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6504B1 -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 Google Patents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504B1
KR101926504B1 KR1020180034835A KR20180034835A KR101926504B1 KR 101926504 B1 KR101926504 B1 KR 101926504B1 KR 1020180034835 A KR1020180034835 A KR 1020180034835A KR 20180034835 A KR20180034835 A KR 20180034835A KR 101926504 B1 KR101926504 B1 KR 101926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ontact
housing
signal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화윤
이진욱
차선화
양창현
김은정
정경훈
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가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가레인
Priority to KR1020180034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504B1/ko
Priority to CN201910199894.4A priority patent/CN109980384B/zh
Priority to EP19163691.9A priority patent/EP3547458B1/en
Priority to US16/361,442 priority patent/US10530099B2/en
Priority to JP2019058293A priority patent/JP6550687B1/ja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on the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7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di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기판의 신호 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신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컨택부; 일측이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 컨택부; 및 상기 신호 컨택부 및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는, 내벽에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인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와, 상기 테이퍼부에 일단 또는 타단이 접촉되어 상대 이동하는 다른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Board mating connector comprising ground part with taper part}
본 발명은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인쇄회로기판 등 신호 배선이 형성된 기판에 접촉되어 기판에 RF 신호를 전달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는 기판의 신호 전극과 접촉되는 신호 컨택부(100),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되는 그라운드 컨택부(200)를 포함한다.
<그라운드 컨택부의 문제점>
일반적으로 그라운드 컨택부(200)는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 압축되는 경우, 기판의 방향으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그라운드 스프링(GS)을 통해 제공 받는다.
이러한, 그라운드 스프링(GS)은 금속 와이어를 성형하여 제작된다.
그러나, 그라운드 스프링(GS)은 시간이 지날 수록 복원력이 감소되고, 부식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신호 컨택부의 문제점>
일반적으로, 신호 컨택부(100)는 하우징(110), 접촉부(120), 및 신호 스프링(130)을 포함한다.
이러한, 하우징(110) 및 접촉부(120)는 신호 스프링(130)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신호 스프링(130)을 매개로 RF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PIMD(Passive Inter-Modulation Distortion) 특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JP 4287107 B2 KR 10-2015-0080486 A KR 10-152937 B1 KR 10-1408249 B1
본 발명은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는, 일측이 기판의 신호 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신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컨택부; 일측이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 컨택부; 및 상기 신호 컨택부 및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는, 내벽에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인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와, 상기 테이퍼부에 일단 또는 타단이 접촉되어 상대 이동하는 다른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는, 제1 그라운드 중공이 형성되는 제1 그라운드부; 상기 제1 그라운드 중공에 타측 일부가 삽입되고, 제2 그라운드 중공이 형성된 제2 그라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퍼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 내벽에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2 그라운드부 타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기 제2 그라운드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구비되는 제1 슬릿; 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상기 제1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전체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및 상기 신호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유전체부; 및 상기 제2 그라운드부 및 상기 신호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유전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유전체부는 상기 신호 컨택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유전체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그라운드부와는 면접하고, 상기 신호 컨택부와는 면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는, 제3 그라운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그라운드 중공에 상기 제2 그라운드 일측 일부가 삽입되는 제3 그라운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3 그라운드 내벽에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 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2 그라운드부 일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일단에서 타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구비되는 제2 슬릿;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2 그라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상기 제2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상기 제3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2 그라운드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부의 벽면 중에서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가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 그라운드부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제1 그라운드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3 그라운드부의 벽면 중에서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가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타측에는 제3 그라운드부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제3 그라운드 걸림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전체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및 상기 신호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와는 면접하지 않도록 제2 그라운드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그라운드 중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컨택부는,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삽입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내부에 타측이 개방된 접촉부 삽입홀이 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하우징 삽입홀의 일측과 상기 접촉부의 타측 사이에 삽입되는 신호 스프링; 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 삽입홀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신호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상기 접촉부의 내측이 접촉되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접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 타단에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촉부 돌출부; 및 상기 접촉부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구비되는 접촉부 슬릿; 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 돌출부는, 상기 신호 스프링이 복원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컨택부는,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삽입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삽입홀에 타측 일부가 삽입된 접촉부; 및 상기 하우징 삽입홀의 일측과 상기 접촉부 삽입홀의 타측 사이에 삽입되는 신호 스프링; 을 포함하되, 상기 신호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접촉부의 외측이 접촉되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접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일단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하우징 돌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서 타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형성되는 하우징 슬릿; 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돌출부는, 상기 신호 스프링이 복원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접촉부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그라운드 스프링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그라운드 스프링의 포함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PIMD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의 복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기판 메이팅 커넥터의 압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신호 컨택부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신호 컨택부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신호 컨택부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신호 컨택부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신호 컨택부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원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신호 컨택부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축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그라운드 스프링(GS)은 시간이 지날 수록 복원력이 감소되고, 부식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메이팅 커넥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컨택부(100), 그라운드 컨택부(200), 및 유전체부(300)를 포함한다.
신호 컨택부(100)는 일측이 기판의 신호 전극과 접촉하여 신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라운드 컨택부(200)는 일측이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여 그라운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유전체부(300)는 신호 컨택부(100) 및 그라운드 컨택부(200)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그라운드 컨택부(200)는 그라운드 컨택부(200)의 내벽에 일측 또는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인 테이퍼부(400)를 포함한다.
테이퍼부(400)에 따른 세부 구성으로, 테이퍼부(400)는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410)를 포함한다.
또한, 그라운드 컨택부(200)는 제1 그라운드부(210) 및 제2 그라운드부(220)를 포함한다.
먼저, 테이퍼부(4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410)는 제1 그라운드(210) 내벽에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그라운드 컨택부(20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1 그라운드부(210)는 제1 그라운드 중공(211)이 형성된다.
제2 그라운드부(220)는 제1 그라운드 중공(211)에 타측 일부가 삽입되고, 제2 그라운드 중공(221)이 형성된다.
또한, 제2 그라운드부(220)는, 제1 돌출부(222) 및 제1 슬릿(223)을 더 포함한다.
제1 돌출부(222)는 제2 그라운드부(220) 타단에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1 슬릿(223)은 제2 그라운드부(220)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2 그라운드부(220)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구비되어, 제2 그라운드부(220)의 타단이 다수 개로 분할되도록 한다.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돌출부(222)의 외경이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410)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제1 돌출부(222)의 외경이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410)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필요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그라운드부(210)의 벽면 중에서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410)가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 그라운드부(210)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제1 그라운드 걸림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그라운드 걸림부(212)는 제1 돌출부(222)의 일측이 제1 그라운드 걸림부(212)에 걸려 더이상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410), 제1 돌출부(222), 및 제1 슬릿(223)이 그라운드 스프링(GS)을 대체한다.
따라서, 그라운드 스프링(GS)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그라운드 스프링(GS)의 포함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부(300)는 제1 유전체부(310) 및 제2 유전체부(320)를 포함한다.
제1 유전체부(310)는 제1 그라운드부(210) 및 신호 컨택부(100) 사이에 위치한다.
제2 유전체부(320)는 제2 그라운드부(220) 및 신호 컨택부(100) 사이에 위치한다.
제2 그라운드부(220)가 제1 그라운드부(210)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유전체부(310)에 제2 유전체부(320)가 근접하게 되는 경우, 제1 유전체부(310)의 유전율에 제2 유전체부(320)의 유전율이 가중되어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2 유전체부(320)는 신호 컨택부(1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유전체 중공(321)이 형성되어, 제2 그라운드부(220)와는 면접하고, 신호 컨택부(100)와는 면접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임피던스가 변화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운드 컨택부(200)가 기판의 반대 방향으로 압축되는 경우, 기판의 방향으로 복원되는 복원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서, 그라운드 컨택부(200)는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420)가 형성된 제3 그라운드부(230)를 더 포함하고, 제2 그라운드부(220)는 제2 돌출부(224) 및 제2 슬릿(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그라운드부(230)는 제3 그라운드 중공(231)이 형성되고, 제3 그라운드 중공(231)에 제2 그라운드(220) 일측 일부가 삽입된다.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420)는 제3 그라운드(230) 내벽에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돌출부(224)는 제2 그라운드부(220) 일단에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 슬릿(225)은 제2 그라운드부(220)의 일단에서 타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구비되어, 제2 그라운드부(220)의 일단이 다수 개로 분할되도록 한다.
제3 그라운드부(230)가 제2 그라운드부(22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2 돌출부(224)의 외경이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420)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제2 돌출부(224)의 외경이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420)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제3 그라운드부(230)가 제2 그라운드부(22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3 그라운드부(230)가 제2 그라운드부(22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필요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 그라운드부(230)의 벽면 중에서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420)가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타측에는 제3 그라운드부(230)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제3 그라운드 걸림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그라운드 걸림부(232)는 제2 돌출부(224)의 일측이 제3 그라운드 걸림부(232)에 걸려 더이상 제3 그라운드부(230)가 제2 그라운드부(220)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부(300)는 제1 그라운드부(210) 및 신호 컨택부(100) 사이에 위치하고, 제2 그라운드부(220)와는 면접하지 않도록 제2 그라운드부(220)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그라운드 중공(221)에 삽입된다.
신호 스프링(130)의 매개로 하우징(110) 및 접촉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PIMD 특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신호 컨택부(100)의 제1 실시예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접촉부(120), 및 신호 스프링(13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삽입홀(111)이 형성되고, 타단에 컨택핀(115)이 형성된다.
접촉부(120)는 내부에 타측이 개방된 접촉부 삽입홀(121)이 형성된다.
신호 스프링(130)은 하우징 삽입홀(111)의 일측과 접촉부 삽입홀(121)의 타측 사이에 삽입된다.
접촉부 삽입홀(121)에는 하우징(110)의 일측 일부가 삽입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20)의 일측이 기판에 접촉하여 신호 스프링(130)이 압축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외측에 접촉부(120)의 내측이 접촉되어 하우징(110) 및 접촉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우징(110)의 외측에 접촉부(120)의 내측이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접촉부(120)는 접촉부 돌출부(122), 및 접촉부 슬릿(123)을 포함한다.
접촉부 돌출부(122)는 접촉부(120) 타단에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접촉부 슬릿(123)은 접촉부(120)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접촉부(120)의 둘레를 따라 2 이상이 형성되어, 접촉부(120)의 타단이 다수 개로 분할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20)의 일측이 기판에 접촉하여 신호 스프링(130)이 압축된 상태에서, 신호 접촉부 슬릿(123)에 의해 접촉부(120) 타단의 내경이 커지고, 내경이 커진 접촉부(120) 타단의 복원력에 의해 접촉부 돌출부(122)가 하우징(110)의 외측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는 것이다.
이때, 안정적 접촉을 향상시키기 위해, 신호 스프링(130)이 압축된 상태에서, 접촉부 돌출부(122)의 내경은 접촉부 돌출부(122)가 접촉하는 하우징(110)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부(120) 타단의 내경이 커진 상태가 유지되어 복원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스프링(130)이 복원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홈(114)에 접촉부 돌출부(122)가 삽입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촉부(120)에 신호 스프링(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볼 형상의 유전체(미도시)가 접촉부(120) 및 신호 스프링(130) 사이에 위치하여, 하우징(110) 외측과 접촉부(120) 내측의 접촉만으로 하우징(110) 및 접촉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20)의 일단은 홈 또는 돌출 형성되어 기판과의 접촉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 및 접촉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신호 컨택부(100)는 PIMD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신호 컨택부(100)의 제2 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 접촉부(120), 및 신호 스프링(13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삽입홀(111)이 형성되고, 타단에 컨택핀(115)이 형성된다.
접촉부(120)는 하우징 삽입홀(111)에 타측 일부가 삽입된다.
신호 스프링(130)은 하우징 삽입홀(111)의 일측과 접촉부(120)의 타측 사이에 삽입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부(120)의 일측이 기판에 접촉하여 신호 스프링(130)이 압축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내측에 접촉부(120)의 외측이 접촉되어 하우징(110) 및 접촉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우징(110)의 내측에 접촉부(120)의 외측이 안정적으로 접촉되도록, 하우징(110)은 하우징 돌출부(112), 및 하우징 슬릿(113)을 포함한다.
하우징 돌출부(112)는 하우징(110) 일단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된다.
하우징 슬릿(113)은 하우징(110)의 일단에서 타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둘레를 따라 2 이상이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일단을 다수 개로 분할되도록 한다.
이때, 안정적 접촉을 향상시키기 위해, 신호 스프링(130)이 압축된 상태에서, 하우징 돌출부(112)의 내경은 하우징 돌출부(112)가 접촉하는 접촉부(120)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10) 일단의 내경이 커진 상태가 유지되어 복원력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스프링(130)이 복원된 상태에서, 접촉부(120)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접촉부 홈(124)에 하우징 돌출부(112)가 삽입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접촉부(120)에 신호 스프링(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볼 형상의 유전체가 접촉부(120) 및 신호 스프링(130) 사이에 위치하여, 하우징(110) 외측과 접촉부(120) 내측의 접촉만으로 하우징(110) 및 접촉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20)의 일단은 홈 또는 돌출 형성되어 기판과의 접촉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 및 접촉부(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신호 컨택부(100)는 PIMD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00 신호 컨택부 110 하우징
111 하우징 삽입홀 112 하우징 돌출부
113 하우징 슬릿 114 하우징 홈
115 컨택핀 120 접촉부
121 접촉부 삽입홀 122 접촉부 돌출부
123 접촉부 슬릿 124 접촉부 홈
130 신호 스프링 200 그라운드 컨택부
210 제1 그라운드부 211 제1 그라운드 중공
212 제1 그라운드 걸림부 220 제2 그라운드부
221 제2 그라운드 중공 222 제1 돌출부
223 제1 슬릿 224 제2 돌출부
225 제2 슬릿 230 제3 그라운드부
231 제3 그라운드 중공 232 제3 그라운드 걸림부
300 유전체부 310 제1 유전체부
320 제2 유전체부 400 테이퍼부
410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 420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
GS 그라운드 스프링

Claims (14)

  1. 일측이 기판의 신호 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신호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컨택부;
    일측이 기판의 그라운드 전극과 접촉하여 상기 그라운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 컨택부; 및
    상기 신호 컨택부 및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부; 를 포함하되,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는,
    제1 그라운드 중공이 형성되는 제1 그라운드부;
    상기 제1 그라운드 중공에 타측 일부가 삽입되고, 제2 그라운드 중공이 형성된 제2 그라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부는 내벽에 타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인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에 타단이 접촉되어 상대 이동하되,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타단이 상기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에 의하여 압축되고, 압축된 제2 그라운드부의 타단이 상기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2 그라운드부 타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구비되는 제1 슬릿; 을 포함하되,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상기 제1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상기 제2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및 상기 신호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유전체부; 및
    상기 제2 그라운드부 및 상기 신호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유전체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유전체부는 상기 신호 컨택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제2 유전체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 그라운드부와는 면접하고, 상기 신호 컨택부와는 면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컨택부는,
    제3 그라운드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3 그라운드 중공에 상기 제2 그라운드 일측 일부가 삽입되는 제3 그라운드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3 그라운드 내벽에 일측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 를 포함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2 그라운드부 일단에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일단에서 타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구비되는 제2 슬릿;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2 그라운드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에 의해서 압축되고, 압축된 상기 제2 돌출부의 외경이 상기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을 따라서 복원되어, 상기 제3 그라운드부가 상기 제2 그라운드부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부의 벽면 중에서 제1 그라운드 테이퍼부가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일측에는 제1 그라운드부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제1 그라운드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그라운드부는,
    상기 제3 그라운드부의 벽면 중에서 제3 그라운드 테이퍼부가 형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타측에는 제3 그라운드부의 벽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된 제3 그라운드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부는,
    상기 제1 그라운드부 및 상기 신호 컨택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그라운드부와는 면접하지 않도록 제2 그라운드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그라운드 중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컨택부는,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삽입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내부에 타측이 개방된 접촉부 삽입홀이 형성되는 접촉부; 및
    상기 하우징 삽입홀의 일측과 상기 접촉부 삽입홀의 타측 사이에 삽입되는 신호 스프링; 을 포함하되,
    상기 접촉부 삽입홀에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신호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 상기 접촉부의 내측이 접촉되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접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접촉부 타단에 내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접촉부 돌출부; 및
    상기 접촉부의 타단에서 일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접촉부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구비되는 접촉부 슬릿; 을 포함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 돌출부는,
    상기 신호 스프링이 복원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하우징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호 컨택부는,
    내부에 일측이 개방된 하우징 삽입홀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삽입홀에 타측 일부가 삽입된 접촉부; 및
    상기 하우징 삽입홀의 일측과 상기 접촉부의 타측 사이에 삽입되는 신호 스프링; 을 포함하되,
    상기 신호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상기 접촉부의 외측이 접촉되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접촉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 일단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하우징 돌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서 타측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둘레를 따라 2 이상 형성되는 하우징 슬릿; 을 포함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돌출부는,
    상기 신호 스프링이 복원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는 접촉부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20180034835A 2018-03-27 2018-03-27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Active KR101926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835A KR101926504B1 (ko) 2018-03-27 2018-03-27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CN201910199894.4A CN109980384B (zh) 2018-03-27 2019-03-15 包括形成有锥形部的地部的基板配合连接器
EP19163691.9A EP3547458B1 (en) 2018-03-27 2019-03-19 Board mating connector including ground unit in which tapered portion is formed
US16/361,442 US10530099B2 (en) 2018-03-27 2019-03-22 Board mating connector including ground unit in which tapered portion is formed
JP2019058293A JP6550687B1 (ja) 2018-03-27 2019-03-26 テーパー部が形成されたグラウンド部を含む基板メイティングコネク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835A KR101926504B1 (ko) 2018-03-27 2018-03-27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504B1 true KR101926504B1 (ko) 2018-12-07

Family

ID=64669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835A Active KR101926504B1 (ko) 2018-03-27 2018-03-27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30099B2 (ko)
EP (1) EP3547458B1 (ko)
JP (1) JP6550687B1 (ko)
KR (1) KR101926504B1 (ko)
CN (1) CN10998038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1046A1 (en) * 2019-07-26 2021-01-27 Gigalane Co. Ltd Board mating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924B1 (ko) * 2020-04-29 2022-07-21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커넥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545B2 (ja) * 1991-03-27 1995-12-20 山一電機株式会社 入れ子形加圧接続子
JPH05182729A (ja) * 1991-12-26 1993-07-23 Yamaichi Electron Co Ltd 電気部品用接触子
JP2586334B2 (ja) * 1994-06-08 1997-02-26 日本電気株式会社 接触形高周波信号接続構造
JP3126892B2 (ja) * 1995-02-27 2001-01-22 株式会社ヨコオ 同軸基板間コネクタ
JP4428803B2 (ja) * 2000-04-17 2010-03-10 株式会社ヨコオ 電気的接続装置および接続ユニット
EP1289076B1 (en) 2001-08-31 2005-06-15 Tyco Electronics AMP GmbH Coaxial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US6776668B1 (en) * 2003-08-01 2004-08-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ow profile coaxial board-to-board connector
CN100568628C (zh) * 2004-05-17 2009-12-09 株式会社和光精机 导电销
JP3107906U (ja) * 2004-09-27 2005-04-07 スタッフ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JP2006092999A (ja) * 2004-09-27 2006-04-06 Staf Corp 同軸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るキャップ
TWI291269B (en) * 2006-01-13 2007-12-11 Murata Manufacturing Co Coaxial connector and coaxial probe for measurement
FR2905528B1 (fr) * 2006-08-31 2008-10-31 Radiall Sa Connecteur coaxial pour relier deux cartes de circuit imprime.
KR101326296B1 (ko) 2012-02-27 2013-11-11 주식회사 텔콘 기판 연결용 알에프 커넥터
FR2994031A1 (fr) * 2012-07-27 2014-01-31 Radiall Sa Connecteur coaxial hyperfrequence pour relier deux cartes de circuit imprime
DE202012010365U1 (de) * 2012-10-29 2012-11-13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ntaktelement und Kontaktvorrichtung
KR101408249B1 (ko) 2012-12-24 2014-06-16 주식회사 텔콘 무선 통신장비용 커넥터
JP6256426B2 (ja) * 2015-07-29 2018-01-10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WO2017120801A1 (en) * 2016-01-13 2017-07-20 Shanghai Radiall Electronics Co., Ltd A coaxial connection system for rf signals with high rf performance leve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71046A1 (en) * 2019-07-26 2021-01-27 Gigalane Co. Ltd Board mating connector
US11183785B2 (en) 2019-07-26 2021-11-23 Gigalane Co., Ltd. Board mating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05485A1 (en) 2019-10-03
CN109980384A (zh) 2019-07-05
EP3547458B1 (en) 2020-09-09
CN109980384B (zh) 2020-08-07
JP6550687B1 (ja) 2019-07-31
EP3547458A1 (en) 2019-10-02
JP2019175850A (ja) 2019-10-10
US10530099B2 (en)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502B1 (ko) Pimd 특성이 향상된 신호 컨택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KR101926503B1 (ko) 신호 컨택부 및 그라운드 컨택부가 연동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US7118383B2 (en) Coaxial connector for board-to-board connection
US8449326B2 (en) Coaxial connector jack with multipurpose cap
US10700456B2 (en) Board-mating connector with reduced coupling height
US10707595B2 (en) Multi-pin connector block assembly
JP2008288120A (ja) コネクタ
US10847907B2 (en) Inner conductor element
KR101926504B1 (ko) 테이퍼부가 형성된 그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기판 메이팅 커넥터
US20060234562A1 (en) Socket connector for coaxial plug
KR102376730B1 (ko)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US9960507B1 (en) Radio frequency (RF) connector pin assembly
KR101685603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US11450996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a cable to an electrical component
KR102496373B1 (ko) 고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461382B1 (ko) 커넥터
KR101783622B1 (ko) 특성 임피던스 부정합 방지용 커넥터
CN111490379A (zh) 低互调连接器及连接组件
KR20160072862A (ko) 고주파용 동축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