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6988B1 -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 Google Patents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988B1
KR101926988B1 KR1020170088218A KR20170088218A KR101926988B1 KR 101926988 B1 KR101926988 B1 KR 101926988B1 KR 1020170088218 A KR1020170088218 A KR 1020170088218A KR 20170088218 A KR20170088218 A KR 20170088218A KR 101926988 B1 KR101926988 B1 KR 101926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water
pot
nutrient solution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일
Original Assignee
박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일 filed Critical 박경일
Priority to KR1020170088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9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7Grids for supporting several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6Reservoirs, separate from plant-pots, dispensing directly into root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7Channels or gutters, e.g. for hydroponic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pon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적호스를 이용하여 물과 양액을 포트 받침에 공급하되, 포트 받침은 점적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과 양액이 종횡으로 배치된 각각의 포트 홀에 균일한 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포트 홀에는 소정 높이에 오버 홀이 천공되어 각 포트 홀에 끼워진 육묘 포트에 저면으로부터 물과 양액이 공급되면서 잉여의 물과 양액은 오버 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최소량의 물과 양액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종횡으로 복수의 포트 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포트 홀(110) 사이에는 점적호스 안치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점적호스 안치홈(120)에서 상기 포트 홀(110)의 내측으로 물 유입로(130)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 홀(110)에는 소정 높이에 오버 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A Bottom watering type raise seedling pot tray}
본 발명은 특히 딸기 모종을 육묘하는데 적합한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으로, 상세히는 점적호스를 이용하여 물과 양액을 포트 받침에 공급하되, 포트 받침은 점적 호스에서 공급되는 물과 양액이 종횡으로 배치된 각각의 포트 홀에 균일한 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포트 홀에는 소정 높이에 오버 홀이 천공되어 각 포트 홀에 끼워진 육묘 포트에 저면으로부터 물과 양액이 공급되면서 잉여의 물과 양액은 오버 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최소량의 물과 양액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딸기 모종을 비롯한 각종 농작물이나 원예용 모종은 시설 하우스 내부에서 스프링클러를 이용한 두상관수법이나 특허문헌 1 내지 3과 같은 점적호스를 이용한 점적관수법 등을 이용하여 육묘하고 있는데, 이러한 두상관수법이나 점적관수법에서는 공기 중의 탄저균이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된 물방울 또는 점적호스에서 배출된 물과 양액을 매개로 하여 육묘장 전체로 넓게 확산되는 폐단이 있었고, 물과 양액의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었으며, 스프링클러 설비 및 점적 호스의 설치에 상당한 시간과 재료 및 비용과 인력을 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두상관수법이나 점적관수법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저면 관수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저면관수법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4의 저면관수용 포트 받침을 사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기술에 개시된 저면 관수 시스템에 있어서는 넓은 물받침시설을 해주어야 하고, 기술적으로 일정한 시간 동안 충분한 물과 양액을 공급한 후 완벽한 배수를 시행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물과 양액의 낭비 또한 심하여 저면 관수 방식이 갖고 있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이면서도 건실한 모종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남아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문헌 5의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특허문헌 6의 포트 저면 관수용 급수장치, 특허문헌 7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등도 개시되어 있으나, 이들 종래기술 또한 물과 양액의 급수량을 균일하게 제어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이의 100% 배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76048호(2008.12.18.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402563호(2014.05.26.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699854호(2017.01.19.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567546호(2015.11.03.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27144호(2010.12.03.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10981호(2013.01.30.공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29064호(2006.10.11.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포트와 물받침 시설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기존의 저면관수에 의한 육묘방식에서의 단점이던 많은 양의 물과 양액의 소비를 줄일 수 있으며, 바닥의 기울기에 의한 일정하지 않은 물 공급과 100% 배수가 되어야 하는 저면관수식 물받침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육묘시설이 간편하고 저렴한 점적호스 방식을 사용하되 저면관수에 의한 육묘방법에서와 같이 물과 양액이 포트의 저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뿌리가 하부로 곧게 뻗어내릴 수 있도록 하여 건실한 자묘의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모주에서 런너(기는 줄기)가 발생하여 육묘포트에서 번져나갈 때 각 포트의 구간별 급수 조절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딸기 육묘시 물과 양액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개선된 구조의 저면관수식 육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횡으로 복수의 포트 홀이 형성되고, 상기 포트 홀 사이에는 점적호스 안치홈이 형성되며, 상기 점적호스 안치홈에서 상기 포트 홀의 내측으로 물 유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 홀에는 소정 높이에 오버 홀이 형성된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을 제공한다.
상기 포트 홀의 바닥은 중간부가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그 외곽으로 링형 홈이 형성되어 물 유입로에서 유입된 물이 포트 홀의 외곽 전체에 걸쳐 공급이 됨과 동시에 급수가 차단되게 되면 육묘 포트의 바닥이 물에 잠기지 않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뿌리의 건전한 생장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포트 홀은 육묘포트의 각 개별포트의 일부만이 끼워질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어 내부 용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저면 관수시 사용되는 물과 양액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포트 받침의 각 포트 홀에 점적호스에 의한 급수가 균일한 양으로 이루어지므로 대형 베드시설이 불필요하고, 육묘 포트에 상토를 채운 후 포트 받침에 안치하여 급수를 하게 되면 각 개별포트에 저면으로부터 급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물과 양액이 공급되는 저면관수방식의 육묘가 되어 뿌리가 물기를 찾아 포트 하부로 길게 뻗어내릴 수 있게 됨으로써 건실한 자묘의 생산이 가능하고, 적은 양의 물과 양액을 사용하더라도 각 개별포트로의 급수가 균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런너가 뻗어가는 상태를 확인하면서 점적호스를 통한 물 공급을 구간별로 제어함으로써 자묘의 생장을 균일하게 되도록 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포트 받침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트 받침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 - 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 - B'선 단면도,
도 5는 점적 호스와 육묘 포트의 설치상태도,
도 6은 도 5에서 점적 호스와 육묘 포트가 안치된 상태도,
도 7은 도 6의 C - C'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포트 받침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D - D'선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포트 받침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포트 받침의 저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의 구성 및 이의 급수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의 포트 받침(100)은 종횡으로 복수의 포트 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포트 홀(110) 사이에는 점적호스 안치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점적호스 안치홈(120)에서 상기 포트 홀(110)의 내측으로 물 유입로(130)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 홀(110)에는 소정 높이에 오버 홀(11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포트 받침(100)은 종방향으로 6개의 포트 홀(110)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고, 횡방향으로는 4개의 포트 홀(110)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어 총 24구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1열과 2열 사이 및 3열과 4열 사이에 종방향으로 점적호스 안치홈(120)이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으로도 1열과 2열 사이, 3열과 4열 사이 및 5열과 6열 사이에 점적호스 안치홈(120)이 형성되어 서로 교차하고 있다.
상기 점적호스 안치홈(120)은 종방향으로만 형성되거나 횡방향으로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종횡방향 모두 형성된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포트 받침(100)을 모주의 좌우측에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선택하여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24구의 육묘 트레이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8구, 12구, 48구 등과 같이 다양한 규격의 육묘 트레이를 제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점적호스 안치홈(120)에서는 각각 좌우측의 포트 홀(110)로 물과 양액을 공급하기 위한 물 유입로(130)가 좌우로 분기되어 있고, 상기 물 유입로(130)로 유입된 물은 포트 홀(110)의 하부로 흘러 내려가게 되며, 상기 포트 홀(110)의 바닥은 도 2 및 도 3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간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육묘 포트(200)의 바닥을 지지하되 잔여의 물은 바닥 외곽의 링형 홈(114)에 잔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포트 홀(110)의 깊이는 저면 관수에 사용되는 물과 양액의 공급량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는 포트 홀(110)에 안치되는 육묘 포트(200)의 각 개별포트(210) 바닥 또는 측면 하부에 형성된 물 유입공(220)으로 포트 홀(110)에 공급된 물이 빨려올라가면서 공급이 이루어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깊지 않도록 최소한의 깊이로 형성하고 있는데, 대략 1.5~3cm의 깊이만으로도 충분한 것으로 테스트 결과 확인되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포트 홀(110)의 바닥은 물 유입로(130)를 통해 포트 홀(110)로 흘러내린 물이 개별포트(210)의 하부 외곽을 전체적으로 돌아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물이 하부의 일측에서만 공급되게 될 경우, 이 부분으로 뿌리가 집중적으로 뻗게 되지만, 물이 포트 홀(110)의 바닥 외곽으로 형성된 링형 홈(114)을 전체적으로 돌아서 개별포트(2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물 유입공(220)을 통해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공급될 경우 하방으로 뻗은 뿌리의 세근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발달하게 됨으로써 건실한 육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점적호스 안치홈(120)에는 각 개별포트(110) 사이의 중간 지점에 물턱(122)이 형성되고, 상기 점적호스 안치홈(120)의 바닥(124)은 상기 물턱(122)에서 물 유입로(130)로 하향 경사지도록 구배가 형성되어 있어서 일정 간격마다 배수공이 천공된 점적호스에서 떨어진 물이 각각의 개별포트(110)로 균일한 양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육묘 포트(200)의 각 개별포트(210) 하부에 형성된 물 유입공(22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물 유입공(220)의 형성 위치와 크기 및 형태와 길이 등은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물 유입공(210)은 개별포트(210) 내부에 담긴 상토를 적시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10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주(도시 생략됨)의 좌우측에 육묘 트레이를(100)를 배치하고, 이 육묘 트레이(100)의 상부에 종 또는 횡방향으로 형성된 점적호스 안치홈(120)에 점적호스(300)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육묘 트레이(100)의 상부에 상토(T)를 채운 육묘 포트(200)를 안치하여 육묘 포트(200)의 각 개별포트(210)에 물과 양액을 공급하면서 육묘를 하면 된다.
한편, 모주로부터 런너가 나오게 되면 이를 유인하여 각 육묘 포트(200)의 개별포트(210) 쪽으로 연속해서 자묘가 뿌리를 내리도록 하여 자묘 받기를 한다.
자묘 받기를 하는 과정에서 점적호스(300)를 이용하여 물과 양액을 각 개별포트(210)의 자묘에 공급하게 되는데, 자묘의 생육기간과 상태를 관찰하여 1,2열의 점적호스(300)로 공급되는 물과 양액의 양과 비율을 제어하면 자묘를 균일한 크기로 육성시킬 수 있게 되며, 개별포트(210)에 자묘가 활착된 이후에는 개별포트(210) 사이의 런너를 끊어 자묘가 독립적으로 자라도록 하여 화아분화를 촉진시킨다.
이후, 자묘의 육묘가 완료되면 포트 받침(100)에서 육묘 포트(200)를 들어 내어 각 개별포트(210)로부터 자묘를 상토와 함께 뽑아 재배상자에 정식하면 되고, 사용된 육묘장치 즉, 포트 받침과 육묘 포트를 세척 및 소독 후 보관하여 다음 시즌에 재사용하면 된다.
이처럼 본 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은 점적호스(300)를 통해 점적관수방식으로 물과 양액을 포트 받침 위에 안치된 육묘 포트(200)의 각 개별포트(210)의 자묘에 공급하지만, 각 개별포트(210)로 공급된 물과 양액이 그대로 개별포트(210) 내부의 상토(T)를 위에서부터 적셔주는 것이 아니고, 개별포트(210)의 바닥측에 형성된 물 유입공(220)을 통해 상토(T)로 공급되게 되므로 상토(T)가 밑에서부터 적셔지면서 상부로 공급되고 물와 양액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토(T)의 상부측부터 수분이 마르게 되면서 상토(T)의 하부측에 물이 잔류하게 되므로 자묘의 뿌리가 물을 찾아 하부로 뻗어내리게 됨으로써 기존의 점적관수식 육묘시 개별포트의 상부측에서 뿌리가 웃자라고 돌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건실한 상태의 자묘로 자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 본 실시 예에 의한 포트 받침(100)은 포트 홀(110)의 깊이가 낮아 급수에 사용되는 물과 양액의 소모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과잉의 물이 공급될 경우에는 오버 홀(112)을 통해 배출되게 되므로 과잉공급으로 인한 웃자람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포트 받침(100)이 놓이는 바닥면이 수평이 아니더라도 각 포트 홀(110)로 균일한 양의 물과 양액을 공급할 수 있고, 각 라인별 점적호스(300)로 공급되는 물과 양액의 양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육묘 포트(200) 전체에 걸쳐 자묘의 생장이 균일하게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포트 받침(100)은 그 높이가 낮고 다단으로 적층이 가능하여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물류비의 절감이 가능하고, 이의 보관공간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100)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의 포트 받침(100) 또한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상기 물 유입로(130)가 점적호스 안치홈(120)의 바닥에서부터 양측 포트 홀(110)의 바닥까지 수평으로 파여진 형태를 이루어 포트 받침(100)이 기울어진 바닥에 설치되어 어느 일측의 포트 홀로 물이 편중되어 유입되더라도 낮게 형성된 물 유입로(130)를 통해 양측 포트 홀(110)로의 물과 양액의 공급이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된 점에 차이가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점적호스 안치홈(120)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포트 받침(100)이 종방향으로 수평이 아닌 상태로 설치되어 있더라도 종방향으로 인접한 좌우의 포트 홀(110) 사이에 연결된 낮은 물 유입로(130)에 의해 물길이 연결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좌우측의 포트 홀(110)은 동일한 향의 물과 양액이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100)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 예도 물 유입로(130)가 점적호스 안치홈(120)의 바닥에서부터 양측 포트 홀(110)의 바닥까지 수평으로 파여진 형태를 이루는 점에서 제2실시 예와 동일하며, 다만 점적호스 안치홈(120)이 종횡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전,후,좌,우로 인접하는 4개의 포트 홀(110) 사이에 물 유입로(130)가 바닥 깊이까지 파여진 상태로 모두 연결되어 있으므로 포트 받침)이 종 또는 횡방향으로 수평이 아닌 상태로 설치되어 있더라도 종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전,후,좌,우의 4개의 포트 홀(110)에 모두 균일한 양으로 물과 양액이 분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포트 받침
110 : 포트 홀
112 : 오버 홀
114 : 링형 홈
120 : 점적호스 안치홈
122 : 물턱
130 : 물 유입로
200 : 육묘 포트
210 : 개별포트
220 : 물 유입공
300 : 점적호스
T : 상토

Claims (6)

  1. 종횡으로 복수의 포트 홀(110)이 형성되고, 상기 포트 홀(110) 사이에는 종횡방향으로 교차되게 점적호스 안치홈(120)이 형성되며, 상기 점적호스 안치홈(120)에서 상기 포트 홀(110)의 내측으로 물 유입로(130)가 형성되고, 상기 포트 홀(110)에는 소정 높이에 오버 홀(112)이 형성되며, 상기 포트 홀(110)의 바닥은 중간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육묘 포트(200)의 바닥을 지지하고, 상기 포트 홀(100) 바닥 외곽에는 링형 홈(114)이 형성되어 물이 상기 링형 홈(114)에서 개별포트(210)의 하측에 형성된 복수의 물 유입공(220)을 통해 방사상으로 균일하게 공급되어 하방으로 뻗은 뿌리의 세근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발달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88218A 2017-07-12 2017-07-12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Active KR101926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218A KR101926988B1 (ko) 2017-07-12 2017-07-12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218A KR101926988B1 (ko) 2017-07-12 2017-07-12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988B1 true KR101926988B1 (ko) 2018-12-07

Family

ID=6466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218A Active KR101926988B1 (ko) 2017-07-12 2017-07-12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9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6989A (zh) * 2019-07-19 2019-10-25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草莓种苗穴盘
WO2021182963A1 (en) * 2020-03-13 2021-09-16 Gege Machinebouw B.V. Cultivation tray
KR20220053106A (ko) 2020-10-21 2022-04-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복수의 저면급수 재배 트레이를 이용한 수위 수평조절 시스템
KR20220126102A (ko) 2021-03-08 2022-09-15 나송희 점적 및 저면관수 겸용 육묘포트 및 이 육묘포트를 이용한 육묘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048B1 (ko) * 2007-08-06 2008-12-26 경상남도 딸기 육묘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048B1 (ko) * 2007-08-06 2008-12-26 경상남도 딸기 육묘용 트레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6989A (zh) * 2019-07-19 2019-10-25 江苏农林职业技术学院 草莓种苗穴盘
WO2021182963A1 (en) * 2020-03-13 2021-09-16 Gege Machinebouw B.V. Cultivation tray
KR20220053106A (ko) 2020-10-21 2022-04-29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복수의 저면급수 재배 트레이를 이용한 수위 수평조절 시스템
KR20220126102A (ko) 2021-03-08 2022-09-15 나송희 점적 및 저면관수 겸용 육묘포트 및 이 육묘포트를 이용한 육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644B1 (ko) 수경 재배용 베드
KR100499203B1 (ko) 저면관수용 식물재배기
KR100876048B1 (ko) 딸기 육묘용 트레이
KR101926988B1 (ko) 저면관수식 포트 받침
JP2009159961A (ja) 地中根域均等灌水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899724B1 (ko) 점적관수식 육묘용 장치
KR101402563B1 (ko) 육묘 포트용 관수장치
KR101303247B1 (ko) 착탈식 화분이 구비된 수경재배장치
KR101999327B1 (ko) 통기성이 극대화된 저면관수 재배통
JP2007151543A (ja) 水耕栽培装置および水耕栽培方法
KR20220091077A (ko) 스마트팜 수경재배장치
JP7004370B1 (ja)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
JP4928992B2 (ja) 底面潅水用給水パネル及び同パネル用の栽培ポット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栽培システム
JP4948034B2 (ja) トマトの栽培方法とその装置
KR100788273B1 (ko) 자동 저면 관수가 이루어지는 육묘 재배장치
KR102300685B1 (ko) 식물재배용 물 공급장치
JP2007236294A (ja) 隔離床栽培用プランター
KR20100127144A (ko) 모종 재배용 급수장치
KR101915125B1 (ko) 수경재배용 베드
TWM606075U (zh) 盆栽植物栽培端盤底部灌溉系統
KR101232643B1 (ko) 수경 재배장치
KR100434015B1 (ko) 가정용 배지경 재배기
JP6981707B1 (ja) イチゴ苗の生育システム及び生育方法
KR200370417Y1 (ko) 가정용 식물 재배화분
CN203860115U (zh) 植物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