0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300㎚ 이하의 초단파장 노광기를 이용한 고체 촬상 소자의 컬러 필터 제조용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촬상 소자
KR101370301B1 (ko) * 2009-11-20 2014-03-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1560A1 (en) * 2003-04-01 2004-12-02 Koji Kawaguchi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converting filter
US20090041500A1 (en) * 2006-03-30 2009-02-12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00118530A1 (en) * 2006-10-12 2010-05-13 Panasonic Corporation Light-emitting apparatu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역계 분자/고분자의 고체상 형광증대(고분자과학과 기술 제21권 3호 2010.06.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290781B2 (en) 2019-05-14
US20130106313A1 (en) 2013-05-02
US20170069807A1 (en) 2017-03-09
KR20130045623A (ko) 2013-05-06
US9505975B2 (en) 201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2673B2 (ja) 半導体発光装置、バックライトおよびカラー画像表示装置
TWI364560B (en) Colored composition for color filters, color filt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13373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ellular phone,computer and television including the same
TWI273285B (en) Color filter having capability of changing light-color
KR102661442B1 (ko) 표시 장치
TW200919021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color filter employed in the same
WO2016056485A1 (ja) 液晶表示装置
JPWO2019146519A1 (ja) 赤色積層基板、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用基板
TWI642757B (zh) 液晶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JP2007047781A (ja) 液晶表示装置
KR20160065267A (ko) 표시 패널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2008304677A (ja) 色補正フィルター、画像表示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20170192157A1 (en) Metal-doped quantum dot, led device and backlight module
JP5298722B2 (ja) 白色発光ダイオード光源液晶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白色発光ダイオード光源液晶表示装置
JP6413615B2 (ja) 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5125322A (ja) 多面付けカラーフィル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多面付け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1935464B1 (ko) 색필터 및 색필터 표시판
JP6225524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11118139A (ja)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9002961A (ja) 液晶表示装置及び反射シート
TWI521241B (zh) 彩色濾光片及彩色液晶顯示元件
CN102565906B (zh) 彩色滤光片及液晶显示器
JP2019077861A (ja) 着色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基板および表示装置
KR10113294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8999614B2 (en) Photoresist composition for forming a color filter and display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6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9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0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