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615B1 - Combo antenna modul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mbo antenna modul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6615B1 KR101926615B1 KR1020150102438A KR20150102438A KR101926615B1 KR 101926615 B1 KR101926615 B1 KR 101926615B1 KR 1020150102438 A KR1020150102438 A KR 1020150102438A KR 20150102438 A KR20150102438 A KR 20150102438A KR 101926615 B1 KR101926615 B1 KR 1019266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unit
- inductance
- module
- wirel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29910000808 amorphous metal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2159 nanocrys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00859 α-F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01325 element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2058 ternary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3962 NiZ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18605 Ni—Z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99 abra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004 magnetic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6 perme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34 thermosetting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7/00—Loop antennas with a substantially uniform current distribution around the loop and having a 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loo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0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 H01Q1/222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associated with components used in interrogation type services, i.e. in systems for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an interrogator/reader and a tag/transponder, e.g. i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systems used in active tags, i.e. provided with its own power source or in passive tags, i.e. deriving power from RF sign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 H02J7/025—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모듈은 회로기판, 및 서로 상이한 동작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유닛; 및 상기 안테나유닛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두 개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인덕턴스의 큰 변화없이 안테나 면적을 증가시키므로 무선전력 충전 또는 무선통신의 범위, 및 효율 또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추가적인 내부 패턴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콤보 안테나모듈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콤보 안테나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의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A combo antenna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A combo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tenna unit including a circuit board and a plurality of antennas having different operating frequencies; And a switching unit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antenna unit. In this case, since the area of the antenna is increased without greatly changing the inductanc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ange and efficiency or performance of the wireless power charging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it is un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additional internal patterns. The miniaturization of the module can be achieved and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of the user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the combo antenna module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콤보 안테나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작모드에 따라 무선전력 충전 또는 무선통신 범위를 확대하고 무선전력 충전 효율 또는 무선통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콤보 안테나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o antenna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bo antenna modul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increase the wireless power charging or wireless communication range and improve the wireless power charging efficiency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 / RTI >
최근 휴대폰, 태블릿 PC 등을 비롯한 휴대용 전자장치는 다양한 무선통신 기능과 함께 무선전력 충전 기능이 구비되는 추세이다. 이때, 각 무선통신 및 무선전력 충전은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사용되는 주파수가 상이하므로 각각의 주파수 또는 애플리케이션별로 안테나를 구비해야 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안테나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Recently,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tablet PCs, and the like are equipped with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s and a wireless power charging function. At this time, since each wireless communication and wireless power charging uses different frequencies depending on each applica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antenna for each frequency or application. Therefore, the number of antennas provid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s increasing.
예를 들면, 무선통신을 위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안테나, 및 무선전력 충전을 위한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PMA(Power matters Alliance), 또는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 안테나 등과 같이 사용되는 안테나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안테나는 콤보(Combo) 형태로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For example,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or MST (Magnetic Secure Transmissio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Power Consortium (WPC), a Power Matters Alliance (PMA), or an Alliance for Wireless Power ) Antennas and the like, the antennas are being applied in the form of a combo (Combo).
여기서, WPC 및 PMA 안테나는 하나의 코일에서 다른 코일로 자기장을 통해 전류를 유도하는 자기유도 방식으로 무선전력 충전을 수행하며, A4WPC 안테나는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는 코일이 서로 커플링함으로써 에너지를 전달하는 자기공진 방식으로 무선전력 충전을 수행한다. Here, the WPC and PMA antennas perform wireless power charging in a magnetic induction manner that induces a current from one coil to another via a magnetic field. The A4WPC antenna transmits energy by coupling coils having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to each other And performs wireless power charging in a self resonance manner.
이때, 자기유도 방식은 코일 사이의 거리 및 상대적 위치에 민감하여 전송효율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자기공진 방식은 코일 사이의 거리가 근접하지 않더라도 무선전력 충전이 가능하지만, 전력 손실이 많아 효율이 떨어지고, 넓은 범위에서 전자파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At this time,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is sensitive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oils and the relative position, so that the transmission efficiency may drop sharply. In addition, the self-resonance system can charge wireless power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ils is not clos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iciency is low due to a large power loss, and electromagnetic waves are generated in a wide range.
따라서, 최근의 휴대용 전자장치는 무선전력 충전 기능을 위해 각각의 장단점을 보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자기유도 방식 및 자기공진 방식 모두를 채용하는 추세이다. Accordingly, recent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re adopting both a magnetic induction type and a self-resonance type so as to supplement the merits and demerits for the wireless power charging function and selectively use them as needed.
한편, 루프 안테나의 인덕턴스는 각 애플리케이션의 통신 주파수 및 무선전력 충전 주파수에 따라 결정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ductance of the loop antenna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frequency of each application and the wireless power charging frequency.
예를 들면, NFC 안테나의 경우, 13.56㎒ 주파수를 구현하기 위해 1~2μH의 인덕턴스가 요구되며, A4WP 안테나의 경우, 6.78㎒ 주파수를 구현하기 위해 1~2μH의 인덕턴스가 요구되고, WPC 또는 PMA 안테나의 경우, 100~350㎑ 주파수를 구현하기 위해 6~12μH의 인덕턴스가 요구되며, MST 안테나의 경우, 100㎑ 이하의 주파수를 구현하기 위해 10~40μH의 인덕턴스가 요구된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NFC antenna, an inductance of 1 to 2 μH is required to realize a frequency of 13.56 MHz, an inductance of 1 to 2 μH is required to implement a frequency of 6.78 MHz for an A4WP antenna, and a WPC or PMA antenna , An inductance of 6 to 12 μH is required to realize a frequency of 100 to 350 kHz, and an inductance of 10 to 40 μH is required for an MST antenna to realize a frequency of 100 kHz or less.
즉, NFC 안테나 또는 자기공진 방식의 무선전력용 A4WP 안테나는 MST 안테나 또는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전력용 WPC 또는 PMA 안테나에 비하여 주파수가 높기 때문에 비교적 낮은 인덕턴스가 요구된다. That is, a relatively low inductance is required because an NFC antenna or a self-resonating type A4WP antenna for wireless power is higher in frequency than an MST antenna or a WPC or PMA antenna for a 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power.
여기서,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전력 충전용(WPC, PMA) 안테나는 무선전력 송신기(Tx)와 무선전력 수신기(Rx) 사이의 충전 범위, 무선전력의 세기 및 효율을 고려하여, 안테나유닛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콤보 안테나의 경우, 대부분 WPC 또는 PMA 안테나는 안테나유닛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그 외곽에 MST 안테나가 배치된다. Here, a 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power charging (WPC, PMA) antenna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antenna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ging range, radio power strength and efficiency between the radio power transmitter Tx and the radio power receiver Rx .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combo antenna, most of the WPC or PMA antenna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antenna unit, and the MST antenna is disposed at the outer periphery thereof.
이때, 비교적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NFC 또는 A4WP 안테나는 안테나 면적이 클수록 성능이 우수하므로 콤보 안테나에서 대부분 외곽 부근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NFC 또는 A4WP 안테나는 무선통신 또는 무선전력 충전 범위의 확대, 무선전력 충전의 효율, 및 무선통신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안테나유닛의 내부 영역에 추가 패턴을 구비하는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In this case, the NFC or A4WP antenna having a relatively low inductance is disposed near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mbo antenna because its performance is better as the antenna area is larger. Such NFC or A4WP antennas are being utilized to incre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or wireless power charging rang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charging, an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dditional patterns in the inner area of the antenna unit.
그러나,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콤보 안테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유닛의 중앙부에 WPC, PMA, 및 MST 등의 안테나가 위치되기 때문에, NFC 및 A4WP 안테나의 추가 패턴의 구현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에 직면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ntenna such as WPC, PMA, and MST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antenna unit,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additional patterns of the NFC and A4WP antennas in the combo antenna having a plurality of antennas Faced.
따라서, 안테나유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WPC, PMA, 또는 MST 등의 안테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NFC 또는 A4WP 안테나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develop a technique capable of increasing the area of the NFC or A4WP antenna without affecting the antennas such as WPC, PMA, or MST disposed in the antenna un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안테나유닛의 동작모드에 따른 스위칭에 의해 다른 모드의 안테나를 활용하여 무선전력 충전 또는 무선통신의 범위, 및 효율 또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콤보 안테나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bo capable of improving the range, efficiency or performance of wireless power charging or wireless communication by utilizing antennas of different modes by switch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antenna uni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antenna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안테나유닛의 동작모드를 판단하여 콤보 안테나모듈을 스위칭함으로써 두 개의 안테나를 활용하여 무선전력 충전 또는 무선통신의 범위, 및 효율 또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전력 충전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wireless power charging function capable of improving the range, efficiency or performance of wireless power charging 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wo antennas by switching the combo antenna module by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antenna unit There is another purpose in provid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로기판, 및 서로 상이한 동작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유닛; 및 상기 안테나유닛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두 개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모듈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enna unit including a circuit board and a plurality of antennas having different operating frequencies. And a switching unit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antenna unit.
또한, 상기 회로기판은 가요성(flexible)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Also, the circuit board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또한, 상기 안테나유닛은, 상기 회로기판의 최외곽부에 배치되는 제1안테나; 상기 회로기판의 중심측에 배치되는 제2안테나; 및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2안테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ntenna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ntenna disposed at an outermos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A second antenna disposed on a center side of the circuit board; And at least one third antenna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또한,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제1안테나보다 동작 주파수가 낮고, 상기 제3안테나보다 동작 주파수가 높을 수 있다. The second antenna may have a lower operating frequency than the first antenna and an operating frequency higher than the third antenna.
또한, 상기 제1안테나는 자기공진 방식의 무선전력용 안테나 및 NFC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테나는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전력용 안테나이며, 상기 제3안테나는 MST 안테나일 수 있다. Also, the first antenna may include any one of a wireless power antenna and an NFC antenna of a self resonance type, the second antenna may be a magnetic induction type wireless power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may be an MST antenna .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안테나유닛이 상기 제1안테나를 이용하는 동작모드인 경우,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2안테나 및 상기 제3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may conn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tenna,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in parallel when the antenna unit is in the operation mode using the first antenna.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안테나를 통한 무선 성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2안테나 및 상기 제3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may connect at least one of the first antenna,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in parallel when the radio performance through the first antenna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또한, 상기 무선 성능은 무선 송신 또는 수신의 세기일 수 있다. Also, the radio performance may be the intensity of the radio transmission or reception.
또한,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안테나유닛이 상기 제1안테나를 이용하지 않는 동작모드인 경우,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2안테나 및 상기 제3안테나 모두를 분리할 수 있다. The switching unit may separate both the first antenna,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when the antenna unit is in the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antenna is not used.
또한,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은 상기 안테나유닛의 일면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유기하는 차폐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mbo antenna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antenna unit to induce a magnetic field.
또한, 상기 차폐유닛은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페라이트 시트 및 폴리머 시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ielding unit may be any one of a ribbon sheet, a ferrite sheet and a polymer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또한, 상기 리본시트는 복수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Further, the ribbon sheet may be constitut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amorphous alloy or nano-crystal alloy ribbon sheets.
또한,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MnZn 페라이트 또는 NiZn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the ferrite sheet may be made of MnZn ferrite or NiZn ferrite.
또한, 상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은 3원소 합금 또는 5원소 합금을 포함하고, 상기 3원소 합금은 Fe, Si 및 B를 포함하며, 상기 5원소 합금은 Fe, Si, B, Cu 및 N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morphous alloy or the nano-crystal alloy includes a ternary alloy or a five-element alloy, and the ternary alloy includes Fe, Si and B, and the five-element alloy includes Fe, Si, B, Cu, and Nb .
또한, 상기 차폐유닛은 복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ielding unit may be separately formed into a plurality of minute pieces.
또한, 상기 복수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icroparts may be entirely insulated or partially insulated between neighboring microparts.
또한, 상기 복수의 미세 조각은 1㎛ ~ 3㎜의 크기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ine pieces may have a size of 1 mu m to 3 mm.
또한, 상기 복수의 미세 조각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micro pieces may be irregular.
한편, 본 발명은 콤보 안테나모듈;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각각 연동하는 복수의 무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무선 모듈 중 어느 모듈이 동작중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모드판단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wireless modules interlocked with the plurality of antennas, respectively; And a mode determiner for determining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radio modules is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combo antenna module.
또한, 상기 복수의 무선 모듈 중 어느 하나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In additio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adio modules can transmit power wirelessly.
또한, 상기 복수의 무선 모듈 중 어느 하나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Als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modules can receive power wirelessly.
또한, 상기 복수의 무선 모듈 중 어느 하나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Als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wireless modules can communicate wirelessly.
한편, 본 발명은 회로기판, 및 서로 상이한 동작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안테나유닛, 및 상기 안테나유닛의 일면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유기하는 차폐유닛을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모듈; 상기 안테나유닛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두 개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스위칭부;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각각 연동하는 복수의 무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무선 모듈 중 어느 모듈이 동작중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모드판단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bo antenna module comprising a circuit board, an antenna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having different operating frequencies, and a shielding uni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antenna unit to induce a magnetic field. A switching unit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antenna unit; A plurality of wireless modules interlocked with the plurality of antennas, respectively; And a mode determiner for determining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radio modules is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combo antenna module.
본 발명에 의하면, 안테나유닛의 동작모드에 따라 스위칭하여 외곽에 배치된 안테나와 내부에 배치된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병렬 연결함으로써 인덕턴스의 큰 변화없이 안테나 면적을 증가시키므로 무선전력 충전 또는 무선통신의 범위, 및 효율 또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ntenna area is increased without changing the inductance by selectively connecting the antenna disposed outside and the antenna disposed inside by switching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antenna unit, the range of wireless power charging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improve efficiency or performance.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안테나와 낮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안테나를 병렬 연결함으로써 추가적인 내부 패턴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무선전력 충전 또는 무선통신의 범위 및 효율 또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한 콤보 안테나모듈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range, efficiency or performance of wireless power charging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out separately providing an additional internal pattern by connecting an antenna using a high frequency and an antenna using a low frequency in parallel, It is possible to achieve miniaturization of the combo antenna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콤보 안테나모듈을 휴대용 전자장치에 구비함으로써, 동작모드에 따른 스위칭에 의해 무선전력 충전 또는 무선통신의 범위 및 효율 또는 성능을 향상시켜 사용자의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combo antenna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reby improving the range and efficiency or performance of wireless power charging or wireless communication by switching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thereby improving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of the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모듈의 동작상태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모듈의 동작상태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등가회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차폐유닛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combo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mbo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mbo antenna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quivalent circuit diagram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mbo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shielding unit of Fig. 5,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유닛(110) 및 스위칭부(120)를 포함한다. The
상기 안테나유닛(110)은 휴대폰, PDA, PMP, 태블릿, 멀티미디어 기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안테나유닛(110)은 서로 다른 역할을 수행하는 복수의 안테나, 예를 들면, 서로 상이한 동작 주파수를 갖는 통신용 안테나 및 무선전력용 안테나 등의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안테나유닛(11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111), 제1안테나(112), 제2안테나(114) 및 제3안테나(116)를 포함한다. The
상기 회로기판(111)은 그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또는 선택적으로 회로부가 형성되는 기재가 되는 요소로서, 내열성 및 내압성을 가지며, 가요성(flexible)을 갖는 소재이다. 이러한 소재의 물성을 고려할 때, 상기 회로기판(111)으로서 열경화성 고분자 필름인 PI나 PET 등과 같은 필름이 채용될 수 있다. 특히, 폴리이미드 필름은 통상 영상 400도 이상의 고온이나 영하 269도의 저온을 견디고, 초내열성과 초내한성을 지니고 있으며, 얇고 굴곡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내화학성, 내마모성도 강해 열악한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circuit board 111 is a base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antenna or an optional circuit portion formed on its upper surface. The circuit board 111 is a material having heat resistance, pressure resistance, and flexibility. Consider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such a material, a film such as PI or PET, which is a thermosetting polymer film, may be employed as the circuit board 111. [ In particular, the polyimide film usually has a high temperature of 400 ° C or higher and a low temperature of-269 ° C. It has super heat resistance and ultra low cold resistance, and is not only thin and flexible, but also resistant to chemical and abrasion, Because.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111)의 일측에는 회로부(미도시) 또는 전자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가 안테나 개수와 대응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a circuit unit (not shown) or a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ircuit board 111 so a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antennas.
상기 제1안테나(112)는 상기 회로기판(111)의 최외곽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안테나(112)는 수 ㎒ 이상 대역의 동작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제1안테나(112)는 6.78㎒를 이용하는 자기공진 방식의 무선전력용 안테나일 수 있고, 예를 들면, A4WP 안테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안테나(112)는 13.56 ㎒를 이용하는 통신용 안테나일 수 있고, 예를 들면, NFC 안테나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상기 제2안테나(114)는 상기 회로기판(111)의 상기 제1안테나(112) 내측, 특히, 상기 회로기판(111)의 중심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안테나(114)는 상기 제1안테나(112)보다 낮고, 상기 제3안테나(116)보다 높은 동작 주파수를 가지며, 예를 들면, 수백 ㎑ 대역의 동작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제2안테나(114)는 100~350 ㎑ 대역을 이용하는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전력용 안테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WPC 또는 PMA 안테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안테나(114)는 100~350 ㎑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용 또는 무선수신용 또는 무선송신용 안테나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제3안테나(116)는 상기 회로기판(111)에서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2안테나(1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3안테나(116)는 상기 제1안테나(112) 및 상기 제1안테나(112)보다 낮은 동작 주파수를 가지며, 예를 들면, 100㎑ 이하 대역의 동작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제3안테나(116)는 100㎑ 이하 대역을 이용하는 통신용 안테나 일 수 있고, 예를 들면, MST 안테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안테나(116)는 100㎑ 이하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전력용 안테나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여기서, 상기 제3안테나(116)는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2안테나(114)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의 안테나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회로기판(111)의 최외곽에 배치되는 상기 제1안테나(112)와 중심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안테나(114) 사이에 배치되는 서로 상이한 동작 주파수를 갖는 복수의 안테나일 수 있다.Although the
이때, 상기 제1안테나(112),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되는 원형, 타원형, 나선형 또는 사각형상과 같은 다각형상의 평판형 코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안테나(112) 및 상기 제2안테나(114)는 무선전력 충전을 위한 수신 코일(Rx coil) 또는 송신 코일(Tx coil)로 기능할 수 있다. 5, the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복수의 안테나(112,114,116)가 모두 평판형 코일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연결단자는 상기 회로기판을 통하지 않고 외부의 장치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회로기판 역시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회로기판의 사용을 완전히 배제하여 생산단가를 더욱 줄일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when the plurality of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안테나유닛(110)의 동작모드에 따라 복수의 안테나(112,114,116) 중 적어도 두 개를 연결하거나 분리한다. 특히,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제1스위치(122) 및 상기 제2스위치(124)를 포함한다. The
상기 제1스위치(122)는 상기 제1안테나(112),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의 각각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1스위치(122)는 두 개의 공통접점(C11,C12) 및 세 개의 접점(S11,S12,S1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접점(C11)은 접점들(S11,S1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공통접점(C12)은 접점들(S12,S1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공통접점(C11)은 상기 제2안테나(114)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접점(S11)은 상기 제2안테나(114)와 연동하는 제2무선 모듈(16)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통접점(C21)은 상기 제3안테나(116)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접점(S12)은 상기 제3안테나(116)와 연동하는 제3무선 모듈(18)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S13)은 상기 제1안테나(112)의 일측 상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점(S13)은 상기 제1안테나(112)의 일측, 및 상기 제1안테나(112)와 연동하는 제1무선 모듈(14)에 연결될 수 있다. The common contact point C 11 may b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상기 제2스위치(124)는 상기 제1안테나(112),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의 각각의 타측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2스위치(124)는 상기 제1스위치(122)와 유사하게, 두 개의 공통접점(C21,C22) 및 세 개의 접점(S21,S22,S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접점(C21)은 접점들(S21,S23)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고, 접점(C22)은 접점들(S22,S2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공통접점(C21)은 상기 제2안테나(114)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접점(S21)은 상기 제2안테나(114)와 연동하는 상기 제2무선 모듈(1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통접점(C22)은 상기 제3안테나(116)의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접점(S22)은 상기 제3안테나(116)와 연동하는 제3무선 모듈(18)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점(S23)은 상기 제1안테나(112)의 타측 상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접점(S23)은 상기 제1안테나(112)의 타측, 및 상기 제1안테나(112)와 연동하는 상기 제1무선 모듈(14)에 연결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mmon contact C 21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여기서, 상기 스위칭부(120)가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모두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112),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는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Here, when the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위치(122)는 상기 공통접점(C11)이 상기 접점(S11)과 연결되고, 상기 공통접점(C12)이 상기 접점(S1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124)는 상기 공통접점(C21)이 상기 접점(S22)과 연결되고, 상기 공통접점(C22)이 상기 접점(S22)과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the
이때,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무선전력 충전 및 무선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전력 충전이 자기유도 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MST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안테나(112)는 상기 제2안테나(114) 또는 상기 제3안테나(116)와 상이한 주파수를 가지므로 동작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wireless power charging and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either the
한편, 상기 스위칭부(120)가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는 경우,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안테나(112)와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제1안테나(112)의 일부로서 기능한다. If the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위치(122)는 상기 공통접점(C11) 및 상기 공통접점(C1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접점(S13)과 연결되고, 상기 제2스위치(124)는 상기 공통접점(C21) 및 상기 공통접점(C22)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접점(S23)과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이때,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중 적어도 하나는 병렬 연결되어 하나의 안테나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안테나(112)를 통하여 자기공진 방식으로 무선전력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NFC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at least one of the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테나(112)의 인덕턴스(L1)와 상기 제2안테나(114)의 인덕턴스(L2), 및 상기 제3안테나(116)의 인덕턴스(L3) 중 적어도 하나가 병렬 연결되므로, 상기 안테나(112,114,116)의 병렬 연결에 의한 안테나의 전체 인덕턴스(Ltotal)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Here, as shown in Figure 4, the inductance of the first antenna inductance (L 2), and the
여기서, n은 병렬 연결되는 안테나의 개수이며, 도 4는 n=3인 경우이다. Here, n is the number of parallel connected antennas, and Fig. 4 is a case where n = 3.
예를 들면, 상기 제1안테나(112)의 인덕턴스(L1)가 2μH이고, 상기 제2안테나(114)의 인덕턴스(L2)가 10μH이고, 상기 제3안테나(116)의 인덕턴스(L3)가 20μH이면,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2안테나(114)의 병렬 연결에 의한 전체 인덕턴스(Ltotal)는 1.67μH이고,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3안테나(116)의 병렬 연결에 의한 전체 인덕턴스(Ltotal)는 1.82μH이고, 안테나(112,114,116) 모두의 병렬 연결에 의한 전체 인덕턴스(Ltotal) 1.54μH이다. For example, if the inductance L 1 of the
따라서,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중 적어도 하나가 병렬 연결됨으로써, 전체 인덕턴스의 값은 크게 변화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회로기판(111)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at least one of the
결과적으로, 자기공진 방식의 무선전력 충전시 사용되는 안테나의 범위가 상기 회로기판(111)의 최외곽뿐만 아니라 상기 회로기판(111)의 중앙부까지 확대됨으로써, 효율적으로 무선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거리가 증가하여 무선전력 충전 또는 무선통신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동시에, 더 넓은 범위를 통하여 무선전력 충전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므로, 무선전력 충전의 효율 또는 무선통신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range of the antenna used for charging the wireless power of the self-resonance method is extended not only to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111 but also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111, The range of wireless power charging or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widened, and wireless power charging or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over a wider range, so that the efficiency of wireless power charging or the performance of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improved.
더욱이, 상기 제1안테나(112)의 내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중 적어도 하나를 스위칭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안테나 또는 패턴을 구비하지 않고도 무선전력 충전의 효율 또는 무선통신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동일 효율/성능 대비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100)을 소형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selectively using at least one of the
이와 같이,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안테나유닛(110)의 동작모드가 상기 제1안테나(112)를 이용하는 동작모드인 경우, 예를 들면, 자기공진 방식으로 무선전력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NFC 통신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안테나(112)를 통하여 무선전력 충전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중 적어도 하나를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대안적으로,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제1안테나(112)를 통한 무선전력, 무선통신 또는 무선의 성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중 적어도 하나를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스위칭부(120)는 자기공진 방식으로 무선전력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NFC 통신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1안테나(112)를 통하여 무선전력 충전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면 무조건 스위칭하지 않고, 이와 같은 동작 중에 효율/성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등과 같이 특정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의 성능은 무선 송신 또는 무선 수신의 세기이며, 예를 들면, 무선통신의 송신 또는 수신의 세기, 또는 무선전력의 송신 또는 수신의 세기일 수 있다. Alternatively, if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pow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or the wireless through the
또한,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안테나유닛(110)의 동작모드가 상기 제1안테나(112)를 이용하지 않는 동작모드인 경우, 예를 들면, 자기유도 방식으로 무선전력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MST 통신이 이루어지거나,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무선전력 충전 또는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모두를 분리할 수 있다.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여기서,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중 적어도 하나를 병렬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하나의 안테나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안테나를 병렬 연결할 수도 있다.At least one of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100)이 상기 스위칭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안테나유닛(110)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100)이 휴대용 전자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안테나유닛(110)과 분리되어 메인 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유닛(110)의 일면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유기하는 상기 차폐유닛(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5, the
상기 차폐유닛(130)은 일정면적을 갖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일면에 상기 안테나유닛(110)이 고정된다. The
이와 같은 차폐유닛(130)은 상기 안테나유닛(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하여 자기장의 집속도를 높여줌으로써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상기 안테나유닛(110)의 특성을 높여준다.The
즉, 상기 차폐유닛(130)은 100~350㎑의 주파수 대역에서 자기유도 방식에 의한 무선전력 충전시, 6.78㎒의 주파수에서 자기공진 방식에 의한 무선전력 충전시, 100㎑ 이하의 주파수 대역의 MST 통신시, 또는 13.56㎒의 주파수에서 NFC 통신시,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안테나유닛(110)의 특성을 높여주기 위한 것이다.That is, when the wireless power is charged by the self-induction method in the frequency band of 100 to 350 kHz, the
이를 위해, 상기 차폐유닛(130)은 상기 안테나유닛(110)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차폐할 수 있도록 자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차폐유닛(130)은 상기 안테나유닛(110)이 저주파 대역인 100~350㎑의 주파수 대역에서 작동하는 경우, 300~3500Wb/A.m 범위의 투자율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안테나유닛(110)이 6.78㎒의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경우, 100~350Wb/A.m 범위의 투자율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일례로, 상기 차폐유닛(130)은 저주파 대역인 100~350㎑에서 2000~3500Wb/A.m 범위의 투자율을 갖는 Mn-Zn 페라이트 시트,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폴리머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유닛(120)은 저주파 대역인 100~350㎑에서 300~1500Wb/A.m 범위의 투자율을 갖는 Ni-Zn 페라이트 시트,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폴리머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더불어, 상기 차폐유닛(130)은 6.78㎒에서 100~350Wb/A.m 범위의 투자율을 갖는 Ni-Zn 페라이트 시트,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또는 폴리머 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결정립 합금은 Fe계 또는 Co계 자성 합금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비정질 합금 및 나노결정립 합금은 3원소 합금 또는 5원소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3원소 합금은 Fe, Si 및 B를 포함하며, 상기 5원소 합금은 Fe, Si, B, Cu 및 Nb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morphous alloy or the nano-crystal alloy may be a Fe-based or a Co-based magnetic alloy, and the amorphous alloy and the nano-crystal alloy may include a three-element alloy or a five-element alloy. For example, the three-element alloy may include Fe, Si, and B, and the five-element alloy may include Fe, Si, B, Cu, and Nb.
또한, 상기 차폐유닛(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층 이상의 복수 개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131a,131b,131c)가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6, the shielding unit 1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morphous alloy or nano-crystal
더불어, 상기 차폐유닛(130)은 와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복수 개의 미세 조각은 1㎛ ~ 3mm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조각들은 비정형으로 랜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ne pieces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of 1 to 3 mm, and each piece may be irregularly randomized.
그리고, 상기 차폐유닛(130')이 미세조각으로 분리형성된 복수의 시트(131a,131b,131c)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시트 사이에는 비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착층(131d)이 배치되어 서로 적층되는 한 쌍의 시트 사이에 스며들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접착층(121d)이 각각의 시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미세 조각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131d)은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필름 형태의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When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차폐유닛(130,130')은 상부면과 하부면 중 적어도 일면에 별도의 보호필름(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필름(미도시)은 접착층을 매개로 상기 차폐유닛(130)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차폐유닛(130,130')이 미세 조각으로 분리된 경우, 미세 조각들 사이에 흡수되어 미세 조각들을 절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도 있다. 더불어, 상기 접착층은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필름 형태의 기재와,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보호필름의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콤보 안테나모듈(100)은 휴대용 전자장치(10)에 적용될 수 있다. The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10)는 콤보 안테나모듈(100)을 구비하며, 모드판단부(12), 복수의 무선 모듈(14,16,18)을 포함한다. 7, the portable
상기 모드판단부(12)는 상기 복수의 무선 모듈(14,16,18) 중 어느 모듈이 동작중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100)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이때, 모드판단부(12)는 예를 들면,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100)의 각각의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무선의 세기를 기초로 동작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The
대안적으로, 상기 모드판단부(12)는 상기 스위칭부(120)가 상기 복수의 무선 모듈(14,16,18)의 동작모드에 따라 무조건 스위칭하지 않고, 특정 경우에만 스위칭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예를 들면, 휴대용 전자장치(10)는 상기 회로기판(111)의 최외곽부에 배치되는 상기 제1안테나(112)를 통한 자기공진 방식으로 무선전력을 충전하는 중에, 무선전력 충전의 효율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또는 NFC 통신 중에 무선의 성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안테나(112)와 상기 제2안테나(114) 및 상기 제3안테나(116) 중 적어도 하나를 병렬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칭부(120)를 스위칭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이때, 상기 모드판단부(12)는 상기 스위칭부(120)를 스위칭하기 위한 특정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드판단부(12)는 무선 송신 또는 수신의 세기에 따라 무선 성능이 기준치 이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모드판단부(12)는 무선통신의 송신 또는 수신의 세기, 또는 무선전력의 송신 또는 수신의 세기에 따라 무선 성능을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상기 모드판단부(12)는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100)을 스위칭하기 위한 다양한 조건을 판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그 판단 조건의 종류 또는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The
상기 복수의 무선 모듈은 상기 제1무선 모듈(14), 상기 제2무선 모듈(16) 및 상기 제3무선 모듈(18)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wireless modules may include the
상기 제1무선 모듈(14)은 상기 제1안테나(112)와 연동하여 자기공진 방식의 무선전력 충전을 수행하거나 NFC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1무선 모듈(14)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무선 모듈(14)은 무선전력 송신모듈 및 무선전력 수신모듈 중 어느 하나이거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무선 모듈(14)은 무선으로 통신하거나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선 송신모듈 및 무선 송신모듈 중 어느 하나이거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2무선 모듈(16)은 상기 제2안테나(114)와 연동하여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전력 충전을 수행하거나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2무선 모듈(16)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무선 모듈(16)은 무선전력 송신모듈 및 무선전력 수신모듈 중 어느 하나이거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무선 모듈(14)은 무선으로 통신하거나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선 송신모듈 및 무선 송신모듈 중 어느 하나이거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제3무선 모듈(18)은 상기 제3안테나(116)와 연동하여 MST 통신을 수행하거나 무선전력 충전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3무선 모듈(18)은 무선으로 통신하거나 수신하거나 송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선 송신모듈 및 무선 송신모듈 중 어느 하나이거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무선 모듈(18)은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무선전력 송신모듈 및 무선전력 수신모듈 중 어느 하나이거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상기 제1무선 모듈(14), 상기 제2무선 모듈(16) 및 상기 제3무선 모듈(18)은 무선전력 송신모듈로서 기능하는 경우, 휴대용 전자장치(10)의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안테나(112) 및 상기 제2안테나(114)로 제공하는 인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또한, 상기 제1무선 모듈(14), 상기 제2무선 모듈(16) 및 상기 제3무선 모듈(18)은 무선전력 수신모듈로서 기능하는 경우, 상기 제1안테나(112) 및 상기 제2안테나(114)로부터 수신된 무선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정류기(미도시) 및 이를 휴대용 전자장치(10)의 배터리 또는 내부의 전원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DC-DC 컨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아울러, 상기 제1무선 모듈(14), 상기 제2무선 모듈(16) 및 상기 제3무선 모듈(18)은 무선전력 수신모듈 및 무선전력 송신모듈 모두로서 기능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인버터(미도시), 정류기(미도시), 및 DC-DC 컨버터(미도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또한, 상기 제1무선 모듈(14), 상기 제2무선 모듈(16) 및 상기 제3무선 모듈(18)은 무선 송신모듈로서 기능하는 경우, 송신 대상 신호를 고주파대역의 송신 신호로 변환하는 복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또한, 상기 제1무선 모듈(14), 상기 제2무선 모듈(16) 및 상기 제3무선 모듈(18)은 무선 수신모듈로서 기능하는 경우, 고주파 대역의 수신 신호로부터 원신호(송신 신호)를 추출하는 변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아울러, 상기 제1무선 모듈(14), 상기 제2무선 모듈(16) 및 상기 제3무선 모듈(18)은 무선 수신모듈 및 무선 송신모듈 모두로서 기능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복조부(미도시), 및 변조부(미도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100)을 휴대용 전자장치(10)에 구비함으로써, 동작모드에 따른 스위칭에 의해 무선전력 충전 또는 무선통신의 범위, 효율 및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따라서, 휴대용 전자장치(10)의 사용자에 대한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By providing 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100)이 상기 스위칭부(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안테나유닛(110)과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100)이 휴대용 전자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안테나유닛(110)과 분리되어 메인 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휴대용 전자장치 12 : 모드판단부
14 : 제1무선 모듈 16 : 제2무선 모듈
18 : 제3무선 모듈 100 : 콤보 안테나모듈
110 : 안테나유닛 111 : 회로기판
112 : 제1안테나 114 : 제2안테나
116 : 제3안테나 120 : 스위칭부
122 : 제1스위치 124 : 제2스위치
130,130' : 차폐유닛
131a,131b,133c :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131d : 접착층10: portable electronic device 12: mode determination unit
14: first wireless module 16: second wireless module
18: Third wireless module 100: Combo antenna module
110: antenna unit 111: circuit board
112: first antenna 114: second antenna
116: Third antenna 120:
122: first switch 124: second switch
130,130 ': Shielding unit
131a, 131b, 133c: ribbon sheet of amorphous alloy or nano-crystal alloy
131d:
Claims (23)
상기 안테나유닛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두 개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유닛은 제1인덕턴스를 갖는 제1안테나, 상기 제1인덕턴스보다 큰 제2인덕턴스를 갖는 제2안테나 및 상기 제1인덕턴스와 상기 제2인덕턴스 사이의 제3인덕턴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유닛이 상기 제1안테나를 이용하는 동작모드인 경우,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2안테나 및 상기 제3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병렬로 연결하는 콤보 안테나모듈.An antenna unit comprising a circuit board and a plurality of antennas having different operating frequencies; And
And a switching unit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antenna unit,
The antenna unit comprising a first antenna having a first inductance, a second antenna having a second inductance greater than the first inductance, and at least one third antenna having a third inductance between the first inductance and the second inductance, Lt; / RTI >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tenna,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is connected in parallel when the antenna unit is in the operation mode using the first antenna.
상기 회로기판은 가요성(flexible) 소재로 이루어진 콤보 안테나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ircuit board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상기 제1안테나는 상기 회로기판의 최외곽부에 배치고,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회로기판의 중심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3안테나는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2안테나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tenna is disposed at an outermost portion of the circuit board,
The second antenna is disposed on the center side of the circuit board,
Wherein the third antenna comprises at least one antenna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second antenna.
상기 제2안테나는 상기 제1안테나보다 동작 주파수가 낮고, 상기 제3안테나보다 동작 주파수가 높은 콤보 안테나모듈.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antenna has a lower operating frequency than the first antenna and a higher operating frequency than the third antenna.
상기 제1안테나는 자기공진 방식의 무선전력용 안테나 및 NFC 안테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안테나는 자기유도 방식의 무선전력용 안테나이며,
상기 제3안테나는 MST 안테나인 콤보 안테나모듈.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antenna includes one of a radio power antenna and an NFC antenna of a self resonance type,
The second antenna is a wireless power antenna of a magnetic induction type,
And the third antenna is an MST antenna.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제1안테나를 통한 무선 성능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2안테나 및 상기 제3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병렬로 연결하는 콤보 안테나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unit connects at least one of the first antenna,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in parallel when the radio performance through the first antenna is lower than a reference value.
상기 무선 성능은 무선 송신 또는 수신의 세기인 콤보 안테나모듈.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radio performance is the intensity of the radio transmission or reception.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안테나유닛이 상기 제1안테나를 이용하지 않는 동작모드인 경우,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2안테나 및 상기 제3안테나 모두를 분리하는 콤보 안테나모듈.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witching unit separates both the first antenna,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when the antenna unit is in the operation mode in which the first antenna is not used.
상기 안테나유닛의 일면에 배치되어 자기장을 유기하는 차폐유닛을 더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hielding uni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antenna unit to induce a magnetic field.
상기 차폐유닛은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 페라이트 시트 및 폴리머 시트 중 어느 하나인 콤보 안테나모듈.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hielding unit is one of a ribbon sheet of an amorphous alloy or a nano-crystal alloy, a ferrite sheet and a polymer sheet.
상기 리본시트는 복수의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의 리본시트가 적층되어 구성되는 콤보 안테나모듈.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ribbon sheet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ribbon sheets of amorphous alloy or nano-crystal alloy.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MnZn 페라이트 또는 NiZn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콤보 안테나모듈.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errite sheet is made of MnZn ferrite or NiZn ferrite.
상기 비정질 합금 또는 나노 결정립 합금은 3원소 합금 또는 5원소 합금을 포함하고,
상기 3원소 합금은 Fe, Si 및 B를 포함하며,
상기 5원소 합금은 Fe, Si, B, Cu 및 Nb를 포함하는 콤보 안테나모듈.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amorphous alloy or the nanocrystalline alloy includes a three-element alloy or a five-element alloy,
Wherein the ternary alloy comprises Fe, Si and B,
Wherein the five element alloy comprises Fe, Si, B, Cu and Nb.
상기 차폐유닛은 복수의 미세 조각으로 분리형성되는 콤보 안테나모듈.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hielding un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inute pieces.
상기 복수의 미세 조각들은 서로 이웃하는 미세 조각들 간에 전체적으로 절연되거나 부분적으로 절연되는 콤보 안테나모듈.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lurality of microparts are entirely insulated or partially insulated between neighboring microparts.
상기 복수의 미세 조각은 1㎛ ~ 3㎜의 크기인 콤보 안테나모듈.16. 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plurality of micro pieces are 1 mu m to 3 mm in size.
상기 복수의 미세 조각은 비정형으로 이루어지는 콤보 안테나모듈.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plurality of minute pieces are formed at an irregular shape.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각각 연동하는 복수의 무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무선 모듈 중 어느 모듈이 동작중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모드판단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장치.The combo antenna modu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7 to 18;
A plurality of wireless modules interlocked with the plurality of antennas, respectively; And
And a mode determiner for determining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radio modules is operating and controlling switching of the combo antenna module.
상기 복수의 무선 모듈 중 어느 하나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휴대용 전자장치.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one of said plurality of wireless modules transmits power wirelessly.
상기 복수의 무선 모듈 중 어느 하나는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휴대용 전자장치.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one of said plurality of wireless modules receives power wirelessly.
상기 복수의 무선 모듈 중 어느 하나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휴대용 전자장치.20. The method of claim 19,
Wherein any one of said plurality of wireless modules communicates wirelessly.
상기 안테나유닛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안테나 중 적어도 두 개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스위칭부;
상기 복수의 안테나와 각각 연동하는 복수의 무선 모듈; 및
상기 복수의 무선 모듈 중 어느 모듈이 동작중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콤보 안테나모듈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모드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유닛은 제1인덕턴스를 갖는 제1안테나, 상기 제1인덕턴스보다 큰 제2인덕턴스를 갖는 제2안테나 및 상기 제1인덕턴스와 상기 제2인덕턴스 사이의 제3인덕턴스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3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유닛이 상기 제1안테나를 이용하는 동작모드인 경우, 상기 제1안테나와 상기 제2안테나 및 상기 제3안테나 중 적어도 하나를 병렬로 연결하는 휴대용 전자장치.A combo antenna module comprising: a circuit board; an antenna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having different operating frequencies; and a shielding unit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antenna unit to induce a magnetic field;
A switching unit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of the antenna unit;
A plurality of wireless modules interlocked with the plurality of antennas, respectively; And
And a mode determiner for determining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radio modules is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witching of the combo antenna module,
The antenna unit comprising a first antenna having a first inductance, a second antenna having a second inductance greater than the first inductance, and at least one third antenna having a third inductance between the first inductance and the second inductance, Lt; / RTI >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tenna, the second antenna and the third antenna is connected in parallel when the antenna unit is in the operation mode using the first antenna.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2438A KR101926615B1 (en) | 2015-07-20 | 2015-07-20 | Combo antenna modul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CN201680051911.4A CN108028125B (en) | 2015-07-20 | 2016-07-11 | Combined antenn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PCT/KR2016/007483 WO2017014464A1 (en) | 2015-07-20 | 2016-07-11 | Combin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US15/745,510 US10707703B2 (en) | 2015-07-20 | 2016-07-11 | Combin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2438A KR101926615B1 (en) | 2015-07-20 | 2015-07-20 | Combo antenna modul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0596A KR20170010596A (en) | 2017-02-01 |
KR101926615B1 true KR101926615B1 (en) | 2018-12-11 |
Family
ID=5810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2438A Active KR101926615B1 (en) | 2015-07-20 | 2015-07-20 | Combo antenna modul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661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138746A1 (en) * | 2015-05-18 | 2018-05-17 | Amosense Co., Ltd. | Combo Antenna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Compris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3650B1 (en) * | 2017-05-23 | 2023-02-27 | 주식회사 아모센스 |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
KR102454875B1 (en) * | 2017-09-22 | 2022-10-1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Wireless communication enabled wireless charging device |
KR102239554B1 (en) * | 2020-03-16 | 2021-04-21 |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 Antenna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5234B1 (en) * | 2012-01-30 | 2013-05-16 | 쓰리에이로직스(주) | Nfc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6676B1 (en) | 2010-09-17 | 2012-03-16 | 주식회사 아이엠텍 | Filter for multi-band antenna switching module |
-
2015
- 2015-07-20 KR KR1020150102438A patent/KR10192661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5234B1 (en) * | 2012-01-30 | 2013-05-16 | 쓰리에이로직스(주) | Nfc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138746A1 (en) * | 2015-05-18 | 2018-05-17 | Amosense Co., Ltd. | Combo Antenna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Comprising Same |
US10658870B2 (en) * | 2015-05-18 | 2020-05-19 | Amosense Co., Ltd. | Combo antenna unit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module compri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0596A (en) | 2017-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31151B2 (en) | Combin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US10707703B2 (en) | Combination antenn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KR101810001B1 (en) | A wireless power receiver module | |
US20210075109A1 (en) | Method Of Providing A Single Structure Multi Mode Antenna Having A Unitary Body Construction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sing Magnetic Field Coupling | |
KR101926594B1 (en) | Antenna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module having the same | |
KR101890326B1 (en) |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and portable auxili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
KR101939663B1 (en) | Shielding sheet for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charging receive module having the same | |
KR101827721B1 (en) | Antenna module for car | |
KR101795546B1 (en) | Shielding unit for a wireless charging and wireless power transfer module including the same | |
US20160149305A1 (en) | Antenna device and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 |
EP2752943A1 (en) | Soft magnetic layer, receiving antenna, and wireless power receiv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
CN107155385A (en) | Multi-mode radio electric power reception device and method | |
KR20190093937A (en) | Wireless Power Receiver For Enhancing Antenna Performance | |
KR101926615B1 (en) | Combo antenna modul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490513B1 (en) | Wireless charging module consisting composite magnetic sheet | |
KR101738132B1 (en) | Wireless charging module consisting composite magnetic sheet | |
KR101496353B1 (en) | Wireless charging module consisting composite magnetic sheet | |
KR101856564B1 (en) | Combo antenna modul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KR101926613B1 (en) | Combo antenna modul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JP2014207366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coil unit, coil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101888353B1 (en) | Combo antenna modul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CN208589547U (en) | Antenna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 |
KR20180100749A (en) | Coil Assembly Having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Structure | |
KR102209058B1 (en) | Power Conversion Unit for Wireless Power Transmitter | |
KR20150066290A (en) | Soft magnetic substrat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convers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7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