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7120B1 -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7120B1
KR101927120B1 KR1020160105367A KR20160105367A KR101927120B1 KR 101927120 B1 KR101927120 B1 KR 101927120B1 KR 1020160105367 A KR1020160105367 A KR 1020160105367A KR 20160105367 A KR20160105367 A KR 20160105367A KR 101927120 B1 KR101927120 B1 KR 101927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partition wall
circuit board
ope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0668A (ko
Inventor
이완규
이준호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5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712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7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71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5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encapsulation, e.g. waterproof resin forming an integral casing, injection mou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9Other details of the casing, e.g. wall structure, passage for a connector, a cable, a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기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기판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기판 조립체; 및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를 막는 내부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격벽의 전면에는 실링재가 주입되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ELECTRONIC CONTROL UNIT HAVING INNER WALL}
본 발명은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우징 내부의 방수 실링을 위한 새로운 구조를 제공하는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에 대한 것이다.
제어를 위한 전자 소자와 상기 전자 소자가 장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자 제어 장치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대표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장치를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 등의 전자 제어 장치가 탑재된다. 이러한 전자 제어 장치는 차량의 각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이렇게 제공받은 정보를 처리하여 차량의 승차감 및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거나, 운전자 및 탑승자에게 각종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여러 전자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ECU 등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자 제어 장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되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 PCB)과, 외부의 소켓 연결을 위해 상기 회로 기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넥터 등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로 기판에는 다양한 전자 소자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자 소자 중에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전자 소자도 포함된다. 발열 전자 소자에서 발생한 열은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 발산된다.
상기 회로 기판에 포함되는 전자 소자의 보호를 위해 하우징과 커넥터의 결합면은 방수가 가능하도록 실링재를 구비하거나 회로 기판 전체를 실링재로 몰딩하거나, 하우징의 내부에 실링재를 충진하는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그런데, 하우징과 커넥터의 결합면이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경우 실링재를 이용하여 충분한 방수 기능을 달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내부에 실링재를 충진하거나 회로 기판 전체를 실링재로 몰딩하는 경우 필요한 실링재의 양이 많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0272150호 (2006.12.07. 공개)
본 발명은 커넥터와 하우징의 결합면을 효과적으로 실링하여 방수 성능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한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기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기판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기판 조립체; 및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를 막는 내부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격벽의 전면에는 실링재가 주입되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의 전면에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내측핀이 위치하고, 상기 실링재는 상기 커넥터 내측핀과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내부 격벽의 전면에 충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에는 상기 내부 격벽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격벽 안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격벽 안치부는 단턱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은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격벽과, 상기 회로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격벽과 제 2 격벽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돌기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와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내측핀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제 2 격벽이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 내측에 형성된 제 1 격벽 안치부에 안치되는 제 1 테두리와 상기 제 1 테두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후퇴된 형상의 제 1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 내측에 형성된 제 2 격벽 안치부에 안치되는 제 2 테두리와 상기 제 2 테두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후퇴된 형상의 제 2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재는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커넥터 내측핀을 감싸도록 상기 내부 격벽의 전면에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 기판이 삽입되고 커넥터가 결합되는 하우징 내에 내부 격벽을 구비하고, 내부 격벽의 외측에서 방수를 위한 실링재를 주입하여 내부 격벽의 외측에서 실링재가 커넥터의 일부를 감싸면서 충진된다.
이에 따라, 실링재를 과도하게 사용하지 않아도 커넥터와 하우징의 결합면 사이의 효과적인 방수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와 하우징의 결합면이 복잡한 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실링재가 내부 격벽의 전면에 충진되어 방수 기능을 간단하게 충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 격벽을 커넥터 기판 조립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도 1의 A-A' 방향)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 격벽의 외측에서 실링재를 충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10)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는 커넥터-기판 조립체(30)와, 상기 하우징(20)의 개방부 방향에 구비되며 하우징(20)의 내부와 외부를 구획하는 내부 격벽(50, 60)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기판 수용공간(22)을 형성하는 통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상하 분리된 구조물(예를 들면 하부의 베이스와 상부의 커버)을 결합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20)의 개방부에는 격벽 안치부(24, 26)가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기판 조립체(30)는 커넥터(32)와, 상기 커넥터(32)에 연결된 또는 커넥터(32)가 고정된 회로 기판(4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터(32)는 하나만이 구비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32a)와 제 2 커넥터(32b)를 포함하여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터(32a)와 제 2 커넥터(32b)는 같은 종류 또는 서로 다른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소자(미도시)가 구비된다. 회로 기판(40)은 하우징(20)의 기판 수용공간(22)으로 삽입된다. 커넥터-기판 조립체(30)를 하우징(20)에 결합하면, 회로 기판(40)은 기판 수용공간(22) 내에 위치하고 커넥터(32)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20)의 개방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다.
하우징(20)의 개방부에는 내부 격벽(50, 60)이 구비된다. 내부 격벽(50, 60)은 하우징(20)의 개방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 격벽(50, 60)은 커넥터(3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우징(20)의 개방부에 위치한다. 내부 격벽(50, 60)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격벽(50, 60)은 회로 기판(40)을 사이에 두고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격벽(50)과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격벽(60)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격벽(50)은 상부와 좌측과 우측을 이루는 제 1 테두리(52)와 상기 제 1 테두리(52)와 연결되며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제 1 공간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테두리(52)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삽입공(5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부(54)는 그 내측에 커넥터(32)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간부(54)는 하우징(20)의 내측 방향으로 우묵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 삽입공(56)에는 고정나사(58)가 삽입되고, 고정나사(58)는 하우징(20)의 소정 위치에 결합함으로써 제 1 격벽(50)이 하우징(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격벽(60)은 하부와 좌측 및 우측을 이루는 제 2 테두리(62)와 상기 제 2 테두리(62)와 연결되며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공간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부(64)는 하우징(20)의 내측 방향으로 우묵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격벽(50)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부(58)가 형성되고, 제 2 격벽(60)에는 상방을 향한 오목부(6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58)는 오목부(68)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58)는 제 2 격벽(60)에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68)는 제 1 격벽(50)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 격벽을 커넥터 기판 조립체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내부 격벽(50, 60)은 커넥터-기판 조립체(30)와는 별도로 하우징(20)의 개방부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도 3은 내부 격벽(50, 60)을 커넥터-기판 조립체(30)에 함께 조립한 상태를 예시한다.
커넥터(32)와 회로 기판(40)을 포함하는 커넥터-기판 조립체(30)에 제 1 격벽(50)과 제 2 격벽(60)을 결합한다. 제 1 격벽(50)은 회로 기판(40)의 상부에 위치하고, 제 2 격벽(60)은 회로 기판(4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회로 기판(40)에는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42)이 적어도 하나 형성된다. 제 1 격벽(50)의 하단에 구비된 돌기부(58)는 상기 관통공(42)을 통과하여 제 2 격벽(60)에 구비된 오목부(68)에 결합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58)와 상기 오목부(68)는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하거나 상기 돌기부(58)에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돌기부(58)가 오목부(68)에 결합시 상호 분리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도 1의 A-A' 방향)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기판 조립체(30)와 내부 격벽(50, 60)을 하우징(20) 내에 결합한 상태가 상세히 도시된다.
커넥터(32)에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외부핀(34a)과 회로 기판(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내부핀(34b)이 구비된다. 커넥터 내부핀(34b)는 회로 기판(40)의 일측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32)는 회로 기판(40)에 별도의 구조물에 의해 고정되거나, 강성을 갖는 커넥터 내부핀(34b)이 회로 기판(40)에 고정됨에 따라 커넥터 내부핀(34b)에 연결된 커넥터(32)가 회로 기판(40)에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32)로부터 하우징(20)의 기판 수용공간(22) 방향에는 내부 격벽(50, 60)이 구비된다.
하우징(20)의 개구 측에는 제 1 격벽 안치부(24)와 제 2 격벽 안치부(2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격벽 안치부(24)는 하우징(20)의 개구의 상부에서 양측 일부까지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또한, 제 2 격벽 안치부(26)는 하우징(20)의 개구의 하부에서 양측 일부까지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격벽 안치부(24)와 제 2 격벽 안치부(26)는 단턱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격벽(50)의 제 1 테두리(52)는 상기 제 1 격벽 안치부(24)에 안치된다. 제 2 격벽(60)의 제 2 테두리(62)는 상기 제 2 격벽 안치부(26)에 안치된다. 이에 따라 제 1 격벽(50)과 제 2 격벽(60)은 하우징(20)의 개구로부터 내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위치될 수 있다.
제 1 격벽(50)의 제 1 공간부(54)와 제 2 격벽(60)의 제 2 공간부(64)는 상기 제 1 테두리(52)와 제 2 테두리(54)보다 하우징(20)의 내측으로 후퇴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공간부(54)와 제 2 공간부(64)의 전면(즉, 커넥터(32) 방향)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공간부(54)와 제 2 공간부(64)에는 커넥터(32)의 커넥터 내부핀(34b)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에 있어서 내부 격벽의 외측에서 실링재를 충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에 커넥터-기판 조립체(30)와 내부 격벽(50, 60)을 결합한 상태에서는 하우징(20)의 개방부가 완전히 밀봉되지 않는다.
이에, 하우징(20)에 커넥터-기판 조립체(30)와 내부 격벽(50, 60)을 결합한 후, 내부 격벽(50, 60)의 전면에 실링재(70)를 충진한다. 실링재(70)는 수지(resin)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70)는 에폭시(epoxy) 계열의 수지일 수 있다. 실링재(70)는 충진된 이후 경화될 수 있다.
실링재(70)가 내부 격벽(50, 60)의 전면부를 채움에 있어, 하우징(20)의 내부와 외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링재(70)는 커넥터(32)의 외부 일부를 포함하는 한편, 커넥터 내부핀(34b)을 모두 감싸도록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재(70)가 커넥터 내부핀(34b)을 모두 감싸도록 충진됨으로써 커넥터 내부핀(34b)의 전기적 절연을 가능하도록 한다.
내부 격벽(50, 60)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커넥터(32)의 외주면과 하우징(20)의 내측면 사이에 실링을 위한 별도 구조물을 개재하여야 하는 불편이 존재하였다. 이 경우, 커넥터(32)의 외주면의 형상이 복잡하다면 실링을 위한 구조물의 형상도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는 커넥터(32)의 내측으로 실링재를 충진하는 경우 충분한 기밀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많은 실링재를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충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격벽(50, 60)에 의해 하우징(20)의 개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내부 격벽(50, 60)의 전면에 실링재를 충진하면 되므로 충진되는 실링재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고, 보다 확실한 기밀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충진된 실링재(70)에 의해 하우징(20)의 개구에 위치된 커넥터(32)가 함께 고정될 수 있어 실링재(70)는 방수 기능과 더불어 커넥터(32)를 고정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내부 격벽(50, 60)은 커넥터(32)보다 하우징(20)의 더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내부 격벽(50, 60)의 단부는 커넥터(32)의 몸체에 접촉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32)의 커넥터 내부핀(34b)은 내부 격벽(50, 60)보다 하우징(2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자 제어 장치 20 : 하우징
22 : 기판 수용공간 24 : 제 1 격벽 안치부
26 : 제 2 격벽 안치부 30 : 커넥터-기판 조립체
32 : 커넥터 40 : 회로 기판
42 : 관통공 50 : 제 1 격벽
52 : 제 1 테두리 54 : 제 1 공간부
56 : 나사 삽입공 58 : 돌기부
60 : 제 2 격벽 62 : 제 2 테두리
64 : 제 2 공간부 68 : 오목부
70 : 실링재

Claims (9)

  1. 내부에 기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일면에 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기판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개구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기판 조립체; 및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를 막는 내부 격벽;
    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격벽의 전면에는 실링재가 주입되어 충진되며,
    상기 내부 격벽은 상기 회로 기판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1 격벽과, 상기 회로 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격벽과 제 2 격벽 중 어느 하나에는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부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돌기부가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에는 상기 내부 격벽의 테두리를 지지하는 격벽 안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 안치부는 단턱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격벽을 구비한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내측핀이 전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격벽과 상기 제 2 격벽이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 내측에 형성된 제 1 격벽 안치부에 안치되는 제 1 테두리와 상기 제 1 테두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후퇴된 형상의 제 1 공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격벽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 내측에 형성된 제 2 격벽 안치부에 안치되는 제 2 테두리와 상기 제 2 테두리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방향으로 후퇴된 형상의 제 2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재는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커넥터 내측핀을 감싸도록 상기 내부 격벽의 전면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격벽의 전면에는 상기 커넥터와 상기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 내측핀이 위치하고, 상기 실링재는 상기 커넥터 내측핀과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내부 격벽의 전면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KR1020160105367A 2016-08-19 2016-08-19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Active KR101927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367A KR101927120B1 (ko) 2016-08-19 2016-08-19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367A KR101927120B1 (ko) 2016-08-19 2016-08-19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668A KR20180020668A (ko) 2018-02-28
KR101927120B1 true KR101927120B1 (ko) 2018-12-10

Family

ID=6140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367A Active KR101927120B1 (ko) 2016-08-19 2016-08-19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7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9201B1 (ko) * 2023-05-09 2024-12-05 주식회사 제이티하네스 전기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9340A (ja) * 2010-10-19 2012-05-10 Sumitomo Wiring Syst Ltd 機器用コネクタ
JP2014146522A (ja) * 2013-01-30 2014-08-1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車載用電子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9340A (ja) * 2010-10-19 2012-05-10 Sumitomo Wiring Syst Ltd 機器用コネクタ
JP2014146522A (ja) * 2013-01-30 2014-08-14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車載用電子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668A (ko)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158B1 (ko) 전기 커넥터에 사용되는 실 및 이것을 사용하는 방법
US9190766B2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ing water proof type housing sealing and method thereof
CN101946381B (zh) 电接线箱的防水结构
US20140321079A1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using water proof type housing sealing and method thereof
ES2690571T3 (es) Dispositivo enchufable configurado como acoplamiento o enchufe macho
EP3468319B1 (en) Electronic control unit
US20130100620A1 (en) Electrica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Suitable for Contacting With a Connector
KR20180125497A (ko) 회전 커넥터 장치
JP4966647B2 (ja) 電気接続箱のシール構造
US9692171B2 (en) Waterproof connector
JP6148598B2 (ja) コネクタ
KR101927120B1 (ko) 내부 격벽을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CN216560973U (zh) 用于电子器件的外壳
KR102030824B1 (ko) 전자 제어 장치
JP6366071B2 (ja) 電子装置
KR101948101B1 (ko) 전자 제어 장치
KR101846199B1 (ko) 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US20220386492A1 (en) Housing for electronic components, and control unit
US20190124779A1 (en) Cover structure and electric connection box
JP6904988B2 (ja) 電気接続箱
KR20180009869A (ko) 차량 도어 커넥터의 와이어 커버 실링구조
KR102019379B1 (ko) 일체형 전자 제어 장치
KR101856070B1 (ko) 전자 제어 장치의 커넥터 결합 구조
JP2009117674A (ja) 筐体装置
US10320170B2 (e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