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24000B1 - Smart telescope - Google Patents

Smart telesc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000B1
KR101924000B1 KR1020170069160A KR20170069160A KR101924000B1 KR 101924000 B1 KR101924000 B1 KR 101924000B1 KR 1020170069160 A KR1020170069160 A KR 1020170069160A KR 20170069160 A KR20170069160 A KR 20170069160A KR 101924000 B1 KR101924000 B1 KR 101924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ircuit
transistor
unit
m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1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사영호
Original Assignee
(주)씨엔에스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에스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씨엔에스아이엔티
Priority to KR1020170069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0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00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76Non-optical details, e.g. housings, mountings, supports
    • G02B23/2484Arrangements in relation to a camera or imaging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22Viewing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telescope for network-based bidirectional intelligent sightseeing and a surrounding scenery check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smart telescope, wherein a user can observe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by moving a pan-tilt mount, and a picture or an image that is photographed can be uploaded to a smart phone, an e-mail, or a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of the user. Moreover, the picture or the image can be utilized for sharing or public relations. The smart telescope comprises: a telescope unit provided with a camera and a display; a mount coupled to the telescope unit, an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rotating the telescope unit; and a controller having a payment unit for performing payment and a drive unit driving the telescope unit when the payment of the payment unit is performed.

Description

스마트 전망경{SMART TELESCOPE}SMART TELESCOPE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 쌍방향 지능형 관광 및 주변 경관 확인용 스마트 전망경에 관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rospect for network-based two-way intelligent tourism and surrounding landscape identification,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팬틸트 마운트를 움직여 촬영대상을 전망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이메일 혹은 SNS에 게재할 수 있고, 나아가 영상 및 이미지를 공유 또는 홍보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전망경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user can view the subject by moving the pan / tilt mount, and can display the captured image or image in real time on his / her own smartphone, e-mail or SNS. Further, It is about the smart prospect that can be utilized for the purpose.

현재 전망대를 비롯한 관광지 또는 유원지 및 유명 고층 빌딩의 마천루에 방문하면 코인을 사용한 전망용 시스템(쌍안경)을 흔히 볼 수 있다.When you visit skyscrapers of sightseeing spots, sightseeing spots, amusement parks and famous high-rise buildings, you can often see coin-operated viewing systems (binoculars).

이러한 전망경과 관련한 종래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1997-0062743호(1997년09월12일)(종래기술1), 등록실용 제20-0176094호(2000년01월13일)(종래기술2) 등이 있는데, 종래기술1은 동전 투입 전망용 망원경을 제시하고 있고, 종래기술2는 빛 차단용 개폐장치를 구비한 전망용 망원경을 제시하고 있다.[0004] As a conventional technique related to such a view,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997-0062743 (September 12, 1997) (Prior Art 1), Registration Practice No. 20-0176094 (Jan. 13, 2000) 2, and the like. Prior Art 1 discloses a telescope for coin input observation, and Prior Art 2 discloses an observing telescope equipped with a light interrupter.

종래기술1 및 2를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에서 제시된 전망경(전망용 망원경)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관광지, 명소, 풍경 등의 현 상황을 눈으로만 볼 수 있으며 그때의 즐거움과 재미, 아름다움은 기억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A user who uses a view telescope (a view telescope) proposed in the related art including the prior arts 1 and 2 can see only the sight of the current situation such as a sightseeing spot, a spot, a landscape, and the pleasure,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can not be relied on.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사용자는 개개인이 보유한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 폰과 같은 개인용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해당 영상 및 이미지를 촬영하고 저장하고 있다.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users capture and store their images and images using personal devices such as digital cameras and smart phones that each user has.

그러나 개인용 디바이스를 활용하는 경우 원거리의 절경이나 비경을 담을 수 없고 선명도와 고 배율 면에서 전망경을 따라 갈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However, when using a personal device, there are many restrictions because it can not accommodate long-distance superficial or non-long-distance, and can not follow the viewpoint in terms of sharpness and high magnification.

따라서 이용자가 관측하는 실시간 영상을 스냅사진으로 촬영하거나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고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지정한 이메일 혹은 SNS에 올릴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재고되는 바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that enables real-time video that the user observes to be captured as a snapshot or video, and that the captured video or image can be uploaded to the user's smartphone or specified e-mail or SNS in real tim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망경유니트를 통해, 사용자가 팬틸트 마운트를 움직여 관측하는 실시간 영상(촬영대상)을 전망함과 동시에 촬영하여 소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user to view and capture a real-time image (object to be photographed) observed by moving a pan tilt mount through a view-through knit with a camera and a display.

또한 전망경유니트에 스냅샷처리모듈 및 동영상처리모듈을 구비하고, 이를 전송받아서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해주는 운용서버를 전체 시스템에 도입하여,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이메일 혹은 SNS에 게재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영상 및 이미지를 공유 또는 홍보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 snapshot processing module and a video processing module are provided in a cut-through via a viewport, and a management server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snapshot processing module and a video processing module to a user's terminal is introduced to the entire system, To be displayed on the SNS, and to further utilize the image and image for sharing or promoting.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망경유니트, 그리고 상기 전망경유니트가 결합되고, 상기 전망경유니트를 수직 및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한 마운트, 그리고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 및, 상기 결제부의 결제 수행 시 상기 전망경유니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A mount having a rotation means fo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rotating the knitted visor, and a settlement unit for performing settlement; and a settlement unit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knitted ovale when viewed.

또한 상기 전망경유니트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촬영대상의, 스냅샷을 저장/처리하는 스냅샷처리모듈 및, 동영상을 저장/처리하는 동영상처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view-passing knit may further include a snapshot processing module for storing / processing a snapshot of a shooting targe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nd a moving image processing module for storing / processing the moving image.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전망경유니트와 통신하는 운용서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냅샷 및 동영상은 상기 운용서버로 전송되고 저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운용서버에 저장된 상기 스냅샷 및 동영상에 대한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comprising a user terminal and an operation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view-through knit, wherein the snapshot and the moving image ar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operation server, and the user terminal downloads the snapshot and the moving image stored in the operation server And the like.

나아가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상기 운용서버는 상기 사용자등록부에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의 다운로드만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more,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user registration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user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erver allows only the download of the user registered in the user registration unit.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사용자가 팬틸트 마운트를 움직여 관측하는 실시간 영상(촬영대상)을 전망함과 동시에 촬영하여 소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억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즐거운 추억을 높은 선명도와 고배율로 소장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이메일 혹은 SNS에 게재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영상 및 이미지를 공유 또는 홍보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는다.By allowing the user to view and simultaneously capture a real-time image (object to be photographed) observed by moving the pan / tilt mount, it is possible not only to rely on the user's memory but also to collect and share pleasant memories with high clarity and high magnific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isplay a photographed image or image in real time on its own smart phone, e-mail or SNS, and further, to use images and images for sharing or publicity.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operational flow diagra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second aspec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해 본 발명의 명칭인 '스마트 전망경'에 대해 간단히 정의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 smart perspective view "

'스마트'라 함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컨트롤러(3)에 의해 동작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전망경'이라 함은 관광지, 유원지 또는 유명 고층 빌딩의 마천루 등과 같은 장소에서 전망(넓고 먼 곳을 멀리 바라봄)을 위해 사용되는 망원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명칭의 사용은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명사로, 이러한 명칭에 의해 본 발명이 불명확한 표현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The term 'smart' means that it is operated by the controller 3 based on the network, and the term 'landscape' refers to a view from a place such as a sightseeing spot, an amusement park, or a skyscraper of a famous high-rise building And the use of such a name is a common noun widely used in the field, and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to include the indefinite expression by such name.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 쌍방향 지능형 관광 및 주변 경관 확인용 스마트 전망경에 관한 것이자, 특히 사용자가 팬틸트 마운트(2)를 움직여 촬영대상을 전망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이나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이메일 혹은 SNS에 게재할 수 있고, 나아가 영상 및 이미지를 공유 또는 홍보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전망경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erspective for a network-based interactive intelligent sightseeing and peripheral landscape recognition. Particularly, the user can view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by moving the pan tilt mount 2, It is about a smart prospect that can be displayed on a smart phone, e-mail or SNS, and can further utilize images and images for sharing or publicity purpos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전망경(이하 본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mart Prospectosco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식화한 블록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장치는 관광지 및 주변 경관 확인용으로 사용되는 스마트 전망경으로서, 전망경유니트(1), 마운트(2) 및 컨트롤러(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resent apparatus is a smart observation light used for confirming a sightseeing spot and a surrounding landscape, and includes a knitted view 1, a mount 2, and a controller 3.

각 구성 별로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하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망경유니트(1)는 관광지 및 주변 경관(이하 '촬영대상'으로 통칭)의 전망 및 촬영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카메라(11) 및 디스플레이(12)를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view-through knit 1 is configured to provide a view and a photograph of a sightseeing spot and a surrounding landscap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hotographing object"). 11 and a display 12, as shown in FIG.

상기 카메라(11)는 전망경으로 사용되는 만큼, 고배율, 고선명도를 가져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며, 여기에서 고배율, 고선명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의 카메라 등에 비해 높은 것을 의미한다.Since the camera 11 is used as a viewpoint, it is obvious that it has a high magnification and a high degree of definition. Here, a high magnification and high definition are higher than those of a digital camera or a smart phone.

상기 디스플레이(12)는 카메라(11)에 의해 촬영되는 촬영대상을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촬영대상의 이미지를 제공한다. 특히 디스플레이(12)는 후술하는 사용자등록부와 같이 정보의 입력을 위해 또는 조작버튼(15)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조작을 위해 터치형 디스플레이(12)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12 provides an image of a subject to be photographed so that the subject to b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1 can be confirmed in advance. Particularly, the display 12 is preferably provided as a touch-type display 12 for user's operation when inputting information or when the operation button 15 is not separately provided.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망경유니트(1)는 전망경으로의 활용을 위해 줌 기능과 포커싱 기능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기능은 후술하는 컨트롤러(3)의 구동부(32)를 통해 카메라(11)를 구동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고, 줌 및 포커싱 기능은 카메라 관련 분야에서 일반적인 기술인 바,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2, the vision-passing knit 1 has a zooming function and a focusing function for utilization as a viewpoint. This function is performed by a camera (not shown) through a driving unit 32 of a controller 3 11, and the zooming and focusing function is a general technique in the camera related field,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망경유니트(1)는 카메라(11)에 장착되는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렇게 렌즈를 별도로 도시한 것은 전망경 특성 상 망원 기능을 갖기 위해 렌즈를 추가로 더 필요로 하거나 또는 별도의 고배율 렌즈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카메라(11)가 렌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view-through knit 1 may further include a lens mounted on the camera 11. The lens is separately shown, Or requires a separate high magnification lens. It would therefore be desirable to interpret the camera 11 as including a lens.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망경유니트(1)는 확대/축소 기능, 스냅샷 촬영 기능, 동영상 촬영 기능, 마운트 조작 기능 등 사용자 조작을 위한 조작버튼(15)을 구비할 수 있다.1, the view-through knit 1 may include operation buttons 15 for user operations such as a zooming function, a snapshot shooting function, a moving image shooting function, and a mount operation function.

다음으로, 본 장치의 일 구성인 마운트(2)는 전망경유니트(1)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전망경유니트(1)를 수직 및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수단은 팬틸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직(틸트), 수평(피벗) 방향 모두에 대해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회전수단을 포함한 마운트(2)는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또는 컨트롤러(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Next, the mount 2, which is a constitution of the present apparatus, can be provided with a rotating means fo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rotating the saw-visor knitted knitted fabric 1 in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knitted visor 1 is coupled. Such a rotating means may be constituted by a pan tilt and is preferably rotated in both the vertical (tilt) and horizontal (pivot) directions, and the mount 2 including such rotating means is manually operated, Lt; / RTI >

다음으로, 본 장치의 일 구성인 컨트롤러(3)는 본 장치의 전반적인 구동 및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전망경유니트(1)에 내장되거나 또는 전망경유니트(1)와 결합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Next, the controller 3,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aratus,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and operation of the apparatus, and is embodied in the view-through knitted knit 1 or in a form coupled with the view knitted knit 1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컨트롤러(3)는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31) 및, 결제부(31)의 결제 수행 시 전망경유니트(1)를 구동시키는 구동부(32)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controller 3 includes a settlement unit 31 that performs settlement and a drive unit 32 that drives the view-passing knit 1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settlement of the settlement unit 31 .

결제부(31)는 본 장치의 사용을 위한 결제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동전 투입 처리 방식, 사이버 머니 결제 방식, T 머니 결제 방식 등, 현재 유통하고 있는 결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The settlement unit 31 is configured to perform settlement for use of the present apparatus, and currently available payment methods such as a coin input processing method, a cyber money settlement method, and a T money settlement method may be used.

구동부(32)는 결제부(31)가 결제를 수행하면, 사용자가 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망경유니트(1)를 구동시키며, 상기한 마운트(2)가 컨트롤러(3)에 의해 제어되는 경우 마운트(2)에 대한 구동 제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settlement unit 31 performs settlement, the driving unit 32 drives the knitted visor 1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apparatus. When the mount 2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3 And may further include drive control for the mount 2.

또한 컨트롤러(3)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고, 이러한 전원공급수단은 구동부(32)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도 무방할 것이다.Further, it is obvious that the controller 3 should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and such a power supply means may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32.

추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마운트(2) 하부에 구비되는 신축식 피어(5)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retractable peer 5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ount 2.

이러한 신축식 피어(5)는 높이 조절 기능을 부가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한다.Such a telescoping peer 5 adds a height adjusting function to provide user convenience.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촬영대상을 전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11)를 구비한 전망경유니트(1)를 통해 촬영대상을 촬영하여 영상 또는 이미지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features not only allows the user to view an object to be imaged, but also allows the object to be imaged through the view-through knit 1 equipped with the camera 11 to be stored as an image or an image.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일반적인 전망용 망원경에서는 제공하지 못하는 촬영대상에 대한 촬영을 제공하되,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과 같은 디바이스를 활용하여 촬영하는 것과 비교하여 높은 선명도와 고배율의 촬영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hooting of an object to be imaged which can not be provided by a general telescope for observation, and has an effect of providing shooting with high sharpness and high magnification as compared with shooting using a device such as a digital camera or a smart phone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1실시예)에 따른 동작 과정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of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2, 그리고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세부적인 특징 및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and addition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FIG.

(도 3은 본 발명의 동작 과정도이기 때문에, 도 3에 표시된 도면참조부호가 그 구성 자체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지만 해당 구성의 동작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참조부호의 기재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FIG. 3 is an operation process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FIG. 3 may refer to the configuration itself, but may also mean operations of the configuration.)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n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전망경유니트(1)가 스냅샷처리모듈(13) 및 동영상처리모듈(14)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First,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ew-through knit 1 may further include a snapshot processing module 13 and a moving image processing module 14. [

보다 구체적으로, 스냅샷처리모듈(13)은 카메라(11)를 통해 촬영한 촬영대상의 스냅샷을 저장/처리하는 구성으로, 스냅샷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스냅샷의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snapshot processing module 13 is configured to store / process a snapshot of a shooting objec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1, and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the snapshot, Processor.

여기에서 촬영대상의 스냅샷을 처리하는 프로세서는 스냅샷(이미지)을 데이터화하되, 스마트폰, 이메일, SNS, 운용서버(4) 등, 전송하고자 하는 매체에 맞는 코드 형식과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다.Here, the processor that processes the snapshot of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converts the snapshot (image) into a code format and a file format suitable for the medium to be transmitted, such as a smart phone, an e-mail, an SNS, and an operation server 4.

다음, 동영상처리모듈(14)은 카메라(11)를 통해 촬영한 촬영대상의 동영상을 저장/처리하는 구성으로, 마찬가지로 동영상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동영상의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동영상을 전송하고자 하는 매체에 맞는 코드 형식과 파일 형식으로 변환한다.Next, the moving image processing module 14 is configured to store / process the moving image to be photographed, which is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11, and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the moving image and includes a processor for processing the moving image, Convert the video to the code format and file format appropriate for the media you want to transfer.

추가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사용자 단말기(D) 및 전망경유니트(1)와 통신하는 운용서버(4)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2 and 3, the apparatus may further comprise a user terminal D and an operation server 4 in communication with the knit 1 via the view.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기(D)는 좁게는 사용자의 스마트폰, PC 및 기타 디바이스를 의미하고, 넓게는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 SNS 계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in, the user terminal D is narrowly referred to as a user's smartphone, a PC, and other devices, and may widely include a user's e-mail account, an SNS account, and the like.

또한 전망경유니트(1)와 운용서버(4) 간의 통신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네트워크 방식이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addition, various methods can be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cutaway view unit 1 and the operation server 4, but it is most preferable that a network method is used.

이에 따라 상기한 스냅샷처리모듈(13)과 동영상처리모듈(14)에 의해 저장 및 처리된 스냅샷 및 동영상은 운용서버(4)로 전송되고 저장되어, 사용자 단말기(D)에서 운용서버(4)에 저장된 스냅샷 및 동영상에 대한 다운로드가 가능하게 된다.The snapshot and the moving picture stored and processed by the snapshot processing module 13 and the moving picture processing module 14 ar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operation server 4 and ar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D to the operation server 4 ) Can be downloaded.

따라서 상기한 특징(스냅샷처리모듈(13), 동영상처리모듈(14), 운용서버(4))을 갖는 본 발명은 촬영된 영상(동영상)이나 이미지(스냅샷)를 실시간으로 자신의 스마트폰이나 이메일 혹은 SNS에 게재할 수 있고, 나아가 영상 및 이미지를 공유 또는 홍보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features (snapshot processing module 13, moving picture processing module 14, and operation server 4) enables real time recording of captured images (moving pictures) or images (snapshots) E-mail, or SNS, and further, the image and image can be used for sharing or promoting.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컨트롤러(3)가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운용서버(4)가 사용자등록부에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의 다운로드만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and 3, the present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user registration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user information from the controller 3. When the operation server 4 receives a user's terminal registered in the user registration unit, Only the downloading of the content is permitted.

여기에서 사용자등록부에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는 전망경유니트(1) 또는 마운트(2)에 구비된 입력수단(키패드, 버튼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고, 또는 상기한 터치형 디스플레이(12)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Here, the user information input to the user registration unit can be input through input means (keypad, button, etc.) provided in the knit 1 or the mount 2 via the view, or through the touch- Can be input.

이에 운용서버(4)는 전망경유니트(1)로부터 동영상이나 스냅샷을 전송받음과 함께 사용자 정보도 함께 전송받아, 사용자등록부에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만의 접근만을 허용하고,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D)에 한해서 해당 사용자의 동영상이나 스냅샷의 다운로드를 허용한다.The operation server 4 receives the moving image or the snapshot from the knit unit 1 via the view and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user information. The operation server 4 allows only the user's terminal registered in the user registration unit to access only the terminal, D), you are allowed to download the video or snapshot of that user.

상기 특징(사용자등록부)을 통해 본 발명은 촬영된 동영사이나 스냅샷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면 언제든지 확인 및 소장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3자의 부정 접근 및 다운로드에 의한 신원 노출 등과 같은 보안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view and collect captured movies or snapshots at any time through a network, and at the same time, can prevent security damages such as unauthorized access by third parties and identity exposures by downloading .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제2실시예)에 따른 모터(M)의 구동제어수단을 도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Fig. 4 shows a drive control means of the motor M according to an embodiment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본 장치의 마운트(2)를 사용자가 직접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키는 방식이 아닌 자동 조작(버튼 등에 의해 조작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되게 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 상기 회전수단은 모터(M)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dopting a method of making the mount (2) of the apparatus become an automatic operation (a concept including a manipulation by a button or the like) rather than a method in which the user directly applies an external force, M).

이 때, 본 발명은 모터(M)의 보다 안정적인 제어를 위한 구동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ay further include drive control means for more stable control of the motor (M).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구동제어수단은 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M10), 모터(M)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전원공급모듈(M1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M20), 모터(M)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모듈(M20)로 전송하는 상태감지모듈(M30) 및, 제어모듈(M20)에 전원을 상시 공급하는 비상전원모듈(M40)을 포함한다.4, the drive control means includes a power supply module M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M, a control module M10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module M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M A state detection module M30 for sensing the state of the motor M and transmitting the state to the control module M20 and an emergency power module M40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ntrol module M20 at all times.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구동제어수단은 전원공급모듈(M10)을 통해 모터(M)에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태감지모듈(M30)을 통해 모터(M)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함으로써 모터(M)의 동작 상태에 따라 모터(M)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며, 비상전원모듈(M40)을 통해 갑작스럽게 전원이 끊기는 등의 비상시에도 제어모듈(M20)이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The drive control means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stably supplies power to the motor M through the power supply module M10 and continuously senses the state of the motor M through the state detection module M30, The control module M20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M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module M so that the control module M20 can be normally driven even in an emergency such as sudden power- So that they can cope appropriately.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상기한 구동제어수단의 각 모듈 별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Hereinafter,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for each module of the drive control means with reference to FIG.

도 4를 참고하면, 전원공급모듈(M10)은 AC 입력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필터부(M11), 노이즈가 제거된 입력전원을 정류하여 DC 중간전원을 생성하는 정류부(M12), 전원의 온/오프 시에 중간전원에 포함되는 순간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필터부(M13) 및, 중간전원을 변환하여 공급전원을 생성하는 변환부(M14)를 포함한다.4, the power supply module M10 includes a first filter M11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AC input power, a rectifier M12 for rectifying the noise-canceled input power to generate a DC intermediate power, A second filter unit M13 for removing instantaneous noise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when the power supply is turned on and off, and a conversion unit M14 for converting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to generate a power supply.

각 부 별로 살펴보면, 먼저 제1필터부(M11)는 입력전원의 노이즈를 1차로 제거하는 제1필터링회로(M111), 입력전원의 노이즈를 2차로 제거하는 제2필터링회로(M112) 및, 제1필터링회로(M111)를 거친 입력전원을 증폭하여 제2필터링회로(M112)로 인가하는 증폭회로(M113)를 포함한다.First, the first filter unit M11 includes a first filtering circuit M111 for first removing the noise of the input power source, a second filtering circuit M112 for removing the noise of the input power source secondarily, 1 filtering circuit M111 and applying the amplified input power to the second filtering circuit M113.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제1필터링회로(M111)는 증폭용 npn 제1트랜지스터(Q101), 양단이 제1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와 에미터에 연결된 필터용 캐패시터(C101) 및, 제1트랜지스터(Q101)의 콜렉터에 연결된 인덕터(L101)와 캐패시터들(C102)(C103)을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filtering circuit M111 includes an npn first transistor Q101 for amplification, a capacitor C101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base and the emitter of the first transistor Q101, And an inductor L101 and capacitors C102 and C103 connected to the collectors of the transistors Q101 and Q101.

또한, 제2필터링회로(M112)는 증폭용 npn 제2트랜지스터(Q102), 제2트랜지스터(Q102)의 출력단에 연결된 필터용 캐패시터(C104),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01), 완충용 인덕터(L102)를 포함한다. 특히 필터용 캐패시터(C104)는 제2트랜지스터(Q102)의 콜렉터에 연결되고,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01)는 필터용 캐패시터(C104)와 완충용 인덕터(L10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완충용 인덕터(L102)는 후술하는 증폭회로(M113)의 제4트랜지스터(Q104)의 에미터에 연결된다.The second filtering circuit M112 includes an npn second transistor Q102 for amplification, a capacitor C104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102, a reverse current prevention diode D101, a buffering inductor L102, . In particular, the filter capacitor C104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second transistor Q102, the reverse current prevention diode D101 i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lter capacitor C104 and the buffering inductor L102, (L102) is connected to the emitter of the fourth transistor (Q104) of the amplifying circuit (M1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아울러, 증폭회로(M113)는 다단으로 연결된 pnp 제3트랜지스터(Q103)와 npn 제4트랜지스터(Q104)를 포함한다. 이러한 다단 연결은 제3트랜지스터(Q103)의 콜렉터와 제4트랜지스터(Q104)의 베이스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mplifying circuit M113 includes a pnp third transistor Q103 and an npn fourth transistor Q104 connected in multiple stages. This multi-stage connection is constituted by connecting the collector of the third transistor Q103 and the base of the fourth transistor Q104 to each other.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제1필터부(M11)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하면, 먼저 제1필터링회로(M111)에서, 제1트랜지스터(Q103)가 베이스에 연결된 저항(R101)을 통해 입력전원(예: AC 상용전원)을 인가받으면 턴-온(Turn-On) 되어 입력전원을 증폭시키고, 이 때 제1트랜지스터(Q101)의 콜렉터에 연결된 인덕터(L101)와 캐패시터(C102)(C103)들이 증폭된 입력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며, 추가로 상기 필터용 캐패시터(C101)가 에미터 측으로 흐르는 전류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제1트랜지스터(Q101)로 재입력한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first filter unit M11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First, in the first filtering circuit M111, the first transistor Q103 is connected to the input power source The inductor L101 and the capacitors C102 and C103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first transistor Q101 are amplifi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filter capacitor C101 removes the noise of the current flowing to the emitter side and re-inputs the noise to the first transistor Q101.

이 후, 제1필터링회로(M111)를 거쳐 노이즈가 제거된 입력전원이 증폭회로(M113)의 제3 및 제4트랜지스터(Q103)(Q104)를 거치면서 증폭되어 제2필터링회로(M112)의 제2트랜지스터(Q102) 측으로 입력되고, 이 후 제2트랜지스터(Q102)는 입력된 입력전원을 재 증폭하고, 이 때 제2필터링회로(M112)의 필터용 캐패시터(C101)는 노이즈 제거를,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01)는 출력 측의 전원 역류 방지를, 완충용 인덕터(L102)는 정류부(M12)로 전송되는 입력전원의 저장을 통한 완충(Delay)을 제공한다.Thereafter, the input power from which noise has been removed via the first filtering circuit M111 is ampl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Q103 and Q104 of the amplifying circuit M113, The second transistor Q102 re-amplifies the inputted input power. At this time, the filter capacitor C101 of the second filtering circuit M112 performs noise rejection, The prevention diode D101 serves to prevent power backflow on the output side and the buffering inductor L102 provides buffering by storing input power transmitted to the rectifying part M12.

다음으로, 전원공급모듈(M10)의 일 구성인 정류부(M12)는 노이즈가 제거된 입력전원을 정류하여 DC 중간전원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AC-DC 정류에 관한 기술은 이미 널리 공지된 바 있으며, 이에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종래의 기술을 충분히 참고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정류부(M12)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 또는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Next, the rectifying unit M12,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ower supply module M10, is configured to rectify the noise-canceled input power to generate a DC intermediate power source. The technique for AC-DC rectification is well known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with sufficient reference to the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ion of the rectifying section M12 will be omitted.

다음으로, 전원공급모듈(M10)의 일 구성인 제2필터부(M13)는 전원의 온 시에 중간전원을 변환부(M14)로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회로(M131), 전원의 오프 시에 중간전원을 변환부(M14)로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회로(M132) 및, 제1 및 제2전원공급회로(M131)(M13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중간전원의 노이즈를 그라운드로 소멸시키는 제3필터링회로(M133)를 포함한다.The second filter unit M13,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ower supply module M10, includes a first power supply circuit M131 for supplying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to the converting unit M14 when the power supply is turned on, A second power supply circuit M132 for supplying intermediate power to the converting unit M14 and a noise of an intermediate power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circuits M131, And a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for canceling the third filtering circuit.

보다 구체적으로, 제1전원공급회로(M131)는 pnp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의 베이스 측에 구비된 추가정류용 다이오드(D102)와 바이어스 저항(R110)(R111)과 바이어스 캐패시터(C107),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 에미터에 연결된 캐패시터(C109) 및,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의 컬렉터에 연결된 출력다이오드(D105)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rst power supply circuit M131 includes a pnp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a further rectifying diode D102 provided at the base sid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a bias resistor R110 A capacitor C109 connected to the emitter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and an output diode D105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다음으로, 제2전원공급회로(M132)는 npn 제2스위칭트랜지스터(Q106), 제2스위칭트랜지스터(Q106)의 베이스 측에 구비된 추가정류용 다이오드(D103)와 바이어스 저항(R112)(R113)(R114)과 바이어스 캐패시터(C108), 제2스위칭트랜지스터(Q106)의 컬렉터에 연결된 출력다이오드(D106)를 포함한다.Next, the second power supply circuit M132 includes an additional rectifying diode D103 provided at the base side of the npn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106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106, bias resistors R112 and R113, And an output diode D106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R114, the bias capacitor C108,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106.

다음으로, 제3필터링회로(M133)는 npn 필터링 트랜지스터(Q107) 및, 필터링 트랜지스터(Q107)의 베이스 측에 구비된 저항(R116)을 포함한다.Next, the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includes an npn filtering transistor Q107 and a resistor R116 provided at the base side of the filtering transistor Q107.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제2필터부(M13)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하면, 전원 온 시, 즉 변환부(M14)를 통해 모터(M)에 공급전원을 공급할 때에는 제1전원공급회로(M131)가 동작하여 변환부(M14)로 중간전원을 전달하고, 전원 오프 시, 즉 변환부(M14)를 통해 모터(M)에 공급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때에는 제2전원공급회로(M132)가 동작하여 변환부(M14)로 중간전원을 전달한다.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econd filter unit M13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hen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M through the conversion unit M14, the first power supply circuit M131, The second power supply circuit M132 is operated when the power is off, that is, when the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motor M via the conversion unit M14 And transfers the intermediate power to the converter M14.

특히 제2필터부(M13)는 전원의 온/오프가 전환되는 순간에 의미를 갖는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원의 온 되는 순간에는, 저장캐패시터(C105)가 완충되기 전까지 제3필터링회로(M133)가 구동되어버리면 중간전원에 노이즈가 유입되는데, 이 때 제1전원공급회로(M131)의 저장캐패시터(C105)에서 추가정류용 다이오드(D102)와 바이어스 저항(R110)(R111)과 바이어스 캐패시터(C107)에 의해 분배되는 바이어스 전압이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의 에미터 전압보다 높기 때문에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가 차단 상태를 유지하고, 제2스위칭트랜지스터(Q106)가 동작하여 중간전원을 제3필터링회로(M133)로 전달하고, 제3필터링회로(M133)는 유입되는 또는 발생한 노이즈를 필터링 트랜지스터(Q107)의 에미터 측 그라운드를 통해 소멸시킨 후 변환부(M14)로 공급한다.In particular, the second filter unit M13 has a meaning at the moment when the power is turned on / off. More specifically, when the power is turned on, the third filter unit M13 is turned on until the storage capacitor C105 is fully charged. The bias rectifier diode R101 and the bias rectifier diode R101 and the bias resistor R111 and the bias resistor R10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storage capacitor C105 of the first power supply circuit M131 at this time, Since the bias voltage distributed by the capacitor C107 is higher than the emitter voltag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maintains the cut-off state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106 operates, The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forwards the power to the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and the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destroys the inputted or generated noise through the emitter side ground of the filtering transistor Q107 and supplies it to the converting unit M14 .

또한 전원이 오프 되는 순간에는 저장캐패시터(C105)에 충전된 전압으로는 제2스위칭회로(M132)를 구동시킬 수 없기 때문에, 제2스위칭트랜지스터(Q106)는 오프되고, 저장캐패시터(C105)가 방전되는 동안 제1스위칭회로(M131)가 구동되어 중간전원을 제3필터링회로(M133)로 전달하고, 제3필터링회로(M133)는 유입되는 또는 발생한 노이즈를 필터링 트랜지스터(Q107)의 에미터 측 그라운드를 통해 소멸시킨 후 변환부(M14)로 공급한다.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106 is turned off and the storage capacitor C105 is turned off because the second switching circuit M132 can not be driven by the voltage charged in the storage capacitor C105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The first switching circuit M131 is driven to transfer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to the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and the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supplies the input or generated noise to the emitter side ground of the filtering transistor Q107, And supplies it to the converting unit M14.

다음으로, 전원공급모듈(M10)의 일 구성인 변환부(M14)는 스위칭회로(M141), 저장회로(M142), 비교회로(M143) 및 제어회로(M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어회로(M144)가 공급전원의 위상과 기준 전압이, 동위상인 경우 PWM 제어를 수행하고, 위상차가 있는 경우 PFM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converting section M14,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power supply module M10, includes a switching circuit M141, a storing circuit M142, a comparing circuit M143 and a control circuit M144, (M144) performs PWM control when the phase of the supplied power and the reference voltage are in phase, and performs PFM control when there is a phase difference.

각 회로 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스위칭회로(M141)는 중간전원을 스위칭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호 직렬로 연결된 PMOS 스위칭 트랜지스터(M1)와 NMOS 동기정류 트랜지스터(M2)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switching circuit M141 switches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and includes a PMOS switching transistor M1 and an NMOS synchronous rectification transistor M2 connected in series.

다음, 저장회로(M142)는 스위칭회로(M141)의 중간전원 스위칭에 의해 공급전원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스위칭회로(M141)의 출력 측에 연결된 인덕터(L103)와 이에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11)를 포함한다.Next, the storage circuit M142 serves to store the supply power by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switching of the switching circuit M141, and the inductor L103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switching circuit M141 and the capacitor L103 connected in parallel thereto C111).

다음, 비교회로(M143)는 변환하고자 하는 기준 전압과 공급전원의 전압 및 위상을 비교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중간전원의 입력단에 연결된 반전 비교기(COM1), 반전 비교기(COM1)의 출력단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OR게이트(OR1)와 저항(R117), 스위칭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와 OR게이트(OR1)의 사이에 연결된 딜레이소자(Delay)를 포함한다.The comparison circuit M143 compares the reference voltage to be converted with the voltage and phase of the power supply. The comparison circuit M143 includes an inverting comparator COM1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an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ing comparator COM1, A resistor R117 connected to the OR gate OR1 and a delay element Delay connected between the gate of the switching transistor M1 and the OR gate OR1.

다음, 제어회로(M144)는 스위칭회로(M141)를 제어하여 공급전원이 기준 전압에 부합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한 반전 비교기(COM1)의 출력단, OR게이트(OR1)의 출력단, 그리고 스위칭회로(M141)에 연결된 변조제어소자(MC)를 포함한다.Next, the control circuit M144 controls the switching circuit M141 to make the supply voltage match the reference voltage. The control circuit M144 controls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ing comparator COM1, the output terminal of the OR gate OR1, And a modulation control element MC connected to the circuit M141.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변환부(M14)의 동작 및 효과를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모터(M)의 동작을 위해서는 펄스형 전원(공급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러한 펄스형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PWM 제어가 활용되는데, 모터(M)의 속도를 줄이기 위해 전원 인가를 중단하거나 또는 낮은 전압을 갖는 또는 주기가 긴 전원(이하 저속용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경우 PWM 제어는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변환부(M14)는 저속용 전원을 공급하는 경우 PFM 제어로 전환하여 전원 공급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converter M14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Generally, a pulse-type power supply (power supply) must be supplied for the operation of the motor M. PWM control is used to supply such a pulsed power supply. When the power supply is stopped to reduce the speed of the motor M or when a low-voltage or long-period power supp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w-speed power supply) The control becomes inefficien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verter M14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power supply efficiency by switching to the PFM control when the low-speed power supply is supplied.

이를 위해 변환부(M14)는 저장회로(M142)에 저장된 공급전원의 전압 및 위상과 기준 전압을 비교회로(M143)에서 비교하여 공급전원의 위상과 기준 전압이 동위상인 경우 제어회로(M144)가 PWM 제어를 수행하고, 위상차가 있는 경우(저속형 전원) 제어회로(M144)가 PFM 제어를 수행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이다.To this end, the converting unit M14 compares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voltage and phase of the supplied power source stored in the storage circuit M142 with the comparing circuit M143. When the phase of the supplied power source is equal to the reference voltage, the control circuit M144 PWM control is performed, and when there is a phase difference (low speed type power supply), the control circuit M144 performs PFM control to maximize efficiency.

이어서 도 4를 참고하면, 상태감지모듈(M30)은 모터(M)의 회전자 위치를 측정하여 모터(M)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회전검출부(M31) 및, 모터(M)의 온도 상승을 검출하는 온도검출부(M32)를 포함한다.4, the state detection module M30 includes a rotation detection section M31 for detecting the rotation state of the motor M by measuring the rotor position of the motor M, And a temperature detector M32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검출부(M31)는 모터(M)의 회전자의 위치를 측정하여 모터(M)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홀 소자(M311)를 포함하고, 온도검출부는 모터(M)의 운전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M321)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 detecting section M31 includes a hall element M311 that measures the position of the rotor of the motor M and detects the rotation state of the motor M, and the temperature detecting section detects the rotation of the motor M And a temperature sensor M321 for sensing the temperature.

이러한 상태감지모듈(M30)의 구성을 통해, 제어모듈(M20)은 모터(M)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지함으로써 모터(M)의 동작 상태에 따라 모터(M)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모터(M)의 회전 속도를 줄여야 하는 경우, 회전검출부(M31)에서 모터(M)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모듈(M20)이 전원공급모듈(M10)에서 공급되는 공급전원의 펄스폭을 감소시키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모터(M)에 이상이 발생하여 비정상적으로 모터(M)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온도검출부(M32)에서 모터(M)의 운전 온도를 검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모듈(M20)이 전원공급모듈(M10)에서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긴급 차단하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M20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the motor M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M by continuously detecting the state of the motor M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tate detection module M30. For example,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M is to be reduced, the rotation state of the motor M is detected by the rotation detection section M31, and the control module M20 is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odule M10 So as to reduce the pulse width of the power supply. As anothe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motor M abnormally rises due to an abnormality in the motor M, the temperature detection unit M32 detects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motor M, And controls the supply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module M10 to be urgently cut off.

특히 이러한 제어모듈(M20)은 긴급 상황을 대비하여 상시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구동제어수단은 비상전원모듈(M40)을 통해 갑작스럽게 전원이 끊기는 등의 비상시에도 제어모듈(M20)이 정상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고에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particular, the control module M20 is preferably supplied with power at all times in preparation for an emergency. For this purpose, the drive control means controls the control module M20 even in an emergency such as sudden power- ) Can be operated normally so that it can cope with the accident appropriately.

보다 구체적으로, 비상전원모듈(M40)은 제2필터부(M1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제2필터부(M13)로부터 중간전원을 인가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비상 시(전원이 차단될 때) 제어모듈(M20)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러한 비상전원모듈(M40)은 전압 변환용 저항(R401)(R402),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401)(C402)(C403)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401)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emergency power module M4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filter M13 and receives and stores the intermediate power from the second filter M13. When the emergency power module M40 is in an emergency state The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M40 includes a voltage converting resistors R401 and R402, charging capacitors C401 to C402 and C403 connected in parallel thereto, and a discharge Prevention diode D401.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비상전원모듈(M40)은 전압 변환용 저항(R401)(R402)을 통해 앞서 설명한 '노이즈가 제거된 중간전원'을 충전용 캐패시터(C401)(C402)(C403)에 저장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 시에도 제어모듈(M2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이 때 다이오드(D401)를 통해 캐패시터(C401)(C402)(C403)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지 않도록 한다.The emergency power module M40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stores the above-described 'noise-removed intermediate power supply' through the voltage conversion resistors R401 and R402 in the charging capacitors C401, C402 and C403 Power can be supplied to the control module M20 even when an emergency occurs and the power charged in the capacitors C401, C402 and C403 is not discharged through the diode D401 at this time.

이상의 설명에서 동영상 및 스냅샷의 전송을 위한 통신수단, 구체적인 회로 구성, 팬틸트 마운트(2) 등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가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충분히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한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communication means, the specific circuit configuration, the pan tilt mount 2, and the like for transmission of moving images and snapshots is omitted. However, .

또한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and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전망경유니트
11: 카메라 12: 디스플레이
13: 스냅샷처리모듈 14: 동영상처리모듈
2: 마운트
3: 컨트롤러 31: 결제부
32: 구동부
4: 운용서버
1: Knitted over view
11: Camera 12: Display
13: Snapshot processing module 14: Video processing module
2: Mount
3: Controller 31:
32:
4: Operation server

Claims (4)

관광지 및 주변 경관 확인용으로 사용되는 스마트 전망경에 있어서,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망경유니트;
상기 전망경유니트가 결합되고, 상기 전망경유니트를 수직 및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구비한 마운트; 및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부 및, 상기 결제부의 결제 수행 시 상기 전망경유니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전망경유니트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촬영대상의, 스냅샷을 저장/처리하는 스냅샷처리모듈 및 동영상을 저장/처리하는 동영상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전망경유니트와 통신하는 운용서버; 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냅샷 및 동영상은 상기 운용서버로 전송되고 저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운용서버에 저장된 상기 스냅샷 및 동영상에 대한 다운로드가 가능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용자등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용서버는 상기 사용자등록부에 등록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의 다운로드만을 허용하고,
상기 회전수단은 모터(M)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안정적인 제어를 위한 구동제어수단; 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모터(M)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M10), 상기 모터(M)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전원공급모듈(M10)을 제어하는 제어모듈(M20), 상기 모터(M)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모듈(M20)로 전송하는 상태감지모듈(M30) 및, 상기 제어모듈(M20)에 전원을 상시 공급하는 비상전원모듈(M40)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공급모듈(M10)은 AC 입력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1필터부(M11), 노이즈가 제거된 입력전원을 정류하여 DC 중간전원을 생성하는 정류부(M12), 전원의 온/오프 시에 중간전원에 포함되는 순간 노이즈를 제거하는 제2필터부(M13) 및, 중간전원을 변환하여 공급전원을 생성하는 변환부(M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부(M11)는 입력전원의 노이즈를 1차로 제거하는 제1필터링회로(M111), 입력전원의 노이즈를 2차로 제거하는 제2필터링회로(M112) 및 상기 제1필터링회로(M111)를 거친 입력전원을 증폭하여 상기 제2필터링회로(M112)로 인가하는 증폭회로(M113)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링회로(M111)는 증폭용 npn 제1트랜지스터(Q101), 양단이 제1트랜지스터(Q101)의 베이스와 에미터에 연결된 필터용 캐패시터(C101) 및 제1트랜지스터(Q101)의 콜렉터에 연결된 인덕터(L101)와 캐패시터들(C102)(C103)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링회로(M112)는 증폭용 npn 제2트랜지스터(Q102), 제2트랜지스터(Q102)의 출력단에 연결된 필터용 캐패시터(C104),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01), 완충용 인덕터(L102)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용 캐패시터(C104)는 상기 제2트랜지스터(Q102)의 콜렉터에 연결되고, 상기 역류방지용 다이오드(D101)는 상기 필터용 캐패시터(C104)와 상기 완충용 인덕터(L102) 사이에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증폭회로(M113)는 다단으로 연결된 pnp 제3트랜지스터(Q103)와 npn 제4트랜지스터(Q104)를 포함하되, 상기 제3트랜지스터(Q103)의 콜렉터와 상기 제4트랜지스터(Q104)의 베이스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2필터부(M13)는 전원의 온 시에 중간전원을 상기 변환부(M14)로 공급하는 제1전원공급회로(M131), 전원의 오프 시에 중간전원을 상기 변환부(M14)로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회로(M132) 및 상기 제1 및 제2전원공급회로(M131)(M132)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중간전원의 노이즈를 그라운드로 소멸시키는 제3필터링회로(M133)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원공급회로(M131)는 pnp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의 베이스 측에 구비된 추가정류용 다이오드(D102)와 바이어스 저항(R110)(R111)과 바이어스 캐패시터(C107),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 에미터에 연결된 캐패시터(C109) 및 제1스위칭트랜지스터(Q105)의 컬렉터에 연결된 출력다이오드(D105)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전원공급회로(M132)는 npn 제2스위칭트랜지스터(Q106), 제2스위칭트랜지스터(Q106)의 베이스 측에 구비된 추가정류용 다이오드(D103)와 바이어스 저항(R112)(R113)(R114)과 바이어스 캐패시터(C108) 및 제2스위칭트랜지스터(Q106)의 컬렉터에 연결된 출력다이오드(D106)를 포함하고,
상기 제3필터링회로(M133)는 npn 필터링 트랜지스터(Q107) 및 필터링 트랜지스터(Q107)의 베이스 측에 구비된 저항(R116)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M14)는 스위칭회로(M141), 저장회로(M142), 비교회로(M143) 및 제어회로(M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제어회로(M144)가 공급전원의 위상과 기준 전압이, 동위상인 경우 PWM 제어를 수행하고, 위상차가 있는 경우 PFM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스위칭회로(M141)는 상호 직렬로 연결된 PMOS 스위칭 트랜지스터(M1)와 NMOS 동기정류 트랜지스터(M2)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회로(M142)는 상기 스위칭회로(M141)의 출력 측에 연결된 인덕터(L103)와 이에 병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11)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회로(M143)는 중간전원의 입력단에 연결된 반전 비교기(COM1), 반전 비교기(COM1)의 출력단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OR게이트(OR1)와 저항(R117), 스위칭 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와 OR게이트(OR1)의 사이에 연결된 딜레이소자(Delay)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회로(M144)는 상기 반전 비교기(COM1)의 출력단, OR게이트(OR1)의 출력단, 그리고 스위칭회로(M141)에 연결된 변조제어소자(M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망경.
In the case of a smart landscape that is used to identify scenic spots and surrounding landscapes,
Knitted over view with a camera and display;
A mount coupled with the view-passing knit, and having a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knitted view vib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nd
A controller that includes a settlement unit that performs settlement; and a driver that drives the view-passing knit when performing the settlement of the settlement unit;
Lt; / RTI >
Wherein the view-passing knit includes a snapshot processing module for storing / processing a snapshot of a shooting target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and a moving image processing module for storing / processing the moving image,
An operating server in communication with a user terminal and a knit via said view;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snapshot and the moving picture are transmitted to and stored in the operation server, the snapshot and the moving picture stored in the operation server can be downloaded from the user terminal,
Wherein the controller further includes a user registration unit for receiving and storing user information, wherein the operation server permits only the download of the user registered in the user registration unit,
The rotating means includes a motor (M)
Drive control means for stable control of the motor; , ≪ / RTI >
The drive control means includes a power supply module M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tor M, a control module M20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module M10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motor M, M to detect a state of the power supply and transmit the detected state to the control module M20 and an emergency power supply module M40 to supply power to the control module M20 at all times,
The power supply module M10 includes a first filter M11 for removing noise included in the AC input power, a rectifier M12 for rectifying the noise-removed input power to generate a DC intermediate power, A second filter unit M13 for removing instantaneous noise included in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when the power supply is off, and a conversion unit M14 for converting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to generate a power supply,
The first filtering unit M11 includes a first filtering circuit M111 for first removing noise of the input power source, a second filtering circuit M112 for removing noise of the input power source secondarily, and a second filtering circuit M111 And an amplifying circuit M113 for amplifying the input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filtering circuit M112,
The first filtering circuit M111 includes an npn first transistor Q101 for amplification, a capacitor C101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emitter of the base of the first transistor Q101 and a collector of the first transistor Q101, A coupled inductor L101 and capacitors C102 and C103,
The second filtering circuit M112 includes an npn second transistor Q102 for amplification, a capacitor C104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transistor Q102, a reverse current prevention diode D101 and a buffering inductor L102. Wherein the filter capacitor C104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second transistor Q102 and the backflow prevention diode D101 is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filter capacitor C104 and the buffering inductor L102. Lt; / RTI >
The amplifying circuit M113 includes a pnp third transistor Q103 and an npn fourth transistor Q104 connected in a multistage manner and the collector of the third transistor Q103 and the base of the fourth transistor Q10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Connected,
The second filter unit M13 includes a first power supply circuit M131 for supplying an intermediate power supply to the converting unit M14 when the power supply is turned on and a second power supply circuit M131 for supplying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to the converting unit M14 And a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for destroying the noise of the intermediate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circuits M131 and M132 to ground, Including,
The first power supply circuit M131 includes a pnp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and a further rectifying diode D102 provided at the base side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and bias resistors R110 and R111, A capacitor C109 connected to the emitter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and an output diode D105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first switching transistor Q105,
The second power supply circuit M132 includes an additional rectifying diode D103 provided at the base side of the npn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106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106 and bias resistors R112 to R113 And an output diode D106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bias capacitor C108 and the second switching transistor Q106,
The third filtering circuit M133 includes a resistor R116 provided at the base side of the npn filtering transistor Q107 and the filtering transistor Q107,
The converter M14 includes a switching circuit M141, a storage circuit M142, a comparison circuit M143 and a control circuit M144. The control circuit M144 controls the phase of the power supply and the reference voltage PWM control is performed in the case of an identical phase, PFM control is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a phase difference,
The switching circuit M141 includes a PMOS switching transistor M1 and an NMOS synchronous rectification transistor M2 connected in series,
The storage circuit M142 includes an inductor L103 connected to the output side of the switching circuit M141 and a capacitor C111 connected in parallel thereto,
The comparison circuit M143 includes an inverting comparator COM1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intermediate power supply, an OR gate OR1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ing comparator COM1, a resistor R117, a gate of the switching transistor M1, And a delay element Delay connected between the OR gate OR1,
Wherein the control circuit M144 includes an output terminal of the inverting comparator COM1, an output terminal of the OR gate OR1, and a modulation control element MC connected to the switching circuit M14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이메일 계정 및 SNS 계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망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 user's email account and an SNS accou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태감지모듈(M30)은 상기 모터(M)의 회전자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모터(M)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회전검출부(M31) 및 상기 모터(M)의 온도 상승을 검출하는 온도검출부(M32)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검출부(M31)는 상기 모터(M)의 회전자의 위치를 측정하여 상기 모터(M)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는 홀 소자(M311)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검출부(M32)는 상기 모터(M)의 운전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M3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망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ate detection module M30 includes a rotation detection unit M31 for detecting the rotation state of the motor M by measuring the rotor position of the motor M and a temperature detection unit M31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motor M. [ (M32).
The rotation detecting section M31 includes a hall element M311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rotor of the motor M and detecting the rotational state of the motor M,
Wherein the temperature detector (M32)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M321) for sensing an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motor (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전원모듈(M40)은 상기 제2필터부(M1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필터부(M13)로부터 중간전원을 인가받아 저장하고 있다가 전원이 차단될 때 상기 상기 제어모듈(M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비상전원모듈(M40)은 전압 변환용 저항(R401)(R402),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401)(C402)(C403)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4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전망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mergency power module M4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filter M13 and receives and stores the intermediate power from the second filter M13. When the power is shut off, ), ≪ / RTI >
The emergency power module M40 includes resistors R401 and R402 for voltage conversion, charge capacitors C401, C402 and C403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diode D401 for preventing discharge, Smart view of the landscape.




KR1020170069160A 2017-06-02 2017-06-02 Smart telescope Active KR1019240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60A KR101924000B1 (en) 2017-06-02 2017-06-02 Smart telesc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160A KR101924000B1 (en) 2017-06-02 2017-06-02 Smart telesco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000B1 true KR101924000B1 (en) 2019-02-22

Family

ID=65584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160A Active KR101924000B1 (en) 2017-06-02 2017-06-02 Smart telesco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00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368A (en) * 2019-03-27 2020-10-07 다보(주) Telescope type viewing system having mobile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KR102281584B1 (en) 2020-11-12 2021-07-26 주식회사 오썸피아 Method, device, and system of providing observatory video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user termin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3302A (en) * 2003-08-19 2005-03-10 Ntt Data Corp Electronic album creation support device, it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5192082A (en) * 2003-12-26 2005-07-14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Photographing system for commemorative photograph
KR20070121100A (en) * 2006-06-21 2007-12-27 한국과학기술원 Immersive Experience Sightseeing Device
KR20140022203A (en) * 2012-08-13 2014-02-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External landscape transmission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3302A (en) * 2003-08-19 2005-03-10 Ntt Data Corp Electronic album creation support device, it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5192082A (en) * 2003-12-26 2005-07-14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Photographing system for commemorative photograph
KR20070121100A (en) * 2006-06-21 2007-12-27 한국과학기술원 Immersive Experience Sightseeing Device
KR20140022203A (en) * 2012-08-13 2014-02-2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External landscape transmission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5368A (en) * 2019-03-27 2020-10-07 다보(주) Telescope type viewing system having mobile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KR102424311B1 (en) * 2019-03-27 2022-07-22 다보(주) Telescope type viewing system having mobile device for augmented reality
KR102281584B1 (en) 2020-11-12 2021-07-26 주식회사 오썸피아 Method, device, and system of providing observatory video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 to user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427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ris recognition
DK2944078T3 (en) Wireless camcorder
CN103312959B (en) Filming apparatus and fil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US12022183B2 (en) Photographing method,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electronic device
US7283161B2 (en) Image-taking apparatus capable of distributing taken images over network
US20090040324A1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US20140104376A1 (en) Linking-up photograph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linked-up cameras thereof
EP2523450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dual image captur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50181135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547306A (en) Video camera and focusing method thereof
CN106416224A (en) Panoramic shooting method, terminal, rotation assembly and panoramic shooting device
CN1020559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photographing
US10447919B2 (en) Imaging device, external device, imaging system, imaging method, operat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924000B1 (en) Smart telescope
US20110074978A1 (en) Imaging device
CN106559631A (en) Method for processing video frequency and device
CN105850110B (en) Image pickup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control method of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recording apparatus
CN102014248A (en) Automatic focusing method and module and image capturing device using the same
CN104506770A (en) Method and device for photographing image
CN110995993B (en) Star track video shooting method, star track video shoot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03384310A (en) Image capturing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JP2007258953A (en) Automatic photography system and instrument
JP4965361B2 (en) Camera, shooting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server
EP2961155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image capturing and viewing
FR2812158A1 (en) Prompter for displaying script image for newscaster, detects residual amount of battery of prompter and displays detected information in mo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