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5367B1 -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367B1
KR101925367B1 KR1020180068763A KR20180068763A KR101925367B1 KR 101925367 B1 KR101925367 B1 KR 101925367B1 KR 1020180068763 A KR1020180068763 A KR 1020180068763A KR 20180068763 A KR20180068763 A KR 20180068763A KR 101925367 B1 KR101925367 B1 KR 101925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eller
coupled
ship
unit
lower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두남
Original Assignee
대양마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마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마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8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36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1/00Repairing or maintaining vessels
    • B63B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5/00Dismantling or scrapp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3B2009/007
    • B63B2009/008
    • B63B270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는, 선체에 결합되며 선박용 추진기에 연결되어 선박용 추진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유닛과, 하부 이동 가이드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 이동 가이드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며 선박용 추진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유닛과, 선체에 지지되고 선박용 추진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박용 추진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하부 가이드유닛은, 선박용 추진기에 결합되는 이동블록과, 선체에 결합되며 이동블록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부 가이드유닛은, 하부 가이드부의 상단부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동블록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상부 가이드부와, 이격되어 배치된 상부 가이드부들에 결합되며 이격되어 배치된 상부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보강부재와, 보강부재에 결합되며 보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이동 구동유닛은, 선박용 추진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와, 연결부재에 지지되며 와이어가 지지되는 회전 풀리부와, 선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어에 연결되며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Maintenance device of ship propeller and maintenanc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저용 보트 등의 중소형 선박에 사용되는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용 추진기는 레저용 보트 등의 선박에 설치되어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선박용 추진기는 추력 및 방향을 전환시키는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추진기는 선체의 하부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선박이 물에 떠 있는 상태에서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선박용 추진기의 원활한 작동 여부는 선박의 운항 상태에 많은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선박용 추진기가 원활하게 작동되면 선박이 안전하게 운항될 수 있는 반면, 선박용 추진기가 원활하게 작동되지 않으면 선박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들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선박용 추진기의 원활한 작동 여부는 선박의 안정적인 운항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선박용 추진기는 선박의 운항 중 시스템 및 구조적인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정교하게 설치되어야 하며, 설치 이후에도 수시로 점검을 받아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선박용 추진기를 유지보수 하기 위해 먼저 선박용 추진기가 장착된 레저용 보트 등의 중소형 선박을 도크(dock)의 육상으로 끌어올렸다. 이렇게 선박이 육상으로 올라옴으로써 외부에 노출된 선박용 추진기를 작업자들이 유지보수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방법은,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를 위해 선박 자체를 육상으로 끌어올려야 하므로, 많은 작업자가 필요하고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대형 장비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0626호(2018.06.07.)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선박용 추진기를 유지보수 하기 위해 선박을 육상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결합되며, 선박용 추진기에 연결되어 상기 선박용 추진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유닛; 상기 하부 가이드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가이드유닛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선박용 추진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유닛; 및 상기 선체에 지지되고 상기 선박용 추진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박용 추진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유닛은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유닛은, 상기 선박용 추진기에 결합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선체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블록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유닛은,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상단부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동블록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상부 가이드부;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상부 가이드부들에 결합되며,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상부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보강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구동유닛은, 상기 선박용 추진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연결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와이어가 지지되는 회전 풀리부; 및 상기 선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상단부 영역의 측벽에는 제1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하단부 영역의 측벽에는 제2 결합돌기가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제2 결합돌기 각각이 끼움결합되는 제1 결합홈과 제2 결합홈이 형성된 보조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용 추진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박용 추진기를 상기 상부 가이드유닛에 고정하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보강부재에 걸림결합되는 제1 후크가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선박용 추진기에 마련되는 걸림고리에 걸림결합되는 제2 후크가 마련되는 바아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바아부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바아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체에 결합되며, 선박용 추진기에 연결되어 상기 선박용 추진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유닛에 상기 선박용 추진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유닛을 결합하는 가이드유닛 결합단계; 상기 선체에 지지되고 상기 선박용 추진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구동유닛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선박용 추진기가 상승하는 추진기 상승단계; 및 상기 선박용 추진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강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유닛이 상기 선박용 추진기를 상기 상부 가이드유닛에 고정하는 추진기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유닛은, 상기 선박용 추진기에 결합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선체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블록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유닛은,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상단부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동블록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상부 가이드부;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상부 가이드부들에 결합되며,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상부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보강부재; 및 상기 보강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구동유닛은, 상기 선박용 추진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 상기 연결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와이어가 지지되는 회전 풀리부; 및 상기 선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권취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유닛 결합단계는, 상부 가이드부의 상기 삽입부재가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 결합단계;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의 상단부 영역의 측벽에 마련된 제1 결합돌기와 상기 상부 가이드부의 하단부 영역의 측벽에 마련된 제2 결합돌기 각각이 보조 체결부재에 형성된 제1 결합홈과 제2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제2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보강부재에 걸림결합되는 제1 후크가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선박용 추진기에 마련되는 걸림고리에 걸림결합되는 제2 후크가 마련되는 바아부; 및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바아부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바아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기 고정단계는, 상기 제1 후크가 보강부재에 걸림결합되는 몸체부 결합단계; 및 상기 제2 후크가 상기 걸림고리에 걸림결합되는 바아부 결합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체에 결합되어 선박용 추진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박용 추진기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유닛과 선체에 지지되고 선박용 추진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박용 추진기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선체 하부 영역에 배치된 선박용 추진기를 갑판 위로 이동시킬 수 있어 선박을 육상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면서도 선박용 추진기를 작업자들에게 노출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의 하부 가이드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하부 가이드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가이드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 은 도 2의 하부 가이드유닛과 상부 가이드유닛을 결합하는 보조 체결부재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선박용 추진기가 보수작업을 위해 갑판 위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고정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의 하부 가이드유닛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하부 가이드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가이드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 은 도 2의 하부 가이드유닛과 상부 가이드유닛을 결합하는 보조 체결부재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선박용 추진기가 보수작업을 위해 갑판 위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4의 고정유닛이 도시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M)에 결합되며 선박용 추진기(P)에 연결되어 선박용 추진기(P)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유닛(110)과, 하부 가이드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하부 가이드유닛(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선박용 추진기(P)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유닛(120)과, 선체(M)에 지지되고 선박용 추진기(P)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선박용 추진기(P)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유닛(130)과, 하부 가이드유닛(110)과 상부 가이드유닛(120)의 체결력을 높이는 보조 체결부재(140)와, 선박용 추진기(P)를 상부 가이드유닛(120)에 고정하는 고정유닛(150)을 포함한다.
선박용 추진기(P)는,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M)의 선미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선체(M)에는 선박용 추진기(P)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추진기 이동공(H)이 마련된다. 이러한 추진기 이동공(H)은 선체(M) 하부영역의 선저(M2)에서 선체(M) 상부영역의 갑판(M1)까지 이어진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선체(M)에는 선박의 운항 중 선박용 추진기(P)가 추진기 이동공(H)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용 브라켓(미도시)이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용 브라켓(미도시)은, 일측부가 볼트 등에 의해 추진기 이동공(H)의 측벽에 결합되고 타측부가 볼트 등에 의해 선박용 추진기(P)의 상측벽에 결합됨으로서, 선박용 추진기(P)를 선체(M)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고정용 브라켓(미도시)은 선박의 운항 시에는 추진기 이동공(H) 내에 배치되어 선박용 추진기(P)를 선체(M)에 고정하며, 선박용 추진기(P)의 유지보수 작업 시에는 추진기 이동공(H) 내에서 제거되어 선박용 추진기(P)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선체(M)의 갑판(M1)에는 추진기 이동공(H)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덮개(미도시)가 마련된다.
하부 가이드유닛(110)은 선박용 추진기(P)에 연결되어 선박용 추진기(P)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하부 가이드유닛(110)은 추진기 이동공(H)의 측벽에 결합된다.
이러한 하부 가이드유닛(110)은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가이드유닛(110)은 4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선박용 추진기(P)의 상측 부분은 육면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본 실시예의 4개의 하부 가이드유닛(110) 각각은 선박용 추진기(P)의 상측 부분의 4개의 측벽 모서리 영역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하부 가이드유닛(110)은,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용 추진기(P)에 결합되는 이동블록(111)과, 선체(M)에 결합되며 이동블록(111)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가이드부(112)를 포함한다.
이동블록(111)은 선박용 추진기(P)에 결합되며 하부 가이드부(11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하부 가이드부(112)는 추진기 이동공(H)의 측벽에 결합된다. 이러한 하부 가이드부(112)는, 도 1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기 이동공(H)을 따라 긴 바아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하부 가이드부(112)의 상단부 영역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M1) 위쪽으로 노출된다.
또한,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부(112)에는 이동블록(111)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R)이 마련된다.
또한, 하부 가이드부(112)에는, 하부 가이드부(112)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홈(113)이 마련된다.
또한, 하부 가이드부(112)의 상단부 영역의 측벽에는, 제1 결합돌기(115)가 돌출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돌기(115)는 하부 가이드부(112)의 4개의 측벽 중 가이드 레일(R)이 마련된 일측벽을 제외한 3개의 측벽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부 가이드유닛(120)은 선박용 추진기(P)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상부 가이드유닛(120)은, 하부 가이드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 가이드유닛(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가이드유닛(120)은, 하부 가이드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선박용 추진기(P)의 유지보수 시에만 하부 가이드유닛(110)에 결합되고 선박의 운항 시에는 하부 가이드유닛(110)에서 분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부 가이드유닛(120)이 선박의 운항 성능을 악화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이드유닛(120)은,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부(112)에 결합되며 하부 가이드부(112)의 상측에 배치되어 이동블록(111)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상부 가이드부(121)와, 상부 가이드부(121)들에 결합되며 상부 가이드부(121)를 연결하는 보강부재(123)와, 보강부재(12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가이드부(121)는 4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가이드부(121)에는, 하부 가이드부(112)의 가이드 레일(R)과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가공되어 이동블록(111)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R)이 마련된다.
또한, 상부 가이드부(121)의 하단부에는, 하부 가이드부(112)의 삽입홈(113)에 삽입되는 삽입부재(122)가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삽입부재(122)는 삽입홈(113)에 끼움결합되어 하부 가이드부(112)와 상부 가이드부(121)를 안정적으로 결합시킨다.
또한, 상부 가이드부(121)의 하단부 영역의 측벽에는, 도 2 및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돌기(125)가 돌출되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결합돌기(125)는 상부 가이드부(121)의 4개의 측벽 중 가이드 레일(R)이 마련된 일측벽을 제외한 3개의 측벽 각각에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123)는 이격되어 배치된 상부 가이드부(121)들을 연결한다.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23)는 봉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보강부재(123)는 이격되어 배치된 상부 가이드부(121)에 결합되어 이격되어 배치된 상부 가이드부(121)를 연결함으로써, 상부 가이드유닛(120)의 강성을 보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 가이드유닛(120)에서 보강부재(123)는 용접에 의해 상부 가이드부(121)에 결합된 상태이다.
이러한 보강부재(123)에는 외주면의 직경이 주변에 비해 작아져 단차진 형상으로 마련되는 안착부(K)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부(K)는 보강부재(123)와 고정유닛(15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연결부재(124)는 보강부재(123)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재(124)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상측에 배치된 보강부재(123)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부재(124)는 바아 형상으로 마련되어 보강부재(123)에 연결된다.
한편, 이동 구동유닛(130)은 선박용 추진기(P)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 구동유닛(130)은 선체(M)에 지지되고 선박용 추진기(P)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구동유닛(130)은, 도 2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용 추진기(P)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131)와, 연결부재(124)에 지지되며 와이어(131)가 지지되는 회전 풀리부(132)와, 선체(M)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와이어(131)에 연결되며 와이어(131)를 권취하는 권취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와이어(131)의 일측부는 선박용 추진기(P)의 상측벽에 마련된 연결고리(T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와이어(131)의 타측부는 권취 구동부(미도시)에 마련되는 권취 릴(미도시)에 감겨진다.
회전 풀리부(132)는 와이어(131)를 지지한다. 이러한 회전 풀리부(132)는, 연결부재(124)에 결합되는 풀리용 브라켓(133)과, 풀리용 브라켓(1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와이어(131)를 지지하는 풀리(134)를 포함한다.
권취 구동부(미도시)는 와이어(131)를 권취한다. 이러한 권취 구동부(미도시)는, 선체(M)의 갑판(M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모터(미도시)와, 구동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구동모터(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회전되며 와이어(131)가 감기는 권취 릴(미도시)을 포함한다.
한편, 보조 체결부재(140)는 상부 가이드부(121)와 하부 가이드부(112)의 체결력을 높인다. 이러한 보조 체결부재(140)에는 제1 결합돌기(115)와 제2 결합돌기(125) 각각이 끼움결합되는 제1 결합홈(141)과 제2 결합홈(142)이 미리 결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보조 체결부재(140)의 제1 결합홈(141)에 하부 가이드부(112)의 제1 결합돌기(115)가 끼움결합되고 보조 체결부재(140)의 제2 결합홈(142)에 상부 가이드부(121)의 제2 결합돌기(125)를 끼움결합됨으로써, 하부 가이드부(112)와 상부 가이드부(121)가 더욱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고정유닛(150)은 선박용 추진기(P)를 상부 가이드유닛(120)에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유닛(150)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부재(123)에 걸림결합되는 제1 후크(152)가 마련되는 몸체부(151)와, 몸체부(15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박용 추진기(P)에 마련되는 걸림고리(T2)에 걸림결합되는 제2 후크(154)가 마련되는 바아부(153)와, 몸체부(151)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바아부(153)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몸체부(151)의 내벽에 지지되어 바아부(153)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55)를 포함한다.
몸체부(151)는 보강부재(123)의 안착부(K)에 걸림결합되는 제1 후크(152)가 마련된다. 보강부재(123)의 안착부(K)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변에 비해 외주면의 직경이 작어지게 단차진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안착부(K)에 걸림결합된 제1 후크(152)는 안착부(K)의 측벽에 접촉되어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안착부(K)에 걸림결합된 제1 후크(152)가 보강부재(123)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제한됨으로써, 몸체부(151)가 안정적으로 보강부재(123)에 결합된다.
이러한 몸체부(151)의 내부는 중공되며, 몸체부(151)의 내부에는 바아부(153)의 일부가 배치된다.
바아부(153)는 몸체부(151)의 내벽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바아부(153)에는 선박용 추진기(P)에 마련되는 걸림고리(T2)에 걸림결합되는 제2 후크(154)가 마련된다. 걸림고리(T2)는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용 추진기(P)의 상측벽에 마련된다.
탄성체(155)는 몸체부(151)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체(155)는 일단부가 바아부(153)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몸체부(151)의 내벽에 지지됨으로써, 바아부(153)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이와 같이 탄성체(155)가 바아부(153)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선박용 추진기(P)가 고정유닛(150)에 의해 상부 가이드유닛(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파도 등에 의해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고정유닛(150)이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추진기(P)의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단계(S110)와, 가이드유닛 결합단계(S120)와, 추진기 상승단계(S130)와, 추진기 고정단계(S140)와 및 보수작업단계(S150)를 포함한다.
준비단계(S110)에서는 가이드유닛 결합단계(S120) 전의 사전 준비가 수행된다. 즉, 선박용 추진기(P)의 갑판(M1) 위로의 상승을 위해 추진기 이동공(H)의 덮개(미도시)가 개방되고, 선박용 추진기(P)를 고정한 고정용 브라켓(미도시)이 추진기 이동공(H)에서 제거된다.
또한, 와이어(131)의 일측부가 선박용 추진기(P)의 연결고리(T1)에 결합되고 타측부가 권취 릴(미도시)에 연결되며, 구동모터(미도시)가 갑판(M1)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서 선박용 추진기(P)에는 내연기관이 마련되어 자체적으로 추진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방식이 아니라 선박용 추진기(P)가 동력전달축(미도시) 등을 통해 동력을 전달받는 경우에는 준비단계(S110)에서 동력전달축(미도시)이 선박용 추진기(P)에서 분리된다.
다음, 가이드유닛 결합단계(S120)에서는 하부 가이드유닛(110)과 상부 가이드유닛(120)이 결합된다. 이러한 가이드유닛 결합단계(S120)는, 상부 가이드부(121)의 삽입부재(122)가 하부 가이드부(112)의 삽입홈(113)에 삽입되는 제1 결합단계와, 제1 결합돌기(115)와 제2 결합돌기(125)가 보조 체결부재(140)의 제1 결합홈(141)과 제2 결합홈(142)에 각각 끼움결합되는 제2 결합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와이어(131)가 회전 풀리부(132)에 연결된다.
다음, 추진기 상승단계(S130)에서는 이동 구동유닛(130)의 구동에 의해 선박용 추진기(P)가 상승한다. 선박용 추진기(P)는 하부 가이드부(112) 및 상부 가이드부(121)를 따라 상승하여 갑판(M1) 위로 노출된다.
다음, 추진기 고정단계(S140)에서는 고정유닛(150)에 의해 선박용 추진기(P)가 상부 가이드유닛(120)에 고정된다. 이러한 추진기 고정단계(S140)는 제1 후크(152)가 보강부재(123)에 걸림결합되는 몸체부 결합단계와, 제2 후크(154)가 걸림고리(T2)에 걸림결합되는 바아부 결합단계를 포함한다.
이렇게 선박용 추진기(P)가 상부 가이드유닛(120)에 고정된 뒤에는 보수작업 기구(미도시)에 의해 선박용 추진기(P)가 보수되는 보수작업단계(S150)가 수행된다.
이러한 보수작업단계(S150)가 수행된 후에는 상술한 단계들이 역순으로 이루어져 선박용 추진기(P)가 원위치로 이동되며 선박용 추진기(P)가 선체(M)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따른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은, 선체(M)에 결합되어 선박용 추진기(P)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박용 추진기(P)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유닛(120)과 선체(M)에 지지되고 선박용 추진기(P)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박용 추진기(P)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유닛(130)을 구비함으로써, 선체(M) 하부 영역에 배치된 선박용 추진기(P)를 갑판(M1) 위로 이동시킬 수 있어 선박을 육상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면서도 선박용 추진기(P)를 작업자들에게 노출시킬 수 있어 유지보수 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하부 가이드유닛 111: 이동블록
112: 하부 가이드부 113: 삽입홈
115: 제1 결합돌기 120: 상부 가이드유닛
121: 상부 가이드부 122: 삽입부재
123: 보강부재 124: 연결부재
125: 제2 결합돌기 130: 이동 구동유닛
131: 와이어 132: 회전 풀리부
133: 풀리용 브라켓 134: 풀리
140: 보조 체결부재 141: 제1 결합홈
142: 제2 결합홈 150: 고정유닛
151: 몸체부 152: 제1 후크
153: 바아부 154: 제2 후크
155: 탄성체 H: 추진기 이동공
M: 선체 M1: 갑판
M2: 선저 P: 선박용 추진기
R: 가이드 레일 K: 안착부
T1: 연결고리 T2: 걸림고리

Claims (5)

  1. 선체(M)에 결합되며, 선박용 추진기(P)에 연결되어 상기 선박용 추진기(P)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유닛(110);
    상기 하부 가이드유닛(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 가이드유닛(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선박용 추진기(P)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유닛(120); 및
    상기 선체(M)에 지지되고 상기 선박용 추진기(P)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박용 추진기(P)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구동유닛(130)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가이드유닛(110)은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유닛(110)은,
    상기 선박용 추진기(P)에 결합되는 이동블록(111); 및
    상기 선체(M)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블록(111)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가이드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유닛(120)은,
    상기 하부 가이드부(112)의 상단부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홈(113)에 삽입되는 삽입부재(122)가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동블록(111)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상부 가이드부(121);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상부 가이드부(121)들에 결합되며,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상부 가이드부(121)를 연결하는 보강부재(123); 및
    상기 보강부재(123)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부재(12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4)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구동유닛(130)은,
    상기 선박용 추진기(P)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131);
    상기 연결부재(124)에 지지되며, 상기 와이어(131)가 지지되는 회전 풀리부(132); 및
    상기 선체(M)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131)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131)를 권취하는 권취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부(112)의 상단부 영역의 측벽에는 제1 결합돌기(115)가 돌출되어 마련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부(121)의 하단부 영역의 측벽에는 제2 결합돌기(125)가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제1 결합돌기(115)와 상기 제2 결합돌기(125) 각각이 끼움결합되는 제1 결합홈(141)과 제2 결합홈(142)이 형성된 보조 체결부재(140)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용 추진기(P)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강부재(12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선박용 추진기(P)를 상기 상부 가이드유닛(120)에 고정하는 고정유닛(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유닛(150)은,
    상기 보강부재(123)에 걸림결합되는 제1 후크(152)가 마련되는 몸체부(151);
    상기 몸체부(15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선박용 추진기(P)에 마련되는 걸림고리(T2)에 걸림결합되는 제2 후크(154)가 마련되는 바아부(153); 및
    상기 몸체부(151)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바아부(153)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부(151)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바아부(153)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55)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4. 선체(M)에 결합되며, 선박용 추진기(P)에 연결되어 상기 선박용 추진기(P)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하부 가이드유닛(110)에 상기 선박용 추진기(P)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상부 가이드유닛(120)을 결합하는 가이드유닛 결합단계(S120);
    상기 선체(M)에 지지되고 상기 선박용 추진기(P)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구동유닛(1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선박용 추진기(P)가 상승하는 추진기 상승단계(S130); 및
    상기 선박용 추진기(P)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보강부재(12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유닛(150)이 상기 선박용 추진기(P)를 상기 상부 가이드유닛(120)에 고정하는 추진기 고정단계(S14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가이드유닛(110)은,
    상기 선박용 추진기(P)에 결합되는 이동블록(111); 및
    상기 선체(M)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블록(111)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가이드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유닛(120)은,
    상기 하부 가이드부(112)의 상단부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삽입홈(113)에 삽입되는 삽입부재(122)가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이동블록(111)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상부 가이드부(121);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상부 가이드부(121)들에 결합되며,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상부 가이드부(121)를 연결하는 보강부재(123); 및
    상기 보강부재(123)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부재(12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24)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구동유닛(130)은,
    상기 선박용 추진기(P)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와이어(131);
    상기 연결부재(124)에 지지되며, 상기 와이어(131)가 지지되는 회전 풀리부(132); 및
    상기 선체(M)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131)에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131)를 권취하는 권취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닛 결합단계(S120)는,
    상부 가이드부(121)의 상기 삽입부재(122)가 상기 하부 가이드부(112)의 상기 삽입홈(113)에 삽입되는 제1 결합단계; 및
    상기 하부 가이드부(112)의 상단부 영역의 측벽에 마련된 제1 결합돌기(115)와 상기 상부 가이드부(121)의 하단부 영역의 측벽에 마련된 제2 결합돌기(125) 각각이 보조 체결부재(140)에 형성된 제1 결합홈(141)과 제2 결합홈(142)에 끼움결합되는 제2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150)은,
    상기 보강부재(123)에 걸림결합되는 제1 후크(152)가 마련되는 몸체부(151);
    상기 몸체부(15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선박용 추진기(P)에 마련되는 걸림고리(T2)에 걸림결합되는 제2 후크(154)가 마련되는 바아부(153); 및
    상기 몸체부(151)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바아부(153)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몸체부(151)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바아부(153)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체(155)를 포함하며,
    상기 추진기 고정단계(S140)는,
    상기 제1 후크(152)가 보강부재(123)에 걸림결합되는 몸체부 결합단계; 및
    상기 제2 후크(154)가 상기 걸림고리(T2)에 걸림결합되는 바아부 결합단계를 포함하는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KR1020180068763A 2018-06-15 2018-06-15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Active KR101925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763A KR101925367B1 (ko) 2018-06-15 2018-06-15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763A KR101925367B1 (ko) 2018-06-15 2018-06-15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367B1 true KR101925367B1 (ko) 2019-02-27

Family

ID=65560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763A Active KR101925367B1 (ko) 2018-06-15 2018-06-15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3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4311A (zh) * 2021-12-27 2022-02-25 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回转装置高精度安装工法
KR102748626B1 (ko) * 2024-05-07 2024-12-31 (주)아이오테크 싱글빔 송수파기 파손방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987B1 (ko) * 2011-06-14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쓰러스터 승강시스템
KR101324602B1 (ko) * 2011-11-30 2013-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러스터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46174B1 (ko) * 2012-02-28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리 유동이 가능한 추진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40073878A (ko) * 2012-12-07 2014-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스러스터 리프팅와이어 가이드박스
KR101444149B1 (ko) * 2012-12-13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80060626A (ko) 2016-11-29 2018-06-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987B1 (ko) * 2011-06-14 2013-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쓰러스터 승강시스템
KR101324602B1 (ko) * 2011-11-30 2013-11-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스러스터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346174B1 (ko) * 2012-02-28 201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분리 유동이 가능한 추진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40073878A (ko) * 2012-12-07 2014-06-1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스러스터 리프팅와이어 가이드박스
KR101444149B1 (ko) * 2012-12-13 2014-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20180060626A (ko) 2016-11-29 2018-06-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추진기 교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4311A (zh) * 2021-12-27 2022-02-25 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回转装置高精度安装工法
KR102748626B1 (ko) * 2024-05-07 2024-12-31 (주)아이오테크 싱글빔 송수파기 파손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5367B1 (ko) 선박용 추진기의 유지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지보수방법
KR102396228B1 (ko) 해양 선박을 위한 선내 분리 가능한 접이식 스러스터 및 해양 선박
WO2016140347A1 (ja) 追加プロペラを装備する船
KR101475201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8766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97397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44146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87676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5463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75200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12487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524159B1 (ko) 선박 스러스터 시스템
KR20140133701A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44150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2083477B1 (ko) 계류장치
KR101497315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승강 안내장치
KR101556268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설치방법
KR20120004440U (ko) 스트랜드 잭의 지지 구조
KR101487670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22178B1 (ko) 인입 가능한 스러스터를 구비한 선박
KR101487677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의 승강 안내장치
KR101531490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KR101475202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및 이의 초기 위치정렬방법
JP2023044490A (ja) ハイブリッド船舶推進機
KR101475199B1 (ko)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및 캐니스터의 리프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2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