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8970B1 - 받침줄과 같은 구조 케이블을 전환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 Google Patents

받침줄과 같은 구조 케이블을 전환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8970B1
KR101928970B1 KR1020137017147A KR20137017147A KR101928970B1 KR 101928970 B1 KR101928970 B1 KR 101928970B1 KR 1020137017147 A KR1020137017147 A KR 1020137017147A KR 20137017147 A KR20137017147 A KR 20137017147A KR 101928970 B1 KR101928970 B1 KR 101928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cross
section
cable
pa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415A (ko
Inventor
에릭 멜리에
스테판 조이
Original Assignee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filed Critical 소레탄체 프레씨네트
Publication of KR20130123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9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신장된 연결대들(4)을 포함하는 구조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은 연장하는 통로(10)를 가진 몸체를 구비한 장치에서 전환된다. 각 통로는 휘어진 경로를 따라 연결대들의 하나를 안내하는 벽을 가진다. 통로의 벽은 경로의 만곡부의 내부를 향하는 연결대-지지 영역(11)을 포함한다. 통로의 중심부에서 휘어진 경로를 가로지르는 지지 영역의 단면은 연결대의 외부 직경의 절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호의 형태를 따른다. 통로의 중심부의 단면은 지지 영역의 외부보다 크다.

Description

받침줄과 같은 구조 케이블을 전환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DEVICE FOR DEVERTING A STRUCTURAL CABLE, SUCH AS A GUY LINE, AND CONSTRUCTION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구조 케이블, 특히 스테이(stay)들을 전환(deviating)하기 위한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단부들에 고정된 개별의 신장된 강선(stretched tendon)들의 묶음으로서 구조 케이블(structural cable)들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건설 작업(construction work)의 설계는 그 경로의 하나 이상의 영역들에 케이블을 전환(diverting)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사장된 구조들(stayed structures)에서, 케이블들은 타워 근처에 위치된 상부 부분 및 다리의 바닥판(deck of a bridge)과 같은 현수식 구조(suspended structure)에 고정된(anchored) 하부 선단들(lower extremities)을 구비한다. 종래의 설계에서, 각 케이블의 상부 선단은 타워에 고정된다. 다른 사장된 구조들에서, 케이블은 일반적인 모양이 반전된 V자인 경로들을 따르며, 케이블들은 일반적으로 새들(saddle)로 불리는 장치에 의해 타워에서 전환된다.
새들에서, 케이블 연결대(cable strands)는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갖는 휘어진 경로들(curved paths)을 따른다. 바람직하게, 강선들은 새들을 따라 연속적으로(uninterruptedly) 연장한다. 원하지 않는 미끄러짐(slippage)을 피하기 위해, 강선들 및 새들 사이에 충분한 마찰이 제공되어야 한다.
PCT 출원 제WO 2007/121782 A1호는 새들을 개시하는 바, 케이블의 강선을 형성하는 각 연결대는 개별의 도관(conduit) 내에 수용되며, 도관의 벽(wall)은 연결대의 휘어진 경로를 포함하는 평면 중 하나에, 일반적으로 V자형 단면(cross-section)의 도관을 제공하는 두 개의 기울어진 면들을 나타낸다. V자형 도관의 단면은, 장력이 구조의 하중에 의해 연결대에 언제든 인가될 때 쐐기 효과(wedge effect)를 통해 연결대를 고정한다. 이러한 새들 설계는 결점들이 없지 않다. 특히, 연결대 및 도관의 벽 사이의 접촉들은 국소적이어서, 국소적 스트레스의 우수한 분배에 적합하지 않다. 게다가, 연결대의 각 피복(sheath)은 V자형 도관에 의해 비롯된 핀치력(pinching force)에 의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새들은 각 피복된(sheathed) 연결대의 사용과 양립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내식성(corrosion resistance)이 피복에 의해 제공된 절연(insulation)에 의해 강화되기 때문에, 각각의 피복된 연결대들은 구조 케이블들을 만드는 데에 자주 선호된다. 그러나, 만약 제WO 2007/121782 A1호의 새들을 갖는 이러한 연결대들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면, 피복들은 연결대의 금속을 충분히 절연하기 위한 특별한 방법의 사용이 요구되는 새들 내에 위치된 연결대들의 길이만큼은 제거되어야 한다. 복잡하고 비용이 클 수 있는 이러한 방법들에도 불구하고, 새들 근처의 강선들을 제거하는 것은 스테이들(stays)의 부식방지 보호의 약점을 초래하는 위험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언급한 문제들의 발생 빈도를 줄일 수 있는 새들의 다른 설계를 제안하는 바, 이는 특히 강선들을 따르는 휘어진 경로 내에 적절한 스트레스의 전달을 보장하는 것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신장된 강선들을 구비한 구조 케이블을 전환하기 위한 장치를 제안한다. 이 장치는 도관들에 의해 횡단된 몸체를 포함한다. 각 도관은 휘어진 경로를 따라 강선들 중 하나를 안내하는 벽을 가진다. 도관 벽은 경로의 만곡부의 내부 측면에 위치되고 강선을 지지하는 지지 영역을 구비하고, 휘어진 경로를 가로지르고 적어도 도관의 중심부에 위치한 지지 영역은, 강선의 외부 직경의 절반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경을 갖는 원호 모양의 단면을 나타낸다.
강선들(tendons)은 도관 내에 고정되어, 거칠기(roughness)가 다소 중요할 수 있는 도관 벽의 지지 영역 내에 강선에 대한 마찰에 의하여 휘어진 경로를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강선은, 그 반경이 강선에 적합한 원호의 모양에 의존하는, 특정 크기를 갖는 표면 위로 지지 영역과 접촉한다. 이 지지 영역은 케이블에 인가된 장력에 의해 가압된다.
강선과 그 도관들의 벽 사이에 전달된 스트레스의 우수한 분배에 따라, 전환 장치(deviation device)는 각각 금속 연결대 및 연결대를 둘러싸는 플라스틱 피복을 갖는 강선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피복은 도관 벽의 지지 영역에 인가됨에 의하여, 방해없이 새들을 통과하여 케이블 앵커(anchor)들에 도달한다.
지지 영역의 부분(section)의 원호의 모양을 위한 적어도 60°의 각 섹터(angular sector)는 많은 구성들에 충분한 마찰 블로킹을 제공하도록 결정된다. 이 각 섹터는 특히 90° 및 120°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도관들은 강선들이 어려움없이 엮이도록(threaded) 설계된 단면을 나타내는 데에 일반적으로 적합하다. 이러한 적합성은, 그 직경이 강선의 외부 직경보다 적어도 2mm 큰 원을 포함하도록 충분히 넓은(large) 단면을 제공함에 따라 획득될 수 있다.
지지 영역 외부에 도관의 중심부의 단면 모양은, 강선의 외부 직경보다 큰 직경의 아치(arch)일 수 있다. 아치형 모양, 원 모양은, 예를 들어 장치의 개별 도관들 사이에 위치되는 재료 내에 스트레스의 원치 않는 집중을 피한다.
장치의 측면들 중 하나에 케이블의 각도의 다양성의 확보를 수용하기 위하여, 도관은 그의 단면이 그 중심부의 적어도 한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방식으로 성형(shaped)될 수 있다. 확장은 경로의 만곡부의 내부 측면에서, 특히 도관의 중심부에 그 반경이 경로의 곡률 반경보다 적은 실질적으로 원형 모선(circular generatrix)을 따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환 장치는 구조 케이블을 수용하는 휘어진 튜브를 더 포함하며, 몸체는 휘어진 튜브 내에 내장된 도관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복수의 신장된 강선들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구조 케이블, 케이블의 선단들에서 강선들을 위한 앵커(anchor)들, 및 두 개의 앵커들 사이에 앞서 정의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전환 장치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사장교(cable-stayed bridge)와 같은 건설 작업(construction work)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어 있음.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따라 다음의 상세한 설명의 비-제한적 실시예로부터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장교의 도면이다.
도 2는 전환 장치의 실시예를 장착한 스테이(stay)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전환 장치에 속하는 도관의 축 방향 단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IV-IV 면을 따르는 전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케이블 강선이 내장된 도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와 유사한 단면도로서, 케이블의 설치 동안 도관 및 강선을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건설 작업의 실시예는 사장교(cable-stayed bridge)로 구성된다. 이러한 다리의 바닥판(deck)(1)은 일반적으로 타워 및 바닥판 사이에 비스듬한 경로들을 따르는 스테이(stay)(3)들을 통해 하나 이상의 타워들(2)에 의해 지지된다. 타워(2)에서, 각 스테이(3)는 여기에서 새들(saddle)로 언급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환 장치(deviation device)를 통해 연장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새들(5)은 타워(2)를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콘크리드(concrete) 내에 매립된 금속의 휘어진 튜브(curved metal tube)(6)를 구비한다. 휘어진 튜브(6)는, 예를 들어 강 튜브(steel tube)를 구부리는 것에 의해 성형되어, 타워(2)의 콘크리트가 채워지기 전에 적절한 기하학적 구성으로 위치된다. 여기서, 구조 케이블은 스테이(3)에 의해 형성되고, 방해없이 새들(5)을 통해 연장하는 복수의 신장된 강선들(tendons)(4)로 구성된다. 강선들(4)은 바람직하게 개별적으로 피복된 연결대들(sheathed strands)로 구성되며, 금속 연결대 및 그의 플라스틱 피복(sheath)은 모두 새들(5)과 연속된다(uninterrupted). 새들을 통해, 각 강선(4)은 개별의 도관(conduit)(10)에 의해 정의된 휘어진 경로(T)를 따른다(도 3 참조). 도관들(10)은 휘어진 튜브(6) 내에 내장된 주형된 재료(molded material)로 만들어진 몸체(7) 내에 형성된다.
새들(5)의 외관에서, 스테이(3)는 바닥판(1)에 설치된 두 개의 앵커들(anchors)(8)로 자유롭게 연장한다. 이 앵커들(8)은, 예를 들어 PCT 출원 제WO 00/75453 A1호에 개시된 것을 따를 수 있다.
새들(5) 내에 배열된 각 도관들(10)은 각각의 피복된 연결대를 수용한다. 그 중심부에서, 도관들(10)은 바람직하게 일정한 반경(R)의 휘어진 경로(T)를 따른다. 이 부분에서, 도관의 단면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모양을 가지며, 도관의 벽은 경로(T)의 만곡부의 내부 측면에 지지 영역(support area)(11)을 갖는다. 지지 영역(11)의 모양은 반경 r의 원호(circular arc)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관(10)의 중심부에 지지 영역(11)의 원호 모양의 반경(r)은 강선(4)의 외부 직경(external diameter)의 절반을 따른다. 따라서, 지지 영역(11)은 도관(10)의 벽 및 강선(4)의 주변부(periphery) 사이에 비교적 확장된 접촉 영역을 제공하여, 장력이 구조에 하중에 의해 인가되더라도 정위치에서 강선을 고정하기에 적합한 마찰력을 생성한다. 지지 영역이 위로 연장하는 각 섹터(angular sector)(α)는 바람직하게 적어도 60°이다. 더 바람직하게, 이 각 섹터(α)는 90°에서 120°의 범위에 있다.
도관(10)의 벽의 상부 부분(12)은, 도관의 만곡부의 외부 측면에서, 스테이를 설치할 때 강선(4)의 방해없는 도입을 허용하기 위해 지지 영역보다 더 넓다. 지지 영역(11) 외부에 도관의 중심부의 이러한 확장은, 그 직경이 강선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큰 호 모양으로 단면의 상부 부분(12)을 제공함에 따라 실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도관의 중심부에서 도관의 단면이 강선(4)의 외부 직경보다 적어도 2mm 큰 직경의 원(C)을 포함하도록 설계될 때, 도관 내에 강선(4)의 도입은 어려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강선(4)은 새들(5)에 대한 마찰(rubbing)없이 그의 도관을 통해 엮일(threaded) 수 있다. 그 단부에서, 이동 가능한 심(shim)(15)은, 예를 들어 엮이기 전에 플라스틱 재료의 리본 모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강선(4)이 설치되면, 심(15)은 제거되고, 그러면 강선(4)은 지지 영역(11) 내에 놓여진다.
도관(10)의 벽의 상부 부분(12)의 아치형 모양(arched shape)은, 특히 지지 영역(11)과 상부 부분(12)을 연결하는 반경 숄더들(radial shoulders)(13)을 갖고, 반경 r'>r인 원형 프로파일(circular profile)을 가질 수 있다. 아치의 둥근 모양은 새들(5)의 주형된 매트릭스(molded matrix)에서 발생하는 압축 스트레스(compressive stress)의 수직적 흐름(vertical flow)에 적합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관(10)의 단면은 중심부의 한 측면에서 외부를 향해 확장한다. 도 3에 도시된 이러한 확장은 케이블이 받는 하중의 변화로부터 초래되는 강선들의 휘어짐(deflection)을 안내(guide)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경로(T)의 만곡부(curvature)의 내부 측면에서, 도관(10)의 단면의 확장은 그 모양이 바람직하게 도관(10)의 중심부에서 경로(T)의 곡률 반경(R)보다 더 적은 반경(R')을 갖는 원 모양인 모선(generatrix)을 따를 수 있다. 반경(R')이 일정하다는 사실은, 강선(4)에 대한 휨 응력(bending stress)이 제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양쪽 단부들에서의 도관(1)의 단면의 확장은 도 4에 도시된 모양의 동조적인 변환(homothetic transformation)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변형(variant)은 도관 부분의 내부 부분을 바깥쪽으로 점진적으로 넓히는 것을 포함하여, 이 변형은 새들(5)의 외부 면을 따라 반경(r')의 원을 향하는 경향을 보인다. 다른 변형은, 도관(10)의 일정한 부분의 중심부의 일 측면에, 가장 작은 직경이 r'와 동일한 원 단면의 트럼펫 모양 확장(trumpet-shaped)을 제공한다. 이 경우, 확장은 도관(10)의 개구부(opening)에 위치된 기계화된 가이드 조각(machined guide piece)으로 간단히 실현될 수 있다.
도관들(10)의 중심부는 새들(5)의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재료,즉 충진 모르타르(filler mortar) 내에 주형되는 것(molded)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관들(10)의 모양을 갖는 음각의 주형들(negative molds)은 휘어진 튜브(6) 내에 배치된다. 그들의 위치들 및 가로지르는 공간은 튜브(6) 내에 규칙적으로 비워진(regularly spaced) 가이드들(guides)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면 튜브(6)는 고-저항 모르타르(high-resistance mortar)와 같은 경화 가능한(hardenable) 재료로 채워진다. 그러면 주형의 기계적 파괴, 또는 용해(dissolution), 또는 수축(shrinkag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주형되지 않음(unmolding)이 일어날 수 있다. 주형에 의한 새들의 이러한 현상은 공장(factory)에서 일어날 수 있다. 작업장에서, 새들은 타워로 들어올려지고(lifted) 미리 결정된 위치에 놓여진다. 타워가 완성되면, 스테이의 강선들(4)은 들어올려지고, 새들(5)을 통해 엮이며, 바닥판(1)에 고정된다.
상기 설명한 새들(5)의 이점 중 하나는, 이는 개별적으로 피복된 연결대들로 구성된 강선들(4)의 사용과 양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강선(4)의 부분은, 도 5 및 도 6에서 연결대의 꼬여진 금속의 와이어들을 나타내는 도면 번호(16) 및 상기 와이어들을 둘러싸는 플라스틱의 피복을 나타내는 도면 번호(17)로 보여진다. 와이어들(16)은 일반적으로 아연 도금된 강(galvanized steel)을 포함하고, 피복(17)은 HDPE(high-density polyethylene)을 포함한다. 유연한 필 재료(flexible fill material)는 금속의 와이어들(16) 사이 및 와이어들(16)과 피복(17) 사이의 공간들을 채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피복된 연결대는 원형의 외부 부분을 갖는다. 그러면 도관들(10)의 지지 영역(11)은 피복된 연결대와 같은 반경(r)을 갖도록 설계된다. 실제로, 도관의 벽을 가압하는 피복(17)의 플라스틱 재료의 흐름이 허용 가능한 정도의 범위인 확장에 대하여, 지지 영역(11) 및 강선(4)의 외부 부분 사이에서 살짝 다른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유사하게, 강선(4)의 외부 단면은 금속 연결대에 피복(17)의 압출(extrusion)을 따라, 정확히 원은 아니나 예를 들어 둥근 모서리를 갖는 육각형인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강선의 외부 직경"은 강선의 단면이 내접될 수 있는 가장 작은 원의 직경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강선의 외부 직경"의 이 정의는 또한 피복되지 않은 금속 연결대에도 유효하다. 바람직하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의 후자의 경우, 신장된 강선 및 도관의 지지 영역(11) 사이의 접촉은 접점들 없이 나선형 선들을 따른다.
상기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들이다. 다양한 변형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기초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환 장치는 다른 스테이들보다 구조 케이블들에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6)

  1. 도관들(10)에 의해 횡단된 몸체(7)를 포함하며,
    각 도관은 휘어진 경로(T)를 따라 강선들 중 하나를 안내하는 벽을 구비하고, 도관 벽은 경로의 만곡부의 내부 측면에 위치되고 강선을 지지하는 지지 영역(11)을 구비하고, 적어도 도관의 중심부 내에서 휘어진 경로를 가로지르는 지지 영역은 강선의 외부 직경의 절반과 동일한 반경(r)을 갖는 원호 모양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관의 중심부는 지지 영역 외부에 확장된 단면을 갖는,
    복수의 신장된 강선(4)을 구비한 구조 케이블(3)을 전환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 영역(11)의 단면의 원호 모양은 적어도 60°의 각 섹터(α) 이상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신장된 강선(4)을 구비한 구조 케이블(3)을 전환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관(10)의 중심부는, 지지 영역(11) 외부에서, 강선(4)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호 모양의 단면을 나타내는,
    복수의 신장된 강선(4)을 구비한 구조 케이블(3)을 전환하는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관(10)의 단면은 강선(4)의 외부 직경보다 적어도 2mm 큰 직경을 갖는 원(C)을 포함하도록 설계된,
    복수의 신장된 강선(4)을 구비한 구조 케이블(3)을 전환하는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관(10)의 단면은 중심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확장하는,
    복수의 신장된 강선(4)을 구비한 구조 케이블(3)을 전환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도관(10)의 단면의 바깥쪽 확장은, 경로(T)의 만곡부의 내부 측면에서, 도관의 중심부에 경로의 곡률 반경(R)보다 작은 반경(R')을 갖는 원형의 모선을 따르는,
    복수의 신장된 강선(4)을 구비한 구조 케이블(3)을 전환하는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구조 케이블(3)을 수용하는 휘어진 튜브(6)를 더 포함하며, 몸체(7)는 휘어진 튜브 내에 내장된 도관들(10)을 구비하는,
    복수의 신장된 강선(4)을 구비한 구조 케이블(3)을 전환하는 장치.
  8. 복수의 신장된 강선(4)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구조 케이블(3);
    케이블의 선단들에서 강선들을 위한 앵커들(8); 및
    앵커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전환 장치를 포함하며,
    케이블 전환 장치는 도관들(10)에 의해 횡단되는 몸체(7)를 포함하고,
    각 도관은 휘어진 경로(T)를 따르는 강선들 중 하나를 안내하는 벽을 구비하고,
    도관 벽은 경로의 만곡부의 내부 측면에 위치되고 강선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영역(11)을 구비하며, 적어도 도관의 중심부 내에서 휘어진 경로를 가로지르는 지지 영역은, 강선의 외부 직경의 절반과 동일한 반경(r)을 갖는 원호 모양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관의 중심부는 지지 영역 외부에 확장된 단면을 갖는, 건설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지지 영역(11)의 단면의 원호 모양은 적어도 60°의 각 섹터(α) 이상으로 연장하는 건설 구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도관(10)의 중심부는 지지 영역(11) 외부에서, 강선(4)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호 모양의 단면을 나타내는 건설 구조.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도관(10)의 단면은 강선(4)의 외부 직경보다 적어도 2mm 큰 직경을 갖는 원(C)을 포함하도록 설계된 건설 구조.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도관(10)의 단면은 중심부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확장하는 건설 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도관(10)의 단면의 바깥쪽 확장은, 경로(T)의 만곡부의 내부 측면에서, 도관의 중심부에 경로의 곡률 반경(R)보다 작은 반경(R')을 갖는 원형의 모선을 따르는 건설 구조.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강선(4)은 금속의 와이어(16) 및 와이어 둘레에 플라스틱 재료의 피복(17)을 갖고,
    피복은 도관(10)의 벽의 지지 영역(11)에 대항하여 적용되는 건설 구조.
  15.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사장교 형태에서, 전환 장치(5)는 다리의 타워(2)에 설치되고, 앵커들(8)은 다리의 바닥판(1)에 설치되는 건설 구조.
  16.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전환 장치는 구조 케이블(3)을 수용하는 휘어진 튜브(6)를 더 포함하고, 몸체(7)는 휘어진 튜브 내에 내장된 도관들(10)을 구비하는 건설 구조.
KR1020137017147A 2010-12-08 2011-12-07 받침줄과 같은 구조 케이블을 전환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Active KR101928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060270 2010-12-08
FR1060270A FR2968681B1 (fr) 2010-12-08 2010-12-08 Dispositif de deviation d'un cable de structure tel qu'un hauban, et ouvrage ainsi equipe
PCT/FR2011/052897 WO2012076815A2 (fr) 2010-12-08 2011-12-07 Dispositif de deviation d'un cable de structure tel qu'un hauban, et ouvrage ainsi equ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415A KR20130123415A (ko) 2013-11-12
KR101928970B1 true KR101928970B1 (ko) 2018-12-13

Family

ID=4451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147A Active KR101928970B1 (ko) 2010-12-08 2011-12-07 받침줄과 같은 구조 케이블을 전환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959692B2 (ko)
EP (1) EP2649239B1 (ko)
JP (1) JP6177134B2 (ko)
KR (1) KR101928970B1 (ko)
CN (1) CN103476993B (ko)
CA (1) CA2820024C (ko)
DK (1) DK2649239T3 (ko)
ES (1) ES2624267T3 (ko)
FR (1) FR2968681B1 (ko)
HU (1) HUE032808T2 (ko)
MX (1) MX357990B (ko)
PL (1) PL2649239T3 (ko)
PT (1) PT2649239T (ko)
RU (1) RU2594246C2 (ko)
WO (1) WO201207681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L2703331T3 (pl) * 2012-09-03 2015-06-30 Soletanche Freyssinet System ciągowy stosujący linę wielocięgnową z kątem odchylenia
CN102966040B (zh) * 2012-11-21 2016-02-17 安徽佳路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斜拉桥索鞍及其制造方法
CN104018433B (zh) * 2014-05-23 2016-04-27 中交隧道工程局有限公司 一种桥梁体外预应力钢索转向靴-外套管转向器
ES2589038B1 (es) * 2015-05-04 2017-09-08 Técnicas Del Pretensado Y Servicios Auxiliares, S.L. Desviador para postesado exterior de viaductos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WO2016180485A1 (en) * 2015-05-12 2016-11-17 Vsl International Ag Cable deviation saddle
CN108239937B (zh) * 2017-09-14 2021-12-28 贵州桥梁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拱桥塔架自平衡控制方法
GB202005303D0 (en) * 2020-04-09 2020-05-27 Gripple Ltd Anchor
WO2022111811A1 (en) 2020-11-27 2022-06-02 Dywidag-Systems International Gmbh Guiding device and combination of a guiding device with at least one strand
MX2024006330A (es) * 2021-11-24 2024-06-21 Felix Sorkin Soporte de mezcla de polímeros para puente atirantad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10423U1 (de) * 1988-08-18 1988-11-10 Dyckerhoff & Widmann AG, 8000 München Vorrichtung zur Auflagerung eines Zugglieds an einer Abstützung
JP2009534555A (ja) * 2006-04-20 2009-09-24 ファウ・エス・エル・インターナツイオナー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ストランドの案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2668A (en) * 1961-02-23 1964-10-13 Reliable Electric Co Anchor arrangement for the pole end of a guy wire
GB1419997A (en) * 1972-05-08 1976-01-07 Triple Bee Prestress Pty Ltd Device for anchoring or coupling cables
FR2511721A1 (fr) * 1981-08-21 1983-02-25 Freyssinet Int Stup Dispositif de raccordement incurve entre deux portions rectilignes d'un cable tendu
FR2527246A1 (fr) * 1982-05-21 1983-11-25 Freyssinet Int Stup Perfectionnements aux gaines de precontrainte et a leurs procedes de fabrication
US4574545A (en) * 1984-03-30 1986-03-11 Breivik-Reigstad, Inc. Method for installing or replacing tendons in prestressed concrete slabs
CH676617A5 (ko) * 1987-03-13 1991-02-15 Dyckerhoff & Widmann Ag
DE3838069C2 (de) * 1988-11-10 1995-12-14 Hochtief Ag Hoch Tiefbauten Transport- und einbetonierfähiges Spannbewehrungsaggregat für das Vorspannen von Stahlbetonbauwerken
FR2656883B1 (fr) * 1990-01-11 1992-08-28 Freyssinet Int Stup Perfectionnements aux ponts a haubans et plus particulierement a leurs haubans, pylones et tabliers.
FR2663975B1 (fr) * 1990-06-29 1993-07-09 Freyssinet Int Stup Perfectionnements aux ponts a haubans et plus particulierement a leurs pylones et haubans.
JP2709279B2 (ja) * 1994-12-17 1998-02-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斜張橋の主塔側斜張ケーブル用サドル構造体
JP3840626B2 (ja) * 1998-01-27 2006-11-01 株式会社タイムスエンジニアリング 防錆pc鋼材設置構造
JP3373426B2 (ja) * 1998-03-31 2003-02-04 神鋼鋼線工業株式会社 斜張橋ケーブル用サドル構造体
EP1013830A1 (fr) * 1998-12-24 2000-06-28 Freyssinet International Stup Dispositif et procédé de fixation entre un element de construction et un cable de structure, et pont suspendu comportant de tels dispositifs
FR2794484B1 (fr) 1999-06-03 2001-08-03 Freyssinet Int Stup Dispositif d'ancrage d'un cable de structure
US6880193B2 (en) * 2002-04-02 2005-04-19 Figg Bridge Engineers, Inc. Cable-stay cradle system
DE202004008620U1 (de) * 2004-06-01 2005-10-13 Dywidag-Systems International Gmbh Ausbildung eines korrisionsgeschützten Zugglieds im Bereich einer an einer Abstützung angeordneten Umlenkstelle, insbesondere eines Schrägseils am Pylon einer Schrägseilbrücke
BR112012023929B1 (pt) * 2010-03-26 2019-07-02 Vsl International Ag Travessão de ponte e método para proteger cordas de corrosão em um travessão de pon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810423U1 (de) * 1988-08-18 1988-11-10 Dyckerhoff & Widmann AG, 8000 München Vorrichtung zur Auflagerung eines Zugglieds an einer Abstützung
JP2009534555A (ja) * 2006-04-20 2009-09-24 ファウ・エス・エル・インターナツイオナール・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ストランドの案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649239T3 (en) 2017-05-15
MX2013006537A (es) 2013-08-01
WO2012076815A3 (fr) 2012-08-09
FR2968681B1 (fr) 2015-05-29
US8959692B2 (en) 2015-02-24
CA2820024A1 (fr) 2012-06-14
US20130255170A1 (en) 2013-10-03
WO2012076815A2 (fr) 2012-06-14
RU2594246C2 (ru) 2016-08-10
JP2013544997A (ja) 2013-12-19
RU2013131103A (ru) 2015-01-20
CN103476993A (zh) 2013-12-25
HK1190764A1 (zh) 2014-07-11
PL2649239T3 (pl) 2017-08-31
PT2649239T (pt) 2017-05-19
ES2624267T3 (es) 2017-07-13
JP6177134B2 (ja) 2017-08-09
FR2968681A1 (fr) 2012-06-15
MX357990B (es) 2018-07-31
CA2820024C (fr) 2018-12-11
HUE032808T2 (en) 2017-11-28
EP2649239B1 (fr) 2017-02-08
EP2649239A2 (fr) 2013-10-16
CN103476993B (zh) 2016-04-06
KR20130123415A (ko) 201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970B1 (ko) 받침줄과 같은 구조 케이블을 전환하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건설
US9850630B2 (en) Cable anchorage with bedding material
JP5567205B2 (ja) 封止機構
KR101530643B1 (ko) 교량주탑용 새들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정착방법
US7299516B2 (en) Construction of a corrosion-resistant tension member in the area of a rerouting point arranged on a support, particularly an inclined cable on the pylon of a cable stayed bridge
JP7461700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版の接合構造
EP4118360B1 (en) Cable bending limiting arrangement and combination of a cable bending limiting arrangement with a cable, an anchorage, a compacting clamp unit and a recess pipe
KR102299749B1 (ko) 후핑 보강재를 위한 스페이서를 가진 고정 장치
JP4335151B2 (ja) 土木工学構造体ケーブル
US6385928B1 (en) Tension member
KR101849254B1 (ko) 강연선의 내부식성과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특성이 향상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교량용 거더
JP4104826B2 (ja) 緊張ケーブル偏向具
RU2131010C1 (ru)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напряженное железобетонное сооружение
JP4453857B2 (ja) 外ケーブルトラスpc橋梁の外ケーブル張設装置
HK1190764B (en) Device for deviating a structural cable such as a stay and a construction work so equipped
KR20190001889A (ko) 강연선의 내부식성과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특성이 향상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그라우팅 장치
JP7026601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桁および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JP2005207218A (ja) ケーブル保護および固定方法
KR100935636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보강용 강선의 굴곡완화방법 및 그 장치
HK1220498B (en) Cable anchorage with bedding material
KR20090115695A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용 강선의 보호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