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9010B1 -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 Google Patents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9010B1
KR101929010B1 KR1020170106518A KR20170106518A KR101929010B1 KR 101929010 B1 KR101929010 B1 KR 101929010B1 KR 1020170106518 A KR1020170106518 A KR 1020170106518A KR 20170106518 A KR20170106518 A KR 20170106518A KR 101929010 B1 KR101929010 B1 KR 10192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ice
roller
rollers
conveying path
liq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6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윤
Original Assignee
최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종윤 filed Critical 최종윤
Priority to KR1020170106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9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901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2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rotary pressing members, other than worms or screws, e.g. rollers, rings,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는 착즙원료를 가압하는 한 쌍의 착즙롤러 구조를 개선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착즙롤러가 완전분해되어 부품교체 및 세척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착즙원료 품종 변경에 따른 작업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 롤러코어부(210), 타공튜브(220), 스톱턱(230), 고정플레이트(24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Juice extractor with a separate juice roller}
본 발명은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에 관한 것으로, 착즙원료를 가압하는 한 쌍의 착즙롤러 구조를 개선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착즙롤러가 완전분해되어 부품교체 및 세척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착즙원료 품종 변경에 따른 작업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액즙 제조는 야채나 과일, 곡식과 같은 웰빙식품들을 분쇄한 후 분리과정을 통해 액즙을 얻을 수 있고, 근자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신선한 액즙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이에 종래에 제시된 착즙기의 일예로서 등록특허 제10-1144726호에서는 이송컨베이어, 세척기, 파쇄기, 착즙기, 여과기, 슬러지탱크, 저장탱크, 추출탱크, 교반탱크, 살균기 및 포장기로 이루어진 과일즙 자동생산시스템을 적용하여, 일괄공정으로 과일즙을 자동생산하여 비용과 제조시간을 절약하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착즙 자동화를 도모하기 위한 기술이나, 착즙기의 처리속도 및 착즙율이 낮아 양질의 액즙을 얻지 못하는 실정이다. 즉, 착즙기는 파쇄기의 하측에 배치되어, 미세하게 분쇄된 과일이 하측으로 이송되면 이것을 압착하여 분쇄된 과일로부터 과일즙을 생성하지만, 스크류봉 회전에 따른 압착력에 의해 타공망을 통하여 액즙이 추출됨에 따라 착즙지연으로 수율이 저하되고, 특히 타공망을 통하여 액즙뿐만 아니라 분쇄된 섬유질이 고형물형태로 함께 용출되어 액즙이 탁하고, 이로 인해 별도의 필터링공정이 추가되어 제조공정이 다분화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착즙원료를 가압하는 한 쌍의 착즙롤러 구조를 개선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착즙롤러가 완전분해되어 부품교체 및 세척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착즙원료 품종 변경에 따른 작업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분쇄기(1) 하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동축(2)과 연계작동되고,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력에 의해 착즙원료를 가압 착즙하도록 본체프레임(10)에 장착되는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 상기 하부 착즙롤러(200)는, 상기 구동축(2)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동축(211)과, 외주면에 액즙이송로(212)가 구비되는 롤러코어부(210); 상기 롤러코어부(210) 외주면에 삽입 설치되고, 착즙원료를 가압시 용출되는 액즙을 흡수하여 액즙이송로(212)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타공튜브(220); 상기 롤러코어부(210) 일단에는 타공튜브(220) 삽입깊이를 결정하는 스톱턱(230)과, 롤러코어부(210) 다른 일단에는 타공튜브(220)를 구속하도록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240)로 구성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는 서로 상이한 높이로 복층으로 배치되고, 각층의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는 경사판(300)으로 연결되며, 각층의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 가압력은 하향 층별로 증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즙이송로(212)는 롤러코어부(210) 외주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어느 일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확장되어 경사바닥면(214)이 형성되며, 착즙된 액즙이 경사바닥면(214)을 타고 롤러코어부(210) 폭방향으로 배출되어 호퍼라인(400)에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액즙이송로(212)는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롤러코어부(210)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적어도 액즙이송로(212) 입구가 롤러코어부(210) 회전중심과 수평선상에 일치되는 회전각도까지 액즙이송로(212)로 유입된 액즙 역류를 차단하는 경사벽(2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동축(211) 양단에는 베어링(250)이 설치되고, 베어링(250)은 본체프레임(10)에 설치되어 일측이 개방되는 베어링하우징(3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2)과 피동축(211)은 분리형 클러치부(600)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착즙롤러(100)는 제어부를 통하여 작동되는 구동원(500)에 의해 하부 착즙롤러(20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압력이 조절되고, 상부 착즙롤러(100) 일측에는 수동조작으로 길이조절되는 나사봉(510)에 의해 가압력이 수동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는 서로 상이한 높이에서 적어도 2층구조로 배치되어, 하층 하부 착즙롤러(200)의 상면과 상층 하부 착즙롤러(200)의 저면이 경사판(30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층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액즙은 액즙이송로(212)를 타고 배출됨과 더불어 상층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를 통과한 착즙원료는 경사판(300)을 타고 하층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로 투입되어 재차 착즙과정을 거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착즙원료를 가압하는 한 쌍의 착즙롤러 구조를 개선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착즙롤러가 완전분해되어 부품교체 및 세척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착즙원료 품종 변경에 따른 작업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의 하부롤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의 베어링과 베어링하우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의 하부롤러 분해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의 애즙이송로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의 분리형 클러치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에 관련되며, 이때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는 착즙원료를 가압하는 한 쌍의 착즙롤러 구조를 개선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착즙롤러가 완전분해되어 부품교체 및 세척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착즙원료 품종 변경에 따른 작업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 롤러코어부(210), 타공튜브(220), 스톱턱(230), 고정플레이트(24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는 분쇄기(1) 하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동축(2)과 연계작동되고, 상호 역방향 회전력에 의해 착즙원료(분쇄물)를 가압 착즙하도록 본체프레임(10)에 장착된다. 도 1과 같이 본체프레임(10) 상부에 분쇄기(1)가 설치되어 착즙원료를 분쇄하면 중력에 의해 경사판을 타고 하향 이송되어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 사이로 투입된다. 여기서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는 서로 상이한 높이에서 적어도 2층 구조로 연속 배치되고, 각층의 착즙롤러는 수직선상에 불일치하도록 경사각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하층 하부 착즙롤러(200)의 상면과 상층 하부 착즙롤러(200)의 저면이 경사판(30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착즙원료가 하방향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는 서로 상이한 높이로 복층으로 배치되고, 각층의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는 경사판(300)으로 연결되며, 각층의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 가압력은 하향 층별로 갈수록 증가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상부 착즙롤러(100)는 제어부를 통하여 작동되는 구동원(500)에 의해 하부 착즙롤러(200) 방향으로 이송되어 가압력이 조절되고, 상부 착즙롤러(100) 일측에는 수동조작으로 길이조절되는 나사봉(510)에 의해 가압력이 수동조절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각층의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 가압력은 액즙 배출량을 고려하여 설정되는바, 도 1과 같이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를 상부에서부터 1, 2, 3단계로 구분시, 마지막 3단계 가압력을 100%로 가정시, 1단계는 3단계 대비 60~80% 가압력으로 설정되고, 2단계는 3단계 대비 80~90% 가압력으로 설정된다. 또 작업자가 착즙원료의 입도, 품종, 투입량과 같은 착즙환경을 고려하여 나사봉(510)을 돌려 가압력이 수동 미세조절된다.
이처럼 각 층별 가압력을 서로 상이하게 하향 증가되도록 설정함에 따라 각 층별 액즙 배출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정도로 가압력이 분산 설정되어 각 층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의 과부하가 방지되고, 과도용출로 배출되지 못한 액즙이 경사판을 타고 다음 착즙롤러로 이동시 고형물과 혼합되어 착즙이 지연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에 상기 상층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액즙은 액즙이송로(212)를 타고 배출됨과 더불어 상층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를 통과한 착즙원료는 경사판(300)을 타고 하층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로 투입되어 재차 착즙과정을 단계적으로 거치게 되고, 이때 각 층별 설정된 착즙롤러간에 가압력에 의해 액즙이 분리된 고형물형태의 착즙원료를 재차 가압하므로 액즙이 신속하게 배출 분리되면서 착즙속도 증가 및 수율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는 외주면에 스크레퍼(S)가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착즙과정 중에 부착된 고형물이 제거되는바, 이때 스크레퍼(S)는 후술하는 경사판(300) 상부에 위치되어 착즙롤러에서 이탈된 고형물이 경사판(300)으로 낙하되어 다음 단계의 착즙롤러측으로 이송된다.
또한, 상기 하부 착즙롤러(200)는 롤러코어부(210), 타공튜브(220), 스톱턱(230), 클램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코어부(210)는 구동축(2)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동축(211)과, 외주면에 액즙이송로(212)가 구비된다. 롤러코어부(210)는 피동축(211)이 관통 삽입되어 키결합되거나, 양단에 한 쌍의 피동축이 연결되고, 후술하는 타공튜브(220)를 내측에서 지지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외주면에 폭방향으로 복수개의 액즙이송로(212)가 구비된다.
이때 액즙이송로(212)는 타공튜브(22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액즙이 신속하게 배출처리되도록 액즙이송로(212) 입구 면적은 롤러코어부(210) 외주면 면적대비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롤러코어부(210) 외주면에 골 및 요철부를 형성하여 액즙이 보다 신속하게 액즙이송로(212)로 유입되도록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2에서, 상기 액즙이송로(212)는 롤러코어부(210) 외주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어느 일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확장되어 경사바닥면(214)이 형성되며, 착즙된 액즙이 경사바닥면(214)을 타고 롤러코어부(210) 폭방향으로 배출되어 호퍼라인(400)에 포집된다. 이에 타공튜브(220) 내부로 유입되는 액즙은 롤러코어부(210) 액즙이송로(212)로 투입되고, 이어서 도 3처럼 경사바닥면(214)을 타고 낮은 측 폭방향으로 신속하게 이송되어 호퍼라인(400)에 포집된 상태로 수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타공튜브(220)는 롤러코어부(210) 외주면에 삽입 설치되고, 착즙원료를 가압시 용출되는 액즙을 흡수하여 액즙이송로(212)로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타공튜브(220)는 메쉬망 또는 원통형 관에 복수개의 타공을 천공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삽입되는 롤러코어부(210) 외주면에 의해 원형형상으로 지지되어 상부롤러(100)와 긴밀하게 가압되며, 이때 용출되는 액즙은 타공을 통하여 타공튜브(220) 내부로 유입 즉, 고형물이 필터링된 상태로 액즙만이 추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클램핑수단은 롤러코어부(210) 일단에는 타공튜브(220) 삽입깊이를 결정하는 스톱턱(230)과, 롤러코어부(210) 다른 일단에는 타공튜브(220)를 구속하도록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240)로 구성된다. 도 4처럼 스톱턱(230) 및 고정플레이트(240)는 원형으로 타공튜브(220) 외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고정플레이트(240)는 롤러코어부(210)에 형성되는 자체 암,수나사부에 의해 결합되거나, 볼팅홀을 형성하여 볼트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플레이트(240)는 중심에 피동축(211)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은 후술하는 베어링(250)이 통과되도록 베어링(250) 외경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고정플레이트(240)를 분리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타공튜브(220)가 완전분해되어 부품교체 및 세척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지고, 특히 착즙원료 품종 변경에 따른 착즙라인의 작업전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액즙이송로(212)는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롤러코어부(210)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적어도 액즙이송로(212) 입구가 롤러코어부(210) 회전중심과 수평선상에 일치되는 회전각도까지 액즙이송로(212)로 유입된 액즙 역류를 차단하는 경사벽(216)이 형성된다. 도 5의 단면도와 같이 액즙이송로(212)의 경사바닥면(214)이 롤러코어부(210) 회전중심과 불일치되도록 경사각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이에 상, 하부롤러(100)(200)의 상호 역방향 회전력에 의해 착즙된 액즙이 액즙이송로(212)에 수용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회전하더라도 액즙이송로(212) 입구가 롤러코어부(210) 회전중심과 수평선상에 일치되는 회전각도까지 액즙이송로(212)로 유입된 액즙이 경사벽에 막혀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각 층에서 융출된 액즙 수거율이 증가되고, 이로 인해 오버된 액즙에 의한 액즙배출속도 지연이 방지되면서 각층별 착즙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피동축(211) 양단에는 베어링(250)이 설치되고, 베어링(250)은 본체프레임(10)에 설치되어 일측이 개방되는 베어링하우징(3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 (b)와 같이 베어링하우징(300) 내부에 'U'형 홈이 형성되어 하부롤러(200)를 일측 개방방향으로 이동하는 조작만으로 피동축(211)이 베어링하우징(300)상에서 간단하게 분리된다. 도 1에서는 베어링하우징(300)의 좌측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하부 롤러(200)를 횡방향으로 이송하여 한 쌍의 베어링(250)이 베어링하우징(300)에 삽입시키고, 이후 하부 롤러(200)에 대하여 경사각으로 배치되는 상부롤러(100)를 하부롤러(200)측으로 가압하면 베어링(250)이 위치고정된다. 즉 별도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베어링(250)을 체결하지 않더라도 상부롤러(100) 가압력에 의해 하부롤러(200)가 간단하게 고정 및 분리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2)과 피동축(211)은 분리형 클러치부(600)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구비된다. 도 6에서 분리형 클러치부(600)는 음양각 블록에 의해 서로 맞물려 구동력이 전달됨은 물론 음양각 블록을 감싸는 커버를 분리시 쉽게 분리되는 간단한 탈부착 연결구조를 가진다.
이에 볼트를 풀고 조이는 번거로운 분해조립작업을 수반하지 않고도, 간단한 조작에 의해 하부롤러(200)를 분리하여 부품교체, 세척 및 착즙원료 품종 변경에 따른 작업전환이 신속하게 수행된다.
한편, 상기 분리형 클러치부(600)는 도 6에 도시된 음양각 블록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구동축(2)과 피동축(211)이 키면에 의해 접촉되고, 이를 핀과 같은 결속수단으로 체결하여 구동력이 전달되거나, 각볼형 유니버셜조인트를 적용 또는 스플라인축을 이용하여 두 축이 간단하게 분해, 조립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100: 상부 착즙롤러 200: 하부 착즙롤러
210: 롤러코어부 220: 타공튜브
230: 스톱턱 240: 고정플레이트

Claims (8)

  1. 분쇄기(1) 하부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구동축(2)과 연계작동되고,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력에 의해 착즙원료를 가압 착즙하도록 본체프레임(10)에 장착되는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
    상기 하부 착즙롤러(200)는,
    상기 구동축(2)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되는 피동축(211)과, 외주면에 액즙이송로(212)가 구비되는 롤러코어부(210);
    상기 롤러코어부(210) 외주면에 삽입 설치되고, 착즙원료를 가압시 용출되는 액즙을 흡수하여 액즙이송로(212)로 안내하도록 구비되는 타공튜브(220);
    상기 롤러코어부(210) 일단에는 타공튜브(220) 삽입깊이를 결정하는 스톱턱(230)과, 롤러코어부(210) 다른 일단에는 타공튜브(220)를 구속하도록 탈부착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플레이트(240)로 구성되는 클램핑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액즙이송로(212)는 롤러코어부(210) 외주면에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어느 일측으로 갈수록 깊이가 확장되어 경사바닥면(214)이 형성되며, 착즙된 액즙이 경사바닥면(214)을 타고 롤러코어부(210) 폭방향으로 배출되어 호퍼라인(400)에 포집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는 서로 상이한 높이로 복층으로 배치되고, 각층의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는 경사판(300)으로 연결되며, 각층의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 가압력은 하향 층별로 증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액즙이송로(212)는 깊이방향으로 갈수록 롤러코어부(210)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적어도 액즙이송로(212) 입구가 롤러코어부(210) 회전중심과 수평선상에 일치되는 회전각도까지 액즙이송로(212)로 유입된 액즙 역류를 차단하는 경사벽(2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축(211) 양단에는 베어링(250)이 설치되고, 베어링(250)은 본체프레임(10)에 설치되어 일측이 개방되는 베어링하우징(30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2)과 피동축(211)은 분리형 클러치부(600)에 의해 탈부착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착즙롤러(100)는 제어부를 통하여 작동되는 구동원(500)에 의해 하부 착즙롤러(200) 측으로 이송되어 가압력이 조절되고, 상부 착즙롤러(100) 일측에는 수동조작으로 길이조절되는 나사봉(510)에 의해 가압력이 수동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는 서로 상이한 높이에서 적어도 2층구조로 배치되어, 하층 하부 착즙롤러(200)의 상면과 상층 하부 착즙롤러(200)의 저면이 경사판(300)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층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액즙은 액즙이송로(212)를 타고 배출됨과 더불어 상층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를 통과한 착즙원료는 경사판(300)을 타고 하층 상, 하부 착즙롤러(100)(200)로 투입되어 재차 착즙과정을 거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KR1020170106518A 2017-08-23 2017-08-23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Active KR101929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18A KR101929010B1 (ko) 2017-08-23 2017-08-23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6518A KR101929010B1 (ko) 2017-08-23 2017-08-23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9010B1 true KR101929010B1 (ko) 2018-12-13

Family

ID=64671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6518A Active KR101929010B1 (ko) 2017-08-23 2017-08-23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90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946Y1 (ko) * 2003-03-31 2003-07-04 최우성 착즙기
JP2009189354A (ja) 2008-02-18 2009-08-27 Miki Corp 果実・野菜類搾汁装置
KR101181013B1 (ko) * 2011-03-16 2012-09-07 강두석 착즙장치
KR101648541B1 (ko) 2014-10-02 2016-08-16 백성기 마늘 쪽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946Y1 (ko) * 2003-03-31 2003-07-04 최우성 착즙기
JP2009189354A (ja) 2008-02-18 2009-08-27 Miki Corp 果実・野菜類搾汁装置
KR101181013B1 (ko) * 2011-03-16 2012-09-07 강두석 착즙장치
KR101648541B1 (ko) 2014-10-02 2016-08-16 백성기 마늘 쪽 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561C (zh) 细碎固体的萃取方法与装置
US8556086B2 (en) Solid-liquid separator using roller system
KR101960230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N212446455U (zh) 沙棘果榨汁浓缩加工设备
KR20170058114A (ko) 대추씨 제거기
CN113210078A (zh) 一种植物提取纯化设备
KR101181013B1 (ko) 착즙장치
KR101929010B1 (ko) 분리형 착즙롤러가 구비된 착즙장치
CN216453208U (zh) 一种果汁饮品生产用榨汁装置
CN108784273B (zh) 一种可剔除次果的橙汁榨取机
JP2009189354A (ja) 果実・野菜類搾汁装置
CN113841909A (zh) 一种具有营养功能西瓜汁饮料及加工设备
CN115381107B (zh) 一种杨梅汁制备方法及其装置
CN113317517A (zh) 一种山楂果核果肉分离装置
CN210184454U (zh) 百香果榨汁机
CN113117790A (zh) 一种固体饮料精细超磨设备
KR101960232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EP0710512B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Rückgewinnen von Pack- und Inhaltstoffen
KR101923830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2294342B1 (ko) 협잡물 처리를 위한 스크류 프레스 장치
KR200474433Y1 (ko) 물김 선별구조
CN210190702U (zh) 一种甘蔗榨汁装置
KR20180085472A (ko) 착즙기
CN212116974U (zh) 一种榨汁去核机
KR20230019562A (ko) 식용즙의 제조를 위한 착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