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5927B1 -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 - Google Patents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927B1
KR101925927B1 KR1020180103258A KR20180103258A KR101925927B1 KR 101925927 B1 KR101925927 B1 KR 101925927B1 KR 1020180103258 A KR1020180103258 A KR 1020180103258A KR 20180103258 A KR20180103258 A KR 20180103258A KR 101925927 B1 KR101925927 B1 KR 101925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joint part
groove
screw head
inci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성
허동화
윤홍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멘티스로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멘티스로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멘티스로지텍
Priority to US16/189,06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9014247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92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02Longitudinal elements, e.g. rods
    • A61B17/7004Longitudinal elements, e.g. rods with a cross-section which varies along its length
    • A61B17/7007Parts of the longitudinal elements, e.g. their ends, being specially adapted to fit around the screw or hook he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61B17/7083Tools for guidance or insertion of tethers, rod-to-anchor connectors, rod-to-rod connectors, or longitudinal elements
    • A61B17/7085Tools for guidance or insertion of tethers, rod-to-anchor connectors, rod-to-rod connectors, or longitudinal elements for insertion of a longitudinal element down one or more hollow screw or hook extensions, i.e. at least a part of the element within an extension has a component of movement parallel to the extension's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2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61B17/7076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for driving, positioning or assembling spinal clamps or bone anchor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 A61B17/7077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for driving, positioning or assembling spinal clamps or bone anchor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for moving bone anchors attached to vertebrae, thereby displacing the vertebrae
    • A61B17/708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for driving, positioning or assembling spinal clamps or bone anchor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for moving bone anchors attached to vertebrae, thereby displacing the vertebrae with tubular extensions coaxially mounted on the bon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61B17/7083Tools for guidance or insertion of tethers, rod-to-anchor connectors, rod-to-rod connectors, or longitudi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5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 A61B17/7037Screws or hooks, wherein a rod-clamping part and a bone-anchoring part can pivot relative to each other wherein pivoting is blocked when the rod is clam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61B17/7076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for driving, positioning or assembling spinal clamps or bone anchor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or setting implements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e.g.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74Tools specially adapted for spinal fixation operations other than for bone removal or filler handling
    • A61B17/7083Tools for guidance or insertion of tethers, rod-to-anchor connectors, rod-to-rod connectors, or longitudinal elements
    • A61B17/7089Tools for guidance or insertion of tethers, rod-to-anchor connectors, rod-to-rod connectors, or longitudinal elements wherein insertion is along an arcuate p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추뼈에 고정되는 스크류 헤드와 탈착 결합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일정 높이로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제1 관절부; 및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관절부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상기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절곡되는 양단 관통의 제2 관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는 제1 관절부의 몸체보다 직경이 작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제2 관절부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제1 관절부의 상단부를 수용하면서 아래로 이동하여 결합될 때 흔들리지 않고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척추 스크류 홀더를 구성하는 두 개의 관절부 중 위쪽에 위치하는 제2 관절부의 하단부를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측으로 끼워서 결합시킬 때 제2 관절부가 흔들리지 않고 직선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가 두 개의 관절부를 결합시킨 다음 척추 스크류 홀더들의 간격을 밀착시켜서 척추의 로도시스(Lordosis)를 형성하고자 할 때 신속하고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SPINAL SCREW HOLDER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본 발명은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용의 로드가 시술 과정에서 간섭을 최대한 회피하며 원활하게 스크류 헤드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는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서 관절의 기능을 하며 척추의 움직임에 따라서 수핵의 위치와 모양이 바뀌며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수핵의 대부분은 수분(물)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노화에 따라 수핵의 수분량이 점차 줄어들어 디스크는 완충기능을 상실하여 통증을 수반하는 각종 척추 질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심하게 찌그러지거나 상한 디스크를 제거하는 수술을 하는 경우에는 척추의 간격을 유지하고 척추가 변형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우선적으로 취해야 하는 것이다.
이때, 척추 디스크 환자는 다음과 같은 방식의 시술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척추뼈의 손상된 부분이 눌리거나 압박되지 않도록 손상된 부위의 디스크를 제거하고, 중공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인공 보조물(케이지)에 뼈조각을 채워 디스크를 제거한 부위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손상된 디스크 상하부위의 척추뼈에 척추경 스크류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 척추경 스크류에 로드를 연결하여 척추뼈 사이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골 융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식의 시술을 받을 수 있다(이하 시술1).
한편, 척추 디스크 환자 중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의 손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식의 시술을 받을 수 있다.
즉, 디스크는 그대로 두고, 손상된 디스크의 상하 부위의 척추뼈에 척추경 스크류를 삽입하여 고정한 후, 척추경 스크류에 로드를 연결하여 척추뼈 사이의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손상된 디스크의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의 시술을 받을 수 있다(이하 시술2).
그러나, 시술1 및 시술2는 척추경 스크류를 척추뼈에 체결한 다음 로드를 척추경 스크류에 체결하기 위해 먼저 손상된 척추부위의 피부를 일정크기 이상으로 절개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침습 부위가 커서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상처로 인한 수술 만족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발명된 것으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 제10-1703003호의 "관절을 구비한 최소 침습 수술용 스크류 홀더 및 이것을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 장치"(이하 '선행기술')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선행기술은 도 18과 같이 양단 관통의 홀더 몸체(110)와, 홀더 몸체(110)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척추뼈에 고정되는 스크류(400)의 헤드부(401)와 결합되는 탈착부(120)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피시술자의 개구를 통하여 피부상에 노출되는 홀더 몸체(110)가 복수개일 경우 피시술자의 체형이나 시술 환경에 따라 복수의 탈착부(120)들 각각의 로드 삽입 안내홈(124)의 위치를 일렬이 되도록 정렬시킬 필요가 있을 때 피시술자의 피부 아래에 삽입되어 있는 탈착부(120)들 각각의 로드 삽입 안내홈(124) 위치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일이 많았다.
따라서, 피시술자의 피부를 통해 삽입된 로드가 복수의 스크류(400) 각각의 헤드부(401)에 형성된 로드 삽입홈(410)에 원활하게 삽입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도구의 개발이 절실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17030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고정용의 로드가 시술 과정에서 간섭을 최대한 회피하며 원활하게 스크류 헤드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척추 스크류 홀더를 구성하는 두 개의 관절부 중 위쪽에 위치하는 제2 관절부의 하단부를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측으로 끼워서 결합시킬 때 제2 관절부가 흔들리지 않고 직선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가 두 개의 관절부를 결합시킨 다음 척추 스크류 홀더들의 간격을 밀착시켜서 척추의 로도시스(Lordosis)를 형성할 때 신속하고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척추뼈에 고정되는 스크류 헤드와 탈착 결합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일정 높이로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제1 관절부; 및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관절부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상기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절곡되는 양단 관통의 제2 관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외경 또는 폭은, 상기 제2 관절부의 하단부 내경 또는 폭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1 관절부는,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제1 절개 슬릿과,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어 상기 제1 절개 슬릿과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절개 슬릿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개 슬릿 및 상기 제2 절개 슬릿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좌우 양측은 일정 정도의 직경 또는 폭 변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척추뼈에 고정되는 스크류 헤드와 탈착 결합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일정 높이로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제1 관절부; 및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관절부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상기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절곡되는 양단 관통의 제2 관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관절부는, 상기 제1 관절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 후,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좌우 양측으로 각각 90도 이하로 절곡되는 것이 규제되고,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평평하게 깎여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양측 외측면에 형성되는 회동허용 절개면과, 상기 회동허용 절개면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관절부가 회동하면, 상기 제2 관절부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회동편의 일측 가장자리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2 관절부가 상기 제1 관절부에 대하여 직교를 이루게 하는 과회동 규제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척추뼈에 고정되는 스크류 헤드와 탈착 결합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일정 높이로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제1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관절부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상기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절곡되는 양단 관통의 제2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의 외측면 상부 양측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함몰 형성되는 회동허용 안내홈; 상기 제2 관절부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회동편; 상기 회동편에 각각 관통된 통공으로부터 삽입 고정되어 상기 회동허용 안내홈에 수용되는 회동핀; 및 상기 제2 관절부가 아래로 이동하여 결합될 때 상기 회동편이 회동하지 않으면서 직선 이동하도록 회동편의 양측에서 제1 관절부의 몸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이동 가이드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척추뼈에 고정되는 스크류 헤드와 탈착 결합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일정 높이로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제1 관절부; 및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제1 관절부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절곡되는 양단 관통의 제2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고정용의 로드가 시술 과정에서 간섭을 최대한 회피하며 원활하게 스크류 헤드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피시술자의 피부 아래에 삽입되어 척추뼈에 고정된 스크류 헤드에 로드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피부의 개구로부터 로드를 삽입하는 시술 과정에서 피시술자의 피부상에 간섭을 일으키는 일체의 부품이 없도록 하기 위해 제2 관절부가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동 절곡됨으로써, 로드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외경 또는 폭은, 제2 관절부의 하단부 내경 또는 폭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관절부가 제1 관절부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개구를 통하여 삽입될 때 제2 관절부가 흔들거리지 않고 결합될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고, 제1 관절부와 제2 관절부가 빠지거나 흔들리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시술자가 제2 관절부를 잡고 위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2 관절부는, 제1 관절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 후,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좌우 양측으로 각각 90도 이하로 절곡되는 것이 규제되도록 함으로써, 로드의 삽입시 일체의 간섭을 일으키는 부품이 없도록 피시술자의 피부 상에서 위치를 재배치함과 동시에, 과회전시 피시술자의 피부에 제2 관절부가 닿아 마찰되는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 관절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제1 절개 슬릿과, 제1 관절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어 제1 절개 슬릿과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절개 슬릿을 더 포함하며, 제1 절개 슬릿 및 제2 절개 슬릿을 기준으로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좌우 양측은 일정 정도의 직경 또는 폭 변동을 허용하되,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외경 또는 폭은, 제2 관절부의 하단부 내경 또는 폭보다 크거나 같게 함으로써, 제2 관절부의 하단부와 제1 관절부의 상단부를 결합할 때 두 개의 절개 슬릿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제2 관절부가 흔들거리지 않고 결합될 수가 있어 시술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관절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평평하게 깎여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양측 외측면에 형성되는 회동허용 절개면과, 회동허용 절개면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제2 관절부가 회동하면, 제2 관절부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회동편의 일측 가장자리가 접촉됨으로써, 제2 관절부가 제1 관절부에 대하여 직교를 이루게 하는 과회동 규제 단턱을 더 구비함으로써, 로드의 삽입시 일체의 간섭을 일으키는 부품이 없도록 피시술자의 피부 상에서 위치를 재배치함과 동시에, 과회전시 피시술자의 피부에 제2 관절부가 닿아 마찰되는 등의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척추 스크류 홀더를 구성하는 두 개의 관절부 중 위쪽에 위치하는 제2 관절부의 하단부를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측으로 끼워서 결합시킬 때 제2 관절부가 흔들리지 않고 직선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가 두 개의 관절부를 결합시킨 다음 척추 스크류 홀더들의 간격을 밀착시켜서 척추의 로도시스(Lordosis)를 형성하고자 할 때 신속하고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위쪽에 위치하는 제2 관절부가 아래로 이동하여 결합될 때 제2 관절부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회동편이 회동하지 않으면서 직선 이동하도록 회동편의 양측에서 제1 관절부의 몸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이동 가이드 단턱을 구비함으로써,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측으로 끼워서 결합시킬 때 제2 관절부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할 수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서 윗쪽 둘레에는 소정의 너비와 깊이를 갖도록 상단부 홈이 형성되고, 제2 관절부의 하단부 내측 둘레에는 소정의 너비와 깊이를 갖도록 하단부 홈이 형성되며, 하단부 홈에는 링이 고정 설치되어 제2 관절부가 제1 관절부의 상단부와 결합할 때 링이 상단부 홈에 딸깍하고 소리를 내면서 결합하기 때문에 시술자는 제1 관절부와 제2 관절부가 결합된 것을 확실하게 알 수가 있어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환자 입장에서도 더욱 안전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가 스크류 헤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의 주요부인 제1 관절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IIb 시점에서 바라본 측면 개념도, 도 2(c)는 도 2(a)의 IIc 시점에서 바라본 측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의 주요부인 제2 관절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IIIb 시점에서 바라본 측면 개념도, 도 3(c)는 도 3(a)의 IIIc 시점에서 바라본 측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이용한 시술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일직선으로 배치된 제1 관절부 및 제2 관절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 5(b)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관절부를 잡아당긴 상태를, 도 5(c)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제2 관절부를 회동 절곡시킨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가 피시술자의 피부를 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로드를 결합시키는 시술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가 스크류 헤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가 스크류 헤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a)는 정면도, 도 10(b)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가 스크류 헤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구성하는 제2 관절부가 제1 관절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관절부의 하단부가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의 주요부를 부분확대 한 것으로, 도 13(a)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 도 13(b)는 제2 관절부와 제1 관절부가 결합하기 전 상태, 도 13(c)는 제2 관절부와 제1 관절부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부분확대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의 주요부를 부분확대 한 것으로, 도 14(a)는 제2 관절부와 제1 관절부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비스듬한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 도 14(b)는 제2 관절부와 제1 관절부가 결합된 상태를 비스듬한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구성하는 제1 관절부와 제2 관절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5(a)는 정면도, 도 15(b)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구성하는 제1 관절부와 제2 관절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6(a)는 측면도, 도 16(b)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이용한 시술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7(a)는 일직선으로 배치된 제1 관절부 및 제2 관절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 17(b)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관절부를 잡아당긴 상태를, 도 17(c)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제2 관절부를 일정 각도 회동 절곡시킨 상태를, 도 17(d)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제2 관절부를 완전히 회동 절곡시킨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면 개념도
도 18은 종래의 척추 스크류 홀더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가 스크류 헤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의 주요부인 제1 관절부(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 도 2(b)는 도 2(a)의 IIb 시점에서 바라본 측면 개념도, 도 2(c)는 도 2(a)의 IIc 시점에서 바라본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의 주요부인 제2 관절부(200)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a)는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IIIb 시점에서 바라본 측면 개념도, 도 3(c)는 도 3(a)의 IIIc 시점에서 바라본 측면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의 전체적인 결합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이용한 시술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일직선으로 배치된 제1 관절부(100) 및 제2 관절부(200)가 삽입된 상태를, 도 5(b)는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관절부(200)를 잡아당긴 상태를, 도 5(c)는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에 대하여 제2 관절부(200)를 회동 절곡시킨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아울러,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가 피시술자의 피부(500)를 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로드(600)를 결합시키는 시술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에서 미설명 부호로 350은 척추뼈(400)에 박혀 고정되는 척추 스크류를 나타내며, 도 6 내지 도 8에서 도면부호 'h'는 피시술자의 머리 방향을, 'b'는 피시술자의 하체 방향을 각각 가리킨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절부(100)에 대하여 제2 관절부(200)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거나 회동 절곡 가능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우선, 제1 관절부(100)는 척추뼈(400, 이하 도 6 내지 도 8)에 고정되는 스크류 헤드(300)와 탈착 결합되어 피시술자의 피부(500, 이하 도 6 내지 도 8 참조)에 형성된 개구(이하 미도시)를 통하여 일정 높이로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부재이다.
제2 관절부(200)는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제1 관절부(100)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채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절곡되는 양단 관통의 부재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외경 또는 폭은,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 내경 또는 폭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개구를 통하여 삽입될 때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2 관절부(200)는, 제1 관절부(100)와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 후,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에 대하여 좌우 양측으로 각각 90도 이하로 절곡되는 것이 규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로드(600, 이하 도 6 내지 도 8 참조)가 삽입될 때, 간섭을 일으키는 부품이 피부(500)상에 있으면 원활한 삽입에 지장이 있기 때문이며, 동시에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에 대하여 90도 이하로 지나치게 회전하여 꺾여서 쳐졌을 때 피시술자의 피부(500)에 제2 관절부(200)가 닿아 마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제2 관절부(200)에는, 제2 관절부(200)의 외면을 따라 복수로 함몰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미끄럼방지 홈(201)을 더 구비하여 시술자의 손으로부터 제2 관절부(200)를 포함한 부품 일체가 미끄러져 낙하하거나 이로 인하여 파손 또는 분리되는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절부(100)는,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제1 절개 슬릿(110)과,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어 제1 절개 슬릿(110)과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절개 슬릿(1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좌우 양측은 제1 절개 슬릿(110) 및 제2 절개 슬릿(120)을 기준으로 일정 정도의 직경 또는 폭 변동을 허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2 절개 슬릿(110, 120) 각각의 하단부에는 제1, 2 절개 슬릿(110, 120)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 형성되는 방지홀(111, 12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방지홀(111, 121)은 제1, 2 절개 슬릿(110, 120) 하단부 주변으로부터 발생할 우려가 있는 취성으로 인한 균열이나 크랙 등의 변형 및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관절부(100)의 외측면 상부 양측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함몰 형성되는 회동허용 안내홈(130)과 함께, 제2 관절부(200)가 회동허용 안내홈(130)에 대한 회동 동작이 가능하도록 도 3과 같이 회동편(210, 210)과 회동핀(202, 202, 이하 도 4 참조)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회동편(210, 210)은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이며, 회동핀(202, 202)은 회동편(210, 210)에 각각 관통된 통공(211)으로부터 삽입 고정되어 회동허용 안내홈(130)에 수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회동허용 안내홈(130)의 하단부는, 도 5(a)와 같이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개구를 통하여 삽입될 때 제1 관절부(100) 및 제2 관절부(200)의 외측면이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가장자리와 맞물리는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동허용 안내홈(130)의 상단부는, 도 5(b)와 같이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한 직선 이동 후 회동 절곡하여 도 5(c)와 같이 제1 관절부(100)에 대하여 직교되게 절곡 가능한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회동허용 안내홈(130) 각각의 상하 양단부는,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채 개구를 통하여 삽입될 때 흔들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후 회동 절곡함에 지장이 없도록, 회동핀(202, 202)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절곡 배치되는데 지장이 없도록, 회동허용 절개면(140)과 과회동 규제 단턱(1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회동허용 절개면(140)은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평평하게 깎여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양측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과회동 규제 단턱(150)은 회동허용 절개면(140)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며,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에 대하여 제2 관절부(200)가 회동하면,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회동편(210, 210)의 일측 가장자리가 접촉됨으로써,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에 대하여 직교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회동허용 안내홈(130)의 상단부는, 회동편(210, 210)이 회동허용 안내홈(130)과 직각을 이루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절부(100)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와 클램프(160)를 더 구비하여 스크류 헤드(300)의 원활한 체결 및 분리를 도모함과 동시에, 로드 삽입홈(301, 301)에 로드(600)가 정확하게 삽입 안착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는 스크류 헤드(300)의 상단부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절개 형성된 로드 삽입홈(301, 301)과 연통되도록, 제1 관절부(100)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하여 일정 높이로 각각 절개 형성된 것이다.
클램프(160)는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과 직교되게 제1 관절부(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관절부(100)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상단부와 제1 관절부(100)의 양측면에 대하여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하단부를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스크류 헤드(300)의 양측면은 클램프(160) 각각의 마주보는 내측면 하단부와 맞물려 고정됨과 동시에, 제1 관절부(100)는 스크류 헤드(300)에 대하여 정, 역회전 할 수 있다.
이때, 제1 관절부(100)가 스크류 헤드(300)에 대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것은 로드 삽입시 복수의 스크류 헤드(300)가 각각 복수의 척추뼈(400)를 따라 고정되었을 때 이렇게 고정된 복수의 스크류 헤드(300)를 일제히 고정시키기 위한 도 6 내지 도 8과 같은 순서로 로드를 삽입할 때 그 삽입 위치를 정렬하여 안내하기 위하여 마련된 결합 구조라 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160)는, 다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클램프(160)는, 제1 관절부(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제1 관절부(100)의 하단부 측을 향하여 직선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절개 슬릿(103, 103) 사이에 배치되는 직선 바 형상의 변형허용 바(16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160)는, 변형허용 바(161)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일정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 가장자리는 제1 관절부(100)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는 클램핑편(1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160)는, 클램핑편(162) 각각의 마주보는 내면 양측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크류 헤드(300)의 외측면에 함몰된 클램핑 홈(303)과 맞물리는 클램핑 리브(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클램핑편(162)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은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과 직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 헤드(300)와 맞물린 클램핑편(162)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제1 관절부(100)를 90도 회전하면, 제1 관절부(100)는 스크류 헤드(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클램프(160)는, 변형허용 바(161)의 상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일정 면적으로 제1 관절부(100)의 양측면에 일정 두께로 함몰 형성되는 변형허용 홈(164)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변형허용 홈(164)은 제1 관절부(100)의 양측면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변형허용 바(161)가 클램핑편(162)과 함께 제1 관절부(100)의 양측면으로부터 내외측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을 더욱 원활히 허용하도록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절부(100)는,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의 하단부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 관절부(100)의 내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클램핑 리브(163)와 동일원상에 배치되는 클램핑 연장 리브(1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클램핑 연장 리브(170)는 클램핑 리브(163)와 함께 스크류 헤드(300)의 클램핑 홈(303) 전체에 걸쳐 맞물려 고정되는 부분을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이때, 제1 클램핑 안내 사면(163s)이 클램핑 리브(163)의 하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절단 제거되어 형성되고, 제2 클램핑 안내 사면(170s)이 클램핑 연장 리브(170)의 하면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절단 제거되어 형성되는 것을 도 4의 좌측 확대부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다.
제1 클램핑 안내 사면(163s) 및 제2 클램핑 안내 사면(170s)은 스크류 헤드(300)의 클램핑 홈(303)에 클램핑 리브(163) 및 클램핑 연장 리브(170)가 원활히 맞물려 들어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이다.
한편, 제1 관절부(100)는, 도 4의 좌측 확대부와 같이,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의 양측 가장자리 하부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헤드 걸림 리브(180, 180)를 더 포함하며, 헤드 걸림 리브(180, 180)의 하단부 가장자리는 제1 관절부(100)의 하단부 가장자리와 평행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헤드 걸림 리브(180, 180)는 스크류 헤드(300)의 상단부 가장자리가 더 이상 위로 밀려 올라가거나 제1 관절부(100)가 스크류 헤드(300)측으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 관절부(100)에 대한 스크류 헤드(300) 상단부의 걸림 고정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수단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따라서, 시술이 완료되면 시술자는 제2 관절부(200)의 상단부로부터 클램핑 해제용 도구(이하 미도시)를 밀어 넣어 스크류 헤드(300)의 양측면과 맞물린 클램핑편(162)을 포함한 클램프(160)의 내측면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제1 관절부(100)를 스크류 헤드(300)에 대하여 90도 회전시킨다.
이때, 클램프(160)편 각각이 스크류 헤드(300)의 로드 삽입홈(301, 301)에 위치하면서 클램핑 리브(163) 및 클램핑 연장 리브(170)의 클램핑 홈(303)에 대한 맞물림이 해제되며 제1 관절부(100)는 스크류 헤드(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이용한 시술 과정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로드의 삽입은 도 6과 같이 척추 전만, 즉 로도시스(lordosis)와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로드(600)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로드 홀더(700) 일측의 손잡이(710)를 시술자가 쥐고, 피시술자의 피부(500)와 제1 관절부(100)의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 사이로 로드(600)를 밀어넣는다.
이때, 로드(600)의 단부가 복수의 제1 관절부(100) 각각의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를 관통하려 할 때마다 시술자는 제1 관절부(100)를 스크류 헤드(300)에 대하여 적절히 회전시켜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의 위치를 정렬하게 된다.
이후, 시술자는 로드 홀더(700)를 밀어젖혀 로드(600) 및 로드 홀더(700)를 피시술자의 피부(500)를 통하여 도 7 및 도 8과 같이 밀어넣음으로써, 로드(600)는 복수의 제1 관절부(100) 각각의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를 전부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다음 시술 단계로 이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실시예 ]
상기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제2 실시예에서 중요한 내용을 위주로 설명한다.
우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가 스크류 헤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가 스크류 헤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0(a)는 정면도, 도 10(b)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가 스크류 헤드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11에서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구성하는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가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의 주요부를 부분확대 한 것으로, 도 13(a)는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도 13(b)는 제2 관절부(200)와 제1 관절부(100)가 결합하기 전 상태, 도 13(c)는 제2 관절부(200)와 제1 관절부(100)가 결합된 상태에 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의 주요부를 부분확대 한 것으로, 도 14(a)는 제2 관절부(200)와 제1 관절부(100)가 결합하기 전의 상태를 비스듬한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 도 14(b)는 제2 관절부(200)와 제1 관절부(100)가 결합된 상태를 비스듬한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또한,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구성하는 제1 관절부와 제2 관절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5(a)는 정면도, 도 15(b)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구성하는 제1 관절부와 제2 관절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6(a)는 측면도, 도 16(b)는 단면도이다.
아울러, 도 17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이용한 시술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17(a)는 일직선으로 배치된 제1 관절부 및 제2 관절부가 삽입된 상태를, 도 17(b)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2 관절부를 잡아당긴 상태를, 도 17(c)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제2 관절부를 일정 각도 회동 절곡시킨 상태를, 도 17(d)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제2 관절부를 완전히 회동 절곡시킨 상태를 각각 도시한 측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관절부(100)에 대하여 제2 관절부(200)가 일직선상으로 배치되거나 회동 절곡 가능한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에서도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관절부(100)는 척추뼈(400)에 고정되는 스크류 헤드(300)와 탈착 결합되어 피시술자의 피부(500)에 형성된 개구(이하 미도시)를 통하여 일정 높이로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부재이다.
제2 관절부(200)는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102)에 결합되며, 제1 관절부(100)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102)에 대하여 회동하여 절곡되는 양단 관통의 부재이다.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102)는 제1 관절부(100)의 몸체보다 직경이 작고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가 내측으로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102)를 수용하면서 아래로 이동하여 결합될 때 흔들리지 않고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단부(102)는 제1 관절부(100)의 몸체보다 직경이 4~5mm 정도 작게 형성되며, 길이는 5~7mm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상단부(102)의 외경은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 내경과 같거나, 원활한 결합을 위해 약간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가 돌출된 상단부(102)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움직이기 때문에 흔들리지 않으며 직선으로 이동하여 결합된다.
제2 관절부(200)는, 제1 관절부(100)와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10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 후,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102)에 대하여 좌우 양측으로 각각 90도 이하로 절곡되는 것이 규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로드(600, 이하 도 6 내지 도 8 참조)가 삽입될 때, 간섭을 일으키는 부품이 피부(500)상에 있으면 원활한 삽입에 지장이 있기 때문이며, 동시에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에 대하여 90도 이하로 지나치게 회전하여 꺾여서 쳐졌을 때 피시술자의 피부(500)에 제2 관절부(200)가 닿아 마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관절부(200)에는, 제2 관절부(200)의 외면을 따라 복수로 함몰 형성되어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미끄럼방지 홈(201)을 더 구비하여 시술자의 손으로부터 제2 관절부(200)를 포함한 부품 일체가 미끄러져 낙하하거나 이로 인하여 파손 또는 분리되는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102) 외경 또는 폭은,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 내경 또는 폭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개구를 통하여 삽입될 때 흔들리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1 관절부(100)는, 도 9 내지 도 17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제1 절개 슬릿(110)과,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어 제1 절개 슬릿(110)과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절개 슬릿(1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좌우 양측은 제1 절개 슬릿(110) 및 제2 절개 슬릿(120)을 기준으로 일정 정도의 직경 또는 폭 변동을 허용할 수 있다.
이때, 제1, 2 절개 슬릿(110, 120) 각각의 하단부에는 제1, 2 절개 슬릿(110, 120)의 폭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 형성되는 방지홀(111, 121)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방지홀(111, 121)은 제1, 2 절개 슬릿(110, 120) 하단부 주변으로부터 발생할 우려가 있는 취성으로 인한 균열이나 크랙 등의 변형 및 손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된 것이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제1 관절부(100)의 외측면 상부 양측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함몰 형성되는 회동허용 안내홈(130)과 함께, 제2 관절부(200)가 회동허용 안내홈(130)에 대한 회동 동작이 가능하도록 회동편(210, 210), 회동핀(202, 202) 및 직선이동 가이드 단턱(155)을 구비한다.
회동편(210, 210)은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이며, 회동핀(202, 202)은 회동편(210, 210)에 각각 관통된 통공(211)으로부터 삽입 고정되어 회동허용 안내홈(130)에 수용되는 것이다.
여기서, 회동허용 안내홈(130)의 하단부는, 도 17(a)와 같이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개구를 통하여 삽입될 때 제1 관절부(100) 및 제2 관절부(200)의 외측면이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가장자리와 맞물리는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동허용 안내홈(130)의 상단부는, 도 17(b)와 같이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대한 직선 이동 후 회동 절곡하여 도 17(d)와 같이 제1 관절부(100)에 대하여 직교되게 절곡 가능한 위치까지 형성될 수 있다.
즉, 회동허용 안내홈(130) 각각의 상하 양단부는,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개구를 통하여 삽입될 때 흔들리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후 회동 절곡함에 지장이 없도록, 회동핀(202, 202)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직선이동 가이드 단턱(155)은 제2 관절부(200)가 아래로 이동하여 결합될 때 회동편(210, 210)이 회동하지 않으면서 직선 이동하도록 회동편(210, 210)의 양측에서 제1 관절부(100)의 몸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직선이동 가이드 단턱(155)은 제1 관절부(100)의 몸체 상부에서 하나의 회동허용 안내홈(130)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하나씩 형성되며, 각각의 직선이동 가이드 단턱(155)은 과회동 규제 단턱(150)과 직각으로 만나도록 형성된다.
회동허용 안내홈(130)을 중심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직선이동 가이드 단턱(155) 사이의 거리는 회동편(210, 210)의 너비와 같거나 회동편(210, 210)의 너비보다 약간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직선이동 가이드 단턱(155)은 회동허용 안내홈(130)의 양측에 각각 단차지게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 측으로 이동하여 결합될 때 회동편(210, 210)이 직선이동 가이드 단턱(155) 사이로 삽입되어 이동하면서 좌, 우로 흔들리지 않는다.
회동편(210, 210)이 흔들리지 않고 직선이동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회동편(210, 210)의 상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제2 관절부(200) 역시 흔들리지 않고 직선이동을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3을 참고하면,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102)에서 윗쪽 둘레에는 소정의 너비와 깊이를 갖도록 상단부 홈(102g)이 형성되고,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 내측 둘레에는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102)와 결합할 때 상단부 홈(102g)에 끼워져서 제1 관절부(100)와 제2 관절부(200)를 고정시키는 홈결합부(220)가 구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102)에서 윗쪽 둘레에는 1~1.5mm의 너비와 0.4~0.5mm의 깊이를 갖도록 상단부 홈(102g)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단부 홈(102g)의 위쪽 둘레에는 상단부(102)의 직경에 해당하는 정도로 상단부 턱(102c)이 볼록하게 연장 형성된다.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 내측 둘레에는 1mm의 너비와 0.6~0.8mm의 깊이를 갖도록 하단부 홈(220g)이 형성되고, 홈결합부(220)는 하단부 홈(220g)에 링 형태로 고정 설치된다. 링(220)은 하단부 홈(220g)에서 약간 튀어나온 상태로 결합된다.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102)와 결합할 때 링(220)이 상단부 홈(102g)에 끼워지고 상단부 턱(102c)이 링(220)의 위쪽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1 관절부(100)와 제2 관절부(20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조의 결합 방식에 의해 시술자는 제1 관절부(100)와 제2 관절부(200)가 결합된 것을 확실하게 알 수가 있어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가 있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절곡 배치되는데 지장이 없도록, 회동허용 절개면(140)과 과회동 규제 단턱(15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회동허용 절개면(140)은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평평하게 깎여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 양측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과회동 규제 단턱(150)은 회동허용 절개면(140)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며, 제1 관절부(100)의 상단부에 대하여 제2 관절부(200)가 회동하면, 제2 관절부(200)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회동편(210, 210)의 일측 가장자리가 접촉됨으로써, 제2 관절부(200)가 제1 관절부(100)에 대하여 직교를 이루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회동허용 안내홈(130)의 상단부는, 회동편(210, 210)이 회동허용 안내홈(130)과 직각을 이루는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관절부(100)는,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와 클램프(160)를 더 구비하여 스크류 헤드(300)의 원활한 체결 및 분리를 도모함과 동시에, 로드 삽입홈(301, 301)에 로드(600)가 정확하게 삽입 안착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는 스크류 헤드(300)의 상단부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절개 형성된 로드 삽입홈(301, 301)과 연통되도록, 제1 관절부(100)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상부측을 향하여 일정 높이로 각각 절개 형성된 것이다.
클램프(160)는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과 직교되게 제1 관절부(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 관절부(100)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상단부와 제1 관절부(100)의 양측면에 대하여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하단부를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스크류 헤드(300)의 양측면은 클램프(160) 각각의 마주보는 내측면 하단부와 맞물려 고정됨과 동시에, 제1 관절부(100)는 스크류 헤드(300)에 대하여 정, 역회전 할 수 있다.
이때, 제1 관절부(100)가 스크류 헤드(300)에 대하여 정, 역회전 가능한 것은 로드 삽입시 복수의 스크류 헤드(300)가 각각 복수의 척추뼈(400)를 따라 고정되었을 때 이렇게 고정된 복수의 스크류 헤드(300)를 일제히 고정시키기 위한 도 6 내지 도 8과 같은 순서로 로드를 삽입할 때 그 삽입 위치를 정렬하여 안내하기 위하여 마련된 결합 구조라 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160)는, 다시 도 10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클램프(160)는, 제1 관절부(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제1 관절부(100)의 하단부 측을 향하여 직선 형상으로 절개 형성되는 한 쌍의 제3 절개 슬릿(103, 103) 사이에 배치되는 직선 바 형상의 변형허용 바(16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160)는, 변형허용 바(161)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일정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 가장자리는 제1 관절부(100)의 하단부에 배치되는 클램핑편(1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160)는, 클램핑편(162) 각각의 마주보는 내면 양측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크류 헤드(300)의 외측면에 함몰된 클램핑 홈(303)과 맞물리는 클램핑 리브(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클램핑편(162)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은 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101, 101) 각각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선과 직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 헤드(300)와 맞물린 클램핑편(162)의 고정 상태를 해제하고 제1 관절부(100)를 90도 회전하면, 제1 관절부(100)는 스크류 헤드(3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클램프(160)는, 변형허용 바(161)의 상단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일정 면적으로 제1 관절부(100)의 양측면에 일정 두께로 함몰 형성되는 변형허용 홈(164)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변형허용 홈(164)은 제1 관절부(100)의 양측면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변형허용 바(161)가 클램핑편(162)과 함께 제1 관절부(100)의 양측면으로부터 내외측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을 더욱 원활히 허용하도록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시술이 완료되면 시술자는 제2 관절부(200)의 상단부로부터 클램핑 해제용 도구(이하 미도시)를 밀어 넣어 스크류 헤드(300)의 양측면과 맞물린 클램핑편(162)을 포함한 클램프(160)의 내측면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시키고, 제1 관절부(100)를 스크류 헤드(300)에 대하여 90도 회전시킴으로써, 맞물림을 해제하여 제1 관절부(100)를 스크류 헤드(3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이용한 시술 과정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의 효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척추뼈에 고정되는 스크류 헤드와 탈착 결합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일정 높이로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제1 관절부와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제1 관절부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절곡되는 양단 관통의 제2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고정용의 로드가 시술 과정에서 간섭을 최대한 회피하며 원활하게 스크류 헤드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척추 스크류 홀더를 구성하는 두 개의 관절부 중 위쪽에 위치하는 제2 관절부의 하단부를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측으로 끼워서 결합시킬 때 제2 관절부가 흔들리지 않고 직선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가 두 개의 관절부를 결합시킨 다음 척추 스크류 홀더들의 간격을 밀착시켜서 척추의 로도시스(Lordosis)를 형성하고자 할 때 신속하고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위쪽에 위치하는 제2 관절부가 아래로 이동하여 결합될 때 제2 관절부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회동편이 회동하지 않으면서 직선 이동하도록 회동편의 양측에서 제1 관절부의 몸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이동 가이드 단턱을 구비함으로써,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측으로 끼워서 결합시킬 때 제2 관절부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할 수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서 윗쪽 둘레에는 소정의 너비와 깊이를 갖도록 상단부 홈이 형성되고, 제2 관절부의 하단부 내측 둘레에는 소정의 너비와 깊이를 갖도록 하단부 홈이 형성되며, 하단부 홈에는 링이 고정 설치되어 제2 관절부가 제1 관절부의 상단부와 결합할 때 링이 상단부 홈에 딸깍하고 소리를 내면서 결합하기 때문에 시술자는 제1 관절부와 제2 관절부가 결합된 것을 확실하게 알 수가 있어 시술의 편의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환자 입장에서도 더욱 안전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1 관절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제1 절개 슬릿과, 제1 관절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어 제1 절개 슬릿과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절개 슬릿을 더 포함하며, 제1 절개 슬릿 및 제2 절개 슬릿을 기준으로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좌우 양측은 일정 정도의 직경 또는 폭 변동을 허용하되,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외경 또는 폭은, 제2 관절부의 하단부 내경 또는 폭보다 크거나 같게 함으로써, 제2 관절부의 하단부와 제1 관절부의 상단부를 결합할 때 두 개의 절개 슬릿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제2 관절부가 흔들거리지 않고 결합될 수 있어 시술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고, 제1 관절부와 제2 관절부가 빠지거나 흔들리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시술자가 제2 관절부를 잡고 위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고정용의 로드가 시술 과정에서 간섭을 최대한 회피하며 원활하게 스크류 헤드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제1 관절부
101, 101...로드 삽입 안내 절개부
102...상단부
102c...상단부 턱
102g...상단부 홈
103, 103...제3 절개 슬릿
110...제1 절개 슬릿
111, 121...방지홀
120...제2 절개 슬릿
130...회동허용 안내홈
140...회동허용 절개면
150...과회동 규제 단턱
155...직선이동 가이드 단턱
160...클램프
161...변형허용 바
162...클램핑편
163...클램핑 리브
163s...제1 클램핑 안내 사면
164...변형허용 홈
170...클램핑 연장 리브
170s...제2 클램핑 안내 사면
180, 180...헤드 걸림 리브
200...제2 관절부
201...미끄럼방지 홈
202, 202...회동핀
210, 210...회동편
211...통공
220...홈결합부, 링
220g...하단부 홈
300...스크류 헤드
301, 301...로드 삽입홈
303...클램핑 홈
400...척추뼈
500...피부
600...로드
700...로드 홀더
710...손잡이

Claims (5)

  1. 척추뼈에 고정되는 스크류 헤드와 탈착 결합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일정 높이로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제1 관절부; 및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관절부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상기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절곡되는 양단 관통의 제2 관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외경 또는 폭은, 상기 제2 관절부의 하단부 내경 또는 폭보다 크거나 같고,
    상기 제1 관절부는,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는 제1 절개 슬릿과,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하부측을 향하여 일정 폭을 가지며 일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어 상기 제1 절개 슬릿과 마주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절개 슬릿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개 슬릿 및 상기 제2 절개 슬릿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좌우 양측은 직경 또는 폭 변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
  2. 척추뼈에 고정되는 스크류 헤드와 탈착 결합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일정 높이로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제1 관절부; 및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관절부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상기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절곡되는 양단 관통의 제2 관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관절부는,
    상기 제1 관절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 후,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좌우 양측으로 각각 90도 이하로 절곡되는 것이 규제되고,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 가장자리로부터 평평하게 깎여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 양측 외측면에 형성되는 회동허용 절개면과,
    상기 회동허용 절개면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에 각각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2 관절부가 회동하면, 상기 제2 관절부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회동편의 일측 가장자리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제2 관절부가 상기 제1 관절부에 대하여 직교를 이루게 하는 과회동 규제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
  3. 척추뼈에 고정되는 스크류 헤드와 탈착 결합되어 피시술자의 피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일정 높이로 노출되는 양단 관통의 제1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관절부와 함께 일직선상에 배치된 채 상기 개구를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 대하여 회동하여 절곡되는 양단 관통의 제2 관절부;
    상기 제1 관절부의 외측면 상부 양측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함몰 형성되는 회동허용 안내홈;
    상기 제2 관절부의 하단부 가장자리 양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마주보게 배치되는 회동편;
    상기 회동편에 각각 관통된 통공으로부터 삽입 고정되어 상기 회동허용 안내홈에 수용되는 회동핀; 및
    상기 제2 관절부가 아래로 이동하여 결합될 때 상기 회동편이 회동하지 않으면서 직선 이동하도록 회동편의 양측에서 제1 관절부의 몸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직선이동 가이드 단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절부의 상단부에서 윗쪽 둘레에는 소정의 너비와 깊이를 갖도록 상단부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관절부의 하단부 내측 둘레에는 제1 관절부의 상단부와 결합할 때 상기 상단부 홈에 끼워져서 제1 관절부와 제2 관절부를 고정시키는 홈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절부의 하단부 내측 둘레에는 소정의 너비와 깊이를 갖도록 하단부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결합부는 하단부 홈에 링 형태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2 관절부가 제1 관절부의 상단부와 결합할 때 상기 링이 상단부 홈에 끼워져서 제1 관절부와 제2 관절부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
KR1020180103258A 2017-11-14 2018-08-31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 Active KR101925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89,066 US20190142470A1 (en) 2017-11-14 2018-11-13 Spinal screw holder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1500 2017-11-14
KR1020170151500 2017-1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927B1 true KR101925927B1 (ko) 2018-12-07

Family

ID=6466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258A Active KR101925927B1 (ko) 2017-11-14 2018-08-31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142470A1 (ko)
KR (1) KR1019259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4349B2 (en) * 2017-02-17 2022-11-01 Warsaw Orthopedic, Inc. Surgical system and method
US11051861B2 (en) * 2018-06-13 2021-07-06 Nuvasive, Inc. Rod reduction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CN115551426A (zh) * 2019-11-27 2022-12-30 斯拜因23公司 治疗脊柱侧弯的系统、装置和方法
US11134994B2 (en) * 2020-01-30 2021-10-05 Warsaw Orthopedic, Inc. Spinal-correction system having threaded extender tabs and reduction tab extenders
CN117580530A (zh) 2021-05-12 2024-02-20 斯拜因23公司 用于椎骨的椎弓根螺钉稳定的系统和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7875A1 (en) * 2008-10-14 2010-06-03 Marino James F Insertion and reduction tool for pedicle screw assembly
KR101703003B1 (ko) * 2015-08-31 2017-02-06 주식회사 메드릭스 관절을 구비한 최소 침습 수술용 스크류 홀더 및 이것을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38181A1 (en) * 2010-03-29 2011-09-29 Warsaw Orthopedic, Inc., A Indiana Corporation Sacro-iliac joint implant system and method
CA2794282C (en) * 2010-03-30 2018-11-20 Sherwin Hua Systems and methods for pedicle screw stabilization of spinal vertebrae
US9402659B2 (en) * 2013-08-06 2016-08-02 Warsaw Orthopedic, Inc. Spinal implant system
US9913670B2 (en) * 2015-08-31 2018-03-13 Mantiz Logitech Co., Ltd. Rod inserter for fixing of pedicle screw, screw holder with joint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screw reducer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and apparatus for minimal invasive surgery using these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7875A1 (en) * 2008-10-14 2010-06-03 Marino James F Insertion and reduction tool for pedicle screw assembly
KR101703003B1 (ko) * 2015-08-31 2017-02-06 주식회사 메드릭스 관절을 구비한 최소 침습 수술용 스크류 홀더 및 이것을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42470A1 (en)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927B1 (ko) 최소 침습 수술용 척추 스크류 홀더
US11896269B2 (en) Inserter and method for securing an implant to a spinal process with a flexible fastening system
US20220401135A1 (en) Bi-planar persuader
US8900137B1 (en) Cervical retractor
JP5912056B2 (ja) 多軸椎弓根スクリュ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固定システムキット
US964909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spine surgery
EP2168503B1 (en) Tissue retractor system
EP3824831B1 (en) System for spinal implant placement
US9339310B2 (en) Reduction sleeve
US9498262B2 (en) Minimally invasive fixation system
US20130123923A1 (en) Facet interference cage
JP2003175051A (ja) 骨固定組立体
JP2012501809A (ja) 整復ツール
KR101001539B1 (ko) 척추교정용 로드 삽입기구 및 이를 구비한 척추교정 시술장치
KR101703003B1 (ko) 관절을 구비한 최소 침습 수술용 스크류 홀더 및 이것을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 장치
JP7170053B2 (ja) 最小侵襲変位骨切り術システム及び方法
US11123114B2 (en) Percutaneous screw fixing rod inserting device for screw head alignment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87027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dicle access
KR101662789B1 (ko) 척추경 스크류의 고정용 로드 인서터 및 이것을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 장치
JP6018311B2 (ja) 脊椎仮固定器具と脊椎仮固定器具ユニット
KR102190053B1 (ko) 수술용 가이드 와이어 클램프 장치
KR101703004B1 (ko) 최소 침습 수술용 스크류 리듀서 및 이것을 이용한 최소 침습 수술 장치
WO2015059590A1 (en) Low profile fix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