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5759B1 -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 Google Patents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759B1
KR101925759B1 KR1020180127394A KR20180127394A KR101925759B1 KR 101925759 B1 KR101925759 B1 KR 101925759B1 KR 1020180127394 A KR1020180127394 A KR 1020180127394A KR 20180127394 A KR20180127394 A KR 20180127394A KR 101925759 B1 KR101925759 B1 KR 101925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ir
space
duct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대동
Original Assignee
민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대동 filed Critical 민대동
Priority to KR1020180127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7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75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고추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공간(11)이 형성된 건조룸(10)과; 건조공간(11)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건조공간(11)의 일측으로 개구된 토출단(21) 및 타측으로 개구된 흡입단(22)이 형성된 덕트공간(20)과; 건조공간(11)과 덕트공간(20) 사이에서 에어를 순환시키는 순환팬(30)과; 건조공간(11)의 습도를 낮추기 위한 공조냉각부(40)와; 공조냉각부(40)와 냉각회로를 이루는 것으로서, 덕트공간(20) 내부에 설치되어 그 공조냉각부(40)에서 흡열된 열을 발열하는 공조발열부(50)와; 공조발열부(50)와 이격되게 덕트공간(20)에 설치된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발열하는 전기히터(60)와; 건조룸(10)로 진입되는 것으로서, 건조대상인 고추가 널어진 다수의 채반(M)이 상호 이격되게 적층되는 다수의 건조대차(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AN EQUIPMENT FOR DRYING RED PEPPER}
본 발명은 건조고추 생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대량의 고추를 빠른시간내에 고품질로 건조시킬 수 있는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를 대량 건조하기 위한 열풍건조방식은, 외부와 차단된 건조룸에 고추가 널어진 채반이 켜켜이 쌓여진 대차를 투입시키고, 건조룸 내부에서 가열된 에어를 순환시켜 다수의 채반 사이 공간으로 열풍이 흐르게 함으로써, 대량의 고추를 건조시키는 방식이다. 이러한 열풍건조방식은 날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라는 장점 때문에, 건조된 고추의 상당 부분은 열풍방식에 의하여 건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실용신안등록번호 20-0379719호에 고추건조기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가열된 에어를 송풍시킬 때, 가열 에어가 가지는 운동 에너지는 채반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서서히 잃게 되고, 이에 따라 적층된 채반 입구측과 출구측에서의 에어의 이동속도가 달라져 결과적으로 채반 전방측과 후방측에 널어진 고추의 건조품질이 일정하지 않게 되었다. 예를 들면, 채반 전방측에 널어진 고추는 과도하게 건조되어 포장 도중에 부서지고, 채반 후방측에 널어진 고추는 잘 건조되지 않고 보관 도중에 부패되는 경우가 발생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대량의 고추를 일정한 품질로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는, 고추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공간(11)이 형성된 건조룸(10); 상기 건조공간(11)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건조공간(11)의 일측으로 개구된 토출단(21) 및 타측으로 개구된 흡입단(22)이 형성된 덕트공간(20); 상기 건조공간(11)과 덕트공간(20) 사이에서 에어를 순환시키는 순환팬(30); 상기 건조공간(11)의 습도를 낮추기 위한 공조냉각부(40); 상기 공조냉각부(40)와 냉각회로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덕트공간(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냉각부(40)에서 흡열된 열을 발열하는 공조발열부(50); 상기 공조발열부(50)와 이격되게 상기 덕트공간(20)에 설치된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발열하는 전기히터(60); 상기 건조룸(10)로 진입되는 것으로서, 건조대상인 고추가 널어진 다수의 채반(M)이 상호 이격되게 적층되는 다수의 건조대차(70); 상기 건조대차(7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채반(M)의 표면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90); 상기 건조공간(11)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늘어져 에어분사부(90)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호스(101)를 가지는 에어덕트(100); 및 상기 건조공간(11)의 공기를 에어덕트(100)로 압송하는 에어펌프(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간(11) 내부 바닥에 구획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차하는 상기 건조대차(70)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는 다수의 무게측정단(8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무게측정단(80)은, 상기 건조대차(70)가 주차하는 것으로서 건조공간(11)의 바닥측에 설치되는 주차플레이트(81)와, 상기 주차플레이트(81)를 수용하는 수용홈(82)과, 상기 주차플레이트(81)에 인가되는 무게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무게신호를 발생하는 무게센서(83)와. 상기 수용홈(82) 바닥에서 돌출되어 상기 무게센서(83)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브라켓(84)과, 상기 주차플레이트(81)의 바닥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브라켓(84)에 위치 고정된 상기 무게센서(83)에 밀착되는 제2브라켓(85)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90)는, 상기 건조대차(70)의 가장자리 측 전방에 설치되는 테두리덕트(91)와, 상기 테두리덕트(91) 내측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채반(M)에 대향되게 노즐(92)이 형성된 바아덕트(93)와, 상기 테두리덕트(91)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에어호스(10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덕트컨넥터(9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차(7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채반(M)으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111) 로 구성된 광조사부(120)와; 상기 광조사부(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전원공급부(13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추가 널어진 채반이 적층된 건조대차를 건조룸 내부로 진입시키고, 건조룸 내부에서 열풍을 순환 및 회수하는 방식으로 고추를 건조하므로, 계절과 날씨에 관계없이 대량의 고추를 건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 과정에서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건조대차의 전방에 설치되는 에어분사부에 의하여 각각의 채반으로 일정한 압력의 에어 흐름을 발생함으로써, 고른 건조 품질을 유지하면서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생산설비의 구현이 가능하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고추 생산설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제1,2다공판을 발췌하여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무게측정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건조대차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5는 VI-VI'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건조대차 및 에어분사부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5의 에어분사부를 발췌하여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7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건조대차로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전원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고추 생산설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제1,2다공판을 발췌하여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무게측정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는, 고추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공간(11)이 형성된 건조룸(10)과; 건조공간(11)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건조공간(11)의 일측으로 개구된 토출단(21) 및 타측으로 개구된 흡입단(22)이 형성된 덕트공간(20)과; 건조공간(11)과 덕트공간(20) 사이에서 에어를 순환시키는 순환팬(30)과; 건조공간(11)의 습도를 낮추기 위한 공조냉각부(40)와; 공조냉각부(40)와 냉각회로를 이루는 것으로서, 덕트공간(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냉각부(40)에서 흡열된 열을 발열하는 공조발열부(50)와; 공조발열부(50)와 이격되게 덕트공간(20)에 설치된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발열하는 전기히터(60)와; 건조룸(10)로 진입되는 것으로서, 건조대상인 고추가 널어진 다수의 채반(M)이 상호 이격되게 적층되는 다수의 건조대차(70)와; 건조공간(11) 내부 바닥에 구획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차하는 상기 건조대차(70)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는 다수의 무게측정단(80)과; 건조대차(7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채반(M)의 표면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90)와; 건조공간(11)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늘어져 에어분사부(90)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호스(101)를 가지는 에어덕트(100)와; 건조공간(11)의 공기를 에어덕트(100)로 압송하는 에어펌프(110);를 포함한다.
건조룸(10)은 길이가 10m 가량 될 정도로 대형의 건조공간을 구성하고, 한번에 수십개의 건조대차(70)를 수용할 수 있어 한번에 10톤 이상 단위의 고추를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룸(10)에는 건조대차(70)를 건조공간(11)으로 출입시키는 도어(12)가 설치된다.
건조룸(10)의 지붕에는 건조공간(11)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개폐단(13)이 설치된다. 개폐단(13)은 필요에 따라 개폐되어 덕트공간(20)을 외부 환경과 연통시키며, 예를 들면 건조공간(11) 내부의 습도가 외부에 비하여 높을 때 개방되어 건조공간(11)의 에어를 덕트공간(2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덕트공간(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룸(10)의 내부에서 건조대차(70)의 상부측을 구획벽(20a)으로 구획함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이러한 덕트공간(20)의 일측단 및 타측단 각각에는 건조공간(11)으로 개구된 토출단(21) 및 흡입단(22)이 형성된다. 이러한 덕트공간(20)은, 단지 건조룸(10) 상부측에 구획벽(20a)을 형성함으로써 구현되므로, 별도로 관형의 덕트를 제조하여 시공 설치할 필요가 없이 용이한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토출단(21)과 건조대차(70) 사이의 건조공간(11)에는 토출되는 공기를 교반 및 확산시키는 제1다공판(25)이 설치되고, 공조냉각부(50)와 건조대차(70) 사이의 건조공간(11)에는 그 공조냉각부(50)로 유입되는 공기를 교반 및 확산시키는 제2다공판(26)이 설치된다.
제1다공판(25)은 다수의 제1다공(25a)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토출단(21)에 측의 건조공간(11)을 부분 구획하는 교반공간(11a)을 형성한다. 토출단(2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교반공간(11a)에서 교반된 후 다수의 제1다공(25a)을 통하여 건조공간(11)으로 분사된다. 이에 따라 건조공간(11)의 상부측이나 하부측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압력은 거의 균일하고, 이러한 균일 압력의 공기는 건조대차(70)에 적층된 채반(M)들 사이를 고른 압력분포로 경유하므로 건조대차(70)의 상부측이나 하부측에 적층된 채반(M)들 널어진 고추는 고른 건조 품질을 가지게 된다.
제2다공판(26)은 다수의 제2다공(26a)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건조대차(70)를 경유하면서 불규칙한 흐름을 가지는 공기를 교반시킨 후 다수의 제2다공(26a)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함으로써, 공조냉각부(50)의 전체면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하고, 이에 따라 공조냉각부(50)에서의 제습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즉, 공조냉각부(50)의 특정 위치가 아닌 전체면으로 공기가 흐르게 함으로써 제습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것이며, 이에 따라 고추가 효과적으로 건조되게 한다.
순환팬(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공간(11)의 타측에 설치되어 토출단(21)에서 토출되는 에어가 건조공간(11)을 경유하게 한 후 흡입단(22)을 흡입된 후 덕트공간(20)로 흐르게 하는 에어 순환 사이클을 형성한다.
공조냉각부(40)와 공조발열부(50)는 압축기(미도시)와 냉각회로를 이루며, 냉매가 순환함에 따라 공조냉각부(40)를 냉각시켜 흡열 반응이 일어나게 하고, 공조발열부(50)는 가열되어 공조냉각부(40)에서 흡열된 열을 발열시킴으로서 덕트공간(20)을 경유하는 에어를 가열시킨다.
공조냉각부(40)에는 에어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한 다수의 냉각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건조공간(11) 내부의 에어보다 차가운 온도, 예를 들면 영상 2~5 도 내외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공조냉각부(40)를 통과하는 에어의 포화공기압이 낮아지게 되면서, 에어중의 습기는 이슬로 맺히면서 습도가 낮아지고, 이슬은 공조냉각부(40)를 타고 흘러내려 배관(미도시)을 통하여 건조룸(10) 외부로 배출된다.
공조발열부(50)는 공조냉각부(40)에서 흡열된 열을 덕트공간(20) 내부에서 발열함으로써, 덕트공간(20)을 순환하는 에어의 온도를 증가시키고, 에어를 가열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즉 공조발열부(50)가 공조냉각부(40)에서 흡열된 열을 덕트공간(20)에서 발열시킴으로써 에어를 가열시키기 위한 에너지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전기히터(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발열부(50)와 이격되게 덕트공간(20)에 설치된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발열된다. 이러한 전기히터(60)는 전원의 제어에 의하여 발열량을 가변할 수 수 있으므로, 건조 온도를 자유롭게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냉각회로를 구성하는 공조발열부(50)가 덕트공간(20)을 순환하는 에어의 온도를 충분히 상승시키지 못하거나, 고추에 포함된 습기가 과도할 경우, 전기히터(60)에 전원을 인가하여 덕트공간(20)을 경유하는 에어를 빠르게 가열시키고, 이에 따라 건조룸(10) 내부에서 순환되는 에어의 온도를 높일 수 있어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건조대차(70)는 건조룸(10)로 진입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터널 형태로 되며 건조대상인 고추가 널어진 다수의 채반(M)이 상호 이격되게 적층된다. 건조대차(70)는 건조룸(10)의 크기나 건조시키기 위한 고추의 양에 따라 크기 및 개수가 정해지며, 본 실시예에서는 건조룸(10)에 4 개의 건조대차(10)가 진입된 것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건조대차(70)의 하부측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71a)를 가지며 전후방이 개구된 몸체(71)와, 몸체(71)의 내측벽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걸침브라켓(72)을 포함한다. 이때 걸침브라켓(72)에는 건조대상이 고추가 널어지는 다수의 채반(M)이 착탈 가능하게 거치된다.
채반(M)에는 메쉬망(M1)이 형성되어, 건조공간(11)을 순환하는 에어가 채반(M) 사이는 물론 상하부측으로도 교란되도록 함으로써 고추의 건조 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러한 건조대차(70)에 의하여, 고추가 널어지는 다수의 채반(M)을 적층되게 쌓을 수 있으므로, 대량의 고추를 건조시킬 수 있다.
무게측정단(8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룸(10) 내부 바닥에 구획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차하는 상기 건조대차(70)의 무게 변화를 측정한다. 이러한 무게측정단(80)은 건조대차(70)가 주차하는 주차플레이트(81)와, 주차플레이트(81)를 수용하는 수용홈(82)과, 주차플레이트(81)에 인가되는 무게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무게신호를 발생하는 무게센서(83)와. 수용홈 바닥에서 돌출되어 상기 무게센서(83)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브라켓(84)과, 주차플레이트(81)의 바닥에서 돌출되어 제1브라켓(84)에 위치 고정된 상기 무게센서(83)에 밀착되는 제2브라켓(85)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주차플레이트(81)에 인가되는 건조대차(70)의 무게가 무게센서(83)로 온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부가하여, 주차플레이트(81)의 가장자리 측에는 수용홈(82)의 가장자리 측에 지지되는 지지단(86)이 설치되어, 주차플레이트(81)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주차플레이트(81)는 건조공간(11)의 바닥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무게측정단(80)은, 건조 되기전 고추를 포함하는 건조대차(70)의 무게와, 고추가 건조된 후 건조대차(70)의 무게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고추의 건조 정도를 알아낸다. 예를 들면, 건조되기전 고추 100 Kg 를 건조대차(70)에 탑재할 경우, 고추가 건조됨에 따라 무게측정단(80)에서 측정되는 무게변화량이 80Kg 이 될 때, 고추는 80% 가 건조된 것이다.
도 5는 도 2의 건조대차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5는 VI-VI'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건조대차 및 에어분사부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에어분사부를 발췌하여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7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에어분사부(90)는 각각의 채반(M)의 표면으로 에어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의 노즐(92)을 포함한다. 이러한 에어분사부(90)는, 건조대차(70)의 가장자리 측 전방에 설치되는 테두리덕트(91)와, 테두리덕트(91) 내측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채반(M)에 대향되게 상기 노즐(92)이 형성된 바아덕트(93)와, 테두리덕트(91)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에어호스(10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덕트컨넥터(94)를 포함한다.
테두리덕트(91)는 건조대차(70)의 전방측에 테두리 형태를 이루며 설치되고, 노즐(92)이 형성된 바아덕트(93)는 테두리덕트(91)와 연통된 상태로 건조대차 몸체(71)를 가로지르게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바아덕트(93)는 채반(M)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각각의 바아덕트(93) 사이는 이격되어 그 바아덕트(93) 사이를 통하여 채반(M)이 몸체(70)의 걸침브라켓(72) 측으로 출입된다. 즉, 채반(M)으로 에어를 분사하는 바아덕트(93)를 채용함에도 불구하고, 그 바아덕트(93)는 다수의 채반(M)을 출입시키는데 방해되지 않게 되어, 다수개의 채반(M)을 걸침브라켓(72)에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에어덕트(100)는, 건조공간(11)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늘어져 에어분사부(90)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호스(101)를 가진다. 이러한 에어덕트(100)는 에어펌프(110)와 연결되며, 에어펌프(110)는 건조공간(11)의 공기를 에어덕트(100)로 압송한다.
이러한 에어분사부(90)의 구성에 의하여, 에어펌프(110)에 의하여 에어덕트(100)로 유입되는 에어는 에어호스(101)를 통하여 테두리덕트(91)로 유입되고, 테두리덕트(91)로 유입된 에어는 바아덕트(93)로 분배된 후 노즐(92)을 통하여 다수의 채반(M) 측으로 분사된다.
그러면 다수의 바아덕트(93) 사이의 공간에는 베르누이의 원리에 의하여 음압이 형성되고, 음압은 외부의 공기를 다수의 채반(M) 측으로 흐르게 한다. 즉, 다수의 바아덕트(93)에서 채반(M) 측으로 분사되는 에어는, 바아덕트와 다른 바아덕트 사이에서 음압을 형성함으로써 외부의 에어를 채반(M) 측으로 유도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에어는 고른 압력분포로 다수의 채반(M) 사이를 통과하여 일정한 품질의 건조 고추를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도 2의 건조대차로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전원공급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는, 건조대차(7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채반(M)으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111) 로 구성된 광조사부(120)와; 광조사부(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전원공급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조사부(120)는, 건조대차(70)의 내측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채반으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121)로 구성된다. 이러한 LED(121)는 건조대차(70) 내부로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입체적으로 조사함으로서, 고추의 건조 도중에 태양광을 조사하는 것과 유사한 작용을 발휘하고, 이에 따라 건조되는 고추의 맛과 향이 소실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무선전원공급부(130)는 광조사부(120)로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무선전원공급부(130)는, 건조대차(70)의 바닥에 설치된 보호플레이트(131)에 내장되는 제1자기장유도코일(132)과, 주차플레이트(81)의 상부면에 설치된 보호플레이트(133)에 내장되는 제2자기장유도코일(134)을 포함한다. 이때 주차플레이트(81) 상의 제2자기장유도코일(134)에서 전원공급을 위한 교류 자기장이 인가되고, 건조대차(70) 바닥측의 제1자기장유도코일(132)은 제2자기장유도코일(134)에서 발생된 교류 자기장을 수신하여 교류 전원을 생산한다.
이러한 무선전원공급부(130)에 의하여, 건조대차(70)가 주차플레이트(81)에 주차하면 제1자기장유도코일(132)이 제2자기장유도코일(134)의 상부측에 위치되고, 제2자기장유도코일(134)에서 발생된 교류 자기장은 제1자기장유도코일(132)에서 수신되어 교류 전원을 생산한다. 이러한 교류 전원은 건조대차(70)에 탑재된 정류회로(미도시)에 의하여 직류로 변환된 후 다수의 LED(121)를 발광하는 전원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추가 널어진 채반(M)이 적층된 건조대차(70)를 건조룸(10) 내부로 진입시키고, 건조룸(10) 내부에서 열풍을 순환 및 회수하는 방식으로 고추를 건조하므로, 계절과 날씨에 관계없이 대량의 고추를 건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 과정에서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건조대차(70)의 전방에 설치되는 에어분사부(90)에 의하여 각각의 채반(M)으로 일정한 압력의 에어 흐름을 발생함으로써, 고른 건조 품질을 유지하면서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생산설비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건조룸 11 ... 건조공간
12 ... 도어 13 ... 개폐단
20 ... 덕트공간 20a ... 구획벽
21 ... 토출단 22 ... 흡입단
25, 26 ... 제1,2다공판 25a, 26a ... 제1,2다공
30 ... 순환팬 40 ... 냉각공조부
50 ... 공조발열부 60 ... 전기히터
70 ... 건조대차 71 ... 몸체
71a ... 바퀴 72 ... 걸침브라켓
80 ... 무게측정단 81 ... 주차플레이트
82 ... 수용홈 83 ... 무게센서
84 ... 제1브라켓 85 ... 제2브라켓
86 ... 지지단 90 ... 에어분사부
91 ... 태두리덕트 92 ... 노즐
93 ... 바아덕트 94 ... 덕트컨넥터
100 ... 에어덕트 110 ... 에어펌프
120 ... 광조사부 121 ... LED
130 ... 무선전원공급부 131 ... 보호플레이트
132 ... 제1자기장유도코일 133 ... 보호플레이트
134 ... 제2자기장유도코일

Claims (6)

  1. 고추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공간(11)이 형성된 건조룸(10);
    상기 건조공간(11)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건조공간(11)의 일측으로 개구된 토출단(21) 및 타측으로 개구된 흡입단(22)이 형성된 덕트공간(20);
    상기 건조공간(11)과 덕트공간(20) 사이에서 에어를 순환시키는 순환팬(30);
    상기 건조공간(11)의 습도를 낮추기 위한 공조냉각부(40);
    상기 공조냉각부(40)와 냉각회로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덕트공간(2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조냉각부(40)에서 흡열된 열을 발열하는 공조발열부(50);
    상기 공조발열부(50)와 이격되게 상기 덕트공간(20)에 설치된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되었을 때 발열하는 전기히터(60);
    상기 건조룸(10)로 진입되는 것으로서, 건조대상인 고추가 널어진 다수의 채반(M)이 상호 이격되게 적층되는 다수의 건조대차(70);
    상기 건조대차(70)의 전방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채반(M)의 표면을 향하여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부(90);
    상기 건조공간(11)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늘어져 에어분사부(90)에 착탈식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에어호스(101)를 가지는 에어덕트(100); 및
    상기 건조공간(11)의 공기를 에어덕트(100)로 압송하는 에어펌프(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간(11) 내부 바닥에 구획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주차하는 상기 건조대차(70)의 무게 변화를 측정하는 다수의 무게측정단(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측정단(80)은,
    상기 건조대차(70)가 주차하는 것으로서 건조공간(11)의 바닥측에 설치되는 주차플레이트(81)와,
    상기 주차플레이트(81)를 수용하는 수용홈(82)과,
    상기 주차플레이트(81)에 인가되는 무게를 측정하여 대응되는 무게신호를 발생하는 무게센서(83)와,
    상기 수용홈(82) 바닥에서 돌출되어 상기 무게센서(83)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브라켓(84)과,
    상기 주차플레이트(81)의 바닥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브라켓(84)에 위치 고정된 상기 무게센서(83)에 밀착되는 제2브라켓(8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분사부(90)는,
    상기 건조대차(70)의 가장자리 측 전방에 설치되는 테두리덕트(91)와,
    상기 테두리덕트(91) 내측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각의 채반(M)에 대향되게 노즐(92)이 형성된 바아덕트(93)와,
    상기 테두리덕트(91)의 상부측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에어호스(10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덕트컨넥터(9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대차(7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채반(M)으로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111) 로 구성된 광조사부(120)와;
    상기 광조사부(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무선전원공급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KR1020180127394A 2018-10-24 2018-10-24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Active KR101925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394A KR101925759B1 (ko) 2018-10-24 2018-10-24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7394A KR101925759B1 (ko) 2018-10-24 2018-10-24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759B1 true KR101925759B1 (ko) 2018-12-05

Family

ID=64744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394A Active KR101925759B1 (ko) 2018-10-24 2018-10-24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7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710A (ko) * 2019-11-27 2021-06-04 김지현 전자기파를 이용한 태양초 고추건조기
CN113513895A (zh) * 2021-04-28 2021-10-19 黎健华 一种一体化农用烘干装置
KR20230102983A (ko) * 2021-12-30 2023-07-07 조선형 건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409B1 (ko) * 2015-11-25 2016-06-10 (주)에네스이엔지 재가열방식을 이용한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409B1 (ko) * 2015-11-25 2016-06-10 (주)에네스이엔지 재가열방식을 이용한 건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710A (ko) * 2019-11-27 2021-06-04 김지현 전자기파를 이용한 태양초 고추건조기
KR102373863B1 (ko) 2019-11-27 2022-03-11 김지현 전자기파를 이용한 고추건조기
CN113513895A (zh) * 2021-04-28 2021-10-19 黎健华 一种一体化农用烘干装置
CN113513895B (zh) * 2021-04-28 2022-07-19 苏州宝凡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一体化农用烘干装置
KR20230102983A (ko) * 2021-12-30 2023-07-07 조선형 건조기
KR102801092B1 (ko) * 2021-12-30 2025-04-24 조선형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759B1 (ko) 대용량 건조고추 생산설비
US10724794B2 (en)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CN102141340B9 (zh) 一种穿流带式烘干机
KR101741205B1 (ko) 농수산물용 냉·온풍 제습건조장치
KR101914012B1 (ko) 대용량 고품질 건조고추 생산설비
KR101191950B1 (ko) 농수산물의 열풍 건조장치
KR100799345B1 (ko) 벌크타입 원적외선 건조기
KR102191043B1 (ko)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장치
KR101922847B1 (ko) 고품질 고추건조 트레이 장치
KR20170011309A (ko) 마이크로파 및 열풍을 이용한 복합 건조기
KR100665659B1 (ko) 열풍순환식 농작물 건조장치
KR101275867B1 (ko) Led를 이용한 식물재배 겸용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0640292B1 (ko) 강제 순환식 건조기
KR101044236B1 (ko) 수산물 열풍건조기
KR20100001099U (ko) 면상발열체의 원적외선을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ES2390387T3 (es) Carro de secado
US12297587B2 (en) Finishing tunnel for ironing dry garments and similar products
KR101319145B1 (ko) 보조가열장치가 부착된 식품 건조기
KR20180134712A (ko) 근적외선 건조기
KR101826055B1 (ko) 이동식 건조대차용 멀티존 균일온도제어형 농산물 건조장치
CN216898256U (zh) 一种磁性材料烘干装置
KR200470488Y1 (ko) 농산물 건조기
KR20230102983A (ko) 건조기
CN210832950U (zh) 一种多功能层烘干固化设备
KR200438439Y1 (ko) 농수산물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4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810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0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