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5080B1 - Functional mobile holder - Google Patents
Functional mobile hol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5080B1 KR101925080B1 KR1020170179414A KR20170179414A KR101925080B1 KR 101925080 B1 KR101925080 B1 KR 101925080B1 KR 1020170179414 A KR1020170179414 A KR 1020170179414A KR 20170179414 A KR20170179414 A KR 20170179414A KR 101925080 B1 KR101925080 B1 KR 1019250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unting module
- stationary
- module
- clamp
- portable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회전 구속용 조임구가 배면에 마련되며, 전면에서 휴대단말기가 클램핑되는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 및 상기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와 연결되되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는 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회전 구속용 조임구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식 거치 모듈;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에 대하여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과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는 가동식 거치 모듈; 및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과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에 대하여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ortable terminal cra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tary terminal clamp having a fastening fixture for rotational restraint provided on a back surface thereof and clamping the portable terminal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 stationary unit connected to the rotary terminal clamp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lace, wherein the stationary stationary module includes: a stationary stationary modu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ationary stationary fastener; A movable mounting module coupled to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being elastically moved away from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installed at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 interaction with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mounting module and the movable mounting module and is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to push the movable mounting module with respect to the fixed mounting module.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대와 같은 일반적이지 않는 장소일지라도 휴대단말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portable terminal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nctional portable terminal holder capable of easily and easily installing a portable terminal even in a non-common place such as a sunglass holder for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older.
휴대단말기는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등을 총칭하는 용어이다. 휴대단말기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전자기기 중의 하나이다.Mobile terminals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smart phones, mobile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tablet PCs. Portable terminals are one of the most used electronic devices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male or female.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차량을 이용한 장거리 이동 시 뒷좌석에 앉은 아이들에게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끔 한다. 이럴 경우, 아이들은 지루하지 않고 시간을 보낼 수 있다.Such a portable terminal has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so that a child sitting in a back seat can watch a moving picture when moving over a long distance using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children can spend time without getting bored.
한편, 휴대단말기를 이용해서 동영상을 시청하고자 할 때, 휴대단말기 거치대가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viewing a moving image using a portable terminal, a portable terminal holder can be used.
현존하는 일반적인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일정한 장소에 단순히 올려두거나 거는 타입이라서 차량에서 사용할 때는 앞좌석 목 부분에 설치하거나 뒷좌석 가까이에 설치할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경우, 휴대단말기와 아이와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아이의 눈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Since the existing portable terminal holder is simply a type of placing or hanging in a certain place, it is only necessary to install it in the front seat or near the rear seat when using the vehicle. In such a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child is too close, Can be adversely affected.
실제, 뒷좌석에 앉은 아이의 입장에서는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대가 위치된 영역 쯤에 휴대단말기를 거치시킨 후, 동영상을 시청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이지만 현존하는 휴대단말기 거치대는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대와 같은 일반적이지 않은 장소에 설치할 수 없는 구조라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개념의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Actually, in the case of a child sitting in the back seat, it may be desirable to view a moving picture after placing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area where the vehicle's sunglass holder is located. However, the existing portable terminal holder may be placed in an unusual pla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need for a new concept of a functional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대와 같은 일반적이지 않는 장소일지라도 휴대단말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nctional portable terminal stand capable of easily and easily installing a portable terminal even in a non-general place such as a vehicle sunglass stand, thereby greatl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상기 목적은, 회전 구속용 조임구가 배면에 마련되며, 전면에서 휴대단말기가 클램핑되는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 및 상기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와 연결되되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는 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회전 구속용 조임구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식 거치 모듈;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에 대하여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과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는 가동식 거치 모듈; 및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과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에 대하여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rotary terminal clamp in which a rotation restraining fastener is provided on a back surface and a portable terminal is clamp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 stationary unit connected to the rotary terminal clamp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lace, wherein the stationary stationary module includes: a stationary stationary modu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ationary stationary fastener; A movable mounting module coupled to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being elastically moved away from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installed at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 interaction with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an elastic member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mounting module and the movable mounting module and is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of pushing the movable mounting module with respect to the fixed mounting module.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은, 고정 모듈 바디; 상기 고정 모듈 바디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그루브; 및 상기 고정 모듈 바디의 중앙에 상기 레일 그루브와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센터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은, 상기 한 쌍의 레일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레일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슬라이더; 상기 센터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센터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단부에 헤드가 형성되는 센터 슬라이더;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슬라이더와 상기 센터 슬라이더를 한 몸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includes: a stationary module body; A pair of rail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module body; And a center hole formed at a center of the fixed module body in parallel with the rail groove and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disposed, wherein the movable mounting module is disposed in each of the pair of rail grooves, A pair of side sliders which are slidably moved along the slider, A center slider disposed in the center hole and slidably mov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hole, the center slider having a head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side sliders and the center slider as one body.
상기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는, 집게 방식으로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클램핑하는 집게형 클램프; 및 상기 집게형 클램프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무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전 구속용 조임구 내에서 자유 회전되는 회전볼을 포함할 수 있다.The rotary type terminal clamp may include a clamp type clamp for clamping the portable terminal while mutually approaching or separating from each other in a clamping manner; And a rubber pad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clamp type clamp, and the engaging portion may include a rotating ball which rotates freely in the rotation constraining fastener.
상기 목적은, 회전 구속용 조임구가 배면에 마련되며, 전면에서 휴대단말기가 클램핑되는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 및 상기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와 연결되되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는 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회전 구속용 조임구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식 거치 모듈;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에 대하여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과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는 가동식 거치 모듈; 및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과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에 대하여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은, 고정 모듈 바디; 상기 고정 모듈 바디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그루브; 및 상기 고정 모듈 바디의 중앙에 상기 레일 그루브와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센터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은, 상기 한 쌍의 레일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레일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슬라이더; 상기 센터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센터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단부에 헤드가 형성되는 센터 슬라이더;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슬라이더와 상기 센터 슬라이더를 한 몸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는, 집게 방식으로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클램핑하는 집게형 클램프; 및 상기 집게형 클램프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무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전 구속용 조임구 내에서 자유 회전되는 회전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과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의 노출 단부에는 탄성 지지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의 배면에는 야광물질이 도포된 야광 전화번호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에 의해서도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rotary terminal clamp in which a rotation restraining fastener is provided on a back surface and a portable terminal is clamp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 stationary unit connected to the rotary terminal clamp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lace, wherein the stationary stationary module includes: a stationary stationary module coupled to one side of the stationary stationary fastener; A movable mounting module coupled to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being elastically moved away from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installed at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 interaction with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the movable mounting module and being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to push the movable mounting module with respect to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wherein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comprises: a stationary module body; A pair of rail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module body; And a center hole formed at a center of the fixed module body in parallel with the rail groove and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disposed, wherein the movable mounting module is disposed in each of the pair of rail grooves, A pair of side sliders which are slidably moved along the slider, A center slider disposed in the center hole and slidably mov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hole, the center slider having a head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side sliders and the center slider as one body, wherein the rotary type terminal clamp is a clamp type clamp for clamping the portable terminal while approaching or separating with a clamping method; And a rubber pad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clamp type clamp,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ncludes a rotating ball which freely rotates in the rotation restraining fastener, and an exposed end portion of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the movable type fixing module And a luminous telephone plate on which luminous material is coated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대와 같은 일반적이지 않는 장소일지라도 휴대단말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easily and easily installed even in a non-general place such as a sunglass holder for a vehicle, thereby greatly improving convenience in us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가동식 거치 모듈이 다운(down)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를 회전시킨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1 및 도 2에 대응되는 거치 유닛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8은 도 1에 휴대단말기가 클램핑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사용상태 이미지이다.
도 10은 도 9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배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portable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the movable mount module in Fig. 1 in a down state.
3 is a partial side sectional view of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Figure 5 is a view of the rotary terminal clamp rotated in Figure 4;
6 and 7 are sectional structural views of the mounting unit corresponding to Figs. 1 and 2, respectively.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clamped in FIG.
FIG. 9 is the use state image of FIG.
FIG. 10 is a schematic view of FIG. 9.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portable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1. Fig.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known techniques are not specifically described to avoid an undesirable interpre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used) term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lso, components and acts referred to as " comprising (or comprising) "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operation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가동식 거치 모듈이 다운(down)된 상태의 도면, 도 3은 도 1의 부분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서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를 회전시킨 도면, 도 6 및 도 7은 각각 도 1 및 도 2에 대응되는 거치 유닛의 단면 구조도, 도 8은 도 1에 휴대단말기가 클램핑된 상태의 도면, 도 9는 도 8의 사용상태 이미지,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개략적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portable terminal crad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of the movable type cradle module being down in FIG. 1, Fig. 6 is a sectional view of the mounting unit corresponding to Fig. 1 and Fig. 2, and Fig. 8 is a side view Fig. 9 is a use state image of Fig. 8, and Fig. 10 is a schematic view of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100)는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대(10, 도 9 및 도 10 참조)와 같은 일반적이지 않는 장소일지라도 휴대단말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특히,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100)를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대(10)와 그 상측의 벽면(20)에 설치할 경우, 차량의 뒷좌석에 앉은 아이가 눈 건강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9 and 10, when the functional
이러한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100)는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110)와, 이에 연결되는 거치 유닛(120)을 포함한다.The functional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110)는 전면에서 휴대단말기가 클램핑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110)는 집게 방식으로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휴대단말기를 클램핑하는 집게형 클램프(111)와, 집게형 클램프(111)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무패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집게형 클램프(111)가 탄성적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기 때문에 사이즈가 상이한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등을 클램핑하기에 유리하다.It is advantageous to clamp mobile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tablet PCs and the like including smartphones of different sizes because the
그리고 집게형 클램프(111)의 내벽에 고무패드(112)가 마련되기 때문에 휴대단말기를 강하게 클램핑하더라도 휴대단말기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이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110)의 배면에는 회전 구속용 조임구(115)가 마련된다. 회전 구속용 조임구(115)는 나사 방식으로서 조일 경우,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110)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On the back surface of the
이에, 회전 구속용 조임구(115)를 약간 푼 다음 도 4 및 도 5처럼 집게형 클램프(111)의 방향을 맞출 수 있다. 그러면 휴대단말기를 세로 방향 혹은 가로 방향으로 시청할 수 있다.Thus, the
이와 같은 회전 구속용 조임구(115)에 거치 유닛(120) 측의 결합부(121)가 결합된다. 결합부(121)는 회전 구속용 조임구(115) 내에서 자유 회전되는 회전볼(122)을 포함한다. 회전볼(122)이 회전 구속용 조임구(115) 내에 배치되는 형태라서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110)의 방향을 용이하게 맞추어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조절이 완료된 이후에는 회전 구속용 조임구(115)를 조여 움직이지 않게 할 수 있다.The
한편, 거치 유닛(120)은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110)와 연결되되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소정의 장소란 선글라스 보관대(10)처럼 일반적이지 않은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Meanwhile, the
거치 유닛(120)으로 인해 도 9 및 도 10처럼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대(10)와 그 상측의 벽면(20)에 설치된다. 이러한 거치 유닛(120)은 고정식 거치 모듈(130), 가동식 거치 모듈(140), 그리고 탄성부재(150)를 포함한다.The
고정식 거치 모듈(130)은 회전 구속용 조임구(115)에 결합되는 결합부(121)가 일측에 결합되는 구조물이다.The
이러한 고정식 거치 모듈(130)은 고정 모듈 바디(131)와, 고정 모듈 바디(131)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그루브(132)와, 고정 모듈 바디(131)의 중앙에 레일 그루브(132)와 나란하게 형성되되 탄성부재(150)가 배치되는 센터홀(133)을 포함한다.The fixed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100)가 도 9 및 도 10처럼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대(10)와 그 상측의 벽면(20)에 설치될 때, 고정식 거치 모듈(130)의 고정 모듈 바디(131)의 단부가 선글라스 보관대(10)의 일측에 지지될 수 있다.When the functional portable
가동식 거치 모듈(140)은 고정식 거치 모듈(130)에 결합되며, 고정식 거치 모듈(130)에 대하여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동작되면서 고정식 거치 모듈(130)과의 상호작용으로 선글라스 보관대(10) 등의 장소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다.The
이러한 가동식 거치 모듈(140)은 한 쌍의 레일 그루브(132)에 각각 배치되어 레일 그루브(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단부에 스토퍼(141a)가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슬라이더(141)와, 센터홀(133) 내에 배치되며, 센터홀(13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단부에 헤드(142a)가 형성되는 센터 슬라이더(142)와, 한 쌍의 사이드 슬라이더(141)와 센터 슬라이더(142)를 한 몸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43)를 포함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100)가 도 9 및 도 10처럼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대(10)와 그 상측의 벽면(20)에 설치될 때, 가동식 거치 모듈(140)의 연결부재(143)가 선글라스 보관대(10)의 상측의 벽면(20)에 지지될 수 있다.When the functional portable
탄성부재(150)는 고정식 거치 모듈(130)과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140) 사이, 즉 센터홀(133) 내에 배치되되 고정식 거치 모듈(130)에 대하여 가동식 거치 모듈(140)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된다. 탄성부재(150)는 비틀림 코일 압축스프링일 수 있다.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정식 거치 모듈(130) 측으로 가동식 거치 모듈(140)를 가압한 후, 도 9 및 도 10처럼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대(10)와 그 상측의 벽면(20)에 배치한 후, 가했던 힘을 제거하면 탄성부재(150)의 탄성 팽창력으로 인해 고정식 거치 모듈(130)의 고정 모듈 바디(131)의 단부가 선글라스 보관대(10)의 일측에 지지되고, 가동식 거치 모듈(140)의 연결부재(143)가 선글라스 보관대(10)의 상측의 벽면(20)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다.9 and 10, after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대(10, 도 9 및 도 10 참조)와 같은 일반적이지 않는 장소일지라도 휴대단말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install the portable terminal even in a non-common place such as the vehicle sunglass holder 10 (see Figs. 9 and 10) The convenience can be greatly improv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배면 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portable terminal hold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200) 역시,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110)와, 이에 연결되는 거치 유닛(2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functional portable
그리고 거치 유닛(220)은 고정식 거치 모듈(230), 가동식 거치 모듈(240), 그리고 탄성부재(150, 도 6 참조)를 포함한다.The mounting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고정식 거치 모듈(230)과 가동식 거치 모듈(240)의 노출 단부에는 탄성 지지부재(260)가 마련된다. 탄성 지지부재(260)로 인해 고정식 거치 모듈(230)과 가동식 거치 모듈(240)의 단부가 배치되는 구조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유리와 같이 잘 지지되지 않는 장소일지라소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게끔 한다.In this structure, an elastic supporting
그리고 고정식 거치 모듈(230)의 배면에는 야광물질이 도포된 야광 전화번호판(270)이 마련된다.On the rear surface of the
예컨대, 고정식 거치 모듈(230)의 배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하면서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200)를 차량의 대시보드와 앞 유리창 사이에 설치할 경우, 탄성 지지부재(260)로 인해 설치가 용이해질 수 있는데, 고정식 거치 모듈(230)의 배면에 야광 전화번호판(270)이 마련되기 때문에 자신의 연락처를 남기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이와 같은 구조의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차량용 선글라스 보관대(10, 도 9 및 도 10 참조)와 같은 일반적이지 않는 장소일지라도 휴대단말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Even if this embodiment having such a structure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easily install the portable terminal even in a non-common place such as the vehicle sunglass holder 10 (see Figs. 9 and 10), thereby greatly improving the usability hav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intende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0 :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 110 :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
111 : 집게형 클램프 112 : 고무패드
115 : 회전 구속용 조임구 120 : 거치 유닛
121 : 결합부 122 : 회전볼
130 : 고정식 거치 모듈 131 : 고정 모듈 바디
132 : 레일 그루브 133 : 센터홀
140 : 가동식 거치 모듈 141 : 사이드 슬라이더
141a : 스토퍼 142 : 센터 슬라이더
142a : 헤드 143 : 연결부재
150 : 탄성부재100: Functional mobile terminal cradle 110: Rotary terminal clamp
111: clamp type clamp 112: rubber pad
115: fastening fitting for rotation restraint 120:
121: engaging portion 122: rotating ball
130: stationary mounting module 131: stationary module body
132: Rail groove 133: Center hole
140: movable mounting module 141: side slider
141a: Stopper 142: Center slider
142a: head 143: connecting member
150: elastic member
Claims (4)
상기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와 연결되되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는 거치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 유닛은,
상기 회전 구속용 조임구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측에 결합되는 고정식 거치 모듈;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에 대하여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동작되면서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과의 상호작용으로 상기 소정의 장소에 설치되는 가동식 거치 모듈; 및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과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에 대하여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을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은,
고정 모듈 바디;
상기 고정 모듈 바디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레일 그루브; 및
상기 고정 모듈 바디의 중앙에 상기 레일 그루브와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탄성부재가 배치되는 센터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은,
상기 한 쌍의 레일 그루브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레일 그루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단부에 스토퍼가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슬라이더;
상기 센터홀 내에 배치되며, 상기 센터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되 단부에 헤드가 형성되는 센터 슬라이더; 및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슬라이더와 상기 센터 슬라이더를 한 몸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식 단말기 클램프는,
집게 방식으로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되면서 상기 휴대단말기를 클램핑하는 집게형 클램프; 및
상기 집게형 클램프의 내벽에 형성되는 고무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회전 구속용 조임구 내에서 자유 회전되는 회전볼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과 상기 가동식 거치 모듈의 노출 단부에는 탄성 지지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고정식 거치 모듈의 배면에는 야광물질이 도포된 야광 전화번호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휴대단말기 거치대.A rotary terminal clamp provided on a back surface of the rotary restraint and having a portable terminal clamp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nd a mounting unit connected to the rotary terminal clamp and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lace,
The mounting unit includes:
A stationary mounting module in which an engaging portion coupled to the rotation restraining fastener is coupled to one side;
A movable mounting module coupled to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being elastically moved away from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installed at the predetermined location in interaction with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And an elastic member that is disposed between the fixed mounting module and the movable mounting module and is elastically biased in a direction to push the movable mounting module with respect to the fixed mounting module,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includes:
Fixed module body;
A pair of rail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module body; And
And a center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ixed module body and aligned with the rail groove,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disposed,
The movable mounting module includes:
A pair of side sliders disposed on the pair of rail grooves and slidably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groove,
A center slider disposed in the center hole and slidably mov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hole, the center slider having a head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pair of side sliders and the center slider as one body,
The rotary terminal clamp includes:
A clamping clamp for clamping the portable terminal while mutually approaching or separating in a clamping manner; And
And a rubber pad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clamp type clamp,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ncludes a rotating ball which freely rotates within the fastening fitting for rotation restraining,
Wherein an elastic support member is provided at an exposed end of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and the movable mounting module,
Wherein a luminous telephone plate on which luminous material is applied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stationary mounting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9414A KR101925080B1 (en) | 2017-12-26 | 2017-12-26 | Functional mobile hol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9414A KR101925080B1 (en) | 2017-12-26 | 2017-12-26 | Functional mobile hold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25080B1 true KR101925080B1 (en) | 2018-12-04 |
Family
ID=64669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9414A Active KR101925080B1 (en) | 2017-12-26 | 2017-12-26 | Functional mobile hol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508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966508A (en) * | 2019-12-31 | 2020-04-07 |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stand |
KR20210047533A (en) | 2019-10-22 | 2021-04-30 | 박강혁 | Displayer holder for vehicle headres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5432B1 (en) * | 2010-12-20 | 2011-03-28 | 이동엽 | Crad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US20150084364A1 (en) | 2013-09-26 | 2015-03-26 | Hyundai Motor Company | Display device holder apparatus for sun visor |
US20150350397A1 (en) | 2012-12-28 | 2015-12-03 |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 Holder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ner structure and vehicle including such a device |
US20170313259A1 (en) | 2012-11-20 | 2017-11-02 | Kenu, Inc. | Adjustable portable device holder |
-
2017
- 2017-12-26 KR KR1020170179414A patent/KR10192508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5432B1 (en) * | 2010-12-20 | 2011-03-28 | 이동엽 | Crad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
US20170313259A1 (en) | 2012-11-20 | 2017-11-02 | Kenu, Inc. | Adjustable portable device holder |
US20150350397A1 (en) | 2012-12-28 | 2015-12-03 | Faurecia Interieur Industrie | Holder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inner structure and vehicle including such a device |
US20150084364A1 (en) | 2013-09-26 | 2015-03-26 | Hyundai Motor Company | Display device holder apparatus for sun viso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47533A (en) | 2019-10-22 | 2021-04-30 | 박강혁 | Displayer holder for vehicle headrest |
CN110966508A (en) * | 2019-12-31 | 2020-04-07 |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stand |
CN110966508B (en) * | 2019-12-31 | 2021-05-14 | 深圳市蓝禾技术有限公司 | Mobile terminal support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20257346A1 (en) | Biased stand or tripod adapter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 |
US8960623B2 (en) | Adapter apparatus for portable handheld device | |
US8186508B2 (en) | Apparatus for holding electronic devices | |
KR101875432B1 (en) | portable terminal cradle installed in compact disc insert | |
US10459488B1 (en) | Docking station | |
US9066421B1 (en) | Holding apparatus for retaining a generally flat-shaped item, such as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 |
KR101563058B1 (en) | Smartphone holder | |
TW201542326A (en) | Clamper | |
KR101925080B1 (en) | Functional mobile holder | |
KR101591831B1 (en) | Smart phone holder for car | |
KR101743286B1 (en) | Stand for mobile | |
US8681437B2 (en) | Magnification systems | |
KR20150138691A (en) | mobile case containing holder of angle control function | |
KR20160084700A (en) | Mounting member | |
KR20120035810A (en) | A hand held device protection case clip and standing. and holding apparatus with a tilt function | |
CN203533110U (en) | Cell phone camera shooting clip | |
CN104081675A (en) | Holder for mobile terminal | |
KR101485262B1 (en) | Apparatus for moun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KR20150004611U (en) | NFC Smart Phone Holder | |
KR200470994Y1 (en) | Stand assembly for mobile | |
CN104676217A (en) | Supporting device | |
CN110901554B (en) | Automobile-used backseat cell phone stand | |
KR20150118720A (en) | Mount for mobile | |
KR20190056224A (en) | Vehicle Only Smartphone Charging cradle and Smart phone case | |
KR101902424B1 (en) | supporter for smart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