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9920B1 -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 - Google Patents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920B1
KR101929920B1 KR1020170126737A KR20170126737A KR101929920B1 KR 101929920 B1 KR101929920 B1 KR 101929920B1 KR 1020170126737 A KR1020170126737 A KR 1020170126737A KR 20170126737 A KR20170126737 A KR 20170126737A KR 101929920 B1 KR101929920 B1 KR 101929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frame
rail
drainage
fl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규
Original Assignee
(주)에스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씨테크 filed Critical (주)에스씨테크
Priority to KR1020170126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9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Compound frames, i.e. one frame within or behind an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충망레일의 외측에에 추락방지턱이 구비되어 상기 방충망이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방충망의 내측에는 방충턱이 구비되어 상기 망충망의 하부나 측면으로 벌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바닥면에는 배수구조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벌레가 유입되지 않는 구조로 구비되어 있는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장착되는 보조프레임에 의하여 하나의 창틀을 구성하는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일측에 내측창문이 장착되는 한 쌍의 메인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레일의 타측에는 한 쌍의 외측창문 중 하나가 장착되는 하나의 제1 보조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보조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하부에는 바닥면에 대면하는 제1 배출공이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레일의 타측에는 상기 보조프레임까지 배수바닥면이 연장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배수바닥면에는 하부로 연통되는 제2 배출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보조레일의 타측으로 상기 배수바닥면의 하부에는 배수로면이 상기 배수바닥면과 이격되어 메인프레임의 일단까지 구비되며, 상기 보조프레임은 하부로 연통되는 제3 배출공이 구비되어 있는 보조바닥면과 상기 보조바닥면의 일단에 구비되어 한 쌍의 외측창문 중 다른 하나가 장착되는 제2 보조레일과, 상기 제2 보조레일의 타측에 구비되는 방충망레일과, 상기 방충망레일의 타측에 구비되는 추락방지턱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바닥면이 상기 배수바닥면과 대응하고 상기 제2 보조레일이 상기 배수바닥면의 타측에 대면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프레임의 보조바닥면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배수로면 사이에 빗물배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HIGH-TIGHTNESS WINDOW WITH CRASH PROTECTION}
본 발명은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충망레일의 외측에에 추락방지턱이 구비되어 상기 방충망이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방충망의 내측에는 방충턱이 구비되어 상기 망충망의 하부나 측면으로 벌레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바닥면에는 배수구조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고 벌레가 유입되지 않는 구조로 구비되어 있는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에 관한 것이다.
주택이나 건물에서는 채광과 환기 및 외부조망을 위하여 창호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창호는 채광과 환기는 물론 주변환경을 조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지만, 단열이나 방음 및 곤충이나 빗물의 유입 등의 원인이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창틀에 유입된 빗물에 의한 세균증식과 이들 빗물을 배수하기 위한 구조로 인한 인테리어효과의 저하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따라서 창호기술의 발전은 방음과 단열기능의 향상과 곤충유입의 억제 및 유입된 빗물의 배수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창호는 창틀(특히 하부창틀)을 구성하는 레일 등에 빗물을 배수를 위하여 배수공을 직접 타공하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배수공이 소음과 외부공기의 유입통로가 되고, 외부에서 배수공이 보이기 때문에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40036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선행기술은 창틀에 유입된 빗물이 배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레일에 직접 배수공을 타공하는 대신에 상기 창틀(10)의 하부 내측에 배수로를 구비하고 상기 창틀의 바닥면(보강레일(130) 및 보조프레임(120)의 바닥면)에 유도공(131a)을 형성하여 상기 유도공으로 흘러들어간 빗물이 창틀의 내측에 형성된 유도공(121a)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창틀의 바닥면을 직접 보지 않는 한은 빗물이 배수되는 통로나 배수공이 거의 보이지 않도록 하여 깔끔하여 미려한 외관으로 할 수 있고, 유도공(121a)의 위치를 엇갈리게 하여 외부의 찬공기는 물론 곤충의 유입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였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상기와 같은 장점에 불구하고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선행기술은 보조프레임(120)에 장착된 창문이 외측으로 빠져서 추락할 위험이 있다. 이는 선행기술 뿐만 아니라 종래의 대부분의 창틀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 창문틀을 창틀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창틀과 창문틀 사이에 어느 정도의 유격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유격은 유리창을 닦거나 창호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창문틀이 창틀로부터 이탈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행기술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외측창문의 외측에는 필요에 따라 방충망이 구비될 수 있는데, 특히 방충망은 창문틀보다 폭이 좁고 조립정밀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창틀로부터 이탈하여 추락하기가 쉽다.
둘째, 선행기술은 창틀의 하부 내측에 유도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조프레임(120)을 메인프레임(110)의 상부에 장착하고, 상기 보조프레임(120)의 하부에 유도공(121a)을 형성하는 격벽이 구비되는 구조인데, 이러한 구조는 상기 보조프레임(120)을 메인프레임(110)에 결합하기 어렵게 하거나 결합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선행기술에서 유도공(121)이 형성된 보조프레임(120)의 격벽은 메인프레임(110)에 직접 결합하지 못하고, 도 5에서와 같이 하부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의 연결부에 별도의 결합절편(도면번호 미표시)을 구비하여 고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결합절편이 손상되는 경우에 보조프레임(120) 전체가 외측으로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선행기술에서 설령 별도의 체결구(볼트나 고정핀 등)를 이용하여 보조프레임(120)과 메인프레임(110)을 체결한다고 할 때, 체결구의 숫자가 많아질수록 외관을 해치는 문제가 있고, 체결구의 숫자가 적으면 여전히 안정 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도공(121a)이 형성된 격벽이 보조프레임(120)의 하부에서 메인프레임(110)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 매우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거나 곤충의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메인프레임의 내측의 원하는 위치에 유도공을 형성하는 것은 고난의도의 공정을 요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비용과 시간을 들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6-0040036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충망의 외측에는 추락방지턱이 구비되고, 방충망의 내측에는 곤충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충턱이 구비되어 방충망의 안전성과 유용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에는 레일의 하부에 배수공을 구비하고, 보조프레임의 내측에서 빗물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메인프레임의 배수공 가공을 용이하게 하면서 외부에서는 창틀의 배수공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깔끔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장착되는 보조프레임에 의하여 하나의 창틀을 구성하는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일측에 내측창문이 장착되는 한 쌍의 메인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레일의 타측에는 한 쌍의 외측창문 중 하나가 장착되는 하나의 제1 보조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보조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하부에는 바닥면에 대면하는 제1 배출공이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레일의 타측에는 상기 보조프레임까지 배수바닥면이 연장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배수바닥면에는 하부로 연통되는 제2 배출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보조레일의 타측으로 상기 배수바닥면의 하부에는 배수로면이 상기 배수바닥면과 이격되어 메인프레임의 일단까지 구비되며, 상기 보조프레임은 하부로 연통되는 제3 배출공이 구비되어 있는 보조바닥면과 상기 보조바닥면의 일단에 구비되어 한 쌍의 외측창문 중 다른 하나가 장착되는 제2 보조레일과, 상기 제2 보조레일의 타측에 구비되는 방충망레일과, 상기 방충망레일의 타측에 구비되는 추락방지턱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바닥면이 상기 배수바닥면과 대응하고 상기 제2 보조레일이 상기 배수바닥면의 타측에 대면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프레임의 보조바닥면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배수로면 사이에 빗물배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배수바닥면의 타측으로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합된 상기 보조프레임의 제2 보조레일에 인접한 위치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골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배출공은 상기 배수골의 어느 한 부분에 최소한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방충망레일과 상기 제2 보조레일의 사이에는 방충턱이 구비되고 방충망의 하부틀에는 수평모헤어 구비되어 상기 모헤어가 상기 방충턱에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충망의 후방틀에는 수직모헤어가 구비되어 상기 수직모헤어가 상기 제2 보조레일에 장착되는 외측창틀의 후방틀에 대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는 방충망의 외측에 추락방지턱이 구비되어 상기 방충망이 외측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방충망의 내측에 방충턱을 구비하여 상기 방충망의 하부와 레일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곤충이 내부로 들어갈 수 없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창틀의 메인프레임에 구비된 배수공은 레일의 하부에 구비하여 가공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보조프레임의 내측에서 상기 메인프레임 및 보조프레임으로 유입된 빗물이 하부로 유출되도록 하여 외부에서는 배수공이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의 프레임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프레임의 분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의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의 프레임 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부프레임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는 2중 슬라이딩 구조로,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타측 상부에 장착되는 보조프레임(200)으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창틀은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및 양 측면을 구성하는 측면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기밀성 창호는 하부프레임의 구조에 특징이 있으며, 상부프레임과 측면프레임은 공지의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하부프레임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도면은 하부프레임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특별히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공지의 창틀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의 메인프레임(100)은 내측창문(10)이 장착되는 한 쌍의 메인레일(110)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레일(110)의 타측에는 한 쌍의 외측창문(30) 중 하나가 장착되는 하나의 제1 보조레일(130)이 구비된다. 외측창문(30) 중 다른 하나가 장착되는 제2 보조레일(210)은 후술하여 설명할 보조프레임(200)에 구비된다. 보조프레임(200)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레일(110)과 제1 보조레일(130)은 창틀의 기본구성을 이루는 것으로 메인프레임(100)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레일(110)과 제1 보조레일(130)의 하부에는 바닥면에 인접하게 제1 배출공(150)이 형성되어 있다. 제1 배출공(150)은 바닥면(105)에 대면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닥면(105)의 물이 상기 제1 배출공(150)을 통하여 타측방향으로 원활하게 흘러갈 수 있도록 한다. 빗물의 흐름과 배출방향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배출공(150)은 메인레일(110)과 제1 보조레일(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최소한 하나 이상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배출공(150)의 형성위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메인레일(110)들 사이 또는 상기 메인레일(110)과 제1 보조레일(130)들 사이에서 상기 제1 배출공(150)은 서로 엇갈리도록 길이방향의 다른 위치에 구비되어 미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배출공(150)을 통하여 벌레가 쉽게 침입하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제1 배출공(150)에 그물망(미도시)이나 철망(철망)이 구비될 수도 있다.
메인프레임(100)의 하부로 전술하여 설명한 메인레일(110)과 제1 보조레일(130)의 하부는 공지의 창틀 프레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 기밀성 창호는 기존의 창틀 구조를 최대한 보존하여 금형의 변경이나 제품의 구조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창틀에 유입되는 빗물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메인프레임(100)의 하부구조는 종래의 창틀프레임 구조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제1 보조레일(130)의 타측에는 배수바닥면(170)이 구비되어 있다. 배수바닥면(170)은 메인레일(110) 사이 또는 상기 메인레일(110)과 제1 보조레일(130)의 사이의 바닥면(105)에 대응하여 수평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100)의 타측에 장착되는 보조프레임(200)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보조프레임(200)의 구성이나 상기 보조프레임(200)이 메인프레임(100)에 결합하는 구조와 위치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배수바닥면(170)에는 하부로 연통되는 제2 배출공(175)이 구비된다. 그리하여 배수바닥면(170)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이 상기 제2 배출공(175)을 통하여 하부로 유출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바닥면(170)의 하부에 구비되는 빗물배출구(190)로 흘러나가게 한다. 빗물배출구(190)에 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배수바닥면(170)의 타측에는 배수골(173)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골(173)의 어느 한 부분에 제2 배출공(175)이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배수골(173)은 배수바닥면(170)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배수골(173)이 상기 배수바닥면(170)보다 낮게 구성되며, 제2 배출공(175)은 상기 배수골(173)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2 배출공(175)은 배수골(173)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에 구비되도록 하여 상기 배수골(173)이 메인프레임(100)의 외측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며, 배수바닥면(170)은 타측방향(배수골 방향)으로 갈수록 미세하게 낮아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배수바닥면(170)의 타측에는 보조프레임(200)이 장착되어 상기 보조프레임(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 보조레일(210)이 수직으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배수골(173)을 배수바닥면(170)의 타측으로 상기 제2 보조레일(210)에 인접하게 형성하면 상기 배수골(173)과 제1 배출공(150)이 상기 제2 보조레일(210)에 가려서 창틀의 외측에서는 잘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메인프레임(100)의 바닥면(105)으로 유입된 빗물 등은 제1 배출공(150)을 통하여 배수바닥면(170)으로 흘러가고, 상기 배수바닥면(170)으로 유입된 빗물은 배수골(173)로 흘러가서 제2 배출공(175)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된다. 그리하여 제1 보조레일(130)과 후술하여 설명할 제2 보조레일(210) 사이에 배출공을 최소화 하면서 배수는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 보조레일(130)의 타측으로 배수바닥면(170)의 하부에는 배수로면(193)이 구비된다. 배수로면(193)은 배수바닥면(170)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메인프레임(100)의 일단까지 구비된다. 그리하여 배수바닥면(170)과 배수로면(193) 사이에는 수평방향으로 빗물배출구(190)의 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배수바닥면(170)이 끝나는 부위의 타측에는 상기 배수로면(193)의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단차 부위의 상부에 보조프레임(200)이 장착된다.
보조프레임(200)은 보조바닥면(205)과 상기 보조바닥면(205)의 일단에 구비되며 외측창문(30) 중 다른 하나가 장착되는 제2 보조레일(210)과 상기 제2 보조레일(210)의 타측에 구비되는 방충망레일(230)과 상기 방충망레일(230)의 타측에 구비되는 추락방지턱(2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보조레일(210)과 방충망레일(230)의 사이에는 방충턱(270)이 더 구비된다. 보조프레임(200)은 메인프레임(100)의 배수바닥면(170) 타측으로 전술하여 설명한 배수로면(193)의 상부에 결합하며, 보조바닥면(205)이 배수바닥면(170) 또는 메인프레임(100)의 바닥면과 대응하도록 수평으로 결합 되어 상기 보조바닥면(205)과 배수로면(193) 사이에 빗물배출구(190)가 형성된다. 이때, 보조프레임(200)이 메인프레임(100)의 타측 상부에 결합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프레임(200)의 보조바닥면(205) 하부에는 결합돌기(203)가 구비되며, 배수바닥면(170)의 타측에 구비되는 배수로면(193)에는 상기 결합돌기(203)가 장착되면서 결합하는 보조프레임결합부(195)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결합부(195)는 결합돌기(203)에 대응하는 위치에 수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보조프레임결합부(195)의 하부에는 배수로면(193)에 인접하는 위치에 제3 배출공(197)이 구비되어 빗물배출구(190)로 유입된 빗물이 타측 방향으로 흘러가게 하고, 상기 보조프레임결합부(195)의 상부는 전술하여 설명한 보조프레임(200)의 결합돌기(203)가 장착되면서 결합되는 구조가 된다. 또한, 제2 보조레일(210)과 방충망레일(230)의 사이에 구비되는 보조바닥면(205)에는 제4 배출공(207)이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프레임(200)의 상부에서 유입되는 빗물 등이 제4 배출공(207)을 통하여 하부로 유출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는 메인프레임(100)의 바닥면(105)으로 유입되는 빗물 등이 제1 배출공(150)을 통하여 배수바닥면(170)으로 흘러가고, 상기 배수바닥면(170)으로 흘러들어온 빗물은 배수골(173)로 흘러가서 제2 배출공(175)을 통하여 배수로면(193)으로 빠져나간다. 이때, 제2 배출공(175)으로 유입된 빗물은 제3 배출공(197)을 통하여 타측방향으로 흘러간다.
한편, 보조바닥면(205)의 상부로 유입된 빗물 등은 제4 배출공(207)을 통하여 배수로면(193)으로 빠져나가며 상기 보조바닥면(205) 및 배수바닥면(170)으로부터 빗물배출구(190)로 유입된 빗물을 타측을 통하여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는 보조프레임(200)의 보조바닥면(205)에 제4 배출공(207)이 구비되어 빗물 등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창틀의 외측에서는 배출공이 보이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 빗물배출구(190)의 타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실제 본 발명에 따른 창호를 설치할 때는 상기 빗물배출구(190)의 개방된 부위에는 측면이 가려지고 하부가 일부 개방된 캡이 장착되어 외부에서는 배출구멍이 보이지 않도록 구성되어 깔끔한 외관을 형성한다.
방충망레일(230)에는 방충망(300)이 장착되며, 상기 방충망레일(230)의 타측에 구비되는 추락방지턱(250)은 최소한 상기 방충망레일(230)보다는 높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방충망레일(230)이 외측으로 이탈하더라도 상기 추락방지턱(250)에 걸려서 추락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는 방충망레일(230)과 제2 보조레일(210)의 사이에는 방충턱(27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방충턱(270)은 방충망레일(230)에 방충망이 장착되고 제2 보조레일(210)에 외측창문(3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방충망과 외측창문(30) 사이에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방충망레일(230)에 인접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방충망(300)의 하부틀(310)에는 수평모헤어(330)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모헤어(330)의 끝단이 방충턱(270)의 타측면에 대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방충망(300)의 후방틀(350)에는 수직모헤어(3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수직모헤어(370)는 제2 보조레일(210)에 장착되는 외측창틀의 후방틀(35)에 대면하도록 구비된다. 그리하여 방충망(300)의 전방이 측면창틀에 대면하면서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방충망(300)의 하부는 수평모헤어(330)가 벌레의 유입을 차단하고, 방충망(300)의 후방틀(350)과 외측창문(30)의 후방틀(35)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벌레는 상기 수직모헤어(370)가 차단하여 내측으로 벌레가 유입되지 못하게 한다. 여기서 전·후방은 방충망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방충망의 측면 틀 중 창틀의 측면프레임과 맞닿는 부분을 전방으로 하고,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그리고 모헤어는 가는 섬유질 또는 털과 같은 구성으로 창호에서 바람을 막기 위하여 사용되는 공지의 구성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메인프레임
105: 바닥면
110: 메인레일
130: 제1 보조레일
150: 제1 배출공
170: 배수바닥면
173: 배수골
175: 제2 배출공
190: 빗물배출구
193: 배수로면
195: 보조프레임결합부
200: 보조프레임
205: 보조바닥면
207: 제4 배출공
210: 제2 보조레일
230: 방충망레일
250: 추락방지턱
270: 방충턱
300: 방충망
350: 후방틀
330: 수평모헤어
370: 수직모헤어

Claims (3)

  1.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장착되는 보조프레임에 의하여 하나의 창틀을 구성하는 슬라이딩 개폐방식의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일측에 내측창문이 장착되는 한 쌍의 메인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메인레일의 타측에는 한 쌍의 외측창문 중 하나가 장착되는 하나의 제1 보조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보조레일과 상기 메인레일의 하부에는 바닥면에 대면하는 제1 배출공이 수평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레일의 타측에는 상기 보조프레임까지 배수바닥면이 연장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배수바닥면에는 하부로 연통되는 제2 배출공이 구비되며, 상기 제1 보조레일의 타측으로 상기 배수바닥면의 하부에는 배수로면이 상기 배수바닥면과 이격되어 메인프레임의 일단까지 구비되며,
    상기 보조프레임은 하부로 연통되는 제3 배출공이 구비되어 있는 보조바닥면과 상기 보조바닥면의 일단에 구비되어 한 쌍의 외측창문 중 다른 하나가 장착되는 제2 보조레일과, 상기 제2 보조레일의 타측에 구비되는 방충망레일과, 상기 방충망레일의 타측에 구비되는 추락방지턱으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바닥면이 상기 배수바닥면과 대응하고 상기 제2 보조레일이 상기 배수바닥면의 타측에 대면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프레임의 보조바닥면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배수로면 사이에 빗물배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충망레일과 상기 제2 보조레일의 사이에는 방충턱이 구비되고 방충망의 하부틀에는 수평모헤어가 구비되어 상기 수평모헤어가 상기 방충턱에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방충망의 후방틀에는 수직모헤어가 구비되어 상기 수직모헤어가 상기 제2 보조레일에 장착되는 외측창틀의 후방틀에 대면하도록 구성되는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배수바닥면의 타측으로 상기 메인프레임과 결합된 상기 보조프레임의 제2 보조레일에 인접한 위치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수골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배출공은 상기 배수골의 어느 한 부분에 최소한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



  3. 삭제
KR1020170126737A 2017-09-29 2017-09-29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 Active KR101929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37A KR101929920B1 (ko) 2017-09-29 2017-09-29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737A KR101929920B1 (ko) 2017-09-29 2017-09-29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920B1 true KR101929920B1 (ko) 2018-12-18

Family

ID=6495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737A Active KR101929920B1 (ko) 2017-09-29 2017-09-29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9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636Y1 (ko) 2001-05-12 2001-10-15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리프트 슬라이딩 창문의 배수 구조
KR100916993B1 (ko) 2009-05-18 2009-09-14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이중창 단열 복합창호
KR101354665B1 (ko) 2013-08-23 2014-02-05 현우공업 주식회사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KR101575007B1 (ko) * 2013-12-30 2015-12-07 주식회사 케이씨씨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636Y1 (ko) 2001-05-12 2001-10-15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리프트 슬라이딩 창문의 배수 구조
KR100916993B1 (ko) 2009-05-18 2009-09-14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이중창 단열 복합창호
KR101354665B1 (ko) 2013-08-23 2014-02-05 현우공업 주식회사 방충 및 방범 기능이 동시에 부여되고, 물성성능이 강화된 창호 시스템
KR101575007B1 (ko) * 2013-12-30 2015-12-07 주식회사 케이씨씨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9369B2 (en) Door threshold water return systems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101575007B1 (ko) 담수레일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용 창틀
US6276099B1 (en) Window frame assembly
JP2000503083A (ja) 水平スライドする閉鎖アセンブリ用の排水システム
KR101929920B1 (ko)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
KR200485380Y1 (ko) 추락방지기능이 구비된 고기밀성 창호
RU2111331C1 (ru) Окно или доходящее до пола окно, с принудительной вентиляцией
JP2007113194A (ja) 開口部装置
JP4686376B2 (ja) 建具
KR20160120633A (ko) 창호 시스템
KR101678346B1 (ko) 빗물 유입 방지용 방충망 구조
KR200263706Y1 (ko) 높이 차이가 없는 창문틀의 배수구조
JP4282006B2 (ja) 外部開口用下枠フラットサッシ
KR102035219B1 (ko) 배수가 용이한 입면 분할 창호
KR200385577Y1 (ko) 방범창
JP6918034B2 (ja) 建具
JP4459760B2 (ja) サッシ
JPH0116876Y2 (ko)
KR101916378B1 (ko) 문틀과 방범방충망의 결속구조
US12221827B2 (en) Door frame and threshold assembly
KR102693022B1 (ko) 공동주택 외풍저감 효과를 위한 창호보완틀
KR20130005434U (ko) 도어
KR20180029574A (ko) 평레일 창호
KR20040103290A (ko) 방음 및 빗물 침투 방지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