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1282B1 -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 Google Patents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282B1
KR101931282B1 KR1020160123006A KR20160123006A KR101931282B1 KR 101931282 B1 KR101931282 B1 KR 101931282B1 KR 1020160123006 A KR1020160123006 A KR 1020160123006A KR 20160123006 A KR20160123006 A KR 20160123006A KR 101931282 B1 KR101931282 B1 KR 101931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tary gear
saw blade
eccentric
planetary
ce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3714A (ko
Inventor
김근혜
류욱현
Original Assignee
김근혜
류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혜, 류욱현 filed Critical 김근혜
Priority to KR1020160123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12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3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28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9/00Other reciprocating saws with power drive; Fret-saws
    • B27B19/002Power-driven hand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19/00Other reciprocating saws with power drive; Fret-saws
    • B27B19/02Saws with a power- driven blade chucked at both ends or at one end only, e.g. jig saws, scroll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LREMOVING BARK OR VESTIGES OF BRANCHES; SPLITTING WOOD; MANUFACTURE OF VENEER, WOODEN STICKS, WOOD SHAVINGS, WOOD FIBRES OR WOOD POWDER
    • B27L1/00Debarking or removing vestiges of branches from trees or logs; Machines therefor
    • B27L1/06Manually- operated or portable devices for debarking or for removing vestiges of bran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에 관련되며, 이때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은 직선로드 작동방향에 대응하는 왕복운동방향으로 편심량이 증가되는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하여 회전체 회전반경 대비 확장된 스트로크를 제공하기 위해 구동휠(10), 유성기어부(20), 유성편심암(30)를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The saw device}
본 발명은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직선로드 작동방향에 대응하는 왕복운동방향으로 편심량이 증가되는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하여 회전체 회전반경 대비 확장된 스트로크를 제공하는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에 관한 것이다.
통상 모터, 엔진을 포함하는 동력원 출력은 회전동력으로 발생되고, 회전동력은 구동축으로 그대로 전달되어 다양한 기구학적 작동원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톱, 항타기, 파쇄기를 포함하는 왕복직선운동력을 필요로 하는 장비의 경우에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전환하기 위해 공개번호 특1996-11068호에서 크랭크 시스템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하는 기술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크랭크 시스템은 크랭크축의 편심량에 비례하게 스트로크가 증가됨에 따라 장비 콤팩트화에 한계가 따랐다.
또한, 특허공개 제10-2012-95266호에서 기어 이가 180°의 범위만 설치된 캠 형태의 피니언 기어 두 개와 면 랙 기어를 이용하여, 동일한 속도와 힘으로 변환하는 기술이 선공개된바 있으나, 두 개의 피니언 기어를 면 랙 기어 양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해야 하므로 면 랙 기어 직선 왕복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비사이즈가 증가되고, 특히 피니언 기어 사이즈에 비례하게 면 랙 기어의 이송거리가 확대되므로 장비의 소형화가 불가능한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직선로드 작동방향에 대응하는 왕복운동방향으로 편심량이 증가되는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하여 회전체 회전반경 대비 확장된 스트로크를 제공하는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운동되고,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편심홀(12)이 구비되는 구동휠(10); 상기 편심홀(12)에 설치되어 구동휠(10) 중심을 축으로 공전운동되면서, 아이들 기어(21)를 통하여 구동휠(10)과 동심원을 이루는 외접 고정기어(22)와 치합되어 구동휠(10)과 역방향으로 자전운동되는 유성기어부(20); 상기 유성기어부(20)에 일단이 연결되어, 유성기어(20) 자전운동력에 의해 편심회전되며 직선로드(40)를 왕복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유성편심암(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성편심암(30)은 유성기어부(20)에 연결되는 축홀더부(32)와, 축홀더부(32)에서 유성기어부(20) 중심을 벗어나도록 연장되는 연결암(34)과, 연결암(34) 단부에 직선로드(40)가 연결되도록 축핀(3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성편심암(30)은 구동휠(10)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공전운동력과, 유성기어부(20)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자전운동력에 의해 임의의 서로 대향하는 양방향 편심량이 증가되어 가변 편심궤적운동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성편심암(30)에 직선로드(40)를 연결하여 직선 왕복운동력이 발생되고, 직선로드(40)에 톱날, 칼날을 포함하는 절삭기구(T1) 또는 헤머를 포함하는 타격기구(T2) 또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공압기구(T3)가 장착되도록 체결부(4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유성편심암의 축핀이 직선로드 왕복이송방향과 대응하는 0° 및 180°구간에서 구동휠 직경보다 확장된 범위까지 이동되어 스트로크가 증가되고, 또 직선로드 왕복이송방향과 직교하는 90° 및 270°구간에서는 축핀이 구동휠 직경과 같거나 축소된 범위까지 이동되어 직선로드 왕복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 장비사이즈가 콤팩트하게 축소 설계됨에 따라 직선로드 왕복이송구간에 대해 제한적으로 구동휠 직경 대비 확장된 스토로크를 제공하여 콤팩트한 구조에서 확장된 스트로크를 발생하고, 특히 고소작업용 톱 및 관로청소로봇을 포함하는 장비에 적용하여 소형 경량 구조에서 확장된 스토로크를 발생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의 본체 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의 궤적운동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에 관련되며, 이때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은 직선로드 작동방향에 대응하는 왕복운동방향으로 편심량이 증가되는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하여 회전체 회전반경 대비 확장된 스트로크를 제공하기 위해 손잡이대(110)가 구비되는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원에 의해 회전운동되고,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편심홀(12)이 구비되는 구동휠(10)과, 상기 편심홀(12)에 설치되어 구동휠(10) 중심을 축으로 공전운동되면서, 아이들 기어(21)를 통하여 구동휠(10)과 동심원을 이루는 외접고정기어(22)와 치합되어 구동휠(10)과 역방향으로 자전운동되는 유성기어부(20)와, 상기 유성기어부(20)에 연결되어, 유성기어(20) 자전운동력에 의해 편심회전되며 직선로드(40)를 왕복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유성편심암(30)과, 상기 직선로드(40)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42)와, 상기 체결부(42)에 장착되어 미는 방향으로 켜지도록 미는날부(T1-1)가 구비되는 톱날 절삭기구(T1)와, 상기 본체(100)에 연결되고, 톱날 절삭기구(T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톱날 절삭기구(T1) 일측 단부가 수용되도록 제1홀(52)이 형성되는 제1톱날가이드(50)와, 상기 제1톱날가이드(50)와 일체로 연결되고, 제1홀(52) 일측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톱날 절삭기구(T1)의 다른 일측 단부를 수용하도록 제2홀(62)이 형성되는 제2톱날가이드(60)와, 상기 톱날 절삭기구(T1)의 미는날부(T1-1)측과 대응하는 제2톱날가이드(60)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7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휠(10)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운동되고,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편심홀(12)이 구비된다. 구동휠(10)은 지지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엔진 또는 모터 구동력이 직접 전달되도록 구성되거나, 예초기의 손잡이대 단부에 장착하여 예초기 엔진을 구동원으로 사용하면서 손잡이대를 이용하여 고소작업이 가능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구동원은 도 2 (a)와 같이 구동휠(10)을 윔휠로 적용하여 윔기어 구성을 통하여 동력전달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2 (b)는 구동휠(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구동축(11)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성기어부(20)는 편심홀(12)에 설치되어 구동휠(10) 중심을 축으로 공전운동되면서, 아이들 기어(21)를 통하여 구동휠(10)과 동심원을 이루는 외접 고정기어(22)와 치합되어 구동휠(10)과 역방향으로 자전운동된다. 유성기어부(20)는 구동휠 대비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베어링에 의해 편심홀(12)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접 고정기어(22)는 구동휠(10)과 이격되어 외부케이스에 고정되며, 아이들 기어(21)는 유성기어부(20)와 함께 구동휠(10) 중심을 축으로 공전운동되면서 유성기어부(20)와 외접 고정기어(22)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상기 구동휠(10)이 구동원에 의해 회전운동되면 유성기어부(20)가 구동원과 함께 구동휠(10) 중심을 축으로 편심회전되고, 이때 유성기어부(20)가 아이들 기어(21)를 통하여 외접 고정기어(22)에 치합되어 구동휠(10)과 역방향으로 자전운동력이 발생되고, 유성기어부(20)의 자전운동력에 의해 후술하는 유성편심암(30)이 가변 편심궤적운동(편심궤적 반경이 회전구간별로 상이하여 도 4와 같이 축핀이 선형의 궤적을 그리며 회전하는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성편심암(30)은 유성기어부(20)에 일단이 연결되어, 유성기어(20) 자전운동력에 의해 편심회전된다. 유성편심암(30)은 유성기어부(20)에 연결되는 축홀더부(32)와, 축홀더부(32)에서 유성기어부(20) 중심을 벗어나도록 연장되는 연결암(34)과, 연결암(34) 단부에 직선로드(40)가 연결되도록 축핀(36)이 구비된다. 도 1에서 축핀(36)과 대응하는 직선로드(40) 단부에는 장공형홀이 형성되어 직선로드 왕복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축핀(36)을 유연하게 수용하게 된다.
도 2 (a)는 유성편심암(30)이 구동휠(10)을 기준으로 유성기어부(20) 반대측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2 (b)는 유성편심암(30)이 유성기어부(20)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그리고, 상기 유성편심암(30)은 연결암(34)에 의해 유성기어부(20) 중심에서 벗어나 연장된 위치에 축핀(36)이 구비되어, 유성기어부(20)의 회전각도에 따라 도 4처럼 구동휠(10) 중심으로 부터 최대 이격구간과 최소 이격구간을 가지도록 가변 편심궤적운동된다.
즉, 상기 유성편심암(30)은 구동휠(10)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공전운동력과, 유성기어부(20)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자전운동력에 의해 임의의 서로 대향하는 양방향 편심량이 증가되어 가변 편심궤적운동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된다. 도 3 (a)의 유성기어부 위치를 0°기준으로 하여, 도 3 (a) 및 3 (c)와 같이 유성기어부(20)가 0° 및 180°일때 유성편심암(30)의 축핀(36)이 구동휠(10) 중심으로 부터 최대 이격구간까지 이송되고, 도 3 (b) 및 3 (d)처럼 유성기어부(20)가 90° 및 270°일때는 유성편심암(30)의 축핀(36)이 구동휠 중심으로 부터 최소 이격구간으로근접하게 이송된다.
이에 도 4처럼 유성편심암(30)의 축핀(36)은 직선로드(40) 왕복이송방향인 0° 및 180°구간에서 구동휠(10) 직경보다 확장된 범위까지 이동되어 스트로크가 증가되고, 또 직선로드(40) 왕복이송방향과 직교하는 90° 및 270°구간에서는 축핀(36)이 구동휠(10) 직경대비 축소된 범위까지 이동되어 직선로드(40) 왕복이송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 장비사이즈가 콤팩트하게 축소 설계가능하다. 즉, 종래에는 직선로드 스트로크를 확장하기 위해 구동휠 사이즈 확장이 불가피하였으나, 본원은 직선로드(40) 왕복이송구간에 대해 제한적으로 구동휠(10) 직경 대비 확장된 스토로크를 제공하여 장비의 콤팩트화와 더불어 관로청소로봇을 포함하는 소형 장비에 적용하여 협속한 공간에서 확장(증폭)된 스토로크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성편심암(30)에 직선로드(40)를 연결하여 직선 왕복운동력이 발생되고, 직선로드(40)에 톱날, 칼날을 포함하는 절삭기구(T1) 또는 헤머, 쐐기를 포함하는 타격기구(T2) 또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공압기구(T3)가 장착되도록 체결부(42)가 구비된다. 체결부(42)는 키와 키홈 또는 볼팅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적용된다.
그리고, 상기 직선로드(40)에는 직선 왕복운동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기구를 탈부착가능하게 장착되는바, 도 5는 톱날을 장착한 가지정리톱으로 이용되는 실시예이다.
한편, 상기 직선로드에 적용되는 기구는 상기 설명한 절삭기구, 타격기구, 공압기구에 국한되지 않고,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기계 기구분야에 적용되어 콤팩트한 구조에서 증폭된 스토로크를 제공하게 된다.
10: 구동휠 20: 유동기어부
30: 유성편심암 40: 직선로드

Claims (5)

  1. 손잡이대(110)가 구비되는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원에 의해 회전운동되고,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편심홀(12)이 구비되는 구동휠(10);
    상기 편심홀(12)에 설치되어 구동휠(10) 중심을 축으로 공전운동되면서, 아이들 기어(21)를 통하여 구동휠(10)과 동심원을 이루는 외접 고정기어(22)와 치합되어 구동휠(10)과 역방향으로 자전운동되는 유성기어부(20);
    상기 유성기어부(20)에 연결되어, 유성기어(20) 자전운동력에 의해 편심회전되며 직선로드(40)를 왕복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유성편심암(30);
    상기 직선로드(40) 단부에 구비되는 체결부(42);
    상기 체결부(42)에 장착되어 미는 방향으로 켜지도록 미는날부(T1-1)가 구비되는 톱날 절삭기구(T1);
    상기 본체(100)에 연결되고, 톱날 절삭기구(T1)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톱날 절삭기구(T1) 일측 단부가 수용되도록 제1홀(52)이 형성되는 제1톱날가이드(50);
    상기 제1톱날가이드(50)와 일체로 연결되고, 제1홀(52) 일측 단부와 이격된 위치에서 톱날 절삭기구(T1)의 다른 일측 단부를 수용하도록 제2홀(62)이 형성되는 제2톱날가이드(60);
    상기 톱날 절삭기구(T1)의 미는날부(T1-1)측과 대응하는 제2톱날가이드(60)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편심암(30)은 유성기어부(20)에 연결되는 축홀더부(32)와, 축홀더부(32)에서 유성기어부(20) 중심을 벗어나도록 연장되는 연결암(34)과, 연결암(34) 단부에 직선로드(40)가 연결되도록 축핀(36)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편심암(30)은 구동휠(10)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공전운동력과, 유성기어부(20) 중심을 축으로 회전하는 자전운동력에 의해 임의의 서로 대향하는 양방향 편심량이 증가되어 가변 편심궤적운동력이 발생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축핀(36)과 대응하는 직선로드(40) 단부에는 장공형홀(40a)이 형성되어 직선로드 왕복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되는 축핀(36)을 유연하게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KR1020160123006A 2016-09-26 2016-09-26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Expired - Fee Related KR101931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006A KR101931282B1 (ko) 2016-09-26 2016-09-26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006A KR101931282B1 (ko) 2016-09-26 2016-09-26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714A KR20180033714A (ko) 2018-04-04
KR101931282B1 true KR101931282B1 (ko) 2018-12-20

Family

ID=6197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0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931282B1 (ko) 2016-09-26 2016-09-26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12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119B1 (ko) 2019-03-22 2020-07-09 류욱현 크랭크암의 굴절운동을 이용한 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119B1 (ko) 2019-03-22 2020-07-09 류욱현 크랭크암의 굴절운동을 이용한 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714A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34508B2 (en) Rotary to reciprocating motion conversion attachment for a power rotary hand tool
US2506736A (en) Motor-driven hand tool
US9700949B2 (en) Reciprocating drive mechanism and power tool including the same
US7661485B2 (en) Hammer drill
WO1993011910A1 (en) Power tool
KR101972418B1 (ko) 타원형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WO2015050248A1 (ja) 往復動工具
US10518400B2 (en) Work tool
SE533628C2 (sv) Handhållen sticksågmaskin
US7857074B2 (en) Hand-held power tool with a percussion unit
US4825961A (en) Drilling device
KR101931282B1 (ko)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US9925598B2 (en) Vibratory machining device
CN107649706A (zh) 一种用于深孔加工的振动切削装置
KR102204429B1 (ko) 병렬 메커니즘
CN101331007A (zh) 手持式减振动力工具
US5020606A (en) Reciprocating rotary tool driver
KR102132119B1 (ko) 크랭크암의 굴절운동을 이용한 톱
WO1995021039A1 (en) Portable hand-held machine
JP6070494B2 (ja) インパクト工具
KR102522518B1 (ko) 회전 나사를 이용한 피스톤 전후진 왕복 운동 장치
CN207402160U (zh) 一种用于深孔加工的振动切削装置
US20130228058A1 (en) Power-tool parting device
JP5244108B2 (ja) 管切断機械用の回転式スイベル
CN104057425B (zh) 两用电动工具驱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