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128B1 -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rust of device in internet-on-the things environme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rust of device in internet-on-the things environme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1128B1 KR101931128B1 KR1020170011946A KR20170011946A KR101931128B1 KR 101931128 B1 KR101931128 B1 KR 101931128B1 KR 1020170011946 A KR1020170011946 A KR 1020170011946A KR 20170011946 A KR20170011946 A KR 20170011946A KR 101931128 B1 KR101931128 B1 KR 1019311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liability
- situation
- user
- experience
- tru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10801 machine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8000003066 decision tre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41000282414 Homo sapien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17 linear reg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4 evalu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11 regress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7—Certifying or maintaining trusted computer platforms, e.g. secure boots or power-downs, version controls, system software checks, secure updates or assessing vulnerabilities
- G06F21/577—Assessing vulnerabilities and evaluating computer system securit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 G06N99/005—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는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인식하는 상황 정보 인식 단계; 상기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상황적 요인들을 참조하며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상황을 분류하는 상황 정보 분류 단계; 분류된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 기질(trust disposition)을 참조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결정하는 기질적 신뢰도 결정 단계; 및 사용자의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직접 경험 및 선험적 확신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결정된 상기 기질적 신뢰도를 바탕으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최종 신뢰도를 계산하는 최종 신뢰도 계산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적응적 프로빙을 이용한 지식기반으로 SDP를 파악하고, 사람과 디바이스 간에 배경 지식 및 분석을 토대로 사용자, 서비스, 스마트 디바이스 간의 상호 작용을 보조할 수 있다.A method and apparatus are provided for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 method for evaluating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includes: a context information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context information of a situation in which a device is found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 situa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tep of referring to the situation factors constitu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and classifying the situation according to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 basic reliability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basic reliability for the device by referring to a trust disposi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classified status; And a final reliability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final reliability for the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basic reliability using at least one of a user's direct experience with the device and a degree of a priori confid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DP can be grasped by a knowledge base using adaptive probing, and assistance can be provided between a user and a service and a smart device based on background knowledge and analysis between a person and a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디바이스에 대한 직접 경험 및 선험적 확신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결정된 기질적 신뢰도를 바탕으로 디바이스에 대한 최종 신뢰도를 계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nd in particular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a device based on a determined basic reliability using at least one of direct experience with a device and a degree of a priori confidence And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alculating the same.
미래 사물 인터넷(Internet On the Things; IoT) 환경에는 여러 디바이스들이 집 또는 사무실처럼 익숙한 환경에 놓일 수 있지만 낯선 환경에 접근하는 경우가 생긴다. 새로운 환경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IoT 디바이스들이 공존하게 된다. 여러 종류의 단말기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들로 통신하게 되며 이들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서로가 어떤 종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네트워크 통신에는 각 단말이 서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알아내기 위한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service discovery protocol; SDP)이 있다. 하지만 SDP 기반의 서비스가 배포된 이후에 기존의 SDP가 업데이트 되어 새로운 서비스들의 기반 기술로 적용됨으로 인해 레거시(legacy) 서비스들과 새로운 서비스들이 호환되지 않는 문제가 존재한다. 기존 연구들이 이를 풀기 위해 런타임 어댑터를 만드는 방법을 도입하고 있지만, 새로운 프로토콜에 대한 사양(specification)이 사전에 반드시 제공되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존재한다. 따라서 새로운 SDP에 대한 사양이 없이 추론을 통해 상대방 서비스의 기반 SDP와 소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술이 연구되어 왔다.In the Internet On The Things (IoT) environment, multiple devices can be placed in familiar environments, such as the home or office, but in some cases they may approach unfamiliar environments. In a new environment, various types of IoT devices coexist. Different types of terminals communicate with different kinds of protocols,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kinds of protocols each other us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network communication, there is a service discovery protocol (SDP) for finding out what services each terminal provides to each other.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legacy services and new services are incompatible because the existing SDP is updated and applied as a base technology of new services after SDP-based services are distributed. Although existing studies have introduced methods for creating run-time adapters to solve them, there is a precondition that specifications for new protocols must be provided in advance. Therefore, a technique has been studi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DP of the other party service through inference without specification of a new SDP.
이러한 비호환성 문제와 더불어, IoT 디바이스들이 새로운 환경에서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 및 서비스를 받게 되면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노출될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 또한 사물 인터넷 환경의 중요한 문제이다. 스마트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생활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는 것은 사용자의 개인 정보로의 접근이 용이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의 신뢰도가 무엇보다도 중요해졌으며, 언제 어디서든지 낯선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들과 상호작용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낯선 디바이스들에 대한 접근성 가능성이 높아지면, 악성 사용자가 디바이스를 공격할 가능성과 일반 사용자가 악성 디바이스로부터 공격받을 위험이 커진다. 더욱이 사물 인터넷의 보편화가 진행될수록 그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is incompatibility issue, it is also an important issue in the Internet of things that IoT devices are increasingly exposed to personal information as they receive and communicate with other devices in new environments. The fact that the smart device is deeply involved in the user's life means that access to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can be facilitated.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Internet devices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and the possibility of interacting with unfamiliar objects Internet devices anytime and anywhere is also increased. As the accessibility of these unfamiliar devices increases, the likelihood of a malicious user attacking the device and the risk of an end user being attacked by a malicious device increases. Moreover, as the Internet becomes more universal, the damage can continue to increase.
예를 들면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개인 정보를 제공하면, 이러한 개인 정보가 누출되어 사생활이 침해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개인 정보의 중요성이 제고됨에 따라 이러한 위험에 대해 더욱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자의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더 나아가, 이러한 위험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사람과 디바이스 간 신뢰의 본질이 이해되어 구체적인 평가모델에 활용될 필요가 있다.For example, if personal information is provided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such personal information may be leaked and privacy may be infringed. In particular, as the importance of personal information is heightened, mor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se risks. In order to prevent or minimize such damage, a method of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a user's Internet device has been studied. Furthermore, to reduce this risk, the nature of trust between people and devices needs to be understood and applied to specific assessment models.
특히, 스마트 IoT의 보편화와 서비스 응용 서비스들의 증가에 따라 IoT와 가상세계 서비스가 연계되어 현실과 가상 세계에 작용하는 조합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다음의 이슈들을 고려해야 한다.In particular, the following issues should be considered in a situation where a combination of IoT and virtual world service is required in accordance with the universalization of smart IoT and the increase of service application services, and a combination in which reality and virtual world are required.
첫째, 사람과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신뢰도가 중요하다.First, the reliability of people and things Internet devices is important.
Nitti, M., Girau, R., 및 Atzori, L. , "Trustworthiness Management in the Social Internet of Things," IEEE Transactions on Knowledge and Data Engineering, vol. 26, no. 5, 2014 (이하, Nitti)는 디바이스간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사물 인터넷 망을 통한 디바이스들의 직간접적 상호작용 경험 및 의견의 전파와 함께 디바이스간의 관계적 특징들을 활용하는 사회적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의 신뢰도 관리법을 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사람들의 낯선 대상에 대한 초기 신뢰 형성에 영향을 주는 상황적 요인들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람이 주체가 되는 상호작용에 적용하기 힘들다. Nitti, M., Girau, R., and Atzori, L., "Trustworthiness Management in the Social Internet of Things," IEEE Transactions on Knowledge and Data Engineering, vol. 26, no. 5, 20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Nitti") is a device for evaluating the reliability between devic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However, since this method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situation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itial trust formation on the stranger object of the person,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interaction of the person as the subject.
둘째, 사람과 사람간의 연구 혹은 디바이스간의 연구를 사람과 디바이스간의 연구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사람과 사람간의 신뢰도 연구 혹은 디바이스간의 신뢰도 연구 분야에서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지만 그 중에서도 낯선 사람간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 현재 위치한 장소와 유사한 장소에서 만나왔던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경험과 더불어, 그러한 사람들의 목표, 관심, 특징을 대변하는 스테레오타입(stereotype)과 현재 마주한 사람과의 유사도를 활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즉, 상대방에 대한 직접경험이 부족할 경우 스테레오타입을 통한 간접적인 신뢰도 평가를 수행하며, 이때 장소의 변화에 따르는 스테레오타입의 변화를 고려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사람의 낯선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할 때 적용하기 힘든데, 그 이유는 대부분의 디바이스들은 그 역할과 목적이 미리 고정되고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유사한 역할과 목적을 갖는 유사한 유형(type) 의 디바이스들은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고 결과적으로 상황 변화와 관계없이 동일한 스테레오타입과 신뢰도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신규한 디바이스에 대해서는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기 어렵다.Second, it is not easy to apply human-to-human research or device-to-device research directly between people and devices. In order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strangers among others, in addition to the experience of interaction with people who have met at places similar to the place where they are currently located, A stereotype that represents the goal, interest, and features of a person and a method to utilize the similarity with the person who is facing the present are proposed. In other words, when the direct experience with the other party is insufficient, the indirect reliability evalu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stereotype, and the change of the stereotyp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lace is considered. However, this method is not applicable when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a person's unfamiliar device, because most devices have their roles and purposes fixed in advance and rarely chang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pply this method to a new device because similar type devices having similar roles and objectives share similar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tly can have the same stereotype and reliability regardless of the change of situation.
종래 기술에 따르면, 신뢰성과 디바이스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는데 사용된 사회성을 중심으로 신뢰도 평가를 실행하는 기술이 소개되었다. 이는 디바이스들의 관계를 사회학적 요인을 적용하여 정의하며 정의된 관계를 토대로 디바이스들의 정보를 수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신뢰성은 디바이스의 정보를 수집 할 때에 다른 디바이스들의 의견을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 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론이 가진 요인들은 디바이스들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를 토대로 상황의 변화에 따라 신뢰성 평가의 결과를 변화시키기에 부족하다. 따라서, 신뢰성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According to the prior art, a technique has been introduced to perform reliability evaluation around reliability and sociability used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vices.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of devices is defined by applying sociological factors and collects information of devices based on the defined relationship. Reliability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evaluation of how reliable the opinions of other devices in gathering information of the device should be made. However, the factors of this methodology are insufficient to change the result of reliabilit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change of situation based on the result of interaction between devices. Therefore, another factor must be considered to accurately assess reliability.
또한, I.-R. Chen, F. Bao, 및 J. Guo, "Trust-based Service Management for Social Internet of Things Systems," IEEE Trans. Dependable Secur. Comput., vol. 5971, no. c, pp. 1-1, 2015.는 디바이스들의 사용자가 특정 그룹에 속해진 것처럼 디바이스들 또한 비슷한 관심 사항(interest)나 성능(capabilities)을 토대로 디바이스들을 분류하여 그룹 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 경험을 토대로 상대 디바이스의 무결성(honesty), 협동성(cooperativeness), 커뮤니티 관심사항(community-interest)을 직간접적으로 수집 및 평가하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신뢰도를 결정짓는 기술을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에는 상황의 변화를 고려한 요인이 없기 때문에 신뢰도 평가에의 정확성이 떨어지므로 추가적인 요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이 두 연구와 같이 SIoT를 기반으로 신뢰도 계산 방법들은 현실 세계에서 SIoT가 가정하는 소셜 네트워크(social network)에 대한 온전한 관찰가능성(full observability)을 보장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본질적으로 가진다.Also, I.-R. Chen, F. Bao, and J. Guo, " Trust-based Service Management for Social Internet of Things Systems, " IEEE Trans. Dependable Secur. Comput., Vol. 5971, no. c, pp. 1-1, 2015. describe how devices, like users belonging to a particular group of devices, can also classify devices based on similar interests or capabilities, Describe technologies that directly or indirectly collect and evaluate honesty, cooperativeness, and community-interest, and aggregate the results to determine trustworthiness. However, since there is no factor that takes into account changes in the situation, there is a need for additional factors as the accuracy of the reliability evaluation is lowered. In addition, as in these two studies, reliability computation methods based on SIoT inherently have the limitation that they can not guarantee full observability of the social network assumed by SIoT in the real world.
종래 기술에 의한 사람 간 신뢰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프로필 유사도를 사용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 방식은 사용자들 간의 프로필 교환이 필요하기 때문에 개인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낯선 사람으로부터 프로필을 제공받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테레오타입 기반의 신뢰도 평가 방법들이 제안되었는데, 스테레오타입(stereotype)이란 유사한 특징들을 공유하는 객체들로부터 그들이 공유하는 특징들을 벡터화한 것으로써 유사한 객체들을 대표하는 타입(type)의 일종이다.Methods for using profile similarity have been proposed to calculate human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prior art.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the exchange of profiles among users,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personal information is leak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receive a profile from a strange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tereo type based reliability evaluation methods have been proposed. Stereotype is a kind of type that represents similar objects by vectorizing shared features from objects sharing similar characteristics. It is a kind.
G. Huerta-Canepa, S. Han, D. Lee, 및 B. Kim, "A place-aware stereotypical trust supporting scheme," Proc. - 12th IEEE Int. Conf. Trust. Secur. Priv. Comput. Commun. Trust. 2013, pp. 821-828, 2013.는 상대방의 신뢰도를 그와 동일한 스테레오타입을 지닌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경험에 근거하여 평가하는 기술을 소개한다. 하지만 이는 낯선 대상과의 상호작용이 이뤄지는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같은 스테레오타입을 갖는 사람들은 항상 동일하게 행동한다고 가정하기에, 같은 스테레오타입을 갖는 사람들은 항상 동일한 신뢰도를 가지게 된다. 제안하는 방법은 사람과 디바이스가 속해있는 상황적 특성 중 장소성과 디바이스의 기질적 특성을 이용하여 신뢰성 평가의 정확성을 높이는데 주력한다. G. Huerta-Canepa, S. Han, D. Lee, and B. Kim, "A place-aware stereotypical trust supporting scheme," Proc. - 12th IEEE Int. Conf. Trust. Secur. Priv. Comput. Commun. Trust. 2013, pp. 821-828, 2013. introduces a technique for evaluating the credibility of an opponent based on their interaction experience with those who have the same stereotype. However, this assumes that people with the same stereotype will always behave the same, without considering the interaction with an unfamiliar object, so that people with the same stereotype always have the same confidence. The proposed method focuses on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reliability evaluatio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and the device among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to which the person and the device belong.
또한, C. Burnett, T. Norman, 및 K. Sycara, "Bootstrapping trust evaluations through stereotypes," Proc. 9th Int. Conf. Auton. Agents Multiagent Syst., vol. 1, p. 8, 2010. 에서는 기존의 스테레오타입에 장소성을 도입하여 신뢰도 역시 그에 따라 변화되도록 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사람의 경우 상황에 따라 스테레오타입이 가변적인 반면, 디바이스는 스테레오 타입이 사람의 경우와 달리 두드러진 차이를 보일 만큼 가변적이지 않다. 이는 같은 유형의 디바이스들이 동일한 특징을 가지기에 스테레오타입과 신뢰도가 유사하게 평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기존의 스테레오타입에 장소성을 도입했다는 면에서 장점을 가지지만, 사람과 디바이스간의 신뢰성 평가에 있어서 상황변화에 따른 가변적인 결과를 도출해내지 못한 점에서 한계를 가진다.C. Burnett, T. Norman, and K. Sycara, " Bootstrapping trust evaluations through stereotypes, " Proc. 9th Int. Conf. Auton. Agents Multiagent Syst., Vol. 1, p. 8, 2010.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ology that introduces placeability to existing stereotypes and changes its reliability accordingly. In the case of humans, the stereotype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situation, whereas the device is not so varied as to show a striking difference from stereotypes. This is because stereotypes and reliability can be similarly evaluated because the same type of devices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lthough these techniques have advantages in introducing placeability to existing stereotypes, they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an not yield variable results depending on the situation change in the reliability evaluation between a person and a device.
이와 같이, 기존의 사람과 사람간의 신뢰도 평가 연구들에서는 사람이란 개개인의 다양성이 강조되어서 개개인의 다양성이 존중되는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면 사람과 디바이스간의 신뢰도 평가에 있어서는 디바이스들 간의 공통적인 요소를 적절히 조화시키는 반면 동일한 디바이스라 할지라도 상황에 맞게 어떠한 요소들이 신뢰도 평가시 다르게 표현되어야 하며 각각의 요소들이 얼마만큼의 비중을 가지고 조화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이에 따라 신뢰도 평가 과정에서 상황에 맞게 신뢰도가 평가되는 기법이 요구된다.In this way, in existing reliability studies of people and people, when the diversity of individual is emphasized and studies in which individual diversity is respected are main, in evaluating reliability between human and device, While harmonizing the same devic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what elements are to be expressed differently in the reliability evaluation and how much of each element is harmonized with the situation. Therefore, a technique is requir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 in the reliability evaluation process.
그러므로, 사용자가 주변에 존재하는 이질적 IoT 서비스들을 발견하고 이들과의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식기반 디바이스간 신뢰도를 평가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knowledge-based device reliability evaluation technique that enables a user to discover heterogeneous < RTI ID = 0.0 > IoT services < / RTI >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응적 프로빙을 이용한 지식기반의 SDP 파악 기술, 그리고 사람과 디바이스간에 신뢰성 대한 배경지식 및 분석을 토대로 사용자, 서비스, 스마트 디바이스 간의 상호작용을 보조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ique for assisting interaction between a user, a service, and a smart device based on knowledge-based SDP identification technology using adaptive probing and background knowledge and analysis of reliability between a person and a devi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바이스들의 관계에 사회적 요인을 적용하여 분류하고 형성된 그룹 내에서 직간접적 경험과 의견을 통하여 신뢰도를 평가한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chnology for classifying social factors into relations of devices and evaluating reliability throug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and opinions in formed groups.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는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인식하는 상황 정보 인식 단계; 상기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상황적 요인들을 참조하며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상황을 분류하는 상황 정보 분류 단계; 분류된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 기질(trust disposition)을 참조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결정하는 기질적 신뢰도 결정 단계; 및 사용자의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직접 경험 및 선험적 확신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결정된 상기 기질적 신뢰도를 바탕으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최종 신뢰도를 계산하는 최종 신뢰도 계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상황 정보 인식 단계는, 상기 사물 인터넷 환경에 포함되는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황 정보 분류 단계는, M5 모델 트리 학습 알고리즘(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으로부터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적 요인들을 상기 결정 트리에 적용하여 상기 상황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정 트리는,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과 상기 상황적 요인들을 사용하여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질적 신뢰도 결정 단계는, ST(swift trust) 기법을 활용하여, 분류된 상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뢰 기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트리에 따라 분류된 상기 상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뢰 기질을 참조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최종 신뢰도 계산 단계는, SL(subjective logic)을 활용하여 에 따라 상기 최종 신뢰도를 계산하되, x는 평가자를 나타내고, y는 평가 대상을 나타내며, P(W x y )는 x의 y가 긍정적으로 행동할 것이라는 x의 확신 정도를 나타내는 확률값이고, r x y , u x y , v x y , a x y 는 각각 x의 y에 대한 긍정적 경험, 불확실성, 개인적 경험, 및 스테레오 타입에 의한 확신 정도를 각각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u x y 및 a x y 는 및 로 각각 표현되고, s x y 는 x의 y에 대한 부정적 상호작용 경험의 횟수를 의미하며, ρ는 다른 사용자를 나타내고, t y ρ 는 y에 대한 신뢰도이며, c ρ 는 상기 t y ρ 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evaluating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 method for evaluating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Internet environment for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xt information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context information about a situation in which a device is found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 situa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tep of referring to the situation factors constitu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and classifying the situation according to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 basic reliability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basic reliability for the device by referring to a trust disposi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classified status; And a final reliability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final reliability for the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basic reliability using at least one of a direct experience and a degree of a priori confidenc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evice. In particular, the status information recognition step may include recognizing the status information using a sensor included in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The context information classification step may include generating a decision tree from the interaction experience of the user using an 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 and adding the contextual factors to the decision tree Wherein the decision tree is learned using the interaction experience of the user and the contextual factors. In addition, the step of determining the basic reliability may include: forming a confidence matrix of the user based on the interaction experienc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classified situation using a ST (swift trust) technique; And determining a basic reliability for the device by referring to the trust substrate of the user for the situ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cision tree. The final reliability calculation step may be performed using SL (subjective logic) , Where x represents an evaluator, y represents an evaluation object, P ( W x y ) is a probability value representing the degree of assurance of x that y of x will act positively, and r x y , u x y , v x y , and a x y each include a step of representing positive experience, uncertainty, personal experience, and degree of assurance by stereotype for x of y, respectively. Preferably, u x y and a x y are And , S x y represents the number of negative interaction experiences of y for x, ρ represents another user, t y ρ is the confidence for y, and c ρ is the confidence level for t y ρ And represents the reliability of the user.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면은,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장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는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인식하는 상황 정보 인식부; 상기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상황적 요인들을 참조하며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상황을 분류하는 상황 정보 분류부; 분류된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 기질(trust disposition)을 참조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결정하는 기질적 신뢰도 결정부; 및 사용자의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직접 경험 및 선험적 확신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결정된 상기 기질적 신뢰도를 바탕으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최종 신뢰도를 계산하는 최종 신뢰도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황 정보 인식부는,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evaluating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n apparatus for evaluating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includes a situ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situation information on a situation in which a device is found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 situation information classifying unit for classifying the situation according to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with reference to situation factors constitu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A reliability determining unit for determining a reliability of the device by referring to a trust disposition of the user for the classified situation; And a final reliability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final reliability for the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basic reliability using at least one of a direct experience and a degree of a priori confidenc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device. In addition,
상기 사물 인터넷 환경에 포함되는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황 정보 분류부는, M5 모델 트리 학습 알고리즘(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으로부터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적 요인들을 상기 결정 트리에 적용하여 상기 상황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결정 트리는,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과 상기 상황적 요인들을 사용하여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질적 신뢰도 결정부는, ST(swift trust) 기법을 활용하여, 분류된 상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뢰 기질을 형성하고, 상기 결정 트리에 따라 분류된 상기 상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뢰 기질을 참조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최종 신뢰도 계산부는, SL(subjective logic)을 활용하여 에 따라 상기 최종 신뢰도를 계산하고, x는 평가자를 나타내고, y는 평가 대상을 나타내며, P(W x y )는 x의 y가 긍정적으로 행동할 것이라는 x의 확신 정도를 나타내는 확률값이고, r x y , u x y , v x y , a x y 는 각각 x의 y에 대한 긍정적 경험, 불확실성, 개인적 경험, 및 스테레오 타입에 의한 확신 정도를 각각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u x y 및 a x y 는 및 로 각각 표현되고, s x y 는 x의 y에 대한 부정적 상호작용 경험의 횟수를 의미하며, ρ는 다른 사용자를 나타내고, t y ρ 는 y에 대한 신뢰도이며, c ρ 는 상기 t y ρ 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뢰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ontext information classifier is configured to recognize the context information using a sensor included in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wherein the context information classifier classifies the context information by using an 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 Generating a decision tree, and applying the situation factors to the decision tree to classify the situation. In particular, the decision tree is learned using the interaction experience of the user and the contextual factors. In addition, the basic reliability determin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form a confidence matrix of the user based on the interaction experience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classified situation using the ST (swift trust) technique, Wherein the final reliability calculation unit determines the basic reliability for the device by referring to the user's trust substrate with respect to the situation, ( W x y ) is a probability value indicating the degree of assurance of x that y of x will act positively, and r x y ( y x y) , u x y , v x y , and a x y are each a positive experience, uncertainty, personal experience, and confidence level of stereotypes for y of x, respectively. Further, u x y and a x y are And , S x y represents the number of negative interaction experiences of y for x, ρ represents another user, t y ρ is the confidence for y, and c ρ is the confidence level for t y ρ And represents the reliability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명령들로 이루어진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A method for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program comprising instructions executed by a processor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본 발명에 의하여, 적응적 프로빙을 이용한 지식기반으로 SDP를 파악하고, 사람과 디바이스간에 배경 지식 및 분석을 토대로 사용자, 서비스, 스마트 디바이스 간의 상호 작용을 보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DP with the knowledge base using adaptive probing, and to assis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 the service and the smart device based on background knowledge and analysis between the person and th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도를 디바이스들의 관계에 사회적 요인을 적용하여 분류하고 형성된 그룹 내에서 직간접적 경험과 의견을 통하여 계산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iability of a device can be classified by applying social factors to the relationship of devices, and can be calculated throug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and opinion within a formed group.
도 1 은 본 발명이 구현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 는 특정 디바이스의 이력 레코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는 M5 모델 트리 학습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된 상황들을 분류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 은 신뢰도 값을 추정하기 위한 선형 회귀분석 모델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et environment of objec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for evaluating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Internet environment of obj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valuating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istory record of a specific device.
FIG. 5 shows an example of classifying learned situations according to the 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
6 shows an example of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model for estimating the reliability value.
FIG.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evaluating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members.
도 1 은 본 발명이 구현되는 사물 인터넷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et environment of objec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도 1 을 참조하면, 의료 시스템, 교육 시스템, 교통 시스템, 물류 시스템, 여가 시스템, 및 다양한 제어 시스템들이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서로 통합되어 상호작용함을 알 수 있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의 생산자/소비자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는 가전, 센서등 우리 주변의 사물까지도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사물 주변의 환경 정보, 사물 자체의 정보도 공유될 수 있다. 즉, IoT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는 향후 급속히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되고 있다. IoT를 통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통신, 상호작용, 정보공유가 가능해지면, 사물 스스로 판단하는 지능형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기업은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물 인터넷 환경이 도래하면 사물과 사물 간의 통신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IoT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의 일종인 스마트폰을 통해 센서, 가전 기기 등 IoT를 지원하는 디바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거나, 접속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검색해야 할 뿐 아니라, 검색된 사물에 접근하기 위한 인증 및 접속 IP(Internet Protocol) 등의 정보를 쉽게 얻을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IoT의 진전은 스마트홈, 스마트가전, 스마트카, 스마트그리드, 헬스케어,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가능하게 했다.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medical system, the education system, the transportation system, the logistics system, the leisure system, and various control systems are integrated and interacted with each other in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The Internet has been used as a place where human beings can share information with producers / consumers of information. In the Internet of things, even things around us, such as household appliances and sensors, are connected to the network, Can be shared. In other words, devices supporting IoT are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in the future. When IoT enables communication, interaction, and information sharing between people and people, people and objects, and objects and objects, it becomes possible to provide intelligent services for judging things on their own, and companies can reduce costs effectively. Things are expected to be diverse with the arrival of the Internet environment between objects and objects. IoT-enabled devices, such as sensors and home appliances, can be connected to devices supporting IoT.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etrieve information about various devices or applications that can be accessed, but also to obtain information such as authentication and access IP (Internet Protocol) for accessing the retrieved objects. Therefore, the progress of IoT has enabled new products and services in various fields such as smart home, smart home appliance, smart car, smart grid, health care, wearable appliance.
도 2 는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의 동작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ethod for evaluating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Internet environment of objec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를 참조하면,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계산하기 위해서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가 유용하게 사용된다.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는 상황에 기반한 유사한 선행 경험들을 저장함으로써, 현재의 상황 정보가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게 한다.Referring to FIG. 2, an interaction database is usefully used to calculate the reliability of a device. The interaction database stores similar prior experiences based on the situation so that current situation information can be easily identified.
특정 상황에 대한 유사한 선행 경험은 이러한 경험에 기반한 개인적인 신뢰도를 계산하는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개인적인 신뢰도를 신뢰 기질(trust disposition)이라고 명명하며, 본 명세서의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후술되나. 그러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하여 반복적인 설명이 생략된다.Similar prior experience with specific situations can also be used to calculate personal confidence based on this experience. Personal trust is referred to herein as trust disposition and is described in greater detail below in the relevant portions of this specification. Therefore, repetitive descriptions ar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fication of the specification.
신뢰 기질에 의해 계산된 개인적 신뢰도는 비개인적 신뢰도를 계산하는 것과 최종 신뢰도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다시 사용된다. 최종 신뢰도를 계산하는 과정은 본 명세서의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후술된다. 그러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하여 반복적인 설명이 생략된다.The individual reliability calculated by the trustworthiness is used again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non-personal reliability and in deriving the final reliability.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final reliabilit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in this section of the specification. Therefore, repetitive descriptions are omitted for the sake of simplification of the specification.
이와 같이 계산된 최종 신뢰도를 바탕으로 사용자는 신규한 디바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상호작용을 수행할 것으로 결정할 경우, 사용자는 상호작용을 수행한 결과와 유사한 경험을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에 갱신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황 정보를 분류하고 식별하기 위해서는 머신 러닝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알고리즘은 명세서의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되므로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하여 반복적인 설명이 생략된다.Based on the calculated final reliability, the user decides whether to perform the interaction with the new device. When deciding to perform an interaction, the user updates the interaction database with an experience similar to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interaction. Machine learning algorithms may be used herein to classify and identify contextual information, and such algorithms are described in greater detail in the relevant portions of the specification, and thus repetitive descriptions are omitted for the sake of brevity.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method for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a device in the Internet environment of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 은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evaluating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는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인식해야 한다(S310). 상황 정보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 포함되는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된 다양한 센서 정보를 조합하여 인식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각종 센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무선 혹은 유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센서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용도에 따라 전원없이 사용하는 간단한 것(Passive RFID)으로 부터, 다수의 코어를 장착한 강력한 CPU(예, 쿼드코어)까지 다양한 다양하다. 따라서 이러한 센서들을 스마트 센서 또는 IoT 콘트롤러(controller)라고 부르기도 한다.First,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device is found in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S310). The situation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by combining various sensor information measured using the sensors included in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Objects Because the various sensors used in the Internet have a microprocessor, data can be transmitted wirelessly or wired. The microprocessor embedded in the sensor may be various from a simple passive RFID without a power source to a powerful CPU with a large number of cores (for example, a quad core). Therefore, these sensors are also called smart sensors or IoT controllers.
그런데, 스마트 센서가 전송하는 데이터는 암호화 되어 있지 않은 평문으로, 외부에서 상기 데이터의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무단 변조도 가능하다. 따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처리하는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내에 스니핑이나, 스푸핑 기능이 있는 악성 코드가 침투할 수 있어, 비록 상기 센서 단말기에서 암호화되어 입력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라도, 상기 게이트웨이 내에서 직접 복호화 키를 가지고 복호화 하는 것은 상기 복호화 키가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스마트 센서와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사이에 데이터의 안전한 통신(내용 유출 또는 변조가 불가능한)을 제공하고,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내에서도 안전하게 데이터를 해독하는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data transmitted by the smart sensor is a plain text that is not encrypted, and the contents of the data can be grasped easily from the outside. Therefore, stepless modulation is possible. Therefore, the malicious code having the sniffing function and the spoofing function can penetrate into the network gateway for collecting and processing the data, so that even if there is data to be encrypted and input in the sensor terminal, Decryption may not be secure because the decryption key may be expo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cure communication (content leakage or modulation is impossible) between the smart sensor and the network gateway in the Internet environment of objects, and a technique of safely decrypting data in the network gateway can be applied.
상황 정보가 인식되면,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상황적 요인들을 참조하며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따라 상황을 분류한다(S330). 이와 같이 상황을 분류하는 이유는 계산된 신뢰도의 품질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이다.When the situ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the situ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chine learning algorithm by referring to the situation factors constitu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S330). The reason for classifying the situation in this way is to maximize the quality of the calculated reliability.
다양한 사회심리학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과거 상호작용 '경험'과 그 결과를 기반으로 각 상황에 대한 자신들만의 '신뢰 기질(disposition)'을 형성해 나가며 주어진 새로운 '상황'을 '분류(categorize)'하고, 그렇게 분류한 상황과 기질을 바탕으로 처음 만나는 상대의 신뢰 여부를 결정한다. 그 이유는, 사람들이 특정 상황에서 만난 상대와의 상호작용 결과를 과거의 유사한 상황에서 이뤄진 유사한 사람과의 상호작용 경험에 근거하여 예측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임의의 은행에서 처음 만난 은행원이 특정 거래를 위해 특정 개인 정보를 요청할 경우, 과거에 다른 은행에서 다른 은행원에게 유사한 개인 정보를 제공하여 성공적으로 거래를 마친 경험이 있다면, 거래자는 기꺼이 그 개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하지만 개인 정보를 요청한 사람이 은행원이 아니거나 요청받은 장소가 은행이 아니라면 일반적인 경우 그 개인 정보를 선뜻 제공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처럼 사람들은 상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할 때 경험기반 상황 분류를 통해 상호작용 결과의 불확실성을 낮추고 신뢰 여부를 결정지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경험기반 상황 분류는 사람이 느끼는 주어진 상황의 '친숙도'와 '안정도'에 영향을 주어 초기 신뢰 형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results of various social psychology studies, people form their own 'disposition' of each situation based on past interaction 'experience' and the results, and categorize the given new 'situation' ,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trust the first person to meet based on such classified situation and temperamen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people predict the outcome of interaction with an opponent in a particular situation based on the experience of interaction with a similar person in a similar situation in the past. For example, if a banker who first met at an arbitrary bank requests specific personal information for a particular transaction, and if the other bank has previously provided similar personal information to another banker and successfully completed the transaction, the trader is willing to We will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if the person who requested personal information is not a banker, or if the requested place is not a bank, it will not provide the personal information in general. In this way, people can lower the uncertainty of the interaction result and determine the trust through experience-based contextualization when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partner. In addition, experience - based situational classification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formation of initial trust by influencing the 'familiarity' and 'stability' of a given situation.
상황 정보를 분류하기 위하여, M5 모델 트리 학습 알고리즘(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을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면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으로부터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생성하고, 상황적 요인들을 결정 트리에 적용하여 상황을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M5 모델 트리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Quinlan, J., "Learning with continuous classes," In Proceedings of the 5th Australian Joint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pp. 343-348, 1992.에 기술되어 있는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To classify contextual information, the 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 can be used. Using this learning algorithm, a decision tree can be created from the user 's interaction experience and the situation can be classified by applying the contextual factors to the decision tree. This 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 is described in, for example, Quinlan, J., " Learning with continuous classes, " In Proceedings of the 5th Australian Joint Conference on Artificial Intelligence, pp. 343-348, 1992. < Desc /
이 때, 상황에 따른 경험을 추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현재의 상황의 특성이 획득되면, 사용자의 해당 상황에 대한 경험을 추적하여 유지된 상호작용 이력을 룩업하고, 그 타입이 타겟 디바이스의 타입과 동일한 디바이스의 이력 레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extract experien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at is,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situation are acquired, the experience of the user's corresponding situation can be tracked to look up the maintained interaction history, and the history record of the device whose type is the same as the type of the target device can be extracted.
도 4 는 특정 디바이스의 이력 레코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istory record of a specific device.
도 4 을 참조하면, 각각의 이력 레코드는 4 개의 열로 구성되며 각각은 상황 특성 벡터, 긍정적 경험의 횟수, 부정적인 경험의 횟수, 및 신뢰값이다. 이력에 포함되는 상황 특성 벡터의 구성과 원소는 표 1 에 기술된 현재의 상황 특성 벡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상황에 따른 경험적 실례들은 신뢰성이 있는 서버에 저장되고 그로부터 로딩된다.Referring to FIG. 4, each history record consists of four columns, each of which is a context feature vector, a number of positive experiences, a number of negative experiences, and a confidence value. The constituent elements and elements of the context characteristic vector included in the history are the same as the current context characteristic vector described in Table 1. Experimental examples based on this situation are stored in a trusted server and loaded from there.
표 1 은 디바이스의 타입(Device Type), 기능(Device Role), 및 장소 타입(Place Type)을 예시하는 표이다. 디바이스의 타입(Device Type)은 제조사(Manufacturer)와 모델명(Model Name)의 필드로 이루어지고, 디바이스 기능(Device Role)은 작업(Task) 필드를 포함한다. 또한, 장소 타입(Place Type)은 분류(Category), 주된 기능(Main Function), 부가적 기능(Sub-Function), 및 프라이버시 레벨(Privacy Level)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주된 기능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냐(Service) 또는 레저용이냐(Leisure)로 나뉘어질 수 있고, 분류는 사무실(Office), 공원(Park), 및 병원(Hospital)과 같은 필드로 나뉘어질 수 있다.Table 1 is a table illustrating the device type, the device role, and the place type. A device type includes a field of a manufacturer and a model name, and a device role includes a task field. In addition, the Place Type includes a Category, a Main Function, a Sub-Function, and a Privacy Level. For example, the main function may be divided into Service or Leisure, and the classification may include fields such as Office, Park, and Hospital. Can be divided.
도 4 을 다시 참조하면, 해당 장치의 디바이스 타입 레코드(Device Type)를 살펴보면 디바이스의 종류는 에어컨이고, 삼성전자 제품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호작용 이력(Interaction History)을 살펴보면, 긍정적인 경험의 횟수(#PosInt), 부정적인 경험의 횟수(#NegInt), 및 신뢰도값(TrustVal)의 예를 알 수 있다. 이러한 레코드들은 상황 특성 벡터(Situational characteristic vector)로서 계속하여 기록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황 특성 벡터는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고 갱신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4, if a device type record of the device is examined, it is known that the type of the device is an air conditioner and a Samsung Electronics product. In addition, an example of the interaction history (Interaction History) can be seen as the number of positive experiences (#PosInt), the number of negative experiences (#NegInt), and the reliability value (TrustVal). These records are continuously recorded as a Situational characteristic vector. As described above, the context characteristic vector can be recorded and updated in the interaction database.
M5 모델 트리 학습 알고리즘에 따르면, 결정 트리는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과 상황적 요인들을 사용하여 학습될 수 있다. M5 모델 트리 학습 알고리즘은 주어진 학습 데이터세트(dataset) 을 이용해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생성하는데, 간단한 형태의 데이터세트를 빠르고 직관적으로 분류한다. 생성된 결정 트리의 각 중간 노드는 특정 요소의 값을 통한 분기를 나타내며, 각 잎(leaf) 노드는 특정 선형 모델(linear model) 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의 결과들과 그 경험들이 발생했을 때의 주요 상황적 요인들을 사용하여 M5 모델을 학습시킨다. 그리고 임의의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도 평가가 필요할 때, 주어진 상황적 요인들을 학습된 M5 모델에 입력함으로써 해당 상황을 분류하고 그 상황에 따르는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구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 decision trees can be learned using user interaction experience and contextual factors. The 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 uses a given learning data set (dataset) to generate a decision tree, which quickly and intuitively classifies simple data sets. Each intermediate node of the generated decision tree represents a branch through a value of a specific element, and each leaf node represents a specific linear mode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5 model is learned using the results of the user's interaction experience and the main contextual factors when the experiences occur. When reliability evaluation is required for any device, the situation is classified by inputting the given contextual factors into the learned M5 model, and the reliability of the user's devi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is obtained.
도 5 는 M5 모델 트리 학습 알고리즘에 따라 학습된 상황들을 분류한 일 예를 나타낸다.FIG. 5 shows an example of classifying learned situations according to the 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
도 5 을 참조하면, 우선 상황 특성 벡터의 레코드 중 서비스 레코드와 퍼블릭 레코드가 각각 프라이버시 레벨과 주된 기능으로 분류되어 트리로 구성된다. 즉, 모델 트리는 프라이버시 레벨 노드가 주된 기능으로 분주되며, 주된 기능(Main Function) 노드는 부가적 기능(Sub-function), 선형 모델 1(Linear Model 1), 선형 모델 4(Linear Model 4), 선형 모델 5(Linear Model 5)로 분주된다. 또한, 부가적 기능 노드는 선형 모델 2(Linear Model 2)와 선형 모델 3((Linear Model 3)으로 분주된다. 이러한 각각의 노드에 상황 특성 벡터의 레코드가 적용되어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Referring to FIG. 5, a service record and a public record in a record of a status characteristic vector are classified into a privacy level and a main function, respectively, and configured as a tree. That is, the model tree is divided into the main function node with the privacy level node, and the main function node includes the sub-function, the
예를 들어, 프라이버시 레벨이 공적(public)인 경우 왼쪽 브랜치를 따라 진행하게 되고, 반-개인적(Semi-Private)인 정보일 경우 오른쪽 브랜치를 따라 진행하게 된다. 또한, 주된 기능이 레저인 경우 오른쪽 브랜치로 진행하여 부가적 기능 노드로 진행하게 된다.For example, if the privacy level is public, it proceeds along the left branch, and if the privacy level is semi-private, it proceeds along the right branch. Also, if the main function is leisure, proceed to the right branch and proceed to the additional functional node.
도 4 에 도시된 결정 트리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공된 것일 뿐이며, 상황 특성 벡터가 상이해지면 다른 결정 트리가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도 4 의 결정 트리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이 명백하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ecision tree shown in FIG. 4 is provided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at a different decision tree can be constructed when the situation characteristic vector is different. Therefore, it is apparent that the decision tree of FIG. 4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이 상황 정보가 분류되면, 분류된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 기질을 참조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결정한다(S350). 사용자 입장에서의 낯선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려면, 먼저 사람과 디바이스 간의 초기 신뢰형성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주고 경험의 누적이 신뢰도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 이해해야 한다. 이때 사람 간의 신뢰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사람이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를 형성할 때도 그 영향력을 유지한다고 가정한다면, 사람간의 신뢰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연구들은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도 평가에 있어서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신뢰 형성에 영항을 주면서 동시에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도 평가에도 적용할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해야 한다.If the context information is classified as described above,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is determined by referring to the user's trustworthiness of the classified situation (S350).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an unfamiliar device for a user, one must first understand what factors influence the initial trust formation between the person and the device and how the cumulative experience changes the reliability. Assuming that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trust between people maintain their influence even when they form trust in the device, social psychological studies on trust between people are the starting point in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devices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factor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reliability evaluation of the device while giving an influence to the initial reliability formation.
예를 들어, 상황의 분류에 있어 가장 중요하고 중심적인 요인으로 상호작용이 발생한 '장소'를 꼽을 수 있다. 유사한 '집단'에 '소속'된 사람들은 유사한 특징을 보일 뿐만 아니라, 소속 집단의 평판과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주어진 규범에 따라 행동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본인의 장소를 통해 관련 집단을 의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장소인식은 관련 소속 인물들의 특징을 예측하고 일반화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면, 상황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안정감을 주어 초기 신뢰형성을 도울 수 있다. 즉, 상호작용 당사자들이 같은 집단에 소속되거나 매우 긴밀하게 연관되어있을 경우 더욱 빠르게 신뢰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most important and central factor in the classification of situations is the 'place' where the interaction occurred. People who belong to similar "groups" do not only show similar characteristics but also behave according to the given norms to protect the reputation and interests of their group. However, since people often become aware of related groups through their own places, location awareness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predicting and genera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related persons. This can reduce uncertainty in the situation and give a sense of stability to help form the initial confidence. That is, if the interacting parties belong to the same group or are very closely related, they can form a trust relationship more quickly.
이와 유사하게, 대부분의 디바이스들은 특정 단체에 귀속되므로, 유사한 장소의 디바이스들은 소속 단체의 목표와 규범에 따라 유사한 특징을 보일 것이다. 예를 들어, 은행의 디바이스들은 은행의 특수성과 그로 인한 유지보수 규정에 의해 높은 신뢰성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지만, 카페의 디바이스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낯선 디바이스의 신뢰도 평가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와 과거에 들렸던 장소와의 유사성 및 관련 경험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Similarly, since most devices belong to a particular organization, devices in a similar location will exhibit simila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goals and norms of their organization. For example, banks' devices are likely to maintain high reliability due to bank specificity and maintenance regulations, but café devices can have relatively low reliability. Therefore, in order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an unfamiliar devi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imilarities and related experiences between the place where the user is located and the place where he / she has heard in the past.
장소의 인지는 낯선 사람의 신뢰도를 평가할 때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주요 요인인 상대방의 '역할'인지에도 도움을 준다. 장소의 인지는 관련 단체가 무엇이고 어떤 성격을 가지는지 알 수 있게 하며, 이 두 가지를 인지함으로써 해당 장소에 업으로 관련된 사람의 목적과 임무를 유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대방의 역할을 알고 있으면 유사한 역할을 가졌던 사람과의 상호작용 경험을 바탕으로 상대방의 행동을 이해할 수 있으며 이어질 행동들을 미리 예측하고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전문성이 인식되어 상대방에 대한 믿음을 높여줄 수 있다.The perception of a place also helps to know whether it is the other 's role, which is another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 reliability of a stranger. The recognition of the place allows us to know what the related organization is and what kind of person it is, and by recognizing these two things, we can deduce the purpose and the mission of the people involved in the business in the place. If you know the role of the other person, you can understand the other person's behavior based on their interaction with the person who has a similar rol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anticipate and cope with the actions to be followed, You can give.
이와 같이, 상황 정보는 상호작용 당사자들로 하여금 주어진 상황이 친근하다고 느끼게 하여 상호작용에 안정성을 부여하고 신뢰 관계의 빠른 형성을 이끌어 주는 요인이 된다.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디바이스들은 특정 '목적'과 '용도'를 위해 제작되고 필요한 장소에 적절하게 설치되므로, 장소의 인지는 디바이스의 역할인지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디바이스 역할의 인지는 과거 유사한 역할을 가진 디바이스들과의 상호작용 경험을 토대로 해당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Thus, contextual information makes interacting parties feel friendly to a given situation, thereby providing stability to the interaction and leading to rapid formation of trust relationships. Likewise, most devices are built for specific 'purposes' and 'uses' and are properly installed where they are needed, so location awareness helps the device to be a role. And the recognition of the role of the device can be helpful in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based on its experience of interaction with devices having similar roles in the past.
본 발명에서는, ST(Swift Trust) 개념을 활용하여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 ST 개념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Meyerson, D., Weick, K., 및 Kramer, R., "Swift Trust and Temporary Groups," Trust in organizations: Frontiers of theory and research, pp. 166-196, 1996.을 참조한다. ST 개념에서는 서로 간에 정보가 부족한 사람들이 임의의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모였을 때, 상호 협력을 위한 신뢰관계 형성 과정에 어떠한 상황적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설명한다. ST 개념에 따르면 사람 간의 초기 신뢰도는 스테레오타입과 평판(reputation) 등 비개인적인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이후 직접적인 상호작용 경험이 누적되어 감에 따라 각 상황에 대한 자신들만의 '신뢰 기질'을 형성해 나간다. 이후 낯선 사람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할 때, 특징할만한 상황적 요인들을 기반으로 주어진 상황을 분류하고, 그 상황에 해당하는 자신의 신뢰 기질에 따라 상대에 대한 신뢰도를 결정하며, 이를 바탕으로 상대와의 상호작용 여부를 결정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reliability can be evaluated using the ST (Swift Trust) concept. For more information on ST concepts, see Meyerson, D., Weick, K., and Kramer, R., "Swift Trust and Temporary Groups," Trust in organizations: Frontiers of theory and research, pp. 166-196, 1996. < / RTI > The ST concept explains what situational factors influence the process of building trust for mutual cooperation when people lacking information are gathered to achieve a certain task. According to the ST concept, initial reliability among people is determined by non-personal factors such as stereotypes and reputations. As the experience of direct interaction accumulates, they form their own 'trustworthiness' for each situa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a stranger, we classify a given situation based on distinctive situational factors, determine the trustworthiness of the opponent according to his or her trustworthiness of the situation, And determines whether it works.
도 6 은 신뢰도 값을 추정하기 위한 선형 회귀분석 모델의 일 예를 나타낸다.6 shows an example of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model for estimating the reliability value.
도 6 을 참조하면, 선형 모델의 각각의 레코드 값에 따라서 기존 결과값에 상이한 값을 가산하거나 감산함으로써 새로운 결과값이 얻어진다. 전술된 바와 같이, 도 6 에 도시된 회귀분석 모델은 신뢰도값을 추정하기 위한 일 예로서 제공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Referring to FIG. 6, a new result value is obtained by adding or subtracting a different value to an existing result value according to each record value of the linear model. As described above, the regression analysis model shown in Fig. 6 is only provided as an example for estimating the reliability value, and thu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표 2 는 사람 간의 신뢰도 형성에 영향을 주며, 사람의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도 평가에도 적용 가능한 요인들을 정리한 것이다.Table 2 summarizes the factors that can be applied to the reliability evaluation of human devices, affecting the formation of human trust.
전술된 바와 같이, 사람들의 신뢰도를 형성하는 데에는 디바이스의 목적/용도, 관리 단체, 제조사, 장소, 장소 유형 등이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표 2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from Table 2 that the purpose / use of the device, the management organization, the maker, the place, the place type, etc. may influence the formation of people's trustworthiness.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황적 요소들을 활용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주어진 상황을 주요 상황 요인들에 따라 분류하고, 사용자의 과거 경험을 토대로 주어진 상황에서 만난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계산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is evaluated using the contextual factors.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is used to classify a given situation according to major situation factors, and to calculate a physical reliability for a device encountered in a given situation based on a user's past experience.
이와 같이, 기질적 신뢰도가 계산되면, 사용자의 디바이스에 대한 직접 경험 및 선험적 확신 정도를 사용하여, 기질적 신뢰도를 바탕으로 디바이스에 대한 최종 신뢰도를 계산한다(S370). 기질적 신뢰도를 토대로 최종적인 신뢰도를 계산하기 위해 SL(Subjective Logic)이 사용될 수 있다. SL 기법은 특정 대상에 대한 경험에 근거하여 그 대상이 긍정적인 결과를 낼 것이라는 확신(belief calculus)의 정도를 수학적으로 모델링 한 것이다. SL을 이용하면 임의의 주체가 주어진 명제에 대해, 경험에 근거한 확신(belief), 불확실성(uncertainty)의 정도를 수치화하여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다. SL 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Josang, A., "Artificial reasoning with subjective logic," In Proceedings of the 29th Australian Computer Society, Inc., pp. 85-94, 2006.을 참조한다.As such, when the basic reliability is calculated, the final reliability of the device is calculated based on the basic reliability using the direct experience and a priori confidence level of the user's device (S370). SL (Subjective Logic) can be used to calculate the final reliability based on the underlying reliability. The SL technique mathematically models the degree of belief calculus that the subject will have a positive outcome based on experience with a particular subject. SL allows an arbitrary subject to express his opinion by quantifying the degree of belief and uncertainty based on experience for a given proposition. For details of the SL technique, see Josang, A., "Artificial reasoning with subjective logic," In Proceedings of the 29th Australian Computer Society, Inc., pp. 85-94, 2006. < / RTI >
이러한 SL 기법을 통해 특정 디바이스에 대한 직접 경험에 근거하여 해당 디바이스가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행동할 것이라는 확신의 정도를 수치화 할 수 있고, 직접 경험이 부족할 경우에는 선험적 확신 정도(priori degrees of belief)를 토대로 확신의 정도를 수치화 할 수 있다. 여기서 선험적 확신 정도란 직접적인 경험이 없어 대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 객관적인 판단을 내리기 곤란할 때, 간접적인 정보를 활용하여 주관적인 판단을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SL 기법의 특징은 사람의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도 평가에서 객관적 판단과 주관적 판단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직관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SL에 대한 수식은 다음 수학식 1 과 같다.This SL technique can be used to quantify the degree of certainty that a given device will behave positively or negatively based on direct experience with a particular device, and if the experience is lacking, based on priori degrees of belief The degree of conviction can be quantified. A priori confidence level means that subjective judgment is made using indirect information when it is difficult to make an objective judgment because there is no direct experience and uncertainty is high.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L technique can be used as an intuitive method that can express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judgment in the reliability evaluation of human devices. The formula for SL is shown in
수학식 1에서, x는 평가자를 나타내고, y는 평가 대상을 나타낸다. 또한, P(W x y )는 x의 y가 긍정적으로 행동할 것이라는 x의 확신 정도를 나타내는 확률값이고, r x y , u x y , v x y , a x y 는 각각 x의 y에 대한 긍정적 경험, 불확실성, 개인적 경험, 및 스테레오 타입에 의한 확신 정도를 각각 나타낸다.In Equation (1), x represents an evaluator and y represents an evaluation object. P ( W x y ) is a probability value indicating the degree of assurance of x that y of x will behave positively, and r x y , u x y , v x y and a x y are positive Experience, uncertainty, personal experience, and confidence level by stereotype, respectively.
u x y , a x y 는 다시 수학식 2 및 수학식 3 으로 각각 표현된다. u x y and a x y are again expressed by Equations (2) and (3), respectively.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s x y 는 x의 y에 대한 부정적 상호작용 경험의 횟수를 의미하며, ρ는 다른 사용자를 나타낸다. 또한, t y ρ 는 y에 대한 신뢰도이며, c ρ 는 상기 t y ρ 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뢰도를 나타낸다.In Equations (2) and (3), s x y denotes the number of negative interaction experiences of x with respect to y, and r denotes another user. Also, t y ρ is the reliability for y, and c ρ represents the reliability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 y ρ .
x의 y에 대한 직접경험이 전혀 없을 경우, 확신과 불확실성은 각각 0과 1이 되어 x의 y에 대한 확신은 선험적 확신에 대한 기대값과 같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선험적 확신에 대한 기대값으로 앞서 계산한 기질적 신뢰도를 적용한다. y에 대한 P(W x y )가 계산되면 x는 이를 기반으로 대상과의 상호작용 여부를 결정한다. 상호작용하기로 결정할 경우, 이는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판단되어 r x y 를 계산하는 데 더해지며, 이는 추후 다른 유사한 대상과 상호작용 여부를 결정할 때 활용된다. Without any direct experience of y in x, confidence and uncertainty are 0 and 1, respectively, so that the confidence of y in x is equal to the expectation for a priori confiden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calculated reliability is applied as an expectation value for this a priori confidence. When P ( W x y ) for y is calculated, x determines whether to interact with the object based on it. If it decides to interact, it is judged to be a positive interaction and added to calculate r x y , which is then used to determine whether to interact with other similar objects in the futur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따르면, 사람과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스테레오타입을 통해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과 동일했던 과거 상황에서 어떤 유형의 디바이스와 어떤 상호작용이 있어왔는지를 고려한다. 즉, 주어진 '상황에 대한 경험'을 활용하여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속한 상황에 맞게 융통성 있게 신뢰도를 평가하여서 오탐율이 최소화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evaluating reliability of devices in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a person and object Internet device, it is not necessary to evaluate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through a stereotype, Consider what type of device has been interacting with the past in the same situation. In other words, reliability can be evaluated by using given 'experience on the situation'. Thus, the degree of false positives is minimized by allowing the user to flexibly assess the reliability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면에 의한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7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pparatus for evaluating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디바이스 신뢰도 평가 장치(700)는 사물 인터넷(710)을 통해 다양한 센서(720, 722, 724)에 연결된다. 그리고, 디바이스 신뢰도 평가 장치(700)는 상황 정보 인식부(730), 상황 정보 분류부(740), 중앙 제어부(750), 기질적 신뢰도 결정부(760), 최종 신뢰도 계산부(770), 및 상호작용 데이터베이스(790)를 포함한다.7, the device
상황 정보 인식부(730)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는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인식한다. 상황을 인식하는 이유는, 사용자 입장에서의 신규한 디바이스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려면, 먼저 사람과 디바이스 간의 초기 신뢰형성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주고 경험의 누적이 신뢰도에 어떤 변화를 주는지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은 전술된 바와 같다. 즉, 대부분의 디바이스들은 특정 목적과 용도를 위해 적절하게 설치되므로, 장소와 같은 상황 정보를 인지하면 해당 디바이스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역할이 파악되면 과거 유사한 역할을 가진 디바이스들과의 상호작용 경험을 토대로 해당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The situation
상황이 파악되면, 상황 정보 분류부(740)는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상황적 요인들을 참조하며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상황을 분류한다. 분류된 상황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정 트리를 구성할 수 있음은 전술된 바와 같다. 또한, 이와 같이 상황을 분류하기 위하여 M5 모델 트리 학습 알고리즘과 같은 머신 러닝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When the situation is recognized, the
상황이 분류되면, 기질적 신뢰도 결정부(760)는 분류된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 기질(trust disposition)을 참조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기질적 신뢰도 결정부(760)는 ST(swift trust) 기법을 활용하여, 분류된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신뢰 기질을 형성한다. 또한, 결정 트리에 따라 분류된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 기질을 참조하여,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결정할 수 있다.If the situation is classified, the quality
사용자의 신뢰 기질이 결정되면, 최종 신뢰도 계산부(770)는 사용자의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직접 경험 및 선험적 확신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결정된 기질적 신뢰도를 바탕으로 디바이스에 대한 최종 신뢰도를 계산한다. 최종 신뢰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이를 위하여 SL(Subjective Logic)과 같은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전술된 바와 같다. SL을 이용하면 임의의 주체가 주어진 명제에 대해, 경험에 근거한 확신, 불확실성의 정도를 수치화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도 6 에 예시된 회귀 모델이 적용될 수 있다.Once the trust level of the user is determined, the
도 7 에 도시된 디바이스 신뢰도 평가 장치(700)를 사용하면, 스테레오타입을 통해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상황과 동일했던 과거 상황에서 어떤 유형의 디바이스와 어떤 상호작용이 있어왔는지를 고려하여 사람과 사물 인터넷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주어진 '상황에 대한 경험'을 활용하여 신뢰도를 평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현재 속한 상황에 맞게 융통성 있게 신뢰도를 평가하여서 오탐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대상에 대한 직접적 경험이 없는 신규 디바이스를 상대로 상황 분류를 통해 신뢰도를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결정할 경우 탁월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기술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신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결정하는 데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에 대한 직접적 경험이 충분히 있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대상에 대한 직접적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직접적 경험과 스테레오타입이 모두 사용되는 반면, 직접적 경험이 없다면 스테레오타입만이 사용되는 것이 상이할 뿐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신규한 디바이스는 물론 기존의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결정하기 위해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exhibiting excellent performance when determining the reliability of a new device, since reliability can be calculated through classification of a situation against a new device that has no direct experience with the objec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us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a new device, but can be applied equally to a case in which there is sufficient direct experience with the object. Where direct experience with objects is used, both direct experience and stereotypes are used, whereas without direct experience, only stereotypes are us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an existing device as well as a new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분산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분산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any type of recording device that stores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store computer readable code that may be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by a distributed computer system connected to the network.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As used herein, the singular " include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presentat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he terms " comprises & ,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compon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The terms "part", "unit", "module", "block", and the lik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units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a combination of software.
따라서,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are only a part of the technical idea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all the variations and concrete examples that can be deduced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IoT 기반 스마트 홈 커뮤니티에서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위한 소셜 매칭 및 소통 서비스 기술에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ocial matching and communication service technology for safe and happy life in the IoT-based smart home community.
Claims (15)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는 상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인식하는 상황 정보 인식 단계;
상기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상황적 요인들을 참조하며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상황을 분류하는 상황 정보 분류 단계;
분류된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 기질(trust disposition)을 참조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결정하는 기질적 신뢰도 결정 단계;
사용자의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직접 경험 및 선험적 확신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결정된 상기 기질적 신뢰도를 바탕으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최종 신뢰도를 계산하는 최종 신뢰도 계산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 신뢰도 계산 단계는
SL(subjective logic)을 활용하여 “ ”에 따라 상기 최종 신뢰도(P(wx y))를 계산하되, 상기 x는 평가자, 상기 y는 평가 대상, 상기 P(Wx y)는 x 의 y가 긍정적으로 행동할 것이라는 x의 확신 정도를 나타내는 확률 값, 상기 rx y는 x의 y에 대한 긍정적 경험, 상기 ux y는 x의 y에 대한 불확실성, 상기 vx y는 x의 y에 대한 개인적 경험, 상기 ax y는 x의 y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에 의한 확신 정도이고,
상기 x의 y에 대한 불확실성(ux y)은 에 따라 계산하고, 상기 x의 y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에 의한 확신 정도(ax y)는 에 따라 계산하되, 상기 sx y는 x의 y에 대한 부정적 상호작용 경험의 횟수, 상기 ρ는 다른 사용자, 상기 ty ρ는 y에 대한 신뢰도, 상기 cρ는 상기 ty 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뢰도이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와의 상호 작용하기로 결정할 때마다 상기 rx y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A method for evaluating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 situ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step of recognizing situation information on a situation in which a device is found in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 situation information classification step of referring to the situation factors constitu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and classifying the situation according to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A basic reliability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basic reliability for the device by referring to a trust disposition of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classified status;
A final reliability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a final reliability for the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basic reliability using at least one of a direct experience of the user and a degree of a priori confidence in the device,
The final confidence calculation step
Using SL (subjective logic) (W x y ), where x is an evaluator, y is an evaluation object, and P (W x y ) is the degree of certainty of x that y of x will act positively the indicating probability values, the r x y is uncertainty about the positive experience, the u x y is y of x to y of x, the v x y is personal experience, the a x y to y of x is the x y is the degree of assurance by the stereotype for y,
The uncertainty (u x y ) for y of x is , And the degree of assurance (a x y ) by the stereotype for y of x is calculated according to But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 x y is the number of negative interaction experience for the y of the x, wherein ρ is the reliability of the other users, the t y ρ is y, the c ρ is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t y ρ And
Wherei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increasing r x y whenever the user decides to interact with the device.
상기 상황 정보 인식 단계는,
상기 사물 인터넷 환경에 포함되는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itu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step,
And recognizing the status information using a sensor included in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상기 상황 정보 분류 단계는,
M5 모델 트리 학습 알고리즘(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으로부터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적 요인들을 상기 결정 트리에 적용하여 상기 상황을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atus information classification step comprises:
Generating a decision tree from the user's interaction experience using an 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 and classifying the situation by applying the contextual factors to the decision tree, Wherein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in the Internet environment of objects is evaluated.
상기 결정 트리는,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과 상기 상황적 요인들을 사용하여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decision tree is learned using the interaction experience of the user and the contextual factors.
상기 기질적 신뢰도 결정 단계는,
ST(swift trust) 기법을 활용하여, 분류된 상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뢰 기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 트리에 따라 분류된 상기 상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뢰 기질을 참조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sic reliability determination step comprises:
Using the ST (swift trust) technique to form the user's trust temperament based on the user's interaction experience with the classified situation; And
And determining the underlying reliability for the device with reference to the user's trustworthiness for the situ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cision tree. ≪ RTI ID = 0.0 > 31. < / RTI >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가 발견되는 상 황에 대한 상황 정보를 인식하는 상황 정보 인식부;
상기 상황 정보를 구성하는 상황적 요인들을 참조하며 기계 학습 알고리즘에 따 라 상기 상황을 분류하는 상황 정보 분류부;
분류된 상황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 기질(trust dispositio n)을 참조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결정하는 기질 적 신뢰도 결정부; 및
사용자의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직접 경험 및 선험적 확신 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결정된 상기 기질적 신뢰도를 바탕으로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최 종 신뢰도를 계산하는 최종 신뢰도 계산부를 포함하며,
상기 최종 신뢰도 계산부는
SL(subjective logic)을 활용하여 “ ”에 따라 상기 최종 신뢰도(P(wx y))를 계산하되, 상기 x는 평가자, 상기 y는 평가 대상, 상기 P(Wx y)는 x 의 y가 긍정적으로 행동할 것이라는 x의 확신 정도를 나타내는 확률 값, 상기 rx y는 x의 y에 대한 긍정적 경험, 상기 ux y는 x의 y에 대한 불확실성, 상기 vx y는 x의 y에 대한 개인적 경험, 상기 ax y는 x의 y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에 의한 확신 정도이고,
상기 x의 y에 대한 불확실성(ux y)은 에 따라 계산하고, 상기 x의 y에 대한 스테레오 타입에 의한 확신 정도(ax y)는 에 따라 계산하되, 상기 sx y는 x의 y에 대한 부정적 상호작용 경험의 횟수, 상기 ρ는 다른 사용자, 상기 ty ρ는 y에 대한 신뢰도, 상기 cρ는 상기 ty 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뢰도이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디바이스와의 상호 작용하기로 결정할 때마다 상기 rx y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장치.An apparatus for evaluating the reliability of a device in an Internet environment,
A situation information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of a situation in which a device is found in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A situation information classifying unit for classifying the situation according to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with reference to situation factors constitut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A trustworthiness determiner for determining trustworthiness of the device with reference to a trust dispositon of the user for the classified situation; And
And a final reliability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final reliability for the device based on the determined basic reliability using at least one of a direct experience of the user with the device and a degree of a priori confidence,
The final reliability calculation unit
Using SL (subjective logic) (W x y ), where x is an evaluator, y is an evaluation object, and P (W x y ) is the degree of certainty of x that y of x will act positively the indicating probability values, the r x y is uncertainty about the positive experience, the u x y is y of x to y of x, the v x y is personal experience, the a x y to y of x is the x y is the degree of assurance by the stereotype for y,
The uncertainty (u x y ) for y of x is , And the degree of assurance (a x y ) by the stereotype for y of x is calculated according to But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 x y is the number of negative interaction experience for the y of the x, wherein ρ is the reliability of the other users, the t y ρ is y, the c ρ is the user with respect to the t y ρ And
And increases the r x y whenever the user decides to interact with the device.
상기 상황 정보 인식부는,
상기 사물 인터넷 환경에 포함되는 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상황 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장치.9. The method of claim 8,
The situation information recognizing unit,
Wherein the status information is recognized using a sensor included in the object Internet environment.
상기 상황 정보 분류부는,
M5 모델 트리 학습 알고리즘(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으로부터 결정 트리(decision tree)를 생성하고, 상기 상황적 요인들을 상기 결정 트리에 적용하여 상기 상황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장치.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atus information classifier comprises:
A decision tree is generated from the user's interaction experience using an M5 model tree learning algorithm, and the situation is classified by applying the contextual factors to the decision tree Wherein the device evaluates reliability of the device in the Internet environment.
상기 결정 트리는,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과 상기 상황적 요인들을 사용하여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장치.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decision tree is learned using the interaction experience of the user and the contextual factors.
상기 기질적 신뢰도 결정부는,
ST(swift trust) 기법을 활용하여, 분류된 상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을 바탕으로 상기 사용자의 신뢰 기질을 형성하고, 상기 결정 트리에 따라 분류된 상기 상황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신뢰 기질을 참조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대한 기질적 신뢰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신뢰도를 평가하는 장치.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basic reliability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A trust trust (ST) technique is used to form the trust substrate of the user on the basis of the user's interaction experience with the classified situation, and the confidence level of the user for the situ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ecision tree And determines a basic reliability for the device by referring to the device reliability informa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1946A KR101931128B1 (en) | 2017-01-25 | 2017-01-25 |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rust of device in internet-on-the things environme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1946A KR101931128B1 (en) | 2017-01-25 | 2017-01-25 |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rust of device in internet-on-the things environme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7654A KR20180087654A (en) | 2018-08-02 |
KR101931128B1 true KR101931128B1 (en) | 2018-12-20 |
Family
ID=6325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19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931128B1 (en) | 2017-01-25 | 2017-01-25 |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rust of device in internet-on-the things environme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112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6183B1 (en) * | 2019-01-23 | 2020-09-15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A trust index provision apparatus for an IoT device, a trust index provision method for an IoT device, a trust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for an IoT device, a a trus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for an IoT device, a cooperation system of IoT devices based on trust index, a cooperation method of IoT devices based on trust index |
KR102154051B1 (en) * | 2019-04-03 | 2020-09-09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IoT Object by Measuring Social Strength of IoT Object |
CN110519306B (en) * | 2019-10-09 | 2022-02-08 |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 Equipment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Internet of things |
KR102796101B1 (en) * | 2021-12-03 | 2025-04-14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 Evalu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enance-based trust |
CN117499442B (en) * | 2023-12-27 | 2024-05-10 | 天津数智物联科技有限公司 | Data efficient processing method for Internet of things energy monitoring device |
CN117951140A (en) * | 2024-03-25 | 2024-04-30 |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sub-service platform data interaction syst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36887A (en) | 2011-08-09 | 2013-02-21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Observed value reliability assessing apparatus, observed value reliability assessing method, and observed value reliability assessing program |
JP2016057701A (en) | 2014-09-05 | 2016-04-21 | オムロン株式会社 |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
2017
- 2017-01-25 KR KR1020170011946A patent/KR1019311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36887A (en) | 2011-08-09 | 2013-02-21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Observed value reliability assessing apparatus, observed value reliability assessing method, and observed value reliability assessing program |
JP2016057701A (en) | 2014-09-05 | 2016-04-21 | オムロン株式会社 |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7654A (en) | 2018-08-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1128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trust of device in internet-on-the things environme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 |
Zhang et al. | SPA-VL: A Comprehensive Safety Preference Alignment Dataset for Vision Language Models | |
Uppada et al. | Novel approaches to fake news and fake account detection in OSNs: user social engagement and visual content centric model | |
Qiao et al. | Siamese neural networks for user identity linkage through web browsing | |
Abushark et al. | Cyber security analysis and evaluation for intrusion detection systems | |
CN110232524A (en) | Social networks cheats the construction method of model, antifraud method and apparatus | |
Bohani et al. | A comprehensive analysis of supervised learning techniques for electricity theft detection | |
Shiny Irene et al. | An intellectual methodology for secure health record mining and risk forecasting using clustering and graph-based classification | |
Voutyras et al. | Social monitoring and social analysis in internet of things virtual networks | |
Yu | Group decision making under interval‐valued multiplicative intuitionistic fuzzy environment based on Archimedean t‐conorm and t‐norm | |
Alzaabi et al. | CISRI: A crime investigation system us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information spreaders in networks depicting criminals communications | |
Boahen et al. | Detection of compromised online social network account with an enhanced knn | |
JP2023012311A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
US20240185090A1 (en) | Assess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errors using machine learning | |
Islam et al. | Vulnerability prediction for secure healthcare supply chain service delivery | |
Zeshan et al. | A fuzzy ontology-based context-aware encryption approach in IoT through device and information classification | |
Michel et al. | Cyber identity: Salient trait ontology and computational framework to aid in solving cybercrime | |
Eren et al. | Unveiling anomalies: a survey on XAI-based anomaly detection for IoT | |
Kang et al. | Spatial-temporal correlative fault detec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
Gaykar et al. | Faulty Node Detection in HDF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 |
JP2018151969A (en) | Database device, learning result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for the same | |
Abderrahim et al. | Towards improving recommender system: a social trust-aware approach | |
JP6818253B2 (en) | Learning outcome identification device, learning outcome identification method, and its program | |
Van Landuyt | Privacy Impact Tree Analysis (PITA): A Tree-based Privacy Threat Modeling Approach | |
Huerta-Canepa et al. | A place-aware stereotypical trust supporting sche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2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