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499B1 -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of milking parlor - Google Patents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of milking parl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4499B1 KR101924499B1 KR1020170018211A KR20170018211A KR101924499B1 KR 101924499 B1 KR101924499 B1 KR 101924499B1 KR 1020170018211 A KR1020170018211 A KR 1020170018211A KR 20170018211 A KR20170018211 A KR 20170018211A KR 101924499 B1 KR101924499 B1 KR 1019244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wastewater
- settling
- pipe
- discharge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7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3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6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41000238633 Odona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677 Nyl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1778 nyl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276 aerator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0808 liqu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304 pastoral farm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00 soi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OJVVFBFDXDTEG-UHFFFAOYSA-N Norphyta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C XOJVVFBFDXDTE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544 Purg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1 back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38 yakul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06—Anaerobic processes using solid supports for microorganism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2—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 C02F2103/327—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food or foodstuff industry, e.g. brewery waste waters from processe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dairy produc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 농가의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에서 고형물질을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를 통해 1차로 걸러서 퇴비 등으로 비료화하고, 이후 남은 오폐수는 후속 장치를 통해 2차 정화 처리하여 최종 방류수를 오폐수 방류 조건에 적합하게 달성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은, 착유실로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서로 배관으로 연결된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 폐수 유량 조정조; 침전 폭기조 셋트; 및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를 포함하는데,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는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가 최초 유입되며, 폐수 유량 조정조는,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의 상측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와 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액 분리 혼합조 저장조 셋트에서 걸러진 고형물질 이외의 오폐수가 펌핑 유입되어 일시 저장한다. 침전 폭기조 셋트는, 상기 폐수 유량 조정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으로 폐수 유량 조정조와 연결되어 폐수 유량 조정조로부터의 오폐수가 유입되며,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제거하며,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는, 상기 침전 폭기조 셋트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침전 폭기조 셋트와 배관 연결되어 침전 폭기조 셋트로부터 유기물이 제거된 오폐수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olid matters are firstly filtered by a compost or the like through wastewater generated in a milking chamber of a livestock farming house through a high / liquid separation and mixing storage set, and the remaining wastewater is subjected to secondary purification treatment through a subsequ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lking room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hich is suitably adapted to the discharge conditions.
The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igh / liquid separation mixed storage set which is sequentially arranged from a milking chamb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piping; Waste water flow adjustment tank; Settling aeration tank set; And a settling / altitude treatment bath set,
The wastewater flow rate adjustment tank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high / liquid separation mixed storage tank set, and is connected to the high / liquid separation / mixed storage tank set by piping And the wastewater other than the solid matter filtered in the high / liquid separation / mixing tank storage tank is pumped and temporarily stored. The settling aeration tank set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tank and is connected to a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tank through a pipe to introduce wastewater from the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tank to remove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wastewater, The wastewater discharged from the settling aeration basin set is connected to the settling aeration basin set, and the wastewater from which organic matter has been removed is introduced into the settling aeration basin set.
Description
본 발명은 축산 농가에서 발생한 오폐수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산 농가의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에서 고형물질은 정화 처리시스템의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를 통해 1차로 걸러서 퇴비 등으로 비료화하고, 이후 남은 오폐수는 후속 장치를 통해 2차 정화 처리하여 최종 방류수를 오폐수 방류 조건에 적합하게 달성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국내에서의 축산 농가의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의 방류, 특히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의 방류에 대한 정확한 지침이 없으며, 이러한 오폐수의 방류 또한 불법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서 많은 축산 농가들에서 무단 방류한 오폐수의 수질에 대한 민원으로 이웃 주민과의 분쟁이 잦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오폐수의 무단 방류로 인해 축산 농가들이 불법, 무허가 농가로 전락하는 위기에 처한 상황이다.There is no precise guidance on the discharge of wastewater from the milking room of domestic farm households, especially the discharge of wastewater from the milking room, and the discharge of such wastewater is also illegal, so that in many farm households, The complaints with neighboring residents are becoming more frequent with the complaints from the government and the farmers are in a crisis of illegal and unauthorized farming due to the unauthorized release of wastewater.
또한, 오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처리시설을 갖추고 있더라도, 정화시설의 정화 능력이 부족하거나 작동 상의 문제점이 많아 오폐수를 제대로 정화 처리하기 어려워서, 정화 처리가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오폐수의 방류는 악취로 인한 대기오염 및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 물질로 인해 하천이 오염되고 토양이 오염되는 등의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In addition, even if a purification treatment facility for purifying wastewater is provided, it is difficult to purify the wastewater efficiently due to the lack of purification ability of the purification facility or operational problems, so that the discharge of the wastewater that is not completely purified is caused by the odor Air pollution, and organic matter contained in wastewater,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river pollution and soil contamination.
특히,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는 24시간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일 2회 정도 발생하고 있는데, 오폐수 체류 시설을 통해 오폐수의 수질을 정화하기가 용이하지 않다.In particular, wastewater generated in the milking room occurs twice a day, not 24 hours, and it is not easy to purify the wastewater through the wastewater retention facility.
일반적으로, 축산 농가의 착유실 내부를 청소하거나, 착유실에 설치된 시설물을 세척하고 나서 발생한 오폐수를 정화하는데 이용되는 정화처리시설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가 유입관(1)을 통해 최초로 유입되는 복수개의 침전조(2), 내부에 산기관(5)이 설치되어 있고, 미생물과의 접촉을 통해 유기 물질을 제거하는 복수개의 상부 폭기조(4), 폭기조에서 정화된 오폐수가 외부로 방류되기 전에 일시 저장되는 방류조(8), 폭기조 내의 산기관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기(7) 및 공기 공급을 조절하는 밸브(6)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침전조는 정화처리시설 작동 초기에는 수질이 양호하지만, 침전조 내부에 오폐수의 고형물질이 지속적으로 침전되어 퇴적되면, 궁극적으로 침전조 내의 수질이 악화되어 심한 악취가 발생하고, 또한 상부 폭기조 내의 하단에 야쿠르트 병을 이용한 담체들(3)이 설치되는데, 이 담체들은 밀집되어 있어서 하단의 폐기 슬러지가 빠져 나갈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폭기조 내의 하단에 이러한 슬러지가 쌓여서,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수질을 더욱 악화시킨다.Generally, as a purification treatment facility used for cleaning the inside of a milking room of a livestock farmhouse or purifying wastewater generated after cleaning facilities installed in the milking room, wastewater generated in the milking chamber is introduced into the
또한,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처리시설은 지중에 설치되어 있어, 지반 침하로 인한 시설 파손으로 미처 정화 처리되지 않은 오폐수가 지중으로 누출되어 토양 오염을 야기할 수 있어서, 이러한 오폐수 정화처리시설은 단지 오폐수에서 고형물질 만을 침전시키는 침전조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오폐수에서 고형물질을 잘 분리하지 않으면 고형물질이 지속적으로 폭기조 내부에 쌓여서 수질 악화의 원인이 된다. 침전조를 거친 오폐수가 초기에는 방류기준을 충족하지만, 시간이 지난 후에는 오폐수의 정화처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방류 기준에 못 미치는 오폐수를 외부로 방류하게됨으로써 심각한 하천 오염 및 토양 오염을 야기한다.In addition, since the milking room wastewater purification treatment facility, which is generally used at present, is installed in the ground, the wastewater that has not yet been purified by the breakage of the facility due to the subsidence of the ground can leak into the ground and cause soil pollution. Is a sedimentation tank that solely precipitates solids from wastewater. If solid matter is not well separated from wastewater, solid matter accumulates in the aeration tank constantly, causing water quality deterioration. The waste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ttling tank satisfies the discharge standard in the beginning, but after the time has passed, the wastewater is not properly treated and the wastewater that is less than the discharge standard is released to the outside, causing severe river pollution and soil pollution.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산 농가에서 발생한 오폐수, 특히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의 정화 처리 효율을 향상시키고, 정화 처리된 오폐수를 무단 방류가 아닌 허가 방류가 가능하게 방류 조건에 부합되게 처리하여 방류되는 오폐수가 방류 기준에 충족될 수 있고, 또한 방류되는 오폐수의 색도 개선과 유기 물질인 질소와 인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of wastewater generated in the livestock farmhouse, particularly the wastewater generated in the milking compart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for efficiently and efficiently purifying wastewater discharged from a milking room to efficiently remove nitrogen and phosphorus, which are organic substances, from wastewater discharged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will b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 시스템은, 착유실로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서로 배관으로 연결된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100); 폐수 유량 조정조(200); 침전 폭기조 셋트(300); 및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4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100)는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가 최초 유입되며, 상기 폐수 유량 조정조(200)는,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의 상측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와 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액 분리 혼합조 저장조 셋트(100)에서 걸러진 고형물질 이외의 오폐수가 펌핑 유입되어 일시 저장하고, 상기 침전 폭기조 셋트(300)는, 상기 폐수 유량 조정조(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으로 폐수 유량 조정조와 연결되어 폐수 유량 조정조로부터의 오폐수가 유입되며,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제거한다. 또한,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400)는, 상기 침전 폭기조 셋트(300)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침전 폭기조 셋트와 배관 연결되어 침전 폭기조 셋트로부터 유기물이 제거된 오폐수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milking room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quid / liquid separation / mixing storage set 100 sequentially disposed from a milking room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piping; A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폐수가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 폐수 유량 조정조, 침전 폭기조 셋트 및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정화 처리되어 방류수 기준에 부합하는 정화된 방류수가 배출된다.Preferably, the wastewater is purified while sequentially moving the high / liquid separation mixed storage tank, the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tank, the settling aeration tank set, and the settling / altitude treatment tank set, and the purified effluent water meeting the discharged water standard is discharged.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은, 축산 농가의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로부터 고형물질은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 통해 1차로 걸러서 퇴비 등으로 비료화 할 수 있으며, 이후 남겨진 오폐수는 후속 처리장치를 통해 2차로 정화 처리하여 오폐수 방류 기준에 부합되게함으로써, 수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취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여 대기 오염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유기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서 최종 방류수의 색상을 연갈색에서 투명한 색으로 개선할 수 있고, 질소 및 탄소의 제거 효율을 20%이상 개선할 수 있으며, 침전 폭기조 셋트의 하단부가 전도된 원뿔형태의 완전 배출형으로 이루어지기에 침전된 슬러지를 99%이상 배출하므로 혐기 폭기조 및 호기조 내부의 슬러지로 인한 오염도를 5%이하로 낮출수 있다.In the milking room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features as described above, solid matter can be removed from the wastewater generated in the milking chamber of the livestock farmhouse through the high / The residual wastewater is purified by a secondary treatment through a subsequent treatment device to conform to the wastewater discharge standard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s well as the prevention of air pollution by fundamentally blocking the generation of odo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lor of the final discharge water from the light brown color to the transparent color and to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nitrogen and carbon by 20% or more, and the lower end of the settling aeration tank Since it is made up of a completely discharged type of cone shape, it is possible to lower pollution degree of less than 5% due to sludge in the anaerobic aeration tank and aerobic tank by discharging more than 99% of settled sludge.
도 1은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시설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의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의 폐수 유량 조정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의 침전 폭기조 셋트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의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의 침전 폭기조 셋트 내에 담체가 설치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ilking room wastewater purification facility generally used at present.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a milking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olid / liquid separation / mixed storage tank set of a milking room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tank of the milking room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ttling aeration tank set of the milking room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ttling / altitude treatment bath set of the milking room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carrier installed in the settling aeration tank set of the milking room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축산 농가의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에서 고형물질은 정화 처리시스템의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를 통해 1차로 걸러서 퇴비 등으로 비료화하고, 이후 남은 오폐수는 후속 장치를 통해 2차 정화 처리하여 최종 방류수를 오폐수 방류 조건에 적합하게 달성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일 2회 착유실을 세정하고 발생하는 오폐수를 저장조에 저장하여 24시간 일정한 오폐수가 정화 처리시스템을 흐르도록 하고, 침전 폭기조 셋트 내의 담체에서 거처하는 미생물의 증식률을 높이고, 고도처리 공정을 이용하여 방류수 기준에 부합하는 방류수의 수질 개선에 기여하고, 특히 방류수 색도 개선 및 유기 물질 제거 효율을 개선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the wastewater generated in the milking room of the livestock farmhouse, the solid material is firstly filtered through the high / liquid separation mixed storage set of th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to compost the compost and the remaining wastewater is subjected to the second purification treatment through the subsequent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lking and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that is suitably adapted to a discharge condi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ilking and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that cleans a milking room twice a day and stores generated wastewater into a storage tank to allow a constant wastewater to flow through the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for 24 hou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lking and purging treatment system which improves the growth rate of microorganisms stored in a carrier in a settling aeration tank and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of effluent water meeting the discharged water standard by using an advanced treatment process, .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2 to 7,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ilking room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인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를 정화 처리하기 위한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은, 착유실로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서로 배관으로 연결된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100); 폐수 유량 조정조(200); 침전 폭기조 셋트(300); 및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400)를 포함한다.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100)는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가 최초 유입되며, 상기 폐수 유량 조정조(200)는,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의 상측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와 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액 분리 혼합조 저장조 셋트(100)에서 걸러진 고형물질 이외의 오폐수가 펌핑되어 유입되어 오폐수가 일시 저장된다. 상기 침전 폭기조 셋트(300)는, 상기 폐수 유량 조정조(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으로 폐수 유량 조정조와 연결되어 폐수 유량 조정조로부터의 오폐수가 유입되며,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제거한다. 또한,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400)는, 상기 침전 폭기조 셋트(300)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침전 폭기조 셋트와 배관 연결되어 침전 폭기조 셋트로부터 유기물이 제거된 오폐수가 유입된다.2, the milking room wastewater treatment system for purifying wastewater generated in the milking chamber is arranged in order from the milking chamb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piping, as shown in FIG. A high / liquid separation mixed storage set (100); A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특히, 본 발명은 오폐수가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 폐수 유량 조정조, 침전 폭기조 셋트 및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정화 처리되어 방류수 기준에 부합하는 정화된 방류수가 배출되는데,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 폐수 유량 조정조, 침전 폭기조 셋트 및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는 서로 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관을 통해 오폐수가 흐르면서, 오페수가 방류 기준에 부합하게 정화처리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오폐수의 흐름은 처리조 간의 높낮이 차이를 이용한 자연적인 이동 및 펌핑에 의한 강제적인 이동을 통해 이루어진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invention, wastewater is purified while sequentially moving the high / liquid separation mixed storage tank, the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tank, the settling aeration tank set and the settling / altitude treatment tank set, and the purified effluent water meeting the discharged water standard is discharged. The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tank, the settling aeration tank set, and the settling / altitude treatment tank se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piping. The wastewater flows through the piping, and the effluent water is purified to meet the discharge standard, . The flow of the wastewater is accomplished by natural movement using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reatment tanks and forced movement by pumping.
착유실로부터 발생한 오폐수가 최초 흘러들어가는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100)는, 착유실로부터 발생한 오폐수가 유입되어 오폐수에 함유된 고형물질이 최초로 걸러지는 1차 고/액 분리기(130), 상기 1차 고/액 분리기(130)가 내부 일측의 구획부에 설치되며, 1차 고/액 분리기(130)에서 걸러진 고형물질 이외의 오폐수가 유입되는 혼합조(140), 및 상기 혼합조(140)와 인접하여 배관 연결되며, 상기 혼합조의 오폐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장조(160)를 포함한다. 또한, 1차 고/액 분리기(130) 및 혼합조(140)의 일측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1차 고/액 분리기(130) 및 혼합조(140)와 배관 연결되는 2차 고/액 분리기(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고/액 분리기, 혼합조 및 저장조는 지중에 위치되며 2차 고/액 분리기는 지상에 위치된다. The wastewater generated from the milking chamber flows in the
상기 1차 고/액 분리기(130)는, 일측 상부에 구성되어 착유실의 오폐수 유입원과 연결되는 오폐수 유입관(132)을 구비하는데, 상기 오폐수 유입관(132)을 통해 흘러 들어온 오폐수의 고형물질이 1차 고/액 분리기(130)를 통해 일차로 걸러진다. 상기 걸러진 고형물질을 배출하기 위해서는 1차 고/액 분리기(130)를 혼합조(140)로부터 분리하여 고형물질(슬러지)을 배출하고, 그 후 혼합조(140)에 1차 고/액 분리기(130)를 결합시킨다. 여기에서, 1차 고/액 분리기(130)는 혼합조(140)의 내부 일측의 구획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imary solid /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고/액 분리기(130)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이며, 개방된 상부 이외의 나머지 부분은 거름망 또는 유사 분리수단이 구성되는데, 상기 거름망 또는 분리수단에 의해 고형물질이 걸러지고, 고형 물질 이외의 나머지 오폐수가 혼합조(140)로 유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1차 고/액 분리기(130)가 설치된 구획부에는 혼합조와 연통하는 통로가 구성되어, 상기 1차 고/액 분리기(130)를 통해 고형물질이 제거된 오폐수가 상기 통로를 통해 혼합조(140)로 흘러 들어간다. Preferably, the upper portion of the primary o /
상기 혼합조(140)에는 거름망(141)이 구성되는데, 상기 거름망은 저장조(160)와 인접하는 측면에 설치되며, 거름망에 인접하여 혼합조 배출관(151)이 구성되며, 상기 혼합조 배출관(151)의 위쪽에 혼합조 오버플로우관(150)이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혼합조 배출관(151) 및 혼합조 오버플로우관(150)은 저장조(160)와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름망은 체눈의 사이즈가 1 내지 2㎜의 스테인레스 스틸의 거름망을 사용한다. 상기 혼합조 배출관(151)을 통해 혼합조(140)의 오폐수가 저장조(160)로 흘러 들어가며, 또한 혼합조에 모인 오폐수가 소정 량 이상인 경우, 혼합조(140) 내의 오폐수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혼합조 오버플로우관(151)을 통해 혼합조(140)의 오폐수가 저장조(160)로 더 흘러 들어간다. The
또한, 혼합조(140)의 일측 상부, 즉 거름망에 인접한 지점 상부에는 혼합조 슬러지 배출관(180)이 구성된다. 이 혼합조 슬러지 배출관(180)은 2차 고/액 분리기(120)와 연결되며, 상기 혼합조(140)의 거름망(141)을 통해 걸러진 고형물질이 상기 혼합조 슬러지 배출관(180)을 통해 2차 고/액 분리기(120)로 이동하는데, 이때 혼합조 슬러지 배출관(180)의 하단에 설치된 혼합조 펌프(181)를 통해 강제 펌핑되어 고형물질이 2차 고/액 분리기(120)로 흘러 들어간다. 상기 2차 고/액 분리기(120)는 혼합조로부터 강제 펌핑된 고형물질을 재차 침전시켜서, 침전된 고형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데, 상기 고형물질은 2차 고/액 분리기(120)의 상부의 2차 슬러지 배출(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2차 슬러지 배출(110)은, 사람이 하루 1회 내지 4회 삽이나 기타 장비로 고형물질을 직접 퍼서 외부로 배출한다. In addition, a mixed
바람직하게는, 상기 1차 고/액 분리기(1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고형 물질 및 2차 슬러지 배출(1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고형 물질은 발효과정을 거쳐 퇴비로 사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olid material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rimary solid /
상기 2차 고/액 분리기(120)의 일측에는 2차 고액 분리기 배출관(122)이 구성되는데, 상기 2차 고액 분리기 배출관을 통해 1차 고액 분리기(130)로 오폐수를 흘러 들어가, 다시금 1차 고/액 분리기(130)에서 고형물질이 걸러지고, 나머지 오폐수는 다시 혼합조(140)로 흘러들어 간다. 또한, 2차 고/액 분리기(120)에는 2차 고액 분리기 오버플로우관(121)이 구성되어, 상기 오버플로우관(121)을 통해 소정 량 이상의 오폐수가 혼합조(140)로 흘러 들어간다. 상기 오버플로우관(121)은 2차 고액 분리기 배출관(122)보다 위쪽에 설치하는게 바람직한데, 이렇게 설치하는 것은 2차 고/액 분리기(120)의 하부에 주로 위치하는 비교적 많은 양의 고형물질을 함유한 오폐수를 2차 고액 분리기 배출관(122)을 통해 1차 고/액 분리기(130)로 흘러가게 하고, 2차 고/액 분리기(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비교적 적은 양의 고형물질을 함유한 오폐수는 2차 고액 분리기 오버플로우관(121)를 통해 혼합조(140)로 흘러 들러가게 하기 위함이다. A second solid-liquid
추가로, 상기 저장조(160)는 상부가 서로 연통하는 3개의 구획부(도면 부호 미도시 됨)로 이루어진다. 상기 3개의 구획부 중 첫번째 구획부에 구성된 저장조 슬러지 배출관(170)을 통해 2차 고액 분리기(120)와 연결되며, 3개의 구획부 중 세번째 구획부에 구성된 폐수유입관(230)으로 폐수 유량 조정조(200)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첫번째 구획부에 구성된 저장조 슬러지 배출관(170)은 저장조(160)에 유입된 오폐수 중 바닥에 침전된 고형물질을 2차 고액 분리기(120)로 이동시켜서 2차 고액 분리기(120)에서 고형물질을 다시 제거시키는데, 이때 상기 저장조 슬러지 배출관(170)의 하단에는 저장조 제1 펌프(171)가 설치되며, 상기 저장조 제1 펌프(171)에 의해 고형물질이 강제 펌핑되어 2차 고/액 분리기(120)로 흘러들어 간다.The storage tank
또한, 상기 폐수 유량 조정조(200)와 연결된 폐수유입관(230)의 하단에도 저장조 제2 펌프(234)가 설치되는데, 상기 저장조 제2 펌프(234)에 의해 침전된 고형물질 이외의 오폐수가 펌핑되어 폐수 유량 조정조(200)로 흘러 들어간다.The
상기와 같이,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가 오폐수 유입관(132)을 통해 1차 고/액 분리기(130)로 유입되고, 오폐수가 1차 고/액 분리기(130)를 거치면서 오폐수의 고형물질이 일차로 제거되고, 고형물질이 제거된 오폐수는 혼합조(140)로 흘러 들어가며, 상기 혼합조로 흘러 들어간 오폐수 중 큰 입자의 고형물질이 함유된 오폐수는 펌핑되어 다시 2차 고/액 분리기(120)로 흘러 들어가서 고형물질이 제거되며, 작은 입자의 고형물질이 함유된 오폐수는 저장조(160)로 흘러 들어간다. 이때 저장조(160)에서 침전되어 뭉쳐진 고형물질은 저장조 제1 펌프(171)를 통해 2차 고/액 분리기(120)로 펌핑되어, 2차 고/액 분리기(120)에서 고형물질이 다시 제거된다. 이와 같이 1차 고/액 분리기(130), 2차 고/액 분리기(120), 혼합조(140) 및 저장조(160)는 서로 배관 연결됨으로서, 고형물질이 포함된 오폐수는 배관을 통해 1차 고액 분리기(130), 2차 고액 분리기(120), 혼합조(140) 및 저장조(160)를 순환하면서 오폐수의 고형물질이 보다 완벽하게 제거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wastewater generated in the milking chamber flows into the primary solid-
상기 폐수 유량 조정조(200)는 폐수 배출 조정 탱크(210)로서, 일측 상부의 오버플로우관(220)을 통해 혼합조(140)와 연결되며, 타측 중간부에 구성되어 저장조(160)로부터의 고형물질이 제거된 오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관(230)을 통해 저장조(160)와 연결된다. 상기 폐수유입관(230)의 하부에는 폐수배출관(233)이 구성되는데, 상기 폐수배출관(233)을 통해 침전 폭기조 셋트(300)와 연결되고, 오폐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오폐수가 소정 량 이상인 경우, 오폐수가 오버플로우관(220)을 통해 다시 혼합조(140)로 흘러 들어가게 구성된다. The wastewater flow
상기 폐수 유량 조정조(200)는 침전 폭기조 셋트(300)로 오폐수를 흘려보내기 전에 오폐수를 일시 저장하며, 침전 폭기조 셋트(300)의 혐기 상부 폭기조(380)로 보내는 오폐수의 양을 조절하는 곳으로, 혐기 상부 폭기조(380)와는 폐수배출관(233)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오버플로우관(220)은, 폐수 유량 조정조(200)가 저장할 수 있는 소정 량 이상으로 오폐수가 저장될 경우, 오폐수의 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소정 량 이상으로 오버플로우되는 오폐수를 혼합조(140)로 흘려 보낸다.The wastewater flow
폐수배출관(233)의 중간부에는 오폐수량 조정 밸브(232)가 설치되어 침전 폭기조 셋트의 혐기 폭기조(380)로 흘러가는 오폐수 량을 조절한다. 상기 폐수배출관(233) 상의 오폐수량 조정 밸브(232)를 기준으로 폐수 유량 조정조(200)와 인접하는 배출관은 밸브세척 및 폐수배출관(231)으로 구성하여, 폐수 유량 조정조(200)로부터의 오폐수의 자연적 흐름이나 펌프와 같은 장치에 의해 고압,고속으로 오폐수를 흐르게하여 오폐수량 조정 밸브(232)를 세척함으로써, 오폐수량 조정 밸브를 장기간 사용함으로써 내부에 끼일 수 있는 미세 이물질을 세척함과 동시에 폐수배출관(233)으로 흘러가는 오폐수의 흐름을 원할하게 한다. A wastewater
상기 침전 폭기조 셋트(300)는, 혐기 폭기조(380) 및 상기 혐기 폭기조의 일측에 구성되며, 상기 혐기 폭기조와 배관 연결되는 3개의 호기조들(370,371,372)을 포함한다. 상기 호기조들은 연이어 배치되며, 3개의 호기조들 중 최종 호기조(372)는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400)와 배관 연결된다. 상기 혐기 폭기조(380) 내에는 미생물 담체(360)가 혐기 폭기조의 중간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담체의 내부 상단에 산기관(316)이 설치되며, 하단에는 슬러지 배출관(390)이 구성된다. 상기 슬러지 배출관(390)은 3차 슬러지 배출관(111)으로 연결되며, 상기 3차 슬러지 배출관(111)은 2차 고/액 분리기(120) 상부와 연결되어, 혐기 폭기조의 하단에 쌓이는 슬러지가 2차 고/액 분리기로 흘러 들어간다. The settling and aeration tank set 300 includes an
상기 슬러지 배출관(390) 상에는 2개의 밸브들(391,392)이 설치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관(390)으로 흘러가는 슬러지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밸브들 중 도면부호 391은 수동밸브이며, 도면부호 392는 자동(전동)밸브로서, 상기 밸브를 2개로 구성하는 것은 자동밸브 이상 시, 수동밸브로서 슬러지의 흐름을 조정하는 것으로, 두 밸브를 모두 개방하면 슬러지가 3차 슬러지 배출관(111)을 거쳐서 2차 고/액 분리기(120)으로 흘러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들(391,392)의 개폐는 혐기 폭기조(380) 내에 쌓인 슬러지의 양에 따라 조절된다. 통상적인 처리 과정에서 수동밸브들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자동밸브의 개폐로 슬러지의 흐름을 조절한다.Two
상기 혐기 폭기조(380)는 일측 상부의 혐기호기 배출관(320)을 통해 제1 호기조(370)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호기조(370)는 호기조 배출관(330)을 통해 제2 호기조(371)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호기조(371)는 호기조 배출관(340)을 통해 제3 호기조(372)와 연결되고, 제3 호기조(372)는 침전조 배출관(350)을 통해 침전/고도처리조 셋트(400)의 제1 침전조(410)와 연결된다. 상기 혐기 폭기조(380)에서 일차 정화된 오폐수가 제1 내지 제3 호기조들(370,371,372)을 차례로 통과하면서 다시 한번 정화 처리되어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400)로 흘러 들어간다.The
상기 제1 호기조 내지 제3 호기조(370,371,372) 내에는 담체(360)가 호기조의 중간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담체의 내부 상단에 산기관(316)이 설치된다. 상기 호기조들의 하단에는 슬러지 배출관(375)이 각각 구성되는데, 상기 슬러지 배출관(375)은 3차 슬러지 배출관(111)과 연결되며, 상기 3차 슬러지 배출관(111)은 2차 고/액 분리기(120)기 상부와 연결되어, 호기조들의 하단에 쌓이는 슬러지가 2차 고/액 분리기로 흘러 들어간다. 상기 혐기 폭기조(380) 및 호기조들(370,371,372)로부터 2차 고/액 분리기(120)로 흘러 들어간 슬러지는 2차 고/액 분리기(120)에서 재차 분리되어 제거된다. In the first to
상기 혐기 폭기조(380) 및 호기조들(370,371,372)의 하단부는 아래로 점점 뾰족해지는 전도된 원뿔형태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도된 원뿔형태의 하단부는 전체 혐기 폭기조 및 호기조들에서 1/4의 영역을 차지한다. 이와 같은 전도된 원뿔형태의 구성은, 혐기 폭기조 및 호기조들 내의 하단에 슬러지가 용이하게 쌓여지고, 쌓여진 슬러지가 슬러지 배출관(390,375)을 통해 3차 슬러지 배출관(111)을 거쳐서 2차 고/액 분리기(120)로 이동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전도된 원뿔형태는, 그 내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슬러지 배출시 슬러지 배출관(390,375)으로 슬러지가 완전하게 배출되므로 완전 배출형이라고 한다.The lower end of the
상기 슬러지 배출관(375) 상에는 각각 2개의 밸브들(373,374)이 설치되는데, 상기 밸브들은 슬러지 배출관으로 흘러가는 슬러지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밸브들 도면부호 373은 수동밸브이며, 도면부호 374는 자동(전동)밸브로서, 상기 밸브를 2개로 구성하는 것은 자동밸브 이상 시, 수동밸브로서 슬러지의 흐름을 조정하는 것으로, 두 밸브를 모두 개방하면 슬러지가 3차 슬러지 배출관(111)을 거쳐서 2차 고/액 분리기(120)으로 흘러가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들(373,374)의 개폐는 호기조들(370,371,372)) 내에 쌓인 슬러지의 양에 따라 조절된다. 통상적인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 수동밸브들은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자동밸브의 개폐로 슬러지의 흐름을 조절한다.The sludge discharge pipe (375) There are two
상기 담체는(360)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진 장방형체의 프레임에 PE 또는 나일론 재질의 격자망이 부착되어 구성되는데, 특히 담체(36)가 혐기 폭기조(380) 및 호기조들(370,371,372) 내의 중간부에서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위치될 때, 담체의 하단부는 상기 전도된 원뿔형태의 상단부 바로 위쪽에 위치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담체를 설치함으로써 혐기조 및 호기조의 전도된 월뿔형태 부분은 담체가 설치되지 않는 빈 공간으로 남게되어 슬러지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공간에 쌓일 수 있고, 또한, 전도된 원뿔형태 부분의 내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기에 슬러지가 슬러지 배출관(390,375)으로 원할하게 흘러갈 수 있다.The
상기 담체(360)는 폐수 유량 조정조(200)로부터 흘러 들어온 오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분해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담체(360)는 내부 중앙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게끔 복수개의 프레임이 적층식으로 설치되는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담체들이 서로 이격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 담체들의 위에 서로 이격되게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중간 담체들이 위치하고, 또한 상기 중간 담체들의 위에는 서로 이격되게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담체들이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담체들을 서로 이격시켜 하부로부터 횡방향, 종방향 및 횡방향 순으로 적층되게 위치시키면 적층된 담체들의 내부 중앙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부 중앙부 소정 공간의 상측에 산기관(316)이 위치된다. The
상기 산기관(316)은 산소 공급관(310)을 통해 산소 공급기(313)와 연결되어, 산소 공급기로부터의 산소를 혐기 폭기조(380) 및 제1 내지 제3 호기조들(370,371,372)로 공급한다.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산소 공급관(310)에서 분기된 각각의 제1 분기관(314)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호기조들로 산소가 공급되고, 추가로 제2 분기관(315)을 통해 혐기 폭기조 및 호기조들로 산소가 더 공급되되, 상기 제1 분기관(314)은 산기관(316)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분기관(315)은 혐기 폭기조 및 호기조들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특히, 상기 제2 분기관(315)은 혐기 폭기조 및 호기조들의 원뿔형태의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제1 분기관(314)이 혐기 폭기조 및 호기조들 내로 산소공급을 제대로 못할 경우를 대비한 예비용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적은 양의 산소를 슬러지에 공급함으로써 하단부에 쌓인 슬러지가 과도하게 굳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슬러지 배출관(390,375)으로 슬러지가 원할하게 흘러가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314,315)에는 제1 공기 조절밸브(311) 및 제2 공기 조절밸브(317)가 각각 설치되어 혐기 폭기조 및 호기조들로 공급되는 산소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공기 조절밸브(311,317) 및 산소 공급기(313) 사이의 산소 공급관(310) 상에 공기 히터(312)가 더 설치된다. 상기 공기 히터(312)는 폭기조 및 호기조 내의 미생물이 잘 번식하고 생존할 수 있도록 산소의 적정 온도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More specifically, oxygen is supplied to the first to third aeration tanks through each of the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400)는, 2개의 침전조(410,430), 고도처리조(440) 및 방류 저장조(460)가 연이어 배치되어 서로 간에 배관 연결된다. 상기 2개의 침전조(410,430) 및 고도처리조(440)를 통해 정화된 오폐수가 상기 방류 저장조(460)에 일시 저장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In the settling / altitude treatment tank set 400, two settling
상기 2개의 침전조(410,430)는 제1 침전조(410) 및 제2 침전조(430)로 이루어 지는데, 상기 제1 및 제2 침전조(410,430)는 침전조 이송관(420)을 통해 상부가 연결되며, 상기 고도처리조(440)는, 상기 제2 침전조(430)의 상부 일측에서 고도처리조(440) 하단 일측으로 연장되는 역세척관(470)을 통해 제2 침전조(430)와 연결되며, 또한, 고도처리조(440)는 상부 일측의 방류 이송관(450)을 통해 방류 저장조(460)의 상부와 연결된다. 상기 방류 저장조에는 정화된 오폐수가 일시 저장되는 곳으로, 정화된 오폐수가 방류 저장조에서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The two settling
제1 침전조(410)에는 일측 상부에 오버플로우관(411)이 구성되어 3차 슬러지 배출관(111)과 연결되고, 제2 침전조(430)는 제2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12)를 통해 3차 슬러지 배출관(111)과 연결되고, 고도처리조(440)는 역세척관(47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13)을 통해 3차 슬러지 배출관(111)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침전조(410)는 하단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80)을 통해 제2 침전조(43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12)으로 더 연결되어 3차 슬러지 배출관(111)과 연결된다. The
상기 제1 침전조(410) 및 제2 침전조(430)는 침전 폭기조 셋트(300)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오폐수를 일정 기간동안 저장하여 미세 고형물질을 침전시키고, 상기 미세 고형물질은 상기 제1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80) 및 제2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12)을 통해서 3차 슬러지 배출관(111)으로 흘러 간다.The
또한, 제1 침전조(410) 내의 오폐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1 침전조(410) 내에 소정 량 이상으로 오폐수가 저장될 경우, 상기 오버플로우관(411)을 통해 오폐수가 3차 슬러지 배출관(111)으로 흘러 간다. 미세 고형물질이 상기 배관들을 통해 3차 슬러지 배출관(111)으로 흘러가서 최종적으로 2차 고/액 분리기(120)로 이동하게 된다. 미세 고형물질이 제거된 오폐수는 제1 침전조(410)의 상부 일측의 침전조 이송관(420)을 통해 제2 침전조(430)로 흘러가고, 상기 제2 침전조(430)에서 재차 미세 고형물질이 제거된 오폐수가 역세척관(470)을 통해 고도처리조(440)로 흘러가게 된다. When wastewater is stored in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in the
고도 처리조(440)의 내부에는 왕자갈 및 콩자갈(441), 왕사 및 중사(442), 활성탄(443), 왕사(444)가 차례로 적층되게 구성되는데, 고도처리조의 하부로부터 왕자갈 및 콩자갈(441), 왕사 및 중사(442), 활성탄(443) 및 왕사(444)가 적층된다. 상기 고도 처리조(440)는 상기 제2 침전조(430)로부터 유입된 오폐수 내의 미세 오염입자를 정화 처리하는데, 상기 제2 침전조(430)의 상부로부터의 오폐수가 역세척관(470)을 통해 고도처리조(440)의 하단으로 흘러 들어가, 고도처리조(440) 내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오폐수가 이동하면서 오폐수 내의 미세 오염입자가 정화된 후, 정화된 물이 방류 이송관(450)을 통해 방류 저장조(460)로 흘러가서 최종적으로 수질 기준에 적합하게 정화된 물이 방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방류된다. In the interior of the
상기와 같이, 제2 침전조(430)의 상부로부터 고도처리조(440)의 하단으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오폐수가 고도처리조(440)에 머무르는 시간을 길게하여 오폐수 정화 효과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또한 재료 간의 공극이 큰 왕자갈 및 콩자갈(441), 왕사 및 중사(442), 활성탄(443), 왕사(444)를 차례로 적층하는 것은 오폐수의 미세 오염입자의 원할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고도처리 재료를 위치시 재료 간의 공극이 작은 재료가 하부에 있게 되면 미세 오염입자가 작은 공극 사이에 쉽게 끼이게되어 오폐수가 상부로 이동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재료 간의 공극이 큰 재료를 하부에 위치시킴으로써 고도처리조 내부 세척시 역세척을 가능케하여 고도처리조의 수명도 연장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stewater flows into the lower end of the
상기와 같이 침전조들(410,430)에서 미세 고형물질이 제거된 오폐수가 역세척관(470)을 통해 제2 침전조(430)로부터 고도처리조(440)로 흘러가서, 고도처리조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하면서 고조처리된 후, 방류 이송관(450)을 통해 방류 저장조(460)로 흘러가서 방류 저장조에서 일시 저장된 후 방류관을 통해 외부로 방류된다. 상기 제1 침전조(410)의 제1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80) 상에는 밸브(481)가 설치되고, 또한 제2 침전조(430)의 제2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12) 상에도 밸브(483)가 설치되는데, 상기 밸브들(481,483)은 미세 고형물질의 슬러지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들이다. 또한 제2 침전조(430)의 하단에 인접하게 하나의 밸브(482)가 더 설치된다. 상기 밸브들(481,482,483)은 슬러지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밸브들 중 도면부호 481 및 482의 밸브는 수동밸브이며, 도면부호 483은 자동밸브이다. 상기 자동밸브가 일반적으로 슬러지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며, 자동밸브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수동밸브가 대안적으로 사용된다. The wastewater from which the fine solid material has been removed from the settling
일반적으로 제1 침전조(410) 및 제2 침전조(430)에 침전된 미세 고형물질을 제2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12)으로 흘러가게 할 경우, 상기 밸브들 중 481, 482 및 483 밸브를 개방하여 미세 고형물질을 제2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12)을 통해 3차 슬러지 배출관(111)으로 흘러가게 한다. 제2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12)으로 미세 고형물질을 흘러가게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밸브들(481,482,483)를 모두 폐쇄한다. 통상적인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 수동밸브들은 개방 상태로 유지되고, 자동밸브의 개폐로 슬러지의 흐름을 조절한다. Generally, when fine solids precipitated in the
또한, 상기 제3 침전조 배출관(413) 상에도 밸브들(471,472)이 설치된다. 상기 밸브들이 개폐되어 제2 침전조(430)로부터 오폐수를 고도처리조(440)로 흘러가게 하는데, 고도처리조(440)의 오폐수 처리 용량이 초과되는 경우 밸브들(471,472)를 개방하여 일부 미세 고형물질이 함유된 오폐수를 제3 침전조 배출관(413)을 통해 3차 슬러지 배출관(111)으로 흘러가게 한다. 제3 침전조 배출관(413) 상에 2개의 밸브들(471.472)을 설치하는 것은 하나의 밸브가 원할히 작동되지 않거나 작동 불능 상태가 될 경우를 나머지 하나의 밸브로서 미세 고형물질 함유 오폐수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도 도면부호 471은 수동밸브이며, 도면부호 472는 자동밸브로 구성되는데, 통상적으로 자동밸브로서 미세 고형물질 함유 오폐수의 흐름을 조절한다. 다른 수동밸브는 자동밸브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것이다. In addition,
본 발명은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100), 폐수 유량 조정조(200), 침전 폭기조 셋트(300) 및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400)로 오폐수를 흘러가게 하고 또한 순환시키면서 오폐수에 함유된 고형물질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궁극적으로 방류수 기준에 부합하는 정화 처리된 물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정화 처리시스템인데, 이와같은 정화 처리시스템에서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의 1차 고/액 분리기(130), 혼합조(140) 및 저장조(160)는 지중에 설치되며, 그 이외의 2차 고/액 분리기(120)는 지상에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서 보여지듯이, 폐수 유량 조정조(200), 침전 폭기조 셋트(300) 및 침전 고도처리조 셋트(400)는 각각 차례로 단차지게 설치되어, 오폐수가 자연적 흐름에 의해 상기 장치들을 흘러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tewater flows and circulates in the high / liquid separation /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폐수로부터의 고형물질을 퇴비 등으로 비료화 할 수 있으며, 이후 남겨진 오폐수는 후속 처리장치를 통해 2차로 정화 처리하여 오폐수 방류 기준에 부합되게하여 수질 개선 및 악취 발생을 차단하여 대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유기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서 최종 방류수의 색상을 연갈색에서 투명한 색으로 개선할 수 있고, 또한 질소 및 탄소의 제거 효율을 20%이상 개선할 수 있으며, 침전 폭기조 셋트가 전도된 원뿔형태의 완전 배출형으로 이루어지기에 침전된 슬러지를 99%이상 배출할 수 있어 폭기조 및 호기조 내부의 슬러지로 인한 오염도를 5%이하로 낮출수 있는 잇점을 지닌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fertilize solid matter from wastewater by compost or the like, and the wastewater that is left thereafter is subjected to a second purification treatment through a subsequent treatment device to meet the wastewater discharge standard, Air pollution can be prevent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the organic material, thereby improving the color of the final discharge water from the light brown color to the transparent color, and further improv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nitrogen and carbon by 20% or more. It is possible to discharge more than 99% of settled sludge, and it is possible to lower the pollution degree due to sludge in the aeration tank and aerobic tank to less than 5%.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 110.2차 슬러지 배출
120.2차 고/액 분리기 130.1차 고/액 분리기
140.혼합조 160.저장조
200.폐수 유량 조정조 300.침전 폭기조 셋트
316.산기관 360.담체
370.제1 호기조 371.제2 호기조
372.제3 호기조 380.혐기 폭기조
400.침전/고도 처리조 셋트 410.제1 침전조
430.제2 침전조 440.고도처리조
460.방류저장조100. High / Liquid separation mixed storage set 110.2 Primary sludge discharge
120.2 Heater / Liquid Separator 130.1 Heater / Liquid Separator
140.
200. Waste Water
316.
370. No. 1 Aircraft No. 371. No. 2 Aircraft
372. No. 3
400. Settling / altitude treatment set 410. First settling tank
430.
460. Discharge reservoir
Claims (12)
상기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은,
착유실로부터 차례로 배치되어 서로 배관으로 연결된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100); 폐수 유량 조정조(200); 침전 폭기조 셋트(300); 및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400)를 포함하는데,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100)는 착유실에서 발생한 오폐수가 최초 유입되며,
폐수 유량 조정조(200)는,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의 상측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와 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액 분리 혼합조 저장조 셋트(100)에서 걸러진 고형물질 이외의 오폐수가 펌핑 유입되어 일시 저장하고,
침전 폭기조 셋트(300)는, 상기 폐수 유량 조정조(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관으로 폐수 유량 조정조와 연결되어 폐수 유량 조정조로부터의 오폐수가 유입되며, 오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을 제거하며,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400)는, 상기 침전 폭기조 셋트(300)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침전 폭기조 셋트와 배관 연결되어 침전 폭기조 셋트로부터 유기물이 제거된 오폐수가 유입되고,
오폐수가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 폐수 유량 조정조, 침전 폭기조 셋트 및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정화 처리되어 방류수 기준에 부합하는 정화된 방류수가 배출되며, 폐수 유량 조정조, 침전 폭기조 셋트 및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는 차례로 단차지게 설치되며,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100)는, 착유실로부터 오폐수가 유입되어 오폐수에 함유된 고형물질이 걸러지는 1차 고/액 분리기(130), 상기 1차 고/액 분리기(130)가 내부 일측의 구획부에 설치되며, 1차 고/액 분리기에서 걸러진 고형물질 이외의 오폐수가 유입되는 혼합조(140), 및 상기 혼합조와 인접하여 혼합조와 배관 연결되며, 상기 혼합조의 오폐수가 유입되는 저장조(160)를 포함하며, 1차 고/액 분리기(130) 및 혼합조(140)의 일측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1차 고/액 분리기(130) 및 혼합조(140)와 배관 연결되는 2차 고/액 분리기(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1차 고/액 분리기, 혼합조 및 저장조는 지중에 위치되며 2차 고/액 분리기는 지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
A purification system for purifying wastewater generated in a milking chamber,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omprises:
A liquid / liquid separation / mixing storage set (100) arranged in order from a milking room and connected to each other by piping; A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tank 200; A settling aeration tank set 300; And a settling / altitude treatment set 400,
The wastewater generated in the milking chamber is initially introduced into the high / liquid separation / mixing storage set 100,
The wastewater flow rate adjustment tank 20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high / liquid separation / mixing / storage tank set and connected to the high / liquid separation / mixing / storage tank set by piping, Waste water other than the filtered solid material is pumped in and temporarily stored,
The settling aeration tank set 30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tank 200 and is connected to the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tank through a pipe to introduce wastewater from the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tank,
The settling / altitude treatment bath set 400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settling aeration basin set 300 and is connected to the settling aeration basin set and connected to the settling aeration basin set 400,
The wastewater is purified while sequentially moving the high / liquid separation mixed storage set, the wastewater flow rate adjusting tank, the settling aeration tank set, and the settling / altitude treatment tank set, and the purified water discharged in accordance with the discharged water standard is discharged. The aeration tank set and the settling / altitude treatment tank set are installed step by step,
Liquid separator 130 includes a first solid / liquid separator 130 in which wastewater flows into the milking chamber and solid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re filtered, a first solid / liquid separator 130, A mixing tank 140 installed in one of the compartments for introducing wastewater other than solid matter filtered by the primary solid / liquid separator, and a mixing tank 140 connected to the mixing tank and adjacent to the mixing tank, Liquid separator 130 and the mixing tank 140. The first high-liquid separator 130 and the mixing tank 1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pe 2 connected to the primary high-liquid separator 130 and the mixing tank 140, Liquid separator 120, wherein the primary solid / liquid separator, mixing tank, and reservoir are located in the ground and the secondary solid / liquid separator is located on the ground. Processing system.
상기 폐수 유량 조정조(200)는 폐수 배출 조정 탱크(210)인데, 일측 상부의 오버플로우관(220)을 통해 혼합조(140)와 연결되며, 타측 중간부에 구성되어 저장조(160)로부터의 고형물질이 제거된 오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관(230)을 통해 저장조(160)와 연결되고, 상기 폐수유입관(230)의 하부에 구성된 폐수배출관(233)을 통해 침전 폭기조 셋트(300)와 연결되며, 오폐수의 일정한 유량을 유지하기 위해 소정 이상의 유량은 오버플로우관(220)을 통해 혼합조(140)로 흘러 들어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astewater flow rate adjustment tank 200 is connected to the mixing tank 140 through an overflow pipe 220 at an upper side of the upper side and is disposed at the other middle portion of the wastewater discharge adjustment tank 210, The wastewater outlet pipe 233 connected to the reservoir 160 through the wastewater inlet pipe 230 into which the wastewater from which the material has been removed flows and connected to the settling aeration augmentor set 300 through the wastewater outlet pipe 233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wastewater inlet pipe 230 And the predetermined amount of flow is supplied to the mixing chamber (140) through the overflow pipe (220)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flow rate of the wastewater.
상기 침전 폭기조 셋트(300)는, 혐기 폭기조(380) 및 상기 혐기 폭기조의 일측에 구성되며, 상기 혐기 폭기조와 배관 연결되는 3개의 호기조들(370,371,372)을 포함하며, 최종 호기조(372)는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400)와 배관 연결되는데, 상기 혐기 폭기조(380) 내에는 미생물 담체(360)가 혐기 폭기조의 중간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담체의 내부 상단에 산기관(316)이 설치되며, 하단에는 슬러지 배출관(390)이 구성되어 3차 슬러지 배출관(111)으로 연결되며, 상기 3차 슬러지 배출관(111)은 2차 고/액 분리기(120)기 상부와 연결되어, 혐기 폭기조의 하단에 쌓이는 슬러지가 2차 고/액 분리기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ttling and aeration tank set 300 includes an anaerobic aeration tank 380 and three aerobic tanks 370, 371 and 372 connected to the anaerobic aeration tank on one side of the anaerobic aeration tank, The anaerobic aeration tank (380) includes a microorganism support (360) extending from an intermediate portion to a lower end portion of the anaerobic aeration tank, and an oxidant pipe (316) And a sludge discharge pipe 390 is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and is connected to a third sludge discharge pipe 111. The third sludge discharge pipe 111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olid / liquid separator 120, And the sludge accumulated at the lower end of the aeration tank flows into the secondary solid / liquid separator.
상기 혐기 폭기조(380)는 일측 상부의 혐기호기 배출관(320)을 통해 제1 호기조(370)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호기조(370)는 호기조 배출관(330)을 통해 제2 호기조(371)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호기조(371)는 호기조 배출관(340)을 통해 제3 호기조(372)와 연결되고, 제3 호기조(372)는 침전조 배출관(350)을 통해 침전/고도처리조 셋트(400)의 제1 침전조(410)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호기조 내지 제3 호기조 내에는 담체(360)가 중간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구성되고, 상기 담체의 내부 상단에 산기관(316)이 설치되고, 상기 호기조들의 하단에는 슬러지 배출관(375)이 각각 구성되어, 상기 슬러지 배출관(375)은 3차 슬러지 배출관(111)과 연결되며, 상기 3차 슬러지 배출관은 2차 고/액 분리기(120)기 상부와 연결되어 호기조들의 하단에 쌓이는 슬러지가 2차 고/액 분리기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naerobic aeration tank 380 is connected to the first aeration tank 370 through an upper anaerobic discharge pipe 320. The first aeration tank 370 is connected to the second aerobic tank 371 through the ox- The second aquisition tank 371 is connected to the third aeration tank 372 through the oxic tank discharge pipe 340 and the third aeration tank 372 is connected to the sedimentation / And a carrier 36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ttling tank 410 of the first to third aeration tanks, and the carrier 360 is extended from an intermediate portion to a lower end in the first to third aeration tanks, The sludge discharge pipe 375 is connected to the third sludge discharge pipe 111 and the third sludge discharge pipe is connected to the second sludge discharge pipe 120. The sludge discharge pipe 375 is connected to the second sludge discharge pipe 111, And the sludge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aerators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erobic tank, Parlors waste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s, characterized in that thin.
상기 산기관(316)은 산소 공급관(310)을 통해 산소 공급기(313)와 연결되어, 산소 공급기로부터의 산소를 혐기 폭기조(380) 및 제1 내지 제3 호기조들(370,371,372)로 공급하는데, 상기 산소 공급관에서 분기된 각각의 제1 분기관(314)을 통해 상기 제1 내지 제3 호기조들로 산소가 공급되고, 추가로 제2 분기관(315)을 통해 혐기 폭기조 및 호기조들로 산소가 더 공급되되, 상기 제1 분기관(314)은 산기관(316)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 분기관(315)은 혐기 폭기조 및 호기조들의 하단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분기관에는 제1 공기 조절밸브(311) 및 제2 공기 조절밸브(317)가 각각 설치되어 혐기 폭기조 및 호기조들로 공급되는 산소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공기 조절밸브들 및 산소 공급기(313) 사이의 산소 공급관(310) 상에 공기 히터(31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oxygen pipe 316 is connected to the oxygen supplier 313 through the oxygen supply pipe 310 to supply oxygen from the oxygen supplier to the anaerobic aeration tank 380 and the first to third aeration tanks 370, 371, Oxygen is supplied to the first to third aeration tanks through each first branch tube 314 branched from the oxygen supply tube and oxygen is further supplied to the anaerobic aeration tank and aerobic tank through the second branch tube 315 Wherein the first branch pipe (314) is connected to the aeration pipe (316), the second branch pipe (315) extends to the lower end of the anaerobic aeration tank and the aerobic tank, and the first and second branch pipes An air control valve 311 and a second air control valve 317 are provided to regulate the amount of oxygen supplied to the anaerobic aeration tank and the oxic tank and an oxygen supply pipe between the air control valves and the oxygen supply 313 310)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heater (312) Liquid waste water purification system.
상기 담체는 스테인레스 스틸의 장방형체 프레임에 PE 또는 나일론의 격자망이 부착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담체는 복수개의 장방형체 프레임이 적층되어 구성되며, 적층된 담체의 내부 중앙부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의 상측에 산기관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upport is constructed by attaching a mesh of PE or nylon to a rectangular frame of stainless steel. The support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rectangular frames,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tacked support, And an air diffusing pipe is located above the space.
상기 혐기 폭기조 및 호기조들의 하단부는 아래로 점점 뾰족해지는 전도된 원뿔형태로 구성되어, 혐기 폭기조 및 호기조들 내의 하단에 슬러지가 용이하게 쌓여지고, 쌓여진 슬러지가 슬러지 배출관을 통해 3차 슬러지 배출관(111)을 거쳐서 2차 고/액 분리기(120)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lower end of the anaerobic aeration tank and the aerobic tank are formed in the form of a cone having a gradually decreasing point so that the sludge is easily accumulated at the lower end of the anaerobic aeration tank and the aerobic tank, and the accumulated sludge is discharged to the tertiary sludge discharge pipe 111 through the sludge discharge pipe. Liquid separator (120) through the second high-liquid separator (120).
상기 고/액 분리 혼합 저장조 셋트(100)의 1차 고/액 분리기(130)는 일측 상부에 구성된 오폐수 유입관(132)으로 착유실의 오폐수 유입원과 연결되며,
1차 고/액 분리기(130)가 내부 일측에 설치된 혼합조(140)의 타측에는 거름망(141), 혼합조 오버플로우관(150) 및 혼합조 배출관(151)이 구성되어 상기 혼합조 오버플로우관 및 혼합조 배출관을 통해 저장조(160)와 연결되고, 상부에 구성된 혼합조 슬러지 배출관(180)을 통해 2차 고/액 분리기(120)와 더 연결되고,
2차 고/액 분리기(120)는 일측에 구성된 2차 고/액 분리기 배출관(122) 및 2차 고/액 분리기 오버플로우관(121)으로 각각 1차 고/액 분리기(130) 및 혼합조(140)와 연결되며,
저장조(160)는 상부가 서로 연통하는 3개의 구획부로 형성되며, 상기 3개의 구획부 중 첫번째 구획부에 구성된 저장조 슬러지 배출관(170)을 통해 2차 고/액 분리기(120)와 연결되며, 3개의 구획부 중 세번째 구획부에 구성된 폐수유입관(230)을 통해 폐수 유량 조정조(200)와 연결되며,
상기 혼합조 슬러지 배출관(180) 및 저장조 슬러지 배출관(170)의 하단에는 각각 혼합조 펌프(181) 및 저장조 제1 펌프(171)가 설치되며, 폐수유입관(230)의 하단에는 저장조 제2 펌프(234)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imary high-liquid separator 130 of the high-liquid separation and mixing storage set 100 is connected to the wastewater inflow source of the milking chamber through the wastewater inflow pipe 132 formed at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igh-
A mixing tank overflow pipe 150 and a mixing tank discharge pipe 151 ar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xing tank 140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olid / liquid separator 130, Liquid separator 120 through the mixing tank sludge discharge pipe 180 formed at the upper part and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160 through the pipe and the mixing tank discharge pipe,
Liquid separator 120 and the second high-liquid separator overflow pipe 121 constituted on one side are connected to the first high-liquid separator 130 and the second high- (Not shown)
The reservoir 160 is formed of three compartments in which the upper portion communicates with each other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olid / liquid separator 120 through a reservoir sludge discharge pipe 170 formed in the first of the three compartments, And is connected to the wastewater flow rate regulator 200 through a wastewater inlet pipe 230 formed in a third of the three compartments,
A mixing tank pump 181 and a storage tank first pump 171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s of the mixing tank sludge discharge pipe 180 and the storage tank sludge discharge pipe 170, respectively. At the lower end of the waste water inflow pipe 230, (234) is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milking room wastewater treatment system.
침전/고도 처리조 셋트(400)는, 2개의 침전조(410,430), 고도처리조(440) 및 방류 저장조(460)가 연이어 배치되어 서로 간에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2개의 침전조(410,430)는 제1 침전조(410) 및 제2 침전조(430)로 구성되며, 각 침전조는 침전조 이송관(420)을 통해 상부가 연결되며, 상기 고도처리조(440)는 상기 제2 침전조(430)의 상부 일측에서 고도처리조(440) 하단 일측으로 연장되는 역세척관(470)을 통해 제2 침전조(430)와 연결되며, 고도처리조(440)는 상부에 구성된 방류 이송관(450)을 통해 방류 저장조(460)의 상부와 연결되는데, 상기 방류 저장조에서 정화된 오폐수가 일시 저장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ttling / altitude treatment tank set 400, two settling tanks 410 and 430, an altitude treatment tank 440 and a discharge tank 460 are connected in series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piping, and the two settling tanks 410 and 430 The first settling tank 410 and the second settling tank 4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settling tank transfer pipe 420 and the advanced treatment tank 440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settling tank 430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settling tank 430 through a backwash pipe 470 extending from one side to the lower end of the advanced treatment tank 440. The advanced treatment tank 440 discharges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tank (460), and the wastewater purified in the discharge storage tank is temporarily stor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제1 침전조(410)에는 오버플로우관(411)이 구성되는데, 상기 제1 침전조는 상기 오버플로우관을 통해 2차 고/액 분리기(120) 상부와 연결되는 3차 슬러지 배출관(111)과 연결되며, 제2 침전조(430)는 제2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12)를 통해 상기 3차 슬러지 배출관(111)과 연결되고, 고도처리조(440)는 역세척관(470)으로부터 연장되는 제3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13)을 통해 상기 3차 슬러지 배출관(111)과 연결되는데, 상기 제1 침전조(410)는 하단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80)을 통해 제2 침전조(43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침전조 슬러지 배출관(412)으로 더 연결되어 상기 3차 슬러지 배출관(111)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settling tank 410 includes an overflow pipe 411. The first settling tank is connected to a third sludge discharge pipe 111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olid / liquid separator 120 through the overflow pipe, The second settling tank 430 is connected to the third sludge discharge pipe 111 through a second settling tank sludge discharge pipe 412 and the advanced treatment tank 440 is connected to the third settling tank 440 extending from the backwash pipe 470, The first settling tank 410 is connected to the third sludge discharge pipe 111 through a sludge discharge pipe 413 through a first settler sludge discharge pipe 480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second settling tank 430, And connected to the third sludge discharge pipe (111) by a second settling tank sludge discharge pipe (412) extending from the third sludge discharge pipe (111).
고도처리조(440)의 내부에는 왕자갈 및 콩자갈(441), 왕사 및 중사(442), 활성탄(443), 왕사(444)가 차례로 적층되게 구성되는데, 고도처리조의 하부로부터 왕자갈 및 콩자갈(441), 왕사 및 중사(442), 활성탄(443) 및 왕사(444)가 적층되며, 상기 제2 침전조(430)로부터 유입된 오폐수 내의 미세 오염입자를 정화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유실 오폐수 정화 처리시스템.
11. The method of claim 10,
In the interior of the advanced treatment tank 440, a prince's garbage and pebble gravel 441, a dragonfly and a dragonfly 442, an activated carbon 443 and a dragon 444 are stacked in this order. The method of purifying micro-contaminated particles in wastewater introduced from the second settling tank (4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avel (441), the yarn yarns and yarns (442), the activated carbon (443)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8211A KR101924499B1 (en) | 2017-02-09 | 2017-02-09 |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of milking parl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18211A KR101924499B1 (en) | 2017-02-09 | 2017-02-09 |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of milking parl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2485A KR20180092485A (en) | 2018-08-20 |
KR101924499B1 true KR101924499B1 (en) | 2018-12-03 |
Family
ID=63443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18211A Expired - Fee Related KR101924499B1 (en) | 2017-02-09 | 2017-02-09 |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of milking parl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449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4803B1 (en) * | 2019-12-24 | 2021-12-31 | 박성열 | Purifying system of excretions and purifying method of excretions using the same |
CN116425330A (en) * | 2021-12-31 | 2023-07-14 | 衢州市虹华印染有限公司 | Printing and dyeing sewage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method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1132B1 (en) * | 1999-07-05 | 2002-04-01 | 황경욱 | Pig excretion disposal device |
KR100442933B1 (en) * | 2002-02-20 | 2004-08-02 | 서희동 | Treatment method for high concentrated organic wastewater |
KR100784933B1 (en) * | 2006-12-08 | 2007-12-11 | 주식회사 바이오엔텍 | Organic and Nitrogen Treatment Equipment for High Concentration Organic Wastewater |
-
2017
- 2017-02-09 KR KR1020170018211A patent/KR10192449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1132B1 (en) * | 1999-07-05 | 2002-04-01 | 황경욱 | Pig excretion disposal device |
KR100442933B1 (en) * | 2002-02-20 | 2004-08-02 | 서희동 | Treatment method for high concentrated organic wastewater |
KR100784933B1 (en) * | 2006-12-08 | 2007-12-11 | 주식회사 바이오엔텍 | Organic and Nitrogen Treatment Equipment for High Concentration Organic Wastewa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2485A (en) | 2018-08-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20677B (en) | Biological response system for multistage sewage treatment as well as manufacturing method and sewage treatment method | |
CN105254127B (en) | The micro- aeration composite artificial marsh sewage treatment system of self-cleaning type | |
CN111875182A (en) | Micro-polluted water treatment system | |
DE102009044208B4 (en) | Process and reactor for the treatment of water | |
CN1440940A (en) | Combined sewage purifying treatment method | |
KR101924499B1 (en) |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of milking parlor | |
KR100624556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urification of river water, lake water or runoff that combines modular wetland infrastructure and modular catalytic oxidation and filtration | |
KR101037888B1 (en) | Sedimentation, Biological Decomposition, Filtration, Phosphorus Removal, UV Disinfection | |
KR101048673B1 (en) | External circulating anaerobic digester | |
CN106103355A (en) | Biofiltration in conjunction with centrifugal action | |
CN113651426B (en) | Ecological device and method for sewage treatment | |
KR101924498B1 (en) |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of milking parlor | |
CN114920422A (en) | A modular biological filter | |
CN206828326U (en) | Septic tank+A30 processing units | |
EA027583B1 (en) | Device for biological treatment and post-treatment of wastewater and method of biological treatment and post-treatment of wastewater | |
CN107082528B (en) | Advanced treatment process for livestock and poultry breeding wastewater | |
CN206828203U (en) | Septic tank+A202 processing units | |
CN115135836A (en) | Sewage treatment system | |
NO342658B1 (en) | Method and reactor to alternate between stationary bed and moving bed for treatment of water, without changing the water level in the reactor | |
CN213141749U (en) | Pretreatment tank and water body treatment system using same | |
KR100569704B1 (en) | External Circulation Anaerobic Digestion System Using Biogas Lifting | |
KR102182069B1 (en) | Bio-film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bined with vegetation | |
CN105347467B (en) | A kind of fixed bed partly fluidizes aerating biological filter sewage processing system | |
KR20020086137A (en) | nature equilibrium vertical flow type artificial swamp system for purging contaminate matter away contaminated water | |
KR200357625Y1 (en) | sewage disposal apparatus for nature frendly contact-rot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