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4476B1 - 가전기기 및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및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476B1
KR101924476B1 KR1020130001766A KR20130001766A KR101924476B1 KR 101924476 B1 KR101924476 B1 KR 101924476B1 KR 1020130001766 A KR1020130001766 A KR 1020130001766A KR 20130001766 A KR20130001766 A KR 20130001766A KR 101924476 B1 KR101924476 B1 KR 101924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formation
external device
displayed
scre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1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9843A (ko
Inventor
김양환
최종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01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476B1/ko
Priority to CN201410006928.0A priority patent/CN103914272B/zh
Priority to US14/149,456 priority patent/US20140191856A1/en
Publication of KR20140089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9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4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가전기기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 상기 외부 기기 중에서 상기 통신수단과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 및 이동 단말기{Home appliance and mobile device}
본 발명은 가전기기 및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기기는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는 자신의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할 뿐 외부의 다른 가전기기의 정보를 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80084호에는, 원격 제어기에서 가전기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상이 개시된다. 그런데, 상기 문헌의 경우, 원격 제어기 외의 가전기기 자체에서는 외부의 다른 가전기기의 정보를 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문헌의 경우, 원격 제어기의 표시부에서 제어대상 컴포넌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부가 개시되나, 이는 선택부 자체가 디폴트(default)로 표시되는 것으로 해당 화면에서 제어대상 컴포넌트와의 통신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없고, 제어대상 컴포넌트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선택부를 선택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목적은,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가전기기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가전기기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 상기 외부 기기 중에서 상기 통신수단과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 상기 외부 기기 중에서 상기 통신수단과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단일의 화면에 통신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의 표시정보 뿐만 아니라 상태 정보가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전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표시부의 화면에서 상태 변경을 알리기 위한 알림정보가 표시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의 화면에서 특정 표시 프레임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에서 특정 표시 프레임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표시부의 화면에서 특정 표시 프레임을 일정 시간 터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서 특정 표시 프레임이 일정 시간 터치된 경우에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제1표시 프레임이 삭제된 후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표시부에 표시된 표시 프레임의 위치가 변경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통신 연결 해제되거나 통신 연결 불능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일 예로 가정 내에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다수의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전기기는, 일 예로, 냉장고(11), 세탁기(12), 에어컨(13), 건조기(14), 조리기기(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어느 한 가전기기는, 하나 이상의 다른 가전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가전기기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이동 단말기(16)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6)는 일 예로 스마트 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가전기기 중 하나 이상은 에너지 관리부(2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에너지 관리부(20)는, 별도의 기기이거나, 상기 다수의 가전기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가전기기 중 하나 이상 또는 상기 에너지 관리부(20)는 에너지를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 측정부(25)와 통신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에너지 관리부 또는 에너지 측정부는 생략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전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이하에서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위한 가전기기로서, 일 예로, 냉장고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냉장고에 대한 설명은 다른 가전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1)는, 외부의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수단(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수단(33)에 의한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및 인터넷(internet)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통신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냉장고(11)는, 소정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32)와, 자신의 구동정보 또는 상기 통신수단(33)으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1)와, 적어도 상기 표시부(31)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냉장고(11)의 전체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는, 별도의 제어부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냉장고(11)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표시부(31)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표시부(31)가 터치 방식에 의해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32)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표시부(31)에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32)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표시부(31)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가전기기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1)의 표시부(31)에서는, 통신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의 가전기기(이하 "외부 기기"라 함)의 정보를 표시하는 화면(100)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화면(100)은 상기 냉장고(11)의 온(ON) 시 표시되는 메인 화면이거나, 별도의 메인 화면에서 특정 버튼을 선택하면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일 수 있다.
상기 화면(100)은, 둘 이상의 표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표시부(31)는 구분된 표시영역 각각에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화면(100)은, 왼쪽 상단의 제1표시영역과, 제1표시영역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표시영역과, 상기 제1표시영역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3표시영역과, 상기 제2표시영역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4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표시영역에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예로 상기 화면(100)에는 4개의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하나의 화면(100)에서 표시될 수 있는 표시 프레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만약, 상기 냉장고(11)와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개수가 상기 화면(100)에서 표시될 수 있는 표시 프레임의 개수 보다 많은 경우에는 상기 화면(100)에는 화면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롤, 좌우 이동 버튼, 또는 상하 이동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면(100)를 좌우로 슬라이딩하거나 상하 슬라이딩하면 화면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은 각각 일 예로 사각형 형태일 수 있으나, 표시 형상에는 제한이 없을 밝혀둔다.
상기 각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은 서로 다른 외부 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표시 프레임(101)에는 냉장고 자체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제2표시 프레임(102)에는 오븐의 정보, 제3표시 프레임(103)에는 세탁기의 정보, 및 제4표시 프레임(104)에는 건조기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에는 동종의 기기의 정보도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정 내에 두 개의 냉장고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기준 냉장고 외의 추가 냉장고의 정보도 상기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31)는, 상기 각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에 상기 외부 기기의 표시정보(111, 112)와 상태 정보(113)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의 표시정보(111, 112)는, 외부 기기의 명칭(111) 또는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112)일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113)는, 가전기기의 종류 마다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전기기가 냉장고인 경우에는, 상기 상태 정보(113)는, 냉장고의 작동 여부(온/오프 여부), 저장실에 보관된 식품수, 전체 보관 식품수 대비 유통기한 지난 식품 보관수, 저장된 식품의 상태 또는 종류, 추천 요리, 제상 여부, 도어 열림 여부, 고장 여부, 작동을 위한 목표 온도 또는 습도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가 오븐인 경우에는, 상기 상태 정보(113)는, 오븐의 작동 여부(온/오프 여부), 요리 또는 대기 중인지 여부, 잔여 작동 시간, 도어 열림 정보, 고장 여부, 추천 요리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가 세탁기나 건조기인 경우에는, 상기 상태 정보(113)는, 작동 여부(온/오프 여부), 도어 열림 정보, 현재 작동 코스, 잔여 작동 시간, 작동을 위한 목표 온도 또는 습도, 고장 여부, 추천 코스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가 로봇 청소기인 경우에는, 상기 상태 정보(113)는, 작동 여부(온/오프 여부), 현재의 작동 모드, 충전 여부, 배터린 잔량, 고장 여부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가 텔레비전인 경우에는, 작동 여부(온/오프 여부), 시청 여부, 현재 채널, 볼륨, 프로그램명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가 공기조화기인 경우, 작동 여부, 현재 작동 코스, 작동을 위한 목표 온도 또는 습도, 잔여 작동 시간, 누적 작동 시간, 도어 열림 정보, 고장 여부, 등록 여부, 추천 온도, 추전 모드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전기기가 조명인 경우에는, 전원 온된 조명의 개수와 전원 오프된 조명의 개수 또는 전원 온된 조명의 밝기 정보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상기 상태 정보(113)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가전기기의 상태 정보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라면 정보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상태 정보(113)는, 텍스트 정보 외에 그래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정보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정보는, 그래프, 선, 도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단일의 화면에 통신 연결된 하나 이상의 외부 기기의 표시정보 뿐만 아니라 상태 정보가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표시부의 화면에서 상태 변경을 알리기 위한 알림정보가 표시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11)에서 표시되는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 중에서 특정 외부 기기의 상태가 변경되면, 해당 외부 기기에 대응하는 표시 프레임에는 상태 변경을 알리기 위한 알림정보(114)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가 세탁기인 경우, 세탁기의 도어의 열림이 감지되면, 상기 제3표시 프레임(103)에 알림정보(114)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알림정보(114)는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에 추가로 표시되는 아이콘 또는 기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알림정보(114)는 상기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의 아이콘(112)과 오버랩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에서 상태 정보(113)는 알림정보에 대응하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문열림"과 같은 문자가 상기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알림정보(114)는 알림을 위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색상이나, 형상, 크기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열림을 알리기 위한 알림정보(114)는 노란색일 수 있고, 고장을 알리기 위한 알림정보(114)는 빨간색일 수 있다.
상기 알림정보(114)는 사용자가 해당 알림정보(114)를 터치하거나 상기 알림정보(114)가 위치되는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의 일 영역을 터치하는 경우 사라질 수 있다. 또는, 상기 알림정보(114)는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에 표시된 시간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사라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 해당 기기가와 대응되는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에 상기 알림정보(114)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기기의 비정상 상태는, 도어 열림 상태 또는 고장이나 에러 상태인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화면에서 특정 표시 프레임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특정 표시 프레임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화면(100)의 각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에 표시된 외부 기기의 정보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도 6과 같이 상기 표시부(31)에는 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화면(120) 또는 기기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상기 화면(100)의 각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 중 일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상기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 중 아이콘(112) 영역을 터치하면, 상기 화면(100)이 제어화면(120)으로 전환되거나, 상기 화면(100) 상에 제어화면(120)이 팝업될 수 있다.
상기 제어화면(120)은,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상태 표시영역(121)과,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영역(12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영역(121)에는 외부 기기의 각종 상태가 텍스트 또는 그래픽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역(122)에는 해당 외부 기기의 작동 조건 또는 기능을 변경하기 위한 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표시부의 화면에서 특정 표시 프레임을 일정 시간 터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특정 표시 프레임이 일정 시간 터치된 경우에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제1표시 프레임이 삭제된 후의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특정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을 일정 시간 이상 터치한 경우, 도 8과 같이 상기 표시부(31)는 해당 표시 프레임의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화면(131)을 표시한다(삭제화면이 활성화됨).
다른 예로서, 특정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에서 기기의 명칭(111)을 표시하는 영역 또는 아이콘(112)을 표시하는 영역을 일정 시간 터치하면, 상기 표시부(31)에서는 삭제 화면(131)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삭제 화면(131)은 도 7의 화면(100) 중 일부가 변경된 부분에 해당한다. 상기 삭제 화면(131)은 일 예로 휴지통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예로 제1표시영역에 위치한 제1표시 프레임(101)을 터치한 후에 상기 휴지통 아이콘을 드래그하면, 상기 제1표시 프레임(101)이 삭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표시영역에 위치하던 제1표시 프레임(101)이 삭제되면, 화살표와 같이 제2표시영역에 위치하던 제2표시 프레임(102)은 제1표시 영역으로 이동하고, 제3표시영역에 위치하던 제3표시 프레임(103)은 제2표시 영역으로 이동하며, 제4표시영역에 위치하던 제4표시 프레임(104)은 제3표시 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의 경우에는 표시 프레임 내의 정보가 유지된 상태에서 화면 상에서 이동하고, 표시 프레임이 추가되거나 삭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표시영역 자체가 표시 프레임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특정 표시 프레임을 터치한 후에 상기 표시 프레임을 휴지통 아이콘으로 드래그하면, 해당 표시 프레임에 표시된 정보가 삭제된다.
그러면, 도 9와 같이 제1표시 프레임(101)의 정보가 사라지고, 제2표시 프레임(102)에서 표시되던 정보(일 예로 오븐 정보임)가 제1표시 프레임(101)에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3표시 프레임(103)에 표시되던 정보(일 예로 세탁기 정보임)가 제2표시 프레임(102)에서 표시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표시부에 표시된 표시 프레임의 위치가 변경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31)의 화면에서 표시 프레임(101 내지 104)의 위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표시 프레임(101) 중 일 영역을 터치한 후에 상기 제1표시 프레임(101)을 제4표시 프레임(104) 측으로 드래그시키면, 도 11과 같이 표시 프레임 들의 위치가 변경된다. 즉, 제1표시 프레임(101)이 제4표시 영역으로 이동하고, 제2표시 프레임(102)은 제1표시 영역으로 이동하고, 제3표시 프레임(103)은 제2표시 영역으로 이동하고, 제4표시 프레임(104)은 제3표시 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이동 대상의 표시 프레임을 목표 영역으로 이동시키면 해당 목표 영역의 표시 프레임 및 목표 영역 보다 낮은 번호의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표시 프레임은 이동하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좌측 상부(제1번), 우측 상부(제2번), 좌측 하부(제3번), 우측 하부(제4번)로 순으로 되고, 표시 프레임은 현재의 번호 보다 낮은 번호의 표시 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만약, 도 10에서 제1표시 프레임(101)을 제2표시 영역으로 이동시키면, 제2표시 프레임(102)이 제1표시 영역으로 이동하고, 제1표시 프레임(101)이 제2표시 영역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3표시 프레임(103) 및 제4표시 프레임(104)은 이동하지 않는다.
도 12는 통신 연결 해제되거나 통신 연결 불능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와 통신 연결됨에 따라 상기 표시부(31)에 표시되었던 외부 기기의 통신 연결이 해제되거나 통신 불능 상태가 되는 경우, 해당 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프레임은 통신 연결된 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 프레임은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 연결이 해제된 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던 표시 프레임의 색상이 변경되거나 흐리게 표시되거나 비활성화될 수 있다. 또는, 통신 연결이 해제된 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던 표시 프레임이 상기 표시부(31)에서 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부(31)의 일 표시 프레임은, 등록되지 않았으나 통신 연결된 기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표시 프레임의 상태 정보(113)는, 미등록 기기임을 알리는 텍스트 정보(116)와, 등록을 위하여 선택하는 버튼(11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117)을 선택하여 해당 기기의 정보(일 예로 제품코드, 사용자 아이디, 패스워드 등)를 등록한 후에는 상기 표시부(31)에서는 등록된 기기가 통신 연결된 경우 해당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외부 기기가 통신 연결된 상태일 뿐만 아니라, 상기 표시부(31) 상에서 외부 기기의 정보가 등록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표시부(31)에서 표시되는 외부 기기의 상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연결되었으나 미등록된 기기인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31)에서는 표시정보 만이 표시되고, 상태정보는 미표시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전기기와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개수가 기준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시된 다수의 표시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크기는 유지되고, 나머지 표시 프레임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표시 프레임(101)의 크기는 유지되고, 제2 내지 제4표시 프레임(102 내지 104)의 크기는 줄어들며, 제5표시 프레임(105)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추가된다.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추가되는 표시 프레임(105)의 크기가 일정 크기로 표시되고, 기존에 표시되던 표시 프레임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제1표시영역에 위치한 표시 프레임의 크기는 유지되고, 나머지 표시영역에 표시된 표시 프레임의 크기는 줄어드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가전기기와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개수가 기준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준 수를 초과할 수록,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시되는 표시 프레임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개수가 기준 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동일한 크기의 표시 프레임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개수가 기준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시되는 표시 프레임의 크기가 줄어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전체 표시 프레임의 크기가 동일하게 줄어들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따른 가전기기의 표시부에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가전기기와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개수가 기준 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표시된 다수의 표시 프레임 중 일부 표시 프레임은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표시 프레임이 어떠한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표시 프레임 들은 적어도 외부 기기의 표시정보는 미중첩될 수 있다.
위의 실시 예에서는 가전기기의 표시부(31)에서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이동 단말기(16)의 표시부에서도 위에서 설명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기도, 가전기기와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과, 위에서 설명한 가전기기의 표시부와 동일한 기능을 하고 동일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30: 제어부 31: 표시부
33: 통신수단

Claims (23)

  1.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
    상기 외부 기기 중에서 상기 통신수단과 통신 연결된 다수의 외부 기기의 정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둘 이상의 표시영역으로 구분되어, 구분된 표시영역 각각에 통신 연결된 다수의 외부 기기의 표시정보 및 상태정보를 함께 표시하고,
    통신 연결된 다수의 외부 기기 중 일부가 통신 불능이거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통신 불능 또는 통신 연결이 해제된 외부 기기의 표시정보 및 상태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흐리게 표시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영역에 표시된 정보는 변경될 수 있는 가전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다수의 표시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각 표시 프레임에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가전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표시 프레임에는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표시정보와 상태 정보를 함께 표시되는 가전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명칭 또는 상기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인 가전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 현재 작동 코스, 작동을 위한 목표 온도 또는 습도, 잔여 작동 시간, 저장된 식품의 상태 또는 개수, 도어 열림 정보, 고장 여부, 등록 여부, 충전 여부, 배터리 잔량, 추천 코스 또는 추천 요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기기의 상태가 변경된 경우, 상기 표시 프레임에는 상태 변경을 알리는 알림정보가 표시되는 가전기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프레임 중 일 영역을 터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해당 표시 프레임에 표시된 외부 기기의 제어를 위한 제어화면 또는 외부의 상세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상세정보 화면이 표시되는 가전기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프레임 중 일 영역을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는 해당 표시 프레임의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화면이 활성화되는 가전기기.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 중 일부가 통신 불능이거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통신 불능 또는 통신 연결이 해제된 외부 기기의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사라지는 가전기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표시 프레임의 위치는 변경 가능한 가전기기.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표시 프레임 중 일부 또는 전부의 크기는 변경될 수 있는 가전기기.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된 다수의 표시 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는 가전기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와 함께 자신의 정보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는 가전기기.
  18. 외부 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
    상기 외부 기기 중에서 상기 통신수단과 통신 연결된 다수의 외부 기기의 정보를 하나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함께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은 둘 이상의 표시영역으로 구분되어, 구분된 표시영역 각각에 통신 연결된 다수의 외부 기기의 표시정보 및 상태정보를 함께 표시하고,
    통신 연결된 다수의 외부 기기 중 일부가 통신 불능이거나 통신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통신 불능 또는 통신 연결이 해제된 외부 기기의 표시정보 및 상태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흐리게 표시되거나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삭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다수의 표시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각 표시 프레임에 통신 연결된 외부 기기의 정보를 표시하는 이동 단말기.
  21. 삭제
  22.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명칭 또는 상기 외부 기기를 나타내는 아이콘인 이동 단말기.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작동 여부, 현재 작동 코스, 작동을 위한 목표 온도 또는 습도, 잔여 작동 시간, 저장된 식품의 상태 또는 개수, 도어 열림 정보, 고장 여부, 등록 여부, 충전 여부, 배터리 잔량, 추천 코스 또는 추천 요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30001766A 2013-01-07 2013-01-07 가전기기 및 이동 단말기 Active KR101924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766A KR101924476B1 (ko) 2013-01-07 2013-01-07 가전기기 및 이동 단말기
CN201410006928.0A CN103914272B (zh) 2013-01-07 2014-01-07 家用电器和移动设备
US14/149,456 US20140191856A1 (en) 2013-01-07 2014-01-07 Home Appliance and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1766A KR101924476B1 (ko) 2013-01-07 2013-01-07 가전기기 및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43A KR20140089843A (ko) 2014-07-16
KR101924476B1 true KR101924476B1 (ko) 2018-12-03

Family

ID=5173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1766A Active KR101924476B1 (ko) 2013-01-07 2013-01-07 가전기기 및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4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719A (ko) * 2019-02-27 2020-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추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9116A1 (en) * 2004-04-08 2008-06-12 Abb Research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O2012028066A1 (zh) * 2010-08-30 2012-03-08 北京联想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20120144847A1 (en) * 2010-12-10 2012-06-14 Cheng-Tzong Lee Intellectual refrigerator combining with portable electr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0326A (en) * 1992-12-04 1995-04-25 Goldstein; Steven W. Programmable remote control device for interacting with a plurality of remotely controlled devices
KR100514191B1 (ko) * 2003-01-23 2005-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 및 그 통합 리모트 컨트롤러용셋톱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39116A1 (en) * 2004-04-08 2008-06-12 Abb Research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O2012028066A1 (zh) * 2010-08-30 2012-03-08 北京联想软件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操作方法
US20120144847A1 (en) * 2010-12-10 2012-06-14 Cheng-Tzong Lee Intellectual refrigerator combining with portable electr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9843A (ko) 201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91856A1 (en) Home Appliance and Mobile Device
US9760268B2 (en) Mobile device
US11334208B2 (en) Control apparatus
US10608837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20100B1 (ko) 조명 제어기
US2014035952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0120532B2 (en)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t least one electronic device
EP2782358B1 (en)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ler
KR20140020250A (ko) 헤드-업 동작 및 비주얼 피드백을 제공하는 원격 제어 인터페이스
JP5739002B2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KR20140144504A (ko) 가전 기기와 모바일 기기, 가전 기기의 제어 시스템
KR20150049360A (ko)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47223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160028740A (ko) 홈 게이트웨이 및 그 제어 방법
JP2015010769A (ja) 空気調和機
JP2014190566A (ja) 空気調和機のリモコン装置
JP6049494B2 (ja) 携帯端末
KR101924476B1 (ko) 가전기기 및 이동 단말기
JP6097934B2 (ja) 操作端末、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51078A (ko) 스마트 홈 제어 시스템
JP6435352B2 (ja) 空調管理装置およびその表示制御方法
EP3209026B1 (en) Control processing method, electric device, and control processing program
CN204496688U (zh) 一种透明键盘智能遥控器
CN106775089B (zh) 设备控制方法及装置
US20210172638A1 (en) Air conditioner management device, and air conditioner management screen gene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1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