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2356B1 -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package and package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package and package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356B1
KR101932356B1 KR1020170147687A KR20170147687A KR101932356B1 KR 101932356 B1 KR101932356 B1 KR 101932356B1 KR 1020170147687 A KR1020170147687 A KR 1020170147687A KR 20170147687 A KR20170147687 A KR 20170147687A KR 101932356 B1 KR101932356 B1 KR 101932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opening
open
pack
clo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6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미경
Original Assignee
이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경 filed Critical 이미경
Priority to KR1020170147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35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35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30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r closing of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포장팩 용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팩을 제공한다. 포장팩 용 개폐장치는 하면은 포장용 팩의 내부와 마주하고, 상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외부와 마주하는 오픈부, 상기 오픈부를 둘러싸며 포장용 팩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틀, 상기 오픈부 내측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되며 상기 오픈부의 주변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제 1라인(line)과 제 2라인, 및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인출부, 상기 오픈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하여 상기 인출부를 모두 커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오픈부 또는 상기 개폐부 상에 배치된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커버되는 범위에 위치하는 핀셋을 포함하는 핀셋부를 포함한다.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pack pack and a pack pack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pack pack has an open portion facing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a top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packing pack, a fixing frame surrounding the opening portion and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packing pack, A lead line connected to the lead line and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peripheral thickness of the open line and a handle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 opening and clos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 part and covering all of the draw-out part, and a fixing unit disposed on the opening part o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fixing unit detachably attached to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includes a tweezers including tweezers.

Description

포장팩 용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팩{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PACKAGE AND PACKAGE COMPRISING THE SAME}[0001]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PACKAGE AND PACKAGE COMPRISING THE SAME [0002]

본 발명은 다량의 마스크 팩을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는 포장팩, 다량의 물티슈를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는 포장팩 등과 같은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포장팩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pack such as a packing pack in which a large amount of mask pack can be stored and used, a packing pack in which a large amount of wet tissues can be stored and used, and the like.

최근에는 다량의 물티슈 등을 여러 매 차곡차곡 쌓은 상태로 포장팩 내부에 수용하고, 이를 인출구를 통해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물티슈 이외에도 마스크 팩 등을 여러 매 쌓은 상태로 포장팩 내부에 수용하고 이를 하나씩 뽑아 쓸 수 있도록 인출구를 통해 인출하여 사용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a large number of wet tissues or the like are housed in a packed state in a state that a large number of wipes are piled up and taken out to the outside through an outlet. In addition to the wet tissues, several mask packs are stored in a packed state, and they are taken out through an outlet so that they can be taken out one by one.

물티슈나 마스크 팩 등은 물이나, 피부에 좋은 성분들이 수분 형태로 마스크나, 헝겁이나 종이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위와 같이 다량의 매수가 수용되어 있는 마스크 팩 포장팩이나 물티슈 포장팩의 경우 외부로 인출할 때 이외에는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하여야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mask pack packing pack or a wet tissue packing pack in which a large number of sheets are accommodated as described above, water or skin-friendly ingredients are contained in the form of moisture, such as mask, cloth or paper, Except when doing so, the evaporation of water should be minimized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이들을 외부로 인출하는 경우 이외에 보관하는 과정에서 포장팩 내부의 내용물들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수분이 유출되는 경로가 있을 경우에는 다량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기 전에 포장팩 내부의 수분이 모두 증발되어 잔류하는 내용물들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contents inside the package pack are exposed to the outside or there is a path through which the water is leaked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m, the moisture inside the package pack is evaporated before the use of a large amount of the contents, A problem that the contents can not be used may occur.

따라서, 포장팩 인출구의 상부를 커버하는 개폐스티커를 부착하거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캡을 이용하여 사용시에만 개폐하도록 하여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하려는 시도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n attempt to minimize the evaporation of water by attaching an opening / closing stick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acked-cake take-out port or by using a cap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opening /

그러나, 개폐스티커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빈도에 따라 개폐스티커의 접착력이 떨어지거나, 사용시에 내용물의 수분이 개폐스티커의 접착제에 묻어 접착력이 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포장팩 내의 내용물을 보관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접착이 떨어지거나, 일부 부분이 접착불량이 되어, 외부로 수분이 빠져나가는 문제가 많이 발생하였다.However, when the opening / closing sticker is used, the adhesive force of the opening / closing sticker may be deteriorated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use, or the moisture of the contents may adhere to the adhesive of the opening / closing sticker during use, resulting in deterioration of the adhesive force. The adhesion is deteriorated, and a part of the adhesive is poorly adhered to cause a problem that moisture escapes to the outside.

또한, 단순한 플라스틱 캡의 경우에는 개폐스티커에 비해 접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은 어느 정도 보완하였으나, 포장팩 내부와 외부 사이의 밀봉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위의 두 방식을 혼용한 방식도 사용되었으나, 이들 모두는 기본적으로 단점을 가지고 있어, 수분의 유출을 방지하는데 있어 미흡한 실정이다.Further, in the case of a simple plastic cap, the problem that the adhesive force is lowered compared with the opening / closing sticker is somewhat compensat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sealing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pack is weak.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a mixture of the above two methods has been used, but all of them have basically disadvantages and are insufficient to prevent the leakage of water.

따라서, 최근에는 위와 같은 포장팩의 사용 편리성을 도모하면서도,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와 포장팩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emand for studies on opening / closing apparatuses and packing packs for packaging packs, which can minimize the evaporation of moisture while facilitating the use of the packaging packs as described abov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260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12606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티슈나 마스크 팩 등이 여러 매 쌓여 내부에 수용된 포장팩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하면서도 이를 미사용하면서 보관할 경우에 포장팩 내부 수용물에서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inimizing moisture evaporation in a package container when a user packs a plurality of packs of wet tissues or mask packs, And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the pack pack.

또한, 이와 같은 포장팩 용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포장팩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ckaging pack including such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packaging pack.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 용 개폐장치는 하면은 포장용 팩의 내부와 마주하고, 상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외부와 마주하는 오픈부, 상기 오픈부를 둘러싸며 포장용 팩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틀, 상기 오픈부 내측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되며 상기 오픈부의 주변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제 1라인(line)과 제 2라인, 및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인출부, 상기 오픈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하여 상기 인출부를 모두 커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오픈부 또는 상기 개폐부 상에 배치된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커버되는 범위에 위치하는 핀셋을 포함하는 핀셋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packaging pack, comprising: a lower surface facing an inside of the packing pack; an upper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packing pack; A first line and a second line located inside the open por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peripheral thickness of the open portion and a second line connected to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 opening and closing part that covers all of the lead-out part and is openable and closable a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pen part; and a fixing unit disposed on the opening part o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pincette portion that is detachable by the pincette and is located in a range covered by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또한, 상기 오픈부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open part may be formed of a plastic resin or a polymer resin.

또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측과 연결된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dle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d a loop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또한, 상기 핀셋부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오픈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탄성체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며 이격되어 형성된 제 1고정유닛과 제 2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핀셋은 상기 제 1고정유닛 및 상기 제 2고정유닛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unit of the tweezers may include a first fixing unit and a second fixing unit which are formed as an elastic body and protrude upward from the open portion and are opposed to and spaced from each other, And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by the second fixing unit.

또한, 상기 오픈부와 상기 고정틀 사이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오픈부 및 상기 고정틀보다 상측으로 돌출한 고정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fixed holding part which is located at least one side between the open part and the fixed body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open part and the fixed body.

또한, 상기 제 1라인은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과 먼 위치에서 제 1곡선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라인은 상기 접점과 먼 위치에서 제 2곡선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 1곡선라인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 2곡선라인의 곡률반경보다 크며, 상기 제 1곡선라인은 상기 제 2곡선라인보다 상기 접점에서의 거리가 더 먼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line includes a first curved line at a position away from the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d the second line includes a second curved line at a position far from the contact poin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curved line is larger than the curvature radius of the second curved line and the distance of the first curved line from the second curved line is l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curved line.

또한,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을 따라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포장용 팩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방지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drying prevention lin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long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d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

또한, 상기 오픈부는 상기 인출부를 모두 둘러싸며 폐곡선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돌출한 제 1밀폐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1밀폐 결합부와 요철(凹凸)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 2밀폐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pening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sealing portion that surrounds the outlet portion and forms a closed curve and protrudes upwar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sealing portion formed so as to be able to engage with the first sealing por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제 2밀폐 결합부는 상기 제 1밀폐 결합부를 향하여 각각 돌출되고 각각 폐곡선 형태인 내부 밀폐 결합부 및 상기 내부 밀폐 결합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밀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밀폐 결합부 및 상기 외부 밀폐 결합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밀폐 결합부의 폭에 대응하며, 상기 내부 밀폐 결합부의 상기 개폐부로부터의 돌출된 제 1높이는 상기 외부 밀폐 결합부의 상기 개폐부로부터의 돌출된 제 2높이에 비해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hermetic engaging part may include an inner hermetic engaging part protruding toward the first hermetic engaging part and each having a closed curve shape and an outer hermetic engaging part located outside the inner hermetic engaging part,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outer hermetic engaging portions corresponds to a width of the first hermetic engaging portion and a projected first height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inner hermetic engaging portion is lower than a second height projected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outer hermetic engaging portion . ≪ / RTI >

또한, 상기 핀셋부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오픈부 또는 상기 개폐부의 일부에 함몰되어 형성된 제 3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핀셋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체로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제 3고정유닛에 삽입되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fixing unit of the tweezers includes a third fixing unit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opening portion or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at least a part of the tweezers including a bent portion formed of an elastic body, And is inserted and detached in the unit.

또한, 상기 제 3고정유닛 또는 상기 굴곡부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굴곡부 또는 상기 제 3고정유닛은 상기 걸림홈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스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fixing unit or the bent por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latching groove and the bent portion or the third fixing unit may include a stick portion protruding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atching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have.

또한, 상기 오픈부는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과 인접하면서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접점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상측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턱의 위치와 반대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고리부, 상기 돌출부의 상측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턱의 하단부 일부를 향하는 가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고정부는 상기 걸림턱의 하단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open portion further includes a latching jaw which is spaced apart from and adjacent to the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d protruded upward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ct, And a tongue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and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to face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And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and the temporary fixing portion is hooked to the lower end of the latching ja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은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며 상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팩, 하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내부와 마주하고, 상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외부와 마주하는 오픈부, 상기 오픈부를 둘러싸며 상기 포장용 팩의 개방부에 내측에 결합되는 고정틀, 상기 오픈부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오픈부의 주변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서로 연결된 제 1라인(line)과 제 2라인, 및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인출부, 상기 오픈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하여 상기 인출부를 모두 커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오픈부 또는 상기 개폐부 상에 배치된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커버되는 범위에 위치하는 핀셋을 포함하는 핀셋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acking pack comprising: a packing pack for storing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portion with a part of an upper side thereof opened; and a bottom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A packing box for packing the packing pack; an opening portion facing the outside of the packing pack; a fixing frame surrounding the open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packing pack; a first line located inside the opening portion, and a grip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d a grip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 portion and being openable and closable, And a fixing unit disposed on the opening portion or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and being detachably attachable to and detachable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t includes parts of tweezers including a cover that is positioned in the range tweezers.

또한, 상기 오픈부와 상기 고정틀 사이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오픈부 및 상기 고정틀보다 상측으로 돌출한 고정 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장용 팩은 상기 고정틀 및 상기 고정 유지부를 상기 포장용 팩의 내측으로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ackaging pack may further include a fixed holding portion located at least one side between the open portion and the fixed frame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open portion and the fixed frame, So as to cover it.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 따른 포장팩 용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포장팩은 포장팩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들의 수분 증발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가 내부 수용물들을 꺼낼 때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packaging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ckaging pack including the same can be conveniently used when a user takes out the inside receptacles while minimizing moisture evaporation of the receptacles received in the packaging pack.

즉, 포장팩 내에 여러 매 수용된 마스크 팩이나 물티슈 등을 하나씩 뽑아 쓸 경우에는 편리하게 뽑아 쓰면서도, 이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시에는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when a plurality of mask packs or wet tissues accommodated in a packaging pack are drawn out one by on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vaporation of moisture when storing them without using them conveniently.

또한, 짧은 시간 간격 사이에 여러 번 포장팩 내부의 수용물들을 뽑아 쓰는 경우에도 편리하게 뽑아 쓰면서,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receptacles in the pack pack are pulled out several times in a short time interv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vaporation of water while being conveniently pulled out.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 용 개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장팩 용 개폐장치를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포장팩 용 개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서 개폐부를 제외한 부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서 인출부 부분의 제 1라인과 제 2라인을 상세하게 표현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서 손잡이부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손잡이부 부분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손잡이부 부분의 우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서 핀셋부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포장팩 용 개폐장치의 개폐부에서 제 2밀폐 결합부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 2밀폐 결합부 부분을 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 용 개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핀셋 부분을 별도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핀셋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핀셋이 제 3고정유닛에 부착,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 용 개폐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손잡이부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손잡이부의 우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pack pack of Fig. 1 cut along A-A '.
3 is a plan view of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the pack pack of Fig.
Fig. 4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pack pack of Fig. 1 except for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Fig.
5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of the lead portion in detail in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pack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handle portion in detail in the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pack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the handle portion of Fig.
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handle portion of Fig.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in detail a portion of a tweezer in the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pack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lan view showing in detail the second sealing part a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pack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hermetic engaging portion of Fig. 10 taken along the line B-B '.
12 is a plan view of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pack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incette portion separately i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weezers of Fig.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weezers of FIG. 14 are attached and joined to a third fixing unit.
16 is a plan view of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pack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plan view showing the handle portion of Fig.
Fig. 1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handle of Fig. 17;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dimension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illustratio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하부면", "하측", "위(above)", "상부(upper)", "상부면", "상측"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The terms spatially relative, "below", "beneath", "lower", "lower surface", "lower", "above", "upper" Quot; upper side ", "upper side ", and the like,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one element or components and correlations with other elements or components.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의 포장팩 용 개폐장치가 사용되는 포장팩은 마스크 팩, 물티슈 등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나, 이들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예측 가능한 정도의 다량 혹은 여러 매수가 쌓인 형태의 다른 내용물(수용물)들이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ckaging pack in which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the packaging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s not limited to the one that can receive contents such as a mask pack, a wet tissue, and the like, and may be a large- Other contents (receptacles) of the container can be accommoda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 용 개폐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도 1을 A-A'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 3에는 도 1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개폐부를 제외한 부분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pack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FIG. 3 is a plan view of FIG. have. 4 is a plan view of a portion excluding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s. Hereinafter,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pack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포장팩 용 개폐장치는 하면은 포장용 팩의 내부와 마주하고, 상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외부와 마주하는 오픈부(100), 상기 오픈부(100)를 둘러싸며 포장용 팩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틀(500), 상기 오픈부(100) 내측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되며 상기 오픈부(100)의 주변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제 1라인(line)(211)과 제 2라인(212), 및 상기 제 1라인(211)과 상기 제 2라인(212)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220, 230)를 포함하는 인출부(200), 상기 오픈부(100)의 일 측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하여 상기 인출부(100)를 모두 커버하는 개폐부(400), 및 상기 오픈부(100) 또는 상기 개폐부(400) 상에 배치된 고정유닛(320) 및 상기 고정유닛(32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400)에 의해 커버되는 범위에 위치하는 핀셋(310)을 포함하는 핀셋부(300)를 포함한다.1 to 4, an open / close device for a pack pack includes an open part 100 facing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an upper part facing the outside of the packing pack, A first line (211) located inside the open part (100)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peripheral thickness of the open part (100), and a second line A lead portion 200 having a handle 212 and a handle 220 protruding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And a fixing unit 320 disposed on the opening part 100 o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The fixing part 320 and the fixing part 320 are disposed on the opening part 400. The opening part 400 covers the entire drawing part 100, Includes a pair of pincettes (310) detachable by the unit (320) and positioned in a range covered by the opening / closing part (400) Includes a tweezers (300).

상기 오픈부(100)는 하면은 포장용 팩의 내부와 마주하고, 상면은 외부와 마주한다. 즉, 후술할 고정틀(500)이 포장용 팩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면, 고정틀(500) 안쪽에 위치하는 오픈부(100)의 아래쪽은 포장용 팩에 수용된 마스크 팩이나, 물티슈 등의 수용물들과 마주하며, 오픈부(100)위 위쪽은 외부와 마주하게 된다. 고정틀(500)과 오픈부(100)에 의해 외부로부터 내부 수용물들을 밀봉하고, 인출부(200)에 의해 밀봉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오픈부(100)는 상면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개폐부(400)와 함께 사용자가 포장팩을 쉽게 보관 및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open portion 100 faces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and the upper surface faces the outside. That is, when the fixed frame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the lower part of the open part 100 located inside the fixed frame 500 is covered with the mask pack contained in the packing pack, And the upper side of the open part 100 faces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seal the inner receptacles from the outside by the fixed frame 500 and the open portion 100 and to be able to be sealed and drawn out by the lead portion 200. [ In addition, the open part 100 can be easily stored and used by the user together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while exposing the top surface to the outside.

다시 말하면, 오픈부(100) 상면의 외곽 라인은 이와 마주(대면)하는 개폐부(400)의 일면과 실질적으로 거의 유사할 수 있다. 따라서, 개폐부(400)가 닫혀있을 때에 밀봉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개폐부(400)를 열었을 경우, 오픈부(100)가 외부로 드러나는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필요 또는 디자인적인 요소를 가미하기 위해 일부 변형은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outline lin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 portion 100 may be substantially similar to one surface of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400 facing (facing). Therefore, the sealing effect can be maximized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is closed, or the opening part 10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user opens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some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order to add necessary or design element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한편, 상기 고정틀(500)은 상기 오픈부(100)를 둘러싸며 포장용 팩의 일면에 결합된다. 고정틀(500)은 도 1과 같이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가 필요에따라 적절히 변형할 수 있다. 고정틀(500)은 오픈부(100)을 둘러싸고 있으며, 도 1 및 2와 같이 고정틀(500)의 높이가 오픈부(100)의 높이에 비해 낮을 수 있다. 도 1과 2에서와 같이 고정틀(500)과 오픈부(100)가 서로 다른 층을 구성하면서 적층된 구조일 수 있으나, 적어도 오픈부(100)의 일부는 적층된 구조가 아니라 아래 부분에 구조물이 없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인출부(200)의 하면에는 다른 구조물이 적층되지 않은 구조일 수 있다. Meanwhile, the fixed frame 500 surrounds the open part 100 a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packing pack. The fixed frame 5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uitably modified as requir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fixed frame 500 surrounds the open portion 100 and the height of the fixed frame 500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pen portion 100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xed frame 500 and the open part 100 may be stacked while forming different layers. However, at least a part of the open part 100 is not a stacked structure, It can be a missing structure.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lead-out portion 20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no other structure is laminated.

즉, 뒤이어서 설명하겠으나, 인출부(200)의 하부면은 포장용 팩 내부에 수용된 수용물들과 직접 접하고 있으면서, 상부면은 개폐부(400)가 열려있을 경우 외부와 직접 접하는 구조로 사용자가 쉽게 수용물들을 꺼낼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어도 인출부(200) 내의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가 형성된 위치의 하면에는 어떠한 구조물도 없는 빈 공간(cavity)의 상태이어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인출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ower surface of the drawer 20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receptacles contained in the packaging pack, while the upper surface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sid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is opened. It can be a removable structure. In order to do this, at least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in the lead-out portion 200 are in the state of a cavity without any structure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

한편, 상기 인출부(200)는 상기 오픈부(100) 내측에 위치하며, 인출부(200)의 내부에는 주변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제 1라인(line)(211)과 제 2라인(212), 및 상기 제 1라인(211)과 상기 제 2라인(212)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220, 230)를 포함한다. 인출부(200)의 하면은 실질적으로 포장용 팩 내부에 수용된 여러 매의 수용물들 중 최상단에 위치한 수용물과 직접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400)가 오픈(open)되었을 경우, 인출부(200)의 상면은 외부와 직접 접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인출부(200)의 손잡이부(220, 230)를 이용하여 상부 방향로 힘을 가하면, 주변부보다 두께가 얇은 두께의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으로 절게되고, 이에 의해 내부 수용물을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The lead portion 200 is located inside the open portion 100 and a first line 211 and a second line 212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peripheral thickness are formed in the lead portion 200, And handle portions 220 and 230 protruded upward from the contact points of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The lower surface of the drawer 200 may directly face the uppermost of the plurality of receptacles contained within the pack. In addition, when the opening / closing part 400 is opened, the top surface of the drawing part 20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outside. As a result, when the user applies force in the upward direction by using the grips 220 and 230 of the drawer 200,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which are thinner in thickness than the peripheral portion, Whereby the inner receptacle can be taken out to the outsid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출부(200)는 박형의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픈부(100) 및 상기 인출부(200)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픈부(100), 인출부(200), 고정틀(500)은 모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플라스틱 수지나 기타 다른 고분자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오픈부(100), 인출부(200) 및 고정틀(500)은 사출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인출부(200)를 구성하는 손잡이부(220, 230)도 플라스틱 수지나 기타 다른 고분자 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구성들의 사출공정에서 한꺼번에 제조되어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Preferably, the lead portion 200 may be formed of a thin plastic resin. In addition, the open portion 100 and the lead portion 200 may be integrally formed. In addition, the open portion 100, the lead portion 200, and the fixed frame 500 may all be integrally formed, and all of them may be formed of plastic resin or other polymer resin. As a non-limiting example, the open portion 100, the draw-out portion 200, and the fixed frame 500 may be manufactured by an injection process. In addition, the grips 220 and 230 constituting the drawing unit 200 can be formed of plastic resin or other polymer resin, and can be manufactured at the same time in the injection process of other structures, there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한편, 상기 인출부(200)가 박형의 플라스틱 수지나 고분자 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우수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플라스틱 수지나 고분자 수지는 기존의 스티커에 비해 형상이나, 성질, 성분 등의 변화가 현저하게 적어, 초기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별도의 접착제 등이 필요 없기 때문에 스티커에 비해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최초 사용시 인출부(200)의 손잡이부(220, 230)를 이용하여 상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으로 인출부의 일부를 뜯어낸(절개한) 경우 포장용 팩 내부의 수용물들을 꺼낼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고, 뜯어낸 인출부의 일부는 그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므로, 포장팩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이를 다시 하부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원래 위치로 돌아가게 함으로써, 포장팩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면서도 수분의 증발을 최소화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ead-out portion 200 may be formed of a thin plastic resin or a polymer resin, thereby ensuring excellent strength. The plastic resin and the polymer resin can be used for a longer time than the sticker since the shape, properties, and composition of the plastic resin can be remarkably chang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ickers, the initial shape can be maintained, and no separate adhesive is needed. That is, when the user uses the grips 220 and 230 of the drawer 200 at the time of first use, the force is applied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part of the drawer is pulled out from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In the case where the packing pack is not used, an inlet for taking out the receptacles inside the packing pack is formed, and a portion of the pulled-out portion remains in its original shape. Therefore, when the packing pack is not used, The evaporation of water can be minimized while facilitating the use of the pack pack.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의 경우 다른 위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기 때문에 상부 방향을 향하여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손잡이부를 들어올릴 경우, 인출부(200)에서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 방향으로만 절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는 절개되는 가이드라인이라 이해하면 될 것이다.Since the thickness of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is relatively thin compared to other positions, when the user lifts the handle by applying a force toward the upper direction, the first line (211) 211 and the second line 212,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may be understood as a guideline to be cut.

다시 말하면, 인출부(200)가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고, 포장팩 내의 수용물들을 꺼내기 위한 입구는 절개되는 가이드라인인 제 1라인(211) 및 제 2라인(212) 방향으로 절개되어 생성되고, 수용물들을 인출할 때에는 상기 입구는 상부를 향하여 들어올려질 수 있다. 이후 내부 포장팩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제 1라인(211) 및 제 2라인(212)에 의해 형성된 절개된 입구 부분을 손잡이부(220, 230) 등을 이용하여 원래의 위치로 누를 수 있고, 절개된 부분은 원래의 위치로 끼워 맞춤되어, 실질적으로 최초 절개되지 않은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고형이고, 강도 및 형상의 변형이 잘 되지 않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에 의해 가능한 것이며, 기존의 스티커 등으로 수분의 유출을 방지하던 것에 비해 접착제 등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아 시간이 지나도 계속 초기 상태와 같이 수분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별론이지만, 뒤이어서 설명할 개폐부에 의해서도 수분의 유출을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rawer 200 is formed of a plastic resin or a polymer resin, and an inlet for taking out the receptacles in the pack pack is cu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And when the receptacles are withdrawn, the inlet can be lifted towards the top. When the inner packaging pack is not used, the incised inlet portion formed by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can be pushed to the original position by using the grips 220 and 230 or the like , The incised portion can be fitted into the original position, and can be maintained substantially uninvolved. This is possible by the plastic resin or the polymer resin which is solid and does not easily deform in the strength and the shape, and the adhesive and the like are not separately need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icker which prevented the leakage of wat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flow of moisture. Also, although it is different from the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flow of moisture by the opening / closing part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도 5에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서 인출부 부분의 제 1라인과 제 2라인을 상세하게 표현하기 위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라인(211)은 상기 제 1라인(211)과 상기 제 2라인(212)의 접점과 먼 위치에서 곡선으로 형성된 제 1곡선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라인(212)은 상기 접점과 먼 위치에서 제 2곡선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곡선라인의 곡률반경(d2)은 상기 제 2곡선라인의 곡률반경(d1)보다 크며, 상기 제 1곡선라인은 상기 제 2곡선라인보다 상기 접점에서의 거리가 더 먼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5 is a plan view for describing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of the lead portion in detail in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pack pack. Referring to FIG. 5, And a first curved line formed as a curved line at a position distant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The second line 212 includes a second curved line at a position distant from the contact point The curvature radius d2 of the first curved line is greater than the curvature radius d1 of the second curved line and the first curved line is longer than the curved line radius of the second curved line at the contact point Can be featured far.

제 1곡선라인과 제 2곡선라인이 접점에서 거리가 멀고 상기 접점에 인접하는 위치에서는 실질적으로 직선의 라인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전가되는 힘의 대부분이 절개되는데 사용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절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곡선라인의 곡률반경(d2)과 제 2곡선라인의 곡률반경(d1)을 위와 같이 조절함으로써, 인출부의 일부가 완전히 절개되어 떨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적절한 범위에서만 절개되어 다시 인출부의 마개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rst curved line and the second curved line are at a distance from the contact and a substantially straight line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ntact so that most of the force transferred by the user is used for cutting, So that the incision can be made easily. Further, by controlling the curvature radius d2 of the first curved line and the curvature radius d1 of the second curved lin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art of the lead-out portion from being completely cut out, It can serve as a stopper for the draw-out portion.

즉, 곡률반경이 큰 제 2곡선라인에 의해 도면의 우측에 해당하는 제 2라인(212) 부분은 상대적으로 쉽게 제 2라인(212)의 끝부분까지 절개되고, 곡률반경이 작은 제 1곡선라인에 의해 제 1라인(211)은 절개되는 힘을 덜 받게 된다. 이에 의해,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의 길이가 비록 서로 다르지만, 동일한 힘이 가해지더라도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이 대등하게 모두 절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 양측이 길이와 형상(제 1곡선라인과 제 2곡선라인의 곡률반경 차이) 등을 달리함으로써, 절개된 인출부 부분이 완전히 인출부(200)에서 분리되지 않고, 일부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추후 수분의 침투 방지 역학을 하는 마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by the second curved line having a large radius of curvature, the portion of the second line 212 corresponding to the right side of the drawing is relatively easily cut to the end of the second line 212, and the first curved line The first line 211 receives less force to be incised. Although the lengths of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even if the same force is applied,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can be equally cut off . Further, by varying the length and shape (the difference in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curved line and the second curved line) on both sides of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the cut- 200, and a part of them can be maintained in a coupled st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permeation of water at a later stage.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비제한적인 예로, 길이가 더 긴 제 2라인의 말단부분은 인출부를 정의하는 영역의 끝단에 위치하여 더 이상 절개되지 않도록 하거나, 제 1라인과 제 2라인의 말단에 스토퍼(stopper)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장애물을 두어 과도하게 인출부가 절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기능을 수행하는 장애물은 타영역에 비해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거나 강도가 강한 소재를 삽입하는 등의 방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by way of non-limiting example,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line, which is longer in length,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region defining the lead-out portion so as not to be further cut, or at the end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 separate obstacle for performing a stopper function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lead portion from being cut excessively. The obstacle that performs the stopper function may be formed thicker than other areas, or may be formed by inserting a material having high strength.

또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을 따라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포장용 팩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방지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방지라인인 인출부의 내측 방향으로 형성되고, 절개되는 제 1라인과 제 2라인의 양 옆을 따라 제 1라인과 제 2라인과 동일한 형상으로 돌출된 라인 방식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 1라인과 제 2라인이 절개되면, 어느 정도 내부의 수용물들이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와 같은 건조방지라인을 형성하여 직접적으로 외부로 수분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수분의 유출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포장용 팩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건조방지라인이 수분이 외부로 이동하는 진로를 방해하여 쉽게 수분이 증발하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lines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long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t least one drying prevention line may be further included. In other words, it may be formed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draw-out portion which is the drying prevention line, and may be formed in a line manner protruding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long the both sides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to be cut . When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re cut, the internal receptacles are exposed to the outside to some extent. Such a drying preventing line can be formed to prevent direct water from leaking out to the outside. That is, the outflow of moisture can be minimized. In other words, the drying prevention line protruding toward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obstructs the path where moisture moves to the outside, so that moisture can be easily evaporated or discharged.

다시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상기 개폐부(400)는 상기 오픈부(100)의 일 측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하여 상기 인출부(200)를 모두 커버한다. 즉, 개폐부(400)는 닫혀져 있을 경우, 상기 인출부(200)의 모든 영역을 외부로부터 밀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개폐부(400)는 오픈부(100)의 상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부로부터 오픈부(100) 내측에 위치하는 인출부(2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픈부(100)의 핀셋부(300)가 오염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 to 4, the opening / closing part 40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 part 100 and is openable / closable to cover all of the draw-out part 200. That is,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is close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functions to seal all the areas of the drawing part 200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opening / closing part 400 may c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open part 100.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lead portion 200 located inside the open portion 100 from the outside, and also to prevent the pin set portion 300 of the open portion 100 from being contaminated.

한편,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존재하며, 상기 제 1라인(211)과 상기 제 2라인(212)에 의해 형성되는 인출부(200)의 입구를 열었다 닫는(개폐)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돌출된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상부로 들어올려 포장팩 내의 수용물들을 꺼내고,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다시 이를 닫기 편하도록 할 수 있다.The handle is provid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drawer 200 formed by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That is, the user lifts up the container by using the protruding handle to take out the receptacles in the pack, and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receptacle, the user can close the container again.

도 6에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서 손잡이부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정면도가, 도 8에는 도 6의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detail of the handle portion in the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pack pack, Fig. 7 is a front view of Fig. 6, and Fig. 8 is a right side view of Fig.

도 6내지 8을 참조하면, 손잡이부는 상기 제 1라인(211)과 상기 제 2라인(212)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230) 및 상기 돌출부(230)의 상측과 연결된 고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30)는 상기 제 1라인(211)과 상기 제 2라인(212)의 접점에서 형성되어, 사용자가 최초에 포장팩을 사용하기 위해 상부 방향을 향하여 힘을 가하고, 뜯을 경우,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 방향으로 균일하게 절개되도록 할 수 있다. 6 to 8, the handle has a protrusion 230 protruding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and a protrusion 230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ntact of the protrusion 230 220). The protrusion 230 is formed at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so that when the user first applies a force toward the upper direction to use the pack, So that it can be uniformly cu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상기 고리부(220)는 상기 돌출부(23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제조과정에서 사출에 의해 돌출부(2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230)는 일부 탄성력을 가져 상기 고리부(220)가 위아래 등으로 일부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 등으로 형성되고, 일부 탄성력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가 고리부(220)에 손가락을 걸어 잡아당기고,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인출부(200)의 일부가 절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annular portion 220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protrusion 230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trusion 230 by injectio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the protrusion 230 may have some elasticity so that the ring 220 can be partially moved up and down. That is, it is formed of a plastic resin, a polymer resin, or the like, and when the user has some elastic force, the user can hold the finger on the hook 220 and pull out the part of the lead portion 200 in the pulling direction.

또한, 상기 고리부(220)는 인출부(200)의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 방향으로 보다 효과적으로 절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돌출부(230)에서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이 형성된 방향으로 치우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8과 같이, 고리부(220)의 일단과 돌출부(230)가 연결되고, 연결되지 않은 타단의 방향은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의 방향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The annular portion 220 may be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230 so as to be more effectively cut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of the lead portion 200, 2 line 212 are formed. 6 to 8, one end of the loop 220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230, and the other end of the loop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can do.

도 9에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서 핀셋부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in detail the pincette portion of the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a pack.

도 9를 참조하여 핀셋부(3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핀셋부(300)는 상기 오픈부(100) 또는 상기 개폐부(4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핀셋부(300)는 고정유닛(320)과 핀셋(310)을 포함하며, 고정유닛(320)은 핀셋(310)을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핀셋(310)은 사용자가 포장팩 내의 수용물들을 하나씩 꺼내기 쉽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핀셋(310)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하지 않는 다른 수용물들을 건드리지 않고 필요로 하는 한 매의 수용물만을 꺼내어 다른 수용들의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수용물들을 꺼내는 것에 비해 보다 쉽게 수용물들을 한 매씩 꺼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320)에 의해 사용자가 핀셋(310)을 별도로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어, 핀셋(310)을 잃어버릴 염려도 상당히 줄어들 수 있다. 한편, 도면상으로는 고정유닛(320)이 오픈부(100)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개폐부(40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핀셋(310)은 개폐부(400) 상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tweezers 300 may be disposed on the open portion 100 or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400. Referring to FIG. The tweezers 300 include a fixing unit 320 and a tweezers 310. The fixing unit 320 functions to fix the tweezers 310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s for the packs,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receptacles in the pack pack one by one. The tweezers 310 allow the user to minimize the contamination of other receptacles by removing only one receptacle that is needed without touching other receptacles that are not in use, It is easier to remove the receptacles one by one. In addition, since the user does not have to carry the tweezers 310 separately by the fixing unit 320, the risk of losing the tweezers 310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Although the clamp unit 320 is formed on the open part 100, the clamp unit 320 may be formed on the opening part 400 as needed. In this case, Lt; / RTI >

예를 들어, 상기 핀셋부(300)의 상기 고정유닛(320)은 상기 오픈부(10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탄성체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며 이격되어 형성된 제 1고정유닛과 제 2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핀셋(310)은 상기 제 1고정유닛(320) 및 상기 제 2고정유닛(320)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유닛(320)이 탄성체로 형성되지 않더라도,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 넣는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핀셋(310)은 고정유닛(320)의 측면에서 끼워 넣거나 빼어서 사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unit 320 of the tweezers 300 includes a first fixing unit and a second fixing unit, which are formed as an elastic body and protrude upward from the open portion 100, And the tweezers 310 can be detached and attached by the first fixing unit 320 and the second fixing unit 320. In this case, the pincette 310 may be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side of the fixing unit 320, and the pincette 310 may be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side of the fixing unit 320. Alternatively, Can be used.

또한, 상기에서 이미 설명하였다시피, 상기 핀셋부(300)는 상기 개폐부(400)와 상기 오픈부(100)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가 포장팩을 사용하지 않을 시, 즉, 보관하고 있을 경우에는 외부로부터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weezers 300 are located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and the open part 100, and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pack, that is,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taminated.

한편, 다시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상기 오픈부(100)와 상기 고정틀(500) 사이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오픈부(100) 및 상기 고정틀(500)보다 상측으로 돌출한 고정 유지부(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유지부(110)는 포장용 팩이 고정틀(500)에 의해 고정 및 결합될 때, 포장용 팩이 포장팩 용 개폐장치로부터 뜯겨나가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고정틀(500)에 의해서만 포장용 팩을 고정, 결합하는 경우에 비해 고정틀(500)보다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물리적인 힘으로 포장용 팩을 더 지지할 수 있다. 1 to 4, a fixing and holding unit (not shown) which is located at least at one side between the open part 100 and the fixing frame 500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open part 100 and the fixing frame 500, (110). The fixed holding part 110 can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packing pack from being torn out from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the pack pack when the packing pack is fixed and coupled by the fixed frame 500. [ In other words, the packing pack 500 is protruded upward from the fixed frame 500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packing pack 500 is fixed and coupled only by the fixed frame 500, so that the packing pack can be further supported by a physical force.

다시 말하면, 상기 고정틀(500)만 포장용 팩의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는 경우에 비해 고정틀(500)과 함께 상부로 돌출한 고정 유지부(110)까지 포장용 팩의 내측으로 삽입고정되면, 보다 상측방향의 지지력이 더 생기므로, 포장용 팩이 포장팩 용 개폐장치와 분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 유지부(110)는 도면상으로는 평면단면이 곡면의 형상인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으며,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그 위치나 형상 등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only the fixed frame 500 is inserted and fixed inside the packing pack, when the fixed frame 50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fixed holding portion 110 protruding upwardly to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packing pack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the pack pack. The fixed holding portion 110 has a curved surface in a planar section in the draw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fixed holding portion 110 can be freely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f necessary.

본 발명의 포장팩 용 개폐장치는 오픈부(100)의 수분 유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오픈부(100)는 상기 인출부(200)를 모두 둘러싸며 폐곡선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돌출한 제 1밀폐 결합부(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400)는 상기 제 1밀폐 결합부(240)와 요철(凹凸)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 2밀폐 결합부(410, 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철(凹凸)결합에 의해 외부로부터 오염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 유출되거나 증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요철 결합에 의해 사용자가 포장팩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견고하게 개폐부(400)가 닫혀있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moisture from flowing out of the open part 100, the open part 100 of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 part 100 surrounds the lead part 200 and forms a closed curve,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aling part 410 or 420 formed to be capable of concavo-convex coupling with the first sealing part 240, . By such concave-convex coupling, contaminants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from the outside, and moistur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r being evaporated. In addition,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pack pack by the uneven coupling, the opening / closing part 400 can be firmly closed.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에는 개폐부에서 제 2밀폐 결합부 부분을 상세하게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을 B-B'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a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FIG.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a detail of the second sealing engagement portion i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2밀폐 결합부는 상기 제 1밀폐 결합부를 향하여 각각 돌출되고 각각 폐곡선 형태인 내부 밀폐 결합부(410) 및 상기 내부 밀폐 결합부(410)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밀폐 결합부(420)를 포함하고, 내부 밀폐 결합부(410) 및 외부 밀폐 결합부(420) 사이의 거리는 오픈부(100)의 제 1밀폐 결합부(240)의 폭에 대응하며, 요철(凹凸)결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0 and 11, the second hermetic engaging part includes an inner hermetic engaging part 410 protruding toward the first hermetic engaging part and each having a closed curve shape, and an outer hermetic engaging part 410 located outside the inner hermetic engaging part 410,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ealing part 410 and the outer sealing part 420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first sealing part 240 of the open part 100, Concavity and convexity) can be made possible.

또한, 상기 내부 밀폐 결합부(410)의 상기 개폐부(400)로부터의 돌출된 제 1높이(h1)는 상기 외부 밀폐 결합부(420)의 상기 개폐부(400)로부터의 돌출된 제 2높이(h2)에 비해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외부와 보다 인접하는 외부 밀폐 결합부(420)를 보다 높게 설계함으로써, 외부의 오염물들이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내부 밀폐 결합부(410)의 높이를 낮춤으로써, 오픈부(100)와 개폐부(400)가 쉽게 여닫을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좋아질 수 있다.The protruding first height h1 of the inner hermetic engaging part 410 from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is greater than the protruding second height h2 of the outer hermetic engaging part 420 from the opening / ), Which is low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openings 100 and the opening / closing portions 42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by preventing the foreign contaminants from being introduced and by reducing the height of the inner sealing joint portion 410 by designing the outer hermetically- 400 can easily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convenience of the user can be improved.

도 12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 용 개폐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에는 도 12에서 핀셋 부분을 별도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도 13의 핀셋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5에는 도 14의 핀셋이 제 3고정유닛에 부착,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2 is a plan view of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pack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incette portion separately in FIG. 12, and FIG. 14 is a cross- Are shown.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weezers of Fig. 14 are attached and joined to the third fixing unit.

도 12 내지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12 to 15, an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pack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2 내지 15를 참조하면, 핀셋부의 고정유닛은 오픈부(100) 또는 개폐부(400)의 일부에 함몰되어 형성된 제 3고정유닛(111)을 포함하고, 핀셋(311)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체로 형성된 굴곡부(321)를 포함하며, 상기 굴곡부(321)는 상기 제 3고정유닛(111)에 삽입되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핀셋(311) 자체에 굴곡부(321)를 포함하고, 굴곡부(321)에 의해 핀셋(311)의 길이방향으로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하고, 이러한 굴곡부(32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된 제 3고정유닛(111)에 삽입되어 탈부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으로는 제 3고정유닛(111)이 오픈부(100)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개폐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핀셋(311)은 개폐부 상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12 to 15, the fastening unit of the tweezers includes a third fastening unit 111 formed by being recessed in a part of the open part 100 o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400, and at least a part of the tweezers 311 is an elastic body And the bent portion 321 may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third fixing unit 111. In this case, That is, the tweezers 311 themselves include the bending portion 321 and can be contracted and rela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weezers 311 by the bending portion 321. The bending portion 321 is recessed and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ending portion 321 And can be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third fixing unit 111. Although the third fixing unit 111 is formed on the opening part 100 in the drawing, the third fixing unit 111 may be form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s needed. In this case, the tweezers 311 are coupled to the opening / Can be.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핀셋(311)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 3고정유닛(111)의 함몰된 부분에 핀셋(311)이 삽입되어 고정 및 결합되어 있고, 사용할 경우에는 핀셋(311)의 길이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수축에 의해 제 3고정유닛(111)으로부터 핀셋(311)이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핀셋(311)은 어느 정도 탄성을 가진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tweezers 311, the tweezers 311 are inserted and fixedly coupled to the depressed portions of the third fixing unit 111. When the tweezers 311 are used, The force is appli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tweezers 311 can be detached from the third fixing unit 111 by the contraction. For this purpose, the tweezers 31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some extent.

한편, 핀셋(311)이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 결합과 탈착이 되기 위해 상기 제 3고정유닛(111) 또는 상기 굴곡부(321)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112)을 포함하며, 상기 굴곡부(321) 또는 상기 제 3고정유닛(111)은 상기 걸림홈(112)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112)에 삽입되도록 하는 스틱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스틱부(331)와 걸림홈(112)에 의해 핀셋(311)이 보다 견고하게 고정, 결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3 내지 15에서는 스틱부(331)가 핀셋(311)에 형성되어 있고, 걸림홈(112)이 제 3고정유닛(111)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The third fixing unit 111 or the bent portion 321 includes at least one latching groove 112 to allow the tweezers 311 to be more effectively fixed, The third fixing unit 111 may include a stick portion 331 protruding from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atching groove 112 and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112. That is, the tweezers 311 can be more firmly fixed and coupled by the stick portion 331 and the engaging groove 112. 13 to 15, the stick portion 331 is formed in the pincette 311 and the engaging groove 112 is formed in the third fixing unit 111, but the positions may be mutually different.

도 1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 용 개폐장치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7에는 도 16에서 손잡이 부분을 별도로 나타낸 평면도가, 도 18에는 도 17의 손잡이부의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6 is a plan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pack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plan view showing the handle portion in FIG. 16, and FIG. 18 is a right side view of the handle portion of FIG. .

도 16 내지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 대해 설명하면, 오픈부(200)는 제 1라인(211)과 제 2라인(212)의 접점과 인접하면서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접점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손잡이부는 상기 제 1라인(211)과 상기 제 2라인(212)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230), 상기 돌출부(230)의 상측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턱의 위치와 반대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고리부(220), 상기 돌출부(230)의 상측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턱의 하단부 일부를 향하는 가고정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30)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고정부(250)는 상기 걸림턱의 하단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6 to 18, th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 p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open part 2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tacts of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and a protrusion (230) protruding upward from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line (211) A hook 220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230 to be opposite to a position of the hook 230 and a tongue 250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230 and directed toward a lower end of the hook 230, . The projecting portion 230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and the temporary fixing portion 250 is hooked to the lower end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상기 가고정부(250)는 상기 걸림턱의 하단에 걸리면서, 인위적인 힘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저절로 상기 제 1라인(211)과 상기 제 2라인(212)에 의해 절개된 부분이 상측으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절개된 부분이 원하지 않게 열리고, 수분이 유출 및 증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30)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포장팩을 사용할 경우에는 고리부(220)를 이용하여 당기는 힘에 의해 걸림턱과 가고정부(250)가 서로 이격되고, 이 경우 쉽게 오픈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artificial force is not applied, the temporary fixing unit 250 prevents the portion cut by the first line 211 and the second line 212 from rising to the upper side by itself while being caught by the lower end of the latching jaw The portion cut by an external impact or the like is opened unwantedly, and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water from flowing out and evaporating. The protrusion 230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When the user uses the packing pack, the protrusion 230 and the protrusions 2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pulling force using the ring 220, .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포장팩 용 개폐장치를 이용한 포장팩을 제공한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도 1에서 도시한 포장팩 용 개폐장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팩에 대해 설명하면, 포장팩은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며 상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팩, 하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내부와 마주하고, 상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외부와 마주하는 오픈부, 상기 오픈부를 둘러싸며 상기 포장용 팩의 개방부에 내측에 결합되는 고정틀, 상기 오픈부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오픈부의 주변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서로 연결된 제 1라인(line)과 제 2라인, 및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인출부, 상기 오픈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하여 상기 인출부를 모두 커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오픈부 또는 상기 개폐부 상에 배치된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커버되는 범위에 위치하는 핀셋을 포함하는 핀셋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ckaging pack using the above-described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packaging pack. The packaging p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packaging pack shown in FIG. 1, wherein the packaging pack contains contents therein, And a lower face of the packing pack facing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an upper 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packing pack, a fixing frame surrounding the opening and being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packing pack inward, A first line and a second line which are located at the inside of the opening and are thinner than the peripheral thickness of the open por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handle portion protruded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 opening / closing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ing portion and capable of opening / closing to cover all of the drawing portion, It can be a fixed unit and a detachable by the fixing unit, and includes a pair of tweezers including a pair of tweezers which is located in a range that is cover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포장팩은 상기 오픈부와 상기 고정틀 사이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오픈부 및 상기 고정틀보다 상측으로 돌출한 고정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포장용 팩은 상기 고정틀 및 상기 고정 유지부를 상기 포장용 팩의 내측으로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서 이미 설명하였다시피, 상기 고정 유지부는 포장용 팩이 더 견고하게 포장팩 용 개폐장치에 결합 및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packing pack may further include a fixed holding portion located at least one side between the open portion and the fixed frame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open portion and the fixed frame. In this case, And the fixed holding portion is coupled to cover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A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the pack, the fixed holding part can make the packing pack more firmly coupled and fixed to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the pack.

한편, 본 발명의 포장팩은 상기 포자팩 용 개폐장치에서 설명한 다른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는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packing pac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ther structures described in the opening / closing apparatus for spore packs, and the description thereof has been already given, and a repe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오픈부
110: 고정 유지부
111: 제 3고정유닛
112: 걸림홈
200: 인출부
211: 제 1라인
212: 제 2라인
220: 고리부
230: 돌출부
240: 제 1밀폐 결합부
250: 가고정부
300: 핀셋부
310: 핀셋
320: 고정유닛
321: 굴곡부
331: 스틱부
400: 개폐부
410: 내부 밀폐 결합부
420: 외부 밀폐 결합부
500: 고정틀
100: open section
110: fixed holding part
111: third fixed unit
112:
200:
211: first line
212: second line
220:
230: protrusion
240: first hermetically sealed part
250: Go Government
300: Tweezers
310: Tweezers
320: fixed unit
321: Bend
331:
400:
410: inner sealing part
420: outer sealing part
500: fixed frame

Claims (14)

하면은 포장용 팩의 내부와 마주하고, 상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외부와 마주하는 오픈부;
상기 오픈부를 둘러싸며 포장용 팩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틀:
상기 오픈부 내측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되며 상기 오픈부의 주변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제 1라인(line)과 제 2라인, 및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인출부;
상기 오픈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하여 상기 인출부를 모두 커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오픈부 또는 상기 개폐부 상에 배치된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커버되는 범위에 위치하는 핀셋을 포함하는 핀셋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셋부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오픈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탄성체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며 이격되어 형성된 제 1고정유닛과 제 2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핀셋은 상기 제 1고정유닛 및 상기 제 2고정유닛에 의해 탈부착되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and the upper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packing pack;
A fixed frame surrounding the open portion and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packing pack;
A first line and a second line located inside the open por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peripheral thickness of the open portion and a handl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 lead portion including a portion;
An opening / clos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 part and covering all the draw-out part by being openable / closable; And
And a tweezer including a fixed unit disposed on the open part o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tweez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unit, the tweezers being in a range cover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Wherein the fixing unit of the tweezers includes a first fixing unit and a second fixing unit formed upwardly from the open portion and formed of an elastic body and opposed to and spaced from each other, Th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pack pack detachably attached by a fixed uni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부는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of a plastic resin or a polymer res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측과 연결된 고리부를 포함하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le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d a hook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otrus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부와 상기 고정틀 사이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오픈부 및 상기 고정틀보다 상측으로 돌출한 고정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xed holding portion which is located on at least one side between the open portion and the fixed frame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open portion and the fixed frame.
하면은 포장용 팩의 내부와 마주하고, 상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외부와 마주하는 오픈부;
상기 오픈부를 둘러싸며 포장용 팩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틀:
상기 오픈부 내측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되며 상기 오픈부의 주변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제 1라인(line)과 제 2라인, 및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인출부;
상기 오픈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하여 상기 인출부를 모두 커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오픈부 또는 상기 개폐부 상에 배치된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커버되는 범위에 위치하는 핀셋을 포함하는 핀셋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라인은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과 먼 위치에서 제 1곡선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라인은 상기 접점과 먼 위치에서 제 2곡선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제 1곡선라인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 2곡선라인의 곡률반경보다 크며,
상기 제 1곡선라인은 상기 제 2곡선라인보다 상기 접점에서의 거리가 더 먼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and the upper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packing pack;
A fixed frame surrounding the open portion and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packing pack;
A first line and a second line located inside the open por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peripheral thickness of the open portion and a handl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 lead portion including a portion;
An opening / clos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 part and covering all the draw-out part by being openable / closable; And
And a pincette including a fixed unit disposed on the open part o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tweez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unit, the pincette being in a range cover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Wherein the first line includes a first curved line at a location remote from the contac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The second line includes a second curved line at a location remote from the contact,
Wherein the curvature radius of the first curved line is greater than the curvature radius of the second curved line,
Wherein the first curve line has a greater distance from the contact point than the second curve line.
하면은 포장용 팩의 내부와 마주하고, 상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외부와 마주하는 오픈부;
상기 오픈부를 둘러싸며 포장용 팩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틀:
상기 오픈부 내측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되며 상기 오픈부의 주변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제 1라인(line)과 제 2라인, 및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인출부;
상기 오픈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하여 상기 인출부를 모두 커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오픈부 또는 상기 개폐부 상에 배치된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커버되는 범위에 위치하는 핀셋을 포함하는 핀셋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을 따라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양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포장용 팩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건조방지라인을 더 포함하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and the upper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packing pack;
A fixed frame surrounding the open portion and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packing pack;
A first line and a second line located inside the open por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peripheral thickness of the open portion and a handl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 lead portion including a portion;
An opening / clos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 part and covering all the draw-out part by being openable / closable; And
And a pincette including a fixed unit disposed on the open part o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tweez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unit, the pincette being in a range cover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drying prevention lin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long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d protruding inward of the packaging pack, Device.
하면은 포장용 팩의 내부와 마주하고, 상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외부와 마주하는 오픈부;
상기 오픈부를 둘러싸며 포장용 팩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틀:
상기 오픈부 내측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되며 상기 오픈부의 주변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제 1라인(line)과 제 2라인, 및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인출부;
상기 오픈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하여 상기 인출부를 모두 커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오픈부 또는 상기 개폐부 상에 배치된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커버되는 범위에 위치하는 핀셋을 포함하는 핀셋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픈부는 상기 인출부를 모두 둘러싸며 폐곡선을 형성하고 상측으로 돌출한 제 1밀폐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 1밀폐 결합부와 요철(凹凸)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 2밀폐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and the upper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packing pack;
A fixed frame surrounding the open portion and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packing pack;
A first line and a second line located inside the open por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peripheral thickness of the open portion and a handl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 lead portion including a portion;
An opening / clos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 part and covering all the draw-out part by being openable / closable; And
And a pincette including a fixed unit disposed on the open part o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tweez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unit, the pincette being in a range cover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Wherein the open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first sealing engagement portion that surrounds all of the lead-out portion and forms a closed curve and protrudes upward,
Wherein the opening / closing part further comprises a second sealing / coupling part formed so as to be able to engage / disengage with the first sealing / coupling part.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밀폐 결합부는 상기 제 1밀폐 결합부를 향하여 각각 돌출되고 각각 폐곡선 형태인 내부 밀폐 결합부 및 상기 내부 밀폐 결합부의 외부에 위치하는 외부 밀폐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밀폐 결합부 및 상기 외부 밀폐 결합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 1밀폐 결합부의 폭에 대응하며,
상기 내부 밀폐 결합부의 상기 개폐부로부터의 돌출된 제 1높이는 상기 외부 밀폐 결합부의 상기 개폐부로부터의 돌출된 제 2높이에 비해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hermetic engaging portion includes an inner hermetic engaging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first hermetic engaging portion and each having a closed curve shape and an outer hermetic engaging portion located outside the inner hermetic engaging portion,
Wherein a distance between the inner hermetic engaging part and the outer hermetic engaging part corresponds to a width of the first hermetic engaging part,
Wherein the protruding first height of the inner hermetic engaging part from the opening / closing part is lower than the second height protruding from the opening / closing part of the outer hermetic engaging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셋부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오픈부 또는 상기 개폐부의 일부에 함몰되어 형성된 제 3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핀셋의 적어도 일부는 탄성체로 형성된 굴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굴곡부는 상기 제 3고정유닛에 삽입되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unit of the tweezers includes a third fixed unit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open portion or a part of the opening /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tweezers includes a bent portion formed of an elastic body, and the bent portion is inserted into and detached from the third fixing uni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고정유닛 또는 상기 굴곡부는 하나 이상의 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굴곡부 또는 상기 제 3고정유닛은 상기 걸림홈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스틱부를 포함하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hird fixing unit or the bent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latching groove and the bending portion or the third fixing unit protrudes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atching groove and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Opening and closing device.
하면은 포장용 팩의 내부와 마주하고, 상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외부와 마주하는 오픈부;
상기 오픈부를 둘러싸며 포장용 팩의 일면에 결합되는 고정틀:
상기 오픈부 내측에 위치하고 서로 연결되며 상기 오픈부의 주변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진 제 1라인(line)과 제 2라인, 및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인출부;
상기 오픈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하여 상기 인출부를 모두 커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오픈부 또는 상기 개폐부 상에 배치된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커버되는 범위에 위치하는 핀셋을 포함하는 핀셋부;를 포함하되,
상기 오픈부는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과 인접하면서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접점 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상측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턱의 위치와 반대방향을 향하여 형성된 고리부, 상기 돌출부의 상측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턱의 하단부 일부를 향하는 가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탄성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고정부는 상기 걸림턱의 하단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 용 개폐장치.
The lower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and the upper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packing pack;
A fixed frame surrounding the open portion and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packing pack;
A first line and a second line located inside the open por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peripheral thickness of the open portion and a handl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 lead portion including a portion;
An opening / clos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 part and covering all the draw-out part by being openable / closable; And
And a pincette including a fixed unit disposed on the open part o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tweez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unit, the pincette being in a range cover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he open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latching jaw which is spaced apart from and adjacent to the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nd protruded upward and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contact,
The grip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 hook portion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and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osition of the latching jaw, And a tapered portion facing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jaw,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is formed of an elastic body, and the temporary fixing portion is caught by the lower end of the latching jaw.
내부에 내용물을 수납하며 상측면의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를 포함하는 포장용 팩;
하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내부와 마주하고, 상면은 상기 포장용 팩의 외부와 마주하는 오픈부;
상기 오픈부를 둘러싸며 상기 포장용 팩의 개방부에 내측에 결합되는 고정틀:
상기 오픈부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오픈부의 주변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며 서로 연결된 제 1라인(line)과 제 2라인, 및 상기 제 1라인과 상기 제 2라인의 접점에서 상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인출부;
상기 오픈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개폐가능하여 상기 인출부를 모두 커버하는 개폐부; 및
상기 오픈부 또는 상기 개폐부 상에 배치된 고정유닛 및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고 상기 개폐부에 의해 커버되는 범위에 위치하는 핀셋을 포함하는 핀셋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셋부의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오픈부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탄성체로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며 이격되어 형성된 제 1고정유닛과 제 2고정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핀셋은 상기 제 1고정유닛 및 상기 제 2고정유닛에 의해 탈부착되는 포장팩.
A packing pack for containing contents therein and having an opening portion with a part of an upper surface thereof opened;
A bottom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packing pack, and an upper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the packing pack;
A fixing frame surrounding the open portion and coupled inward to the opening of the packing pack;
A first line and a second line which are located inside the open portion and are thinner than the peripheral thickness of the open portion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handle portion protruded upward from a contact point of the first line and the second line, A withdrawal portion including;
An opening / closing part coupled to one side of the open part and covering all the draw-out part by being openable / closable; And
And a tweezer including a fixed unit disposed on the open part o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and a tweezer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xed unit, the tweezers being in a range cover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Wherein the fixing unit of the tweezers includes a first fixing unit and a second fixing unit formed upwardly from the open portion and formed of an elastic body and opposed to and spaced from each other, And is detached and attached by the fixing unit.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부와 상기 고정틀 사이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오픈부 및 상기 고정틀보다 상측으로 돌출한 고정 유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장용 팩은 상기 고정틀 및 상기 고정 유지부를 상기 포장용 팩의 내측으로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팩.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fixed holding portion which is located at least one side between the open portion and the fixed frame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open portion and the fixed frame,
Wherein the packing pack is coupled so as to cover the fixed frame and the fixed holding portion inside the packing pack.
KR1020170147687A 2017-11-08 2017-11-08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package and package comprising the same Active KR1019323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687A KR101932356B1 (en) 2017-11-08 2017-11-08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package and packag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687A KR101932356B1 (en) 2017-11-08 2017-11-08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package and package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356B1 true KR101932356B1 (en) 2018-12-24

Family

ID=65009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687A Active KR101932356B1 (en) 2017-11-08 2017-11-08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package and package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35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466B1 (en) 2019-04-17 2020-01-22 이승현 System for opening hole by reverse arch typed neck having potential energy
KR102164243B1 (en) 2019-10-14 2020-10-12 이승현 System for opening hole by reverse arch typed neck having potential energ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220B1 (en) * 2016-04-20 2016-12-16 주식회사 어드밴스드티케이 Facial Cleansing Mas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220B1 (en) * 2016-04-20 2016-12-16 주식회사 어드밴스드티케이 Facial Cleansing Mas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9466B1 (en) 2019-04-17 2020-01-22 이승현 System for opening hole by reverse arch typed neck having potential energy
KR102164243B1 (en) 2019-10-14 2020-10-12 이승현 System for opening hole by reverse arch typed neck having potential energ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80265B2 (en) Blister package for contact lens
US6401915B1 (en) Package with an applicator for a contact lens
US11376371B2 (en) Pen needle packaging
WO2014050096A1 (en) Storage container
AU2009227913A1 (en) Wet tissues dispenser
EP1237515B1 (en) Contact lens applier, remover and container
US20110240514A1 (en) Dispensing container for wet sheets
KR101932356B1 (en) Opening and shutting device for package and package comprising the same
JP2022168216A (en) packaging container
KR102687617B1 (en) container
JPH0880980A (en) Container for wet tissue
JPH06263174A (en) Container for wet tissue paper
KR200425701Y1 (en) One Touch Airtight Container
KR20100006139U (en) Wet tissue pack having a lid
KR102463294B1 (en) Mask pack packaging container
CA2868181A1 (en) Flexible container with dispensing opening
JPH08143072A (en) Structure of outlet of wet-tissue container
US20070199831A1 (en) Contact Lens Package and Applicator With Method For Its Use
RU2664213C2 (en) Slide-open packet of cigarettes with a reclosable adhesive panel
KR102323991B1 (en) Cosmetic container
JP2008100752A (en) Moisture-keeping container
KR102681780B1 (en) one-touch type cover and packaging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KR200316253Y1 (en) Airtight container with assistance grip
KR101598020B1 (en) Clip
KR101838547B1 (en) Wet tissue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