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2653B1 - 초절수형 양변기 - Google Patents

초절수형 양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653B1
KR101932653B1 KR1020180143624A KR20180143624A KR101932653B1 KR 101932653 B1 KR101932653 B1 KR 101932653B1 KR 1020180143624 A KR1020180143624 A KR 1020180143624A KR 20180143624 A KR20180143624 A KR 20180143624A KR 101932653 B1 KR101932653 B1 KR 101932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fall
spin
toilet
dischar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유미
이광호
김남엽
서계순
Original Assignee
고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유미 filed Critical 고유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6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2201/00Details and methods of use for water closets and urin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3D2201/40Devices for distribution of flush water inside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복잡한 기계와 전자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양변기의 간단한 구조 개선만을 통해 적은 양의 물로 빠른 시간 내에 오물을 배출함으로써 물을 최대한 절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초절수형 양변기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20)와;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며 저부에 배출부(11)가 구비된 양변기 본체(10)와; 상기 양변기 본체의 뒤쪽에서 앞쪽을 향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물을 출수하여 물이 상기 양변기 본체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면서 저부의 배출부를 향해 내려가도록 하여 오물을 배출시키는 워터폴스 스핀수단(30)과; 상기 배출부의 상부 앞쪽에 형성되어 물을 상기 배출부로 분사하는 제트 출수구(50)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폴스 스핀수단은, 상기 양변기 본체의 뒤쪽에서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좌우측 스핀출수구(31-1,31-2)가 구비된 워터폴스 스핀채널(31), 상기 양변기 본체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워터폴스 스핀채널의 좌우측 스핀출수구에서 분사되는 물을 상기 양변기 본체의 내벽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상기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로 구성되며, 상기 제트 출수구는 제트 분사관 및 상기 제트 분사관에 장착되며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 또는 전진하여 오물을 배출을 돕는 푸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절수형 양변기{WATER SAVING TYPE TOILET BOWL}
본 발명은 양변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기계장치와 전자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 개선만을 통해 적은 양의 물로 빠른 시간 내에 오물을 배출함으로써 물을 최대한 절약하는 초절수형 양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남녀 화장실을 구분하지 않고 남성 전용의 소변기도 별도로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하나의 양변기를 이용하여 남녀 구분없이 대소변의 용무를 보고 있다.
양변기는 물탱크에서 나오는 물살이 하부의 제트수로로 배수될 때, 오물의 잔여물이 없이 깨끗하게 배수되어야 하는데, 종래 양변기의 구조에서는 상당량의 물을 소비해야 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짧지 않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별도의 기계장치를 도입하고 전기를 통하여 물살의 세기를 조절하며, 배수로에서의 흡입력을 강화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물의 양을 적게 사용하도록 조절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별도의 장치 설치에 따른 비용 소비, 전기시설이 없는 화장실에서의 설치 불가능, 기계의 노후 및 고장으로 인한 A/S 발생 및 배수로의 강한 흡입력에 의한 소음발생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234341호)은 중앙부에 오수를 일시 수용하는 보울이 구비되고, 상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림 도수로가 구비되며, 상기 보울 하부측과 배수구를 상호 연결하되 실내로 악취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측으로 굴곡된 에어트랩부를 포함하는 사이펀관로를 구비한 양변기본체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관로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수도 직결관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의 분출수를 분사하도록 하는 제트노즐과; 상기 사이펀관로의 최상부인 에어트랩부 상측면에 구비되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 압력을 낮추도록 하는 공기흡입부와; 상기 공기흡입부를 통하여 사이펀관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경화성 연결관로가 연결되어 에어트랩부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도록 흡입력을 발생하는 감압수단을 포함하는 절수장치를 갖는 양변기이다.
특허문헌(등록특허 제10-1234341호)은 중앙부에 오수를 일시 수용하는 보울이 구비되고, 상부측 가장자리를 따라 림 도수로가 구비되며, 상기 보울 하부측과 배수구를 상호 연결하되 실내로 악취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상측으로 굴곡된 에어트
랩부를 포함하는 사이펀관로를 구비한 양변기본체에 있어서, 상기 사이펀관로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수도직결관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의 분출수를 분사하도록 하는 제트노즐과; 상기 사이펀관로의 최상부인 에어트랩부 상측면에 구비되며,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 압력을 낮추도록 하는 공기흡입부와; 상기 공기흡입부를 통하여 사이펀관로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경화성 연결관로가 연결되어 에어트랩부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도록 흡입력을 발생하는 감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절수장치를 갖는 양변기로서, 제트노즐은 벤츄리 형식으로 물만 분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물의 신속한 배출에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 제10-123434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 개선만을 통해 적은 양의 물로 빠른 시간 내에 오물을 배출함으로써 물을 최대한 절약하는 초절수형 양변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초절수형 양변기는,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며 저부에 배출부가 구비된 양변기 본체와; 상기 양변기 본체의 뒤쪽에서 앞쪽을 향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물을 출수하여 물이 상기 양변기 본체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면서 저부의 배출부를 향해 내려가도록 하여 오물을 배출시키는 워터폴스 스핀수단과; 물을 배출부의 앞쪽에서 배출부를 향해 분사하는 제트 출수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트 출수구는 제트 분사관 및 상기 제트 분사관에 장착되며 물의 수압에 의해 회전 또는 전진하여 오물을 배출을 돕는 푸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워터폴스 스핀수단은, 상기 양변기 본체의 뒤쪽에서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상호 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좌우측 스핀출수구가 구비된 워터폴스 스핀채널, 상기 양변기 본체의 내벽에 형성되며 상기 워터폴스 스핀채널의 좌우측 스핀출수구에서 분사되는 물을 상기 양변기 본체의 내벽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상기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초절수형 양변기에 의하면, 사이펀제트식 배출부와 워터폴스 스핀수단을 통해 물을 사이펀제트방식으로 고압 분사하여 오물의 신속한 배출이 가능하고 특히,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변기본체 내에서 양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출부로 내려감에 따라 기존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적은 양의 물로도 변기본체 내의 오물을 배출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기존의 양변기에 의해서는 1회 물 배출 시 9리터, 6리터의 물이 사용된 반면 본 발명에 의해서는 약 3.5리터의 물만으로도 오물을 깨끗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또한 배출시간을 기존 보다 빠른 5초 ~ 6초로 하여 사용시간도 단축할 수 있으며, 또한, 물리적인 푸싱을 통해 오물의 신속한 배출을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오물의 배출효율 및 변기본체 내주면에 대한 오물제거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별도의 기계 및 전자장치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강한 흡입력의 배출부를 구성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를 통해 절수와 시간 단축이 가능하므로 비용 절감 효과도 있으며, 전기공급이 되지 않은 화장실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설치공간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고, 기계 및 전자장치의 고장과 노후에 따른 A/S 발생을 방지하므로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하며, 소음발생을 억제하여 사용 시 쾌적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초절수형 양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초절수형 양변기에 적용된 워터폴스 스핀수단을 보인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초절수형 양변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초절수형 양변기에 적용된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의 앞쪽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초절수형 양변기에 적용된 워터폴스 출수구와 제트 출수구를 보인 사시도와 측면도.
도 7과 도 8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초절수형 양변기에 적용된 푸쉬부재를 보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초절수형 양변기는,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하면 물탱크 내부의 사이펀 마개가 개방 동작하여 물탱크 내부의 물을 변기 본체에 공급하여 오물을 배출하며 아울러 급수계통을 통해 물탱크에 물이 급수되는 것으로, 공지의 양변기와 전체적인 작동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본 발명에 의해 신규한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초절수형 양변기는, 양변기 본체(10),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20) 그리고 물탱크(20)에 저장된 물을 양변기 본체(10)에 출수하되 양변기 본체(10)의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저부의 배출부로 낙하시키는 워터폴스 스핀(water falls spin)수단(30)으로 구성된다.
양변기 본체(10)와 물탱크(20)는 공지의 양변기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예를 들어 양변기 본체(10)는 보울(bowl) 구조의 용변구, 상기 용변구에 힌지 연결되는 좌판, 상기 용변구를 덮는 덮개, 상기 용변구와 연통 형성되면서 바닥 안에 매설되는 배출관로와 연결되는 배출부(11)로 구성된다.
배출부(11)는 상기 용변구의 바닥쪽에 형성되는 구멍, 이 구멍과 상기 배출관로를 연결하는 사이펀 배출관을 포함한다.
물탱크(20)는 예컨대 양변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양변기 본체(10)와 통하는 배수공,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손잡이 및 평상 시 상기 배수공을 폐쇄하고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배수공을 개방하는 밸브수단으로 구성된다.
양변기 본체(10)와 물탱크(20)는 공지의 양변기와 동일한 재질(자기 등)로 구성된다.
워터폴스 스핀수단(30)은 물을 양변기 본체(10)(용변구)의 뒤쪽에서 앞쪽을 향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양변기 본체(10)의 내벽을 따라 회전시켜 물이 양변기 본체(10)의 앞쪽에서 저부의 배출부(11)를 향해 내려가도록 하는 것으로, 물탱크(20)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워터폴스 스핀채널(31), 양변기 본체(10)의 내벽에 형성되며 워터폴스 스핀채널(31)의 좌우 양쪽에 각각 연결되어 물을 양변기 본체(10)를 따라 회전시키면서 저부의 배출부(11)로 배출하는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로 구성된다.
워터폴스 스핀채널(31)은 물탱크(20)의 배수공과 관로를 통해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공간이면서 물을 좌우로 분기하여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의 양쪽에 각각 공급하도록 좌우 양쪽에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의 좌우 양쪽과 통하는 좌우측 스핀 출수구(31-1,31-2)가 구성된다.
워터폴스 스핀채널(31)은 물탱크(20)와 가까운 양변기 본체(10)의 뒤쪽의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워터폴스 스핀채널(31)이 1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호 간에 간격을 두고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는 워터폴스 스핀채널(31)의 좌우측 스핀 출수구(31-1,31-2)에서 각각 공급받은 물을 좌우 양방향에서 앞쪽을 향해 회전시키고 이 과정에서 물을 배출부(11)로 낙하시켜 오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는 양변기 본체(10)의 내벽에 안쪽을 향해 개방되는 홈(바닥과 외측벽 및 천정에 의해 내측이 개방된 구조)의 구조로 이루어져 물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면에서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는 전체적으로 안쪽이 개방된 홈의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부분이 막히고 물의 배출구가 있는 구조도 가능하다.
이 때,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통수면적을 갖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물의 원활한 배수를 위하여 앞쪽으로 가면서 통수 면적이 좁아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는 양변기 본체(10)의 앞쪽에서 연결이 끊어진 좌우측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로 분할되는 것도 가능하고, 따라서 앞쪽에서 많은 양의 물이 자연스럽게 낙하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도 가능하지만, 물이 배출부(11)를 향해 더욱 빠르고 큰 힘으로 배출되도록 되는 것도 가능하도록 앞쪽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는 워터폴스 스핀채널(31)과 원의 형태로 배열 즉,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의 양쪽과 좌우측 스핀 출수구(31-1,31-2)가 곡률의 변화없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흐름 저항을 없앰으로써 물을 빠르고 큰 압력으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워터폴스 스핀수단(30)은 별도로 제작되어 양변기 본체(10)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양변기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양변기의 제작 시 단일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점에서 제조가 매우 용이하고 추가 비용의 부담이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초절수형 양변기에 따르면, 사용자가 손잡이를 조작하면 배수공이 개방되면서 물탱크(20)에 저장된 물이 워터폴스 스핀채널(31)에 공급되고, 워터폴스 스핀채널(31) 안에서 좌우로 분기되어 좌우측 스핀 출수구(31-1,31-2)를 통해 워터폴스 스핀채널(31)의 양쪽에 공급된다.
이어서, 물은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의 양쪽에서 앞쪽을 향해 서로 반대 방향(모아지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같은 회전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배출부(11)로 배출되어 오물을 신속하게 배출하고 적은 양의 물로도 오물을 배출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워터폴스 출수구(40)와 제트 출수구(50)가 더 포함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와 측면도이며, 워터폴스 스핀채널(31)에는 물을 배출부(11)를 향해 분사 즉 물을 직하부로 분사하는 워터폴스 출수구(40)가 구성된다.
워터폴스 출수구(40)는 워터폴스 스핀채널(31)에 공급된 물을 하부의 배출부(11)로 분사하도록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구멍으로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 다수개가 일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워터폴스 스핀채널(31)의 앞쪽으로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의 내부에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다수의 구멍으로 구성된다.
제트 출수구(50)는 양변기 본체(10)의 바닥부로서 배출부(11)의 위쪽에 가까우면서 옆을 향해 개방되는 형태의 구멍이고, 워터폴스 스핀수단(30)과 물탱크(20)보다 아래쪽이며 제트 분사관(51)을 통해 물탱크(20) 또는 물탱크(20)와 워터폴스 스핀채널(31)을 연결하는 관로에 연결된다.
본 발명은 워터폴스 출수구(40) 및 제트 출수구(50)의 부가를 통해 물의 절약과 신속한 배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즉, 워터폴스 스핀수단(30)에 의해 회전력을 갖고 배출되는 물, 워터폴스 출수구(40)에 의해 배출부(11)로 직선 낙하하는 물, 제트 출수구(50)에 의해 배출부(11)의 바로 위에서 고압으로 제트 분사되는 물의 조합을 통해 오물의 배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적은 양의 물로도 오물의 배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트 출수구(50)의 제트 분사관(51)을 통해 배출부(11)를 향해 배출되는 물에 의해 오물을 더욱 빠르게 배출하도록 푸쉬부재가 더 포함된다.
도 7과 도 8에서 보이는 것처럼, 푸쉬부재(70)는 제트 분사관(51)을 통해 배출되는 물에 의해 배출부(11)를 향해 전진하여 오물의 배출을 돕는 것이며, 제트 분사관(51) 안에 고정되는 관형의 소켓(71), 소켓(71)의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압에 의해 전진하는 푸쉬봉(72)으로 구성된다.
소켓(71)은 물이 통과하도록 양측이 개방되는 관형이며 둘레부가 제트 분사관(51)의 내주면 등에 접착 등으로 고정된다.
푸쉬봉(72)은 소켓(71)의 내부에 전후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물이 통과하는 관형의 푸쉬봉 몸체(72a), 푸쉬봉 몸체(72a)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헤드(72b)로 구성된다.
헤드(72b)는 푸쉬봉 몸체(72a)보다 큰 면적으로서 양변기 본체(10)의 내주면을 덮는 크기의 판형이며, 물의 분사를 위한 분사홀(72c)이 구비된다.
헤드(72b)는 수압에 의해 전진하도록 수압부가 구비되어야 하고 예를 들어 전체적으로 판상이면서 푸쉬봉 몸체(72a)의 내주면 안에 분사홀(72c)을 배치함으로써 분사홀(72c) 주변에 물의 압력을 받는 부분이 만들어진다.
헤드(72b)는 수압에 의한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안쪽면이 분사홀(72c)을 향해 모아지는 경사가 바람직하고, 또는, 분사홀(72c)은 예를 들어 오리피스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푸쉬부재(70)는 1회의 조작을 통해 물이 배출된 후 푸쉬봉(72)이 다음 동작을 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 탄성부재(73)가 적용된다.
탄성부재(73)는 소켓(71)과 푸쉬봉(72)에 각각 연결되며 푸쉬봉(72)을 소켓(71)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탄성력을 통해 푸쉬봉(72)을 복귀시키는 것으로 코일스프링, 고무밴드 등이 가능하다.
푸쉬봉(72)은 구조적으로 헤드(72b)가 평상 시 양변기 본체(10)의 내주면에 근접 또는 지지되면서 제트 출수구(50)를 덮어 오물의 유입을 막고 그로 인한 악취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분사홀(72c)이 있지만 그 크기가 제트 출수구(50)에 비해 적어 오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푸쉬부재(70)는 평상시 도 9의 위쪽 도면과 같은 상태를 유지하며, 오물의 배출을 위해 버튼을 조작하면 물이 제트 분사관(51)을 통해 양변기 본체(10) 안으로 배출되고 이 때, 수압에 의해 푸쉬봉(72)이 전진함과 아울러 물이 푸쉬봉(72)의분사홀(72c)을 통해 분사되고 즉, 푸쉬봉(72)에 의한 밀림과 물의 힘에 의해 오물을 이동시키게 되므로 오물을 보다 빠르게 배출할 수 있고 오물이 양변기 본체(10)에 붙어 있더라도 배출할 수 있다.
10 : 양변기 본체, 11 : 배출부
20 : 물탱크, 30 : 워터폴스 스핀수단
31 : 워터폴스 스핀채널, 31-1,31-2 : 좌우측 스핀 출수구
32 :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 40 : 워터폴스 출수구
50 : 제트 출수구, 51 : 제트 분사관
70 : 푸쉬부재, 71 : 소켓
72 : 푸쉬봉,

Claims (3)

  1.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20)와;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며 저부에 배출부(11)가 구비된 양변기 본체(10)와;
    상기 양변기 본체의 뒤쪽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물탱크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물을 출수하는 워터폴스 스핀채널(31), 상기 워터폴스 스핀채널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방되는 좌우측 스핀출수구(31-1,31-2), 상기 양변기 본체의 내벽에 회전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좌우측 스핀출수구에서 분사되는 물을 상기 양변기 본체의 내벽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상기 배출부로 배출시키는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양변기 본체의 뒤쪽에서 앞쪽을 향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물을 출수하여 물이 상기 양변기 본체의 내벽을 따라 회전하면서 저부의 배출부를 향해 내려가도록 하여 오물을 배출시키는 워터폴스 스핀수단(30)과;
    상기 워터폴스 스핀채널에 상기 배출부를 향해 개방 형성되어 물을 직하부로 분사하는 하나 이상의 워터폴스 출수구(40)와;
    상기 배출부의 앞쪽에 형성되어 물을 상기 배출부로 분사하는 제트 출수구(50)를 포함하고,
    상기 제트 출수구는 일측이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는 한편 타측이 상기 배출부의 앞쪽에 형성되어 상기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배출부로 분사하는 제트 분사관, 상기 제트 분사관에 출몰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트 분사관에 공급되는 물에 의해 상기 배출부를 향해 전진하여 오물과 물을 상기 배출부로 밀어 배출을 유도하는 푸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제트 분사관 안에 고정되는 관형의 소켓, 상기 소켓의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트 분사관을 통해 상기 양변기 본체에 분사되는 물에 의해 상기 배출부를 향해 전진하여 오물을 미는 푸쉬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형 양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쉬봉은 상기 소켓에 출몰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탄성부재를 복귀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푸쉬봉 몸체 및 상기 푸쉬봉 몸체의 선단부에 확장 형성되며 상기 양변기 본체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판형의 헤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형 양변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워터폴스 스핀 가이드는 앞쪽으로 가면서 저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절수형 양변기.
KR1020180143624A 2018-01-16 2018-11-20 초절수형 양변기 Active KR101932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05574 2018-01-16
KR1020180005574 2018-01-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653B1 true KR101932653B1 (ko) 2019-03-20

Family

ID=66036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624A Active KR101932653B1 (ko) 2018-01-16 2018-11-20 초절수형 양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6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7741A (zh) * 2022-12-09 2023-04-04 厦门九牧研发有限公司 一种喷头装置和防溅马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0753A2 (en) * 2002-08-30 2004-03-11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Toilet assembly
KR20120120575A (ko) * 2011-04-25 2012-11-02 김창호 절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20130024226A (ko) * 2011-08-31 2013-03-08 계림요업주식회사 다단식 제트배수 노즐을 구비한 절수형 변기의 세척수 분사장치
KR20170037055A (ko) * 2015-09-25 2017-04-04 강윤기 사이클론식 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20753A2 (en) * 2002-08-30 2004-03-11 American Standard International Inc. Toilet assembly
KR20120120575A (ko) * 2011-04-25 2012-11-02 김창호 절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101234341B1 (ko) 2011-04-25 2013-02-15 김창호 절수장치를 갖는 양변기
KR20130024226A (ko) * 2011-08-31 2013-03-08 계림요업주식회사 다단식 제트배수 노즐을 구비한 절수형 변기의 세척수 분사장치
KR20170037055A (ko) * 2015-09-25 2017-04-04 강윤기 사이클론식 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7741A (zh) * 2022-12-09 2023-04-04 厦门九牧研发有限公司 一种喷头装置和防溅马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924058U (zh) 基于泵装置的马桶冲刷系统
US12139899B2 (en) Line pressure-driven, tankless, siphonic toilet
US6651266B1 (en) Flushing method of toilet, toilet used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and components thereof
JPH0348299Y2 (ko)
US20150354190A1 (en) Toilet attachment comprising a showering device
CN216379825U (zh) 一种冲刷马桶
JP2004100331A (ja) 水洗便器
JP2015101942A (ja) 衛生洗浄装置
US20030046754A1 (en) Automatic device for washing a toilet seat ring
CN109853685B (zh) 一种马桶的冲刷装置和马桶的冲刷系统
WO2017107978A1 (zh) 马桶排水装置
KR101932653B1 (ko) 초절수형 양변기
KR101104119B1 (ko) 좌변기 세척 장치를 갖는 비데
CN210520886U (zh) 一种快速冲洗风干马桶盖
US20110314597A1 (en) Flushing arrangement for flushing a toilet bowl, water closet having such a flushing arrangement and toilet bowl
JP2002097704A (ja) 水洗便器
JP2008240401A (ja) 洋風水洗式便器
JP2003313921A (ja) 局部洗浄装置
CN212294938U (zh) 一种低水箱坐便器
CN203088951U (zh) 一种具有挡板的洁身器
KR101226143B1 (ko) 친환경 화장실
KR101985189B1 (ko) 진공 흡입식 좌변기
KR20120054196A (ko) 절수를 위한 보조장치가 구비된 양변기
JP2003090074A (ja) 大便器
JP200814896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