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130B1 - One-touch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 Google Patents
One-touch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6130B1 KR101926130B1 KR1020170036359A KR20170036359A KR101926130B1 KR 101926130 B1 KR101926130 B1 KR 101926130B1 KR 1020170036359 A KR1020170036359 A KR 1020170036359A KR 20170036359 A KR20170036359 A KR 20170036359A KR 101926130 B1 KR101926130 B1 KR 1019261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mbers
- locking
- protrusions
- fastening
- reinforc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외주면에는 철근이 진입되는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게 확장되는 경사를 갖는 외부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중심을 향하는 경사부와 내주면을 향하는 직선부가 반복 형성되어 철근의 마디돌기를 걸어주는 다수단의 락돌기가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게 다수단 형성되며, 후단 내측에는 격판 결합홈이 형성된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의 락부재; 락부재의 후단에 형성되는 격판 결합홈에 내입되어 양측 락부재의 경계 및 철근의 진입된 선단을 지지하는 격판; 및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내주면에는 락부재의 외부 경사면과 대응되는 지지 경사면(310)이 형성되며, 서로간의 체결력에 의해 락부재의 구속 및 철근이 결합시 락부재의 외부 경사면을 지지하는 양측 한 쌍의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
구조적인 간소화에 따른 취급상의 편리함과, 조립 및 시공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며, 또한,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의 미세한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그 체결력의 견고한 유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coup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inforcing coupler, which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has an outer inclined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reinforcing ba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air of opposing locking members having lock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ar end and formed with diaphragm coupling grooves; A diaphragm which is inserted into the diaphragm coupling groov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ck member and supports the boundary of the both side lock members and the forward end of the reinforcing bars; And a supporting sloping surface 310 corresponding to the outer sloping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When the locking member is constrained by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locking members and the outer sloping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when the reinforcing bars are engaged, By including a pair of housings,
And more particularly, to a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for facilitating handling in accordance with a simplified structure, convenience in assembling and construction, and capable of firmly holding the fastening force even when external fine vibration occurs in a fastened state will be.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취급상의 편리함과 양측의 철근을 연겨함에 있어 시공상의 편리함과,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coup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for convenient handling, convenience in construction in tensioning of reinforcing bars on both sides, and prevention of loosening.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근은 생산길이의 한계 또는 시공 방식의 한계로 인하여 일정한 길이마다 이음을 두어야 한다.Reinforcing bars used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must be joined at regular lengths due to the limit of production length or the limit of construction method.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철근의 이음 방식은 철근 주위의 콘크리트와의 부착을 위해 철근의 응력을 전달하는 겹침이음과 철근의 응력을 직접 전달하는 가스압접이음 및 기계식 이음으로 나눌 수 있다.Generally, the joining method of reinforcing bars can be divided into lap joints that transfer the stresses of the reinforcing bars to the concrete around the reinforcing bars and gas pressure joints and mechanical joints that directly transmit the stresses of the reinforcing bars.
이러한 겹침 이음은 전통적인 공법으로 철근과 철근을 일정한 길이로 겹쳐두어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을 통하여 이음이 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현재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음 방식이다, 그러나 철근의 직경이 클수록 이음 길이가 길어지고,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부재(기둥, 보)에 적용되는 피복두께 및 철근 간격 기준으로 효과적인 부착성능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설계 기준에서는 ‘D35를 초과하는 철근은 겹침이음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또한 겹침 이음된 부재에서는 적절한 철근간격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아서 콘크리트의 충진성에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겹침이음 부분에 Loss가 발생하고, 단면 결손에 의한 내력 저하, 이음길이에 대한 시공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This lap joint is the most commonly used joining method, which is a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reinforcing bars and reinforcing bar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by a certain length so as to be joined through the adhesive force with concrete. However, the larger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is, The reinforcing bars exceeding D35 should not be overlapped in concrete structure design standard because there is a limit to exhibit effective adhesion performance based on the coating thickness and the reinforcing bar spacing applied to general reinforcing concrete members (columns, beams). "He said. 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ensure proper spacing of reinforcing bars in lap joints, which may cause problems in the filling of concrete. Further, loss occurs at the overlapping joint portion, and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construction with respect to the deterioration of the strength due to the section defect and the joint length.
또한, 용접이음은 철근의 돌출길이가 짧고 협소한 장소에서도 이음이 가능하며, 아크-스터드 용접시 작업 시간이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용접기 위치로 인한 인접 철근간의 간섭이 발생하고, 용접 작용시간 과다소요, 기후에 따른 시공 품질의 변동, 숙련 기능공이 필요한 문제점과 함께 지진 발생시 Strike-slip Mechanism의 우려가 있다.In addition, welded joints have a short protrusion length of reinforcing bars and can be connected even in a narrow place. The arc-stud welding time is minimized, but interference between adjacent reinforcing bars occurs due to the welding position, Over time, fluctuations in construction quality due to climate, the need for skilled craftsmen, and the possibility of a strike-slip mechanism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한편, 기계적 이음은 2개의 철근 사이에 매개부재(커플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콘크리트의 부착강도와 관계없이 인장력에 저항할 수 있는 철근의 이음방법이다. 이음의 방법과 형식에 따라서 나사식, 강관 압착식, 쐐기식, 몰탈 충진식 등으로 구분되며, 현재 그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접합부의 강도는 작업자의 기량이나 날씨 등에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이지만, 연결방식의 한계 때문에 이음부에 미세하지만 미끄러짐(slip)이 발생할 수 있고, 가스압점에 비해 경제적인 면에서 불리한 경우가 대부분이다.On the other hand, mechanical joint is a method of joining reinforcing bars that can resist tensile force irrespective of the adhesive strength of concrete by connecting the two reinforcing bars using an intermediate member (coupler). Depending on the method and type of joint, it can be classified into screw type, steel pipe compression type, wedge type, and mortar type, and the use thereof is continuously increasing. Although the strength of the joint is stable and unaffected by the worker's skill and weather, it is very small in the joint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connection method, but slip may occur and it is most disadvantageous in terms of economy compared to the gas pressure point .
또한, 기계적 이음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나사식 커플러 방식은 암나사 형식과 수나사 형식이 결합되지 위하여 존재할 수밖에 없는 나사산 사이의 미세한 유격 때문에 미세하지만 유격만큼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 구조적인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한 유격은 순간적인 큰 하중이나 지진과 같은 반복적인 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풀림 현상이 발생하여 접합부의 내력이 크게 저하될 수가 있어 구조물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In addition, the threaded coupler method, which occupies most of the mechanical joints, is structurally problematic due to a fine clearance between the threads, which is inevitably existed because the female thread type and the male thread type are combined. Such minute clearances may cause a loosening phenomenon if momentary large loads or repetitive loads such as earthquakes are applied, and the strength of the joints may be greatly reduced, which may have a fatal impact on the structure.
종래에 개발된 철근 이음장치들의 대부분은 철근을 하우징 내부에 삽입한 후 하우징을 나사로 돌려서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구조적으로 복잡하며 철근의 연결 작업이 어려워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Most of the conventional reinforcing bars are structured by inserting reinforcing bars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and then screwing the housing into a screw, which is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difficult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have.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39305호(2004.06.28. 등록)에는 상호 대향하여 철근이 삽입되는 양측이 개방된 중공의 내부커플러와, 내부커플러의 외면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외부커플러, 내부커플러와 외부커플러 사이를 왕복하며 철근의 유동을 통제하도록 된 다수의 볼과, 상기 내부커플러와 외부커플러 사이에 탄지되어서 이들 간에 소정의 탄발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원터치식 철근 이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0439305 (registered on Jun. 28, 2004) discloses a hollow inner coupler which is open on both sides of which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hollow inner coupler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oupler An outer coupler, a plurality of balls reciprocating between the inner coupler and the outer coupler to control the flow of the reinforcing bars, and an elastic spring elastically urged between the inner coupler and the outer coupler to generat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herebetween Quot; one-touch type reinforcing bar coupling device ".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플러는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그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특히 자유 분리되는 볼의 구성상 취급이 매우 불편하고 분실의 위험이 있었으며, 볼의 분실시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coupler as described above is complicated in structure, it is troublesome in its use. Particularly, it is very uncomfortable to handle the ball by the structure of the ball which is freely separated and there is a risk of loss of the ball. There was a serious problem that could not be don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구조적인 간소화에 따른 취급상의 편리함과, 조립 및 시공상의 편리함을 가져오게 하기 위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one-touch type ferrule coupler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convenience in handling due to structural simplification and convenience in assembly and construction .
또한,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의 미세한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그 체결력의 견고한 유지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directed to a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for enabling a firm holding of a fastening force even when an external fine vibration or the like occurs in a fastened stat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외주면에는 철근이 진입되는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게 확장되는 경사를 갖는 외부 경사면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중심을 향하는 경사부와 내주면을 향하는 직선부가 반복 형성되어 철근의 마디돌기를 걸어주는 다수단의 락돌기가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게 다수단 형성되며, 후단 내측에는 격판 결합홈이 형성된 양측 대항되는 한 쌍의 락부재;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re i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ich is constituted in a tubular shape and has an outer sloped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reinforcing ba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pair of opposing locking members each having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formed by a straight line part repeatedly formed so as to hook the nodule projections of the reinforcing bars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and having diaphragm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rear end inner side;
락부재의 후단에 형성되는 격판 결합홈에 내입되어 양측 락부재의 경계 및 철근의 진입된 선단을 지지하는 격판; 및A diaphragm which is inserted into the diaphragm coupling groov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ck member and supports the boundary of the both side lock members and the forward end of the reinforcing bars; And
관체 형태로 구성되며, 내주면에는 락부재의 외부 경사면과 대응되는 지지 경사면(310)이 형성되며, 서로간의 체결력에 의해 락부재의 구속 및 철근이 결합시 락부재의 외부 경사면을 지지하는 양측 한 쌍의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하며,And a supporting
락부재는,The locking member
외부 경사면에 해당하는 부분이 이격공간을 두고 3분할 형성되며, 중심으로 좁아지는 탄력을 가지는 다수의 가압부재를 이루며,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inclined surface is divided into three portions with a spacing space, and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having elasticity that narrows to the center are formed,
가압부재의 후단 외둘레에는 각각의 가압부재에 오므라드는 압축 탄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가 탄성부재 내입홈에 내입되게 구성하며,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 compressive elastic force to the respective pressing members is provided in the elastic member inner groove 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mber,
양측 하우징의 후단 대항면에 대하여,With respect to the rear end opposing surfaces of the two side housings,
일측 하우징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A female housing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ne housing,
타측 하우징에는 암나사부에 나삽되는 돌출형 수나사부를 형성하되,And the other housing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male screw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the female screw portion,
양측 하우징은, The two-
암나사부와 수나사부에 의해 서로 체결되게 구성하거나,It may be constituted so as to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a female thread portion and a male thread portion,
양측 하우징은,The two-
각각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의 나선방향을 이루는 수나사부를 형성하고,A male screw portion having a helical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is formed on eac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내주면 양측에 상기 수나사부가 각각 체결되도록 서로 반대의 나선방향을 이루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And a fastening member having a female screw portion formed in a spiral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so that the male screw portion is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체결부재의 일방향 회전력에 의해 양측의 하우징이 동시에 체결되게 구성하며,The housing on both sides is simultaneously fastened by the unidirectional rotational force of the fastening member,
락부재의 각각의 가압부재에 해당하는 외부 경사면에는,On the outer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each pressing member of the lock member,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을 더 형성하고, 가이드홈의 내측에는 경부와 직선부가 반복되는 다수의 걸림턱이 연속 형성되게 구성하며,A guide groove is further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engagement protrusions, in which the neck portion and the straight line portion are repeated, are formed continuously inside the guide groove,
양측 하우징의 지지 경사면에는,On the support slopes of the two side housings,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를 더 형성하고, 가이드돌기에는 상기 걸림턱와 형합되는 직선부와 경사부가 반복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더 형성되게 구성하되,A guide protrusion coupled to the guide groove is formed,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guide protrusion, the linear protrusion being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양측 하우징이 체결부재에 체결시 걸림돌기가 걸림턱에 걸림 지지되어 하우징의 풀림이 방지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two housings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 the fasten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fastening protrusion so as to prevent the housing from being loosen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는, 락부재의 내주면에 형성된 락돌기가 형성된 락부재 및 그 락부재의 조임력을 부여하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것인바 구조적인 간소화에 따른 취급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간단한 나사 체결 방식에 따른 락돌기의 가압 걸림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그 조립 및 철근 시공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ne-touch type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ocking member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form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a locking member and a housing for giving a clamping force to the locking member. It is possible to obtain a very convenient effect of assembling and reinforcing bar construction by forming a press-fitting structure of the lock protrusion according to the fastening method.
또한, 락부재에 형성되는 걸림턱과 하우징에 형성되는 걸림돌기의 체결후 걸림 고정으로 하우징의 풀림이 방지되게 되는 것인바, 그 견고한 체결력의 유지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housing from being loosened by fastening the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lock member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formed on the housing,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irm fastening force.
또한, 하나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양측의 하우징의 조임이 가능하게 하는 등 가압 체결이 매우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fastening of the housing on both sides is possible by using one fastening member, and the pressure tightening is very easy.
도 1은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철근 삽입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하우징 체결 상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state in which reinforcing bars are inserted into the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 fastening state of the housing of the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결합 단면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the one-touch type reinforcing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1)는, 락부재(100)(100')와, 격판(200)(200')과, 하우징(300)(30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the one-touch type reinforced
여기서, 상기 락부재(100)(100')는, 철근(도면중 미도시함)이 관통하는 관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철근이 진입되는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이르게 확장되는 경사를 이루는 외부 경사면(110)이 구성되며, 그 후단이 대항되는 양측 한 쌍을 이루게 구성된다.Here, the
또한, 락부재(100)(100')에는 그 내주면에는 중심을 향하게 돌출 형성되는 다수단의 락돌기(121)(121')가 구성된 것으로, 락돌기(121)(121')는 락부재(100)(100')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게 중심으로 돌출되는 경사부와 내주면을 향하는 직선부가 반복 형성되는 경사 돌기 형태로 구성되어 철근의 마디돌기의 걸림이 가능하게 구성된다.The locking
이때, 상기 각각의 락돌기(121)(121')는 바람직하게는 통상 철근의 마디돌기의 간격에 대응되는 비율을 이루게 구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일예로 마디돌기 한 단당 약 2~3개에 해당하는 비율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또한, 락부재(100)(100')에는 그 개방되는 후단에는 각각의 락부재(100)(100') 후단을 마감하는 하기하는 격판(200)(200')이 결합되는 격판 결합홈(130)이 단차를 이루게 구성된다.The
한편, 상기 락부재(100)(100')는, 외부 경사면(110)에 해당하는 부분이 서로간에 이격공간(122)을 두고 3분할 형성되게 구성되어 3개의 가압부재(120)(120')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가압부재(120)(120')의 내주면에 락돌기(121)(121')를 이루게 구성된다.The locking
또한, 가압부재(120)(120')에는, 후단 외둘레에 적어도 한 열 이상의 탄성부재 내입홈(129)이 더 포함되게 구성된 것으로, 그 탄성부재 내입홈(129)에는 일측으로 개방되어 탄성력을 가지는 원형링 또는 스프링 중 어느 하나로 된 탄성부재(128)가 내입되어 각각의 가압부재(120)(120')가 항시 중심으로 오므라드는 압축 탄력을 가지게 구성된다.The
상기 격판(200)(200')은, 상기 각각의 락부재(100)(100') 후단에 형성되는 격판 결합홈(130)에 결합되어 양측 락부재(100)(100')의 경계 및 진입되는 철근의 후단을 지지하여 더 이상의 진입을 차단하게 구성된다.The
상기 하우징(300)(300')은, 상기 락부재(100)(100')가 내입되는 관통형 관체 형태로 구성된 양측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락부재(100)(100')가 내입되고, 양측은 서로 결합되게 구성된다.Each of the
이때, 각각의 하우징(300)(300')은 그 내주면에는 상기 각각의 락부재(100)(100')의 외부 경사면(110)과 대응되는 지지 경사면(310)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서로간의 결합에 의해 양측 락부재(100)(100')를 구속하는 한편 락부재(100)(100')에 철근이 결합되어 가압부재(120)(120')가 벌어질 시 그 가압부재(120)(120')의 지지가 가능하게 구성된다.At this time, each of the
한편, 상기 양측 하우징(300)(300')의 결합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가능한 것으로, 먼저 도 1 내지 도 3의 도시와 같이 양측 하우징(300)(300')의 후단 대항면에 대하여 먼저, 일측의 하우징(300)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320)가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1 to 3, first, the rear end opposing sides of the two
그리고, 타측의 하우징(300')에는 상기 암나사부(320)에 나삽되는 돌출형 수나사부(320')가 구성된다.The housing 300 'of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protruding male threaded portion 320' which is inserted into the female threaded
즉, 양측 하우징(300)(300')은 암나사부(320)와 수나사부(320')의 체결력에 의해 서로 체결되게 구성된다.That is, the two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4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하우징(300)(300') 외주면에는 수나사부(330)(330')를 각각 형성하되, 양측의 수나사부(330)(330')는 서로 반대의 나선 방향을 이루게 구성된다.4, the male threaded
그리고, 상기 양측 수나사부(330)(330')와 동시에 체결되는 관체형 체결부재(400)가 구성된다.A
이때, 체결부재(400)의 내주면 양측에는 상기 양측 하우징(300)(300')의 반대형 수나사부(330)(330')와 체결 가능한 반대의 나선 방향을 이루는 암나사부(430)(430')가 구성된다.At both side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즉, 양측 하우징(300)(300')은 체결부재(400)의 양측에 각각 체결되는 것으로, 체결부재(400)만을 회전시 양측 하우징(300)(300')이 각각 체결부재(400) 양측에 동시에 나삽되게 구성된다.That is, the two
한편, 상기와 같이 체결부재(400)를 이용한 양측 하우징(300)(300')의 체결시 보다 긴밀한 체결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wo
이를 위해서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먼저 락부재(100)(100')의 각각의 가압부재(120)(120')에 해당하는 외부 경사면(110)에는 그 외부 경사면(11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125)을 더 형성하고, 그 가이드홈(125)의 내측 바닥면에는 선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돌출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와 바닥면을 향하는 직선부가 반복 형성되는 톱니 형태의 다수의 걸림턱(126)을 구성할 수 있다.5, the external
그리고, 양측 하우징(300)(300')의 지지 경사면(310)에는 상기 가이드홈(125)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315)를 더 형성하고, 그 가이드돌기(315)에는 상기 걸림턱(126)과 형합되는 직선부와 경사부가 반복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돌기(316)가 구성된다.The guide protrusions 315 are formed on the supporting
즉, 양측 하우징(300)(300')이 체결부재(400)에 체결시 가이드돌기(315)가 가이드홈(125)에 내재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 체결시 공회전을 방지하게 되며, 완전한 체결시 걸림돌기(316)가 어느 지점에서 걸림턱(126)에 걸림 지지되어 체결부재(400)와 하우징(300)(300')의 풀림이 방지된다.That is, when the two
한편,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1)를 구성함에 있어 분할 형성된 각각의 가압부재(120)(120')의 보강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먼저 양측 대항되는 락부재(100)(100')의 후단에는, 각각의 가압부재(120)(120')에 해당하게 보강봉 삽입홈(127)(127')을 각각 더 형성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in constructing the one-touch
그리고, 양측이 양측 하우징(300)(300')에 해당하는 보강봉 삽입홈(127)(127')에 각각 삽입되는 보강봉(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즉, 보강봉(140)은 양측 하우징(300)(300')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그 양측이 각각의 가압부재(120)(120')의 내측에 삽입되어 가압부재(120)(120')의 내부 보강이 가능한 것인바, 철근의 결합에 따른 각각의 가압부재(120)(120')에 외력이 부여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reinforcing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one-touch type reinforced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1)를 조립 상태를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7의 도시와 같이 각각의 락부재(100)(100')의 후단에 형성되는 격판 결합홈(130)에는 격판(200)(200')을 내입 시킴으로 락부재(100)(100')의 후단을 마감하면 된다.Referring to FIGS. 1 to 3, when the one-touch
이후, 각각의 락부재(100)(100')는 양측 하우징(300)(300')의 내부에 내입 시키되, 내입시에는 하우징(300)(300')의 후단으로부터 삽입하면 된다.Each of the locking
이후, 각각의 락부재(100)(100')가 내입된 양측 하우징(300)(300')을 결합함으로 양측의 락부재(100)(100')의 구속력이 부여되게 된다.Then, the locking
한편, 상기 양측 하우징(300)(300')을 결합시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양측 하우징(300)(300')에 각각 암나사부(320)와 수나사부(320')를 구성시에는 그 암나사부(320)와 수나사부(320')의 체결에 의해 가능하게 될 것이다.When the two
또한,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체결부재(400)를 구성시에는 그 체결부재(400)의 일 방향(체결방향) 회전에 의해 양측의 하우징(300)(300')을 동시에 당겨 체결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체결부재(400)를 이용시에는 각각의 하우징(300)(300')의 지지 경사면(310)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315)가 락부재(100)(100')의 각각의 가압부재(120)(1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25)에 내재 된 상태에서 결합함으로 체결 과정에서 양측 하우징(300)(300')의 공회전이 방지되면서 원활한 체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4 and 5, at the time of constructing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양측 하우징(300)(300')을 체결함에 있어서는, 철근을 시공전 완전히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갭을 형성함으로, 하기하는 철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락부재(100)(100')의 가압부재(120)(120')에 충분한 벌어지는 탄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two
이에,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1)를 이용한 철근의 시공상태를 살펴보면,Thus, when the rebar is assembled using the one-touch type reinforced
먼저, 각각의 하우징(300)(300') 양측 선단으로부터 각각의 철근(10)(10')을 삽입하되, 삽입시에는 각각의 하우징(300)(300') 내부에 내입된 락부재(100)(100')의 가압부재(120)(120')들의 사이 내경으로 삽입하면 되는 것으로, 삽입되는 철근(10)(10')은 가압부재(120)(120')를 소정 벌리면서 진입되게 된다.First, each of the reinforcing
이에, 삽입되는 철근(10)(10')의 마디돌기(11)는 각각의 가압부재(120)(12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락돌기(121)(121')와 간섭되는 것인바, 삽입시 가압부재(120)(120')의 탄성부재(128) 탄력에 의해 락돌기(121)(121')를 넘어서게 되는 것으로, 이는 락돌기(121)(121')의 경사부를 통해 철근(10)(10')의 순방향 진입이 가능하게 되고, 철근(10)(10')의 마디돌기(11)가 락돌기(121)(121')를 넘어서게 되면 그 후단이 수직부에 걸리게 되는 것인바, 이때 각각의 가압부재(120)(120')에는 탄성부재(128)에 의해 오므라드는 탄력이 부여되어 되빠짐이 방지되게 된다.The
또한, 진입되는 철근(10)(10')은 각각의 락부재(100)(100')의 후단을 마감하는 격판(200)(200')에 지지되어 더 이상의 진입이 차단되게 구성된다.The reinforcing bars 10 and 10 'are supported by the
이후, 상기와 같이 철근(10)(10')이 삽입 및 락돌기(121)(121')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 하우징(300)(300')을 완전히 체결하면 되는 것으로, 이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암나사부(320)와 수나사부(320')를 이용한 체결이나, 도 4를 참조하여 체결부재(400)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될 것이다.Thereafter, the
즉, 도 8의 도시와 같이 양측 하우징(300)(300')을 체결하게 되면 그 하우징(300)(30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지지 경사면(310)이 락돌기(121)(121')의 외부 경사면(110)을 가압하게 되는 것인바, 락부재(100)(100')의 락돌기(121)(121') 들은 철근(10)(10')의 외주면을 가압 및 락돌기(121)(121')의 긴밀한 고정력이 부여되게 되는 것으로, 철근(10)(10')의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two
한편, 상기와 같이 양측 하우징(300)(300')을 체결하는 과정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체결부재(400)를 이용시에는, 하우징(300)(300')의 가이드돌기(315)가 가압부재(120)(120')의 가이드홈(125)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완전한 체결시 걸림돌기(316)가 걸림턱(126)에 걸림 지지되는 형태를 이루는 것인바, 미세한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체결부재(400)로부터 하우징(300)(300')이 풀리는 것이 방지되는 등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며, 이에 따른 철근(10)(1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4, when the
또한,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1)를 적용함에 있어 도 6을 참조하여 양측 락부재(100)(100')의 가압부재(120)(120')를 연결하는 보강봉(140)을 구성하게 되면 각각의 가압부재(120)(120')에 대한 내부 보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철근(10)(10')을 조립하는 과정이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가압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6, when the one-touch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는, 그 구조적으로 간소화되어 그 취급이 매우 편리하면서도 조립이 매우 용이하며, 특히 철근이 시공된 상태에서 양측 하우징의 지지가 가능한 것인바, 풀림 없이 안정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ne-touch type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simplified so that its handling is very convenient and easy to assembl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support both side housings in the state that the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
100,100' : 락부재 110 : 외부 경사면
120,120' : 가압부재 121,121' : 락돌기
122 : 이격공간 125 : 가이드홈
126 : 걸림턱 127,127' : 보강봉 삽입홈
128 : 탄성부재 129 : 탄성부재 내입홈
130 : 격판 결합홈 140 : 보강봉
200,200' : 격판
300,300' : 하우징 310 : 지지 경사면
315 : 가이드돌기 316 : 걸림돌기
320 : 암나사부 320' : 수나사부
330,330' : 수나사부 400 : 체결부재
430,430' : 암나사부 100, 100 ': Lock member 110: Outer slope surface
120, 120 ': pressing
122: spacing space 125: guide groove
126:
128: elastic member 129: elastic member inner groove
130: diaphragm coupling groove 140: reinforcement rod
200,200 ': diaphragm
300, 300 ': housing 310: supporting slope
315: guide projection 316:
320: Female thread portion 320 ': Male threads
330, 330 ': male thread portion 400: fastening member
430,430 ': Female thread portion
Claims (5)
락부재(100)(100')의 격판 결합홈(130)에 내입되어 양측 락부재(100)(100')의 경계 및 철근의 진입된 선단을 지지하는 격판(200)(200'); 및
관체 형태의 한 쌍으로 구성되며, 내주면에는 락부재(100)(100')의 외부 경사면(110)과 대응되는 지지 경사면(310)이 형성되고, 일측 하우징(300)에는 내주면에 암나사부(320)가 형성되며, 타측 하우징(300')에는 암나사부(320)에 나삽되는 돌출형 수나사부(320')가 형성되어 암나사부(320)와 수나사부(320')의 체결력에 의해 락부재(100)(100')의 구속 및 철근이 결합시 락부재(100)(100')의 외부 경사면(110)을 지지하는 양측 하우징(300)(300')을 포함하며,
락부재(100)(100')는,
외부 경사면(110)에 해당하는 부분이 이격공간(122)을 두고 3분할 형성되며, 중심으로 좁아지는 탄력을 가지는 다수의 가압부재(120)(120')를 이루며,
가압부재(120)(120')의 후단 외둘레에는 탄성부재 내입홈(129)이 형성 및 각각의 가압부재(120)(120')에 오므라드는 압축 탄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128)가 내입되게 구성되고,
양측 하우징(300)(300')은,
각각의 외주면에 서로 반대의 나선방향을 이루는 수나사부(330)(330')를 형성하고,
내주면 양측에 상기 수나사부(330)(330')가 각각 체결되도록 서로 반대의 나선방향을 이루는 암나사부(430)(430')가 형성된 체결부재(400)를 포함하여 체결부재(400)의 일방향 회전력에 의해 양측의 하우징(300)(300')이 동시에 체결되게 구성하고,
락부재(100)(100')의 각각의 가압부재(120)(120')에 해당하는 외부 경사면(110)에는,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125)을 더 형성하고, 가이드홈(125)의 내측에는 경부와 직선부가 반복되는 톱니 형태의 다수의 걸림턱(126)이 연속 형성되게 구성하며,
양측 하우징(300)(300')의 지지 경사면(310)에는,
상기 가이드홈(125)에 결합되는 가이드돌기(315)를 더 형성하고, 가이드돌기(315)에는 상기 걸림턱(126)와 형합되는 직선부와 경사부가 반복되는 다수의 걸림돌기(316)가 더 형성되게 구성하되,
양측 하우징(300)(300')이 체결부재(400)에 체결시 걸림돌기(316)가 걸림턱(126)에 걸림 지지되어 하우징(300)(300')의 풀림이 방지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n outer inclined surface 110 having an inclina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of the reinforcing bar.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has an inclined portion facing the center and a straight line portion facing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he lock protrusions 121 and 121 'of the multiple means for projecting the protrusions ar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and a pair of opposing locking members 130 having a step- 100) (100 ');
Diaphragms 200 and 200 'which are inserted into the diaphragm coupling grooves 130 of the lock members 100 and 100' and support the front ends of the boundaries and the reinforcing bars of the side lock members 100 and 100 '; And
And a supporting sloping surface 310 corresponding to the outer sloping surface 110 of the locking members 100 and 100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one female housing 320 And the other housing 300 'is formed with a protruding male threaded portion 320' which is inserted into the female threaded portion 320 so that the locking member (not shown)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force of the female threaded portion 320 and the male threaded portion 320 ' 100 ', 100', and both sides of the housing 300, 300 'supporting the outer inclined surface 110 of the lock member 100' when the reinforcing bar is engaged,
The locking members 100 and 100 '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inclined surface 110 is divided into three portions with a space 122 therebetween and constitutes a plurality of pressing members 120 and 120 '
An elastic member inner groove 129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mbers 120 and 120 'and an elastic member 128, which applies compression elastic force to each of the pressing members 120 and 120'Lt; / RTI >
The two side housings 300 and 300 '
(330, 330 ')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nd a fastening member 400 having internal thread portions 430 and 430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so that the male threaded portions 330 and 330 'ar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400, The housings 300 and 300 'on both sides are simultaneously clamped by the rotational force,
On the external inclined surface 110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ressing members 120 and 120 'of the lock members 100 and 100'
The guide groove 125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serration-like engaging protrusions 126 are continuously formed inside the guide groove 125 so that the neck portion and the straight portion are repeated.
On the supporting slopes 310 of the two side housings 300 and 300 '
The guide protrusion 315 is further coupled to the guide groove 125. The guide protrusion 31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316 in which a straight line portion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protrusion 126 and a tilting portion are repeated Respectively,
When the housing 300 and 300 'are fastened to the fastening members 400, the fastening protrusions 316 are hooked on the fastening protrusions 126 to prevent the housings 300 and 300' from being loosened. One-touch type reinforced coupl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6359A KR101926130B1 (en) | 2017-03-22 | 2017-03-22 | One-touch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6359A KR101926130B1 (en) | 2017-03-22 | 2017-03-22 | One-touch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7675A KR20180107675A (en) | 2018-10-02 |
KR101926130B1 true KR101926130B1 (en) | 2018-12-06 |
Family
ID=6386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6359A Expired - Fee Related KR101926130B1 (en) | 2017-03-22 | 2017-03-22 | One-touch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6130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8317B1 (en) | 2019-06-19 | 2020-01-22 | 주식회사 오케이글로벌 | One 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KR20200119963A (en) | 2019-04-11 | 2020-10-21 | 박선희 | Coupler for reinforcing bar |
KR102187018B1 (en) | 2019-09-30 | 2020-12-04 | 손명규 | One 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KR102220916B1 (en) | 2019-09-30 | 2021-02-25 | 손명규 | Composite connection type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KR20210038184A (en) | 2019-09-30 | 2021-04-07 | 손명규 | Composite connection type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KR102438126B1 (en) | 2021-10-13 | 2022-08-29 | 윤상범 | One-touch rebar coupler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
KR102573472B1 (en) | 2022-03-10 | 2023-09-06 | 전병수 | Steel reinforcing coupler |
KR102610419B1 (en) * | 2023-02-01 | 2023-12-06 | 오재욱 | Seismic rebar one-touch coupl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309114B (en) * | 2021-05-31 | 2022-05-17 | 南通城市轨道交通有限公司 | Steel support connection struc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5529B1 (en) * | 2006-01-23 | 2007-06-08 | 삼양기전(주) | Pressure coupler of rebar connection device |
KR101456517B1 (en) * | 2013-05-14 | 2014-10-31 | (주) 호창엠에프 | Joining coupling device |
JP2016118069A (en) * | 2014-12-22 | 2016-06-30 |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 Wood-based member, wood-based member manufacturing method and building reinforcing method |
-
2017
- 2017-03-22 KR KR1020170036359A patent/KR10192613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5529B1 (en) * | 2006-01-23 | 2007-06-08 | 삼양기전(주) | Pressure coupler of rebar connection device |
KR101456517B1 (en) * | 2013-05-14 | 2014-10-31 | (주) 호창엠에프 | Joining coupling device |
JP2016118069A (en) * | 2014-12-22 | 2016-06-30 | 国立大学法人 鹿児島大学 | Wood-based member, wood-based member manufacturing method and building reinforcing method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19963A (en) | 2019-04-11 | 2020-10-21 | 박선희 | Coupler for reinforcing bar |
KR102058317B1 (en) | 2019-06-19 | 2020-01-22 | 주식회사 오케이글로벌 | One 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KR102187018B1 (en) | 2019-09-30 | 2020-12-04 | 손명규 | One 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KR102220916B1 (en) | 2019-09-30 | 2021-02-25 | 손명규 | Composite connection type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KR20210038184A (en) | 2019-09-30 | 2021-04-07 | 손명규 | Composite connection type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KR102438126B1 (en) | 2021-10-13 | 2022-08-29 | 윤상범 | One-touch rebar coupler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
KR102573472B1 (en) | 2022-03-10 | 2023-09-06 | 전병수 | Steel reinforcing coupler |
KR102610419B1 (en) * | 2023-02-01 | 2023-12-06 | 오재욱 | Seismic rebar one-touch coupl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7675A (en) | 2018-10-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26130B1 (en) | One-touch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 |
KR101959076B1 (en) | A rebar coupler | |
KR101988611B1 (en) | non-slip steel bar reinforcement coupler | |
KR101486039B1 (en) | Iron bar coupler and method for coupling iron bar using iron bar coupler | |
KR102189193B1 (en) | A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 |
KR200223657Y1 (en) |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 |
KR100404425B1 (en) | Wedge shaped one-touch type steel-frame coupling device | |
KR101595327B1 (en) | a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 |
KR101884919B1 (en) | Steel reinforcement connector | |
KR200286101Y1 (en) | steel reinforcement connector | |
KR102163540B1 (en) | One-touch type steel easy coupler for biting iron rod | |
KR102058317B1 (en) | One 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
KR200257716Y1 (en) | Wedge shaped one-touch type steel-frame coupling device | |
KR102401533B1 (en) | One-touch steel rod coupler | |
KR100272745B1 (en) | A connector of concrete reinforcing bar | |
KR20200093937A (en) | A coupler for steel reinforcing bar | |
KR102677521B1 (en) | Rebar Coupler With Improved Workability | |
KR100372832B1 (en) |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 |
KR20190031075A (en) | bar coupler for concrete construction | |
KR20020038291A (en) |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 |
KR102207160B1 (en) |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 | |
KR200234870Y1 (en) |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 |
KR200286102Y1 (en) | steel reinforcement connector | |
KR102813897B1 (en) | Reinforcing rod coupler for with resistance against earthquake | |
KR102738464B1 (en) | Rebar coup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AMND | Amendment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AMND | Amendment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112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120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