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2279B1 -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2279B1
KR101932279B1 KR1020180031757A KR20180031757A KR101932279B1 KR 101932279 B1 KR101932279 B1 KR 101932279B1 KR 1020180031757 A KR1020180031757 A KR 1020180031757A KR 20180031757 A KR20180031757 A KR 20180031757A KR 101932279 B1 KR101932279 B1 KR 101932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main battery
sub
powe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7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80031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27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27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46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electric energy storage systems,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60L11/185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responding to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B60L58/18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f two or more battery modu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01R31/024
    • G01R31/360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5Failure diagno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02T10/704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for increasing a capability of a sub battery by securing a minimum operation time corresponding to a failure situation. The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comprises: a current measurement unit measuring currents of a power source line between a main battery and a load part and a power source line between a sub battery and a load part; a state of charge (SOC) determining unit determining a state of a battery charging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a controlling unit determining the power source line as the failure if a current measurement value received from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is out of a reference range and supplying bypass power to another power source line except the power source line determined as the failure based on the state of the main battery charging receiving from the SOC determining unit.

Description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00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0002]

본 발명은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라인 고장 발생 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전원을 우회 공급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bypassing a power supply based on a charged state of a battery when a power line failure occurs.

일반적으로 다중 전원 배터리를 사용하는 차량에서는,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를 포함하여 차량 내 부하(LOAD)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메인 배터리는 차량 내 전력을 공급하는 저장공간으로서, 차량 내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서브 배터리는 다중 전원 시스템의 두 번째 전력 저장공간으로서, 메인 배터리의 전력지원 및 특정 부하의 전원 공급을 지원한다.Generally, in a vehicle using a multi-power battery, power is supplied to an in-vehicle load LOAD including a main battery and a sub battery. At this time, the main battery is a storage space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to the vehicle, and supplies power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in the vehicle, and the sub battery is a second power storage space of the multiple power supply system, Support.

즉, 단일 배터리 차량은 하나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차량 내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나, 다중 전원 배터리 차량의 경우, 메인 배터리와 서브 배터리를 사용하여 차량 내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며, 자세하게는 최초 시동 시 메인 배터리의 전력을 사용하지만 최소 시동 가능 전력 미만인 경우에는 서브 배터리 전력을 이용하여 메인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또한, RWS(Rear Wheel Steering), ARS(Active Roll Stabilizer) 등과 같은 특정 부하의 전원 공급 시에도 서브 배터리의 전력을 사용한다. That is, the single battery vehicle supplies power to the in-vehicle load by using one battery. In the case of the multi-power battery vehicle,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are used to supply power to the load in the vehicle. When the main battery power is used but less than the minimum startable power, the sub battery power is used to charge the main battery. In addition, sub-battery power is used even when a specific load such as RWS (Rear Wheel Steering) or ARS (Active Roll Stabilizer) is supplied.

한편, 차량 내에는 전원을 분배하기 위한 전원 분배 박스가 차량 내 부하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전원 분배 박스 내에는 퓨즈가 장착되어 부하 사양에 규정된 전류보다 큰 전류가 발생하면, 규정된 시간 내에 전류를 차단하여 회로를 보호하며, 퓨즈 차단으로 부하 동작은 정지된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power distribution boxes for distributing power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depending on the loads in the vehicle. At this time, when a fuse is installed in the power distribution box and a current larger than the current specified in the load specification is generated, the circuit is protected by interrupting the current within the specified time, and the load operation is stopped by the fuse interruption.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엔진룸박스와 메인 배터리를 연결하는 전원 라인에 이상(Short to ground)이 발생했을 경우, 전원 분배 박스 내 퓨즈의 순간적인 차단으로 전원 라인을 보호하는데, 퓨즈의 차단으로 인해 부하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차량 주행 중에 주행에 필요한 필수 부하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That is, as shown in FIG. 1, when short-to-ground occurs in a power line connecting the engine room box and the main battery, the power line is protected by momentary interruption of fuses in the power distribution box, The load may not operate due to the break of the fuse.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an accident may occur when the essential load necessary for running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does not work.

또한, 종래의 다중 전원 배터리를 사용하는 차량에서는, 서브 배터리를 특정 부하 및 시동 구동의 역할로만 이용하여 서브 배터리를 비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In addition, in a conventional vehicle using a multi-power batter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ub-battery is used only in the role of a specific load and startup drive, and the sub-battery is inefficiently used.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27136호(공고일 : 2015.06.09.공고)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진단 장치 및 그 방법"이 있다.BACKGROUND ART [0002] A battery diagnostic device for an electric vehicle and a method thereof are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527136 (public announcement date: June 5, 2015).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전원 라인 고장 발생 시 전원을 우회 공급하여 고장 상황에서 대응 가능한 최소 구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power supply control system, which is developed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장치는, 메인 배터리와 부하부 사이의 전원 라인 및 서브 배터리와 부하부 사이의 전원 라인의 전류를 각각 측정하는 전류측정부;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는 SOC(State Of Charge)판단부; 및 상기 전류측정부로부터 입력받은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원 라인을 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SOC판단부로부터 입력받은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으로 판단된 전원 라인을 제외한 다른 전원 라인으로 우회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vehicl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rent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a current of a power line between a main battery and a load unit and a power line between a sub battery and a load unit, respectively; A state of charge (SOC)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at the power supply line is a failure if the current measured value inputted from the current measuring unit is out of a reference range and determining a power supply line determined as a failure based on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inputted from the SOC determin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supplying bypass power to the other power lines.

본 발명은,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의 메인 전원단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고,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와 각각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으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각각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부; 및 상기 부하부의 입력단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부하부에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are provided at the main power terminal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to supply or cut off power from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A first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the second switching unit, respectively; And a second switching unit provided at an input terminal of the load unit to switch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unit from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원 라인을 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 중 고장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line is faulty, An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means to be in the off state.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 중 메인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서브 배터리의 전원 라인 및 상기 서브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2스위칭부 중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각각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을 통해 상기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제1기준SOC(%)는 필수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f the main battery is charged to a first reference SOC (%) or more, Controls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battery to be in the on state and controls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and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ub battery to the off state, And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load and the other loads are respectively turned on to supply power to the essential load and the other load through the bypass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And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load is set as a reference.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미만이면, 상기 제2스위칭부 중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기타부하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battery,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main battery is in a malfunction state when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is less than a first reference SOC (% And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load is controlled to be in an off state to sh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other load.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제2기준SOC(%) 이하이면, 상기 제2스위칭부 중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기타부하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 중 서브 배터리의 전원 라인 및 상기 서브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 중 하나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필수부하에 서브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제2기준SOC(%)는 기타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1기준SOC(%)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battery,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main battery is in an abnormal state, if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is less than a second reference SOC (%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load is turned off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other load and one of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and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ub battery And the second reference SOC (%) is set based on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other loads, and the second reference SOC (%)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SOC Value. ≪ / RTI >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방법은, 제어부가 전류측정부로부터 메인 배터리와 부하부 사이의 전원 라인 및 서브 배터리와 부하부 사이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을 각각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류측정부로부터 입력받은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원 라인을 고장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SOC(State Of Charge)판단부로부터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SOC판단부로부터 입력받은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으로 판단된 전원 라인을 제외한 다른 전원 라인으로 우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power supply,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a power supply line between a main battery and a load unit and a current measurement line of a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sub- If the current measured value received from the current measuring unit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determining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line is a failure; The control unit receiving a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and a sub battery from an SOC determination unit; And supplying the bypass power to the power supply line other than the power supply line determined as the failure based 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inputted from the SOC determination unit by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상기 우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고,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와 각각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으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제1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부하부에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제2스위칭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supplying the bypass power sour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supply or block power from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and may supply power from the bypass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And controls the second switching unit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input from the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to the load unit.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원 라인을 고장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스위칭부 중 고장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easured current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power lines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line is a failure, And the power supply is cut off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means to be in the off state.

본 발명의 상기 우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 중 메인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서브 배터리의 전원 라인 및 상기 서브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2스위칭부 중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각각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을 통해 상기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제1기준SOC(%)는 필수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supplying the bypass power sour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f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SOC (%) A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a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a main battery of the first switching unit is controlled to be in an on state and a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a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ub battery and a sub- And a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a required load and other loads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are respectively controlled to be in an ON state to supply power to the essential load and other loads through a bypass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1 reference SOC (%) is set based on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essential load .

본 발명의 상기 우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미만이면, 상기 제2스위칭부 중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기타부하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supplying the bypass power sour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f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SOC (%) , The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other loads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is controlled to be in the off state to sh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other load.

본 발명의 상기 우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제2기준SOC(%) 이하이면, 상기 제2스위칭부 중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기타부하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 중 서브 배터리의 전원 라인 및 상기 서브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 중 하나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필수부하에 서브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제2기준SOC(%)는 기타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1기준SOC(%)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of supplying the bypass power sour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f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SOC (%) The second switching unit controls the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other loads to be in the off state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other load, and disconnects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and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SOC (%) is set based 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other loads, and the second reference SOC 1 < / RTI > reference SOC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차량 내 전원 분배 박스가 하나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전원 라인 고장 발생 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전원을 우회 공급함으로써, 고장 전원 라인의 차단으로 인해 주행 중 필요한 필수부하가 동작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가 고장 상황에서 대응 가능한 최소 구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in-vehicle power distribution box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ypass a power supply based on a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when a power supply line fail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that may occur due to the failure of the essential load during operation due to the interruption of the line and to enable the driver to obtain a minimum drive time that can be dealt with in a fault situation, ha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전원 라인 고장 발생 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메인 배터리와 서브 배터리를 모두 활용하여 고장 상황에서 대응 가능한 최소 구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브 배터리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both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based on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when a power line failure occurs to secure a minimum drive time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sub-battery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종래의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전원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vehicle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ower supply circuit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장치의 개략적인 전원 회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차량 전원 제어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power control devic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차량 전원 제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전원제어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차량 내에 차량 전원 제어 장치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전원 분배 박스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분배 박스가 하나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며, 즉 상기 복수 개의 차량 전원 제어 장치가 하나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는 알터네이터(ALT)를 통해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를 충전하고, 각각의 전원제어모듈에서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에 전원이 분배되도록 하는 것이다.Referring first to FIG. 2, the vehicle power control apparatus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refer to each of the power control modules shown in FIG. That is, a plurality of vehicle power control devices may b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the plurality of vehicle power control devices may b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power distribution boxes.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distribution boxes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that is, the plurality of vehicle power control devices may be connected together. In other words, the present embodiment charges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through the alternator ALT, and distributes power to essential loads and other loads in each power supply control module.

도 3을 참조하여, 하나의 전원제어모듈, 즉 차량 전원 제어 장치를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장치는, 전류측정부(10), SOC(State Of Charge)판단부(20), 제어부(30), 제1스위칭부(40), 제2스위칭부(50) 및 부하전류측정부(6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 및 보조 배터리(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부하부(3)에 분배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a vehicle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rent measuring unit 10, an SOC (State Of Charge) determination unit The control unit 30 includes a main battery 1 and a secondary battery 50. The main battery 1 and auxiliary And controls the power supplied from at least one of the batteries 2 so as to be distributed to the load section 3. [

이때, 부하부(3)는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수부하는 안전 및 주행과 같이 주행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부하장치를 의미하고, 기타부하는 상기 필수부하를 제외한 부하장치를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load section (3) may include essential loads and other loads, and the essential load means a load device necessary for running such as safety and running, and the other load means a load device excluding the essential load do.

전류측정부(10)는 메인 배터리(1)와 부하부(3) 사이의 전원 라인 및 서브 배터리(2)와 부하부(3) 사이의 전원 라인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으로, 메인 배터리(1)와 서브 배터리(2) 각각에 대응하는 전원 라인에 대해 각각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다.The current measurement unit 10 measures the current of the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main battery 1 and the load unit 3 and the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sub battery 2 and the load unit 3, And the power supply lin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ub-batteries 2, respectively, and transmit them to the control unit 30.

즉, 전류측정부(10)는 메인 배터리(1)의 전원 라인의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부(30)에 전송하고,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의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션트 저항(Shunt resistor)을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측정부(10)에서 전류를 측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션트 저항을 이용하여 전압 측정도 가능할 것이다.That is, the current measuring unit 10 measures the current of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attery 1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30, and measures the current of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2 and transmits the measured current to the control unit 30 ha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urrent can be measured using a shunt resist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scribed that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10 measures the current, but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voltage using the shunt resistor.

즉, 제어부(30)는 전류측정부(10)를 통해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의 각각의 전원 라인의 전류 또는 전압을 파악하여 전원 라인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30 can determine the occurrence of a failure of the power supply line by checking the current or voltage of each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through the current measuring unit 10.

SOC판단부(20)는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메인 배터리(1)와 서브 배터리(2) 각각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SOC판단부(20)는 차량 내 통신(CAN, LIN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메인 배터리(1)와 서브 배터리(2)의 충전 상태를 파악하여 제어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메인 배터리(1)와 서브 배터리(2) 각각의 충전 상태는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다.The SOC determination unit 20 determines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and determines the state of charge of each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and transmits them to the control unit 30 . The SOC determination unit 20 can grasp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in real time through in-vehicle communication (CAN, LIN, etc.) and provide the state of charge to the control unit 30. In this case,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xpressed as a percentage (%).

제어부(30)는 전류측정부(10)로부터 입력받은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원 라인을 고장으로 판단하고, SOC판단부(20)로부터 입력받은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 전원 라인을 제외한 다른 전원 라인으로 우회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기준범위는 전류 최대 한계치와 전류 최소 한계치 사이의 범위를 말하며,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기준전류는 전류 최소 한계이며, 제2기준전류는 전류 최대 한계치이다.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line is a failure when the current measured value inputted from the current measuring unit 10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The bypass power is supplied to the other power supply line except for the fault power supply line. In this case, the reference range refers to a range between the current maximum limit and the current minimum limit, and can be set in advance. That is, the first reference current is the current minimum limit and the second reference current is the current maximum limit.

다시 말해, 제어부(30)는 전류측정부(10)로부터 메인 배터리(1)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을 입력받아, 메인 배터리(1)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고, 전류측정부(10)로부터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을 입력받아, 서브 배터리(2)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attery 1 is received from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10 and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attery 1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And receives a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2 from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10 and determines that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the sub battery 2 power supply line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have.

이때,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 발생 시,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분할 공급 여부를 판단하고, 부하부(3) 중 주행에 필요한 필수부하를 제외한 기타부하의 전원 차단 여부를 판단하며, 제1스위칭부(40) 및 제2스위칭부(50)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우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 controls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based on the charged state of the main battery 1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wer of the other loads other than the essential load necessary for running in the load section 3 is shut off. If the first and second switching sections 40 and 50 are turned on OFF (ON / OFF) can be controlled to supply the bypass power.

제1스위칭부(40)는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의 메인 전원단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고,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와 각각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으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각각 스위칭하며, 제어부(30)에 의해 온오프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스위칭부(40)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를 포함할 수 있으나, 스위칭 가능한 소자는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3에는 제1스위칭부(40)가 특정 FET 종류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irst switching unit 40 is provided at a main power terminal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to supply or cut off power from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respectively, and can be turned on and off by the control unit 30. [005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switching unit 40 may include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but all of the switchable elements may be includ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FIG. 3, the first switching unit 40 is shown as a specific FET ty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여기서, 도 2를 참조하여 우회 전원 라인을 설명하면, 예컨대, 전원제어모듈1에서는 전원제어모듈1과 전원제어모듈3 사이의 전원 라인을 통해 메인 배터리(1)의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부(3)에 분배하였으나, 상기 전원제어모듈1과 전원제어모듈3 사이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전원제어모듈3과 전원제어모듈2 사이의 전원 라인을 통해 메인 배터리(1)의 전원을 공급받아 부하부(3)에 분배하게 된다. 이때, 전원제어모듈2와 전원제어모듈3 사이의 전원 라인을 거쳐 전원제어모듈1에 연결되는 전원 라인을 우회 전원 라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전원제어모듈에서 평상시 메인 배터리(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다른 전원 라인을 통해 메인 배터리(1)의 전원을 공급받는데, 이러한 전원 라인을 우회 전원 라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배터리(2)와 연결된 전원 라인도 상기와 같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실선으로 표시된 메인 배터리(1)와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은 평상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라인이며, 점선으로 표시된 메인 배터리(1)와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은 우회 전원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2,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 receives power from the main battery 1 through a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3,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3, power of the main battery 1 is supplied through the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3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2 And is distributed to the load section (3). At this time, the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 via the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2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3 may be referred to as a bypass power supply line. That is, when a failure occurs in the power supply line that is normally supplied from the main battery 1 by each power supply control module, power of the main battery 1 is supplied through another power supply line, . The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ub battery 2 is also the same as described above. 3, power lines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indicated by solid lines are power supply line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May refer to a bypass power line.

제2스위칭부(50)는 부하부(3)의 입력단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부하부(3)에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스위칭하며, 제어부(30)에 의해 온오프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칭부(40)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2스위칭부(50)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 FET)를 포함할 수 있으나, 스위칭 가능한 소자는 모두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3에는 제2스위칭부(50)가 특정 FET 종류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cond switching unit 50 is provided at an input terminal of the load unit 3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input from the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to the load unit 3 And can be turned on and off by the control unit 30. [ Also, in this embodiment, like the first switching unit 40, the second switching unit 50 may include a field effect transistor (FET), but all the switchable elements may be inclu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FIG. 3, the second switching unit 50 is shown as a specific FET ty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부하전류측정부(60)는 상기 전류측정부(10)와 같이 전류를 측정하는 것으로, 부하부(3)의 입력단에 위치하여 부하부(3)의 전류 실측값을 측정하고, 제어부(30)에 전송 할 수 있다. 즉, 부하전류측정부(60)도 션트 저항을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전압 측정도 가능하다. The load current measuring unit 60 measures current in the same manner as the current measuring unit 10 and measures the current measured value of the load unit 3 at the input terminal of the load unit 3, . That is, the load current measuring unit 60 can measure the current using the shunt resistor, and the voltage can be measured.

한편,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원 라인을 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40) 중 고장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고장 전원 라인을 차단하고, 고장 전원 라인을 제외한 다른 전원 라인으로 우회 전원을 공급하되,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우회 전원을 공급하여 고장 상황에서 운전자가 대응할 수 있는 최소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If the current measured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line is in failure, and the first switching unit 40 The power supply can be cut off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faulty power supply line in the OFF state. Then, the controller 30 interrupts the fault power supply line, supplies the bypass power to the other power supply line except for the fault power supply line, and supplies the bypass power based on the charged state of the main battery 1, So that the minimum time that can be coped with can be ensured.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SOC판단부(20)로부터 입력받은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이상이면, 제1스위칭부(40) 중 메인 배터리(1)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온(ON) 상태로 제어하고,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 및 상기 서브 배터리(2)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며, 제2스위칭부(50) 중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각각 온(ON)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을 통해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에 메인 배터리(1)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1 received from the SOC judging unit 20 exceeds the first reference SOC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1 of the first switching unit 40 is controlled to be turned on and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2 and the sub-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battery 2 is controlled to be in the OFF state and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essential load and the other loads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50 are respectively set to the ON state Can be controlled. That is, the control unit 30 can supply power of the main battery 1 to the essential load and other loads through the bypass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1.

이때, 제1기준SOC(%)는 필수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60%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reference SOC (%) can be set based on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essential load, and can be set to, for example, 60%.

다음으로,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SOC판단부(20)로부터 입력받은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미만이면, 제2스위칭부(50) 중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기타부하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Next,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1 received from the SOC determination unit 20 is' 1, it is possible to sh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other load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other load in the second switching unit 50 to the off state.

즉,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필수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미만이면, 고장 전원 라인의 메인 배터리(1)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차단하고, 메인 배터리(1)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온 상태로 제어하여 메인 배터리(1)의 우회 전원 라인을 통해 메인 배터리(1)의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 및 상기 서브 배터리(2)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은 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0)는 기타부하로 제공되는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메인 배터리(1)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메인 배터리(1)의 전원이 부하부(3) 중 필수부하에만 분배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if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1 is less than the charge stat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essential load,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main battery 1 of the faulty power supply line to the OFF state,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1 is controlled to be in the ON state so that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1 can be supplied through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attery 1,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2 and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ub battery 2 can be kept in the off state. Accordingly, when the power supplied to the other load is shut off, the controller 30 distributes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1 supplied through the bypass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1 to only the required load among the load portions 3 .

다시 말해, 본 실시예는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필수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미만인 경우, 기타부하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필수부하에 안정적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 최소 구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1 is less tha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essential load, the power supplied to the other load is cut off, So that time can be secured.

한편,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SOC판단부(20)로부터 입력받은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제2기준SOC(%) 이하이면, 제1스위칭부(40) 중 메인 배터리(1)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서브 배터리(2)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도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의 전원이 분할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If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power lines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at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1 received from the SOC determination unit 20 is the second If 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SOC (%),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1 of the first switching unit 40 is controlled to be in the ON state, and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ub battery 2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can be divided and supplied.

이때, 제2기준SOC(%)는 기타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1기준SOC(%)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40%로 설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reference SOC (%) is set based on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other load, and may be set to a value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SOC (%), .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0)는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은 정상이고, 메인 배터리(1)의 전원 라인에만 고장이 발생한 경우, 메인 배터리(1)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온 상태로 제어하여 메인 배터리(1)는 우회 전원 라인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서브 배터리(2)는 평상시 전원 라인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2 is normal and only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attery 1 has a failure, the control unit 30 responds to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1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2 is controlled to be in the on state so that the main battery 1 is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and the sub battery 2 ) May be supplied with power through a power supply line normally.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제2기준SOC(%) 이하인 경우,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의 전원을 분할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메인 배터리(1)와 가까운 전원제어모듈, 즉 메인 배터리(1)와 가까운 전원제어모듈에 연결된 전원 분배 박스에는 메인 배터리(1)의 전원을 공급하고, 나머지 전원제어모듈에는 서브 배터리(2)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컨대 메인 배터리(1)와 가까운 전원제어모듈3은 메인 배터리(1)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전원제어모듈1 및 전원제어모듈2는 서브 배터리(2)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1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SOC (%), the control unit 30 divides and supplies power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The power source distribution box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control module near the main battery 1, that is, the power source control module close to the main battery 1, supplies power to the main battery 1, Power may be supplied. 2, for example,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3 close to the main battery 1 supplies power to the main battery 1,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1 and the power supply control module 2 supply power to the sub battery 2 .

따라서, 본 실시예는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기타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이하로, 메인 배터리(1)만으로는 필수부하에 안정적 전원 공급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서브 배터리(2)와 메인 배터리(1)의 전원이 필수부하로 분할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1 is lower than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other loads, and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main battery 1 to supply stable power to the essential load, And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1 can be separately supplied to the essential loa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차량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 4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vehicle pow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vehicle power control method will be described below.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방법은, 먼저 제어부(30)가 전류측정부(10)를 통해 메인 배터리(1)와 부하부(3) 사이의 전원 라인 및 서브 배터리(2)와 부하부(3) 사이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을 각각 측정한다(S10).4,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controlling a current flowing between a main battery 1 and a load unit 3 through a current measuring unit 10, And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the power line between the line and the sub battery 2 and the load section 3, respectively (S10).

이때, 전류측정부(10)는 메인 배터리(1)의 전원 라인의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부(30)에 전송하고,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의 전류를 측정하여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션트 저항(Shunt resistor)을 이용하여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At this time, the current measuring unit 10 measures the current of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attery 1, transfers the measured current to the control unit 30, measures the current of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2, have.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urrent can be measured using a shunt resisto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제어부(30)는 S10단계에서 측정한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Next,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measured in step S10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S20).

여기서, 기준범위는 전류 최대 한계치와 전류 최소 한계치 사이의 범위를 말하며,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기준전류는 전류 최소 한계이며, 제2기준전류는 전류 최대 한계치이다. Here, the reference range refers to a range between the current maximum limit and the current minimum limit, and can be set in advance. That is, the first reference current is the current minimum limit and the second reference current is the current maximum limit.

이때, 제어부(30)는 전류측정부(10)로부터 입력받은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원 라인을 고장으로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inputted from the current measuring unit 10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the control unit 30 can determine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line is a failure.

따라서, S20단계에서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한 경우, 제어부(30)는 해당 고장라인의 전원을 차단한다(S30).Accordingly,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20 that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the controller 30 cuts off the power of the corresponding fault line (S30).

즉, 제어부(30)는 전류측정부(10)로부터 메인 배터리(1)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메인 배터리(1)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한 경우, 메인 배터리(1)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메인 배터리(1)의 전원 라인을 차단한다. 또한, 제어부(30)는 전류측정부로부터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을 입력받아, 상기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한 경우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을 차단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attery 1 from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10 and determines that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attery 1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 It is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main battery 1 is disconnected.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a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2 from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and determines that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2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It is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2 and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2 can be shut off.

다시 말해,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 발생 시, 제1스위칭부(40)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해당 고장 라인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제1스위칭부(40) 중 고장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the control unit 30 may control the first switching unit 40 to be in the off state to block the corresponding failure line . That is, the control unit 30 can turn off the power supply by controlling the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fault power supply li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40 to the off state.

반면,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로직을 종료하고 정상적인 전원 공급을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measurement is within the reference range, the logic can be terminated and the normal power supply maintained.

다음으로, 제어부(30)는 SOC(State Of Charge)판단부(20)로부터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를 입력받는다(S40).Next,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1 from the SOC (state of charge) determination unit 20 (S40).

이때,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뿐만 아니라 서브 배터리(2)의 충전 상태도 입력받을 수 있다. 즉, SOC판단부(20)는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메인 배터리(1)와 서브 배터리(2) 각각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여 제어부(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SOC판단부(20)는 차량 내 통신(CAN, LIN 등)을 통해 실시간으로 메인 배터리(1)와 서브 배터리(2)의 충전 상태를 파악하여 제어부(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메인 배터리(1)와 서브 배터리(2) 각각의 충전 상태는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다.At this time, not only the main battery 1 but also the charged state of the sub battery 2 can be input to the controller 30. That is, the SOC determination unit 20 determines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to determine the state of charge of each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Lt; / RTI > The SOC determination unit 20 can grasp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in real time through in-vehicle communication (CAN, LIN, etc.) and provide the state of charge to the control unit 30. In this case,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xpressed as a percentage (%).

그 다음,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50).Then,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1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SOC (%) (S50).

이때, 제1기준SOC(%)는 필수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60%로 설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reference SOC (%) can be set based on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essential load, and can be set to, for example, 60%.

상기 S50단계에서,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이상인 경우, 제어부(30)는 S30단계에서 차단한 고장 라인을 제외한 다른 라인으로 우회 전원을 공급한다(S80).If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1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SOC (%) in step S50, the controller 30 supplies the bypass power to the other lines except the fault line blocked in step S30 (S80).

이때,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SOC판단부(20)로부터 입력받은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이상이면, 제1스위칭부(40) 중 메인 배터리(1)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온(ON) 상태로 제어하고,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 및 상기 서브 배터리(2)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OFF) 상태로 제어하며, 제2스위칭부(50) 중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각각 온(ON)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을 통해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에 메인 배터리(1)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1 received from the SOC determination unit 20 is the first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1 of the first switching unit 40 is controlled to be ON and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2 is turned on,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ub battery 2 is controlled to be in the OFF state and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essential load and the other loads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50 are respectively turned ON, Can be controlled. That is, the control unit 30 can supply power of the main battery 1 to the essential load and other loads through the bypass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1.

한편, S50단계에서,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 미만인 경우,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제2기준SOC(%)를 초과하는지 확인하여(S61), 기타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S62).If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1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level in step S50,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1 exceeds the second reference SOC (%) (S61) ,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other loads can be shut off (S62).

즉,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SOC판단부(20)로부터 입력받은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미만이고, 제2기준SOC(%)를 초과하면, 제1스위칭부(40) 중 메인 배터리(1)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서브 배터리(2) 및 상기 서브 배터리(2)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며, 제2스위칭부(50) 중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기타부하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을 통해 메인 배터리(1)의 전원이 부하부(3) 중 필수부하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1 received from the SOC determining unit 20 is the first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1 of the first switching unit 40 is controlled to be in the on state and the sub-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battery 2 and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ub battery 2 are controlled to the off state and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other loads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50 is controlled to the off state, The power supplied to the load can be cut off.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30 allows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1 to supply power to only the essential load among the load units 3 through the bypass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1.

이때, 제2기준SOC(%)는 기타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1기준SOC(%)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40%로 설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reference SOC (%) is set based on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other load, and may be set to a value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SOC (%), .

즉,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필수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미만이나, 기타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타부하에 대해서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최소 구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1 is less than the charge stat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essential load or the charge stat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other loads, The minimum drive time can be secured.

한편, S50단계에서,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 미만인 경우,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제2기준SOC(%)를 이하인지 확인하여(S71), 기타부하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서브 배터리(2)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S72).If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1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level in step S50, the 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charged state of the main battery 1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SOC (%) (S71) , The power supplied to the other loads is cut off, and the power of the sub battery 2 is supplied (S72).

즉, 제어부(30)는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SOC판단부(20)로부터 입력받은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제2기준SOC(%) 이하이면, 제1스위칭부(40) 중 메인 배터리(1)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서브 배터리(2)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도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의 전원이 분할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at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1 received from the SOC determining unit 20 is the second If it is less than the reference SOC (%),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1 of the first switching unit 40 is controlled to be in the ON state, and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ub battery 2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can be divided and supplied.

따라서, 본 실시예는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가 기타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 이하로, 메인 배터리(1)만으로는 필수부하에 안정적 전원 공급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서브 배터리(2)와 메인 배터리(1)의 전원이 필수부하로 분할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1 is lower than the charging stat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other loads, and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main battery 1 to supply stable power to the essential load, And the power of the main battery 1 can be separately supplied to the essential load.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30)가 전류측정부(10)로부터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을 입력받아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고장으로 판단하고, 해당 고장 라인을 차단하며, 다른 우회 전원 라인을 통해 부하부(3)에 전원을 공급하되, 메인 배터리(1)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메인 배터리(1) 및 서브 배터리(2)의 전원 분할 공급 여부를 판단하고, 부하부(3) 중 주행에 필요한 필수부하를 제외한 기타부하의 전원 차단 여부를 판단하며, 제1스위칭부(40) 및 제2스위칭부(50)의 온오프(ON/OFF)를 제어하여 우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In summary,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control unit 30 receives current measurement values of the power supply lines of the main battery 1 and the sub battery 2 from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10 and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1) and the sub-battery (1) on the basis of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1), and supplies power to the load section (3) 2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wer of the other loads other than the essential load necessary for running in the load section 3 is shut off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ower of the first switch section 40 and the second switch section 50 Off power (ON / OFF) can be controlled to supply the bypass pow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차량 내 전원 분배 박스가 하나로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전원 라인 고장 발생 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전원을 우회 공급함으로써, 고장 전원 라인의 차단으로 인해 주행 중 필요한 필수부하가 동작하지 않아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운전자가 고장 상황에서 대응 가능한 최소 구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in-vehicle power distribution boxes are connected together to bypass the power supply based on the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upon occurrence of a power supply line fail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that may occur due to the failure of required essential load during operation due to the interruption of fault power supply line and to provide the driver with the minimum drive time that can be dealt with in case of failu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은, 전원 라인 고장 발생 시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메인 배터리와 서브 배터리를 모두 활용하여 고장 상황에서 대응 가능한 최소 구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브 배터리의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power supp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both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based on the charged state of the battery when a power line failure occurs to secure a minimum drive time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sub-battery can be impro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 메인 배터리(MAIN BATTERY)
2 : 서브 배터리(SUB BATTERY)
3 : 부하부(필수부하, 기타부하)
10 : 전류측정부
20 : SOC(State Of Charge)판단부
30 : 제어부
40 : 제1스위칭부
50 : 제2스위칭부
60 : 부하전류측정부
1: Main battery (MAIN BATTERY)
2: Sub battery (SUB BATTERY)
3: Load part (required load, other load)
10: Current measuring unit
20: SOC (State Of Charge)
30:
40: first switching unit
50:
60: Load current measuring unit

Claims (12)

메인 배터리와 부하부 사이의 전원 라인 및 서브 배터리와 부하부 사이의 전원 라인의 전류를 각각 측정하는 전류측정부;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판단하는 SOC(State Of Charge)판단부; 및
상기 전류측정부로부터 입력받은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원 라인을 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SOC판단부로부터 입력받은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으로 판단된 전원 라인을 제외한 다른 전원 라인으로 우회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의 메인 전원단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고,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와 각각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으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각각 스위칭하는 제1스위칭부; 및
상기 부하부의 입력단에 구비되어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부하부에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스위칭하는 제2스위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원 라인을 고장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 중 고장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 중 메인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서브 배터리의 전원 라인 및 상기 서브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2스위칭부 중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각각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을 통해 상기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제1기준SOC(%)는 필수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A current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a current of a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main battery and the load unit and a current of a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sub battery and the load unit, respectively;
A state of charge (SOC)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And
Wherein the power supply line is determined as a failure when the current measured value inputted from the current measuring unit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and the power supply line excluding the power supply line determined as the failure based on the charging state of the main battery inputted from the SOC determining unit And a control unit for supplying bypass power to the other power supply line,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are provided at a main power terminal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to supply or cut off power from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and to supply or cut off power from a bypass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A first switching unit for switching the first switching unit to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And a second switching unit, provided at an input terminal of the load unit, for switching supply or cutoff of power supplied to the load unit from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Wherein,
If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supply line is faulty, and the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fault power supply li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is turned off Power supply is cut off,
Wherein,
If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f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SOC (%), corresponding to a bypass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controls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and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ub battery to be in an off state and controls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load and other loads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Each of the switching means is turned on to supply power to the essential load and other loads through a bypass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Wherein the first reference SOC (%) is set based on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essential loa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5 is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미만이면, 상기 제2스위칭부 중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기타부하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f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is less than a first reference SOC (%),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other loads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are turned off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other load is cut off.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6 is abandoned due to the registration fe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제2기준SOC(%) 이하이면, 상기 제2스위칭부 중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기타부하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 중 서브 배터리의 전원 라인 및 상기 서브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 중 하나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필수부하에 서브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제2기준SOC(%)는 기타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1기준SOC(%)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f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f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is less than a second reference SOC (%),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other loads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are turned off Off state of one of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battery and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ub-battery among the first switching units, Provide sub-battery power,
Wherein the second reference SOC (%) is set based on a charged state of a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other loads, and is set to a value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SOC (%).
제어부가 전류측정부로부터 메인 배터리와 부하부 사이의 전원 라인 및 서브 배터리와 부하부 사이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을 각각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류측정부로부터 입력받은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원 라인을 고장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SOC(State Of Charge)판단부로부터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SOC판단부로부터 입력받은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으로 판단된 전원 라인을 제외한 다른 전원 라인으로 우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우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고,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와 각각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으로부터의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제1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부하부에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해 제2스위칭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의 전류측정값이 기준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전원 라인을 고장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1스위칭부 중 고장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며,
상기 우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이상이면, 상기 제1스위칭부 중 메인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온 상태로 제어하고, 서브 배터리의 전원 라인 및 상기 서브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2스위칭부 중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각각 온 상태로 제어하여, 상기 메인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을 통해 상기 필수부하 및 기타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제1기준SOC(%)는 필수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방법.
Receiving a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a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main battery and the load unit and a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the power supply line between the sub battery and the load unit from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respectively;
If the current measured value received from the current measuring unit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determining that the corresponding power line is a failure;
The control unit receiving a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and a sub battery from an SOC determination unit; And
And supplying the bypass power to another power supply line other than the power supply line determined as the failure based on the charge state of the main battery received from the SOC determination unit,
In the step of supplying the bypass power source,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unit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from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and to supply or cut off the power from the bypass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respectively, Controlling the second switching unit to supply or cut off power supplied to the load unit from at least one of the sub-batterie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switching unit corresponding to the failure power supply line of the first switching unit when the current measurement value of at least o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s out of the reference range, Off stat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In the step of supplying the bypass power source,
If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f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first reference SOC (%), corresponding to a bypass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of the first switching unit And controls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 battery and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ub battery to be in an off state and controls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required load and other loads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Each of the switching means is turned on to supply power to the essential load and other loads through a bypass power line connected to the main battery,
Wherein the first reference SOC (%) is set based on a state of charge of the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the essential loa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11 is abandoned due to registration fe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제1기준SOC(%) 미만이면, 상기 제2스위칭부 중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기타부하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of supplying the bypass power source,
When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f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is less than a first reference SOC (%),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other loads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are turned off And the power supplied to the other load is cut off.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Claim 12 is abandoned due to registration fe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배터리 및 서브 배터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원 라인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메인 배터리의 충전 상태가 제2기준SOC(%) 이하이면, 상기 제2스위칭부 중 기타부하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을 오프 상태로 제어하여 기타부하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1스위칭부 중 서브 배터리의 전원 라인 및 상기 서브 배터리와 연결된 우회 전원 라인에 대응되는 스위칭 수단 중 하나를 온 상태로 제어하여 필수부하에 서브 배터리 전원을 공급하되,
상기 제2기준SOC(%)는 기타부하를 구동하는데 필요한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하며, 상기 제1기준SOC(%) 보다 낮은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원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of supplying the bypass power source,
If a failure occurs in at least one power line of the main battery and the sub battery, if the state of charge of the main battery is less than a second reference SOC (%),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other loads of the second switching unit are turned off Off state of one of the switching means corresponding to the power supply line of the sub-battery and the bypass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sub-battery among the first switching units, Provide sub-battery power,
Wherein the second reference SOC (%) is set based on a charged state of a battery necessary for driving other loads, and is set to a value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SOC (%).
KR1020180031757A 2018-03-19 2018-03-1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Active KR10193227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57A KR101932279B1 (en) 2018-03-19 2018-03-1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757A KR101932279B1 (en) 2018-03-19 2018-03-1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733A Division KR102044289B1 (en) 2018-11-05 2018-11-0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KR1020180134732A Division KR102044285B1 (en) 2018-11-05 2018-11-0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KR1020180134731A Division KR102043989B1 (en) 2018-11-05 2018-11-05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279B1 true KR101932279B1 (en) 2019-01-02

Family

ID=65021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757A Active KR101932279B1 (en) 2018-03-19 2018-03-19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27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4586B2 (en) 2019-09-23 2024-04-23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management method,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732A (en) 2002-06-14 2004-01-22 Hitachi Ltd Vehicle power supply
JP2005028951A (en) * 2003-07-09 2005-02-0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Power supply device and vehicle equipped with power supply device
JP2015058768A (en) * 2013-09-18 2015-03-30 矢崎総業株式会社 On-vehicle system and wire harness structure
JP2017061240A (en) 2015-09-25 2017-03-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On-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JP2017140920A (en) 2016-02-10 2017-08-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Switch device for on-vehicle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7732A (en) 2002-06-14 2004-01-22 Hitachi Ltd Vehicle power supply
JP2005028951A (en) * 2003-07-09 2005-02-03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Power supply device and vehicle equipped with power supply device
JP2015058768A (en) * 2013-09-18 2015-03-30 矢崎総業株式会社 On-vehicle system and wire harness structure
JP2017061240A (en) 2015-09-25 2017-03-3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On-vehicle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thereof
JP2017140920A (en) 2016-02-10 2017-08-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Switch device for on-vehicle power supply and power suppl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4586B2 (en) 2019-09-23 2024-04-23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management system, battery management method, battery pack and electric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6522B2 (en) Method for the controlled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on-board power system branches of a vehicle, control uni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on-board power system
US11677232B2 (en) Quick battery disconnect system for high current circuits
US10838474B2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JP2018078701A (en) Power supply controller and battery unit
US20110291481A1 (en) Power source apparatus with fuse-implemented over-current cut-off
US12012057B2 (en) Power network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a power network for a motor vehicle
JP2018093694A (en) Power circuit equipment
US20140203786A1 (en) Power supply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KR102053399B1 (en) Safety monitoring unit
JP2020029200A (en) Vehicular power supply system
KR20230108596A (en) System for controlling start of electric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2956106A (en) Vehicle power supply system and overvoltage protection method
US20140265639A1 (en) Battery module
US11285841B2 (en) Multi-voltage battery device and onboard electrical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19322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KR1020439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KR1020442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KR20200134976A (en) Battery system and relay control device thereof
JP6157861B2 (en) Power control device
KR20200020089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JP5884683B2 (en) Battery monitoring device
KR1020442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f a vehicle
US20210268935A1 (en) Multi-voltage battery device and electrical system for a motor vehicle
JP7349510B2 (en) Automotive battery system
JP7373372B2 (en) battery contro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17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81105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