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2511B1 - 크레인용 그래플 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그래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511B1
KR101932511B1 KR1020180043726A KR20180043726A KR101932511B1 KR 101932511 B1 KR101932511 B1 KR 101932511B1 KR 1020180043726 A KR1020180043726 A KR 1020180043726A KR 20180043726 A KR20180043726 A KR 20180043726A KR 101932511 B1 KR101932511 B1 KR 101932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oupled
frame
rotatable
clamp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3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신택
Original Assignee
형제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형제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형제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3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5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3/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and intended primarily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loose materials; Grabs
    • B66C3/04Tine gra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지상 또는 수정에서 안정적으로 고중량의 구조물을 이송이 가능하고 구조물의 안정적인 그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그래플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래플 장치는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각각의 일단은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구동을 통해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구동부,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들 각각의 타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양측을 향해 각각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하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집게부들 및 상기 집게부들 각각의 일단과 결합되는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들 각각의 타단은 상기 실린더들 각각의 타단이 상승하면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지지대의 양측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크레인용 그래플 장치{DEVICE FOR GRAPPL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클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을 통해 고중량의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운반이 가능한 크레인용 그래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중량의 구조물을 목적지로 이동시키는 크레인의 경우, 클램프 장치를 통해 구조물을 움켜잡고, 구조물을 상승시킨 후 구조물을 좌우 또는 전후로 운반하면서 원하는 목적지에 구조물을 이송하는 구동을 반복한다.
수중에 방파제를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상 크레인의 경우 그래플 장치가 구조물을 움켜쥔 상태에서 수중으로 이동하므로, 수중에서도 고중량의 구조물이 클램프 장치와 분리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구조물을 압박하는 구조 및 기능이 필요하고, 별도의 작업자의 도움이 필요없이 단시간에 구조물을 안전하게 이송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80959호의 크레인 그래브의 그래플 집게 제어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4552호는 마그네틱을 구비한 크레인그래브의 그래플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고중량의 구조물을 단시간에 안정적으로 이송하고 착지시키는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지상 또는 수정에서 안정적으로 고중량의 구조물을 이송이 가능하고 구조물의 안정적인 그랩 또는 분리가 가능한 그래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그래플 장치는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각각의 일단은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구동을 통해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구동부,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들 각각의 타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양측을 향해 각각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하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집게부들 및 상기 집게부들 각각의 일단과 결합되는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들 각각의 타단은 상기 실린더들 각각의 타단이 상승하면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지지대의 양측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밸런서는 양측 하단에 각각의 일단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서로 인접하도록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집게부들 각각의 일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빔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빔들을 통해 후방에 상기 지지대, 구동부, 집게부 및 밸런서를 추가로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게부들 각각은 웨브(Web) 및 상기 웨브의 상하부에 결합된 플랜지들로 형성된 H 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들을 연결하는 보강플레이트들이 서로 이격 형성되며, 일단 및 상기 보강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플랜지들과 평행한 보강판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런서는 상기 지지대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빔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그래플 장치는 고중량의 구조물의 양측면을 압박하는 구조를 통해 단시간에 구조물과 결합하여 이송할 수 있어 작업효율성이 개선된다.
또한, 그래플 장치는 상승하면서 구조물의 중량에 의해 발생하는 가압력이 추가로 구조물에 작용하여 안정적으로 구조물의 운반이 가능하고, 상단에 형성되는 밸런서를 통해 안전하게 구조물의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그래플 장치는 연결부를 통해 확장되어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의 운반이 용이하고, H 빔들로 제작되어 상대적으로 중량은 낮으면서 내구성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플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도 1의 그래플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그래플 장치의 밸런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그래플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플 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래플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플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그래플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주시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그래플 장치의 밸런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플 장치(100)는 크레인(20)에 의해 제어되는 와이어들에 연결되어 구조물(10)을 움켜잡는 장치로, H 빔을 이용하여 제작되어 단가가 낮고, 안정적으로 고중량의 구조물(10)을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압 또는 공기압을 통해 구조물(10)을 압박하는 힘 및 그래플 장치(100)가 상하부로 펼쳐지려는 구조를 통해 구조물(10)을 압박하는 힘을 통해, 단시간에 구조물(10)의 이송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래플 장치(100)는 지지대(200, 220)들, 구동부(300, 320)들, 집게부(400, 420, 430, 440)들, 밸런서(500, 600)들 및 연결부(700)를 포함한다.
지지대(200)는 일단 및 타단이 양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H 빔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웨브(Web)의 양측면이 지지대(200)의 연장방향과 수직방향인 전방 및 후방을 향해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지지대(200)의 플랜지 부분들은 상기 웨브를 사이에 두고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 및 타단에는 집게부(400, 420)들 각각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부가 형성된다.
지지대(220)는 지지대(200)의 후방에서 지지대(200)와 동일 수평선상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연결부(700)를 통해 지지대(200)와 연결되며 추가로 연결부 및 지지대들을 후방에 결합시켜 그래플 장치(100)의 크기를 확장시킬 수 있다.
지지대(220)는 일단 및 타단이 양측면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H 빔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에 형성된 웨브(Web)의 양측면이 지지대(220)의 연장방향과 수직방향인 전방 및 후방을 향해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대(220)의 플랜지 부분들은 상기 웨브를 사이에 두고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각각의 일단 및 타단에는 집게부(430, 440)들 각각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힌지부가 형성된다.
구동부(300)는 제1 실린더(302) 및 제2 실린더(304)를 포함한다.
구동부(300)는 크레인(20)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고, 지지대(200)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집게부(400, 420)들 각각과 결합되어 구동을 통해 집게부(400, 42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실린더(302)는 유압 또는 공기압을 통해 구동되고, 일단은 지지대(200)의 일단에 위치한 집게부(400)와 인접하도록 지지대(200)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집게부(400)의 일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실린더(302)의 일단이 결합되는 위치의 직하방에는 지지대(200)의 상하부 플랜지들을 연결하는 보강플레이트들이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어 제1 실린더(302)의 구동에 의해 하부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한다.
제2 실린더(304)는 유압 또는 공기압을 통해 구동되고, 일단은 지지대(200)의 타측에 위치한 집게부(420)와 인접하도록 지지대(200)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집게부(420)의 일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실린더(304)의 일단이 결합되는 위치의 직하방에는 지지대(200)의 상하부 플랜지들을 연결하는 보강플레이트들이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어 제2 실린더(304)의 구동에 의해 하부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한다.
구동부(320)는 제1 실린더(322) 및 제2 실린더(324)를 포함한다.
구동부(320)는 크레인(20)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고, 지지대(220)의 상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타단은 집게부(430, 440)들 각각과 결합되어 구동을 통해 집게부(430, 440)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1 실린더(322)는 유압 또는 공기압을 통해 구동되고, 일단은 지지대(220)의 일단에 위치한 집게부(430)와 인접하도록 지지대(220)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집게부(430)의 일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실린더(322)의 일단이 결합되는 위치의 직하방에는 지지대(220)의 상하부 플랜지들을 연결하는 보강플레이트가 형성되어 제1 실린더(322)의 구동에 의해 하부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한다.
제2 실린더(324)는 유압 또는 공기압을 통해 구동되고, 일단은 지지대(220)의 타측에 위치한 집게부(440)와 인접하도록 지지대(220)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집게부(440)의 일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실린더(324)의 일단이 결합되는 위치의 직하방에는 지지대(220)의 상하부 플랜지들을 연결하는 보강플레이트가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되어 제2 실린더(324)의 구동에 의해 하부를 향해 가해지는 압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한다.
집게부(400, 420, 430, 440)들 각각은 H 빔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의 웨브 부분이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해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웨브의 전방 및 후방에는 상기 웨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웨브의 상하부와 결합된 플랜지들 사이를 연결하는 보강플레이트들이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집게부(400)의 일단은 제1 실린더(302)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지지대(200)의 일단 상부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경사지게 연장된 후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지지대(200)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집게부(400)의 타단은 지지대(200)의 일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위치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집게부(400)의 타단에는 패드(450)가 집게부(400)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집게부(400)의 일단에는 집게부(400)의 연장방향으로 일단의 끝부분까지 연장되는 보강판들이 집게부(400)의 플랜지들 사이에 상기 플랜지들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집게부(400)의 일단 끝부분 및 집게부(400)의 일단과 인접한 집게부(400)의 보강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강판은 집게부(400)의 타단이 구조물(1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집게부(400)의 일단에 결합되는 힌지부 및 집게부(40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내구성을 개선한다.
집게부(420)의 일단은 제2 실린더(304)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지지대(200)의 타단 상부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경사지게 연장된 후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지지대(200)의 타단에 형성된 힌지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집게부(420)의 타단은 지지대(200)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위치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집게부(420)의 타단에는 패드(450)가 집게부(420)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집게부(420)의 일단에는 집게부(420)의 연장방향으로 일단의 끝부분까지 연장되는 보강판들이 집게부(420)의 플랜지들 사이에 상기 플랜지들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집게부(420)의 일단 끝부분 및 집게부(420)의 일단과 인접한 집게부(420)의 보강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집게부(420)에 형성된 상기 보강판은 집게부(420)의 타단이 구조물(1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집게부(420)의 일단에 결합되는 힌지부 및 집게부(42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내구성을 개선한다.
패드(450)들 각각의 일단은 집게부(400, 420)들 각각의 타단 전후방을 관통하는 축들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집게부(400, 420)들 각각의 타단 플랜지들을 커버한다.
집게부(400, 420)들 각각의 플랜지들을 커버하는 패드(450)의 타단에는 복수의 돌기들이 서로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구조물(10)이 패드(450)에 밀착되는 경우 구조물(10) 및 패드(450) 사이에 마찰력에 의한 접착력을 제공한다.
패드(450)들 각각의 일단은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타단 전후방을 관통하는 축들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타단에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플랜지들 각각을 플레이트 형태로 커버한다.
집게부(430)의 일단은 제1 실린더(322)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지지대(220)의 일단 상부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경사지게 연장된 후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지지대(220)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집게부(430)의 타단은 지지대(220)의 일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위치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집게부(430)의 타단에는 패드(450)가 집게부(430)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집게부(430)의 일단에는 집게부(430)의 연장방향으로 일단의 끝부분까지 연장되는 보강판들이 집게부(430)의 플랜지들 사이에 상기 플랜지들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집게부(430)의 일단 끝부분 및 집게부(430)의 일단과 인접한 집게부(430)의 보강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집게부(430)에 형성된 상기 보강판들은 집게부(430)의 타단이 구조물(1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집게부(430)의 일단에 결합되는 힌지부 및 집게부(43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내구성을 개선한다.
집게부(440)의 일단은 제2 실린더(324)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지지대(220)의 타단 상부에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경사지게 연장된 후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지지대(220)의 타단에 형성된 힌지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집게부(440)의 타단은 지지대(220)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위치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집게부(440)의 타단에는 패드(450)가 집게부(440)의 전후방을 관통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집게부(440)의 일단에는 집게부(440)의 연장방향으로 일단의 끝부분까지 연장되는 보강판들이 집게부(440)의 플랜지들 사이에 상기 플랜지들과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집게부(440)의 일단 끝부분 및 집게부(440)의 일단과 인접한 집게부(420)의 보강플레이트를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집게부(440)에 형성된 상기 보강판들은 집게부(440)의 타단이 구조물(10)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집게부(440)의 일단에 결합되는 힌지부 및 집게부(440)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내구성을 개선한다.
또한, 집게부(400, 420, 430, 440)들 각각에 형성된 상기 보강판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집게부(400, 420, 430, 440)들 각각의 일단의 내구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과도하게 중량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크레인(20)이 이송 가능한 한계중량의 범위 안에서 고중량 구조물(10)의 운반에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패드(450)들 각각의 일단은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타단 전후방을 관통하는 축들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 후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타단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들 각각을 플레이트 형태로 커버한다.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플랜지들을 커버하는 패드(450)의 타단에는 복수의 돌기들이 서로를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패드(450)들 각각에 형성된 상기 돌기들은 구조물(10)과 밀착되어 구조물(10)이 집게부(430, 440)들 사이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패드(450)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10)의 표면에 대한 밀착성이 개선된다.
밸런서(500)는 프레임(510) 및 보조빔(520, 530)들을 포함한다.
밸런서(500)는 일단이 집게부(400, 420)들 각각의 일단에 힌지부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지지대(20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크레인(20)의 와이어들과 연결된다.
밸런서(500)는 크레인(20)의 와이어들 및 집게부(400, 420)들 사이에 형성되어 구조물(10)에 의해 그래플 장치(100)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물(10)의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510)은 H 빔 형태로 형성되어 양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중앙의 웨브가 전방 및 후방을 향해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집게부(400, 420)들 각각의 일단 상부에서 지지대(200)와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5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프레임(5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도록 힌지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들 각각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프레임(510) 상하부의 플랜지들을 연결하는 보강플레이트들이 프레임(510)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다.
프레임(510)의 일단은 지지대(200)의 일단 및 집게부(400)의 일단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형성되고, 프레임(510)의 타단은 지지대(200)의 타단 및 집게부(420)의 타단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형성된다.
보조빔(520)의 일단은 프레임(510)의 일단 저면에 형성된 힌지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집게부(400)의 일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집게부(400)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보조빔(530)의 일단은 프레임(510)의 타단 저면에 형성된 힌지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집게부(420)의 일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집게부(420)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크레인(20)의 제어부를 통해 제1 및 제2 실린더(302, 304)가 구동하여 집게부(400, 420)들 각각의 일단을 양측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집게부(400, 420)들 각각의 타단은 구조물(10)을 향해 이동하여 패드(450)들을 통해 구조물(10)과 밀착된다.
밸런서(600)는 프레임(610) 및 보조빔(620, 630)들을 포함한다.
밸런서(600)는 일단이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일단에 힌지부를 통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지지대(220)와 평행하도록 형성되어 크레인(20)의 와이어들과 연결된다.
밸런서(600)는 크레인(20)의 와이어들 및 집게부(430, 440)들 사이에 형성되고, 구조물(10)에 의해 그래플 장치(100)의 일측 또는 타측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물(10)의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610)은 H 빔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대(220)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에 위치한 웨브가 전방 및 후방을 향해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일단 상부에서 지지대(220)와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61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서로 소정의 거리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힌지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들 각각이 형성되는 위치에는 프레임(610) 상하부의 플랜지들을 연결하는 보강플레이트들이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다.
프레임(610)의 일단은 지지대(220)의 일단 및 집게부(430)의 일단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형성되고, 프레임(610)의 타단은 지지대(220)의 타단 및 집게부(440)의 타단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와 동일한 수직선상에 형성된다.
보조빔(620)의 일단은 프레임(610)의 일단 저면에 형성된 힌지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집게부(430)의 일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집게부(430)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보조빔(630)의 일단은 프레임(610)의 타단 저면에 형성된 힌지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집게부(440)의 일단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집게부(440)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크레인(20)의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제1 및 제2 실린더(322, 324)들이 구동하여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일단을 양측 상부를 향해 이동시키면,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타단은 구조물(10)을 향해 이동하여 패드(450)들을 통해 구조물(10)과 밀착된다.
연결부(700)는 연결빔(710, 720, 730, 740, 750)들을 포함한다.
연결부(700)는 지지대(200, 220)들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고, 프레임(510, 610)들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고중량의 구조물(10)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그래플 장치(100)가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빔(710)의 일단은 제1 실린더(302)의 일단과 결합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지지대(200)의 배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제1 실린더(322)의 일단과 결합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지지대(220)의 전면과 결합된다.
연결빔(720)의 일단은 지지대(200)에서 제2 실린더(304)의 일단과 결합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지지대(200)의 배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지지대(220)에서 제2 실린더(324)의 일단과 결합되는 위치에 해당하는 지지대(220)의 전면과 결합된다.
연결빔(730)의 일단은 프레임(510)에서 보조빔(520)의 일단이 결합되는 위치의 상부에 위치한 프레임(510)의 배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프레임(610)에서 보조빔(620)의 일단이 결합되는 위치의 상부에 해당하는 프레임(610)의 전면과 결합된다.
연결빔(740)의 일단은 프레임(510)에서 보조빔(530)의 일단이 결합되는 위치의 상부에 위치한 프레임(510)의 배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프레임(610)에서 보조빔(630)의 일단이 결합되는 위치의 상부에 해당하는 프레임(610)의 전면과 결합된다.
연결빔(750)은 연결빔(730, 740)들 각각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중앙의 웨브가 전방 및 후방을 향해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하부의 플랜지들을 연결하는 보강플레이트들이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다.
도 4는 도 1의 그래플 장치의 구동을 나타내는 정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패드(450)들 각각이 구조물(10)과 밀착되기 전에는 보조빔(520)의 타단 및 보조빔(530)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보조빔(520, 530)들 각각과 집게부(400, 420)들 각각의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는 상대적으로 작다.
이 경우 크레인(20)의 제어부의 조작을 통해 제1 및 제2 실린더(302, 304)들 각각의 상단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면, 집게부(400, 420)들 각각의 일단은 서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집게부(400, 420)들 각각의 타단은 패드(450)들을 사이에 두고 구조물(10)과 밀착된다.
패드(450)들이 구조물(10)과 밀착된 상태에서 보조빔(520, 530)들 각각과 집게부(400, 420)들 각각의 일단 상부면 사이의 각도는 패드(450)들이 구조물(10)과 분리된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패드(450)들 각각이 구조물(10)과 밀착되기 전에는 보조빔(620)의 타단 및 보조빔(630)의 타단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인접하도록 형성되고, 보조빔(620, 630)들 각각과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일단 상부면 사이의 각도는 패드(450)들이 구조물(10)과 밀착된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작다.
이때 크레인(20) 제어부의 조작을 통해 제1 및 제2 실린더(322, 324)들 각각이 구동하여 상단이 상부를 향해 연장되면,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일단은 서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타단은 패드(450)들을 사이에 두고 구조물(10)과 밀착된다.
패드(450)들이 구조물(10)과 밀착된 상태에서 보조빔(520, 530)들 각각과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사이의 각도는 패드(450)들이 구조물(10)과 분리된 상태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패드(450)들이 구조물(10)과 밀착된 상태에서 크레인(20)의 제어부의 조작으로 상기 와이어들이 상승하면, 밸런서(500, 600)들 각각이 상승하고, 밸런서(500, 600)들 하부에 위치한 그래플 장치(100)의 일부분과 구조물(10)의 중량에 의해 보조빔(520, 530)들 각각의 타단을 서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려는 힘이 작용하며, 보조빔(620, 630)들 각각의 타단 역시 서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이동시키려는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패드(450)들이 구조물(10)과 밀착된 상태에서 구동부(300)의 추가적인 구동없이 보조빔(520, 530, 620, 630)들 각각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집게부(400, 420)들 각각의 일단은 서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집게부(430, 440)들 각각의 일단 역시 동일한 방향을 향해 이동하여, 집게부(400, 420, 430, 440)들 각각의 타단이 구조물(10)을 압박하는 힘이 증가한다.
또한, 구조물(10)의 중량이 높을수록 집게부(400, 420, 430, 440)들 각각의 타단이 구조물(10)을 압박하는 힘이 증가하므로 그래플 장치(100)는 고중량의 구조물(10)에 적합하다.
또한, 구동부(300)의 구동을 통해 집게부(400, 420, 430, 440)들 각각의 타단이 구조물(10)을 압박하는 힘이 작용하는 상태에서 크레인(20)이 그래플 장치(10)를 들어올리면 집게부(400, 430)들 및 집게부(420, 440)들 각각의 일단을 서로 이격시키는 힘이 추가적으로 구조물(10)에 작용하므로 그래플 장치(100)는 고중량의 구조물(10) 이송에 장점이 있다.
한편, 밸런서(500, 600)들 각각의 하부에 위치한 그래플 장치(100)의 일부분 및 구조물(10)의 중량에 의해 보조빔(520, 530)들 각각의 일단과 결합된 힌지부를 통해 프레임(51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압축력이 발생하고, 보조빔(620, 630)들 각각의 일단과 결합된 힌지부를 통해 프레임(61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압축력이 발생하여 프레임(510, 610)의 일단 및 타단이 하부를 향해 절곡되는 변형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510, 61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 작용하는 압축력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빔(730, 740)들 각각이 설치되고, 추가로 연결빔(750)이 연결빔(730, 740)들 사이를 연결하여 효과적으로 프레임(510, 610)들 각각의 변형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플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그래플 장치(120)는 밸런서(80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그래플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런서(800)는 프레임(515), 보조빔(520), 보조빔(530), 제1 이동유닛(540), 제2 이동유닛(550), 제1 스프링(560), 제2 스프링(570), 제3 스프링(580) 및 제4 스프링(590)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측에 위치한 밸런서는 연결빔(730, 740, 750)들을 통해 밸런서(800)와 결합되고, 밸런서(80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며, 보조빔(620, 630)들 각각의 일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프레임(515)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제1 이동유닛(540) 및 제2 이동유닛(550)들이 프레임(515)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프레임(515)의 저면에는 프레임(515)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 및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홈이 형성된다.
제1 이동유닛(540) 및 제2 이동유닛(550)들 각각의 저면 일부는 프레임(515)의 하부를 관통하여 보조빔(520) 및 보조빔(530)들 각각의 일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힌지부가 형성된다.
제1 이동유닛(540)은 프레임(515)의 내부공간에서 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양측에 형성된 휠들이 상기 내부공간에서 프레임(515)의 저면과 밀착되며 제1 이동유닛(540)은 상기 휠들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 휠들은 그래플 장치(120)가 들어올리는 구조물(10)의 중량이 높을 경우 휠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하여 휠의 상하부면이 상기 내부공간에서 프레임(515)의 상부면 및 저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빔(520, 530)들 각각이 프레임(515)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제1 및 제2 이동유닛(540, 550)들 각각은 상기 내부공간에서 보조빔(520, 530)들 각각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1 내지 제4 스프링(560, 570, 580, 590)들 각각은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스프링이 형성되거나 유압스프링 형태로 제작되며, 일측을 향해 돌출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상대적으로 작은 실린더를 압축하면 탄성력에 의한 저항력이 발생된다.
제1 및 제3 스프링(560, 580)들 각각의 일단은 상기 내부공간에서 서로 밀착되고, 타단은 제1 이동유닛(540) 및 제2 이동유닛(550)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작은 실린더가 형성되며 상기 작은 실린더는 제1 이동유닛(540) 및 제2 이동유닛(550)들 각각과 결합된다.
제2 스프링(570)의 일단은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서 프레임(515)의 측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제1 이동유닛(540)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작은 실린더가 제1 이동유닛(540)과 결합된다.
제4 스프링(590)의 일단은 상기 내부공간의 타측에서 프레임(515)의 타단 측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이동유닛(550)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작은 실린더가 제2 이동유닛(550)과 결합된다.
따라서, 구조물(10) 및 밸런서(8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그래플 장치(120)의 중량 및 보조빔(520, 530)들 각각에 의해 프레임(515)의 일단 및 타단에 작용하는 압축력이 제1 및 제2 이동유닛(540, 550)들의 이동 및 제1 내지 제4 스프링(560, 570, 580, 590)들을 통해 완화되므로 프레임(515)의 변형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그래플 장치(120)가 고중량의 구조물(10)을 잡고 들어올려질 때 구조물(10)의 중량이 일측으로 편향되어 구조물(1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제1 및 제2 이동유닛(540, 550)들의 이동에 의해 구조물(10)의 무게중심이 자동으로 맞춰져 크레인(20)의 운반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그래플 장치 200: 지지대
300: 펌프부 400: 집게부
500: 밸런서 600: 밸런서
700: 연결부 800: 밸런서

Claims (6)

  1. 양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
    각각의 일단은 상기 지지대의 양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구동을 통해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들을 포함하는 구동부;
    각각의 일단은 상기 실린더들 각각의 타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대의 양측을 향해 각각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대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타단은 하부를 향해 절곡 및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집게부들; 및
    상기 지지대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및 각각의 일단이 상기 프레임의 양측 하단에 회전 및 상기 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탄성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서로 인접하도록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집게부들 각각의 일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빔들을 포함하는 밸런서;를 포함하고,
    상기 집게부들 각각의 타단은 상기 실린더들 각각의 타단이 상승하면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지지대의 양측 안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플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들 각각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를 향해 연장되어 서로를 향해 복수의 돌출부들을 형성하는 패드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연결빔들을 통해 후방에 상기 지지대, 구동부, 집게부 및 밸런서를 추가로 연결하여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들 각각은,
    웨브(Web) 및 상기 웨브의 상하부에 결합된 플랜지들로 형성된 H 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들을 연결하는 보강플레이트들이 서로 이격 형성되며, 일단 및 상기 보강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플랜지들과 평행한 보강판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플 장치.





  6. 삭제
KR1020180043726A 2018-04-16 2018-04-16 크레인용 그래플 장치 Active KR101932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26A KR101932511B1 (ko) 2018-04-16 2018-04-16 크레인용 그래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3726A KR101932511B1 (ko) 2018-04-16 2018-04-16 크레인용 그래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511B1 true KR101932511B1 (ko) 2018-12-27

Family

ID=64953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3726A Active KR101932511B1 (ko) 2018-04-16 2018-04-16 크레인용 그래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5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2541A (zh) * 2019-07-15 2019-09-27 扬州市神力吊具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空心梯形混凝土块的吊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0117B2 (ja) * 1993-12-10 1997-05-14 カスケード コーポレイション 荷物を掴む方法
CN205653040U (zh) * 2016-04-15 2016-10-19 中铁二十一局集团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自动脱挂钩铁路轨枕专用吊具
KR101775500B1 (ko) * 2017-03-06 2017-09-06 김성식 밸런스 장치를 갖는 오토 통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0117B2 (ja) * 1993-12-10 1997-05-14 カスケード コーポレイション 荷物を掴む方法
CN205653040U (zh) * 2016-04-15 2016-10-19 中铁二十一局集团路桥工程有限公司 一种自动脱挂钩铁路轨枕专用吊具
KR101775500B1 (ko) * 2017-03-06 2017-09-06 김성식 밸런스 장치를 갖는 오토 통의 안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2541A (zh) * 2019-07-15 2019-09-27 扬州市神力吊具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空心梯形混凝土块的吊具
CN110282541B (zh) * 2019-07-15 2020-11-17 扬州市神力吊具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空心梯形混凝土块的吊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2511B1 (ko) 크레인용 그래플 장치
JPH107374A (ja) 荷役用掴み装置
US2989201A (en) Floatatively mounted lift fork
CN210081773U (zh) 一种板材抓取的复合夹具
EP4491566A1 (en) A handling hanging claw assembly and pipeline handling equipment
CN104692262A (zh) 平面三自由度连杆闭链式可控集装箱正面吊运起重机
CN111844097A (zh) 一种机械加工用轻型工件抓取装置
CN114644224B (zh) 包材隔离板分离装置
CN208249364U (zh) 搬运夹具及具有其的码垛机
CN207129916U (zh) 一种具有自锁夹爪的搬砖机
CN105967057B (zh) 一种马桶码垛机构
CN112794246B (zh) 一种适用于圆柱体物料的叉车
CN109590975A (zh) 一种物流自动搬运机
CN213294419U (zh) 一种卷状物料抓取装置
CN114275715A (zh) 一种叉车用多功能圆管夹
CN209740158U (zh) 一种电池组专用夹具
CN218260688U (zh) 一种夹持装置
JP2000045531A (ja) 壁パネルの吊下げ具
CN211004211U (zh) 一种水平式板材搬运装置
CN213445821U (zh) 一种卷状物料搬运装置
CN222808881U (zh) 全自动码垛机固定夹持机构
CN219748028U (zh) 抓手及机器人
CN111153321A (zh) 一种加气混凝土墙板、砌块的吊装装置
CN213765907U (zh) 一种悬浮机械手的操作机构
CN221234759U (zh) 一种卡爪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