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3354B1 -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 Google Patents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354B1
KR101933354B1 KR1020180078566A KR20180078566A KR101933354B1 KR 101933354 B1 KR101933354 B1 KR 101933354B1 KR 1020180078566 A KR1020180078566 A KR 1020180078566A KR 20180078566 A KR20180078566 A KR 20180078566A KR 101933354 B1 KR101933354 B1 KR 101933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anel
support bar
panel
bent
out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수 filed Critical 최영수
Priority to KR1020180078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3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3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2Door leaves consisting of frame and panels, e.g. of raised pane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실내측패널과 실외측패널의 결합부를 단열재가 구성된 다층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실내와 실외 간의 열에너지 이동을 차단하여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3점지지 방식의 지지바를 구성하여 단열부분에 대한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결합부의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열에너지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장치가 구성되는 측면에 대해서는 데드볼트(Deadbolt)가 구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일측으로 편향된 단열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결합부의 위치별 특징에 최적화된 단열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방화문 분야, 특히 결로방지를 위한 방화문용 단열(차열) 구조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Insulating fire door with support bar for reinforce}
본 발명은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실내측패널과 실외측패널의 결합부를 단열재가 구성된 다층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실내와 실외 간의 열에너지 이동을 차단하여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3점지지 방식의 지지바를 구성하여 단열부분에 대한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결합부의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열에너지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Fire door)은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에 있어서, 화염이나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물로, 평상시에는 주로 출입문이나 비상문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방화문은, 화재 발생시 고온의 화염이나 연기의 이동을 차단해야 하므로, 금속재 등으로 제작되며 필요시 내부에 방염재 등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방화문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재질이 금속재이므로, 여름이나 겨울과 같이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큰 계절에는 도어의 내측 또는 외측에 결로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겨울철에는 결로현상이 보다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특히, 대부분의 방화문이 금속재질의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이 서로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내부와 외부 간의 열 전달이 쉽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로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로현상은 도어에 이슬이 맺히는 것에 그치지 않고, 흘러내려 인접한 곳으로 확산될 수 있으며, 곰팡이가 발생하는 등의 위생적 문제는 물론 도어의 부식을 유발하는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인,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2562호 '도어용 단열프레임'(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은, 금속재의 프레임을 통해 실내외간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 사이에 단열바를 형성,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 간의 열교환을 차단하고 단열효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경우, 내측프레임과 외측프레임을 연결하는 단열바의 재질 특성에 의해 도어의 구조적 강도는 저하될 수 밖에 없으며, 화재발생시 상당한 고온과 외력을 견뎌야 하는 방화문에 적용하기에는 근본적으로 무리가 있고, 일반적인 도어의 경우에도 장기간 사용시 단열바의 연결부측에서 구조적 손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2562호 '도어용 단열프레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방화문의 실내측패널과 실외측패널의 결합부를 단열재가 구성된 다층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실내와 실외 간의 열에너지 이동을 차단하여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점지지 방식의 지지바를 구성하여 단열부분에 대한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결합부의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열에너지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잠금장치가 구성되는 측면에 대해서는 데드볼트(Deadbolt)가 구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일측으로 편향된 단열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결합부의 위치별 특징에 최적화된 단열구조를 제공하면서, 동시에 3점지지 방식의 지지바를 구성하여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열에너지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한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은, 상부에는 내측상부결합부가 절곡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내측측면결합부가 절곡형성된 실내측패널; 상부에는 상기 내측상부결합부와 결합되는 외측상부결합부가 절곡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내측측면결합부와 결합되는 외측측면결합부가 절곡형성된 실외측패널; 상기 실내측패널과 실외측패널이 결합된 상부 및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구성된 지지바; 및 상기 내측상부결합부와 외측상부결합부 사이, 상기 내측측면결합부와 외측측면결합부 사이, 상기 지지바와 결합부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구성되어 열에너지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측상부결합부 및 외측상부결합부는, 상기 실내측패널 및 실외측패널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서 하부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서 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플렛(Flat)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는, 상기 내측상부결합부의 플렛부 및 상기 외측상부결합부의 플렛부 중 하부에 위치한 플렛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기 플렛부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패널 및 실외측패널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날개;에 의해 3면지지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패널의 내측면 및 실외측패널의 내측면과 상기 지지날개 사이에 각각 보조단열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패널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제1 내측측면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외측패널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제1 외측측면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측측면결합부는, 상기 실내측패널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절곡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접혀진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측면결합부는, 상기 실외측패널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절곡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서 내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서 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된 플랫(Flat)부;를 포함하며, 외부측에서 내부측방향으로 상기 접힘부, 제1 측면단열재, 상기 플랫부, 제2 측면단열재 및 지지바가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기 플렛부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패널 및 실외측패널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날개;에 의해 3면지지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측면단열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지지날개에 대응하여 3면단열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패널의 양측면 중 다른 일측면에 제2 내측측면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외측패널의 양측면 중 다른 일측면에 제2 외측측면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내측측면결합부와 제2 외측측면결합부는 방화문의 다른 일측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패널의 양측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2 내측측면결합부는, 상기 실내측패널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내부측으로 절곡된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패널은, 상기 제1 연결부에 대응하는 가장자리 종단부가 내부측으로 절곡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사이에는 제3 측면단열재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연결리브가 형성된 연결지지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리브와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사이에 제3 측면단열재가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바는, 상기 연결리브가 실내측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패널 및 실외측패널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날개;에 의해 3면지지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측패널의 내측면 및 실외측패널의 내측면과 상기 지지날개 사이에 각각 보조단열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방화문의 실내측패널과 실외측패널의 결합부를 단열재가 구성된 다층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실내와 실외 간의 열에너지 이동을 차단하여 결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결합구조를 유지하면서, 결합부 사이사이에 단열재로 구성된 단열층을 형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구조적 강성을 유지하면서 실내측과 실외측 간의 단열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점지지 방식의 지지바를 구성하여 단열부분에 대한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결합부의 구조적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열에너지의 이동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화문의 상면과 양측면에 단열구조를 적용함에 있어, 위치별 특징에 최적화된 단열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방화문으로서의 기본적인 기능과 더불어 단열효과의 향상에 따른 결로방지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잠금장치가 구성되는 측면에 대해서는 데드볼트(Deadbolt)가 구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일측으로 편향된 단열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방화문에 설치되는 장금장치의 구조와 기능에 제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3점지지 방식의 지지바를 구성함으로써, 편향된 단열구조에 따른 구조적 강도저하를 보강하여 방화문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방화문 분야, 특히 결로방지를 위한 방화문용 단열(차열) 구조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 부분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9는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3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다. 이때, 도 1을 기준으로 좌측하부방향은 실내측, 우측상부방향은 실외측으로 하며, 좌측상부방향은 힌지축이 구성되는 방향으로 힌지측, 우측하부방향은 잠금장치가 구성되는 방향으로 손잡이측 또는 개방측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A)은, 실내측패널(100), 실외측패널(200), 지지바(300) 및 단열재(400)를 포함한다.
실내측패널(100)은 단열방화문(A)의 실내측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내측상부결합부(100)가 절곡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내측측면결합부(120, 130)가 절곡형성된다.
실외측패널(200)은 단열방화문(A)의 실외측을 구성하며 실내측패널(100)과 상부 및 양측면에서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내측상부결합부(110)와 결합되는 외측상부결합부(210)가 절곡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내측측면결합부(120, 130)와 결합되는 외측측면결합부(220, 230)가 절곡형성된다.
이때, 내측상부결합부(110) 및 외측상부결합부(210)와 내측측면결합부(120, 130) 및 외측측면결합부(220, 230)는 도 2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면접촉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전후방향 및 측면방향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실내측패널(100)과 실외측패널(2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지지바(300)는 도 2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내측패널(100)과 실외측패널(200)이 결합된 상부 및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구성되어, 각 결합부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단열재(400)는 도 2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측상부결합부(110)와 외측상부결합부(210) 사이, 내측측면결합부(120, 130)와 외측측면결합부(220, 230) 사이, 지지바(300)와 결합부(110, 220)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구성되어 열에너지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으로, 띠(벨트) 형태로 형성되어 금속재의 각 구성들 사이에 적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재(400)를 띠 형태로 형성하여 적층하게 되면, 각 결합부가 면접촉되는 것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단열방화문(A)의 기본적인 구조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단열방화문(A)은 구조적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열에너지가 전달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실내외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결합부의 결합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의 'a-a'선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내측상부결합부(110)와 외측상부결합부(210)는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내측상부결합부(110)는 실내측패널(100)의 상부가장자리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연장부(111), 연장부(111)에서 하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112), 경사부에서 다시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플렛(Flat)부(113)가 순차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해, 내측상부결합부(110)는 실내측패널(100)의 상부가장자리에서 연장형성된 부분이 순차적으로 절곡되면서 연장부(111), 결사부(112) 및 플렛부(113)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상부결합부(110)는 롤포밍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상부결합부(210) 또한 동일 내지 유사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외측상부결합부(210)는 앞서 설명한 내측상부결합부(110)에 대응하여, 실외측패널(20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연장부(211), 연장부(211)에서 하부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된 경사부(212), 경사부(212)에서 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된 플렛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상부결합부(110)의 플렛부(113)와 외측상부결합부(210)의 플렛부(213)는, 그 사이에 띠 형상의 단열재(400)가 구성된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두 플렛부(113, 213)는 리벳(Rivet, 600)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볼트결합이나 용접 등 다양한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부의 결합구조를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두 플렛부(113, 213)가 결합된 내부측으로 지지바(3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지지바(300)는 내측상부결합부(110)의 플렛부(113) 및 외측상부결합부(210)의 플렛부(213) 중 하부에 위치한 플렛부(213)와 결합되는 것으로, 해당 플렛부(213)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310)와, 지지플레이트(310)의 양측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된 지지날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바(300)는 지지플레이트(310)에 의해 상부면의 결합부(110, 210)와 결합되면서, 지지날개(320)에 의해 실내측패널(100)과 실외측패널(200)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므로, 상부와 전후면을 포함하는 3면에 대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바(300)의 열전도도에 따라 두 가지의 결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지지바(300)의 열전도도가 낮은 경우에는, 지지바(300)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날개(320)가, 실내측패널(100) 및 실외측패널(200)의 내측면에 바로 밀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만약, 지지바(300)의 열전도도가 높은 경우에는, 실내측과 실외측의 열교환을 차단하기 위하여, 실내측패널(100)의 내측면과 지지날개(320) 사이, 그리고 실외측패널(200)의 내측면과 지지날개 사이에 각각 보조단열재(401)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단열재(401)는 상부에 구성된 단열재(400)와 동일 내지 유사한 재질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방화문(A)은, 그 상부의 구조가 내측상부결합부(110)의 플렛부(113), 단열재(400), 외측상부결합부(210)의 플렛부(213), 지자바(300)의 지지플레이트(3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양측에 직각사다리꼴 단면의 공간부(도시하지 않음)를 형성함으로써, 전후방향 및 상부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과 더불어 비틀림 등에 대항하는 힘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b-b'선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내측패널(100)의 양측면 중 힌지축이 구성되는 힌지측(도 4에서 좌측)의 일측면에는 제1 내측측면결합부(120)가 형성될 수 있고, 단열방화문(A)이 개방되며 잠금장치가 설치되는 다른 일측면(도 4에서 우측면)에는 제2 내측측면결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내측패널(100)에 대응하여, 실외측패널(20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는 제1 외측측면결합부(220)가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일측면에는 제2 외측측면결합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힌지측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제1 내측측면결합부(120)는 실내측패널(10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절곡된 연장부(121), 연장부(121)에서 연장형성되어 접혀진 접힘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외측측면결합부(220)는 실외측패널(20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절곡된 연장부(221), 연장부(221)에서 내부측(도 4에서 우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된 경사부(222), 경사부(222)에서 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된 플랫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내측측면결합부(120)의 연장부(121)와 제1 외측측면결합부(220)의 연장부(221)는 동일면상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내측측면결합부(120)의 접힘부(122)와 제1 외측측면결합부(220)의 플렛부(223)가 면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외측측면결합부(220)의 플렛부(223)의 내부측으로 지지바(3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각 구성들 사이에는 단열재(411, 412)가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열방화문(A)의 힌지측 측면은, 외부측(도 4에서 좌측)에서 내부측방향(도 4에서 우측)으로 접힘부(122), 제1 측면단열재(411), 플랫부(223), 제2 측면단열재(412) 및 지지바(300)가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바(300)는 제1 외측측면결합부(220)의 플렛부(223)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310) 및 지지플레이트(310)의 양측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실내측패널(100) 및 실외측패널(200)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날개(320)에 의해 3면지지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바(300)의 열전도도에 따라 실내측패널(100) 및 실외측패널(200)의 내측면과 지지날개(320) 사이에 단열재가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측면단열재(412)는 양측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단열연장부(413)가 형성됨으로써, 지지플레이트(310) 및 지지날개(320)에 의해 3면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지자바(300)에 대응하여 3면단열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단열방화문(A)의 개방측(도 4에서 우측)은 문틀(도시하지 않음)과 개폐되는 방향으로, 문틀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실외측이 문틀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내측측면결합부(130)는 실내측패널(100)에서 연장되어 측면을 구성하도록 절곡된 연장부(131)와, 연장부(131) 가장자리가 절곡된 절곡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외측측면결합부(230)는 실외측패널(200)에서 실외측(도 4 및 도 5에서 상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231)와, 경사부(231)에서 연장형성되어 절곡부(132)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마감부(2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절곡부(132)와 마감부(232) 사이에는 마감부용 단열재(421)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단열방화문(A)이 닫히게 되면, 제2 내측측면결합부(130)의 연장부(131)에서 돌출된 제2 외측측면결합부(230)의 마감부(232)가 문틀에 밀착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단열방화문(A)은 내부에 구성되는 단열재(421)에 의해 마감부(232)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심미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제작과정에서도 단열재(421)가 구성되도록 마감부(232)를 절곡하여 결합하는 과정에 다소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마감부(232)에 단열재(421)를 구성하지 않으면서도, 단열방화문(A)의 다른 일측면(개방면)에 대한 단열(차열)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열방화문(A)의 다른 일측면(개방면)에 별도의 측면패널(140)을 더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측면패널(140)의 양측 가장자리 중 실내측 가장자리는 실내측패널(100)의 제2 내측측면결합부(130)와 결합될 수 있고, 실외측 가장자리는 실외측패널(200)의 제2 외측측면결합부(23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내측측면결합부(130)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내측패널(100)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연장부(131)가 소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131)에서 연장되어 내부측으로 절곡되어 제1 연결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패널(140)은 단열방화문(A)의 다른 일측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플레이트(141)와, 앞서 살펴본 제2 외측측면결합부(230)의 마감부(232)에 결합되는 절곡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면패널(140)은 제1 연결부(133)에 대응하는 가장자리인 실내측가장자리(도 6에서 하부방향)의 종단부가 단열방화문(A)의 내부측으로 절곡된 제2 연결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제1 연결부(133) 및 제2 연결부(422) 사이에는 제3 측면단열재(422)를 구성함으로써, 실내측과 실외측에 대한 단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별도의 측면패널(140)을 이용하여 단열구조를 적용하는 경우, 앞서 선행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열방화문(A)의 전후방향(도 6에서 상하방향)으로 발생하는 외력에 대응하는 구조적 강도가 약화되면서, 측면패널(140) 부분에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효과를 유지하면서 해당 측면에 대한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열방화문(A)은 개방측의 내부에 연결지지바(5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연결지지바(500)는 측면패널(140)과 나란히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510)와, 지지플레이트(510)의 양측 가장자리에 절곡형성된 지지날개(520), 그리고 앞서 설명한 제1 연결부(133) 및 제2 연결부(143)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리브(5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연결지지바(500)의 연결리브(530)가 제1 연결부(133) 및 제2 연결부(143) 사이에 결합되어 고정지지됨과 동시에, 양측에 형성된 지지날개(520)가 실내측패널(100)의 내측면 및 실외측패널(200)의 내측면에 밀착지지되면서, 3면지지가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실내측과 실외측 간의 단열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결리브(530)와 제1 연결부(133) 사이 및 연결리브(530)와 제2 연결부(143) 사이에 제3 측면단열재(422)를 각각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지지바(300)와 동일 내지 유사한 이유에 의해, 실내측패널(100)의 내측면과 지지날개(520) 사이 및 실외측패널(200)의 내측면과 지지날개(520) 사이에 각각 보조단열재(423)를 더 구성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마감부(323)의 폭을 최소화하여 단열방화문(A)의 기능적 및 심미감적 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구조적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실내측과 실외측 간의 단열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6에 나타난 제2 내측측면결합부(130)의 제1 연결부(133), 제3 측면단열재(422) 및 측면패널(140)의 제2 연결부(143)로 구성되는 부분이, 단열방화문(A)의 실내측이 아닌 실외측으로 편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과 더불어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도어 자물쇠의 데드볼트가 단열방화문(A)의 측면에 구성되는 점을 고려하여 일측으로 편향된 단열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힌지측은 물론 개방측 측면에 대한 단열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도 3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열방화문(A)의 상부에 대하여 앞서 설명한 측면의 단열구조를 적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A)을 구성하는 실내측패널(100)의 상부를 절곡하여 형성한 내측상부결합부(110)는, 실내측패널(100)의 상부에서 절곡하여 연장된 연장부(111)와, 연장부(111)에서 접혀져 연장된 접힘부(114)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실내측패널(100)의 내측상부결합부(110)를 구성하는 연장부(111) 및 접힘부(114)와, 실외측패널(200)의 외측상부결합부(210)를 구성하는 플렛부(213) 사이에 단열재(400)를 구성할 수 있다.
더불어, 지지바(300)와 외측상부결합부(210)의 플렛부(213) 사이에 도 3과 같은 단열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단열방화문(A)의 제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도 3에 나타난 상부의 단열구조를 측면에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10에서, 미설명부호 '402'는 상부보조단열재이고, '403'은 단열연장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단열방화문
100 : 실내측패널
110 : 내측상부결합부 111 : 연장부
112 : 경사부 113 : 플렛(Flat)부
120 : 제1 내측측면결합부 121 : 연장부
122 : 접힘부
130 : 제2 내측측면결합부 131 : 연장부
133 : 제1 연결부
140 : 측면패널 141 : 측면플레이트
142 : 절곡부 143 : 제2 연결부
200 : 실외측패널
210 : 외측상부결합부 211 : 연장부
212 : 경사부 213 : 플렛부
220 : 제1 외측측면결합부 221 : 연장부
222 : 경사부 223 : 플렛부
230 : 제2 외측측면결합부
300 : 지지바
310 : 지지플레이트 320 : 지지날개
400 : 단열재 401 : 보조단열재
411 : 제1 측면단열재 412 : 제2 측면단열재
413 : 단열연장부 422 : 제3 측면단열재
423 : 보조단열재
500 : 연결지지바 510 : 지지플레이트

Claims (10)

  1. 상부에는 내측상부결합부가 절곡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제1 및 제2 내측측면결합부가 각각 절곡형성된 실내측패널;
    상부에는 상기 내측상부결합부와 결합되는 외측상부결합부가 절곡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내측측면결합부와 결합되는 제1 및 제2 외측측면결합부가 각각 절곡형성된 실외측패널;
    양측이 상기 제2 내측측면결합부와 제2 외측측면결합부와 각각 연결되어 방화문의 다른 일측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패널;
    상기 실내측패널과 실외측패널이 결합된 상부 및 양측면 중 적어도 일측의 내부에 구성된 지지바;
    상기 실내측패널, 실외측패널 및 측면패널과 각각 연결되어 3점지지하는 연결지지바; 및
    상기 내측상부결합부와 외측상부결합부 사이, 상기 내측측면결합부와 외측측면결합부 사이, 상기 지지바와 결합부 사이 중 적어도 하나의 사이에 구성되어 열에너지의 이동을 차단하는 단열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내측측면결합부는,
    상기 실내측패널로부터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되어 내부측으로 절곡된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패널은,
    상기 제1 연결부에 대응하는 가장자리 종단부가 내부측으로 절곡된 제2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지지바는,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연결리브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리브와 상기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사이에 제3 측면단열재가 각각 구성되어,
    상기 제1 연결부, 제3 측면단열재, 연결리브, 제3 측면단열재, 제2 연결부가 일측으로 편향된 위치에서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면접촉되어 밀착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상부결합부 및 외측상부결합부는,
    상기 실내측패널 및 실외측패널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서 하부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서 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플렛(Flat)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바는,
    상기 내측상부결합부의 플렛부 및 상기 외측상부결합부의 플렛부 중 하부에 위치한 플렛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플렛부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패널 및 실외측패널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날개;에 의해 3면지지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패널의 내측면 및 실외측패널의 내측면과 상기 지지날개 사이에 각각 보조단열재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패널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제1 내측측면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실외측패널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 제1 외측측면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내측측면결합부는,
    상기 실내측패널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절곡된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접혀진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측면결합부는,
    상기 실외측패널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절곡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서 내부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에서 절곡되도록 연장형성된 플랫(Flat)부;를 포함하며,
    외부측에서 내부측방향으로 상기 접힘부, 제1 측면단열재, 상기 플랫부, 제2 측면단열재 및 지지바가 순차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상기 플렛부와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패널 및 실외측패널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날개;에 의해 3면지지가 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측면단열재는,
    상기 지지플레이트 및 지지날개에 대응하여 3면단열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바는,
    상기 연결리브가 실내측으로 편향되도록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패널 및 실외측패널의 내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날개;에 의해 3면지지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측패널의 내측면 및 실외측패널의 내측면과 상기 지지날개 사이에 각각 보조단열재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78566A 2018-07-06 2018-07-06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Active KR101933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566A KR101933354B1 (ko) 2018-07-06 2018-07-06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566A KR101933354B1 (ko) 2018-07-06 2018-07-06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3354B1 true KR101933354B1 (ko) 2019-03-15

Family

ID=65762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566A Active KR101933354B1 (ko) 2018-07-06 2018-07-06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3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659A (ko) * 2021-04-29 2022-11-07 (주)동광명품도어 유리시창이 적용된 조립식 방화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53Y1 (ko) * 2002-06-11 2002-08-30 김기현 기밀성이 강화된 철재문
KR101788657B1 (ko) * 2017-02-28 2017-10-20 이승용 단열성이 향상된 방화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53Y1 (ko) * 2002-06-11 2002-08-30 김기현 기밀성이 강화된 철재문
KR101788657B1 (ko) * 2017-02-28 2017-10-20 이승용 단열성이 향상된 방화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659A (ko) * 2021-04-29 2022-11-07 (주)동광명품도어 유리시창이 적용된 조립식 방화문
KR102520503B1 (ko) 2021-04-29 2023-04-11 (주)동광명품도어 유리시창이 적용된 조립식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91119B2 (en) Windows and doors assembly structure having a joint portion of 45 degrees
KR200448747Y1 (ko) 단열 및 기밀성이 향상된 도어
KR101892561B1 (ko) 방화문
KR102349022B1 (ko) 열교 방지 구조를 갖는 조립식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JP6258634B2 (ja) 窓の防火構造
KR101933354B1 (ko) 보강용 지지바가 구성된 단열방화문
KR101669409B1 (ko) 강화유리문 프레임의 설치구조
JP2005351008A (ja) 合成樹脂製引違い窓
CN106639817A (zh) 一种多功能钢质门窗系统和系统中窗框、窗扇框架的制作方法
KR10227330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커튼월의 단열 구조
CN212079047U (zh) 一种组合型断桥隔热型材及门窗
KR102039140B1 (ko) 고층 건물용 슈퍼 단열 창호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586427B1 (ko) 단열 효과를 극대화한 친환경 커튼월
KR20100025043A (ko) 도어 시스템
JP6173891B2 (ja) 樹脂製建具
JP3111380B2 (ja) スライディングサッシ
KR20200045060A (ko) 차열 및 차연 성능이 우수한 방화문과 그 제조방법
CN109184043B (zh) 隔热型隔断系统
KR101571541B1 (ko)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KR200368017Y1 (ko) 현관방화문
KR10117146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KR102575594B1 (ko) 3피스 구조의 방화문
JP3363104B2 (ja) サッシ窓
JP7649933B2 (ja) 耐火・防錆機能を持つ断熱枠体
JPH07166767A (ja) 防火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